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부설 유아교육기관 만2세 영아 산책활동의 경험과 의미

        김영보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63

        국문 초록 대학부설 유아교육기관 만2세 영아 산책활동의 경험과 의미 김영보 지도교수 : 서 현(조선대학교 교수)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유아교육기관 만2세 영아들의 산책활동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영아들이 하루일과에서 접하는 산책활동에서 영아들의 적응양상에 대한 변화과정은 어떠한지, 산책활동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그리고 그 경험은 영아들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산책활동에서 영아들의 적응양상에 대한 변화과정은 어떠한가? 2. 산책활동에서 영아들은 무엇을 경험하는가? 3. 산책활동에서 나타나는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G시에 위치한 C대학교 어린이집 만2세 바다반에서 이루어졌으며, 남아 4명과 여아 4명의 총 8명의 영아와 담임교사 1명이 연구에 참여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3월부터 2018년 2월까지였으며,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 연구일지, 사진촬영, 녹음자료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김영천(2010)에 의해 소개된 질적 자료 분석의 과정인 개방 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책활동에서 영아들의 적응양상에 대한 변화과정은 어떠한가? 산책활동에서 영아들의 적응양상에 대한 변화과정은 산책 준비의 어려움으로 인한 두려움 갖기, 산책을 위해 규칙이 필요함을 알아가기, 주변과 만남을 경험하며 산책에 적응하기, 산책 장소 탐험과 모험심을 통해 기대감 갖기, 산책의 즐거움 드러내고 몰입하기로 나타났다. 첫째, 산책 준비의 어려움으로 인해 두려움 갖기는 ‘옷 입어요?’, ‘ 신발 신는 게 맞는지?’, ‘짝꿍과 손잡기’, ‘신입 원아에게 시작된 초기 적응’, ‘ 늦게 등원하는 원아로 인한 시간 조율의 어려움’으로 유목화 되었다. 산책 준비의 어려움으로 인해 산책활동을 두려워하기도 하였지만 산책활동이 일상화 되면서 산책 준비를 스스로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산책을 위해 규칙이 필요함을 알아가기는 ‘줄서기’, ‘짝꿍과 손잡고 걷기’, ‘어려움 겪는 친구에게 또래의 지원’로 유목화 되었다. 산책활동을 하면서 규칙이 필요함을 느끼고 규칙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어려움을 나타내는 친구를 도와 산책활동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셋째, 주변과 만남을 경험하며 산책에 적응하기는 ‘자연에 대한 이전 경험 재구성’, ‘날씨의 변화에 따라 일정 조정하기’, ‘낯선 사람과 소통하기’, ‘구체적인 경험으로 자연 관심 갖기’로 유목화 되었다. 주변과의 만남을 통해 자연에 대한 이전 경험을 재구성하여 표현하기도 하고 날씨의 변화를 느끼고 산책활동의 계획을 조정하기도 하였으며 산책활동을 통해 낯선 사람과의 소통이 이루어졌으며 일상화된 산책활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었다. 넷째, 산책 장소 탐험과 모험심을 통해 기대감 갖기는 ‘새로운 곳에 대한 기대감과 두려움’, ‘좋아하는 장소를 방문하고 싶은 설레임’, ‘새로운 길로 이동해가고 싶은 도전의식’으로 유목화 되었다. 산책활동은 새로운 곳에 대한 기대감과 두려움을 나타내었다. 반복되는 산책활동은 좋아하는 장소를 만들어 주었고 새로운 곳을 가고자 하는 도전 의식도 만들어 주었다. 다섯째, 산책의 즐거움 드러내고 몰입하기는 ‘나만의 세계로 빠져들기’, ‘친구들과 함께 젖어들기’로 유목화 되었다. 산책활동의 즐거움은 나만이 세계로 빠져들게 하였으며 그러한 즐거움을 친구들과 함께 공유하고 즐기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영아들은 산책준비의 어려움으로 인해 두려움을 갖기도 하였지만 산책활동을 하면서 산책을 위한 규칙을 배워갔고 주변과의 만남을 경험하면서 산책활동에 적응하고 몰입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 산책활동에서 영아들은 무엇을 경험하는가? 산책활동에서 영아들의 경험에 대한 범주는 표현의 방식을 경험하기, 대상과 관계맺음 경험하기, 생명에 대한 관심과 치유를 경험하기로 나타났다. 첫째, 표현의 방식을 경험하기를 살펴보면, ‘울음으로 마음 알리기’, ‘언어적 생각 나누기’, ‘몸으로 감정 전달하기’로 유목화 되었다. 영아들은 산책활동에 대한 낯설움과 두려움을 울음으로 자신의 마음을 알리기도 하였고 자연물에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으며 주변을 탐색하며 호기심을 언어적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또한 온몸으로 감정을 전달하며 놀이하는 즐거움을 드러냈다. 둘째, 대상과 관계맺음 경험하기를 살펴보면, ‘혼잣말을 통해 자신을 알아가기’, ‘또래와 상호작용하며 우리 경험하기’, ‘교사와 상호작용하며 소통하기’로 유목화 되었다. 영아들은 산책활동 하면서 자유로움을 즐기기도 하였고 자연에 몰입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또한 영아들은 산책활동을 하면서 혼잣말을 통해 자신을 알아갔으며 또래와 상호작용을 통해 우리를 경험하기도 하였고 교사와의 상호작용하며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생명에 대한 관심과 치유를 경험하기는 ‘식물(움직임이 적은 생명)에 대한 무관심에서 관심’과, ‘동·식물(생명체)과 교감 나누기’, ‘자연 속에서 놀이 경험하기’, ‘생명(생태계)의 신비로움 이해하기’로 유목화 되었다. 영아들은 처음에는 움직임이 적은 생명에 대해 무관심 하였지만 산책을 일상화하면서 관심으로 변해갔다. 또한 동·식물에 대한 몰입과 경이로움을 바탕으로 동·식물과 교감을 나누었고 식물의 돋아남과 시듦을 알아갔으며 동·식물의 삶과 죽음에 대해 조금씩 알아갔다. 이를 통해 생명의 신비로움을 이해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산책활동에서 영아들은 표현의 방식을 경험하였고 대상과 관계맺음 경험하였으며 생명에 대한 관심과 치유를 경험하였다. 3. 산책활동에서 나타나는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산책활동에서 영아들의 경험의 의미는 자연을 만나며 정신적 풍요로움 느끼기, 생명에 대한 존중감 갖기,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소통의 방식 익히기, 또 다른 사회와 마주하기, 자연 안에서 놀이로 교감하며 자연과 하나 되기로 나타났다. 첫째, 자연을 만나며 정신적 풍요로움 느끼기는 ‘공간에서 만나는 자연’, ‘계절로 만나는 자연’으로 유목화 되었다. 영아들은 텃밭, 산책로, 공원, 연못, 등산로, 실내(화분), 놀이터와 같은 공간을 통해 자연을 만났고 비, 눈, 햇빛, 바람, 소나기, 장마, 태풍, 폭염, 한파, 함박눈과 같은 계절을 통해 자연을 만나고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생명에 대한 존중감 갖기는 ‘식물과 만나기’, ‘동물과 만나기’로 유목화 되었다. 영아들은 성장해 가는 식물과 시들어 가는 식물을 만날 수 있었으며 살아있는 동물과 움직이지 않는 동물을 만날 수 있었다. 영아들은 이러한 동물과 식물을 만나면서 생명에 대해 알아갔고 생명에 대한 존중감을 가질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소통의 방식 익히기는 ‘관계로 맺어진 사람들’,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의 관계성 형성’로 유목화 되었다. 영아들은 또래, 교사, 학부모와 같은 관계로 맺어진 사람들을 만났으며 산책활동을 하면서 처음 만나는 사람들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만남은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소통의 방식을 익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넷째, 또 다른 사회와 마주하기는 ‘다양한 사회와 만나기’, ‘작은 사회 속에서 문화를 경험하기’, ‘사회 규범 만나기’로 유목화 되었다. 산책활동은 영아들에게 대학교, 병원, 고등학교, 운동장, 공원, 편의점, 약국 등 다양한 사회와의 만남을 제공하였고 입학식, 축제, 수학여행, 시험기간, 체육대회, 졸업식 등 작은 사회 속 문화를 경험하게 해 주었다. 또한 교통규칙, 공공장소에서의 예절 등 사회 규범과 만남을 통해 또 다른 사회와 마주하게 되는 좋은 시간이 되었다. 다섯째, 자연 안에서 놀이로 교감하며 자연과 하나 되기는 ‘자연스럽게 만나기’, ‘스스로 알아가기’, ‘자연을 느끼며 하나 되기’로 유목화 되었다. 영아들은 자연 안에서 자연스럽게 자연과 만나고 스스로 알아갔으며 놀이로 교감하며 자연을 느끼며 하나 됨을 보여주었다. 산책활동에서 영아들은 자연을 만나며 정신적 풍요로움 느낄 수 있었고 생명에 대한 존중감 가졌으며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소통의 방식 배우고 익힐 수 있었다. 더불어 또 다른 사회와 만날 수 있었고 그러한 만남을 바탕으로 자연 안에서 놀이로 교감하며 자연과 하나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부설 유아교육기관 만2세 영아 산책활동은 영아들에게 표현의 방식, 대상과 관계맺음, 생명에 대한 관심과 치유를 경험하게 해주었으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연을 만나며 정신적 풍요로움을 느끼게 해주었고 생명에 대한 존중감과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소통의 방식을 배우게 해주었다. 더불어 또 다른 사회와 만나게 해주었고 자연 안에서 놀이로 교감하며 자연과 하나가 되게 해주었다. 이렇듯 영아의 산책활동은 영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영아들의 산책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ABSTRACT Experience and Meaning of Walking Activities of 2-Year-Old Infants in a University-Affili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Kim, Young Bo Academic advisor : Prof. Seo Hyun, Ed. D. Department of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walking activities of 2-year-old infants in a university-affili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adaptive aspects of infants in walking activities they encounter in their daily lives, what they experience in walking activities, and what meaning those experiences have for the infan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this end: 1. How is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adaptive aspects of infants in walking activities? 2. What do infants experience in walking activities? 3. What is the meaning of experience that appears in walking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ea Class for age two at a C University daycare center located in G City, with a total of eight infants (four male, four female) and one homeroom teacher. The period was from March 2017 to February 2018,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research log, photographing and record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open coding method, which is a proces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introduced by Kim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How is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adaptive aspects of infants in walking activities?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adaptive aspects of infants in walking activities was as follows: having fear due to difficulty in preparing for a walk, learning that rules are needed for walking, adapting to the walk by encountering their surroundings, having expectations through exploration of the walking place and an adventurous spirit, and revealing enjoyment of walking and being immersed in it. First, being afraid due to difficulty in preparing for a walk was classified into “Should I put on clothes?” “Should I wear shoes?” “holding hands with the partner,” “early adaptation that began to the new nursery child,” and “difficulty in scheduling time due to the child coming late.” The infants were afraid of walking activities due to the difficulty in preparing for the walk, but as the walking activities became routinized, they tended to get ready on their own. Second, learning that rules are needed for walking was classified into “lining up,” “walking hand in hand with the partner,” and “assistance from peers to infants with difficulties.” The infants realized the need for rules in walking activities and tried to obey them, and also enthusiastically participated in walking activities by helping out friends that show difficulties. Third, adapting to the walk by encountering their surroundings was classified into “reconstructing previous experience about nature,” “scheduling time according to weather changes,” “communicating with strangers,” and “growing interested in nature with specific experience.” The infants reconstructed and expressed their previous experience about nature by encountering their surroundings, and scheduled their plans for walking activities as they felt the weather changes. They also communicated with strangers through walking activities and could be more interested in nature based on the routinized experience of walking activities. Fourth, having expectations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walking place and an adventurous spirit was classified into “expectations and fear about a new place,” “excitement about wanting to visit a favorite place,” and “challenge of wanting to walk on a new path.” Walking activities revealed the infants’ expectations and fear of a new place. Repeated walking activities also generated favorite spots for the infants, as well as the challenge of wanting to try going to a new place. Fifth, revealing enjoyment of walking and being immersed in it was classified into “being wrapped up in their own world” and “enjoying with friends.” The joy of walking activities led the infants to be wrapped up in their world, and share and enjoy such pleasure with friends. As such, infants were afraid due to difficulty in preparing for a walk, but also learned the rules of walking through the walking activities. They also adapted to and were immersed in walking activities as they encountered their surroundings. 2. What do infants experience in walking activities? Experiences of infants in walking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experiencing methods of expression, experiencing relationship building with the objects, and experiencing interest in life and healing. First, experiencing methods of expression was classified into “expressing their feelings by crying,” “sharing thoughts verbally,” and “expressing emotions through the body.” The infants expressed their unfamiliarity and fear of walking activities by crying, empathized with natural objects, and verbally expressed their curiosity while exploring. They also revealed the joy of playing as they expressed their emotions through their whole body. Second, experiencing relationship building with the objects was classified into “knowing themselves by talking to themselves,” “interacting with peers and experiencing us,” and “interact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teacher.” The infants enjoyed freedom in walking activities and also tended to be immersed in nature. They also learned about themselves by talking to themselves, experienced “us” by interacting with peers, and also interacted and communicated with the teacher. Third, experiencing interest in life and healing was classified into “disinterest to interest in plants (life with little motion),” “communing with animals and plants (life),” “playing in nature,” and “understanding the mystique of life (ecosystem).” The infants had first shown disinterest in life with little motion, but this turned to interest as walking became a routine. They also communed with animals and plants as they were immersed in and amazed by them. They also learned about the sprouting and withering of plants, and about life and death of animals and plants little by little, through which they began to understand the mystique of life. As such, the infants experienced methods of expression and relationship building with the objects through walking activities and experienced interest in life as well as healing. 3. What is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walking activities? The meaning of experience by infants in walking activities can be categorized into feeling spiritual abundance by encountering nature, having respect for life, learning how to communicate in various human relations, facing different societies, and communing and becoming one with nature by playing in nature. First, feeling spiritual abundance by encountering nature was classified into “nature encountered in spaces” and “nature encountered in seasons.” The infants encountered nature through spaces like kitchen gardens, trails, parks, ponds, hiking trails, indoors (flower pots), and playgrounds. They also encountered nature and felt spiritual abundance through seasons or weather conditions like rain, snow, sunlight, wind, sudden shower, rainy season, typhoon, heatwave, cold wave, and large snowflakes. Second, having respect for life was classified into “encountering plants” and “encountering animals.” The infants could encounter growing plants and withering plants, as well as living animals and motionless animals. As they encountered these animals and plants, the infants could learn about life and obtain respect for life. Third, learning how to communicate in various human relations was classified into “people met through relationship building” and “build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they first met.” The infants met people with whom they have relationships built such as peers, teachers, and parents. They also could build new relationships with people they met for the first time through walking activities. These encounters served as a good chance for them to learn how to communicate in various human relations. Fourth, facing different societies was classified into “encountering various societies,” “experiencing culture in a small society,” and “encountering social norms.” Walking activities provided encounters with various societies for the infants, such as universities, hospitals, high schools, schoolyards, parks, convenience stores, and pharmacies. They also enabled the infants to experience culture in a small society such as entrance ceremonies, festivals, field trips, exam periods, athletic meets, and graduation ceremonies. Moreover, infants could encounter different societies by facing social norms such as traffic rules and etiquettes in public places. Fifth, communing and becoming one with nature by playing in nature was classified into “encountering naturally,” “learning by themselves,” and “feeling and becoming one with nature.” The infants naturally encountered nature, learned about it by themselves, communed with nature by playing, and felt and became one with nature. Through walking activities, the infants could encounter nature and feel spiritual abundance, gained respect for life, and learned how to communicate in various human relations. Moreover, they could encounter different societies, based on which they communed and became one with nature through play. In sum, walking activities enabled 2-year-old infants in a university-affili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to experience methods of expression, relationship building with the objects, and interest in life and healing. Based on these experiences, they could encounter nature and feel spiritual abundance, and learn how to respect life and communicate within various human relations. Furthermore, they could encounter different societies and commune and become one with nature by playing in nature. As such, walking activities of infant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fan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arry out many walking activities for infa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계층적 대역 구조의 음성 부호화기를 위한 상위 대역 부호화기 개발

        김영보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 high-band codec for bandwidth scalable wideband speech codec is proposed. Speech codecs used in conventional digital communications use sampling rate of 8kHz with bandwidth of 4kHz, and can provide acceptable speech quality using low bit rate around 8kbps. However,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ique allows various speech services with higher quality, which also requires the transmission of wideband speech signal with 16kHz sampling rate and 7kHz bandwidth. To maintain the compatibility with narrow band system, wideband speech codec needs to have bandwidth scalable structure with two bands divided at 4kHz. Low band is processed by G.729 CS-ACELP standard narrow-band speech codec and high band speech codec proposed in this paper is based on transform coding. High band speech codec divides a frame into several subframes and individual transform coefficients of each subframe signals generate two dimensional structure of datas with time and frequency axis. Two dimensional datas are processed by two dimensional DCT so that high energy compaction of signal is achieved and the performance of quantization is improved. Finally, the decoded signal of high quality is generated.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구조의 음성 부호화기를 위한 상위대역 부호화기를 제안한다.현재 디지털 통신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음성 부호화기는 8kHz로 Sampling되어 4kHz의 대역폭을 가지고 적은 Bitrate로 우수한 음질을 제공하지만 통신 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영역에서 더욱 고품질의 음성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음성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위해 16kHz로 Sampling되어 7kHz의 대역폭을 가지는 광대역 음성 신호의 전달이 필수적이며,기존 협대역 시스템과의 연계도 고려해야 한다.협대역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위해 광대역 음성 부호화기는 4kHz를 중심으로 하위 대역과 상위대역으로 분리되는 계층적 구조를 가지며,하위 대역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G.729 CS-ACELP 음성 부호화기를 이용하고 상위 대역은 Transform 기반의 새로운 부호화기를 설계한다.상위 대역 음성 부호화기는 전체 프레임(Frame)을 다수의 짧은 부프레임(Subframe)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부프레임 신호를 독립적으로 주파수 변환하여 해당되는 계수들을 동일한 주파수에 대하여 다른 시간을 가지는 이차원적 구조로 구성한다. 이차원 구조의 data들은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 관한 이차원 DCT를 실시하여 신호의 에너지 압축 효율을 높이고 양자화 성능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복호화된 신호을 얻을 수 있게 하였다.

      •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김영보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는 ‘MMTIC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어떤 효과가 있을 것인가?'로 설정하였다. 학교생활 만족도의 전 영역을 다루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생활 만족도의 하위 영역 중 관계관련 영역인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 교우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만 알아보고자 한다. 다른 부분의 하위 영역은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관련이 적은 영역들로 이루어져 있어 위의 두 영역에서만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 1] MMTIC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 중 관계관련 만족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가설 1-1. MMTIC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학교생활 만족도의 하위 영역인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 향상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 가설 1-2. MMTIC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 영역인 교우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 향상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울산광역시 남구에 소재하고 있는 S초등학교 4학년 1 개 반 중에서 MMTIC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하는 20 명의 아동 중에서 무작위로 10 명을 뽑아 실험집단으로 선별하였으며 선발된 10 명의 아동은 실험처치를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나머지 10 명의 아동은 통제집단으로 본 연구기간 외에 차후에 프로그램의 일부를 적용하였다. MMTIC을 활용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MMTIC 검사와(2007. 6.29) 학교생활 만족도검사(2007.10.12)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를 위한 본 프로그램의 실시는 실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10월 19일부터 12월 15일까지 9 주 동안 매주 1-2 회기씩 총 10 회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당 70-80 분의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토요휴업일이 없는 주는 2회씩, 토요휴업일이 있는 주는 1회기씩 하였음) 프로그램 완료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만족도 검사(2007.12.15)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교생활 만족도를 측정하는 도구는 임명숙(1997)이 사용한 “초등학교 아동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조사 설문지”로 김향란(2002)이 자신의 연구를 위하여 이 도구를 사용하였고, 또한 본 연구자가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학교생활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 간 사후 검사점수에 대한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하기위한 유의도는 .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 회기별 상담일지 속에 나타난 소감문을 분석하여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관계, 교유관계의 공변량 분석에서 모두 p>.05으로 나와 무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전 사후 평균을 살펴보면 교사와의 관계에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평균이 각각 38.80, 41.40으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는 39.50, 40.60으로 나타나 교사관계에서는 약간의 향상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교우관계에서도 사전 사후 평균이 실험집단에서는 32.80, 34.00으로 각각 나타났고 통제집단이 36.90, 36.00으로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자의 교사관계 만족도의 사전검사에서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은 김향란의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장 높은 유형의 교사만족도 평균과 무려 3.80과 4.50이나 높은 기록을 나타내고 있다. 가장 점수가 낮은 유형의 평균과는 실험집단은 15.80, 통제집단은 16.50이나 평균이 높은 상태에서 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사관계 만족도에서 연구자의 반 아동들이 처음부터 아주 높은 상태여서 더 이상 올라갈 여력이 없을 정도로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우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 문항 중에 32 번 문항의 내용을 살펴보면 “좋아하는 이성친구가 있으면 학교생활이 즐겁다”라고 하는 문항에서 아동들이 그에 대한 대답으로 대체로 아니다 쪽에 많은 응답을 하였다. 실제로 이 문항은 이성과의 문제로 학교에서의 교우관계와 관련이 많이 없는 문항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자가 이 문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검사지를 사용하게 된 것은 기존의 연구들 중에서 MMTIC 연구관련 학교생활 만족도 검사지로는 유일하기 때문에 서로 비교할 수 있는 검사지를 택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문항의 내용은 아동관계 부분이라기보다 이성 친구에 대한 판단을 요구하는 질문으로 초등학교 4학년 아동에게 낮은 점수를 불러일으키는 문항으로 생각된다. 그리하여 아동관계 생활만족도에서 만족도를 나타내는 등급에 전혀 아니다 1점, 대체로 아니다 2점에 해당하는 응답을 많이 하여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김향란의 기존연구의 교우관계 만족도와 비교해 볼 때에도 처음부터 교우와의 만족도도 본 연구데이터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 등에서 유의미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온 원인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본 연구자의 학급경영의 특성상 매년 MMTIC검사를 실시하여 거기에 맞는 맞춤식 교육을 오랫동안 실시한 점 역시 그 원인으로 찾을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2007년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의 학교평가 때 제출한 연구자 학급의 우수사례를 통하여 그 원인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도록 부록에 제시하였고, 올해 역시 전 아동에게 검사는 실시하였고,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상담을 희망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중 실험집단은 사후 검사가 있을 때 까지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사후 검사 후 3회 실시하였다. 넷째, 회기별 소감문 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아동들의 반응은 모두 자신에게 유익한 시간이었고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는 좋은 시간이 되었으며 특히 9회의 협동화 그리기 등에서 매회기 자신과 타인의 다른 점을 알고 나니 그 동안 쌓였던 스트레스의 원인을 찾을 수 있어 스트레스를 푸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소감문에서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일정 기간 동안 학급 내에서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하여 비록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지는 못했지만 처음부터 본 연구자 학급의 생활 만족도가 높은 데서 그 주원인을 찾을 수 있었으며, 비록 유의미한 결과의 범위에 속하지는 않았지만 교사만족도 평균점수가 사전 점수보다 향상된 점으로 보아 연구 설계가 보완된다면 본 프로그램이 교사관계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으리라는 것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confirm the effects of a MMTIC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atisfaction of fourth graders' school life. For this purpose, the established study subject is 'how does the MMTIC Group Counselling Program reach to the effect on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f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 Students reach an effect. The study will not deal with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all the sub-area of school life but deal with the satisfac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and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Because other sub-areas of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little connected with this program.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e hypotheses tested were followings. Hypothesis 1: The fourth graders who received the MMTIC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s on their overal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out school life. The hypothesis 1-1: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ill improve their satisfaction levels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roughout school life. The hypothesis 1-2: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ill improve their satisfaction levels on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throughout school life. As for the subject of study, twenty students of one class who were selected among six classes of S elementary in Ulsan.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wo groups: 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ten students. The program was applied only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out the period of study. After the period of study some part of this program was applied for the control group. MMTIC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9th June 2007 and the pre-test of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12th October 2007 before this program execution. this program on experimental group for 70-80 minutes was applied for duration of 9 weeks(19 10-15 12 2007) once at the week when the Saturday holiday is or twice at the week when the Saturday holiday is not. The post-test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the 15th of December, 2007 for the data analysis. The instrument developed and used by Im Myung Sug(1997) and Kim hyang Lan(2002) was employed in the study to test the satisfaction levels of school life. For the data analysi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ANCOVAs with the pretest score of each group as a covariant were calculated on each satisfaction score to compare the control group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o test the hypotheses, significance level was selected as .05. The effects of a MMTIC group counseling program AT every time's consultation diary was analyzed. The result that was analyzed is followings. First,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th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and friend is not significant of the effect of MMTIC group counseling program. But looking for advance average of experiment handling and average after experiment handling, at th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experimental group's advance average and average after are 38,80, 41.40. and control group's advance average and average after are 39,50, 40.60. satisfaction about th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is visible the tendency which improves. At the relationship with a friend experimental group's advance average and average after are 32,80, 34.00. and control group's advance average and average after are 36.90, 36.00. The score advance average of experiment handling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s 3.80 and 4.50 higher than the score of the research Kim hyang Lan(2002) which is the score of the highest group of , to compare the score of the lowest group the research Kim hyang Lan(2002) is 15.80 and 16.50 higher. This results shows that this researcher's class'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high from first and there is not a possibility of ascending any more. Second, When tries to observe the contents of 32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a friend. the content is "If there are the opposite sex friends who likes, the school going is joyful" At this question the children answered mostly "no" So At this research , the score of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a friend is lower than the score of th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When we think about this question Actually there is not 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n spite of that, I chose this test because among the test researches the before used this test is only relating MMTIC research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erefore the content of this question is more relating with the opposite sex friend judgment than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o This question brought to low score of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a friend as for fourth grade student of elementary school. and to compare the score of the research Kim hyang Lan(2002)'s was higher from first. These reasons which analyzed from above brought to the results which is not significant. Third, as for special quality this researcher's class management, every year this researcher executes MMTIC, through this to every child educated individualized. This is another reason that brought to the results which is not significant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explain this, I presented at annex, excellent instance of this researcher which is submitted to School evaluation 2007. This year this researcher executes MMTIC to every student in her class and MTIC group counseling program executes to only experimental group. To control group, several parts of MMTIC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ied. Fourth, through analysis of every time's consultation diary the children say that MMTIC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very beneficial to them and they can understand more the others through this program. Specially, through cooperative drawing, ninth time and every times program they can find the reason of stress from knowing difference of themselves and different students. they also say they can releases the stress more in their every time's consultation diary. Through the result which is revealed from above, this researcher draws a conclusion with afterwards. MMTIC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pplied within a given period in class didn't bring to the results which is significant, the reason is that from first, the score of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f this researcher class was high, although the scope which is not significant, The score of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Improved. This fact hint If the research plan is complemented, this program will be effect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and friend.

      • 광양항 자동차 물동량 유입의 요인분석

        김영보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요인 분석에서는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광양항과 타 항만에 관한 항만의 선택 요인들을 정리하고, 자동차를 취급하는 주요 항만들(평택, 울산, 목포, 군산, 광양항)의 화주들을 포함한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산업체 인사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여 광양항의 자동차 물동량 유입의 요인을 문답 확인 하였으며, 이후 자동차 물동량의 항만선택 요인의 이론적 검증을 위하여 설문을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별 면접에 의한 광양항 자동차 물동량 급증의 요인으로는 국내생산 자동차의 수출증가에 따라 울산항의 현대자동차, 평택항의 기아자동차 반출기능 항만의 취급 포화에 따른 국내 연안 환적항만 필요성이 절박한 시점에서 중요 간선 항로에 위치한 광양항의 컨테이너 유휴 부두시설과 넓은 야적장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자동차의 광양항 유입의 주요 요인이었으며, 광양항을 이용함에 따른 화주와 선사의 부가가치 증대(제고의 유연성, Dummy 출고후 Booking, Labeling작업 등)가 부가적인 항만선택의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설문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에서는 15개의 주요 변수들을 공통성이 낮은 요인들을 제거하고 분석한 결과 5개인 요인으로 집약되어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첫 번째로 항만이용 비용요인이 해상운송비와 내륙운송비에 밀접도가 높았고 두 번째는 항만 인프라 및 입지요인에 대하여 선석의 길이와 선석수, 타 항만과의 연계성, 야적장 면적등이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항만인지도 요인에서는 내륙운송과의 연관성이 높았으며, 네 번째 노무서비스 요인에서는 항만노무자의 숙련도와 항만 노무활동의 안정서이 각각 밀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의 하역장비와 시설요인에서는 적정장비의 보유 수가 비교적 높은 연관성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면접과 분석들을 통하여 광양항 자동차 물동량 유입에 대한 요인들을 살펴보고 광양항에서 더 이상 컨테이너 물동량이 성장하지 못하는 전망 하에서 대체 화물로서의 중요성이 항만 관계자들의 인식으로 각인될 필요성이 있다고 보며, 아울러 2016년 6월 자동차 전용부두 4선석이 지정되고 TOC 운영사가 선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만큼 타 항만과의 경쟁도 피할 수 없는것이 현실일 것이다. 본 요인분석을 통하여 자동차 항만의 선택요인과 대응방안, 향후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유기토양을 이용한 유기화합물의 기상흡착

        김영보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주거 환경을 해치는 유해한 물질이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활성탄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오염성분을 제거해 왔으나, 최근에는 친수성인 몬모릴로나이트와 같은 천연점토를 유기 양이온 계면 활성제로 이온교환하여 친유기성으로 개조한 후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려는 기술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화수소 사슬이 긴 HDTMA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몬모릴로나이트를 개조하여, 흡착과 분배의 장점을 동시에 가진 유기 몬모릴로나이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 유기토양을 이용하여 기체상에 존재하는 두 종류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을 흡착 하였다. 고정층 흡착탑에서 기상의 도입 농도를 변화시키며 흡착실험을 수행하고 각 성분의 흡착등온선을 구하였다. 또한 순수한 질소를 사용하여 흡착된 유기성분을 탈착하였으며, 그 탈착곡선을 두개의 탈착모델을 이용하여 최적화 하었다. 유기토양은 기존의 공기 청정기에 사용되는 활성탄을 대체하는 저렴한 흡착매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韓國佛敎 靑少年布敎 必要性 硏究

        김영보 동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adolescence is a unique period that exists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and contains the features of both period at the same time. One of its characteristic is the change of physical body structure, which the formal operation of thought and formation of ego-identity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So a rebellious thought appears at this time. Since friendship is also very important, teenagers are very likely to receive a lot of effect from their peer group. In Buddhism, it looks upon teenagers as an existence that have infinite possibility to the path of enlightenment. As seen from the examples of Yasa(st.Yasas), the first person to be taught by the Buddha, and Rahula, the son of Buddha, it is important to have heartful attitude and patience to make teenagers feel protected by the adults in everyday life, which can lead to the personal interaction and eventually to the awakening by themselves. In terms of relationship, the teaching of Buddha emphasizes the ideal means of specially ethical side and carnal-minded human relations that does not treat teenagers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separating from society, but as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parents, teacher and disciple, friends, and society. The fundamental way to know Buddhism is that teenagers must awake their own existence and be a subjective being by themselves. Religious ideal or concept makes teenagers recognize individual's immanent value or value of human as companion and respect moral value along with development of philosophy of life. The specific methods for teenagers to understand Buddhism can be suggested as follows: public discussion, Buddhist ceremonies, and Buddhist practice and lecture that have a worshipping ceremony before the Buddha. First, there is following effect in public discussion. It is difficult to find the mistakes or faults of one's idea alone. However, it is comparatively easy to find and give up one's own ideas among public. Through public discussion, teenagers can find mistakes of their own thinking, reduce pain and understand the wisdom of Buddha. Next both Buddhist lecture and practice play important roles in understanding teenagers Buddhism. Teenage students are thought to improve the Buddhism quality in Buddhist lecture which is held periodically as every Saturday or twice a year(during vacation). Buddhist practice consists of the bowing practice which held 108 times or 1,080 times, chanting practice and Zen meditation. Students who attended Buddhist practice responded that bowing 1,080 times was truly impressive and through high voice chanting and public discussion, they could observe the changes of their ideas. The effect of Buddhist practice, first of all, appears i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eenagers who experienced chanting, bowing 108 times, and public discussion, intimate conversations could be naturally done with any person they meet. Second of all, as formation of self-respect changes recognition of extreme complaint or satisfaction, teenagers become to think that every person is all equal. Lastly, the same change appears in terms of autonomy. Buddhist practice contribute considerably to making teenage students change their personalities, easily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and find happiness in life. As mentioned above, Buddhism looks upon adolescence as an existence that have infinite possibility going forward for the path to the enlightenment. It is my opinion that teenagers and adults have no actual difference in terms of possibility that can accomplish anything they want. However, in the stance of teenagers as yet immature existence, they are educatee that should be guided continuously. Therefore, it is our adult Buddhists' great responsibility to let teenagers know and understand the Buddhism.

      •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탐색

        김영보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Explanation of the Meanings of Death Appear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 Books Kim, Young-bo Advisor : Prof. Seo, Hyun, Ed. D Major in Chil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meanings of death appearing in picture books on the target of picture books related to death on the premise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objects of death through young children’s picture books, and to establish the concepts of death.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at helping young children to prepare a happy life by letting them know what the death is like from the stage of young childhood through picture books friendly to them, getting rid of the anxiety and fear of death, and conceptualizing appropriate thoughts on death. This study was to present actual support for the education field to reasonably and systemically understand the positive values of death that young children experience through picture 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also lied in systemizing the picture book list related to death to utilize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s education of death. According to the study purposes above, this study assumed research questions below: 1. How are the objects of death appear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 books described? 2. How are the concepts of death appear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 books established? 3. How are the meanings of death appear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 books represented? This study employed the content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First, from October to December 2011, we collected picture books that can be included in picture books eligible for the analysis. In non-probability purposive sampling, we primarily chose 64 picture books that deal with death in reference to recen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eath appearing in picture books, and to related overseas and domestic books, the Korea library association, and internet bookstores. And then, from October 2011 to February 2012, we categorized them into the object of death, the concepts of death, and the meaning of death according to in picture books. Of those we primarily collected, we secondarily chose 32 picture books that were judged appropriate for attributes of good death concepts by Lee Gyeong-ju et al. (2006). In the end, the analysis of each book’s content was performed from October 2011 to April 2012. According to the criterion table in appendix 2, we classified 24 finally chosen picture books, and those classified books were again sub-classified as words on death, upper concept on words and lower concept on words. We named the contents of classification and made a categorized list. Also, through reading, analyzing and inferring the derived various words, phrases, and clauses, we created explainable new concepts and categories of them and generated meanings by representing them as subjects. As for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picture books, by repeating modify-remodify similar categories, we yielded the objects of death, the concepts of death, and the meanings of death.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objects of death appear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 books were grand-parents,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friends, pet-animals, sons and daughters, friend’s parents, himself/herself, others, etc.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s of death appear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 books were ‘I am going to get separated someday,’ ‘I can’t see death once again,’ ‘I can’t die even though I want to,’ ‘Death has a cause,’ ‘Living creatures are to get aged,’ ‘When you die, you go to another world.’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meanings of death appear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 books were ‘ceaseless continuance of time of anxiety and fear: anxiety,’ ‘isolated time of nothing you can do: insensibility,’ ‘time of memories that pop up repeatedly: nostalgia,’ ‘choice of time with nothing to do: compromise,’ ‘sad but beautiful time: acknowledgment,’ ‘time of another life: surmount.’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exploration in depth of the objects of death, the concepts of death, and the meanings of death appear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 books by way of using the content analysis research method helps to bring the positive values of death that young children experience in picture books to young children’s education field with reasonable and systemic understanding of them. At the same time, with a trial to practice the de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is to be presented as empirical basic data. It suggests that what death should mean to young children an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death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what death is. Key words: young children’s picture books ,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