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관기관 네트워킹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욱 청주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An organization can be defined as a established group mainly has objectives that pursuit of profits and the roles and functions of members exist for objective achievements. The networking activity can be defined any activities that acquiring information and advices while carrying out the tasks by interacting with the people in the organization. It is required that identifying the main factors in networking activities and the inter relationship for maximize the outcome of organization. Since the competition between organizations and departments has been intensified and complicated, the public organization’s sustainable CRS(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operation between staff members and member of society mainly for resolving social problems voluntarily has been highlighted. This change has made the interaction with other economic bodies more important for development and success of organization. The purpose of planning and running networking is to realizing organization’s objectives and improving performance by 조직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집단으로 목표달성을 위한 각각의 역할과 기능이 존재하고 내부외부 환경변화에 대하여 개인과 집단의 협력적 방식으로 공동체를 형성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네트워킹 활동은 조직의 내부외부에서 업무를 수행하거나 각종 정보제공 또는 조언을 얻고, 사람들과의 상호연결을 맺고 있는 관계의 행동이다. 네트워킹 활동의 요인들, 상호간영향관계, 등 조직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중요한 인자와 지역기관들의 지속가능한 경영전략과 네트워킹 활동의 필수적 방안모색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발달과 4차 산업혁명시대의 경영환경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조직내외에서 조직성과경쟁의 심화되고 복잡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공공기관이 지속가능한 사회적 책임경영을 위하여 유관기관의 사회적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고, 현 정부정책의 일환인 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의 안정적인 정보제공으로 다양한 조직의 사회구성원들 간의 자발적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를 조직의 발전과 성공을 위해 다른 경제주체들과의 유기적인 상호작용노력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조직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바탕으로 상호간의 정보제공과 지식공유 등 협력적 거번너스는 조직성과의 목표달성 및 성과향상을 위해서 네트워킹을 기획하고 운영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네트워킹 활동의 종합적 한계는 공사 내부조직을 범위로 한정함으로서 내부 활동으로만 비춰 질 수 있어 네트워킹의 폭과 다양성이 없고 단계별 조직 상호연결 관계가 한 단계를 벗어나면 네트워킹 활동은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중소기업 육성정책 등 경영환경 변화로 기존 지적업무 분야가 민간으로 이양이 확대됨에 따라 네트워킹 빈도가 대폭 낮아지고 공간정보는 다양한 행사 프로그램 개발로 모임빈도가 높아져 상대적 양면성이 있다. 시군 소도시 일수록 이해관계 유관기관들로만 이루어져 외부 네트워킹 모임빈도가 낮고 네트워킹 활동 범위가 제한적이다. 네트워킹 활동의 조직성과의 현황분석에 나타난 종합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실증분석은 첫 번째 다중회귀분석결과 내부 네트워킹 활동과 조직성과(목표달성도)의 영향력 분석은 신뢰와 문제해결, 관계주도 등이 순으로 유의미하고, 변수의 상대적 중요성은 같은 결과이다. 조직성과(성과향상도)의 영향력 분석은 신뢰와 관계주도, 문제해결, 순으로 유의미하고, 변수의 상대적 중요성은 같은 결과이다. 외부 네트워킹 활동과 조직성과(목표달성도)의 영향력 분석은 업무협조와 관계주도 등이 순으로 유의미하고, 변수의 상대적 중요성은 업무협조, 관계주도, 네트워킹 신뢰 순으로 분석되었다. 조직성과(성과향상도)의 영향력 분석은 업무협조와 관계주도 등이 순으로 유의미하고, 변수의 상대적 중요성은 업무협조, 관계주도, 정보제공 순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디마텔 기법의 분석은 내부 영향요인의 중심도(D+R)는 업무협조가 가장 높고, 문제해결, 네트워크 강도, 정보제공 순의 핵심 요인으로 단방향의 개별 요인은 정보제공과 네트워킹 강도 요인분석결과로 나타났다. 외부 영향요인의 중심도(D+R)는 업무협조, 정보제공, 문제해결, 네트워킹 신뢰, 네트워킹 강도 순의 핵심 요인으로 단방향의 개별 요인은 평균이상의 영향관계가 없지만 영향을 주는 상호관계는 관계주도 요인의 매우 강한 영향관계 분석결과로 나타났다. 즉 조직의 목표달성도를 이루기 위해서는 정책변경에 도움을 주는 업무협조 정도와 외부 직원과의 관계형성을 위하여 주도적 행위가 전제될 때 가능하다. 유관기관은 지적관련사업 및 공간정보사업 등 사업과 관련하여 협력적 네트워킹 관계형성을 갖고 있는 기관이다. 정부, 타 기관 파견운영 등 협업으로 상호 관계개선이 이루어지고, 비정규직이 정규직 전환은 조직구성원 사람들 간의 믿음을 줌으로서 부서 간의 신뢰를 높여 조직성과가 향상되었다. 개인별 고충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노사가 함께하는 고충처리위원회를 운영하여 고충처리만족도가 높아지고 부서 간 협력적 네트워킹이 이루어져 조직성과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공간정보산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신 동력산업과 일자리 창출 등으로 유관기관이 관심이 높아져 업무영역이 확대되었다. 유관기관과의 협력적 네트워킹 활동으로 높은 강도가 형성되고 관계주도적인 행위가 전제될 때 조직성과가 향상되었다. 언론매체 등을 이용하여 공사의 땅과 사람들, 공사 보, 연구원의 시사 메거진 등 지속적으로 전국 유관기관에 정보가 제공됨으로서 외부기관 간 협력적 소통으로 기관이미지 향상과 조직성과 달성에 영향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CEO는 구성원들이 윤리적으로 행동하도록 조직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경영자가 솔선수범하여 구성원의 윤리적 행동을 지원하는 등 리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 논문은 지역에서도 네트워킹 활동이 활발히 움직일 수 있도록 네트워킹 활동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정립, 향후 지적 및 공간정보 정책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업무개발 및 정보제공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네트워킹 활동이 조직성과 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앞으로 사업관련 외에 홍보, 교육, 연구, 등 네트워킹 활동영역을 체계적으로 확대 할 필요하다. 특히 기관과 개인의 역량을 위해서는 외부기관교육을 통한 네트워킹 범위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 조직과 이해관계자간의 파트너 쉽 형성과 정책네트워크의 형성으로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는 방향성과 다양한 유관기관과의 외부 네트워킹 활동을 통해 준정부기관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제시하고 조직성과를 창출 하는데 의미 있는 연구라 하겠다.

      • ATM 네트워크에서 backpressure 제어 방법에 관한 연구

        김영욱 조선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Performance modelling of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ing is an active research area in high-speed communication. This paper presents a Markav modelling framework for analyzing a shared buffer ATM MIN(Multistage Interconnection Network) under a variety of buffer management and backpressure schemes proposed by other researchers and by the authors. A standard iterative computation approach is used to solve the steady-state probabilities . The analytical results are shown together who the simulation results, comfirming the usefulness of each backpressure scheme. Consequently, the results show that cell loss can be reduced when several backpressure schemes are combined together with pushout, as compared to a single comventional backpressuer scheme.

      •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김영욱 상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따른 만족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자원봉사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즉, 자원봉사의 만족 요인(자원봉사 참여형태, 자원봉사교육, 자원봉사활동 관련 요인)에 따른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자원봉사 참여형태에 따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다. 연구문제2. 자원봉사교육 여부 및 교육 시간에 따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다. 연구문제3. 자원봉사활동 내용요인(업무인식도, 기대합치도, 업무의 적절성)에 따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다. 연구문제4. 자원봉사활동에서의 대인관계요인(담당 직원과의 관계,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 활동대상자와의 관계)에 따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강원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34부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2를 이용하여 단순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 등을 산출하고,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참여형태 중 동아리 형태의 참여가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아리 형태의 참여가 개별적 형태의 참여 보다 봉사활동 참여에 자발적이고, 또한 봉사활동이 체계적, 계획적,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자원봉사교육 유무와 시간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재의 자원봉사교육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기여하지 못하는 것은 자원봉사교육 방법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원봉사교육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자원봉사교육 방법과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이 서로 연결되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자원봉사활동 관련 내용요인에서 업무인식도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원봉사활동에 배치되기 전 자원봉사자들은 자신들의 해야 할 일에 대한 인식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으로 사전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전 교육은 실제로 자원봉사자들이 수행해야 할 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자원봉사활동 관련 대인관계요인에서 활동 대상자와의 관계, 동료 자원봉사자와의 관계, 담당 직원과의 관계가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은 자원봉사활동에서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청소년 자원봉사의 중요한 대상자인 클라이언트, 동료, 담당 직원과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대인관계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동아리 단위의 자원봉사활동을 정착시키고, 많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 자원봉사동아리에 맞는 다양한 활동거리 및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아직까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봉사활동은 일손 돕기 활동이나 위문활동 등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청소년들이 동아리의 봉사활동에 열심히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중심의 봉사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반드시 자원봉사 동아리만 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예술이나 환경 등의 특색을 띤 동아리가 그들 동아리의 취미나 특기를 살려 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많은 청소년 동아리들이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캠프와 같은 다른 단체수련활동과 연계된 프로그램도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청소년자원봉사자들에게는 동아리를 통한 참여형태가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에게 동아리활동의 긍정적인 영향을 홍보하여 보다 많은 청소년들이 동아리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학교를 비롯한 유관기관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자원봉사활동과 관련하여 청소년은 업무에 대한 인식과, 동료, 클라이언트, 담당 직원과의 관계를 통하여 자원봉사활동의 만족을 느끼고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이 업무에 대해 인식하기 위하여 사전에 자원봉사활동의 구체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자원봉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대인관계가 미치는 영향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바람직한 대인관계를 위한 대인관계기술 교육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국 자원봉사 교육이 만족도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자원봉사활동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사전교육이 필요하고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으로 연결되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대인관계 기술능력 향상을 위한 교양이나 매너학과 같은 프로그램과 병행될 수 있도록 하여 청소년 자원봉사자들의 만족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표면 제어를 통한 액정 마이크로 렌즈의 스위칭 속도 향상에 관한 연구

        김영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액정을 스위칭 매개로 사용한 광 소자의 가장 대표적인 소자는 액정 렌즈이다. 액정 렌즈의 대부분은 마이크로 사이즈의 여러 가지 형태로 연구 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연구되는 형태의 액정 렌즈는 회절형(Diffractive type)과 굴절형(Refractive type), 그리고 최근에 발표된 편광 제어 형(Polarization control type)이 있다. 대부분의 diffractive 액정 렌즈는 프레넬 렌즈 형태로 연구되는데, 멀티 도메인을 구성하는 기술 혹은 photo-lithography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다. 상대적으로 refractive 액정 렌즈는 공정이 간단하여 많이 연구되고 있지만 액정의 스위칭 동작이 평면이 아닌 굴곡 면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수백ms 단위의 스위칭 속도를 갖고 있다. 이것은 빠른 스위칭을 요구하는 광학 응용 분야에서는 절대적으로 불리하게 작용한다. 또한, 균일한 굴절률의 분포를 위해서 배향공정을 통해 한 방향으로 배열하기 때문에 편광 의존성이 존재하여 초점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Polarization 제어 형 액정 렌즈는 입사하는 편광 성분을 제어하여 초점의 안정성이 있지만 구조적으로 두 부분을 형성하기 때문에 복잡한 공정과정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광학 전반적인 분야에서 사용될 액정 렌즈가 되기 위해서는 공정이 간단해야 하며, 초점 특성을 저하 시키지 않는 편광 의존성이 없어야 하며, 스위칭 속도는 빨라야 한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UV 조사를 통해 2차적인 표면 제어를 하여 응답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액정에 RM (Reactive Mesogen)을 소량 섞어 사용하는 PS-PVA (Polymer-Stabilization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수직 배향막과 RM을 소량을 섞어 사용하는 SC-PVA (Surface-Controlled Patterned Vertical Alignment)이 대표적이다. Refractive 액정 렌즈 중에서도 초기 수직으로 배향된 액정 렌즈는 특히 스위칭 속도가 느리다. 배향 공정이 없기 때문에 전압에 의해 재 정렬되는 방향은 결정되어 있지 않다.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굴곡에 의해 존재하는 액정의 선 경사각로 인해 먼저 splay 변형이 형성되어 재 정렬된다. 하지만 이는 액정의 변형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twist 변형되어 spiral 구조로 변화하는 2-step 동작을 하므로 굉장히 느린 스위칭 속도를 갖는다. 또한 spiral 구조를 형성하는 방향성은 스위칭 과정에서 매번 랜덤하게 형성되어 안정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된 표면 제어 방식을 적용할 경우 굴곡에서 액정 분자의 움직임을 1-step으로 제어 가능하고 최종 spiral구조의 방향성이 고정 되므로 안정적이고 빠른 스위칭을 할 수 있다. 액정 분자가 곡면에서 변형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방향, 즉 최종 spiral 구조의 방향성을 기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SC-PVA의 방법과 동일하게 전기장을 인가한 상황에서 UV를 조사하여 액정 분자의 재 정렬 방향을 기억했다. 기억된 재 정렬 방향 때문에 액정 분자의 스위칭 동작은 1-step으로 이뤄짐을 확인했고, 재 정렬되는 방향이 모든 방향에서 존재하게 되므로 편광 의존성은 없는 것으로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따라서 빠르고 안정된 스위칭을 하면서, 편광 의존성이 없는 액정 렌즈는 표면 제어를 통해서 쉽게 구현될 수 있다.

      • 우리나라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환경 오염 분야 내용 분석 연구

        김영욱 단국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고도 성장 위주의 산업 발달에 치중하여 많은 경제적인 발전을 이루면서 세계속에서의 한국의 위치를 확고히 했으나 환경 오염 문제에 대해 충분한 대비를 하지 못하여 물, 공기 토양등 심각한 오염에 직면해 있는 실정이다 물, 공기, 토양등의 환경 오염은 단순히 그 자체의 오염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며 일단 발생하면 원상 회복이 매우 어려우며 많은 시간과 재원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환경 문제는 대책도 중요하겠지만 예방의 차원으로까지 끝어올려야 한다. 환경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으며 현재 우리가 처해있는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이해하는데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환경 오염의 실태가 어느정도인지 알려주며 그 원인과 결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환경 문제는 다학문적인 접근 방법이 꼭 필요하며 그 위에 국민 개개인의 도덕심이 우선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의 교육의 대부분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므로 학교 교육의 내용 중 본인은 중·고둥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와있는 환경 오염 교육 내용을 연구분석하여 현재의 환경 오염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보다더 나은 방향으로의 교육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현존하는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내용중 환경 오염의 분석은 다음과 같다. 중학교 과정에서는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에서만 환경 오염 분야를 다루고 있고 할애한 면수는 10~15쪽이며 그림 및 사진은 5~l5개이고 실험 관찰은 1~3개 정도이다. 내용면으로는 쾌적한 환경을 정의하고 환경 오염을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생물 농축에 대한 개념도 설명하고 있다. 환경 오염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면수도 적으며 실생활과의 연계가 부족하다. 고등학교 과학 I 교과서에서는 면수가 약 8~7쪽이며 그림 및 사진은 1~2개이며 실험 관찰은 0~1개이며 실험 관찰이 없는 교과서가 2종이나 되었다. 내용면으로는 중학교 교과서의 환경 오염 즉, 수질, 토양, 대기 이외에 소음, 진동, 방사능의 기타 오염을 소개하고 있으며 환경 오염의 대책도 다루고 있기는 하나 내용이나 면수는 부족하다. 고등학교 지학 교과서에서는 내용상으로는 과학I 교과서와 동일하며 면수는 5~18쪽이고 그림 및 사진은 0~9개, 실험 관찰은 0~1개이며 그림 및 사진 실험 관찰이 없는 교과서가 3종이나 되었다. 내용면으로는 환경 오염을 수질, 대기, 토양 오염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며 2종류의 교과서에서는 해양 오염을 수질 오염과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다.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에서는 환경 오염이라는 독립된 단원은 없으나 콜로이드 용액의 설명시에 스모그 현상을 예로 들고 있으며 산과 염기 반응에서 참고로(읽을거리) 산성비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반응속도 단원에서 오존(O3)의 분해 메케니즘과 오존층의 파괴가 참고로 실려있다.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에는 환경 오염에 관한 독립된 단원은 없다. 중·고등학교 교과서 모두 환경 오염의 중대성에 비해 적은양을 다루고 있으며 실생활과의 연계가 부족하며 큰 교육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환경 교육은 과학교과서의 내용만으로는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학교교육에서도 사회와, 도덕, 과학 등 모든 학문과의 간 학문적인 접근(interdisciplinary method)이 필요하며 환경 교육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기재의 개발 및 이를 실행할수 있는 제도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할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전 교과의 통합적인 환경 교육과 아울러 독립된 환경교과의 시행도 필요하다고 본다. The meaning of environment includes everything surrounded us.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animal, plant, air, soil, sound of neighborhood, and music, etc. are environment where we live. The purpose of teaching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students is to aware there ar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o search and solve complicated environmental problems surrended us. The environmental problems solving is better dealt in the school through educational approach. The study was peformed to elucidate the course and level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analyzing textbook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he results were followings. 1. environmental pollution was dealt with science textbook in middle school grade 3. 2. In the texbook of high school science 1, there were 8-9pages and 1-2 pictures on environment. 3. There was no independent se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chemistry textbook of high school. 4. There was no independent se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biology textbook of high school.

      • 수행평가 과정에서의 불공정 요인 및 평정신뢰도 저해 요인에 관한 인식 연구

        김영욱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fair and obstructive factors of assessment reliability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rocess and to find out the improvement for them. For these purposes, the next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unfair factors are there in the current carried performance assessment ? Second, what is the obstructive factors of assessment reliability are there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rocess? Third, what is the improvement to minimize the unfair factors and to enhance the assessment reliability for current performance assessment? To analyze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s which were produced with an academic advisor's assistance, on the basis of the precedent studies and the theoretical studies.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100 middle school teachers and 300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llanam province(Mokpo, Naju, Boseong, Sinan, Jangseong). Of them, 99 teachers' & 297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analysis. The statistics package used to analyze the datum of this study was SPSSWIN. To consider the relation of the variations, chi-square test and parity rate(P)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unfair factors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rocess. The factors are the problems of the methods used in performance assessment and student's educational circumstance has also more or less influence on the result of performanc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most popular methods us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are homework assessment and group assessment. But both of them are considered as unfair ones. Because the former can be carried with other's help and the assessor can't sure the real subject of the homework. In the case of later, the students of lower marks think it is advantageous to join the students of higher marks than the lower ones as a whole. The oral test and the discussion of pros and cons are also considered as unfair ones. Because they are more advantageous to the extroversive students than introspective ones. And the teachers who teach the same subject are different by each class and the student who has excellent computer skills has an advantage over the others in evaluation are also regarded as unfair factors. Second, there are obstructive factors of assessment reliability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 students' basic knowledge and necess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are low, while the teachers' ones are high. And the general announcements of performance assessment are not sufficiently known to the students, so this fact has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About 30% of the students’ objection to the result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giving the same score to different degree of finished homework seem to affect it. It seems to affect on assessment reliability that the high frequency of difficulty case in assessment to teachers and unfair measuring methods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assessment of homework and group assessment)are often used. Third, the improved assessing methods to minimize the unfair factors and enhance the assessment reliability are needed in the system and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students and teachers think that the right direction toward evaluation is continuous evaluation. Besides these, it is shown that special and sufficient training course is most needed as aids for assessment performance and it is analyzed that the above aids can be helpful to minimize the obstructive reliability of assessment reliability and the ambiguity of assessment result.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exchanged test with other teachers in evaluation is sure needed in the process of improved performance assessment.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행평가 과정에서의 불공정 요인 및 평정 신뢰도 저해 요인에 관한 인식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위해 다음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행평가 과정에는 어떤 불공정 요인들이 있는가? 둘째, 수행평가과정에 나타난 평정신뢰도 저해 요인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셋째, 현행 수행평가에 대한 불공정 요인 최소화 및 평정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지도교수의 도움을 받아 제작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전라남도 소재 중학교 (목포, 나주, 보성, 신안, 장성)100명의 교사와 30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에서, 교사 99, 학생 297 설문지가 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 package는 SPSSWIN이며,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Crosstabulation Analysis)을 통한 카이자승 검증(Chi-square test)과 유의도(P)를 구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 과정에는 불공정 요인이 있다. 이 요인들은 수행평가에 사용되고 있는 방법상의 문제이며, 학생의 교육적 환경 역시 수행평가 결과에 또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행평가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과제물 평가와 모둠 평가 방식은 불공정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왜냐하면 전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진행될 수 있고 평가자가 과제물의 주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후자의 경우, 성적이 낮은 학생들은 조 편성 시에 높은 성적의 학생들과 함께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구술시험이나 찬반토론식 평가의 경우 역시 공정하지 못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교과의 담당교사가 달라 상대적으로 불공정한 평정을 받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제물 평가 시 컴퓨터 활용 능력이 우수한 학생이 평가에 더 유리한 입장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행평가 과정에는 평정 신뢰도 저해 요인이 있다. 수행평가에 대한 근본 취지나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는 높은 반면 학생들은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도가 낮은 편이었으며 수행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공지가 낮아 평정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평가 결과에 대한 30%의 이의 신청과 차별화된 과제물에 대해 동일한 점수를 부여하는 점도 평정 신뢰도를 저해 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경우 평가 척도표 사용 시 평가의 곤란 상황 빈도와 수행평가 방법 상 신뢰도가 낮은 방법인 과제물 평가나 조별 평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도 수행평가의 평정 신뢰도를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행평가 제도 및 과정에 대한 불공정 요인 최소화 및 평정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학생들과 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은 과정 평가로 나타났으며, 수행평가의 취지와 목적 그리고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수행 평가를 위한 지원책으로 전문적이고 충분한 연수 활동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행평가 척도표 사용 시 나타나고 있는 곤란 상황과 평가 결과의 모호성에 대한 평정 신뢰도 저해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평가 시 교체 검증이 수행평가 개선 방안으로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직업전문학교 훈련교사의 인식조사

        김영욱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직업전문학교 훈련 교·강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직업전문학교 훈련 교·강사들의 이해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이 직업훈련교육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직업전문학교 훈련 교·강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에 따른 교수역량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직업전문학교 훈련 교·강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직업전문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훈련 교·강사 103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빈도분석, 두 독립집단 t-test, 대응집단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 교·강사들의 교육목표에 대한 이해수준은 배경 변인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NCS의 경험이 없는 경우가 NCS의 경험이 있는 경우보다 NCS에서 제시하는 이해수준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NCS의 체계성, 실무적합성, 교육시간의 적절성, NCS구성요소에 대한 이해수준은 배경 변인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NCS가 직업교육에 미치는 영향력으로 직업훈련, 수업방식, 평가방식, 과정개발, 과정 운영에는 큰 차이는 없었다. 교육내용에 대한 영향력은 성별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평가방식에 대한 영향력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셋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에 따른 영역별 향후 교수역량의 중요도 순위는 직무분석능력, 교재개발능력, 이론평가능력, 산업현장요구분석능력이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훈련 교·강사들의 교수역량수준은 교육과정 설계능력과 이론지도능력은 동료교사가 본인보다 높게 나타났고, 그 중 동료 교·강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교육과정 설계능력을 높게 측정하였다. 반면 산업체 근무경력이 있는 경우 산업체 근무경력이 없는 동료 교·강사들에 대한 실무지도능력과 직무분석을 낮게 측정하였다.

      •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김영욱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과정에 필수화 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교수 자료인 스마트 기기 소프트웨어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과 컴퓨팅 사고력, 다양한 스마트 기기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학습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소프트웨어 교육 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학생과 교사 그룹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향상시켜야할 컴퓨팅 사고력의 기본 원리를 분석하였다.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는 6가지로 계열화논리, 비례논리, 확률논리, 변인통제논리, 조합논리, 명제논리이다. 각 요소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용 앱을 개발하였다. 둘째, 스마트 기기의 기본 원리를 분석하고 학생 동기에 적용하여 앱에 적용할 수 있는 전략들을 도출하였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학습전략이 앱에 포함될 수 있도록 앱 계발 모형을 구안하였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학습하여야 할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교육용 앱을 개발하였다. 안드로이드 OS에서 작동되며 피지컬 컴퓨팅이 적용되어 앱과 아두이노 로봇카가 연동되어 학습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자극하는 자율주행모드,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 요소를 학습할 수 있는 20단계의 기본 문제해결 단계와 자신이 직접 문제 상황을 만들고 해결할 수 있는 도전 모드를 개발하였다. 넷째, 본 연구로 개발된 소프트웨어 교육용 앱에 대한 학생과 현장지도 교사의 평가를 통해 내용, 학습동기, 화면구성, 상호작용, 무결성 영역별로 그 질적 우수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개발된 교육용 앱을 학생들에게 투입하여 컴퓨팅 사고력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컴퓨팅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계열화 논리, 비례 논리, 조합 논리에서는 효과적이었음이 검증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소트프웨어 교육용 앱은 초등학교 5, 6학년 군을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교수 자료로서 활용한다면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