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 보댕(Jean Bodin)의 주권(主權)(souveraineté)개념 : 16세기 보댕의 저작들과 정치언설의 맥락에서

        김시훈 成均館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hat is nation? And what is justice?" is a big story that is constantly raised in the past and today. 'Justice' is defined differently by age, culture, and identity, and does not uniformly recognize members in the same cultural circle of the same age. The political culture as complex as these different perceptions and the reality that the legal system is reformed and enacted constantly indirect proves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uniformly the concept of 'justice. even though it is universal truth that the rule of 'what is justice' is difficult today, regardless of any national system, the decision of justice is made by the sovereign. And the notion of sovereignty in the sense that it is the sovereign who defines the justice of the state while making the collective community a state is a core concept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ate and the state system. The first person who tried to understand the notion of sovereignty was Jean Bodin. He established the notion of sovereignty on a systematic and primitive base. According to Jean Bodin, sovereignty is an absolutely and eternally national power. at this point, Bodin's absolutism of sovereignty does not mean unlimited or ruthless force. Bodin's concept of sovereignty, when considered in Bodin's text and the context of the times, implies no constraints of external interference and no add constraints or conditions. Also, perpetuality can be understood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wo bodies of the king. following Bodin's principle of sovereignty, he can rejoice sovereignty permanently as a political body, not a human natural body. Finally, Bodin 's notion of sovereignty has the possibility of dividend payment as a major property. By doing this, the logical contradiction that the people appearing in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is the sovereign and ruled by the sovereign is eliminated. According to Bodin's theory of sovereignty, the sovereign of the state has a single sovereignty, but the system of the government can be mixed. Here Bodin's revolutionarily national notion is revealed, which is the division of the state and the concept of government. Thus, the separation of the concept of individual and the citizen as well as Bodin's theory of sovereignty reveals that in the state of the national sovereignty system, the people remain sovereign, but the government, which has been given power by the people, becomes logically possible to dominate the individual. This sovereignty is limited by lex natural, lex divine, and lex fundamental, Paradoxically, it is limited by the universal reality of natural law and divine law, which serves as a logical basis for universal authority of sovereignty, It functions as a mechanism to guarantee the independence of individual countries in that sovereignty is limited by the fundamental laws that defin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Bodin 's efforts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 time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the argument for ensuring the independence of the state. And Bodin's theory of sovereignt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tributed to the coming of a just nation by the universal norms of today, when the era of globalization came. Although the in - depth study of his concept of sovereignty should be supplemented, I hope that this dissertation has given us another opportunity to understand his concept of sovereignty. “국가란 무엇인가? 그리고 정의란 무엇인가?” 라는 물음은 과거에는 물론 오늘날에도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화두이다. ‘정의(正義, justice)’는 시대나 문화 그리고 정체별로 상이하게 정의(定義)될 뿐더러, 같은 시대 동질적인 문화권 내의 성원들 역시 획일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이한 인식만큼이나 복잡한 정치문화행태와 지속적으로 법제가 개편되고 제정되는 현실은, ‘정의’개념에 대한 획일적 이해가 어렵다는 것을 방증한다. 그러나 오늘날 ‘무엇이 정의(正義)이다’라는 규정(規定)은 어려울지언정, 어느 국가체제이든 상관없이 정의의 결정(決定)이 주권자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은 보편적 진리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집단공동체를 국가일 수 있게 만듦과 동시에 국가의 정의를 규정하는 자가 주권자라는 점에서 주권개념은 국가와 국가체제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개념으로 와 닿는다. 주권개념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며 가장 먼저 마주한 인물은 장 보댕이다. 그는 주권개념을 시원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 그에 따른다면 주권은 절대적이고 항구적인 국가권력이다. 여기서 보댕이 말하는 주권의 절대성은 무제한적이거나 무자비한 힘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보댕의 저서와 시대적 맥락을 고려했을 때, 보댕의 주권개념에 내포한 절대성이란 외부의 간섭에 얽매이지 않고 어떤 제약이나 조건이 가미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영속성이란 왕의 두 신체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알 수 있는데, 보댕의 주권론에 따른다면 인간의 자연적 신체가 아닌 정치적 신체로서 영속적으로 주권을 향유할 수 있다. 끝으로 보댕의 주권개념은 분할불가능성을 주요한 특질로 지니는데, 이를 논구함으로써 국민주권주의에서 나타나는 국민이 주권자이면서 지배받는 피치자라는 논리적 모순점은 제거된다. 보댕의 주권론에 의한다면 국가의 주권자는 단일한 주권을 소유하되, 정부의 체제는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보댕의 혁명적인 국가관이 드러나는데 국가와 정부개념의 분립이 바로 그것이다. 그렇기에 개인과 국민개념에 대한 분리와 함께 보댕의 주권론을 살펴보면, 국민주권주의 체제의 국가에서 국민은 주권자로 남으면서도, 국민에 의해 권력을 이양 받은 정부는 개인을 지배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가능해진다. 이러한 주권은 자연법과 신법 그리고 근본법에 의해 제한된다. 이는 역설적으로 자연법과 신법이라는 보편적 실체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주권의 보편적 권위를 부여하는 논리적 기반으로 작동하며, 주권이 개별적 특성을 규정짓는 근본법에 의해 제한된다는 점에서 개별국가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기제로 작동한다. 보댕의 노력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을 이루는 토대로 작동함과 동시에, 국가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논거를 제시한다. 그리고 세계화시대가 도래한 오늘날 보편규범에 의해 정의로운 국가가 도래하는 데 이바지 했다는 점에서 보댕의 주권론은 의의를 갖는다. 여전히 그의 주권개념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보완되어야 하지만, 본고를 통해 그의 주권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다른 눈으로 볼 기회가 되었기를 희망해 본다. 13세기와 14세기에 이르러 일어난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와 프랑스의 왕 필립 4세 사이의 대결 그리고 교황 요한 22세와 바이에른 루드비히 황제 간의 대결이라는 역사적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근대화 흐름은 쉽게 일어나지도 어느날 갑자기 일어나지도 않았다. 교권과 세속권 간의 갈등과 암투 그리고 명암이 엇갈리는 화친 등으로 일괄되는 역사적 맥락은 기존의 중세적 인식틀에서 새로운 상으로의 전위로 이어졌다. 정치사상사적으로는 기존의 플라톤 철학 하의 이상 국가와 세속 국가에 대한 이중적 이해관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유입으로 점차 옅어져갔다. 새로운 상에 대한 반발과 옹호는 동시에 기존의 상에 대한 비판의식과 근본주의라는 양검을 잉태하였다. 이로 인해 학계, 종교계 그리고 권력의 장에서는 상호 비방과 자기정당화 작업이 지속된 것으로 이해된다. 정치사상사적으로 마르실리우스 파두아의 『평화수호자』, 파리의 장(Johnannes Quidort de Paris)의 『왕권과 교황권에 관하여(De regia potestate et papali)』, 윌리엄 오캄(Guillermus de Ockaham)의 『대화(Dialogus)』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새로운 시대를 열기위한 정치동학은 꾸준히 그리고 점차 거대하게 일고 있었다. 새로운 사상의 유입으로 기존에 존재했던 상(像)이 새로운 상(像)으로 대체되어 가는 과정은 새로운 시대를 열기위한 미증유(未曾有)의 고난이었다. 제권에 대한 저항과 교회에 대한 불신은 천여 년을 이어왔던 중세의 막을 내리는 동인이었다. 기존질서에 대한 저항은 새로운 질서를 갈구하였고 이는 프랑스의 절대왕정을 기반으로 한 근대국가체제로의 진입으로 이어졌다. 익히 잘 알려진 것처럼 1648년 웨스트팔리아 조약이래로 국민국가시대는 도래하였고 이는 근대로의 진입을 의미했다. 신법(神法)은 내세의 영역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세속에서는 점차 밀려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세속권에 대한 독립열망이 증대해져갔음은 당연한 일이었다. 더 이상 황제휘하의 왕정은 인정되지 않았고 교황이 내정을 간섭할 수 없는 시대가 도래 한 것이다. 이러한 중차대한 시기변환의 중심에 장 보댕(Jean Bodin)이 있다. 그의 저서 『국가론 6서』에서의 주권개념 정립으로, 이전에 파리의 장(John of Paris)등의 인물이 시도하였으나 결실을 맺지 못했던 정치적·경제적 영역에서의 근대적 국가체계에 대한 열망을 이루어 낸 것이다. 오늘날의 근대국가체계의 포문을 연 이와 같은 역사적 맥락형성은 주권개념을 체계화·구체화시키는 보댕의 노력과 그의 주권개념을 새로운 국가관에 관철하려는 시대적 조류가 함께 일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주권개념은 국가를 이루는 핵심 개념이기에 정치사상사에서는 물론 정치학전반에 있어서도 장 보댕의 주권개념은 거대하면서도 국가의 본질을 꿰뚫는 개념으로 다가온다. 파리의 장과 파두아의 마르실리우스 그리고 오캄의 윌리엄을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듯이 보댕 이전에도 근대 국가개념에 대한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장 보댕이 시원적이고 체계적으로 근대국가개념의 토대인 주권개념을 정리 했다는 데서 그 의의는 크다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본 논문에서는 장 보댕 이전에 점차 증대되어간 세속화의 흐름을 살펴보아 보댕이 당시의 사상사적 흐름상 주권개념을 주창할 수밖에 없던 맥락을 짚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 한층 더 나아가 보댕이 말하려는 주권개념을 새롭게 이해해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보다 심도있는 이해를 요구하는 바, 본고에서는 그의 대표저서 『국가에 관한 6권의 책』에 나타나는 주권개념을 세밀히 살펴봄과 동시에, 보댕의 생애와 시대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보댕의 종교관·세계관 등 그의 사상일반차원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도 이루어진다. 이는 그의 말기 저서인 『7현인의 대화』를 통해 그의 국가관을 넘어 그의 세계관에 대한 논구를 시도할 것이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보댕의 주권개념을 몇몇 학자들은 왕권신수설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장은 『국가에 관한 6권의 책』에 나와 있는 텍스트를 세밀하게 읽지 않거나, 보댕이 인문주의자라는 점을 놓치고 읽었거나, 다른 저서를 살피어 보댕의 사상일반차원에서 국가관을 이해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본 저자는 한 저서에 집중하여 수행된 세밀한 연구가 보다 심도 있는 주권개념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주권개념에 대한 편협한 이해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농후하다. 어느 저서에 함몰되어 이해를 시도하거나, 개인적 차원에서의 이해만을 시도한다거나, 또는 시대적 맥락만을 고려하여 이해하는 등의 이해는 주권개념에 대한 몰이해를 야기할 가망성을 증대시킬 것이다. 그렇기에 본고에서는 시대적 맥락을 살펴봄과 동시에, 보댕의 개인적 인식기반을 토대로 그의 저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당시가 중세말기이자 르네상스기에 활동하던 여러 시민인문주의자들의 사상에 영향을 받던 시기라는 점에 착안하여 인문주의 개념을 세밀히 살펴보아 장 보댕이 인문주의자라는 점이 어떤 함의를 갖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보댕의 『국가에 관한 6권의 책』에서 보댕이 말하려던 주권개념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이었는지를 논구해 볼 것이다. 『국가에 관한 6권의 책』에서의 주권개념을 살펴 본 후 보댕의 초기 저서인 『쉬운 역사인식방법론』을 함께 되짚어 본다. 이 사이에서 나타난 보댕의 국가관에 대한 논조변화를 살펴보며, 이와 같은 흐름의 역사성을 추적한다. 이를 기반으로 보댕의 주권개념을 세밀하게 검토하여 그의 주장이 왕권신수설로 이어지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이로써 보댕이 그리던 참된 국가관이 무엇인지를 이해하여 오늘날 알려진 보댕의 국가관에 대한 상을 보다 명료히 밝혀보고자 한다. 보댕의 주권개념은 절대왕정과 공화주의라는 대립되는 시각의 토대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는 그만큼 보댕의 저술활동이 방대하고 그의 논거를 쉽게 이해하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이해되지만, 무엇보다도 그가 다루고 있는 주권개념이 국가의 본질을 아우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렇기에 보댕 주권개념의 주요한 특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주권개념을 다양하게 받아들이게 된 사상사적· 역사적 또는 논리적 맥락을 비판하며 보댕의 주권개념에 한층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한다.

      • 대퇴동맥천자를 통한 뇌혈관조영술의 합병증 분석

        김시훈 가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뇌혈관조영술은 뇌혈관 질환을 포함한 중추신경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필수적인 술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술기 자체의 침습성으로 인해 국소와 전신 및 신경학적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그 위험성은 기존의 연구를 통해 명백히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단일기관에서의 시행된 뇌혈관조영술의 합병증 종류와 빈도를 분석하고 기존에 발표된 유사 연구와의 유의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단일기관에서 뇌혈관 조영술을 시행 받은 1,346명의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과 영상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되었다. 모든 뇌혈관조영술은 숙련된 뇌혈관중재수술의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대퇴동막천자를 통한 카테터(catheter)의 삽입으로 시행되었다. 의료진은 지혈 이후 한 시간 동안 환자의 상태를 감시하였으며 4시간 이후부터는 병동에서 합병증 발생 유무를 관찰, 기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 20.0(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다. 예측변수로는 나이, 동반질환, 시술의 적응증이 포함되었고 다변수 분석을 통해 종속변수(합병증)와의 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된 신경학적 합병증의 발생률은 1.71%로 기존의 다른 연구들에서 보고된 발생률(0.9~4%)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편에 속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영구적 손상 또는 사망은 전혀 관찰되지 않아 여타 연구에서 보고된 발생률(0.3~1.3)에 비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인 서혜부혈종의 경우 2.0%에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발표한 4.2% 보다 적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각 적응증에 따른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 빈도는 죽상동맥경화성 뇌혈관질환(2.7%), 지주막하출혈(1.9%)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나이가 많을수록, 일과성 허혈발작의 병력이 있었던 경우 뇌혈관조영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의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대퇴동맥천자를 이용한 뇌혈관조영술은 뇌혈관질환을 진단하는 침습적이고 유용한 검사인 동시에 과거보다 합병증의 빈도가 적어 매우 안전한 시술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신경학적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뇌혈관질환이 적응증일 경우 시술 자체에 의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동영상 정보 활용이 심장 CT검사 대상자에게 미치는 영향

        김시훈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 심장 CT검사를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심장 CT검사 교육 동영상과 심장 CT검사 교육 안내문 안내 도구를 적용하여 검사 만족도 및 활력징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심장 CT검사 교육 동영상 집단 50명을 실험군으로, 심장 CT검사 교육 안내문 집단 5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카이제곱 검증을 통하여 연구 대상자의 분포형태와 두 집단의 동질성을 파악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을 활용하여 심장 CT검사 인지도, 불안감,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활력징후의 경우에는 대응표본 t-검정을 활용하여 전-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장 CT검사 교육 동영상 집단과 심장 CT검사 교육 안내문 집단의 심장 CT검사 인지도는 동영상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심장 CT검사 교육 동영상 집단과 심장 CT검사 교육 안내문 집단의 불안감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심장 CT검사 교육 동영상 집단의 만족도가 심장 CT검사 교육 안내문 집단의 만족도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넷째, 심장 CT검사 교육 동영상 집단과 심장 CT검사 교육 안내문 집단의 검사 전-후 활력징후의 변화는 동영상 집단에서 맥박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심장 CT검사를 받기 위해 내원하는 환자들에게 검사에 대한 사전 교육 동영상을 활용하는 것이 환자의 검사 방법 인지도, 만족도, 활력징후에 대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applied the training video for cardiac CT and the tools and notice for the training on the patients who visited a university hospital to take the scan, and conducted the research to examine a satisfaction with the scan and changes in vitals sign, by targeting 50 people of ‘Cardiac CT Training Video Group’ as a test group and another 50 people of ‘Cardiac CT Training Notice Group’ as a control group. Through chi-square testing method, I figured out the distribution type of the targets and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for cardiac CT, anxiety, and satisfaction by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I also compared before and after vitals sign by using the matching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wareness for cardiac CT after the scan was meaningfully higher in the test group statistically. Secondly, the comparison of anxiety before the scan wa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and even though the change in anxiety after the scan was higher in the test group, it wa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Thirdly, in the satisfaction of the two groups after the scan – assistance in the progress, assistance in the scan, and whether to watch the video again -, it was revealed that the test group was meaningfully higher statistically. Lastly, looking into the changes in vitals sign i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scan, I found that the pulse rate went down meaningfully in the test group.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using the prior training video to the patients who visited a hospital to take the scan had the positive effects in scan method awareness, satisfaction, and vitals sing of the patients.

      • MUC2 유전자의 Minisatellite 다형성 분석과 소화기계 암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김시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MUC2 유전자의 Minisatellite 다형성 분석과 소화기계 암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Minisatellite Polymorphism in MUC2 and its Association to Gastrointestinal Cancer 의생명과학과 김 시 훈 지 도 교 수 임 선 희 21개의 mucin 유전자는 다양한 종류의 mucin 단백질을 암호화 하는 유전자이다. Mucin 유전자는 그 구조와 기능에 따라 크게 분비성 mucin과 막결합성 mucin 두 그룹으로 나뉘어진다. Mucin은 점액를 구성하는 주요한 당단백질로 호흡기관, 소화기계, 생식관 등의 상피 세포에서 분비되는 끈적끈적하고 점성이 있는 물질로서 이 기관들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고 매끄럽게 유지시키는 윤활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mucin이 과다하게 분비되거나 또는 분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또는 글리코실화에 이상이 생길 경우 염증성 질환 또는 종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mucin 유전자의 중심부에는 Minisatellite (MS)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반복 서열들의 영역이 다양한 조절작용과 진화적인 역할 및 질병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들 중 MUC2 유전자는 염색체 11p15.5 지역에 다른 분비성 mucin 유전자 (MUC5AC, MUC5B, MUC6)와 gene cluster를 이루고 있으며, 각각 유전자 발현에 서로 상호작용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분비성 mucin인 MUC2 유전자의 구조분석을 통해 확인된 9개의 VNTRs (Various Number of Tandem Reapets; minisatellites, MS) 중 MS7의 구조적인 특성이 소화기계 암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정상인 320명과 위암 환자 337명, 결장암 환자 269명, 직장암 환자 375명의 혈액과 조직에서 추출한 DNA를 이용하여 case-control study를 통한 반복 서열의 크기에 따른 다형성을 분석하고 대립형질에 따른 소화기계 암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MUC2-MS7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희귀 대립형질을 가진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도가 약 1.73배 (95% CI, 1.03-2.90; p = 0.037) 증가하였으며, 결장암 발생 위험도가 약 1.76배 (95% CI, 1.03-3.03; p = 0.038) 증가하였다. 그 중에서도 짧은 희귀 대립형질을 가진 경우 위암 발생 위험도가 약 1.93배 (95% CI, 1.14-3.26; p = 0.013) 증가하였으며, 결장암 발생 위험도가 약 1.85배 (95% CI, 1.06-3.21; p = 0.027)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반복서열의 생물학적인 의미를 조사하기 위해 암세포에서 염색체 불안정성에 따른 MUC2-MS7의 유전자 재배열을 결장암 111명과 직장암 76명의 혈액과 조직에서 추출한 DNA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결장암과 직장암 환자 샘플에서 5개의 유전자 재배열이 확인되었으며 그 빈도수는 각각 2.7%, 2.6%로 나타났다. 유전자 재배열이 발생함에 따라 대립형질이 사라지는 Loss of Heterozygosity (LOH)와 짧아지는 (deletion) 특징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MS는 암에 대한 감수성에 대하여 대립형질의 이형에 따른 기능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보고는 MUC2-MS7의 희귀 대립 형질이 위암과 결장암의 위험에 대한 마커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게다가, MS의 불안정성은 암세포에서 MUC2의 기능과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MUC2-MS7 이형체는 암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MUC2, 분비성 mucin, tandem repeat, VNTR, minisatellite, 다형성, 대립형질, LOH

      • 도시농업의 실내공간 활용을 위한 식물재배 시스템 디자인 연구

        김시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농업은 산업화 이후 환경문제와 인구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식량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생태의 회복과 보존을 실천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도시농업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다양한 전문분야와 융합하고, 6차 산업으로 확대됨으로써 가치를 증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다양한 유형 중에서 개인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형태로 식물재배 시스템을 제안하여 도시인들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연구를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도시농업의 개념, 패러다임, 가치, 유형을 정리하였다. 국내 도시농업의 공간적 한계점을 파악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써 공간 내에서 도시농업이 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의 특성과 유형, 필요성, 가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식물재배 시스템은 센서, 광원, 양액 기술과 식물 재배의 자동화를 갖추고 사용자, 재배 시스템, 서비스 간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융합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식물재배기의 구성요소인 모듈, 펌프, 팬, 광원과 기술 제어 요소인 센서, 컨트롤러, 네트워크 환경 7가지를 식물재배 시스템에 필요한 요소로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제안으로 완전제어형 식물재배 시스템인 모듈형 스마트팟(Smart-Pot)은 친환경 속에서 안전한 먹거리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치들을 추구할 수 있다. 첫째, ICT 융합 기술의 적용은 재배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설계하여 사용자, 재배환경, 클라우드 서비스 간의 정보를 공유하여 최적의 식물 생장 프로그램 개발을 돕는다. 둘째, 재배기의 완전제어형 시스템 개발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축적한 식물의 생장 정보를 바탕으로 고품질 식물을 기르기 위해 필요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셋째, 식물재배 시스템을 통합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생장환경을 완전히 분리하여 각종 질병들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유기농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한다. 넷째, 식물에 최적화된 데이터는 효율이 높고 최소한의 에너지 사용을 목표로 하며 친환경 소재의 재배 베드 사용을 통해 저 에너지 환경을 구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식물재배 시스템인 모듈형 스마트팟은 저에너지 사용으로 도시 환경의 지속 가능성에 기여하고, 융합 기술의 적용으로 새로운 사업을 창출하여 도시농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urban agriculture has been developed ever since the industrialization. It is in progress: to solve the shortage of food caused by environmental issues and population growth, to recover and preserve urban ecology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and thus to build a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For the sustainable future, the urban agriculture is being integrated with various areas of expertise. It is becoming the 6th industry and increasing the value of farm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rban farmers with pleasant living environment by suggesting a plant cultivation system. Among various types of the urban agriculture, this cultivation system will be able to have direct influence on individual lives. The preceding researches were analyzed for literary study and the concept, paradigm, value, and types of urban agriculture were summarized. After understanding the spatial limitations of the current domestic urban agriculture, this study finds the plant cultivation system as a new alternative and analyzes its characteristics, types, necessities, and values. The plant cultivation system should be equipped with technologies of sensor, light source, nutrient solution, automated cultivation system, and a network convergence technology between the users, the system, and the cloud service. The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even necessary elements for the plan cultivation system: module, pump, fan, and light source for the body components and sensor, controller, and network for the technical control components. The module-type smart-pot, the complete control-type plant cultivation system suggested by this study, can pursue the following values to obtain safe and healthy food in the eco-friendly urban environment. First, the application of ICT convergence technology helps the development of the optimum plant growth program by designing a wireless network that can control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shar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the environment, and the cloud service. Second, the development of the complete control-type system can build the environment necessary for growing high-quality plants based on the plant growth data accumulated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Third, as it becomes possible to fully control the cultivation system, producing safe organic food is achieved by separating the growth environment from the outside and overcoming various diseases. Fourth, the optimum data for plants establishes the low-energy environment through the use of cultivation beds made of eco-friendly materials, under the goal of high efficiency and minimum use of energy. The module-type smart-pot is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with the use of low energy, but also to the vitalization of the urban agriculture by creating new businesse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vergence technologies.

      • 산지하천에서의 조도계수 추정

        김시훈 상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지하천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원기둥의 모형을 제작하여 수리실험을 실시하였다. 하상재료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체적밀집도를 정의하고, 흐름의 특성에 따른 조도계수의 추정을 위한 수리특성의 분석으로는 VR, Froude수, Reynolds수, 항력계수 및 바닥전단 특성 조도계수를 산정하였다. 유량의 증가에 따른 Reynolds수가 큰 난류흐름으로의 진행에 따라 조도계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체적밀집도 증가에 따라 조도계수는 상대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레이놀즈수가 증가할수록 하상재료의 항력계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Reynolds수가 커지는 난류영역에서는 조도계수의 감소로 나타난 예와 같이 항력계수 역시 감소함으로 나타났다. 항력이 커질수록 바닥전단특성의 조도계수가 커짐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체적밀집도가 커짐에 따라 바닥전단특성의 조도계수가 커짐을 확인하였다. 조도계수는 체적밀집도와의 상관보다는 흐름특성인 Reynolds수, 항력계수에 보다 지배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흐름특성이 같을 경우에는 체적밀집도에 따라 조도계수의 증가함을 보여준다. 조도계수는 수리특성에 크게 지배될 뿐만 아니라 체적밀집도에 지배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정확한 조도계수의 산정을 위해서는 수리특성을 나타내는 변수와 더불어 체적밀집도와의 상관관계식의 사용이 요구된다. The researcher manufactured a cylindrical model which exhibits the characteristics of mountain stream, and conducted hydraulic model test. Also, the researcher defined the density of volume that can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riverbed materials. As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for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flow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 figured out Velocity Ratio (VR), Froude number, Reynolds number, drag coefficient, and the roughness coefficient of bottom shear characteristics. The roughness coefficient of Reynolds numbe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low rate decreased with the strong turbulent flow. The researcher also confirmed that, in general, the roughness coefficient increased relativel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ensity of volume, and the more Reynolds number increased, the more drag coefficient of riverbed materials decreased. This was exhibited as a decrease of roughness coefficient in the turbulent region where Reynolds number get larger, likewise, the drag coefficient also showed a decrease.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larger drag, the roughness coefficient of the bottom shear characteristics became increased, and confirmed that the larger density of volume, the roughness coefficient of bottom shear characteristics became increased. The roughness coefficient had more dominant impacts on Reynolds number and drag coefficient, which are flow characteristics, than correlations with density of volume. However, in the case that the flow characteristics were sam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roughness coefficient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nsity of volume.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the roughness coefficient was influenced greatly not only by hydraulic characteristics, but also by the density of volume. Therefore, to figure out accurate roughness coefficient, it is required to use correlation equation in connection with both the density of volume and variables that express hydraulic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