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실시된 표적집단 중재 실행연구

        김예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SWPBS), which is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a school in every physical and social context, is an approach establishing a social culture and a behavior support system in order to be equipped with a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all students. It applies multitiered prevention model that determines and supplies the intensity of support in the continuum of behavior support according to the students' needs in the process of planning behavior support and carrying out the plan. The multitiered prevention model consists of three levels, universal support (tier 1 prevention), targeted group intervention(tier 2 prevention) and individualized support (tier 3 prevention) and as the level gets higher, the intensity of support becomes stronger. The universal support aimed at every student and school staff makes rules and expectation behavior at the school level, applies them consistently under any circumstances, and focuses on the guidance of desirable social behavior and the prevention of problem behavior.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is aimed at the students having trouble in peer relationship or showing constant problem behavior in spite of the universal support and gives them more intensive and systematic teaching as a small group form, using social skills teaching, Check-In Check-Out(CICO)/Behavior Education Program (BEP), self-monitoring strategy and mentoring etc. The individualized support, the last level, is aimed at the students who continues their problem behavior despite the universal support and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After evaluating the function of the problem behavior by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it supports through an individualized behavior intervention plan, which is the most powerful and intensive. Meanwhile, there has been published the results of SWPBS by many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vious studies, but these have mainly focused on verifying an effect of the universal support and the individualized support and the ones about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were relatively infrequent. However, as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turned out to be very effective in the guidance of desirable behavior and the prevention of problem behavior, it drew much attention and consequentially the current trend is an increase in developing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and verifying an effect of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Nevertheless, we could hardly find a study related this targeted group intervention internally. Therefore, this study starts with a critical mind that we need to have a chance to develop solutions of the second prevention,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which have been relatively ignored in the process applying multitiered prevention model of SWPBS to an actual field as I mentioned, to investigate an effect of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itself and the effect of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in the practice course of SWPBS. This study was proceeded with 3rd graders at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ere the universal support had been conducted. Aimed at selected 10 students(including 2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a targeted group, this study developed a plan of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practiced that and analyse the effect. This process was worked out with 2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G Elementary School through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cooperative action research procedure, after figuring out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G Elementary School. As discussing with those teachers about a improvement plan through targeted group intervention, developed a targeted group intervention plan consisted of the 4 elements. These are social skills teaching, self-monitoring teaching, link with general classes and parent link. And based on the professionals' investigation of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all these processes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Targeted group intervention was made up of 18 sessions including orientation and completion ceremony. The program was held at 3 grade 1 classroom of G Elementary School on Saturdays and all the social skills in those sessions proceeded into 7 steps, definition and guided discussion, positive example, negative example, review and restate definition, activities(modeling, group activities), generalization (role play), action plan. The achieved social skills and their own behaviors were checked by self-monitoring activity, and link with general classes and parent link for generalizing and retaining social skills was practiced by distributing them notices for class and home on every session. Besides, peer models were advertised and they participated in every process in the same method with students involved in targeted group interven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targeted group prevention on the participated students, the study used scales of social skills, problem behaviors, peer relation and the difference of pre-test and post-test was analyzed through the dependent t-test. And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document data and interviews was used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ng process and participants' change. After having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know their experiences and awareness, continuous method of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based on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with 2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G elementary school, targeted school and students'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was figured out. In order to improve those matters, targeted group intervention consisted of 4 elements, social skills teaching, self-monitoring teaching, link with general classes and parent link, was developed and practiced. Secondly,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argeted group intervention proceeded through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had meaningful difference in social skills, problem behaviors and peer relation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is result, the fact that targeted group inter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peer relation, social skills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s of the students who had not responded to universal support was confirmed. Thirdly, throug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4 themes (beginning, process, outcomes, improvement plan) were deducted in their experience of targeted group intervention and the practice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accordance to the mentioned results, developed targeted group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peer relation, social skills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s for the aimed students, and in order for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be applied to an actual field, there should be devotion and efforts of a manager in charge, cooperation among teachers, support from school administrators and assistance from professionals. At the time an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s expand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fact that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develop, practice and analyse the effect of a targeted group intervention plan, the second prevention of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had been relatively unnoticed among three steps,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lso the fact that this program prevented development possibility towards more serious problem behaviors through improving peer relation, social skills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s of the students and all these made certain that the second prevention is important and significant. Besides,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which could apply multitiered prevention model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more effectively to the educational field.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WPBS)은 학교의 모든 물리적, 사회적 맥락에 긍정적 행동지원 원리를 적용하는 것으로, 모든 학생에게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문화 및 행동지원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접근이다(Todd, Campbell, Meyer, & Horner, 2008). 이는 행동지원의 계획과 실행 과정에서 학생의 요구에 맞추어 행동지원 연속체 안에서의 지원 강도를 결정하고 제공하는 다층적 예방 모형(multitiered prevention model)을 적용하게 된다. 다층적 예방 모형은 보편적 지원(1차 예방)과 표적집단 지원(2차 예방), 개별 지원(3차 예방)의 세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원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중재의 강도도 높아진다. 보편적 지원은 학교의 모든 학생과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학교차원의 기대행동과 규칙을 정하여 모든 환경에서 일관되게 적용하며 이를 통하여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을 지도하고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둔다. 표적집단 지원은 보편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문제행동이 지속되거나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학생들을 대상에게 좀 더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소집단 형태의 교수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회성 기술 교수, 체크인체크아웃(Check-In Check-Out, 이하 CICO)/행동교육프로그램(Behavior Education Program, 이하 BEP), 자기점검전략, 멘토링 등이 활용된다. 마지막 단계인 개별 지원은 보편적 지원과 표적집단 지원을 제공했음에도 문제행동이 유지되는 학생들에게 기능평가를 실시하여 문제행동의 기능을 파악한 후 개별화된 행동중재계획을 수립하여 지원하는 것으로, 가장 강력하고 집중적인 행동지원이 제공된다. 한편 많은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성과가 발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연구들은 주로 보편적 지원과 개별 지원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어 표적집단 중재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수가 적었다. 그러나 표적집단 중재가 문제행동의 예방과 바람직한 행동 지도에 효과적임이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효과적인 중재 전략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국내에서는 여전히 표적집단과 관련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이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다층적 예방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2차 예방 즉, 표적집단 중재 방안을 개발하고 표적집단 중재 자체의 효과 및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과정에서의 표적집단 중재 효과를 탐색할 기회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보편적 지원을 실시한 서울 소재 G초등학교에서 진행되었으며 중재 대상으로 선별된 10명 학생들(특수교육대상학생 2명 포함)을 대상으로 표적집단 중재 방안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G초등학교 특수교사 2인과의 협력적 실행연구방법을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실행연구절차에 따라 G초등학교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후 특수교사 2인과 표적집단 중재를 통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여 사회성 기술 교수, 자기점검교수, 학급연계, 부모연계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된 표적집단 중재 방안을 개발하였으며 관련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표적집단 중재는 오리엔테이션 및 수료식을 포함하여 총 18회기로 구성되어 G초등학교 3학년 1반 학급 교실에서 토요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회기의 사회성 기술은 정의 및 토론 유도, 긍정적인 예 제시, 부정적인 예 제시, 복습 및 정의 재확인, 활동(모델링, 모둠활동), 일반화(역할극), 실천 계획 수립의 7단계로 진행되었다. 학습한 사회성 기술 내용과 스스로의 행동은 자기점검활동을 통하여 점검되었고 학급안내문과 가정안내문을 회기마다 제공하여 사회성 기술의 일반화와 유지를 위한 학급 및 부모연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또래모델을 모집하여 모든 과정에 표적집단 중재 대상 학생과 동일한 방식으로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표적집단 중재가 대상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교우관계 검사 척도를 사용하였고, 사전․사후 종속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참여관찰, 문서자료, 면담을 통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 진행 과정 및 참여자의 변화를 설명하는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참여한 학생, 부모 및 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을 실시한 후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초등학교 특수교사 2인과의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을 통하여 표적집단 중재 대상 학교 및 학생들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성 기술 및 자기점검 교수, 학급연계와 부모연계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 표적집단 중재 방안을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둘째,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실시된 표적집단 중재가 참여한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전과 사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표적집단 중재가 보편적 지원에 반응하지 않는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 및 교우관계를 향상시키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참여한 학생, 부모 및 교사의 인식과 경험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시작, 과정, 성과평가, 개선방안의 4개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개발한 표적집단 중재 방안이 대상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과 교우관계 향상 및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으며,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현장에 잘 적용되기 위해서는 실행 책임자의 헌신과 노력, 교사 간 협력, 학교 관리자의 지지, 전문 인력의 지원 등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협력적 실행연구방법을 통하여 그간 간과되었던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2차 예방인 표적집단 중재 방안을 개발 및 실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 첫 시도라는 점, 행동상의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의 문제행동 감소, 사회성 기술 및 교우관계 향상을 통해 보다 심각한 문제행동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예방하였으며 이를 통해 2차 예방의 의미와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점, 교육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다층적 예방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표적집단 중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적용을 통하여 표적집단 중재의 효과 검증을 위한 이론적 근거들이 제시되어야할 것이며 아울러 표적집단 중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증거기반의 실제를 개발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

      •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만족도 연구

        김예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언어연수생들을 중도탈락 없이 지속적으로 교육원에 잔류시키고 상급학교로의 진학을 통해 학습을 지속할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언어연수생들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중 교수와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시설 및 환경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직원과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행정서비스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K대학부설 국제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국과 베트남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장미내(2016)의 교육서비스 품질 설문지와 하호정(2012)의 교육만족도 설문지를 토대로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조사와 지면 조사를 동시에 진행하여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즉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교육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시설 및 환경이 좋을수록, 교직원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행정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높았다. 이 중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교육시설 및 환경’이었다. 둘째,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해서는 중국 국적의 학생들이 베트남 국적의 학생들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 인식은 남자가 여자보다 교수와의 관계성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국적의 응답자가 베트남 국적의 응답자보다 교육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연수생 응답자들의 한국어교육원에 대한 요구사항 중에서 ‘한국인과 만나는 기회 확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언어연수생의 인식을 참고하여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양적·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언어연수생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교육시설 및 환경’에 대한 대학의 적극적이고 아낌없는 투자가 필요하다. 주요어: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 교육서비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garding Korean language institutes attached to the universit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al service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o suggest actions for qualitative growth.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se goal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4.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he staff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5. How does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Using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of Chinese and Vietnamese language trainees attending K-university International Education Institute located in Suwon, Gyeonggi-do,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translated into Chinese, Vietnamese, and English based on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Questionnaire by Jang Mi-nae (2016) and the Educat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 by Ha Ho-jung (2012). The survey collected responses by conducting online and in-person surveys simultaneousl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etter the educational service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tached to the universi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rating. That is higher quality of education, better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 staff, and higher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resulted in higher satisfaction rating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Second, the students of Chinese nationality ha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compared to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In relation to teachers, male respondents perceived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according to sex more positively than female respondents. Groups studying for university admissions perceived a lower quality of education, while those studying for graduate school perceived a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hird, respondents of Chinese nationality demonstrated higher education satisfaction than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Fourth, expanding opportunities to meet Koreans was of the highest importance to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s of language trainees’ respondents. In recognition of the language trainees’ responses, it is necessary to make concrete and practical efforts to mak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s to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s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vest earnestly and generously i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which would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Key Words: Language trainee, Educational Satisfaction, Educational Services

      •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역량강화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예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on parenting stress, family empowerment, and family quality of life. The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offer parents of children who have special needs the opportunity to receive emotional, informational, and parenting support for parents who have experienced similar set of circumstances one another. Twenty six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twenty six families were divided into 13 families for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were implemented for 9 months.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parenting distress level.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family empowerment level.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family quality of life level but it presented a little differe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for parenting prove that it will be effective family support. Diverse stud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make the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effective family support programs. 장애아동 부모들은 장애자녀를 양육하면서 비슷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며, 특히 이러한 어려움은 장애자녀가 어릴수록 더욱 커지게 된다. 최근 장애아동의 가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장애아동 가족들의 역량강화를 통하여 가족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족지원의 주요한 목적이 되고 있으며, 특별히 전문가의 지원이 아닌, 주변의 친척, 이웃 등과 같은 비공식적인 지원체계를 통한 가족지원이 활성화되고 있다. 부모자조모임은 장애아동의 가족들이 공통된 목적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모여 서로의 역량을 키워가고 서로에게 좋은 지지자이자 정보 제공자가 되어주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하나로,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을 양육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아동의 가족들이 함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한 부모자조모임을 구성하여 공동으로 장애자녀를 양육하고 이를 통해 서로를 지원하고 지지하는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를 지닌 유아 및 학령기 아동의 가정을 대상으로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을 실시하여 참여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역량강화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시내에 거주하는 취학 전, 초등학교 재학 중인 장애자녀를 둔 26가정으로, 실험집단 13가정과 통제집단 13가정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13가정을 4개의 소모임으로 구성하여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을 진행하였으며 소모임 구성 기간을 포함하여 총 9개월에 걸쳐 부모자조활동이 진행되었다.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양육스트레스와 역량강화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양육스트레스 척도(Abidin, 1990)’와 ‘가족역량강화척도(Koren, Dechillo, & Friesen, 1992)’, ‘가족의 삶의 질 척도(Hoffman, Marquis, Poston, Summers, & Turnbull, 2006)’를 사용하였다.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의 변화 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의 가족역량강화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의 변화 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가족의 삶의 질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의 변화 정도에 비해 컸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장애아동 양육에 있어 어려움을 경험하는 어머니에게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역량강화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고, 비록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가족의 삶의 질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효과적인 가족지원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장애아동과 그 가족의 특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고본(Lingusticum sinense)의 n-Hexane 세분획물의 섭취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혈당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김예리 德成女子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식용 및 약용으로 쓰여오던 식물을 이용 본 연구실에서 단계적으로 실시해온 항당뇨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혈당강하 효과가 확인된 고본(Lingusticum sinense)의 계통분획물 중 hexane 분획물을 liquid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세분획을 하였다. 혈당강하효과를 보인 고본의 hexane 세분획물과 대조약물인 tolbutamide를 이용하여 streptozotocin(45mg/kg b.w.)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게 14일간 경구투여한 후, 당뇨쥐에서 혈당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당뇨로 인한 자유기(free radical)의 생성이 초래하는 조직의 산화적 및 기능적 손상을 관찰하였다. 고본의 hexane 세분획물과 tolbutamide 투여에 따른 14일 후 체중변화는 정상군 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Subfraction B, D, E 및 F 투여군에서 체중증가를 보였고, 특히 Subfraction B, E 및 F 투여군에서는 Tolbutamide 투여군 보다도 큰 체중증가를 보였다. 식이섭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B, E, F 및 Tolbutamide 100 투여군에서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식이이용효율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당뇨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B, E, F 및 Tolbutamide 100 투여군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장기 무게를 체중 100g당 환산하였을 때 당뇨쥐의 간장, 신장 및 폐의 무게가 정상쥐에 비해 당뇨실험군에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장, 췌장 및 심장의 무게는 정상군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 AST활성은 당뇨대조군과 모든 당뇨실험군간의 유의차가 없게 나타났으며, ALT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모든 당뇨실험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Subfraction B, C 및 D 는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혈장 포도당은 실험 14일 후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을 비교해 보았을 때 모든 실험군에서 혈당강하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Subfraction A 투여군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 인슐린은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나타났다. 간장의 glycogen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고, 당뇨대조군과 실험군을 비교해보았을 때 뚜렷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ubfraction B, D 및 F 투여군은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근육 glycogen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에서 증가하였고, 당뇨실험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D와 E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정상군과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간장, 신장, 폐 및 췌장의 단백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함량은 당뇨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혈장 cholesterol 함량은 14일 후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 중성지방의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감소하였으며 특히 Subfraction A 와 B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 HDL-cholesterol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 및 당뇨실험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장 유리 지방산 함량은 모든 당뇨 실험군에서 당뇨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Subfraction B, C 및 Tolbutamide-100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 간장 내 cholesterol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C, E, F 및 Tolbutamide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장의 중성지방 함량은 당뇨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모든 당뇨실험군을 당뇨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사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Subfraction A와 D는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Subfraction F 투여군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다른 당뇨실험군들 중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당뇨시 지질과산화를 알아보기 위한 간장, 신장 및 폐의 MDA함량중 간장의 MDA 함량은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 중 Subfraction B, C, D 및 F 투여군은 유의적이진 않지만 당뇨대조군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신장의 MDA 함량은 당뇨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이진 않지만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Tolbutamide-100 투여군에서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여 정상군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폐의 MDA 함량은 정상군과 당뇨대조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당뇨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D 와 E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췌장의 MDA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모든 당는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XOD 활성도는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당뇨실험군중 Subfraction C, D 및 E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당뇨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GST 활성도는 정상군과 당뇨대조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당뇨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GSH-peroxidase 활성도는 Cumene hydroperoxide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 모두에게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게 나타났다. H_(2)O_(2)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당뇨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A, D, F 및 Tolbutamide 50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GR의 활성도는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고본(Lingusticum sinense)의 계통분획물 중 hexane 세분획에서 Subfraction E 와 F 투여군이 당뇨병으로 인한 고혈당과 당뇨합병증으로 인한 지질과산화적 손상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Subfraction B, E 및 F 투여군은 대조약물인 Tolbutamide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effects of n-hexane extract subfractions of Lingusticum sinense on blood glucose levels and lipid hyperoxidation in streptozotocin(STZ) induced diabetic rats were investigated.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in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0 ∼ 245g by injection of streptozotocin(STZ) into the tail vein at a dose of 45mg/kg and were divided into ten groups ; normal, diabetic control, and eight experimental groups(n-hexane subfraction A, B, C, D, E, F, tolbutamide-50 and tolbutamide-100). The rats of all groups were fed an AIN-93 diet and six diabetic group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each of the subfractions, two diabetic groups with tolbutamide 50mg and looms for 14days. The body weight, diet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FER) were monitored every day and the organ weights were measured after the termination. The plasma levels of glucose, insulin, HDL-cholesterol,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and activities of aspartat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were analyzed. The levels of glycogen,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rotein in liver and the level of glycogen in muscle were determined. The malondialdehyde(MDA) levels in liver, kidney, lung, pancreas and microsome of liver were assayed. The activities of xanthine oxidase (XOD), glutathione-S-transferase(GST),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nd glutathione reductase(GR) in liver cytosol were analyzed. Diabetic rats showed the lower weight gain and higher diet intake compared to the normal rats. The groups of subfraction B, E and F, however, had gained weight more than the groups of tolbutamide. The weights of liver, kideny and lung of the diabetic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normal rats. The levels of a ALT in subfraction B, C and D groups were similar to the normal group. A comparable hypoglycemic effect was evidenced after 14 days of oral administration of six subfractions and tolbutamide. The plasma glucose levels of the subfraction B, C, D, E, F and tolbutamide groups were significantly 3ower than that of the diabetic control group. The liver glycogen levels of the subfraction B, D and F groups were not different to the normal group and the muscle glycogen levels of all the diabetic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normal. The protein levels of the liver, kideny, lung and pancreas had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the groups. The plasma cholesterol levels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diabetic control group. The plasma TG levels of the subfraction A, B and tolbutamide group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diabetic control group. The subfraction B, C and tolbutamide 100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lasma free fatty acid levels compare to the diabetic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liver cholesterol levels while liver triglyceride levels of a1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diabetic control group. The MDA levels in liver were lowed by the diabetic groups of subfraction B, C, D and F although they are not significantly. Tolbutamide 100 ha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DA levels in kidney and the levels were lowed in all he diabetic groups in pancrease. In the liver cytosol, XOD activities of subfraction C, D and E groups ha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ST activities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had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diabetic control group. The activities of GSH-px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the diabetic groups when cumene hydroperoxide was used as the substrate. The activities were increase, however, when H_(2)O_(2) was used as the substrat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 activiti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hexane subfractions of Lingusticum sinense an anti-diabetic effect. The subfractions of E and F, especially, may be effective in anti-hyperglycemia by lowering the blood glucose levels and can possibally protect diabetes mellitus from oxidative cellular injury.

      • 시각적 되먹임 유형에 따른 코어 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근 두께, 통증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예리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되먹임 유형에 따른 코어 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근 두께, 통증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60명의 허리 통증을 가지고 있는 성인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시각적 되먹임인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군 20명, 거울을 이용한 운동군 20명, 시각적 되먹임이 없는 운동군 20명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은 분류 후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근 두께를 재활영상초음파로 측정하였고 통증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각적 통증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표면 근전도를 통해 근 활성도를 사전 측정하였다. 측정 후 각 집단은 시각적 되먹임인 표면 근전도나 거울을 사용하거나 시각적 되먹임 없이 동일한 코어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30분 실시하였다. 운동 전과 후의 근 두께를 비교 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 휴식기와 수축기에서의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근 두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수축기에서 휴식기를 뺀 값의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근 두께는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군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세 집단 간 차이에서 근 두께를 비교하였을 때,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휴식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수축기와 수축기에서 휴식기를 뺀 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통증은 운동 전과 후를 비교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집단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근 활성도는 운동 전과 후를 비교하였을 때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군, 거울을 이용한 운동군의 배곧은근, 배바깥빗근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p<0.05), 시각적 되먹임이 없는 운동군의 경우 배곧은근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배바깥빗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세 집단 간 근 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과적으로, 요통환자에게 시각적 되먹임의 유형 중 근전도를 사용한 코어 안정화 운동이 거울을 이용하거나 시각적 되먹임이 없는 운동보다 즉각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음주태도 변화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중·노년 인구 패널 데이터-기반 연구

        김예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 초록 우리나라 중·노년층의 우울증 유병률은 다른 연령층보다 높은 편이며, 노년기 우울은 방치하면 노인 자살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한편, 우리나라 알코올 사용장애 유병률은 다른 나라에 비해 높으며, 이 또한 각종 질병 발생과 경제적 및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이다. 특히 중년기에서 노년기로 접어들며 나타나는 알코올 습관의 변화는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음주습관의 변화와 우울증상 사이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기에 두 질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우리나라 중·노년층의 음주습관 변화를 파악하고, 둘째, 음주습관 변화에 따라 분류한 일곱 그룹에서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셋째, 인구사회경제적요인과 건강관련 요인의 세부 범주에서 음주습관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변화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노인층에서 효과적인 음주습관의 권고 방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령화 연구패널(KLoSA) 자료를 이용해 음주습관(CAGE) 설문과 우울증상(CES-D10)을 가지고 주요 독립변수와 종속 변수를 측정하였다. 선행조사에서 우울하지 않은 자를 대상으로 음주습관의 변화를 측정하고, 음주습관이 변화된 시점과 다음 차수 조사의 우울증상 점수를 이용해 우울증상을 측정하였다. 일반화 추정 방정식(GEE)을 이용하여 인구사회경제적 및 건강관련 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음주태도의 변화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화 추정 방정식의 하위 분석을 이용하여 각 요인의 하위 범주에서 음주습관 변화 방향에 따른 우울증상에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중·노년층에서 음주습관의 긍정적인 변화(12.17%)는 부정적인 변화(7.73%)보다 많은 비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독수준에서 탈피한 비율(4.39%)은 중독수준을 유지하는 비율(0.9%)은 보다 현저히 크게 나타나, 중독에서 개선되는 긍정적 방향으로의 변화를 보였다. 인구사회경제적 및 건강관련 요인들을 모두 통제하였을 때, 이전 조사에 비해 음주습관이 과음 또는 중독수준으로 나빠진 경우 우울증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정상→과음 또는 중독수준, β=0.380, p=0.00; 과음→중독수준, β=0.866, p=0.02) 또한 부정적인 음주습관으로의 변화 효과는 긍정적인 변화보다 각 요소들의 하위 항목에도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β=0.594, p=0.01),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들(β=0.946, p=0.00), 만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들은 음주습관의 부정적 변화로 인한 우울증상 악화에 더욱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인 자기보고식(Self-reported) 평가에 따른 한계점이 존재하지만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y)로 음주습관의 변화와 우울증상 사이 인과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 사회에서 고령화에 따라 노인의 신체적 문제와 함께 정신질환에 따른 질병 부담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질병의 예방과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방안으로 음주습관의 악화 방지에 보다 관심 기울이길 제안한다. Abstract Depression is a severe public health problem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Late-life depression can have serious consequences, such as increased mortality and disability, higher health care utilization, and longer hospital stays. Likewise, as the percentage of alcohol use disorders(AUD) among persons in the senior age category is rapidly growing, it can aggravate a variety of pathological conditions and socioeconomic burden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alcohol in a variety of social contexts, especially from middle-aged to older adults, and determining how differences in alcohol-related behaviors could affect mental health. However, there remains a lack of research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for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context in promoting or retarding positive change in drinking behavior.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changes in alcohol behaviors(CAGE questionnaire) and depressive symptoms (CES-D10) were estimated. Among the subjects without depressive symptoms in the previous survey, those who were selected responded both to CAGE questionnaire in prior and subsequent investigations. Subsequently, for the following two years after the subsequent survey, we assessed the symptoms of depression. With a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change on the depressive symptoms, and included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in the analysis. In additio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changes in drinking behavior on the CES-D10 among the subcategories of each factor using the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Changes in drinking behaviors to excessive drinking and alcoholism (Normal→Excessive drinking and Alcoholism, β=0.380, p=0.00; Excessive drinking→Alcoholism, β=0.866, p=0.02) significantly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changes to negative drinking behaviors was greater than for the positive ones on the subgroups of each factor. Particularly, those categorized in low-income(β=0.594, p=0.01), socially isolated(β=0.946, p=0.00), and normal status without chronic illnesses were more vulnerable to changes in negative drinking behavior for depressive symptoms. Although these results relied on self-reported drinking behaviors, this longitudinal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causal relationship. In an aging society, the burden of disease due to physical illness as well as the mental problems is expected to increase. Therefore, in the context of preventing late-life depress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negative changes in alcohol-related behaviors.

      • 졸업연주 작품 연구 : J. S. Bach, L. v. Beethoven, F. Chopin, S. Prokofiev의 피아노 작품을 중심으로

        김예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석사과정 졸업연주 프로그램에 수록된 곡을 대상으로 작곡가의 생애, 작품의 배경 및 구조와 특징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2권 18번>(Das Wohltemperierte Clavier Book 2, Prelude and Fuga No. 18, in g# minor, BWV 887)의 프렐류드는 순환 2부분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두 개의 대비되는 주제(호모포닉-폴리포닉, 온음계-반음계)를 가지고 전개한다. 푸가는 3성부의 푸가로서 단순리듬을 기본으로 하지만 두 개의 대조되는 주제를 가지고 있는 이중 푸가이기 때문에 복잡한 짜임새를 갖는다.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열정 소나타>(Piano Sonata No. 23 in f minor, Op. 57)는 그의 32곡 피아노 소나타 중 중기에 해당되는 작품이다. 총 3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1악장과 3악장은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 2악장은 변주곡 형식이다. 이 작품에서는 전형적인 고전 소나타 형식의 틀에서 벗어나는 작곡가의 혁신적 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쇼팽(Fryderyk Chopin, 1810-1849)의 <소나타 2번>(Piano Sonata No. 2 in b♭minor, Op. 35)은 4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전 악장이 단조로 이루어져 있다. 1악장과 2악장은 각각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과 복합 3부 형식으로 진행되고, 느린악장을 3악장에 배치하였으며, Presto로 마지막 4악장 피날레를 장식하고 있다. 이 작품은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에 기초해 쇼팽만의 작곡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낭만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기의 지속적인 사용과 열린 결말을 맺는 종결화음의 사용으로 전 악장이 순환 형태를 보인다. 프로코피에프(Sergei Prokofiev 1891-1953)의 <피아노 소나타 3번>(Piano Sonata No. 3 in a minor, Op. 28)은 전통적 소나타 형식에 현대적 작곡기법을 입혀 개성적인 색채를 표현한 곡이다. 이 곡을 통해 프로코피에프 특유의 음악 어법인 고전적, 현대적, 토카타적, 서정적, 그로테스크적 요소를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oser’s life, background,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works performed in the Master’s degree recital.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s <Das Wohltemperierte Clavier Book 2, Prelude and Fugue No. 18 in g-sharp minor, BWV 887(1738)>, consisting of rounded binary forms, has proceeded with two contrasting themes, i.e., homophonic-polyphonic and diatonicism-chromaticism, respectively. The three-voice Fugue is written in the style of Double fugue with two themes while it is based on a simple rhythm.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s <Piano Sonata No. 23 in f minor, Op. 57>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asterpieces corresponding to his middle period among his 32 piano Sonatas. It consists of three movements: first and third movements follow Sonata Allegro form, second movement Theme and Variations, respectively. In this work, his attempt to develop the classical Sonata form can be confirmed. Fryderyk Chopin (1810-1849)’s <Piano Sonata No. 2 in b♭minor, Op. 35> is written in the four movements in minor key.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progress in Sonata Allegro form and compound ternary form, respectively. The slow movement is placed in the third movement. The last movement works as a Finale with Presto. Based on the traditional Sonata form, this work has a romantic style through the compositional technique of Chopin. In addition, by using the continuous use of motive and the concluding chord which has an open ending, the whole movement shows a circular form. Sergei Prokofiev (1891-1953)’s <Piano Sonata No. 3 in a minor, Op. 28> expresses a distinctive properties by applying modern compositional techniques to the traditional sonata form. In this work, we can examine the conventional, modern, toccata, lyrical and grotesque elements of Prokofiev's musical characteristics.

      • 중학교 1학년 감상수업 학습지도안 연구 : 생상의「동물의 사육제」를 중심으로

        김예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음악교육의 목적은 학생의 음악적 능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음악적 정서와 애호심을 함양하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고 윤택하게 하여 전인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창 수업이 주를 이루는 현행 음악교육을 보다 더 효율적이고 포괄적으로 하기 위해서 음악활동에 있어서 기초라 할 수 있는 감상영역을 선택하여 자료를 수집, 조사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보다 효율적인 감상수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먼저 음악과 교육과정내용을 조사하여 그 내용을 감상수업에 적용시켜보았다. 감상곡으로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접근하기 쉬운 생상(C. Camille Saint-Saëns, 1835~1921)의 「동물의 사육제(Le Carnaval des Animanx)」를 선택 하였다. 「동물의 사육제」는 표제음악으로 1886년에 사육제의 마지막 날의 음악회를 위해 작곡되었다. 14개의 짤막한 곡마다 각각 곡의 성격과 이미지에 알맞은 악기의 편성으로 전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표제음악은 곡의 내용이나 줄거리가 제목으로 암시 되거나 설명되어 있어 문학적, 회화적 내용을 지니는 음악으로 절대음악과 구별되는 음악이다. 대표적인 곡으로는 베를리오즈(Louis Hector Berlioz, 1803~1869)의 「환상 교향곡(Symphonie Fantastique)」,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의 「대학축전 서곡(Academic Festival Overture)」, 멘델스존(Jakob Ludwig Felix Mendelssohn Bartholdy, 1809~1847)의 「한여름 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등이 있다. 작곡가인 생상은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 지휘자, 피아니스트였다. 그의 작품으로는 「동물의 사육제」,「죽음의 무도(Danse macabre)」,「삼손과 데릴라(Samson et Dalila)」등이 있다. 감상곡 선택 후 수업에 필요한 문헌과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지도안을 연구하여 학생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학습지도안을 작성하기 전 「동물의 사육제」에 관한 개요와 작곡가인 생상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 곡에 사용된 악기, 곡 전체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세부적으로는 교과서에 나온 8개의 작품을 선택하여 주요 선율과 그 곡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학습지도안은 차시를 둘로 나누었는데 1차시는 곡 전체에 대한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을 위주로 하였고 2차시는 실제 감상하는 것을 위주로 작성하였다. 또한 현행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멀티미디어 활용과 통합학습 등을 고려하여 지도안을 작성 하였다. 감상수업 시 오디오를 이용한 감상뿐만 아니라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감상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시켰고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곡의 표제를 몸으로 표현하고 곡의 느낌을 글로 적게 하여 다른 영역과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학생들이 생각한 것을 자유롭게 표현 할 수 있게 도와주어 능동적인 학습을 통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 할 수 있게 하였다. 교사는 학습지도안을 기초로 수업을 진행하지만 이에만 얽매이지 말고 감상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폭 넓은 생각을 하고 표현을 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s to be able to have a whole-person living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by developing the musical ability and creativity of students and fostering the musical emotions and preference. This study aimed at being able to have effective appreciation class with choosing the field of appreciation that could be a basis of music activities. Collecting and searching for related materials and making up a teaching plan based on the related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current system of music education which have been focused on singing class. First of all, I searched for a content of a course in music curriculum and applied the content to appreciation instruction. I chose, as a piece for appreciation, 「La Carnaval des Animanx」 composed by C. Camille Saint-Saëns which is to approach for the students who ar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La Carnaval des Animanx」 is program music composed in 1886 for the concert at the last day of the carnival. It is consist of fourteen short pieces with appropriate and characteristic orchestration. The program music which has the literary and pictorial content implies by the content or the main point of a piece so that it c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absolute music. As the foremost compositions of program music, there are「Symphonie Fantastique」by Hector Berlioz,「Academic Festival overture」by Johanne Brahms, and「A Midsummer Night's Dream」by Jacob Ludwig Felix Mendelssohn. C. Camille Saint-Saëns was a composer, organist, and pianist as well. His pieces were 「Carnaval des animaux」, 「Danse Macabre」, and 「Samson et Dalila」. I studied the teaching method that would help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a class interest. After I chose an appreciation piece. I searched for the bibliographies and materials which are necessary for making a teaching plan finally. For I studied about the outline of the piece, 「Carnaval des animaux」, and the composer of the piece, C. Camille Saint-Saën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piece, and the form of the piece as well. Specifically, I chose eight pieces appeared in the text book and studied the motive and characteristic of each piece. A teaching plan was divided by two tables. The first lesson explained the outline of the piece, and the second lesson gave the actual appreciation lessons.. Also, I made the teaching plan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using multi-media and the combined studying which are regarded importantly to the current system of music education. Music appreciation classes, I made the students have interest and arouse motivation with using not only audio equipments but also audio-visual materials. Also, I tried to combine with a different filed through making the students express the title of a piece by using their body, and leading them to write a feeling of the piece. I tried to make the students express their thinking freely so that they could participate in the class positively through the active learning. Teacher should instruct the students based on not only the teaching plan but also the appreciation instruction to make the student think widely and express what they feel actively.

      • 비이혼가정 자녀의 이혼지각 및 또래애착에 관한 연구

        김예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혼가정 자녀들이 부모의 이혼으로 인해 받는 부적응 행동과 어려움은 많으며 그 중에서도 학령기의 자녀들은 또래관계를 형성하는데 특히 어려움을 많이 갖고 있다. 이는 이혼가정 자녀들에게도 여러 가지 원인을 찾을 수 있으나 상호작용이 중요한 비이혼가정 자녀들이 이혼에 대한 지각이 어떠하며 그것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비이혼가정 자녀 722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가족적 변수, 이혼지각 변수, 가족가치관 변수, 또래애착 변수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여 이혼가정 자녀들과의 또래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성별, 지역, 연령, 가정수입, 종교, 부모의 부부관계에 대한 것을 조사하였으며, 이혼지각 변수에 대한 조사는 이정림(2000)의 연구에서, 가족가치관 변수는 이명우(2000)의 연구에서, 또래애착 변수는 김옥(2000)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연구에 적절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for Window 9.5를 사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가족적 변수에 따른 이혼지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에서는 성별, 연령, 경제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가족적 변수에서는 부모의 부부관계, 이혼에 대한 언급, 부모 이혼에 대한 찬반 여부가 이혼인식에 모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즉,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초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이 이혼에 대해더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상황이 상집단이나 하집단보다는 중간 집단에서 이혼에 대해 긍정적인데 반해 나머지 두 집단에서는 비교적 이혼에 대해서 부정적이고 보수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부부관계가 좋다고 인식한 집단이 부부관계가 나쁘거나 무관심한 집단보다 이혼에 대해서 긍정적이고, 부모가 이혼에 대해서 자주 언급한 집단일수록, 부모가 이혼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집단일수록 이혼에 대해서 허용적이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이혼관련 변수에 따른 이혼지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에서는 이혼에 대해 들어본 경험, 주변의 이혼가정의 유무, 이혼경험경로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혼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는 집단일수록, 주변의 이혼가정이 있을수록 이혼에 대해서 허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혼에 대해서 부모나 대중매체로부터 접한 집단보다는 학교(교사나친구)로부터 접한 집단일수록 이혼에 대해 허용적이며, 이혼에 대한문제에 대해서 자신이 해결하려는 성향이 강하다고 응답한 집단일수록 이혼에 대해 더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가족가치관에 따른 이혼지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에서는 성별, 경제상황에 의미있는 차이를, 가족적변수에서는 가족변수 모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일수록, 경제생활이 상이나 하집단보다는 중간집단일수록 가족가치관이 현대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부부관계가 좋을 수록, 부부 싸움 시에 이혼에 대한 언급이 적을수록, 부모의 이혼에 반대할수록 전통적 가치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가치관을 사례수에 따라 전통적, 중도적, 현대적 3집단으로 분류하여 이혼지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가족가치관이 전통적인 집단의 이혼지각은 가장낮은 평균을 보이며 이에 비해 현대적인 가치관을 가진 집단이 이혼지각에서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혼가정 자녀와의 또래애착에 인구사회학적, 자신들의 부모의 부부관계, 가족가치관, 이혼관련 변수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성별에서만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또래애착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가 부부싸움 시에 이혼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을수록, 부모의 이혼에 대해서 가능하다고 여길수록 이혼한 가정의 친구들과 또래애착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가족가치관에 따른 이혼가정 자녀와 또래애착의 차이는 가족가치관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가치관이 현대적일수록 또래애착의 평균이 낮고 이에 비해 전통적인 가치를 가질 수록 더 또래애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관련 변수에 따른 이혼가정 자녀와 또래애착의 차이를 보면 이혼관련 변수 중 주변의 이혼가정 유무에 따라서만 또래애착에 차이를 보였고 나머지 변수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인 주변의 이혼가정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또래애착의 평균이 높았다. 즉, 이혼가정이 있는 응답자일수록 이혼을 보다 실제적으로 접할 기회가 많으며 그에 따라서 이혼가정 자녀의 이혼 적응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음으로 또래와의 관계 형성에 유리하며, 애착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혼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이혼가정 자녀들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그들의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비이혼가정 자녀들의 이혼에 대한 지각과 가족가치관, 또래애착을 조사하여 이혼한 부모를 둔 또래를 어떤 시각으로 보고 있는지 파악하여 원만한 상호작용과 또래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 Study on the Not-Divorced-Family Children's Recognitions of Divorce and Peer-Attachment Divorced-family children suffer many maladjustments and difficulties because of their parents' divorce, and school-aged children among them have much more difficulties, especially in establishing peer relationships. Though some causes of the relationship difficulty may be attributed to divorced-family childre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ivorced- and not-divorced-family children is also important in this matter. So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how not-divorced-family children recognize divorce and how the recognition influences companion relationship. Its method is by making researches on demographic-sociological and family traits, divorce recognition factors, family value factors, and peer attachment factors of the subjects of 722 not-divorced-family children, and its purpose is to help them establish smooth relationships with divorced-family children. In order to attain the aim of the thesis, demographic-sociological factors such as sex, region, age, family income, religion, and parents' interrelationship are examined, and the existing research methods in Lee Jung-lim(2000)'s study on divorce recognition factors, Lee Myung-woo(2000)'s on family value factors, and Kim Ok(2000)'s on companion attachment factors are made use of, after being corrected and complemented for this thesis. For data processing SPSS for Window 9.5 was used. The results analyzed for the the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search on the subjects' differences in divor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sociological and family traits, such demographic-sociological traits as sex, age, and economic status shows the differences, and such family traits as parents' interrelationship, mentions on divorce, and approval or disapproval of divorce all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divorce recognition. That is, boy students rather than gir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rather than elementary ones are tolerant to divorce; middle economic group rather than low and high ones is affirmative to divorce, while low and high economic groups are relatively negative and conservative to divorce. And the group recognizing better parents' interrelationship is more affirmative to divorce than the group recognizing worse one; the group whose parents more frequently mention divorce, and the group which think of higher possibility of parents' divorce are more tolerant to divorce. Second, as a result of research on the subjects' differences in divor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ir divorce-related traits, such factors as the experience of hearing about divorce,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divorced families in neighborhood, and the process of hearing about divorce all reveal meaningful differences. The group which heard more about divorce, and the group in which there are more divorced families around are more tolerant to divorce; the group which heard about divorce in school (i.e. from teachers or friends) rather than by mass media, and the group which responded that he or she in person would solve the divorce problem are more tolerant to divorce. Third, as a result of research on the subjects' differences in divor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ir family values, demographic-sociological traits such as sex, economic status, and family traits such as all family factors also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That is, boy students rather than girl students, middle economic group rather than low and high ones are more modern in family values; the group which has better parents' interrelationship, the group whose parents less frequently mention divorce during quarrels, and the group which opposes parents' divorce show more traditional values. As a result of research on the differences in divorce recognition by dividing the cases into 3 family value groups such as traditional, middle, and modern, the traditional family value group shows the lowest average of divorce recognition, while the modern group is more tolerant to divorce. Fourth, demographic-sociological factors, parents' interrelationship, family values, and divorce-related factors are shown to hav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peer-attachment with divorced-family children. Among demographic-sociological factors, sex alone shows meaningful difference: girl students rather than boy students show higher average of companion attachment. The more frequently parents mention divorce during quarrels, and the more children think of high possibility of parents' divorce, the higher average they show of peer-attachment with divorced-family children. The recognition of peer-attachment with divorced-family children is seen to show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t family value groups. That is, the more modern the family value is, the lower the average of peer- attachment is; the more traditional it is, the stronger the peer-attachment is. Among the divorce-related factors, the sole factor of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divorced families in neighborhood shows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peer-attachment, while other factors don't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oups. The group with divorced families in neighborhood shows higher average of peer-attachment than the group without them. That is, respondents with divorced families around have more opportunities to observe divorce, and so they notice better the divorced-family children adapt to divorce situations, resulting in establishing better relationships and having stronger attachment with the latter. Though the existing researches on divorce centered on divorced-family children, in order to help them adapt to situations,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not-divorced-family children's recognition of divorce, their family values, and peer-attachment with divorced-family children, helping the former understand correctly the latter's situations, and establish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m. My thesis has some significance in attempting to reveal this fact and to help the divorced and not-divorced-family children make better peer-relationships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