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산촌 체험마을의 어메니티 자원과 활용방안 : 강원도 강릉시를 대상으로

        김신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rural amenity resources in rural and mountain experience villages in Gangneung-si(강릉시) in Gangwon-do(강원도), and finding out way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rograms in experience villages through utilization of the rural amenity resources. In order to do so, we first studied the theme and current situation of rural and mountain experience villages. Then, we related the results we acquired from investigating rural amenity resources to experience programs held by the town, to come up with ways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resources. We restricted the extent of this research to Gangneung-si in Gangwon-do since there are lots of specified experience villages. Among them, rural experience villages we chose were Wangsan-ri(왕산리) in Wangsan-meon(왕산면), Sinwang-ri(신왕리) in Yeongog-meon(연곡면), Haksan-ri(학산리) in Gujeong-meon(구정면), Jangduk 2-ri(장덕2리) in Jumunjin-eup(주문진읍). For mountain eco villages, we chose Daegi-ri(대기리) in Wangsan-meon and Samsan 3-ri(삼산3리) in Yeongog-meon. We compared the experience programs held by each villages with the rural amenity resources we investigated, and grouped for ways of efficient utilization of resources. Through this process, we set up the theme for each villages by adding amenity resources which are not very much in use but is highly recognized. Then, we planned the recommended experience programs. This was to comb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rural and mountain villag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menity resources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sources utilization. We organi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s follows. 1) Haksan-ri village in Gujeong-meon has many cultural resources such as Haksan Odokttegi(학산오독떼기), traditional houses, nurse-trees and cultural assets related to Gulsansaji(굴산사지) - a relic of gulsan temple. This village has lots of traditional resources and cultural resources, so we chose the theme of 'village with history and culture' and planned a special experience program, for example, cultural heritage orienteering, thereby, adding activity to the already existing program called looking around on a wagon drawn by a cow. 2) For Wangsan-ri village in Wangsan-meon, we chose the theme of 'The eight famous spots in Wangsangol(왕산골) and a village of pure nature' since there are lots of topographical resources such as cliffs, waterfalls, swamps. There are seasonal farming experience and cultural experience programs. This village also offers exploration of forests, wild flowers, constellation, making crafts, farm experience, orienteering, and tracking programs during all four seasons. 3) The theme for Sinwang-ri in Yeongog-meon, is 'Pro-environmental village with fresh air and clean water'. We utilized the topographical resources in Shinwang-ri such as duck farming system, Sinwang cucumber and pumpkins and some other special resources along with Sucheongdong(수청동) valley. We positively utilized special resources produced by pro-environmental methods and beautiful Sucheongdong valley which is included in Odaesan(오대산) National park. We divided the space and offered programs of pro-environmental farming experience,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river experience, and nature ecology experience. 4) Jangduk 2-ri in Jumunjin-eup has many festivals such as fruit village, Boksa(peach) festival and Scarecrow festivals. Thus, we chose the theme of 'Fruit garden and scarecrow village'. The main seasonal experience programs are clipping trees in the garden, flower pruning, fruit thinning and harvest. We also planned a program of holding farming machine exhibition. 5) Daegi-ri in Wangsan-meon is a highlands over 700m above sea level and has many mountains and mountain tops. Thus, we chose 'Mountain village on the highlands'. Because of its topographical resources, the forest culture experience is the main experience program of this village. Seasonal highlands farming is possible and we also offered many seasonal festivals. 6) Sansan 3-ri in Yeongog-meon has the theme of 'Fortress protected by mountain' and so, there are many experience programs in the mountains such as exploration of the ecology and health of forests and mountain sports. By using the facilities of cultivating edible mountain herbs, we planned a program in which people can actually cultivate and taste wild greens and fragrant mushrooms. The programs, also, we introduced in this research are divided into two types by the nature of visitors. : a day's trip and lodging trip. We suggested their schedules in detail, according to the type of travel visitors planned to take. 이 연구는 강원도 강릉시에 지정된 농·산촌 체험마을을 중심으로 농·산촌 체험마을에 가지고 있는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조사하여 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하여 체험마을의 프로그램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농촌어메니티와 농·산촌 체험마을에 대한 주제개념 및 현황을 파악하고,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마을에서 행하는 체험프로그램과 연계시켜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체험마을이 가장 많이 지정된 강원도 강릉시를 공간적 범위로 하였다. 그 가운데 녹색농촌체험마을은 왕산면 왕산리, 연곡면 신왕리, 구정면 학산리, 주문진읍 장덕2리, 산촌생태마을로는 왕산면 대기리, 연곡면 삼산3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조사한 어메니티 자원과 각 체험마을에서 운영하는 체험프로그램을 비교하여 부존자원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현재 체험프로그램에서 활용되지 않는 인지도가 높은 어메니티 자원을 추가하여 마을별 테마를 설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추천 체험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이는 농·산촌의 문화 특성과 어메니티 자원 특성을 결부시켜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고려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구정면 학산리 마을은 굴산사지 관련 문화재와 학산오독떼기, 전통가옥, 보호수 등 전통자원과 문화자원이 많은 마을로 ‘역사와 문화가 깊은 마을’이라는 테마를 선정하여 대표적인 체험프로그램으로는 문화유적 오리엔티어링을 계획하여 기존의 소달구지타고 둘러보기에 활동성을 추가하였다. 2) 왕산면 왕산리 마을은 절벽, 폭포, 소 등 지형자원을 활용한 왕산팔경을 중심으로 ‘왕산골 팔경과 청정자연의 마을’이라는 테마를 선정하였다. 계절별로는 주로 농사체험과 문화체험 등이 있으며, 사계절 가능한 것으로 오리엔티어링이나 트레킹, 숲·야생화·별자리 관찰, 조각공예, 농장체험 등을 제시하였다. 3) 연곡면 신왕리는 오리쌀, 신왕오이·호박 등 특산자원과 수청동계곡의 지형자원을 활용한 ‘맑은 공기와 맑은 물이 있는 친환경 마을’이라는 테마를 선정하였다. 오대산국립공원에 포함되는 깨끗한 수청동계곡, 친환경농법의 특산자원들을 적극 활용하여 친환경농사체험, 전통문화체험, 하천체험, 자연생태체험으로 공간을 나누어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4) 주문진읍 장덕리는 대표적으로 과수마을, 복사축제, 허수아비축제를 중심으로 ‘과수원과 허수아비마을’이라는 테마를 선정하였다. 주요 체험프로그램은 과수원을 활용한 가지치기, 적화, 적과, 수확 등 시기별 체험프로그램과 민속농기계전시관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5) 왕산면 대기리는 해발 700m이상의 고지대로 고랭지농업과 많은 산과 봉우리의 지형자원을 중심으로 ‘고지대의 산촌마을’이라는 테마를 선정하였다. 지형자원을 활용한 숲 문화체험을 대표적인 체험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또 고지대의 특성을 살려 고랭지 농사체험을 계절별로 가능하게 하고, 계절마다 축제를 제시하였다. 6) 연곡면 삼산3리는 ‘산으로 둘러싸인 요새같은 마을’이라는 테마로 대표적인 체험프로그램은 산골체험으로 숲에서 할 수 있는 건강 및 생태탐사, 산악레포츠 등을 계획하였다. 마을의 산채재배단지 시설을 이용하여 산나물이나 표고버섯 등을 직접 재배해보고 시식해보는 체험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또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능한 체험프로그램들을 당일형, 숙박형, 방문객 성격별로 나누어 세부 일정을 계획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 소비자의 집단/개인주의 가치성향에 따른 쇼핑가치추구와 명품구매행동

        김신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극단적 소비주의시대가 도래하면서 ‘소비’할 수 없는 것이 없을 정도로 한국의 소비시장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모두 성장하고 있다. 뿌리 깊은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물질주의를 거세게 비난하기도 하였지만 결국은 서구문화 자본주의는 한국의 소비문화와 분리할 수 없는 가치가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는 웰빙 열풍으로 풍요로운 소비사회를 넘어 ‘더 잘 살기 위한’(better life) 소비를 동경하기 시작했다. 웰빙은 개개인의 행복이 가장 중요한 가치라고 강조하며 나 자신을 위한 소비의 고급화의 근거가 되었고 가치소비, 감성소비를 통한 새로운 소비문화의 국면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비의 고급화이자 사치의 대중화로 설명될 수 있는 한국의 명품소비시장은 정체성의 혼돈을 겪고 있다. 높은 가격대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으면서도 ‘3초 백(Bag)'조차 갖지 못하면 소외될 것 같은 물질주의 가치에 기반한 소비심리가 한국의 명품소비문화를 주도하고 있는 듯하다. 게다가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명품소비문화 성장의 근원을 물질주의적 성향이나 과시소비, 사회적 계층의식, 집단동조의식이나 유행 등으로 설명해 왔기 때문에 한국인의 명품구매행동은 사회적으로도 문제를 빚어왔다. 그렇다면 전 세계 많은 나라 중 오직 한국에서만 이렇듯 강력한 색깔을 지닌 명품소비문화가 형성된 원인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이 명품소비문화를 비추는 틀에서 벗어나 한국의 사회문화의 흐름을 바탕으로 한국 소비자의 독특한 명품구매행동 및 소비심리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만이 가지는 사회문화적 규범이 어떠한 통제기제로 작용하고 있으며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문화적 환경을 통한 바람직한 소비문화의 정착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사회문화적 가치관으로서 집단/개인주의 가치성향이 명품구매자들에게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이에 따른 주관적 합리성의 영역을 살펴보기 위하여 쇼핑가치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개인의 가치추구성향과 명품구매행동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명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여성 소비자 3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38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One-way ANOVA, X²(Chi-square),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Duncan test와 Dunnett T3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집단주의-개인주의 가치성향 분석결과 연령이 젊을수록, 미혼일수록 개인주의적 가치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 유무에 따라 집단/개인주의 가치 추구에 차이가 있었고, 월 소득이 높은 집단에서 개인주의적 성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개인주의자의 경우 연간 명품구매액수나 명품구매횟수가 집단주의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쾌락적 쇼핑가치추구성향도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소비자들이 세대에 따라 가치추구 성향 및 행동양식에 있어서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명품구매행동에도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이 반영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명품구매 유경험자들이 주로 구매하는 명품제품군으로는 핸드백, 지갑류가 독보적이었으나 개인주의자의 경우 집단주의자들은 잘 구매하지 않는 시계, 보석, 액세서리 류의 구매빈도가 꾸준히 나타나 개인의 가치추구성향에 따른 명품구매행동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 쇼핑가치 성향이 모두 높은 소비자의 경우 91%가 핸드백, 지갑 류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소비자들에게는 명품 구매에 있어서 사회과시적 동기가 중요한 구매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명품소비자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집단주의자는 개인주의자 보다 명품소비자에게 부정적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주의자는 긍정적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쾌락/실용적 쇼핑가치 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명품 소비자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실용적 쇼핑가치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부정적 태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how cultural tendency effects on individual's values structure and consumer behavior. Previous research on cross cultural consumer behavior shows that th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construct is useful both for comparing cultures and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within a particular cultu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impact of consumers' individualistic/collectivistic tendencies on their shopping values and luxury purchase behavior. In study, Korean consumer's unique luxury purchase behavior comes from their values formed in Korea cultural background. Also, Hedonic/utilitarian shopping values act on as a parameter to reveal how this values system works and to see consumer's 'subjective rationality' when they shop. As a result of research, first, consumers' individualistic/collectivistic tendencies depend on their demographics characteristic. That is, while the rate of individualism was highest in people in their 20s, the rate of collectivism was highest in those in their 40s and 50s. According to monthly income, consumer who makes more money tends to be more individualistic. Individualist group pursues more hedonic shopping values than collectivisit group. Result from analyzing thes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umers's cultural tendency, people between generations have different values and consumption pattern. These results suggest Korean's individualistic/collectivistic tendencies reflect on luxury purchase behavior. Second, almost every consumer is pleased to have luxury brand ‘bags’ and ‘wallets’ though, but individualist group is interested in watches, jewels and accessaries which collectivist group rarely buys. This proves that cultural tendencies are affected on a purchase decision of luxury product category. Besides individualist group regards hedonic shopping value as important than collectivist group. Individualism has influence on hedonic shopping value and luxury purchase behavior. Third, consumers who actively pursue both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more likely to buy luxury products to socially show off their ability. As hedonic shopping value gets high score, consumers tend to buy luxury product to show off their social class. Lastly, collectivist group has negative attitude to consumers who buy luxury products but individualist group has positive attitude to luxury purchaser. Those who had higher scores on hedonic/utilitarian shopping values have positive attitude to consumer who buy luxury products, but those who pursue utilitarian shopping values only have negative attitude to luxury purchaser. That is, cultural tendencies and shopping values are criterion to understand other people's purchase behavior.

      • 초등학교 방과 후 한국무용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관한 교사 인식 연구

        김신애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학교, 학생의 높은 참여율을 보이는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중 한국무용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무용교육에 대한 인식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한국무용교육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익산시 소재의 초등학교 교사 43명으로 방과 후 한국무용교육 필요성 및 한국무용에 대한 교사 인식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JAMOVI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로 나타내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무용의 일반적 관심에 대한 인식도에서 한국무용 관람 유무는 높게 나왔지만 평상시 한국무용 공연정보에 대한 관심과 발레, 현대무용과 같은 외국무용에 비해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은 적게 나타났다. 한국무용에 대한 이미지로는 한복의 화려함과 한국음악에 대한 것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둘째, 한국무용의 교과 적용에 대한 인식도에서 한국무용을 교과에 적용하지 않는 교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적용하지 않는 이유로, 교육을 원하지만 교사의 한국무용 수업을 위한 자료미비와 일상에서 쉽게 접하기 힘든 한국무용의 장단, 동작에 대한 지도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가 교과 속 한국무용이 학생들에게 전통에 대한 관심과 생소한 분야의 경험으로써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초등 정과 외 한국무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에서 한국무용 수업이 미비한 이유로 수업 교구, 장소 등 준비사항이 많음과 교사의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이 적은 이유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가 전통의 보존과 계승을 위한 교육으로 한국무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방과 후 다른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비해 한국무용교육은 활동적이지 않아 방과 후 프로그램에 필요하지 않다는 인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한국무용 교사연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에서 교사 연수가 교과 수업에 도움이 되며 학생들에게 보이는 시범을 이유로 대부분 연수 필요성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고 교사 연수가 필요하지 않는 이유로는 수업 현장에 활용하기 어려운 교과내용이 있다는 점으로 연수와 교육 현장에는 실질적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연수 시 배우고 싶은 작품에는 기본무용, 부채춤, 소고춤, 탈춤 순이 많았으며 그 이유로 교과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점과 학생들의 관심과 학예회 활용 등의 이유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프로그램을 편성, 운영하는 교사에게 학생들의 한국무용 학습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학생들이 한국무용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인식을 가질 기회조차 없이 방과 후 프로그램에서의 선택지에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기회를 제공할 의무가 있는 학교와 교사는 한국무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만큼 프로그램 개설 전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공연 관람과 학습 등의 참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재정적인 지원이 이루어져 수업시설의 확충과 수업환경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무용은 소도구를 이용한 다양한 작품이 많으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다. 방과 후 한국무용 교육 필요성 인식이 높아도 수업을 뒷받침 할 지원이 없다면 한국무용교육은 단순하고 소극적인 활동으로 교육의 질이 낮아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ance education during after-school programs with high participation rates of school and students nationwide,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dance education program by surveying the correlation of awareness of Korean dance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Iksan, North Jeolla Province, who examined the need for post-school Korean dance education and teachers ' awareness of Korean dance. The data collected were present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the JAMOVI statistics program to achieve the following conclusions : First, the awareness of general interest in Korean dance showed that Korean dance attendance was high, but the interest in Korean dance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interest in Korean dance was lower than in foreign dance such as ballet and modern dance. Images of Korean dance show positive perception of the splendor of Hanbok and Korean music. Second, the level of awareness on the subject application of Korean dance revealed that the number of teachers who do not apply Korean dance to subjects was high, and that for the reason they did not apply it, they wanted education but lacked data for Korean dance classes, and the difficulty in guiding the rhythm and movements of Korean dance, which are difficult to access in everyday life. Most teachers also recognize that Korean dance in the curriculum is helpful to students as an interest in tradition and an experience in unfamiliar fields. Third,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primary school dance education and other Korean dance education revealed that the lack of Korean dance classes led to a high degree of preparation such as teaching workshops and the lack of interest in Korean dance by teachers. Although most teachers recognize the need for Korean dance education as an education for the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traditional traditions, they were able to recognize that Korean dance education is less active than other physical activity programs after school and therefore is not necessary for the after-school programs. Fourth,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Korean dance teacher training showed that most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the need for teacher training, and that there was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raining and the education site, as there were difficult contents in the classroom, for the reasons that teacher training was shown to students. There were many works that I wanted to learn during my training, such as basic dance, fan dance, sogo, mask dance, and for the reason that they could be used in the curriculum, students ' interest, and the use of a school play. These improvement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who organize and run after-school programs should be aware of the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Korean dance. Students often fail to show up on options in after-school programs without even having the chance to have a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 of Korean dance. Schools and teachers, who are obliged t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program opportunities to students, wil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Korean dance education, and will need to participate in voluntary and active viewing and learning of performances before the program opens. Second, financial support will be provided, which will require the expansion of classroom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class environment improvement. There are many different pieces of Korean dance using small tools, and they need enough space to move freely. Even though there is a high awareness of the need for Korean dance education after school, the quality of Korean dance education will be reduced through simple and passive activities without supporting the classes.

      • NiTiAg 선재와 NiTiMo 선재의 내식성 평가 및 니켈 금속 이온 유리

        김신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니켈 금속 이온의 용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식성이 높은 치과교정용 NiTi 합금계 선재를 개발 실용화하기 위하여, NiTi에 제3의 원소로 각각 Ag 및 Mo을 첨가한 NiTiAg 선재와 NiTiMo 선재를 실험군으로 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Ni-Ti, Nitinol, Nickel titanium arch wire 및 Sentalloy를 대조군으로 하여, 각 선재의 조성을 분석하고, 상 분석, 미세 경도 측정, 시차주사열량 측정, 내식성 평가 및 이온 용출 실험을 시행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 분석 결과, NiTiAg 선재는 마르텐사이트의 단사정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다른 모든 선재는 오스테나이트의 입방정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2. 선재 길이방향의 미세 경도 측정 결과, NiTiAg 선재는 352.2 Hv를, NiTiMo 선재는 423.5 Hv의 경도 값을 보였으며, 대조군은 296.7~424.4 Hv 범위의 경도 값을 보였다. 3. 시차주사열량 측정 결과, NiTiAg 선재는 냉각 시 선재의 변태 온도가 상승하였고, NiTiMo 선재는 하강하였다. 4. 내식성 평가 결과, NiTiAg 선재는 우수한 내식성을 보였다. 5. 이온 용출 실험 결과, NiTiAg 선재와 NiTiMo 선재의 니켈 금속 이온 용출량은 8주에서 대조군 선재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실험군 선재인 NiTiAg 선재와 NiTiMo 선재는 내식성이 우수하여, 니켈 금속 이온의 유리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금 원소의 조절과 가공 방법의 최적화 및 열처리의 제어를 통하여 치과교정용 NiTi 합금계 선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Various orthodontic appliances and arch wir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movement of teeth and the minimization of uncomfortableness. Due to the unique property of NiTi orthodontic arch wires, they have been used widely since their introduction(1971) to the orthodontic specialty by Andreasen and Hilleman. But the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owing to the release of the nickel ion from the wires in saliva have been reported. So,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release of the nickel ion from the wi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the degree of the nickel ion release on the newly developed orthodontic NiTiAg and NiTiMo Wires. In this study, 2 types of 0.016 round NiTiAg and NiTiMo wires, namely, NiTiAg and NiTiMo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4 types of 0.016 round NiTi wires, namely, Ni-Ti, Nitinol, Nickel titanium arch wire and Sentalloy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In each wire, chemical composition, phase analysis, microhardness,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corrosion resistance and the amount of nickel ion release were observ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s a result of phase analysis, NiTiAg wire showed monoclinic martensite structure and the other wires showed cubic austenite structure. 2. As a result of longitudinal microhardness test, NiTiAg wire showed 352.2 Hv, NiTiMo wire showed 423.5 Hv, and the microhardness values of control groups showed the range of 296.7~424.4 Hv. 3. As a result of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measurement, in cooling,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has been increased in NiTiAg, but it has been decreased in NiTiMo. 4. As a result of corrosion resistance test, NiTiAg showed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5. The amount of Nickel ion release from NiTiAg and NiTiMo wires in the saliva is significantly less than control group in 8 weeks(p<0.05).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NiTiAg and NiTiMo wires have excellent anti-corrosive properties. It was also recommended that the research on the orthodontic application of these wires should be continued.

      • 중국어 작문시 발생하는 어휘선정상의 오류 연구 : 한, 중 동형한자어를 중심으로

        김신애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在我們現在使用的漢字詞彙中, 韓文和中文都有的同形漢字詞彙占有相當高的比例. 這對我們學習中文旣是一個有利條件, 同時也是生産錯誤的直接原因. 本文從《漢語水平詞彙與漢字等級大綱》中8822個詞彙中, 挑選出單音節和雙音節的漢文·中文共有的同形漢字詞彙2800多個, 從中再篩選出易發生錯誤的詞彙, 幷把它們歸納成 “由於詞彙屬性的原因發生的錯誤” 和 “由於詞義的原因發生的錯誤”, “由於其他原因發生的錯誤” 三類, 幷分別擧例分析之, 目的在於能更正確地用中文進行構思. 各章的內容簡要說明如下. 第一, 由於詞彙屬性的原因發生的錯誤. (1) 在韓語中作名詞使用 : “姓” 這個詞, 在韓語中作名詞, 在漢語中作動詞. 在漢文中被當作動詞. 所以把 “그의 성은 왕씨가 아니고 장씨다” 就不能飜譯成 “他的姓是張, 不是王”, 而應該說 “他姓張, 不姓王”. (2) 在韓語中作形容詞使用 : “適合” 一詞在韓語中作形容詞, 在漢語中作動詞. 在漢文中它后面不能接賓語, 但再中文裏却可以接. 因此, “이 운동은 나에게 적합하다” 不能說成 “這個運動對我不適合“. 而應說 ”這個運動不適合我“ 才更貼切. (3) 在韓語中作名詞和動詞使用 : “固執” 一詞在韓語中作名詞和動詞, 在漢語中是作形容詞來用. 在韓語中 “固執” 一詞可以和 “있다” 及 “세다” 連結使用, 但在漢語中不能. 因此 “이 사람은 고집이 세다” 譯爲 “他這個人固執很强” 就不對, 應譯爲 “他這個人很固執”. (4) 在韓語中作名詞和形容使用 : “悲憤” 一詞在韓語中作名詞·動詞形容詞來使用. 而漢語中是用作名詞和動詞. 因此把 “그의 말은 매우 의심스럽다” 譯成 “他的話十分疑心” 就不對, 應該用漢語中有 “의심스럽다” 的意思的形容詞 “詞疑”, 譯爲 “他的話十分可疑” 才對. (5) 在韓語中作名詞及動詞·形容詞使用 : 韓語中的 “疑心” 可以被當作名詞·動詞形容詞來使用. 而漢語中是用作名詞和動詞. 因此把 “그의 말은 매우 의심스럽다” 譯成 “他的話十分疑心” 就不對, 應該用漢語中有 “의심스럽다” 的意思的形容詞 “可疑”, 譯爲 “他的話十分可疑” 才對. (6) 在韓語中作形容詞和動詞使用 : “乾燥” 一詞在韓語中用作形容詞和動詞, 在漢語中用作形容詞. 所以不能把 “미역을 건조시키다” 譯成 “把海帶乾燥了”, 應該用 “弄乾” 代替 “乾燥”, 譯成 “把海帶弄乾了”. 第二, 由於詞義的原因發生的錯誤. 在這裏, 我把它又大致分爲詞義部分相同和詞義完全不同兩類. 例第(1)(4)項, 是詞義部分相同, 例第(2)(3)項, 是詞義完全不同. (1) 在韓語中作名詞使用 : 韓語的 “詩節” 一詞, 具有 “①季節 ②時候 ③把人的一生劃分幾個時期的其中一個時期”. 在漢語中, 只含有韓語中第①②項意思. 所以不能把 “어린 시절의 생활을 잊을 수 없다” 譯成 “忘不了幼年詩節的生活”, 應該用漢語中有韓語 “詩節” 的意思的 “時代”, 說成 “忘不了幼年時代的生活”. (2) 在韓語中作動詞使用 : 韓語的 “就職” 一詞, 是 “獲得職業” 的意思. 在漢語裏是 “正式就任”的意思. 因此不能把 “그의 인쇄 공장에 취직했다” 說成 “他在印刷廠就了職”. 要用漢語裏具有 “취직하다·취업하다” 的意思的詞彙 “就業”, 譯成 “他在印刷廠就業”. (3) 在韓語中作形容詞使用 : 韓語中的 “小心” 一詞有 “①非常注意 ②度量窄 ③膽小膽怯” 的意思. 但在漢語中說 “小心”, 完全與韓語的意思不同. 所以不能把 “그녀는 다 좋은데 어떤 때는 너무 소심하다” 譯成 “她什麽都好, 就是有時太小心”.這里應該用漢語中具有韓語②的意思的詞 “小心眼兒”, 譯成 “她什麽都好, 就是有時太小心眼兒”. 如表達與韓語③相似的思想, 應該用 “膽子小” 一詞. (4) 在韓語中作副詞使用 : 韓語中的 “大槪” 一詞, 具有 “①大致事由 ②差不多的程度”.但在漢語中却有 “①大致的內容或情況 ②大致·大體上的 ③推測可能·大致·大約”. 不能把 “사람들은 대개 이 일을 알고 있다” 說成 “人們大槪知道這件事”. 在此, “大槪”的意思是韓語中第②例內容. 所以應該用漢語中具有這個意思的 “大部分”這一詞彙, 譯爲 “人們大部分知道這件事”. 第三, 由於其他原因發生的錯誤. (1) 對是否可以連帶出賓語而發生的錯誤 : 在漢語中 “反復” 一詞是用作動詞. 但不可能帶着賓語, 所以不能把 “나는 다시는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說成 “我再也不反復過去的錯誤了”. 應該用具有 “다시 범하다”, “다시 저지르다” 的意思的漢語詞彙 “重犯”, 譯爲 “我再也不重犯過去的錯誤了”. (2) 重疊使用中出現的錯誤 : 在漢語中 “散步” 一詞重疊使用時, 不能使用 “散步散步” 或者 “散散步步”. 只能是動詞 “散” 字重疊. 所以不能把 “우리는 천안문 광장에 산보하러 갔다” 說成 “我們去天安門廣場散了散步”. (3) 句子成分使用不同而發生的錯誤 : “永遠” 一詞不能當作謂語使用, 所以不能把 “다행히 두 번째 남편은 사람됨이 괜찮아 그녀는 위안을 얻었지만 이러한 행복이 영원한 것은 아니다” 譯成 “辛虧第二個丈夫爲人很好, 他才得到了安慰, 可是這種幸福不是永遠的”. 應該用 “永久” 一詞替代 “永遠”, 譯爲 “幸虧第二個丈夫爲人拫好, 他才得到了安慰, 可是這種幸福不是永久的” (4) 由於襃貶而發生的錯誤 : 在韓語中 “結果” 一詞是不能用再由於人爲的原因生産的壞結果方面. 所以不能把 “이 일을 만약 제때에 처리하지 않으면 일체의 결과를 네가 책임져야 한다” 說成 “這件事如果不及時處理, 一切結果由伱負責”. 應該用 “後果” 一詞替代 “結果”, 譯爲 “這條事如果不及時處理, 一切後果由伱負責” (5) 其他原因發生的誤差 : 在韓語壞, “健康” 一詞不能與 “好”, “壞”, “垮” 等形 容詞連接使用. 所以不能把 “몇년이 지나서 그들의 건강은 나빠졌다” 說成 “過了幾年, 他們的健康全垮了”. 應該用具有 “健康” 意思的 “身體” 一詞, 譯爲 “過了幾年, 他們的身體全垮了”.

      • 중·고등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분석

        김신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학습유형은 학습자의 지식 특성 변인 중 하나로 학습자의 개별 특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기 때문에 교육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지식의 획득 과정에 대한 견해가 학습 유형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유형을 설명해줄 수 있는 요인으로 과학 지식의 본성과 과학에 대한 태도를 제시하고 이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예측력을 검증함으로서 학생의 개별 특성인 학습유형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학교의 중학생 62명, 고등학생 73명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학습 유형(심층적/표면적 접근)과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과학 관련 태를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습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은 심층적 접근방법과 표면적 접근방법을 유사한 빈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중학생은 여학생보다 심층적인 동기가 높았다(p< .01). 고등학생은 표면적 접근보다 심층적 접근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과학 지식의 본성을 분석한 결과 동일한 검사지를 사용한 미국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남자 중학생은 여학생보다 과학 지식의 본성 중 ‘창의성’과 ‘통합성’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었다(p< .05). 또한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 셋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 결과, 고등학생들은 중학생보다 과학에 태도 점수가 높았다. 특히 고등학생들은 중학생보다 ‘과학의 사회적 가치’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p< .01). 중학생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과학에 대한 태도가 높았으며 고등학생에서는 남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학습유형에 따라 학생들을 4개의 군집으로 나뉘었다(군집1~군집4). 각 군집은 과학 지식의 본성 이해도와 과학 관련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1). 심층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하는 학생일수록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가 높고, 표면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하는 학생일수록 본성에 대한 이해도와 태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자의 학습 유형과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정도, 과학 관련 태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심층적 접근과 과학 지식의 본성과 과학에 대한 태도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여섯째,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학습양식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해본 결과, 과학지식의 본성과 과학관련 태도는 학습유형 중 심층적 접근방법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그 영향력이 높았다. 이를 통해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하고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소유할수록 학습에 대한 근원적 흥미를 가지고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학습 유형과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가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 교육자들이 학생들의 학습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한다면 학생들에게 적절한 지원과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among student's Learning Style,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help teachers for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 propensity of the each studen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2 middle school and 73 high school students. In processing test result, ANOVA, independent-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ssay was conducted with SPSS 12.0.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as also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y gender, boys had high scores than girls in deep motive of Learning style. Second,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as also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y gender, boys had high scores than girls in attitude toward science. Forth, A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classify students on the basis of their deep and surface learning style. four cluster of students with distinctive learning style patterns were found. Fifth, The students' Learning style was positively related to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Sixth,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ffected students' Learning style(Deep Approach) wer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In conclusion, by this research I found out factors associa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idents' Learning style. By building in the finding of this study, researchers and science educators will be in an better position ot ensure that pedagogical efforts in science confidence and competence of students.

      • 브루스 나우만(Bruce Nauman)의 언어이미지 작업 : 기존 언어구조의 해체

        김신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브루스 나우만(Bruce Nauman, 1941~)의 언어이미지(word image) 작업에 그의 사상과 아이디어가 극명하게 드러남에 주목하여 쓰여졌다. 언어이미지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작품 전면에 등장하는 단어들로서, 단지 읽혀지는 문자가 아니라 조형요소를 지닌 이미지로서 보여지는 언어를 지칭한다. 나우만은 학생시절부터 전통조각에 사용되었던 재료를 거부하고, 주조법을 실험하면서 미술작품의 관습체계에 의문을 제시하였다. 오브제의 미학적인 가치에서 벗어나 아이디어와 메시지를 작품에 주입하려는 시도를 진행해 나가던 중, 나우만은 언어를 작품에 도입하게 되었다. 그는 독서광적인 기질을 지닌 작가로 알려져 있을만큼 작업초기부터 언어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도입함에 따라 자신의 아이디어가 비로소 적합하게 표현될 수 있었다고 회상한다. 나우만이 직접 작성한 텍스트를 살펴보면, 그 특유의 문체를 분석해 볼 수 있다. 그는 주술관계가 불명료하고 접속사가 생략된 문장들을 자주 사용함으로써 문장 간의 논리적인 연계성을 침식한다. 또한 문장부호가 생략된 문장들은 종결의 경계를 침해하면서 의미를 넓게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그 문체에는 그가 읽어온 저서들과의 연관성이 드러나는데, 그 저서들의 저자로는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사무엘 베케트(Samuel Beckett), 알랭 로브-그리예(Alain Robbe-Grillet),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mir Nabokov) 등을 들 수 있다. 나우만이 이들을 선호하는 이유는 언어 자체를 진지하게 다루고 전통적인 형식에 저항하려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텍스트들은 언어이미지 작업의 개념도로서 기능한다. 언어이미지가 처음 등장하였던 1966년, 나우만은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심취해 있었으며, 언어에 적용되는 단일한 해석의 틀에 의문을 제시하는 작업을 하였다. 그러므로 나우만이 행하는 언어유희(pun)에서 비트겐슈타인이 논의한 언어게임(language game)과 상통하는 일면을 발견할 수 있다. 즉 그의 언어이미지 작업에 나타나는 단어들은 획일적이고 고정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맥락을 통해 분화되어 나가는 과정을 보인다. 예를 들어 언어의 음성적 유사성을 이용함으로써 한 단어의 배후에 숨겨진 다양한 의미들을 끊임없이 산출해 나가거나, 철자들의 순서를 자리바꿈하여 습관화된 지각을 환기시키는 기법들을 볼 수 있다. 또한 문법체계에서 이탈한 신조어를 만드는 작업은 고정관념에 물든 언어 습관을 새로이 하고, 언어의 지평을 넓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순환과 반복의 어법을 통해 일직선상의 서사구조를 배제시킴으로써 진보주의적인 시간관을 교란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작업들은 언어에 부여된 일관성과 통일성을 거부하고 계몽주의적인 세계관에 관하여 의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에 유럽과 미국 등지로 퍼져 나간 해체론과 조류를 함께 하는 것이다. 데리다(Jacques Derrida)를 비롯한 해체론자들은 저자와 독자, 작품과 텍스트, 독서와 글쓰기에 관한 기존의 개념들을 새롭게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이론은 서구철학의 근간을 성찰하고 이성중심주의의 한계를 폭로하는 것이다. 나우만의 언어이미지 작업 또한 언어의 한계와 모순을 노출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부조리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것은 서구 형이상학의 지배적인 가치관에 의문을 제시하는 것이며, 나우만의 언어이미지 작업에 해체주의적인 성향이 내재되어 있음을 입증한다. 다양한 매체로 구현되는 브루스 나우만의 작품세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언어 이면의 의미를 분석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dissertation focuses on Bruce Nauman's idea reflected on his works on word image. The term word image, explicitly recognizable on his workings through various medium, regards words as images containing elements of formative arts. Nauman, since his school years, questioning the institutional medium used in the art, began experiencing manufacturing process as an alternative. While striving to introduce new ideas and messages to his workings, he decided to use words as a medium. Known as a great reader, Nauman was deeply involved in words itself, and later recollected that only after choosing it as a medium, he was able to make his ideas find the right medium to express themselves. Some of the writings by Nauman himself showed the unique literary style. By frequently using sentences with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and verbs, or intentionally omitting conjunctions, the meaning or logic of the original sentence is continuously challenged. The sentence without mark expands the meaning of already ambiguous sentences. Nauman's writing style reflects the influence of the now renowned writers such as Ludwig Wittgenstein, Samuel Beckett, Alain Robbe-Grillet, and Vladimir Nabokov, who were considered as innovators on their times. Their writings were actively used as raw materials for Nauman's works. In 1966, the year when 'Word Image' appeared in his arts, Nauman was deeply influenced by Wittgenstein's 'Words Game', and was set to change the typical way of interpreting sentences by creating 'Pun', playing with words by relying on ambiguity and multivocal words. For example, vocal similarity was used to ceaselessly reproducing hidden meanings in a word, deliberate change of spelling order was for continuously challenging recognition of existing meaning of word. Creating new sentences by intentionally ignoring existing grammar structure was interpreted as widening horizon for word usage, and expression of rotation and repetition is considered as interrupting progressivism concept of time by excluding linear time frame. These intentional distortion schemes of existing usage of is further regarded as being in line with Deconstructionism, which was one of the rapidly spreading trend of thoughts during the period of late 60's and early 70's, since it rejects consistency and uniformity endowed on words, questioning the enlightenment view towards the world. Deconstructionists, led by Jacques Derrida, intended to newly define the existing relationship between authors and readers, literal works and text, and reading and writing concepts. Their theory focused on introspecting the root of western way of thoughts and revealing the limit of rationalism. Nauman's word image works also intends to disclose the irrational nature of human thoughts by showing the limitation of word itself. This challenges the dominant value standard of Western Metahysica, thus proves that his works have inclination to Deconstructionism. This dissertation's significance will be in this sens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nalyzing the hidden meaning of Bruce Nauman's word image works to justly understand his intention, which was expressed by various medium.

      • ETC에 기반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신애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ETC(Expressive Therapies Continuum)에 기반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시 소재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 18명(실험집단 9명과 통제집단 9명)이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ETC 이론에 기반하여 총 13회기로 구성되었으며, 2018년 12월 21일∼2019년 6월 14일까지 주 1회, 한 회기당 70분씩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로는 친사회적 행동척도와 KSD(Kinetic School Drawiong Test: KSD)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를 프로그램 전·후에 실시하여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하여 KSD의 사전 사후 변화와 ETC에 기반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양상을 단계별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TC에 기반한 집단미술치료는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특히 친사회적 행동 하위영역 중 도움주기, 협동하기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KSD의 경우, 사전검사에서는 그림에서 자신만을 그렸으며, 벌 받고 있거나 혼자서 외롭게 있는 모습으로 표현하여 학교생활에 대한 불안, 긴장 상태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사후 그림에서는 자신과 친구, 선생님이 표현되었으며, 친구와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셋째, ETC에 기반한 집단미술치료의 과정에서 나타난 친사회적 행동 변화를 살펴보면, 초기에는 참여자들이 혼자 매체를 사용하고, 공동 작업을 싫어하며, 서로에게 부정적인 피드백을 하는 행동을 보였다. 후기로 갈수록 서로 매체를 나누어 쓰면서 도와주고 협동하여 작업을 하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ETC에 기반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변화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김신애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의 차이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 인천 지역의 만 0∼5세 담임인 보육교사 36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질문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Wang(2005)이 개발한 전문성인식 평정척도(Current Status and Self-Desire for Professional Competence)를 정아람(2016)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교사의 교수 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기초로 하여 수정·보완한 신혜영(2004)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D'Arienzo, Morraco와 Krajewski(1982)의 직무스트레스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와 김정휘(1991)의 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토대로 신혜영(2004)이 수정․보완한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진숙(2009)이 개발하고 7인의 전문가들에게 내용타당도를 확인받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t검정, ANOVA, 사후검정(Scheffé), Pea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석 중 입력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은 학력, 결혼여부, 기관유형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력이 대학원 이상 재학 및 졸업한 교사이고, 결혼여부에서 기혼이며, 기관유형에서 국·공립, 법인, 직장의 지원을 받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에게서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이 높게 나타난 반면, 연령, 경력, 소지자격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과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직무스트레스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권리존중 실행 전체에서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의사소통능력과 보육보호 능력,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개인효능감,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현장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영유아들의 권리존중을 적극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