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감성지능이 영어 학습 불안, 학업적 자기효능감, 영어 능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아영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감성지능이 영어 학습 불안, 자기효능감, 그리고 영어 능숙도와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서울과 울산에 위한 4개의 고등학교의 고등학생 53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참여자는 남학생 370명, 여학생 162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감성지능의 측정에는 Cooper와 Petrides(2010)의 ‘The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Questionnaire-Short Form’(TEIQue-SF), 영어 학습 불안의 측정에는 Horwitz와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측정에는 김아영과 박인영(2001)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영어 능숙도 측정에는 이준규(2014)의 ‘제2언어 능숙도 자가평가’를 사용하였다. 각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프로그램을 통한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고등학생의 감성지능과 영어 학습 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 결과 감성지능과 영어 학습 불안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즉, 고등학생의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영어 학습 불안의 수준이 낮았음을 보여준다. 하위 요소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감정 인식을 제외하고 모든 감성지능의 하위요소들이 영어 학습 불안의 하위요소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난 것이 확인되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고등학생의 감성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 결과 고등학생의 감성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감성지능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도 높았다는 것이 나타났다. 하위 요소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는 행복 성향을 제외한 모든 감성지능의 하위요소들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고등학생의 감성지능과 영어능숙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 결과 고등학생의 감성지능과 영어능숙도 간의 유의미한 상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영어능숙도는 감성지능의 하위요소 중 자아존중, 사회인지, 자아동기를 제외한 어떠한 요인들과도 상관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감성지능은 영어 학습 불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는 점에서, 제2언어 학습자의 중요한 정의적 요인으로 규명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통해 제2언어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영어 학습 불안을 낮추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여 영어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방안을 모색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교사는 외국어 교수학습 계획에 있어서 학생들의 정서를 고려한 학습내용을 선정하거나 스스로의 정서와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여 소통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학습방법 등을 고안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trait EI; Petrides & Mavroveli, 2007)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English learning anxiety, academic self-efficacy and English proficiency. The participants were 532 second-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via the questionnaires: The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Questionnaire-Short Form (TEIQue-SF),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In order to investigat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the participants filled in the Self-assessment of Second Language (L2) Proficienc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and the major findings are: 1) students’ EI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English learning anxiety; 2) students’ EI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nd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found between students’ EI and their English proficiency. It is suggested by the findings that trait EI might be one of a number of basic personality variables partially determining English learning anxiety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further to find possible ways to improve students’ EI. In preparing for English classes, English teachers need to consider how to create a learner-centered and collaborative atmosphere. Also, they can design curricula and materials more related to students’ needs. Such efforts may help lower students’ English anxiety levels and increase their self-efficacy, and then it can encourage students to learn English more effectively.

      • 과잉행동학생의 문제행동에 따른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김아영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ess caus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the problem behaviour of students with hyperactivity and to analyse their coping styl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s the stress caused by the problem behaviour of students with hyperactivity affected by the teachers own experiences? (Experiences: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length/ work experience, experience and training of special needs and experience of working with elementary grade students) Second: Are the coping styles used to cope with problem behaviour of students with hyperactivity affected by the teachers own experiences? (Experiences: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length/ work experience, experience and training of special needs and experience of working with elementary grade students) Third: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students' problem behaviour and the teachers' coping styl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tudy surveyed 186 teachers working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Ulsan. In order to analyse the first two problems a one way anova was used. In order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problem behaviour and the teachers' coping styles,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stress due to the problem behaviour of students with hyperactivity is affected by their own experiences, in particular by their career experience. Those with more than 20 years experience felt more stressed because of problem behaviour such as attention deficiency and hyperactivity with impulsivity. Whereas, those with less than five years experience felt more stressed because of problem behaviour such as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and a peer conflict scale. Second: Coping styles used to cope with problem behaviour of students with hyperactivity were also affected by the teachers own experiences, in particular by their career experience. Many of those with five to ten years experience used active coping styles. Others used more negative and passive coping styles. Third: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tudents' problem behaviour and the teachers' coping styles. When teachers found attention deficiency problems they used active coping styles. When they fou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problems passive coping styles were used.

      •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김아영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그릿이 매개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W시에 소재한 9개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32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Nolten(1994)의 사회적 지지 도구를 참고로 문은식(2002)이 개발하고 명수정(2011)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김아영과 박인영(2001)의 연구에서 개발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릿 척도는 Duckworth 와 그의 동료들(2007)이 개발한 Original Grit Scale(Grit-O)를 이수란(2015)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문항 간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는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릿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그릿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릿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사회적 지지가 그릿을 증가시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아 학업상황에서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 내담자를 상담할 때 사회적 지지와 함께 그릿을 높여줌으로써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 if gri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following scale with 332 high school students in nine general high schools located in W. City, Gangwon-do. Social support was measured, using the scale developed by Moon (2002), referring to Nolten’s social support instrument(1994)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Myeong(2011). Academic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in Kim & Park(2001). Grit was measured, using the Original Grit Scale (Grit-O) adapted by Lee(2015), which had been developed by Duckworth (2007). With the collected data,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WIN 18.0 Software.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Cronbach's α was calculated,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ocial suppor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grit,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addition, to investigate if gri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Baron & Kenny’s procedures for verifying its mediating role(1986). Also,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a sobel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In addition,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rit. Also, gr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grit i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is means that the social support of high school students had a direct impa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that the social support increases grit so that academic self-efficacy incre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help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by increasing grit as well as social support in counseling youth clients who experience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academic situations due to their low academic self-efficacy.

      • 팽화에 따른 도라지의 platycoside 변화

        김아영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팽화에 따른 도라지의 platycoside 변화 김아영 식품 생명공학과 생명 공학원 경희대학교 초 록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Campanulaceae) 뿌리인 길경 (Platycodi radix)은 예로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장생도라지는 21년 이상 자란 도라지로써 다양한 약리 물질과 약리 활성을 가진다. 도라지 성분 중 Platycoside는 도라지 사포닌으로 약리 효과를 내는 주된 물질이다. 팽화는 처리 과정 중 탈수작용으로 인해 다공질화 구조, snack-like 식감 등의 변화를 나타낸다. 게다가, 팽화 과정 중의 열과 압력은 팽화된 시료의 화학적 구성을 변화시킨다. Platycosides의 화학적 구조와 생물학적 활성은 팽화 과정 중에 변화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4년 근과 21년 근 도라지를 서로 다른 수분함량과 팽화 압력 하에서 팽화 시켰을 때, 팽화에 따른 도라지의 추출 수율, 조사포닌 함량,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그리고platycoside 함량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4년 근과 21년 근 도라지의 동체를 5 mm의 일정한 두께로 세절한 뒤 도라지 시료의 수분함량을 각각 4.0%, 6.0%, 8.0% 그리고 10.0%로 제조하였다. 건조한 도라지 절편을 회전식 팽화기를 이용하여 압력 7 kgf/cm2, 8 kgf/cm2, 9 kgf/cm2, 10 kgf/cm2에서 팽화를 유도하였다. 추출에는 70% 주정이 사용되었고, 조사포닌은 수포화 부탄올법을 이용하여 얻었다. DPPH radical assay 방법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었다. Platycoside 분석을 위해 HPLC-ELSD기기가 사용되었다. 팽화 도라지는 팽화 처리 하지 않은 도라지에 비해 높은 추출 수율, 조사포닌 함량,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보였다. 팽화 시킨 4년 근, 21년 근 도라지의 추출 수율과 조사포닌 함량은 각각 35.4-62.1 %, 35.9-52.7 %, 18.8-60.4 mg/g dried sample, 34.4-70.5 mg/g dried sample로 증가되었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또한 19.4-127.4 mg AEAC/g sample, 34.0-138.1 mg AEAC/g sample로 증가되었다. 팽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platycodin complex의 함량을 감소하였다. 팽화 도라지의 추출 수율, 조사포닌 함량,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증가와 주 platycoside 함량의 감소의 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팽화는 물리적인 특성과 화학적인 특성 모두를 변화시킬 수 있다. 팽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 증대, 항산화 활성 증대 등 새로운 기능성에 대한 도라지 가공 기술을 확보할 수 있으나, platycoside를 대부분 파괴시키기 때문에 platycoside에 대한 약리 효과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Platycodi radix,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Campanulaceae), commonly known as Doraji in Korea, Jiegeng in Chinese, and Kikyo in Japan, has been used as either a food material or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Old P. grandiflorum (over 21 year old platycodon) produced under strict control at the bottom has physiologically active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activity. Platycosides are the saponins of P. grandiflorum and they have several beneficial effects. Puffing creates an aerated, porous, snack-like texture with the added benefits of de hydration. Futhermore, heat and pressure during puffing also cause the change of chemical composition of puffed materials. The chemical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of platycosides would be changing during puffing proces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traction yield, crude saponin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latycoside contents of platycodi radix grown for 4 and 21 years by puffing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 and puffing pressure. Platycodi radix grown 4 and 21 years were sliced with 5mm thickness and dried to moisture contents of 4.0, 6.0, 8.0, and 10.0% respectively. Dried platycodi radix were puffed at various pressure(7, 8, 9, 10 kgf/cm2) using a rotational puffing gun. Extraction was performed with 70% ethanol and crude saponins were obtained using water saturated butanol. DPPH radical assay method used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latycosid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HPLC-ELSD. Puffed platycodi radix showed relatively higher extraction yield, crude saponin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non-puffed platycodi radix. Extraction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s of puffed 4, 21-years old platycodi radix increased from 35.4 to 62.1 %, 35.9 to 52.7 %, 18.8 to 60.4 mg/g dried sample, 34.4 to 70.5 mg/g dried sample,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increased from 19.4 to 127.4 mg AEAC/g sample, 34.0 to 138.1 mg AEAC/g sample. With increasing puffing pressure, the contents of platycodin complex decreased. Puffing could change both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platycodi radix resulting in increase of extraction yield, crude saponin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ecrease of major platycoside contents. Even though puffing was not considered as a one-step process substitutable for a whole traditional heat extraction, it showed a high potential as a unit process to extract the valuable compounds from platycodi radix effectively.

      • 광양항의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아영 순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4차 산업 혁명의 등장에 따라 항만에 발생하는 영향과 변화를 파악하고, 광양 컨테이너터미널의 물류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4차 산업 관련 기술의 적합도를 탐색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컨테이너터미널의 효율적인 운영에 필요한 정책방향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게이트시스템, 야드시스템, 안벽시스템, 정보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평가에 필요한 구성요인과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을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평가모형을 설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선행연구 고찰과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연구설계에 필요한 구성요인을 도출하였고, 연구모형 구성과 평가를 위해 AHP 분석방법론을 이용하였다.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시스템에 적용할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적합성 모형 분석을 위해 컨테이너터미널과 학계 항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쌍대비교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평가요인 각각의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컨테이너터미널의 물류시스템 중 정보시스템 분야에 대한 4차 산업혁명 기술 적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 적용기술 중에서는 정보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빅데이터 기술의 종합 적합도가 0.119로 4가지 적용기술 중 가장 중요하고 적합한 기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는 정보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AI(인공지능) 분야의 기술 적합도가 0.105로 나타났고, 안벽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AI(인공지능) 분야의 기술 적합도가 0.079, 야드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AI(인공지능) 분야의 기술 적합도가 0.077, 야드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IOT 기술 적합도가 0.076, 안벽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빅데이터 기술 적합도가 0.076 순으로 나타났다.

      • 광양항 항만시설물 개선 및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김아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광양항은 글로벌 교역항로의 주간선 항로에 위치하여 묘도섬을 방파제로한 천혜항만으로 입지가 우수하여 장래 글로벌 복합항만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노후화된 시설과 국내·외 항만과의 경쟁심화 등으로 광양항의 운영 확대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양항의 주요 현안 중 항만의 노후화 개선, 인프라 품질 향상, 시설의 안전성과 Renewal을 통한 항만 효율성 극대화 등 항만시설물과 관련된 문제의 개선사항과 운영전략을 제시함으로서 복합항만 운영으로서 지속 가능한 광양항 운영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광양항 항만시설물의 정성적 평가를 위해 항만전문가의 FGI를 통해 항만시설물 운영과 개선과제에 대한 이슈와 평가요인을 도출하였고, 평가 요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 AHP모형 설계와 Fuzzy AHP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항만시설물 운영에 대한 중요도 평가를 통해 향후 광양항 항만시설물의 운영전략과 개선방향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도록 설계하였으며, 광양항 개별 항만시설물에 대한 운영현황 대비 실행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IPA 분석도 실시하였다. AHP 분석에서는 하위계층의 12개 평가 요인 중 신속한 유지보수,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보유, 시설관리전문성, 이용편리성, 이용자 의견반영, 전문적인 보안시스템 보유, 도로포장 상태 관리, 시설물 관리 정보 제공, 유지보수 후 신속한 잔해처리 관리, 관리직원 만족도, 청결한 관리, 적절한 편의시설 배치 순으로 중요도가 분석되었다. Fuzzy-AHP 분석에서는 신속한유지보수,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보유, 보안시스템, 이용편리성, 시설관리전문성, 이용자 의견반영, 도로포장 상태 관리, 관리직원 만족도, 시설물 관리 정보 제공, 유지보수 후 신속한 잔해처리 관리, 적절한 편의시설 배치, 청결한 관리 순으로 중요도가 분석되었다. AHP와 Fuzzy-AHP 2개의 상위 계층의 분석 결과 항목의 중요도 순서는 ‘항만시설물운영, 항만시설물 지원, 항만시설물 환경’ 순으로 동일 하였으나, 하위계층의 12개 평가 요인중 7개 항목의 중요도 순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실행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한 IPA 분석에서는 항만시설물 개선요인의 중요도·적합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개선요인 기본시설 분야의 ‘방충재’ 항목이 중점개선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광양항의 운영전략을 단계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선실행 전략으로 항만시설물 만족도 관리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IPA 분석결과 중점개선영역에 속했던 방충재의 집중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중기 실행전략으로 항만시설물 만족도에 대한 중요도 및 적합도를 반영하는 AHP 결과와 IPA 결과를 병행해서 관리하는 전략이다. 셋째, 중장기 실행전략으로는 항만시설물 만족도에 대한 중요도 및 적합도를 반영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중장기적인 자원 및 가용도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넷째, 일상 실행전략으로 항만시설물 만족도에 대한 중요도 및 적합도가 낮아서 관리에 반영하는 비율이 낮으나 일상 점검으로 반영되는 것이 필요하다. 종합적으로 볼때 광양항의 발전을 위하여 항만시설물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시설물 관리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항만시설물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족도 조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만족도 중요항목을 모니터링하고 단기적이고 긴급한 개선의견을 제시한 항목을 집중 관리하도록 계획을 반영하고 자원을 배정하는 것이다.

      • 라이프니츠 ‘모나드’의 도덕교육적 의의

        김아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라이프니츠(G.W. Leibniz)의 ‘모나드(monade)’의 개념으로 바라본 학생에 대한 이해를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도덕교육의 현장에 의미하는 바를 기술하고자 시작되었다. 라이프니츠는 세계는 수 많은 모나드로 구성되어 있고 그 모나드의 내부에는 선험적인 인식이 주름지어져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러한 모나드의 내적 주름이 현상에 펼쳐지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모나드로서의 인간 내부에 있는 선험적이고 본유적인 인식들에 주목했다. 이는 도덕교육의 오랜 과제였던 ‘선의지란 어떻게 성립되는가?’의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의 마음에 있는 선성(善性)의 근거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라이프니츠는 그의 저서 『모나드론』을 통해 모나드의 다양한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먼저 모나드는 그 존재의 당위성을 모나드의 단순성을 통해 찾고자 한다. 단순하다는 것은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는 의미이고 더 이상 나누어 질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즉, 모나드로서의 개체는 자연적으로 집적되거나 무언가가 나누어져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창조를 통해서만 생성되고 파괴를 통해서만 소멸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이프니츠는 모나드의 창조와 파괴의 주체로 절대군주로서의 신을 옹호하고 있다. 이러한 단일 개체로서의 모나드들은 내부에 필연적으로 각기 다른 성질을 갖는다. 그리고 그러한 성질들은 다양한 규정성으로 내부에 주름지어져 있다. 이러한 모나드의 내적 복수성은 모나드를 결국 하나이면서 여럿인 존재 양태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존재 양태는 모나드의 변화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모나드는 외부적 자극이나 경험을 통해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내부에서의 변화의 원리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모나드가 겪는 일반적인 경험은 모나드 내부에 주름지어진 내적 복수성을 발현하는 특별한 ‘계기’로 작동할 뿐, 그것이 모나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직접적인 동력이 될 수는 없다. 모나드가 내재하는 성질에는 관계에 대한 것 또한 포함되어 있다. 즉 각 모나드가 관계 맺는 수 많은 상황은 모나드 내부에 이미 잠재된 필연성으로 내재하여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모나드의 관계의 필연성은 교사와 학생간의 만남과 도덕수업이라는 특수상황의 필연성으로 이어져 도덕교사의 사명을 더욱 고취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모나드로서의 학생의 특성을 알고 이를 도덕교육과정에 대입하여 그 의의를 기술하고자 한다. 학생을 단일 개체로서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 밖에 없는 모나드로서 인식하는 것이 도덕교육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찾고, 라이프니츠의 모나드적 세계관에서의 도덕적 경험이 학생의 도덕성 성향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되짚어 보며 도덕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것이다. 또한 숙명적 관계로서의 도덕수업과 교사, 학생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생 내부에 있는 선한 방향성으로서의 모나드가 도덕교육 현장에 의미하는 바를 고찰하면서 본 논문을 마무리 하고자 한다. 라이프니츠의 모나드 이론은 기존의 지행합일 차원에서의 도덕교육을 넘어서 내부에 선성(善性)을 내재하는 필연적 존재로서의 학생 개체에 대해 논의 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우리가 도덕교육의 현장에서 다루어야 하는 내용이 학생의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 내부에 잠재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그러한 잠재된 도덕교육의 내용이 보편성을 통해 합의된 것이 아니라 필연적이고 영원한 진리로서 지위를 인정받은 진리라는 사실도 도덕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모나드로서의 학생 이해를 통한 도덕교육을 통해 학생은 내부에 잠재되어 있는 영원한 진리로서의 선성을 발견하고 다양한 가능성의 빈위들 중 보다 도덕적인 빈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영원진리로서의 선한 방향성에 부합하는 삶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학교 급별 위계화 연구

        김아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which is continuously handl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o reconstruct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Here, the hierarchy has both the attributes of ‘continuity’ and ‘sequentiality’, continuity refers to the fact that one and the same contents of education must be treated on an ongoing basis without disconnection even if the grade changes, sequentiality refers to the sequencing of what is to be taught first when organizing an educational contents. Such a hierarchy was especially necessary in the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which deals with the same contents repeatedly. Up until now, the Korean spelling system in school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rules and has been made only on a level of knowledge transfer. As a result, the content of Korean spelling education does not have a hierarchy by school level, and it stays at the level of knowledge used in the revision process of writing in short terms. However, because the Korean spelling system is the starting point for vocabulary learning and is the basis for reading skills including writing, the contents that can not be deal with in different stages of school are repeated in a manner that can not be deal with properly.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that for proper education to be carried out in the Korean spelling system, education must be conducted according to school grades and grades. Chapter Ⅱ decided to review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based on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and critically examine the Korean spelling system education so far. As a result, it has been shown that current Korean spelling education has been poorly conducted in school grammar education. In addition, all school classes repeatedly deal with the first paragraph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and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contained in paragraph 1, they have very similar forms that lead to an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Korean spelling system. Through a review of the implementation aspects of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we reconfirmed the need for hierarchical Korean spelling education and reconstructed the need for ‘content of Korean spelling’ in school education, which has never been further analyzed.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Chapter Ⅲ looked at the directions in which the contents of education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nd looked for criteria to establish a hierarchy of the contents of Korean spelling. As a result, criteria were set based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learners and difficulty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Through this, the motivation created by the interest of learning at the level of the learner’s awareness has led to the need to learn more grammar and to show a level of depth. In addition, the level of difficulty in the content of education was found to be able to organize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in a hierarchical manner by using the scope setting and the use of grammatical terms. In chapter Ⅳ, based on the analysis, this article searched for a hierarchy of contents of Korean spelling education and reconstructed contents of Korean spelling education. Specifically,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Korean spelling according to each school level were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go further from theoretical exploration in the criteria of hierarchy, and indicate that no in-depth study has been conducted. Al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effects of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education based on the fact that it has not been confirmed ing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the study on the hierarchical method of Korean spelli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learners of Korean spelling that is used throughout their lifetime.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지는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위계가 갖는 교육적 실태를 확인하고, 학교 급별 위계에 맞추어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을 재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 위계는 ‘계속성’과 ‘계열성’의 두 가지 속성을 모두 갖는 것으로, 계속성은 한 가지의 동일한 교육내용이 학년이 달라지더라도 단절됨 없이 계속적으로 취급되어야 하는 것을 말하고, 계열성은 하나의 교육내용을 조직할 때 어떠한 것을 먼저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선후 관계를 따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위계는 같은 교육내용을 반복적으로 다루는 문법 교육내용에서 특히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에 주목하였다. 지금까지 학교 교육에서의 한글 맞춤법은 규정에 치중되어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수준의 교육으로만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은 학교급별 위계를 갖추지 못하고, 단편적으로 쓰기의 교열 과정에 사용되는 지식 정도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한글 맞춤법은 어휘 학습의 출발점이며 쓰기를 비롯한 읽기 능력의 기초적 토대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학교 급별로 단계화하여 중요하게 다룰 수 있는 내용을 되풀이하는 방식으로 교육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글 맞춤법에서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급별, 또 학년별에 따른 교육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Ⅱ장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실현 양상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한글 맞춤법 교육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행 한글 맞춤법 교육이 학교 문법 교육에서 소홀하게 이루어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모든 학교 급에서 한글 맞춤법 제1항만을 반복적으로 다루며, 제1항을 담고 있는 기본 원리를 토대로 전반적인 한글 맞춤법의 이해를 유도하는 매우 유사한 형식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실현 양상 검토를 통해 한글 맞춤법 교육의 위계화에 대한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분석된 적 없던 학교 교육에서의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을 정리하였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학교 급별에 따라 교육내용을 나눌 수 있는 방향을 살펴보고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위계를 구성하기 위한 기준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인식 수준과 교육내용의 난도 수준으로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 인식 수준에서는 학습의 흥미로 인해 생긴 학습동기가 더 많은 문법지식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알고자 하는 학습욕구로 이어져 심화 수준의 모습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교육내용의 난도 수준에서는 한글 맞춤법 조항 이외에도 범위 설정, 문법 용어 사용, 내용 체계 등을 활용하여 위계를 갖춘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위계화 방안으로서 학교 급별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학교 급에 따른 한글 맞춤법 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위계 설정 기준에 있어서 이론적 탐구에서 더 나아가,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지 못하였다는 점을 밝힌다. 또한 위계화에 따른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효과를 실제 교육현장에서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점을 토대로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학교 급별 위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는 평생에 걸쳐 사용되는 한글 맞춤법 학습자들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앞으로도 이와 같은 내용을 실제 현장과 관련해 깊이 있게 다루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 인성 함양을 위한 초등 미술 수업방안 연구 : 조선시대 초상화를 중심으로

        김아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선시대 초상화에서 발굴한 인성 요소를 함양할 수 있는 미술 수업을 고안하여 미술 교과에서의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2015개정 초등 미술교육에서는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공동체 안에서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살아갈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미술 교과의 목표와 성격에서 미래 사회에서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인성 요소를 발굴하고, 전통 윤리의 인성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조선시대 초상화에서의 인성 요소의 유사점을 찾아 수업 방안을 고안한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라는 미래 사회에서의 인재에게 고도로 발달한 기술과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인간성을 잃지 않고 기계와는 다른 인간 본질의 인성을 함양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인성교육진흥법과 인성교육 5개년 프로젝트를 제정하여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인성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고 있다. 학교는 학생들이 학습을 하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사회에 나아가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바르게 살아갈 수 있는 기초 역량을 키우기 위한 공간이기도 하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개인의 삶을 가꾸는 힘을 키우면서 자신과 접하는 사회와 어울리는 방법을 경험을 통해 익혀 나간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 시기에 놓여 있고, 이 시기에 올바른 인성 함양을 위해서는 자기 이해와 상호 존중의 자세가 우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미술이 가지고 있는 시각적 효과와 미술 작품을 체험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인성 교육적 효과를 찾아보고자 한다. 그림을 소재로 삶과 성품에 대해 성찰하고 보다 나은 삶으로의 길을 만들 수 있는 교육활동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의 초상화에 나타난 미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자신과 친구의 초상화를 제작하며 나와 친구들이 바라보는 올바른 인성의 조건을 깨닫고 갖춰 나갈 수 있는 수업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선시대의 초상화는 산수화나 화조화 등 보다는 논의가 적고 초등 미술과에서 다루어지는 비율이 낮은 편이다. 교과서에서도 주로 감상이나 역사적 인물에 대해 탐구해 보는 정도에서 교육이 이루어져 쓰임이 적은 분야이기도 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조선 시대 초상화의 제작 특성과 표현 방법을 미적으로 살펴보고 나와 주변에 있는 인물을 탐색함으로써 삶에 대해 깊게 탐구하고 교류함으로써 인성을 함양시키고자 하였다.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자신과 대상의 본 모습을 살피고 마주할 수 있는 성찰이 우선하여야 한다. 인물의 본질을 표현하는 초상화야말로 통해 올바른 자아 형성의 바탕을 마련하고 협동 활동을 통해 상호 이해와 교감의 기회를 제공하여 올바른 인성을 갖춘 인격체로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는 인성교육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시대의 초상화를 소재로 작품 제작 과정에서 인성 교육적 측면이 발현될 수 있는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한다. 첫째, 조선시대 초상화의 주제와 표현 형식에 나타난 인성 교육적 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조선시대 초상화를 활용하여 인성 역량을 함양하는 수업을 개발할 수 있는가? 셋째, 조선시대 초상화를 활용한 미술 수업의 교육적 효과는 어떠하며 인성교육과는 어떻게 연계되어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질적 실행연구로 미술 교육활동에 자기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자신과 공동체에 대한 성찰에 관련한 실천적 활동을 통해 인성 덕목을 함양한 인재로의 성장을 돕는 방안을 마련하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연구·제시한다. 이를 위해 조선 시대 초상화의 형식과 특성, 조선 시대 초상화의 인성교육과 관련한 요소, 인성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고 교과서와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존중의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미술 수업 방안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확인한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문제,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의 제한점, 용어의 정의를 제시한다. Ⅱ장에서는 조선시대 초상화와 인성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고, Ⅲ장에서는 실행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수업을 설계한 후 실시한다. Ⅳ장에서는 실제로 수업하고 그 결과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 Ⅴ장은 본 논문의 결론으로 연구 과정과 결과를 요약하고 앞으로의 후속 연구 방안에 대해 제언한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현장 녹음, 학습 결과 산출물, 관찰 기록지, 면담 기록지 등이 있다. 본 연구는 2015 미술과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아동 발달 시기를 고려하여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한다. 00초등학교 5학년 2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2주간 총 6차시의 수업을 진행한 후 미술 수업 동안 경험한 인성 요소들을 발견하며 올바른 인성을 갖춘 자세로 상호 교류했을 때의 긍정적인 감정을 내면화하여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인성 요소를 함양하도록 하는 수업이다. 본 연구는 전통적 미술 표현의 기법과 형식을 배우고 직접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조선시대 초상화의 제작 과정에서 발굴한 인성 요소를 학생들의 대화 과정속에서 직접 체험하면서 교류하는 경험의 내재화에 중점을 둔 수업이다. 따라서 기법의 정교함, 작품의 우수성보다는 상호 교류하는 과정에서의 안정적인 대화 기법, 상대방을 존중하면서 대화하는 태도의 형성을 위한 미술 수업의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첫째, 타인의 일상에 주의를 기울여 관심을 갖고 대화하는 과정에서 가져야 하는 태도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인간관계는 대화로 교류하고 탐색하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학생들은 평소에 쉽게 하던 대화의 방식이 아닌 상대방에 대한 비판 없이 있는 그대로를 수용하고 좋은 점을 찾는 대화를 통해 긍정적인 감정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둘째,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다. 초상화는 인물의 외형을 관찰하여 닮게 그려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는 작업이다. 하지만 본 연구 수업은 초상화의 완성도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이 아니고 초상화를 제작해 가는 과정에서 인물의 삶을 탐색하고 관계를 원만히 만드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인물 사진을 본떠서 밑그림을 그려 형태에 대한 부담감을 줄였다. 작품 제작 후 소감을 나누는 시간에도 표현기법보다 인물의 성향이나 내면의 특성이 잘 드러나 있는 부분에 대한 소감을 주로 나누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수업 진행 과정에서 학생들과의 대화 내용에 따라 짝 집단 사이의 관계와 태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대화 과정에서 공통 관심사, 새로 발견한 관심사에 따라 대화 내용과 빈도수, 연결 정도에 의해 관계가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탐색을 위한 질문이 지속되면서 대화에서 상대방을 배려하며 말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좋아하는 것을 평가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려는 노력이 배려하는 태도를 발현하도록 한 것이다. 넷째, 한국 전통 미술을 활용한 수업이 미술 문화 이해와 흥미도 증진에 영향을 주었다. 학생들은 어려움을 느끼면서도 새로운 재료와 용구에 호기심을 가졌고,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소감과 사후설문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미술 교과에서의 소통은 시각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 수업은 미술 작품의 시각적 소통과 더불어 대화를 통한 의사소통 과정을 함께 진행하면서 긍정적 감정을 교류하는 인성교육에 더욱더 효과적이었다. 학생들의 일상과 삶을 주재료로 하는 활동에서 나의 생활과 친구의 생활에 관심을 두고 상호 교류하는 일련의 과정이 올바른 인성으로 사회성을 형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미술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시지각 착시현상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공간 디자인

        김아영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건축 동향은 점점 더 고층화 되어 달려가고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 속에서 건물 내의 수직 이동을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공간이 절대적 필수가 되었다. 엘리베이터의 초기 모습은 높은 곳으로 편리하게 운송하고자 하는 목적의 도르래형식의 원리에서 시작되었다. 단순 운송목적으로 개발되었던 엘리베이터는 점차 발전되는 건축양식과 함께 눈부시게 발전하여 온 것이다. 근래의 엘리베이터 환경은 갈수록 많은 부가가치를 요구하며 발전해 가고 있다. 더 빠르게, 더 편리하게, 더 안락하게, 더 높이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의 기대치에 부응할 수 있는 기술력과 디자인 등의 여러 가지 면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으며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공간은 이동하는 비고정적 밀폐 공간이라는 특성이 사용자들에게 거부감을 심어준다. 이동하고 있는 불안정한 공간이라는 것에 밀폐된 좁은 공간적 압박감이 사용자의 공포심을 극대화 시킨다. 기술적 한계를 벗어난 부가적인 문제성은 디자이너들의 연구와 고민에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시지각적 착시라는 시각의 지각오류를 통하여 공간의 제한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하여 극복할 수 있는 대처 방안을 모색하고 연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은 엘리베이터 내부공간의 디자인적 환경을 파악하고, 인간의 시지각적 인지능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착시현상에 의한 시지각적 공간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시지각적 착시현상으로 인한 특성으로 착시공간의 지각 유연성, 장소 경험성, 형태 연상성을 도출하였고 이에 적용되는 작품을 사례 조사하여 공간에 대한 각각의 착시표현을 통해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의 유연적 확장성은 착시에 의해 동일한 공간을 팽창, 축소하여 사용자에게 지각되어지게 한다. 착시의 유연성으로 공간의 변형이나 조작을 주지 않고 시각적 오류를 이용하여 공간과 이미지의 중첩으로 인한 경계의 모호성이나 지속적인 지각에 의한 방향성을 이용하여 공간을 시지각적으로 확장되게 만든다. 둘째, 시지각의 시각적 경험성은 개개인의 기억에 의해 동일한 공간을 지각하는 것임에도 각자의 공간 존재성과 정체성에 의한 개념을 가지게 된다. 이는 경험하는 사용자가 장소적 특징이나 환경을 쉽게 파악하는 것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며 공간에 대한 지각에서 반복, 축척되어 부여되어져 끊임없이 새로운 공간을 지각하게 한다. 셋째, 형태적 연상성은 공간을 지각할 때 장소와 주변 환경을 눈에 보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게슈탈트 심리학적 폐쇄성에 의한 인간의 폐쇄욕구로 분리된 형태들을 익숙한 형태로 재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공간의 변화는 자극에 의한 느낌과 상상력이 포함되며 총체적 현상의 착시가 가능토록 한다. 시지각적 착시 특성에 의한 공간이 다양한 착시연출 방법에 의해 표현되어지고 있음을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는 시지각 착시현상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토대로 엘리베이터 공간에 표현하기 위해 계획하고 착시연출을 위한 가상공간을 제작하여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위의 논문 연구를 통하여 공간의 제한적 폐쇄성을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내부공간의 한계는 공간 그 자체의 변화 이전에 디자인의 개발 연구로 인간의 시지각의 오류적 착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불편함에 소통할 수 있도록 연출할 수 있었다. 앞으로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지각 착시현상은 공간 연구에 무한한 방법을 제시할 것이며 다양한 학문들과 함께 많이 교류하게 된다면 공간 디자인의 발전에 무한한 가능성을 가져 올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