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연장 유형별 자연장지 조성모델 설정 연구

        김시태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대적으로 급변하는 장묘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도입 초기의 자연장제도에 대한 활성화에 기여하며, 국내의 설정에 맞는 자연장지의 조성방안에 대한 예시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연장은 화장한 분골을 지정된 자연물(수목, 화초, 잔디) 주위에 뿌리거나 묻어줌으로써 자연과 함께 상생한다는 자연회귀의 섭리에 근거한 새로운 장묘방법으로 육림철학을 계승할 수 있으며, 우리 민족의 전통적 신수사상과도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다. 아무런 흔적 없이 시신을 모시는 묘지시설이 아닌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운 모습으로 인지할 수 있어 국토의 효율적 이용 뿐만 아니라 가장 친환경적인 장묘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장지를 조성시 합리적 조성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단계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모든 대상지에 적용가능하도록 보편화하려고 노력하였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 장사문화환경의 변화양상과 그에 따른 자연장지 조성의 잠재력을 확인하였고,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한국적 특성에 맞는 자연장 소재(잔디, 화초, 수목, 수림 등)별 자연장지의 조성 예시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장사법상에서 분류한 자연장지 유형 즉, 개인․가족 자연장지, 종중․문중 자연장지, 종교단체 등 법인자연장지, 공설 자연장지에 적용하여 구체적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의 집단 묘지를 자연장지로 전환 및 재활용함에 있어 임시적․장기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요컨대, 화장률의 증가 추세와 ‘자연장’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가 증진되고 있음을 전제로 할 때, 수준 높은 자연장지가 조성ㆍ공급되는 것은 자연장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자연장지’ 조성을 단순히 과거 장사시설에 대한 개선과 변형의 차원에서 접근할 경우 기존 묘지가 갖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으며, 단순한 장사시설로서의 의미를 더해 친환경성, 지속가능성, 녹색성장의 기반, 환경과 문화교육의 장 등 지역의 어메니티(amenity) 요소로 조성되고 가꾸어져야 할 것이다. 자연장의 근본 취지에 부합되도록 하며 보편적이며 현실적 활용이 가능한 자연친화적 장사시설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fix the problem of charnel surrounding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beginning natural burials and study on development of natural burials suitable for domestic. New funeral culture, Natural burial, is based on the idea of back to nature by spreading cremains on the natural object(trees, flowers, grass) or burying around the roots. Besides it relate to the spirit of afforestation and one of the traditional ideas, "Belief of the tree". The most environment-friendly burial way, Natural burial, would not harm nature and would bring efficient utility of land instead of without any sign of a cemetery facility. This study was followed steps for making rational guideline when people build natural burial. The first step was research literature. Following the research, Natural burial would hav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rough internal Funeral Environment movement. This study proposed domestic Natural burial models for each nature objects such as lawn, flower, tree, forest. The models appled to Natural burial sites classified according to funeral laws for example, corporation and public natural burial sites such as personal, family,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religious group. In addition to, this study suggests temporary and long-term solution for turning or recycling group cemetery over to natural burials. And it emphasizes the following study of this field. In short, when we expect increase in cremation and cognizance of Natural burials, suppling invigoration of advanced natural burials would bring development of naturla burial field. Natural burials is regional amenity elements such as eco-friendly, sustainability and green growth-based more than cremation. Natural burials would be built universal, nature-friendly available for practical use as well as measure up its root.

      • e-Learning에서 學習者의 學習行動과 學業成就度와의 關係 : 韓國産業人力公團의 成人敎育 프로그램 學習參與者를 中心으로

        김시태 韓國技術敎育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환경 변화와 함께 시도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e-Learning은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최신 정보와 기술을 실시간에 전 세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널리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하"공단"이라한다)에서 학습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시범적으로 실시 중인 사이버교육훈련 학습자 관리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학습형태, 학습소요시간, 학습시간대, 토론방참여도, 반복학습정도,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를 분석하여 원격교육훈련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공단과 e-Learning 실시기관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2003년 3월 3일부터 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제작 전문가과정의 멀티미디어 개론과목과 소비자 전문상담사 과정의 소비자와 시장과목에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이버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311명의 학습자중 응답자는 120명으로 응답회수율은 38.5%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측정도구는 연구대상 2개 과목의 교수자 즉 사이버강사에게 수업시간에 다루어진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문항을 작성케 하여 사이버에 서 평가한 성적을 활용하였고, 학습형태, 학습시간대, 반복학습정도, 학습만족도는 설문도구에 의해서, 인구사회학적 특성, 학습소요시간, 토론방참여도는 학습관리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자료를 SPSS 10.0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와 ANOVA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한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학력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학습형태, 학습소요시간, 학습시간대, 토론방참여도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반복학습정도와 학습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을 중심으로 한 e-Learning은 운영자, 교수자, 학습매체로 하여금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시켜 자주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학습에 참여토록 할 수 있다면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공단의 e-Learning 사례에 국한하여 분석되었기 때문에 교수변인, 학습자변인, 그리고 과목변인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본 연구결과를 모든 상황과 과목에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한 유사연구들이 향후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In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s regard, e-learning based on utilization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network is drawing attention in that most updated information and technology can be provided to learners from all over the world on real time by surpassing time and space restrictions. This study is focused on adult learners attending a pilot cybe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which is currently run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HRD Korea). Various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learners, learning type, duration, time-frame, participation in discussion room, frequency of repetition, satisfaction level etc.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find out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results are projecte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for institutions including HRD Korea that are involved in distance learning and cyber education. For this study, two courses (①An overview on multi-media and ②consumers and market), which have been started from March 3, 2003 were selected. Targeting 311 participants of the two courses, a cyber opinion poll was conducted. Out of 311 participants, only 38.5%(120 persons) has responded ending up with a low collection rate. To gaug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est results based on cyber evaluation by instructors of the two courses were utilized. A cyber questionnaire was sent in order to get information on learning method, duration, frequency of repetition and satisfaction level. The socio-demographic features, learning duration an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room were based on database for learner management system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T-test and ANOVA techniques by utilizing the SPSS 10.0 Windows program. This study has sho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ly, character of population sociology of learners did not take significant valu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was proved that the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socio-demograp hic features has a slight impa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Tha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method, duration, learning time-frame an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room was significant. Thirdly, it was shown that frequency of repetitive learning and satisfaction level did not affec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conclusion, the e-learning for adult learners is foreseen to enhance their academic achievement provided that system operators, instructors and learning aids can motivat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on their own. Lastly, as this study was focused on e-learning case of HRD Korea, variants in instructors, learners and courses can generate different results. Therefore, it seems unreasonable to generalize this study result. All in all, it is deemed necessary that similar works should be continuously done to make this study more feasible and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