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金德齡 이야기 硏究

        김영철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고소설 『임진록』과 문헌설화 및 구비설화에 전개되어 있는 김덕령 이야기의 내용과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이야기 담당계층의 역사의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임진록』의 [H](역사)계열, [C](최일영)계열, [G](관운장)계열과 변이가 가장 심한 [M](기타·혼합)계열에 김덕령 이야기가 어떤 내용으로 전개되어 있으며, 각 계열의 김덕령 이야기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문헌설화와 구비설화에 전개되어 있는 김덕령 이야기와 문헌설화와 구비설화의 김덕령 이야기가 어떠한 관련성과 변별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김덕령은 역사현장에서 비극적인 일생을 보였던 인물이다. 한미한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비범한 용력을 지녔고 임진왜란을 당하여 충·효의 심각한 갈등을 극복하고 출진하였으나 여건이 허락되지 않아 전혀 공을 세우지 못했고, 오히려 시기하는 자들의 모함을 받아 반역이란 치욕스런 죽음을 당했다.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의 여건이 허락되지 않아 불우한 삶을 보내다가 비극적인 죽음을 당한 사람은 민중에 의해 영웅화된다. 이런 점에서 김덕령은 민중에 의해 민중의 영웅으로 변모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지닌다. 조정에서 김덕령의 억울한 죽음을 인정하고 해원시킨 일은 김덕령이 영웅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더 한층 높여 주었다. [H](역사)계열에는 문헌설화에 단편적인 형태로 보여지는 김덕령의 과장된 용력이 구체적인 사건으로 제시되어 있을 뿐, 더 이상의 의미는 지니지 않는다. 여기서 김덕령은 단지 왜에 대해서만 영웅적인 존재로 되어 있으며, 흥미 위주로 윤색된 느낌마저 주고 있다. [C](최일영)계열에는 김덕령의 가능적인 세계가 표출되어 있으면서도 역사현장에서 억울하게 당했던 원사를 과감하게 해원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변이되어 있다. 김덕령의 해원은 김덕령을 억울하게 죽게 한 지배계층에 대한 신랄한 비판으로만 가능한데, [C](최일영)계열에는 역사현장에서 김덕령이 천추의 한으로 여겼던 불충·불효에 대한 죄의식이 선조가 내려준 "만고충신효자 김덕령"이란 현판으로 해결되고, 또한 죄 없는 김덕령을 죽인 선조가 악군으로 변모됨으로써 김덕령의 원사가 통쾌하게 해원된다. [G](관운장)계열에는 김덕령이 이여송과 왜장을 능가하는 민족적인 영웅으로 부각됨으로 역사현장에서 원사로 좌절당했던 김덕령의 가능적인 세계가 제시되면서 선조가 비판되지만, 김덕령의 억울한 죽음을 통한 지배계층에 대한 비판은 거의 드러나 있지 않다. 이러한 현상은 [H](역사)계열이나 [G](관운장)계열의 이야기는 설화의 세계를 완전하게 탈피하지 못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C](최일영)계열은 김덕령의 역사적 현실을 비판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것임을 보다 분명하게 해 준다. [M](기타·혼합)계열은 다른 계열의 이본보다 전승기간이 길었기 때문에 김덕령 이야기도 이 과정에 다양한 변이를 보이고 있다. [m](기타·혼합)계열의 김덕령 이야기에는 김덕령의 성격이 보다 다양화되면서도 설화적인 성격을 강하게 지닌다. 이는 『임진록』[M](기타·혼합)계열의 이본들이 주로 민간에서 전승되면서 변이를 보인 것임을 의미한다. 문헌설화에는 김덕령의 과장된 용력이 부각되어 김덕령이 기인화되어 있다. 그의 비극적 일생이 부조리한 역사적 상황에 조명된 것이 아니라, 그의 특이했던 용력과 행위에 관심이 주어져 있어 김덕령이 역사성을 상실한 채 민담적인 영웅으로 변모되어 있다. 역사성을 띠어야 하는 김덕령의 행위는 거의 변모되지 않았으며 그것도 주관적인 기술보다는 객관적 기술태도와 운명론적 체념관으로 일관되어 있어 역사현장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문헌설화 담당계층의 의식구조가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기록이 전제된다는 문헌설화가 갖는 한계성 외에 이들 담당계층들의 역사의식 결여와 소극적인 운명관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문헌설화에 나타나 있는 김덕령의 성격은 [H](역사)계열에 전개되어 있는 김덕령의 성격과 유사하나 내용면에 있어서는 문헌설화가 훨씬 풍부하다. 구비설화에는 김덕령의 비극성이 강조되어 있으며 김덕령의 비극적 죽음을 통하여 위정자에 대한 민중의 반항과 비판이 날카롭게 표출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구비설화에서는 김덕령이 왜적을 통쾌하게 물리치며 이여송을 능가하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김덕령은 구비설화에서 민족적·민중적 영웅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김덕령의 행위를 통한 비판과 피해보상 심리로 표출된 것이다. 구비설화에 나타난 김덕령의 행위는 단순하고 감정적이고 직선적인데 이는 구비설화 담당계층인 민중의 개성이다. 구비설화에 표출되어 있는 김덕령의 이러한 성격은 『임진록』[G](관운장)계열에 전개되어 있는 김덕령의 성격과 유사함을 보여 주었다. This thesis was tried to report the study of the old story on Kim Duck-Ryoung which reads in the Korean classic novel, the Yimjinrok, written and spoken legendary tale, and you would recogniz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contemporary classes in reading or listening the story. You would read the meaning of each part of [H], [C], [G], and the most variable [M] during the reading to understand how the story develops in the parts. This thesis also shows not only the contents and the meaning of Kim Duck-Ryoung story developed in the written and spoken tales but also the contrasts and analyses of the connections and discrimination between the written and the spoken tale on the basis of the story Yimjinrok. Kim Duck-Ryoung was the person who lived the tragic life in the history. Though he was born in the poor and low class of the family, he was excellently stout and brav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year Yimjin he took part in the war with overcoming the serious conflict between patriotism and filial piety, but he didn't win merits under the unfortunate situation. On the contrary, he was fallen into a trap of envious people and was put to death as a traitor. However, he may be able to be a hero in the power of the people, for a great man will be a hero by the people, even though he lived an unlucky life to be killed regretfully. It is much more likely for Kim Duck-Ryoung to be a hero since the government recognized his regretable death and removed his dishonor as a traitor. In the part [H], history part, Kim Duck-Ryoung's big bravery, which seems to be a short form, is suggested only with the accidents exampled and has no meaning any more. He is a hero merely by the Japanese invaders in the story, but it seems to be composed as an exciting story. In the part [C], Choi Il-Young part, Kim Duck-Ryoung's possible world is expressed, but the story is varied to be angry with the regretable death on the historical situation. It is possible to utter the resentment to Kim's death by criticizing the upper classes who put Kim to death. In this part King Seonjo resettled the wrong punishment by presenting him the signboard, written as "Kim Duck-Ryoung, the Greatest Patriot and Obedient Son", in honor of recovering his innocence. The story is concluded clearly by the turn of King Seonjo as a tyrant who killed the innocent Kim Duck-Ryoung. In the part [G], Kwan-Woon-lang part, King Seonjo is criticized by suggesting the discouraged Kim's possible world in the history, while Kim Duck-Ryoung occurs to be a better hero than Yi Yeo-Song and the Japanese commanders. However, the higher classes who intrigued against Kim is hardly criticized. This states that the story in the part if [H] and [G] doesn't overcome the legend world completely. And it is also clear that the story in the part [C] is composed intentionally. In the part[M], the other mixed one part, the story is variable for the longer period of war in contrast of the other parts. It seems that this part hasn't any special events against the other parts, but the story in the part [M] shows still more legendary characters because of Kim's various characters. This means that the different stories from the part [M] of the Yimjinrok handed down from people to people with various traditions. In the written tale Kim Duck-Ryoung is described as an eccentric person with his big bravery turning out. His tragic life isn't proved in the irrational history, but his excellent bravery is so much emphasized that he becomes rather a legendary hero than a historic figure. In fact, his historic deed hardly vary, and that it is described rather objectively and with the view of resignation for the fatalist than subjectively. Thus they can find out that the classes charged with written tale proves to be evasive, which explains their consciousness well. This means that in addition to the limits of written talc based on the record the contemporary classes had little consciousness of history and they had passive thoughts of the fatalism. In comparing with Kim Duck-Ryoung's personality in some written tales is as like as one in the part [H], but written tales are far richer in their contents. In the tales of legendary they emphasized the Kim Duck-Ryoung's tragic side and we can find out the people's resistance or criticism against the leaders by his tragic death. They also told in the spoken legend that Kim had surpassed Yi Yeo-song in defeating the Japanese invaders. They made Kim a national and folk hero in the tales, which is the expression of criticism to the high class and compensation for Kim'S accidents. If we listened to the tales, we would find out that Kim's deeds were simple, emotional, and frank. This is because people who passed the tales expressed their thoughts as real as the people's character itself. Such a character as in the legendary spoken tales is as like as in part [G], Kwan-woon-jang part, the Imjin-Rok.

      • 소방력 강화를 위한 소방재정 확충에 관한 硏究

        김영철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의 소방행정은 도시밀집화, 건물의 초고층화, 주민의 고품질 구조구급서비스 요구, 구조활동의 국제화, 그리고 맞춤형 소방활동의 증가에 따른 국민의 바램에 부응하기 위해 소방 선진화⋅과학화⋅정보화⋅3교대근무 전면 실시화에 최대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청에 부응하고 각종 장비확충과 부족한 인력확충을 위해서는 소요 재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의 소방재정은 필요수요에 충당할 만큼의 재원이 충분하지 않아 당면문제 해결은 요원한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소방재정의 확충은 필수적인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당면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 소방력 강화를 위한 소방재정력 확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미국, 일본, 독일, 영국 등 선진외국의 소방행정체제와 소방재정 조달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 나라들로부터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미국의 화재보험세, 독일의 소방세, 영국의 중앙정부 교부세, 일본의 기금 등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컸다. 그리고 우리나라 학계에서 이루진 선행 연구결과들을 분석하였다. 주요내용은 소방공동시설세의 세율조정, 과세대상 확대, 지방교부세 산정방법 개선, 국고보조대상사업 확대, 특별회계제도 도입, 소방세 도입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가지 범주로 나누어 방안을 모색했다. 하나는 현행제도의 개선을 통한 방안이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제도의 도입을 통한 방안이다. 먼저 제도개선을 통한 방법으로 첫째, 소방공동시설세 분야에서는 세율정비(최고세율 세분화, 최고세율로 단일화, 중과율 조정), 과세표준산정방식의 원가방식에서 시가방식으로의 전환, 유류⋅가스⋅전기⋅담배 등으로 과세대상확대 등이다. 둘째, 지방교부세 중 보통교부세의 기준재정 수용액 산정을 위한 측정항목에 재난관리대상⋅ 구조구급실적 등을 반영하고, 특별교부세 지원대상에 소방장비구입과 소방관서 신설도 포함하는 것이다. 셋째, 국고보조금 대상사업에 화재진압차량 등 첨단장비까지 확대하는 것이다. 넷째, 소방관련 법령 위반자에 부과하는 과태료 부과의 엄격 적용과 소방차량 통행방해 차량에 대한 주⋅정차위반 단속권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제도 도입을 통한 확충방안으로 첫째, 화재보험금 등에 과세하는 화재보험세를 신설하고, 둘째, 119구급차 및 소방헬기를 이용하는 자에게 이용료를 부과하며, 셋째. 소방방재청 산하단체의 이익잉여금 등에 부담금을 부과하여 소방안전기금을 신설하는 것이다. 넷째, 현재의 공동시설세에 포함되어 있는 소방공동시설세를 가칭 소방세 등 세목으로 독립하는 방안이다. 위에서 제시한 방안들은 국민의 조세저항, 기득권자, 이해관련 부처의 이견, 입법부의 정치적 결단 등 다양한 변수들 때문에 실행이 쉽지가 않다. 연구결과, 이들 중 실현가능성이 있는 순으로 방안을 제안하면 소방공동시설세의 과세표준산정기준을 시가방식으로의 전환, 세율의 단일화, 둘째, 119구조구급 이용료 부과, 셋째 과태료 부과 엄격화, 넷째, 소방공동시설세의 단독세로의 분리이다. 특히 수혜자부담원칙, 원인자부담의 원칙, 응능부담의 원칙을 포함한 가칭 소방세로의 독립은 꼭 실행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 본 논문에서 제안한 확충방안의 핵심 내용이 반영될 수 있다. To respond to the rapid urbanization,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citizens' demand for high-quality rescue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increased international search and rescue, and people's request for tailor-made fire-fighting activities, maximum efforts for scientific and intelligent advancement of fire administration are being made. What i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fire-related equipment and for securing enough firefighters is adequate finance. Daily fire-fighting activities, however, have a hard time due to insufficient fire finance, and to accomplish more successful fire-fighting activities, it is essential to secure sufficient fire-related finance. This study suggests plans for the expansion of fire-related finance for strengthening of fire-fighting capacity. Implications for structures of fire administration and methodologies for fire finance establishment are also suggested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Fire insurance tax of the United States, fire tax of Germany, central government's subsidy of the United Kingdom, and fund of Japan are found to be very suggestive. Previous studies in Korea are also analyzed including rate adjustment of public fire facility tax, expansion of taxation articles, improvement of estimation method for local subsidy, expansion of state-aid projects, introduction of special account, opening of fire tax, and etc.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e., improvement of current practice and introduction of new institution. For the improvement of currently-practiced regulations, firstly, it can be considered to improve public fire facility tax including fractionation of the maximum tax rate, unification into the maximum tax rate, and adjustment imposition tax rate, transformation of standard taxation from production cost to market price, and expansion of taxation articles including oil, gas, electricity, tobacco, and etc. Secondly, the number of disaster-related facilities and frequency of rescue and EMS can be reflected in estimating normal subsidy's standard finance expropriation for local subsidy. Special subsidy can include purchase of fire equipment and set up of new fire stations. Thirdly, state-aid projects can be expanded to include high-tech equipment such as fire-suppression vehicles. Fourthly, stricter enforcement for fire-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s necessary. Severe traffic regulations should be enforced and policing authority should be given to firefighters for parking viol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new institution, firstly, fire insurance tax needs to be established based on the fire insurance premium. Secondly, service charge needs to be imposed to the users of EMS and fire helicopters, and thirdly, fire safety fund needs to be established based on the profits that affiliated organizations under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can make. Fourthly, fire tax needs to be introduced independently from the public fire facility tax, which is currently part of the public facility tax. The suggestions above may not be easy to accomplish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axation resistance, different views of stakeholders and vested interests, and political standpoint of lawmakers. Most feasible suggestions found in this study are, firstly, transformation of standard taxation estimation to market price, secondly, service charge to the users of EMS, thirdly, strict enforcement for the imposition of fines by fire-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fourthly, separation of public fire facility tax as an independent tax. Particularly, independent fire tax is a necessity reflecting the principles of beneficiaries and cause-makers to pay within their financial capacity.

      • 정서ㆍ행동장애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지도 실태

        김영철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reports how well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ware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how teachers deal with certain situations in the classroom. This study aims to provide teachers with the basic knowledge and improvements in order to help them understand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educate the students by using an appropriate method. To find out the methods to educate effectively on the spot,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examines how well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war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Second, the research observes what measur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to respond the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Finally, the research finds out what types of intervention they use to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o deal with a situation. 232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bout teacher awarenes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By using a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each question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est,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Detailed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all teachers surveyed had a good knowledge about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specially, the femal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tudy displayed higher levels of understanding about it than that of the males. Also, a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with special education experience for the handicappe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who have never experienced. Second, the methods to deal with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varied significantly from teacher to teacher. The active measures were used more by female teachers and the teachers who have higher educational career. On the other hand, negative coping methods were utilized more often by male teachers. the teachers with special education experience used passive measures more than the teachers who have never experienced. It is indicated the more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teachers have, the better the teachers deal with the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Finally, in terms of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of the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female teachers, the teachers with special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teachers who have higher educational career used the teaching manuals more and tried to correct their procedure of education more often than the other groups did. With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be provided with a educational system to support the teachers should be provided so as to properly educate the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 성 켄터버리 안셀무스의 대화편인 "진리에 관하여" 에서 본 진리개념연구 : 김영철

        김영철 Martin-Luther-Universitat Halle-Witterberg 2000 해외박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성 안셀무스의 大作인 "Monologion"(독백)의 보충으로 쓰여진 작은 저서인 "진리론에 관하여De veritate"에서 전개되고 있는 진리개념에 대한 연구가 중심이 되는데, 그는 진리의 개념을 올바름rectitudo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아울러 이 같은 규정을 다양한 관점들에서, 즉 진리와 지시(지칭)의 관계, 진리와 사고, 진리와 의지, 진리와 감각, 진리와 의지 그리고 진리과 자유의 관계에서 설명하고 있다. 안셀무스는 다양한 사물들에 존재하고 있는 올바름을 진리를 설명하고 또한 규정할 수 있는 필연적이며 내적인 척도로서 이해하며, 그러한 이유로 인해서 올바름을 사물이 지니고 있는 타당한 내적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올바름은 사고와 그 대상들의 논리적 일치를 의미하나, 먼저 사고에 올바름을 규정되어지고, 사고에 의해 규정되어진 올바름에 의해서 그 대상이 무엇인지 그리고 무엇을 위해서 존재하는지가 규정되어 진다. 즉 안셀무스는 사고에 의해서 규정되어진 올바름에 의해서 모든 사물들이 규정되어 진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안셀무스는 올바름만이 진리의 기준이며, 아울러 진리는 단지 정신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지는 올바름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셀무스의 진리개념은 개별적인 사물에 대한 진리개념 이해로부터 결국에는 유일하고 최고의 진리인 神개념summa veritas으로 나아가게 되는데, 이 것은 안셀무스의 진리개념에 대한 연구가 실제로 존재하는 개별사물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결국에는 인간정신의 참된 근원으로 간주되어지는 神적인 세계, 즉 神개념의 이해에로 나아가게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안셀무스는 올바름을 인간정신의 최고 봉인 이성ratio과 더불어 닮음, 유사함similitudo이라는 개념, 즉 神의 모상으로서의 인간개념과 연관해서 설명함으로서, 인간적인 정신이 神적인 세계에로 나아갈 수 있게 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정신 내지는 유사함이라는 개념 안에서 고찰되어질 수 있는 神인식이 안셀무스가 그의 진리론에서 다루고 있는 중심주제이며 또한 이 연구의 중심 문제이기도 하다. 인간정신 내에서의 神에 대한 인식문제는 결국 인간정신 안에 내재하는 최고의 진리의 神을 찾는 것이며, 이것은 곧 자기인식의 문제이며, 인간정신과 神의 일치 내지는 동일성을 찾는 것인데, 이러한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안셀무스의 진리개념을 전통적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방식인, 즉 유명한 명제인, 진리는 사고와 사물(대상)간의 일치veritasest adaequatio intellectus et rei라는 명제로 대변되어지는 진리의 대응론적인 관점에서의 고찰을 배격하고, 플라톤의 근본사상인 참여론과 상기론 그리고 신플라톤주의적 통일(일치)이론, 즉 Plotinus, Marius Victorinus 그리고 Augustinus에 의해서 발전되어진 삼위일체론적인- 신플라톤주의적 통일이론 - 사고와 빛의 형이상학 그리고 전통적 인과론과의 연관문제를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안셀무스의 인식론의 핵심이며 또한 神인식에로 나아가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변증법Dialektik의 -명상meditatio으로서의 - 기능과 신앙과 이성의 문제sola ratione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으며, 끝으로 안셀무스의 진리개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그의 언어철학적인 개념들, 즉 사고와 언어(진술, 말)간의 연관문제에 - 사고와 언어의 일치, 언어와 대상간의 지칭문제 - 관해서도 간단히 언급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