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김승분 숭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denial of undergraduate students is rejection sensitivity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ffect dating violence, but verify that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can yiel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ating violenc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328 undergraduate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who go to universities in a metropolitan area, and the data for final 321 students were used in this study. SPSS18.0 and SPSS25.0programs were used for statistics verification. 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d us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h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testing reliability for each scale. Also,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respectively analyzed to figure out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major variables and a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major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Lastly, 3-stage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dating violence, and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Aroian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cognitive-emotional control strategy on the dating aggression, the rejection sensitivity was confirmed as the static relation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ating aggression. In addition, cognitive-emotional adjustment strategy show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sectors. However, especially, it has a significant effect as a statistic relationship with maladaptive strategy and, with an adaptive strategy,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rejection sensitivity of college students was identified to have the part parameter effect on the maladaptive strategy of the cognitive-emotional control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date aggression. Third,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ognitive-emotional control strategy by dividing the gender into male university students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le university students have the full parameter effect on the criticism of others and catastrophizing which is the subordinate sector of the maladaptive strategy,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how the part parameter effect in catastrophizing. These results can explain that the mor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the rejection sensitivity, the easier they become to face the criticism of others and catastrophizing, and also can be finally developed to the dating aggression.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o reveal what parameter effect the cognitive-emotional adjustment strategy will ha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ject sensitivity and the dating aggression, and such research suggests that the cognitive-emotional strategy may be a basic data to prevent the dating aggression, when the rejection sensitivity of a student says the problem as the conflict between lovers in the counselling s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데이트폭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거부민감성이 데이트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21명의자료를분석에이용하였다.통계검증을 위한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 및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수집된자료는빈도분석을실시하여인구학적특성을살펴보았고, Ch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여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또한 주요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파악하기위한기술통계분석과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Pearson의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변인들이 종속변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로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유의성을검증을위해AroianTest를실시하였다(Aroian, 1947). 연구결과는 다음 내용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데이트폭력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은 데이트폭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정적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이 둘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나, 특히 부적응적 전략과는 정적관계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적응적 전략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데이트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적응적 전략에서 타인비난과 파국화가 부분매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남자 대학생과 여자 대학생으로 성별을 구분하여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남자 대학생은 부적응적 전략의 하위요인 타인비난과 파국화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여자 대학생은 파국화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이 거부민감성을 경험할수록 타인비난과 파국화에 이르고, 마침내는 데이트폭력으로 이어짐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어떤 매개 효과가 있는지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친밀한 연인관계에서 발생되는 데이트폭력성의 원인과 기제를 밝혀 문제에 대한 갈등을 해결하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데이트폭력성의 예방적 전략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이해를 넓히는 것이다. 따라서 상담 장면에서 연인 간의 갈등을 폭력으로 해결하려는 불안과 분노의 근원인 거부민감성의 정서를 다루어 데이트폭력성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