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릿대 잎 추출물이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김영랑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식량 공급이 풍부해지면서 양 에너지 평형으로 인한 비만의 발생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서구사회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가장 흔한 영양장애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만의 치료와 예방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 비만 발생을 억제하거나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물질을 확인하고 이들 물질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용 기능성 조성물이나 식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상당하다. 예로부터 한방과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온 조릿대(Sasa borealis)는 산죽이라고도 하며 산에서 자라는 야생 대나무로 대나무 중에서도 약성이 강해 토종 약초로 분류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주를 이용하여 조릿대 잎의 70% 에탄올 또는 열수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조릿대 잎의 70% 에탄올 또는 열수 추출물은 전지방세포인 3T3-L1이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을 저해하였다. 한편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이들 추출물은 adipokines 분비에 영향을 끼쳤다. 즉 70% 에탄올 추출물은 PPAR-γ 분비를 감소시켰고 반대로 열수 추출물은 증가시켰다. Adiponectin 분비는 70%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 모두에 의해 감소되었다. Leptin 분비는 열수 추출물에 의해서만 감소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릿대 잎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질대사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항비만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Affluently providing of food, the rate of obesity has increased. Obesity is understood for nutrition disorder in western society as well as Korea. In this reason, the attention of obesity increase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materials which have effects to depress or treat obesity confirm lately and There are a good many desires to develope functional composite or food which contain these materials to care obesity Sasa borealis, called San-juk, which is utilized widely Chinese medicine and therapy among the people in Korea since early times. As a wild bamboo that grow in a hill, it has been devided into natural medicinal plant that is why its the virtues of a medicine have a strong. Like this leaves of Sasa borealis have in physiological activity, exhibit functional of health and suggest anti-obesity effects particulary. Then this study certified that the 70% ethanol or water extracts of leaves of Sasa borealis have in anti-obesity effects by using 3T3-L1 adipocytes. The results is that the stage of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inhibit when added the 70% or water extracts of leaves of Sasa borealis in medium. On the one hand, these extracts in mature adipocytes have an effect a level of secretion on adiponectin or leptin. In other words, the 70% ethanol extracts of leaves of Sasa borealis have an effect to reduce a level of secretion on PPAR-γ. On the contrary, the water extracts of leaves of Sasa borealis have an effect to increase it. The 70% and water extracts of leaves of Sasa borealis have an effect to downregulate a level of secretion on adiponectin. The water extracts of leaves of Sasa borealis have an effect to decline a level of secretion on leptin alone. The results are suggestive of having an effect of antiobesity for phytochemicals containing leaves of Sasa borealis inhibit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and have an influence lipid metabolism.

      • 딥 러닝 가속화를 위한 GPGPU 메모리 최적화 방안 연구

        김영랑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Deep learning 애플리케이션 가속화를 위해 Multi-GPU 시스템에서 전체 GPU 메모리 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최적화 된 메모리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PCIe 버스 경합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함으로써 다중 GPU 환경에서 Nvidia의 vDNN 개념 (GPU 및 CPU 메모리의 하이브리드 활용)을 확장한다. 또한, 우리는 대규모 mini-batch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높은 연산량을 달성 할 수 있는 효율적인 prefetch 알고리즘 (CPU 메모리에서 GPU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평가를 위해 Google의 유명한 기계 학습 라이브러리인 Tensorflow에서 메모리 사용 최적화를 구현했으며 Multi-GPU 기반의 시스템서 광범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검증 결과는 제안 된 설계가 연산 가능한 mini-batch의 크기를 최대 60 %까지 증가시킬 수 있고 Multi-GPU 시스템에서 학습 처리량을 최대 46.6 %까지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 그림책을 활용한 읽기 전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독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랑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가 점점 짧은 주기로 생성되고 소멸되는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에서는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고 의미를 파악하여 활용할 능력을 요구한다. 따라서 일정 수준의 읽기 능력을 갖추지 못하면 여러 가지 정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활용할 수도 없으며, 나아가서 효과적인 사회생활 영위가 쉽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읽기 중심의 지도를 그림책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그림책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과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국어과 독해력과 읽기 태도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은 2014년 8월부터 10월까지 5주 동안 총 20차시에 걸쳐서 실행하였다. 참여대상으로 경기도 부천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한 읽기 전략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고, 비교집단에는 국어 교사용 지도서에 명시된 교수학습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독해력과 읽기 태도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설계에 따라 ‘그림책을 활용한 읽기 전략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읽기 전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독해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독해력 하위 영역인 사실적 이해의 내용확인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읽기 전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읽기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읽기 태도의 하위 영역인 다양한 여가 활동 중 책읽기의 선호도, 책 및 책읽기에 대한 긍정적 사고, 학교에서의 책읽기 선호도, 읽기 수업을 통한 책읽기 경험, 읽기 평가에 대한 느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을 투입하고 실행한 기간이 단기적으로 이루어졌다. 장기적으로 집중 교수할 때 학생들은 전략이 획득되며 적절한 사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교사가 학생들에게 읽기 전략을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의 모든 과정에서 충분히 학습하도록 지도한다면 학생의 독해력이 더욱 향상될 것 이다. 또한 전략의 효용성을 알 수 있도록 교사들에게 읽기 전략에 대한 연수의 기회가 제공되어져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자는 국어 수업시간에 읽기 전략 프로그램을 실행한 것 외에도 그림책을 읽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자 학급 도서 바구니를 활용하였다. 학교 도서관에서 2학년 학생들에게 유익한 그림책을 바구니에 담아 한 달에 한 번씩 교체하여 여가와 수업시간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가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학생의 흥미를 지속시키기 위한 도서 환경 구비가 필요하다. 넷째,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흥미와 성취도에 따른 그림책 자료 개발과 맞춤형 읽기 전략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 상징과 모티브를 통한 내적 표현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영랑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인간의 내면을 상징적 모티브를 이용해 표현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자의 작품은 내면의 혼란과 우울을 야기하는 외부적 요인들을 피해 숨어버린 소외된 자아를 표현하고 있다. 본인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중심 주제는 자아의 외로움과 우울이다. 본 연구자는 내면의 혼란과 우울, 소외와 같은 비형상적인 모티브를 작품 안에 나타내기 위해 상징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내면세계는 감각적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가시화하기 위해 상징물을 이용하였는데, 상징이 부여되는 과정에 있어서 오랜 세월동안 역할 특성과 성격, 역사를 통해 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그렇다고 인식이 되는 것이 기본이 되는 특징을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이미지를 가지고 새롭게 상징을 구성하였다. 내면의 혼란을 야기하는 외부적 요인을 의자로, 자아를 대신하는 대리물을 인형으로, 자아를 아이로 상징하여 작품을 구성하였다. 또한 각 상징물의 위치에 따라 자아의식의 변화를 알아 볼 수 있도록 작업하였다. 본 연구자는 예술은 다양한 곳에서 목소리를 내며, 삶과 인간의 본질을 끊임없이 탐구하고, 수면 위로 올려내는 데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보이지 않는 무의식의 탐구과정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과정을 상징물을 통해 나타내어 갈등하는 자아의 해소를 기대하고 있다. ※주제어: 자아, 의자, 인형, 어린아이, 상징 Abstract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Inner Consciousness through the Symbol and Motifs Kim, Young Rang Art department Mok-w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ork of researcher expressing the inner side of human by using symbolic motif. My work expresses an alienated self that has hidden away from external factors causing internal confusion and depression. The most important central theme in this study is the loneliness and depression of the self and it uses the symbolic method to express the non-geometric motif like internal confusion, depression and alienation in the work. Because the inner world is not visually visible, it uses symbols to visualize that. And in the process of being given a symbol, it based on what people perceive naturally through role characteristics, personality, and history for many years. Then, using these basic features, new symbols are constructed with images that are objectively and universally recognized. The external factor that cause internal confusion is the chair, Surrogate that substitutes me is the doll and the symbol that symbolizes me is the child, using these symbols, the story of the work begin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ymbols that make up the work, it informs see where self-consciousness is. The researcher thinks art is voicing in various places, exploring the essence of life and humanity constantly, and putting i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rough this study, the process of sublimating the process of invisible unconscious inquiry into works of art is represented through a symbol, to resolve the conflict self is expected with this. Key words: self, chair, doll, child, symbol

      • 제련소 주변 비소오염토양의 다양한 정화방법 비교 연구

        김영랑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focused on comparison of stabilization, magnetic separation and soil washing technologies for removing arsenic on soils in the vicinity of a smelting site. Tested soils were sampled at cultivated(FH for high and FL forr low contents) and paddy fields(PH for high and PL for low contents) from the site with low and high concentrations of arsenic. There are two experimental designs both batch test and column test for evaluation on stabilization efficiency various stabilizers including red mud, steel slag, magnetite and limestone were examined with mixing ratios of 0.5, 1.0, 2.0 and 5.0% of the materials. In addition to magnetic separation, both 5,000 and 10,000 Gauss of permenant magnet were used. Furthermore, several extraction solutions including H2SO4, HCl, NH4H2PO4 and C2H2O4 were also adapted on soil washing method with 0.1, 0.5 and 1.0M of the solutions. After stabilization experiment, arsenic concentrations in cultivated and paddy soils decomposed by aqua regia were 125mg/kg and 90mg/kg in highly contaminated soils and 47.1mg/kg and 25.3mg/kg in low contaminated soil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sequential extraction of the soils, As bound on fractions 4(bound to crystalline oxides) and 5(residual) were changed to fraction 3(bound to amorphous oxides). In case of magnetic separation, removal rates of 7.6% and 12% were found in highly contaminated soils with 5,000 and 10,000Gauss respectively. Howerver, the other samples were not removed due to relatively low contents of magnetism of the soils. In soil washing experiment, 80% of washing efficiency was found in highly contaminated soils from cultivated area washed out by H2SO4 and NH4H2PO4 55% of the efficiency was also found in low As soil from cultivated area by H2SO4 and HCl. Therefore, soil washing technique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removal of As in the study area. However, the method has to take care of used due to increasing soil pH in agricultural land. Finally, this study can be concluded that step wised adaptions on remediation of As contaminated soils are strongly suggested. Such as first step for magnetic separation, second step for soil washing and last step for stabilization on the washed soils. 이 연구는 제련소 주변 비소 오염 농경지 토양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정화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안정화실험, 자력선별실험 및 토양세척실험을 적용하여 다양하고 복합적인 정화방법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비소오염토양은 고농도의 전(FH)과 답(PH) 그리고 저농도의 전(FL)과 답(PL)으로 구분하여 채취하였다. 안정화 실험은 건기와 우기 환경을 가정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즉, 오염토양과 안정화제를 혼합 후 최대 용수량을 적용한 실험과 배치실험을 통해 안정화제의 최적 혼합비율을 적용한 컬럼용출실험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안정화제는 적니(red mud), 제강슬래그(steel slag), 자철석(magnetite) 및 석회석(limestone) 등을 적용하였으며, 혼합 비율은 0.5, 1.0, 2.0 및 5.0%를 적용하여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력선별실험의 경우, 5,000과 10,000Gauss의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자력선별을 실시하였다. 토양세척실험의 경우, 세척액으로 H2SO4, HCl, NH4H2PO4 및 C2H2O4를 적용하였으며, 혼합 비율은 각각 0.1, 0.5 및 1.0M의 농도를 적용하여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과 답 토양의 비소농도에 대한 왕수추출법을 적용 시 고농도는 토양오염대책기준을 초과한 125mg/kg과 90mg/kg의 수준이었고, 저농도는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한 47.1mg/kg과 25.3mg/kg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소의 존재양상은 대체적으로 연속추출법의 Fraction 3∼5의 비결정질, 결정질 산화물과 결합된 형태 및 잔류성 형태로 존재하였다. 안정화실험 결과, 건기의 환경을 가정한 안정화 실험에서 고농도 전(FH) 토양에서 제강슬래그(steel slag) 적용 시 Fraction 3의 비결정성 산화물과 결합된 형태로 비소의 이동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나머지 적니(red mud), 자철석(magnetite) 및 석회석(limestone) 적용 시 원토양과 비슷한 존재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치실험을 통한 컬럼용출실험의 경우, 제강슬래그(steel slag) 3% 적용 시 고농도 전 토양에서 Fraction 3의 형태로 비소의 이동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철석(magnetite) 3%를 적용 하였을 때 Fraction 3과 4에 분포하는 비소들이 Fraction 5로 안정화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력선별실험 결과, 실험 후 비소 농도는 원토양(origin)과 비교하여 회수율이 감소되는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고농도 전 토양의 경우 5,000Gauss로 3회 실시하여 평균 7.6%의 제거효율이 나타났으며, 10,000Gauss에서 12.0%의 제거효율이 나타났다. 하지만, 나머지 토양들은 낮은 자성을 띄고 있기에 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대상토양에서 철-비소 화합물의 분포가 적어 자력선별만으로는 정화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세척실험 결과, 고농도에서 H2SO4와 NH4H2PO4를 적용하였을 경우 제거효율이 80%로 비소가 제거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저농도에서 H2SO4와 HCl의 적용 시 제거효율이 55.0%로 비소의 농도가 23.8mg/kg으로 우려기준 이하로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제련소 주변 비소오염토양의 정화에 있어 토양세척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토양세척에서 강산을 적용하게 되면 농경지 토양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약산을 적용한 토양세척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종합적으로 보면 제련소 주변 비소오염토양의 비용·효과적 및 환경에 영향 등을 고려할 때 각각의 정화방법을 적용 보다는 자력선별을 통한 철-비소 화합물을 제거한 뒤 오염토양의 세척 후 안정화의 복합처리를 통한 단계적 처리 적용이 최적의 효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수학 목적의 발표 교육 방안 연구

        김영랑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수학 목적의 발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 중학교 정보교과서의 각 영역에 대한 탐구퍼즐과 비탐구퍼즐 학습의 효과 분석

        김영랑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7년 개정 정보교과 교육과정에서는 컴퓨터 과목 명칭을 ‘정보’로 통일 변경하고, 기존의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 중심에서 컴퓨터 과학 교육 중심으로 방향을 전환하였다. 정보교과는 컴퓨터 과학 원리의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내용을 수반하고 있으므로 학생들에게 쉽지 않은 내용이며, 지루하거나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학습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도구로써 퍼즐을 고려하였다. 일반적으로 퍼즐은 손으로 조작하는 도구로 인식하지만, 정보교과에서는 퍼즐을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원리에 기반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서 의미한다. 학습도구로서 퍼즐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학습에 몰입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퍼즐이 정보교과에서 학습자의 흥미를 부여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하여, 정보교과 4개 영역의 개념에 대해 퍼즐을 활용하여 수업을 하였다.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 학생 29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퍼즐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정보교과의 개념과 원리를 발견 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탐구 퍼즐과 정보교과의 개념과 원리의 지식을 바탕으로 풀어보는 비탐구 퍼즐을 각각 활용하여 총 8차시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퍼즐을 활용한 수업 전과 후에 학습자의 인식과 성취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정보교과의 각 영역별 내용에 어떤 퍼즐이 효과적인지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퍼즐을 활용한 수업 후에 학습자들의 긍정적 인식과 성취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보교과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의 내용에는 비탐구 퍼즐이 효과적이며, 추상적인 개념과 원리의 내용에는 탐구 퍼즐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보교과에서 퍼즐을 교수 학습 도구로서 활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데 의의를 둔다.

      • 인터넷 과다사용 청소년의 탈신체화에 대한 fMRI 연구

        김영랑 충북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 : When controlling an internet game character, the character itself and it's movement are taken to be ourselves which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our body. 'Disembodiment' is the cognitive mechanism under which the properties of the self are projected away from the boundaries of one's own body towards an external ent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brain activity between internet overuse adolescents and normal controls during disembodiment. Method : Male adolescents between the ages of 13 and 15 year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7 control subjects and 17 internet overuse subjects. In a two-factorial fMRI experiment, participants played a ball-tossing game with three virtual characters. Subjects' key-press could either be synchronous or asynchronous with one of the players' action (TASK factor: Agency vs. Control). The game was shown from one of three viewpoints which could either be fixed or changed in every trial (VIEW factor: Fixed vs. Changeable). Brain activity during disembodiment were measured, when employing the agency task under changeable view. Result : In the task factor, internet overuse group showed lesser activation in left parahippocampal gyru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the view factor, left fusiform gyrus, medial frontal gyrus, right middle occipital gyrus, superior frontal gyrus were lesser activated in internet overuse group. In the task*view interaction factor, internet overuse group showed greater activation in left middle temporal gyrus, middle occipital gyrus, pulvinar, postcentral gyrus, right insula and parahippocampal gyru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 : Internet overuse group showed rather less brain activation in the view factor and the task factor. However, in the task*view interaction factor where disembodiment occurs, internet overuse group showed more activation in the parieto-temporal junction, frontal area. This findings suggested that internet overuse group was more easily disembodied. 목적 : 인터넷 게임의 캐릭터를 조종하면서 우리는 그 캐릭터를 나라고 인식하고 그의 움직임을 나의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탈신체화란 내 몸의 물리적 경계를 벗어나 한 개체의 외연이 투사되는 인지적 기제를 말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인터넷 과다 사용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에서 탈신체화 현상이 일어나는 동안 이와 관련된 뇌영역의 활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기능적 뇌자기 공명영상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만 13세부터 15세까지의 남학생이 대조군과 인터넷 과다 사용군(이하 과다군) 각각 17명씩 실험에 참여하였다. 기능적 뇌자기 공명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3명이 공을 주고받는 동영상이 제시되었다. 피험자 본인의 마우스클릭에 의해 동영상의 한 인물이 공을 던지게 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버튼을 클릭하거나, 두 인물이 서로 공을 주고받는 상황에서 그 궤적의 중앙에서 버튼을 누르게 하는 과제조건, 영상이 변화하거나 고정되어 있는 관점조건에 따라 수행하게 된다. 관점이 변화하는 동안 자신을 행위자로 인식하고 수행하는 과제-관점 상호작용 조건에서는 탈신체화가 유도되는데, 이 과정을 통해 두 군의 탈신체화에 따른 뇌의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과제 조건 수행 시, 과다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좌반구의 해마옆이랑의 활성 저하가 관찰되었다. 관점 조건 수행 시 과다군에서 대조군보다 좌반구의 방추상이랑 및 내측 전두이랑, 우반구의 중간 후두이랑 및 상측 전두이랑 등 비교적 여러 부위에서 활성화가 저하되어 있었다. 과제-관점 상호작용 조건 하에서는 과다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좌반구의 중간측두이랑, 중간 후두이랑, 시상의 시상베개, 중심후이랑, 우반구의 뇌섬엽과 해마옆이랑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결론 : 인터넷 과다 사용군은 관점 조건과 무관한 과제 조건, 자신의 선택과 관계없이 수동적으로 경험되는 관점 조건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오히려 낮은 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탈신체화가 유발되는 과제-관점 상호작용 조건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두정-측두 연접부, 전두 부위의 활성이 증가된 것을 볼 때 인터넷 과다 사용 청소년에서 탈신체화가 더 활발히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었다.

      • 고려탱화의 유형별 특징과 색채관에 관한 연구 : 아미타탱화(阿彌陀幀畵)를 중심으로

        김영랑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Buddhist wall paintings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belong to a choice of outstand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blooming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Goryeo dynasty and the original esthetic senses of Korean people. Such an artistic excellence of Buddhist wall paintings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has been steadily spotlighted among domestic and foreign contemporary people, and is still recognized to have high esthetic values. In order to make a formulated examination into the categories and color views of Buddhist wall painting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this study addressed modal categories of the Buddhist wall painting in this era, and examined categ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wall painting of Amitabha (阿彌陀幀畵).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contribute to correct understanding of ideological backgrounds and color views that become the basis of Buddhist wall paintings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so that it could highlight their original values and significance in the long tradition of Korean color paintings. The existing Buddhist wall paintings originated from the era of Goryeo dynasty can b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such as Suwolgwaneumdo (水月觀音圖; painting of Bodhisattva as guardian spirit to protect people from disaster and disease), Gwansaeumbosaldo (觀世音菩薩圖; painting of Avalokitesvara to help sentient beings), Jijangbosaldo (地漿菩薩圖; painting of Bodhisattva who enlightens and helps sentient beings in the posthumous world), Amita Yeoraedo (阿彌陀如來圖; painting of Amitabha to wish a prosperity in the next life), Nahando (羅漢圖; painting of disciples who realize the sphere of Buddha) and Byeonsangdo (變相圖; painting of the Mahayana Canon or its Buddhist doctrine). Among others, ‘the Buddhist wall painting of Amitabha (阿彌陀幀畵)’ is known to be the most popular category of Buddhist wall paintings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Depending on the aspect of content, the Buddhist wall painting of Amitabh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mita Naeyeongdo (depicting Amitabha as a guide to Pure Land of Amitabha), Amita Seolbeopdo (depicting Amitabha who preach Buddhist sermon in the Western Pure Land) and Gwan-gyeong Byeonsangdo (depicting the appearance of Paradise). In light of characteristics found in Buddhist wall painting of Amitabha, it is found that Amita Naeyeongdo expresses cloud or lotus underneath the feet of Amitabha; Amita Seolbeopdo expresses Amitabha who sit in lotus posture; and Gwan-gyeong Byeonsangdo expresses narrative content of Buddhism on a single display at once. It is thinking of Pure Land that becomes the core of ideological backgrounds for Buddhist wall paintings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The idea of Pure Land refers to a will to embrace the Pure Land, a world of Paradise by relying on Buddha, so it has a nature of religion to salvation by faith. In order to overcome challenging historical circumstances resulting from a chain of hostilities and rebellions, contemporary people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dreamed of beautiful Pure Land of Paradise and projected their ideal world on Buddhist wall paintings. Colors of Buddhist wall painting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has two major characteristics: One is the use of five primary colors (五色). They have symbolic implications in each color on the basis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such as white (白; truth and honesty), blue (靑; creation and immortality), black (黑; birth and death of all nature), red (赤; worth and sacredness) and yellow (黃; nobility). The other is use of golden color. Gold (金) is a color representing the worth of Buddha and symbolizes indefinite light of abundance, sacredness, truth and wisdom. The use of five primary colors and golden color plays a decorative role in increasing the magnificence and beauty of Buddhist wall paintings in the aspect of expression. The color views of Buddhist wall painting in Goryeo dynasty became an ideological basis in harmony with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popular beliefs and even folk ideology. Moreover, noble and symbolic color views are combined with original ones to create original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Buddhist wall paintings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are recognized as a category of artwork that expresses dogmatic content of Buddhism and has sophisticated formative esthetics and artistic colors based on magnificent and fine expressions. Conclusive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categories and color views of Buddhist wall painting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demonstrate original esthetic awareness, fine pictorial configurations by categorical characteristics and magnificent color expressions having symbolic implications, and it is expected that these factors will be a foundation for follow-up studies on Korean contemporary paintings to re-create a tradition of Buddhist wall paintings. 고려탱화는 고려의 시대적 특수성과 더불어 우리민족의 독특한 미적 감각이 결부되어 피어난 우수한 전통문화의 결정체이다. 이러한 고려탱화의 예술적 우수성은 국내 뿐 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끊임없이 주목을 받아 왔으며 높은 미적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탱화의 유형과 색채관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먼저 고려탱화의 양식적 분류에 대하여 살펴본 후 아미타탱화(阿彌陀幀畵)의 유형별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고려탱화의 기반이 되는 사상적 배경과 색채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여 한국 채색화 전통에 있어서 고려탱화의 가치와 그 의의에 대하여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현존하는 고려탱화를 양식별로 살펴보면 6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재난과 질병을 막아주는 보살을 그린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중생을 구제하는 자비로운 보살을 그린 관세음보살도(觀世音菩薩圖), 사후의 세계에서 중생을 교화하고 구제하는 보살을 그린 지장보살도(地漿菩薩圖), 내세(來世)의 번영을 바라는 아미타불을 그린 아미타여래도(阿彌陀如來圖), 부처의 경지를 깨우친 제자들을 그린 나한도(羅漢圖), 경전의 내용이나 교리를 그린 변상도(變相圖)이다. 그 중에서도 고려시대에 가장 많이 그려진 탱화는 ‘아미타탱화(阿彌陀幀畵)’이다. 아미타탱화의 유형은 내용에 따라 아미타불이 극락으로 인도하는 모습을 그린 아미타내영도, 아미타불이 서방정토(西方淨土)에서 설법하고 있는 모습을 그린 아미타설법도, 극락의 모습을 표현한 관경변상도로 나눌 수 있다. 아미타탱화의 특징을 살펴보면 아미타내영도는 아미타불의 발아래 구름이나 연꽃이 표현되어있고 아미타설법도는 아미타불이 결가부좌한 자세로 표현되어지며 관경변상도는 불교의 설화적 내용이 한 화면에 동시에 표현되었다. 고려탱화의 사상적 배경 중 핵심적인 것은 정토사상이다. 정토사상은 부처에 의지하여 극락의 세계인 정토로 귀의하고자 하는 것으로 타력신앙(他力信仰)의 성격을 띤다. 고려시대 사람들은 잦은 전쟁과 내란으로 인하여 어려운 시대상황을 불력으로 극복하고자 아름다운 극락정토를 꿈꾸며 이상세계를 고려탱화를 통해 표현하게 되었다. 고려탱화에 나타난 색채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 데 첫째는 오색(五色)의 사용이다. 오색은 음양오행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색채에 상징적 의미를 내포시킨 것이다. 백(白)은 진실과 정직, 청(靑)은 창조와 불멸, 흑(黑)은 만물의 생(生)과 사(死), 적(赤)은 존귀함과 성스러움, 황(黃)은 고귀함을 상징한다. 둘째는 금색(金色)의 사용이다. 금(金)은 부처의 존귀함을 나타내는 색채로서 풍요로움과 성스러움, 진리와 지혜의 무한한 빛을 상징한다. 이러한 오색과 금색의 사용은 탱화작품의 표현적 측면에서 더욱 화려하고 아름답게 만드는 장식적인 역할을 한다. 고려탱화의 색채관은 음양오행사상과 민간신앙, 민속적인 사상까지 함께 어우러져 사상적 근간을 이루었으며 귀족적 취향과 상징적인 색채관이 결합되어 독특한 조형적 특징을 띠게 된다. 고려탱화는 불교사상의 교리적 내용을 표현함과 동시에 화려하고 정밀한 표현을 통해 고도화된 조형미와 예술적 풍격을 지닌 미술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고려탱화의 유형과 색채관 연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고유의 미의식과 유형별 특징에 따른 정밀한 화면구성, 그리고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 화려한 색채표현 등은 한국 현대채색화 연구에서 전통의 재창조를 이루어 낼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