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와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이독성 측정 분석 연구

        김영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dability of the reading materials in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adability was measured from the most popular three kinds of 3rd year middle school and 1st year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by using the three formulas of New Dale-Chall Formula, Flesch Reading Ease Formula, and Fry Readability Graph, which are considered valid and rel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readability varied across chapters both i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xtbooks. Contrary to the assumption that there would be a sudden jump in readability measures from 3rd year middle school textbooks to 1st year high school textbooks, no jump in readability was observed. Instead, the overall difference of readability between the two grades was 1.0 point from the New Dale-Chall measure, which indicates a normal but full gap between any school year in readability measures. Second, the levels of readability were different among textbooks within each school grade. Among 3rd year middle school textbooks, ‘9A’ textbook manifested the easiest level of readability, while ‘9C’ textbook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eadability. Among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10B’ was found to be the most difficult one. Third, in terms of the progression of readability across chapters within each textbook,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almost no reflection of grading difficulties by the textbook writers. In other words, reading passages did not correspond to the order of increasing difficul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in Korea have some problems in terms of arranging readability so that easier chapters to read can precede more difficult ones. In our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textbooks are us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learning materials, students' reading of textbooks may be a challenge since readability levels are random instead of being organized as a step-by-step progression in difficulties. In addition,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selecting textbooks for their students may do diservice to their own students by being forced to choose textbooks of which levels are not consistent. Accordingly, when textbook writers publish new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y should take into account degrees of readability across chapters in each school grade and across school grade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formulas for reading readability which is suitable for our Korean learner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 초등학교 동일학년 연속담임제의 도입 방안 연구 : 학년배정과 교무분장의 연계 방식을 중심으로

        김영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o introduce the consecutive homeroom-teacher system for the same year in association with grade assignment and school affairs division which could help teachers enhance their expertise, improv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provide students with high-quality educational service,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system and analyze precedent factors in introducing the system into the educational field.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actual state of the current grade and homeroom teacher assignment system and what problems does the system have? Second, what do teachers think of introducing the consecutive homeroom-teacher system for the same grade in association with grade assignment and school affairs division? Third, what are precedent factors to introduce the consecutive homeroom-teacher system for the same grade in association with grade assignment and school affairs division?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ost schools applied the demand-based homeroom-teacher selection system in assigning homeroom teachers in the greatest consideration of teachers' age and teaching career. For this reason, the grade in charge changed each year, causing a lot of problems; what is necessary therefore is a homeroom-teacher assignment system to solve those problems. Second, teachers somewhat strongly agreed to introduce the consecutive homeroom-teacher system for the same grade. As they suggest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help teachers to take the same charge for the first time in terms of duty performance, it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homeroom-teacher assignment system to help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rove their expertise. Third, as for selection of unwelcome grades and duties to enhance expertise, most teachers chose to select unwelcome grades and duties if grades and duties remain balanced. That is, it can be said that a condition precedent is to maintain balance between grades and duties. Most schools currently apply the demand-based homeroom-teacher selection system as a method of assigning homeroom teachers. However, polarization of preferred and unwelcome grades may even affect teachers' morale, which can directly be connected with educational effectivenes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make a scheme of maintaining balance between grades and duties by associating preferred grades with unwelcome duties, and unwelcome grades with preferred duties. It would be desirable to compromise the current demand-based homeroom-teacher selection system and the consecutive homeroom-teacher system for the same grade. It is necessary to partly revise homeroom-teacher assignment principles to include the consecutive homeroom-teacher system for the same grade before flexible operation can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chool circumstances.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며,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에 학년배정과 교무분장을 연계한 동일학년 연속담임제도의 도입을 위해, 그것에 관한 교원들의 인식을 진단해보고, 그 제도를 교육 현장에 도입하기 위하여 선행되어야할 요건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현행 학년, 학급 담임 배정 방식의 실태와 그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학년배정과 교무분장을 연계한 동일학년 연속담임제도 도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년배정과 교무분장을 연계한 동일학년 연속담임제도 도입을 위한 선행조건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연구 대상은 강원도 영서지역(춘천·홍천·양구·화천·인제)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450명을 표집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 410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문제별로 교차분석, 분산분석,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인 유의도 검증은 .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담임배정 시 희망선임식 담임제를 적용하고 있으며, 학급 담임을 배정할 때 학년의 특성보다는 교사의 연령과 교육경력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행 담임배정제도로 인해 매년 담임학년이 바뀌게 되어 학습자료 제작 시간 소모 및 예전 학습 자료의 재활용 불가, 예전 학습 자료 보관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많다. 때문에 이러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급담임 배정방식이 필요하다. 둘째, 동일학년 연속담임제도 도입에 따른 교사들의 수용정도는 높은 편이다. 동일학년 연속담임제도를 도입할 경우 학생지도 면에 있어, 교수?학습의 질이 향상되며, 교수?학습 자료 제작 및 보수와 재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 업무추진 면에서는 처음으로 나와 같은 학년을 담임하거나 같은 업무를 맡는 교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과, 학년배정에 연계되어 오는 업무추진 경험이 누적되어 업무 추진이 수월해질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이처럼 학생지도 뿐만 아니라 업무추진 면에 있어서도 동일학년 연속담임제도는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담임배정 방법으로 높은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피 학년 및 기피 업무의 선택 의견에서는 학년과 업무와의 형평성이 유지되면 기피학년과 기피업무를 선택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학년배정과 교무분장을 연계한 동일학년 연속담임제의 도입을 찬성하는 의견이 71.0%로 나타났고, 실시 기간은 2년이 적정하다고 응답자의 70.5%가 응답하였다. 이와 같이 학년과 업무간의 형평성을 유지시켜준다면,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켜줄 수 있는 동일학년 연속담임제의 실현가능성을 보여준다. 현행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담임배정방법으로 희망선임식 담임제를 적용한다. 그런데 선호학년과 기피학년의 양극화는 교사들의 사기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교육적 효과와도 직결된다. 그러므로 선호학년과 기피업무를 연계시켜 주고, 기피업무는 선호업무를 연계시켜 주어 학년과 업무간의 형평성을 도모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현재 실시되는 희망선임식 담임제도와 동일학년 연속담임제도를 절충하여 시행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동일학년 연속담임제를 포함하도록 담임배정원칙 일부를 개정한 후에 학교실정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학교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교사의 의식 조사

        김영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요람에서 무덤까지 가는 일생의 여정에서 학습을 하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가 없다. 날로 새로운 지식이 창출되고 기술이 발전되면서 현대인들의 생활 속에 깊숙이 파고들고 있어 학습을 하지 않으면 사회생활에 적응하며 새로운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없게 만드는 것이다. 학교는 이러한 현대인의 학습요구에 부합하고, 접근 용이하며 인적․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있는 장점을 살려 평생학습 사회로의 실현에 앞장서야 한다. 학교 평생교육이 교육현장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잠재적 평생교육 교․ 강사인 교사들이 학교 평생교육에 대해 어떤 기대와 요구를 갖고 있으며,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어떤 의식을 갖고 있는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 2006학년도 경상북도 교육청 지정 평생교육 중심학교 28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35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부하여 그 가운데 317부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평생교육의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교육내용을 가장 우선적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의식하고, 학교 평생교육의 중요영역으로는 건강, 보건, 스포츠 교육 영역을 가장 선호 하였으며, 운영경비 확보에 있어서는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지원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학교 평생교육의 강사로는 평생교육 관련 전문가와 외부 초청강사에 높은 반응을 보였고, 실시 과정과 기간은 2~3개월 과정, 주당 적정 회수는 주 2회, 1회 교육시간은 2시간 정도를, 운영 시간대는 평일 오후시간을 선호 하였다. 둘째, 교사의 입장에서 본 학교 평생교육의 문제점은 교육비용의 불충분, 업무과중의 부담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의 미흡을 들었다. 셋째,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내용, 교육시설, 우수한 강사진을 중요 유인책으로 인식 하였으며 평가는 학습자 중심 평가를, 학교 평생교육을 전개하는 데 있어 좀 더 보완해야 할 사항으로는 󰡐희망 프로그램 사전 조사󰡑를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지역사회 평생학습 실현을 위한 학교의 역할로 학부모와 지역주민을 위한 평생교육 환경 조성을 들고 있으며, 수강료는 지역주민이므로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학교 평생교육기관 간 연계체제의 중심은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가 가장 적합하다고 의식 하였다. 학교를 평생학습장으로 활용한다면 바람직한 운영의 주체는 학교장,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대표 순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살펴볼 때,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생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역할 증대에 관심과 기대는 높으나 학교에 대한 적극적인 행. 재정적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또한 학교 평생교육 관련 전문적 인력과 인프라 구축이 빈약하다. 다른 평생교육 기관과 같이 각종 편의 시설을 제공하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과 좋은 아이디어를 얻기 위하여 평생교육연구대회나 프로그램 공모제 또는 평생교육 발표회 등을 개최하여 우수한 연구물이나 사례에 대한 표창과 승진상의 가산점을 부여한다면 교사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우수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보급으로 평생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교가 지역평생교육의 장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와 교육청 그리고 지역자치단체 관리 협력 체제가 시급히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고령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자기개발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평생학습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현재 그와 관련된 기초 통계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인데 다행히 교육인적자원부가 평생교육정책 역량 강화를 위한 첫 단계로 평생교육현황에 대한 체계적 파악을 위하여 국가적인 평생교육통계 시범조사를 2006년 11월 6일부터 실시한다고 하니 평생교육시설의 운영 실태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파악이 이루어지면 평생교육시설 지원, 교육 수요 분석 등 정책 수립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그리하여 평생학습을 원하는 주민에게는 학교 시설을 이용한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어 학교 평생교육 활성화에도 촉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학습 몰입 이론을 적용한 게임작성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김영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게임 작성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의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다양한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지만,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은 개념이나 기초 문법의 주입, 문제 해결과정의 반복 연습 형태로 진행되고 있어 충분한 교육적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몰입을 위한 게임 프로젝트를 제작하는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업 단계는 프로그래밍의 이해, 게임 프로젝트 설계, 게임 프로젝트 프로그래밍, 발표 및 평가의 4단계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수업모형을 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게임제작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교사가 주도하는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시하였다. 적용 결과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전체적인 학습 몰입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 不眞正不作爲犯에 있어서의 同置問題에 관한 硏究

        김영옥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7631

        同置問題는 不眞正不作爲犯과 作爲犯은 그 存在構造를 달리함에도 불구하고 同一犯罪構成要件下에 同等한 것으로 할 수 있는가 하는 問題이다. 本 硏究에서는 不眞正不作爲犯의 同置問題를 論함에 있어서, 첫째로, 不眞正不作爲犯理論의 發展過程을 考察하여 同置問題가 重要한 問題로 등장하게 된 背景을 分明히 한다. 둘째로, 同置問題의 解決의 基礎를 이루는 不眞正不作爲犯의 構造 및 그의 法規範과의 관련성을 分明히 한다. 셋째로, 同置問題의 解決에 관한 諸學說을 批判하고 同價値性 判斷은 作爲義務와는 別個의 成立要件임을 確實히 한다. 넷째로, 同置問題의 基準으로서 構成要件的 同價値性이 存在하는 것을 分明히 하고 具體的인 解決基準으로서 ① 特殊한 行爲事情 ② 法規上의 行爲要素 ③ 不作爲者의 原因設定을 提示한다. 마지막으로 不眞正不作爲犯의 處罰이 罪刑法定主義에 違反하는가의 如否를 앞의 同置問題의 解決基準에 비추어 解明한다. Obwohl Gleichstellungsproblem die Struktur des Wesens von dem unechten Unterlassungsdelikt von dieselben des Begehungsdeliktes unterscheidet, est es das problem, ob es unter a¨hnlichem Verbrechen Tatbestand gleich ist oder nicht. Begehung versucht den Strom der Kausalita¨t und kann ihn gegenu¨ber der Entstehung des Resultates regiern und arrangieren. Aber Unterlassung benutzt nur der strom der Kausalita¨t und auf daß unechtes Unterlassungs - und Begehungsdelikt die Gleichstellung unter Verbrechen Tatbestand hat, muß der Riß unter der Struktur des Wesens des dieses und jenes ersetzt werden, und muß beide wertig gleichcn. Bis die Lehre des unechten Unterlassungsdeliktes an vergegenwartige Garantenlehre von der Kausallehre gelingt, urteilt sie Gleichwertigkeit des unechtes Unterlassungs - und Begehungsdeliktes gema¨ß der Handlung - oder Garantenpflicht. Dabei ersetzt Handlung - oder Garantenpflicht den Riß unter der Struktur des Wesens des unechten Unterlassungsdeliktes, und sie muß daran gedacht werden, vermittelnd zu rollen. Im Gegenteil, behaupte die neuerliche Partielle Ansicht die Bestrafung des unechten Unterlassungsdeliktes vergehe sich gegen nulla poena sine lege, und sie verweigert, Gleichwertigkeit gema¨ß der Handlungs - oder Garantenpflicht zu tun. In dieser Arbeit wird Gleichstellungsproblem des unechten Unterlassungsdeliktes diskutiert; Erstens wird Entwicklungs prozeß des unechten Unterlassungsdeliktes betrachtet, und ich mache dem Hintergrund deutlich, den Gleichstellungsproblem auftretet wird. Zweitens mache ich das Verha¨ltnis der Struktur des unechten Unterlassungsdeliktes und deren Rechtsnorm, das die Losung des Gleichstellungsproblem begru¨ndet. Drittens kritisiere ich mehere Lehre u¨ber die Lo¨sung des Gleichstellungsproblems, udd mache Bestandteil sicher, der Gleichwertigkeit und Handlungspflicht anders ist. Viertens erkenne ich das Sein der tatbestandsma¨ßigen Gleichwertigkeit als den Maßstab des Gleichstellungsproblems an, und zeige vor besondere Tatumsta¨nde, gesetzliche Handlungsmerkmale und die Errichtung der Ursache des Unterlassungers, als konkreten Lo¨sungsmaßstab. Im Schluß erla¨utere ich auf Grund von fru¨heren Lo¨sungsweisen des Glelchstellungsproblems, ob die Bestrafung des unechten Unterlassungsdeliktes gegen nulla poena sine lege sich vergeht oder nicht.

      • 강릉지역 시민정보화 교육 운영실태와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옥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기초과정 중심의 시민정보화교육을 양적 확산에서 질적 확산으로 한 단계 발전시켜 평생교육의 한 주축이 되도록 하고자, 강릉지역을 배경으로 현재 각 기관에서 독립적으로 운영중인 시민정보화교육을 연계하여 통합 운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현재 시민정보화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들을 조사하여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시민들을 대상으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여 공통적인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관들이 독립적으로 운영중인 현재의 교육과정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의 위계 있는 단계별 운영, 강릉시 내의 전문인력 확보, 표준교재의 의무적 사용, 그리고 교육 후 수료증의 활용을 통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통합운영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기관간의 원활한 교류를 위해 온라인 상에 ‘시민정보화교육센터’의 운영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information education for citizens which is concentrated on the basic courses and to place it in the center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from its quantitative expansion to its qualitative expansion. This thesis, therefore, examines the methods of the integrative oper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for citizens linked with information education for citizens which is being implemented independently by each institution at Gangneung city. For this, at first this thesis examines the local institutions which are operating information education for citizens, grasps its actual condition, and collects public opinion of its improvement from the Gangneung citizens. Based on these data, this thesis finds and analyses the common problems, suggests the alternative to them, and explores the methods to integrate and manage the current curricula which have been operated by each institution separately at Gangneung city. In conclusion, the existing problems can be solved through such means as the systematic operation of the curricula by level, ensuring the professional workers within Gangneung city, compulsory using of the standard texts, and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ertificate after finishing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as a result, the integrative oper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for citizens can be achieved successfully.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e operation of 'infoiination education center for citizens' through on-line for the activ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institutions.

      • 아동학대 예방과 보호에 있어 신고의무제도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영유아부모 와 교사를 중심으로 -

        김영옥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Our country has been allowing the strict bringing-up atmosphere, the parents have right to bring up their children, they merely thought that child abuse were their issues and control of their belongings. Eventually the level of social consciousness was low and also obligatory report as well. Recently, our society emphasize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obligatory reporters by making rules of the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children who could not protect themselves against child abuse. The law of revised child welfare in 2000 made a rule of obligatory reporter and regularized the control systems by establishing the child protection center. In October, the emergency call ( #1391, #119 ) against child abuse was opened and had obligatory reporters done their role. However despite of such systems, the case of reported child abuse were far less than the case of occurred child abuse actually, or inferred. Also it is the fact that report by non-relatives are more than obligatory reporters. In this study, suggested to the background of theory of child abuse and how built of the systems of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child abuse nationally or internationally, and also reviewed the awareness of seriousness of child abuse, the awareness of obligatory report system of child abuse, the awareness of obligatory reporter of child abuse, the role of reporter to report way and punishment, report effectiveness and obstacles for utilization of obligatory report system of child abuse by whom reside in Seoul city. For this study, surveyed the questionnaire of parents and teachers ( total 200 people )who their child belong to child's ( 18 units ) and preschool in 4 ones randomly among 25 administrative divisions in Seoul city. This survey was done on March through April. This report reflected to and analyzed with only 166 questionnaires finally except 34 ones which didn't apply sincerely and return really. We can see the important facts with this survey are as following. Firstly, In occurring of child abuse, obligatory reporter by 83.1%, this percentage is a little high, will do to relative office. The reason is that they all have close relation with child and have more sensitive thoughts than others to child abuse. Secondly, The appliers know the obligatory report system by 67.9%, the frequency level come out to TV, radio, newspaper, magazine in turn. Thirdly, the applier they all know well by 64.5% that they are obligatory reporter. This rate is similar to previous questionnaire which know obligatory system. Thisshow that people who know this system consider they are obligatory reporter. Fourthly, we can see that reactive system of report of child abuse don't work well owing to absence of suitable information and training. Because half of them know the system through the mass media only, to which questionnaire that emergency call of child abuse works through 24 hour. Fifthly, To be surprised, 27.1% only have experience of attention in preventive education and seminar of child abuse, most of them have no chance to participate there, in view of absence owing to their busy job,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is very high. Instead the training and seminar of prevention of child abuse is low performance still, moreover they took part in there one time only mostly. Sixthly, we can see that the light and enormous physical touch are serious child abuse. By the way such an awareness don't lead to actual report of obligatory reporter of child abuse and don't affect to that. Finally, the capability of reported center after reporting is about 40 score which means its level show so and so, they also worry about the change or danger over them after reporting to such centers. Accordingly we can suggest some view points of policy on basis of this study as following. Firstly, it is necessary to advertise the obligatory report system. For extended general social concern of child abuse, systematic information should be followed continuously. As we can see the facts on this study, the reporters mentioned on child's welfare law don't know their obligation even by about 40%, moreover don't make a sure of seriousness of child abuse with unkind attitude of their obligation. To be coped with this, government have to try to inform to mass media group and reporters relative with abused child by official letter, and so on directl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give more chance of long term training and seminar to obligatory reporters, somehow imposing the responsibility on them, for enhancing the consciousness of obligatory reporters against child abuse. For this purpose, government should figure out the way that reporters all of them have to be obliged to periodical training attendance and retraining as plenty of time. Thirdly,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fear ( frequent call and threaten from abused child's parents ) and anxiety of obligatory reporters against obstacles of child abuse report. If we all try to increase the case of report against child abuse, we will get more positive effect and through early watching against child abuse we also will expect utilization as basic data that can have obligatory reporters made their role hardly as regarding to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child abuse 우리나라는 아동에 대한 엄격한 훈육방식이 허용 되어 왔으며, 자녀양육에 있어서 부모의 권리로 인정되어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아동학대를 단순한 가정사 또는 부모의 소유물에 대한 통제 정도로 여겼으므로,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전반의 인식이 낮았으며, 아동학대의 신고의무의 인식 또한 낮았다. 최근들어 우리사회가 학대받는 아동을 예방하고 보호함에 있어서 자신을 보호 할 수 없는 아동을 대상으로 직무상 아동과 관련이 있는 자들로 신고의무들을 규정하여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였다. 2000년 개정된 아동복지법에서는 아동학대의 신고의무자를 규정하고, 아동보호기관을 설치하도록 하여 학대아동에 대한 보호체계를 갖추었다. 그해 10월에는 아동학대 긴급신고전화(1391, 119)가 개통되어 신고의무자의 역할을 다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제도적 체계에도 불구하고 , 신고 되는 아동학대 사례수는 실제 발생하는 아동학대 사례수를 훨씬 밑도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신고의무자에 의한 신고보다는 신고의무자가 아닌 신고가 더 많다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의 이론적 배경을 그리고 국내, 외 아동학대 예방과 보호체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제시하고,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신고의무자를 대상으로 하여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아동학대의 신고의무제도에 대한 인식, 아동학대의 신고의무자에 대한 인식과 신고방법과 처벌에 관한 신고자의 역할, 아동학대 신고의무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신고효과성과 장애물, 아동학대의 신고의무자의 역할에 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양육자와 신고의무자들을 대상으로 서울시 25개 지역구 중 무작위로 4개 지역구를 선정 18곳의 어린이집, 유치원에 다니는 영유아 부모와 근무하는 교사 2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3월부터 시작하여 4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총200부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회수하지 못한 34부를 제외하고 166부를 최종적으로 통계분석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 발생시 외부기관에 신고의무자 83.1%가 신고하겠다는 답변이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영유아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어 일반인들보다 아동학대에 대해 더욱 민감한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둘째, 신고의무제도에 대한 질문에 67.9%가 알고 있으며, 대중매체인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 본인이 신고의무자임을 묻는 질문에 64.5%가 안다고 하였으며, 앞서 신고의무제도를 아느냐는 질문과 비슷하여 신고의무제에 대한 정보를 접한 사람들은 자신이 신고의무자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아동학대 신고전화가 24시간 운영 되고 있느냐는 질문에서는 절반(50%)만이 그것도 대중매체를 통해 알고 있다는 사실을 볼 때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대처방안이 적절한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아동학대 예방의 교육이나 세미나에 참석해 보았느냐는 질문에 놀랍게도 72.9%가 참석한 경험이 없었고, 그 중 대부분이 참석할 기회가 없었으며, 업무가 바빠서 참석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 아동학대의 심각성은 높으나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교육과 세미나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며, 교육에 참석한 참석자도 주로 1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아동학대의 심각성은 가벼운 체벌부터 심각한 폭행까지 아동학대로 여김을 알수 있으나, 이러한 인식이 아동학대의 신고의무자의 신고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고 후 신고기관의 처리는 40점 정도로 ‘그저 그렇다’로 나타났으며, 외부기관의 신고 후에 일어날 변화에 대한 걱정으로 신고를 꺼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신고의무제도의 홍보가 필요하다. 아동학대의 사회전반의 인식제고를 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듯이 아동복지법에 의한 신고의무자조차도 본인이 아동복지법에 의한 신고 의무가 있는지 조차 모르고 있는자가 40%에 가까웠으며, 신고의무의 불성실로 인해 학대아동의 심각성에 대해서도 알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정부에서는 대중 언론매체, 학대아동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자에게 공문을 통한 방법 등으로 지속적으로 알리기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신고의무자의 장기적인 교육 및 세미나의 기회를 자주 제공하고 어느 정도 의무성을 부과함으로 더욱 많은 신고의무자들이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 고조 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는 정부에서 신고의무자의 정기적인 교육및 재교육의 일정한 시간을 의무화 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신고의무자의 아동학대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두려움(학대아동의 부모로부터 잦은 전화, 협박)과 불안함을 해소 시켜 주어야 한다. 아동학대의 신고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노력들을 기울인다면 앞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것이며, 아동학대의 조기발견으로 인하여 아동학대 예방과 보호에 있어서 신고의무자들의 역할을 다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