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입국 자녀의 진로계획에 관한 사례연구 : 선교사 자녀 중심으로

        김순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career plans of reentry missionary kids, and the elements that made them choose their careers. This study is accomplished qualitatively. The questions for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areer plans of reentry missionary kids? Second, what made the reentry missionary kids decide their career plans? To answer these questions, I selected three reentry missionary kids who used to live in other countries, but currently live in Jeonju and Seoul. I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in depth. In case of minority For those who were minors, I asked their parents prrmission, and interviewed their parents for data as well. I collected the data from September of 2011 to January of 2012 for five months. I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qualitative case analysis method of Stake(2000), and operated "analysis within cases" and " analysis between cases". The study shows that in the case of A, she feels it is difficult to get a certificate because of terms, but she wants to go wherever she is needed, and she desires to succeed to support her parents. she also wants to study her major more than go to a famous college. She feels conviction that she can go to any English spoken country. In case of B, he eagerly wants to be an author. He desires to develop himself after military service. He wants to be a teacher who can educate character in country P where he was educated. He doesn't want to change his major. In the case of C, now, she is adapting to an international school after reentry, she has hope to be a French professor. She wants to look for career where she can use the language from her parent's mission country.. She desires to cook delicious dishes for African children. She wants to build a school for missionary kids of French spoken countries, or go to college in English spoken country. The elements which is the motivation for her career path is finances (it is difficult for her missionary parents to support her tuition, especially for a college in an English speaking country), international school's have an information shortage for schools in Korea. Her parents want her to go to college in Korea more than a college in America. Her life was greatly infulenced by her mother's study of art. Her world view was based on circular reaoning. It was through the unsatisfaction of her first major, that she realized here true passin for architecture. In case of B, he wants to be an author, so he took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classes, atmosphere, expensive tuition of nation I, an economic condition, parents' disagreement (they don't want him to be an author because arthor can't gain money). He has hope to be an author through books. A manic depressive insanity helps writing. In case of C, she wants to build a school for missionary kids because country A has bad education conditions. She made sure again her vision through conference. Parents' advice. A scholarship for missionary kids. The common career plan of these cases is they want to serve all over the world through their career. The elements that made them decide these careers are finance, parents, and books. For a career plan, they wanted to serve through their career in many placea around the world.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process that reentry missionary kids adapting themselves into Korean culture after their reentry, overcame their career distress and discovered their career plan. From them we can also realize the influential factors when they decided their career plan.

      • 카지노 교대근무자의 네트워킹행동이 상사·동료지원인식으로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김순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카지노는 보통 재정비시간을 제외하고 24시간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되어있다. 카지노 교대 근무자들은 평균적으로 1년마다 근무조가 순환되기 때문에 익숙한 환경, 시간, 같이 일하던 동료가 주기적으로 바뀌게 된다. 교대 조를 바꾸는 시기마다 새로운 근무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직업특성 때문에 같은 Shift 근무자들과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은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카지노 교대 근무자들은 동료, 상사, 타부서 등의 여러 이해관계자들과 정보교류 및 친목을 도모하는 네트워킹 활동은 중요한 역량이다. 많은 카지노 근무자들은 네트워킹 행동의 일환으로 업무가 끝난 후 사내동호회 활동뿐만 아니라 사내의 비공식적인 집단에서 동료, 선배, 상사와 소통의 자리를 가진다. 사내프로그램이나 비공식적인 모임으로 친해진 상사, 동료들은 교대 근무시 어려운 상황에 극복하여 나갈 수 있는 힘이 되며. 서로에게 기댈 수 있는 버팀목이 되어 직무를 계속 이어나갈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이 되어 준다. 이러한 요인 때문에 카지노 교대 근무자들은 자신의 개인 시간을 투자하여 네트워킹 행동을 하며 사람들과 친목을 다지고 그 과정에서 마음이 편한 동료, 상사들로부터 물리적, 심리적으로 마음의 위로와 응원을 얻을 것이다. 상사와 동료지원인식은 마음의 안식처 외에도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직장상사는 부하직원 고가평가를 하며, 다년간의 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어 업무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협업을 하는 동료의 지원은 업무적 지식을 공유하며 업무로 받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교대근무특성을 가진 카지노종사자들은 네트워킹 행동을 활발히 할 것이며 매번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사람과의 관계개선에 힘쓸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킹 행동은 근무하는데 있어 업무적인 역량향상, 소속감, 스트레스 해소 및 성취감을 고취시키며, 네트워킹행동이 회사에 잔류하며 남아있게 만드는 성질의 직무배태성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직무배태성은 회사의 소속감을 높여주고 이직의도를 낮출 것이다. 매년 근무환경이 바뀌는 카지노 교대근무자의 개인적인 네트워킹행동이 조직의 만족도, 조직의 적응, 조직몰입, 직무성과 향상, 소속감 등의 긍정적 요소들로 인해 직무배태성이 향상될 것이며, 상사와 동료의 도움을 받는다면 직무배태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카지노 교대근무 종사원의 네트워킹행동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동료지원인식의 매개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에 있다. Casinos usually operates 24/7 excluding maintenance hours. Since casino shift workers rotate their shifts every year, the familiar work environment such as working hours and the co-workers changes periodically. One of the key job characteristic is to adapt to a new work environment every time a shift is changed. Thus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new shift workers is one of the key factor of the job. In order to adapt to this work environment, the ability to exchange information and promote friendship with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colleagues, managers and other departments is an important factor. As a part of networking activities, many casino workers meet with colleagues, seniors and mangers in informal groups after work as well as in-house club activities for communications. Managers and colleagues who became close through in-house activities or informal meetings outside the company are the strength to overcome difficult situations during shift work and they support each other which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to continue their work. Because of this, casino shift workers invest their personal time in these networking activities to build relationship with co-workers and in the process they will feel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mfortness and support from their colleagues and mangers who are close with. Additionally, the support from colleagues and mangers provides various positive factors. For example, managers will evaluate their subordinates highly and the years of work experiences and knowledges they share will be useful during work and their support can also relieve stress from work. Thus, in order to adapt to a new work environment every time, casino shift workers will actively engage in networking activities and will strive to form relationships with new co-workers. These networking activities will improve job competency, promote job embeddedness, relieve stress and promotes a sense of accomplishment, which is the main reason of networking activities, to increase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pany and decrease the turnover. The networking activities will provide positive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daptation, commitment, job performance improvement and a sense of belonging to the casino shift workers who periodically changes their work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how support on Knowledge of managers and colleagues provide additional factor to networking activities that affect job embeddedness.

      • 부산시 택시 요금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김순주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택시는 1회용 자가용으로 이용되고 고급교통수단으로서 이용승객이 요구하는 장소까지 신속하게 이동해주는 문전수송(door to door)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대중교통 수단간의 연계성이 발달하지 못함에 따라 교통수단간에 합리적인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 대도시에서의 택시는 대중교통수단을 보완하는 준 대중교통수단으로 기능하고, 이로 인한 택시의 승차난과 합승행위, 난폭운전, 불친절행위 등 만성적인 택시교통서비스의 부재로 이용객들이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은 불합리한 현행 요금체계로 인한 택시기능의 상실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요금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요금체계의 구축으로 대 승객 서비스 제고와 택시기능의 회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택시운행의 실태를 살펴본 후 현행 요금구조가 갖고 있는 비효율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위해 현행 요금체계의 합리적 개선방향을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현행 택시요금제도는 승차시간과 승차거리를 동시에 적용하는 시간-거리 상호 병산제를 실시하고 있는데, 시간-거리 병산제에도 승차시간과 승차거리를 별도로 계산하여 합산하는 동시병산제와 승차거리에 따른 요금과 승차거리 요금에 일정 속도 이하(현행 15km/h) 운행시간 요금을 합산하는 상호병산제가 있다. 택시 요금과 관련된 문제점은 ①택시의 위상정립을 위한 정부목표의 부재, ②시간-거리 병산제 실시에 있어서 시간요금과 거리요금의 불합리성, ③기본요금과 이후요금의 불합리성, ④할증요금제도의 불합리성 등이다. 언급한 문제점에 대하여 먼저 택시는 고급교통수단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정책목표가 수립되어야 하나 정부에서는 택시를 고급교통수단으로서 역할을 수행토록 하는 요금인상을 억제함으로써 택시 본연의 기능을 수행치 못하고 적정수요 이상의 시민이 이용하는 저급교통수단으로 전락하도록 하였다. 시간-거리 병산제의 경우 시간요금이 거리요금에 비해서 너무 낮게 책정되어 있어서 과속·난폭운전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할증 요금제도의 경우 심야시간대에 대한 할증을 실시하고 있는 반면, 승객의 수와 화물에 대한 할증제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4인이 중형택시를 합승하는 경우 4km거리의 통행에서는 대중교통수단인 버스의 요금보다도 저렴한 교통수단이 된다. 지금까지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적정 택시요금 결정식을 만들었는데, 이를 통해 택시 서비스 개선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Korea currently adopts time-distance mutual united system for determining taxi fare.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fare is determined by a combination of time spent and distance traveled: adding the extra fare on the distance traveled under a certain limit of speed (e.g. 15 km/h) to the fare on riding distance. This system however results in numerous negative effects both for passengers and for operators due to such reasons as low base fare level, unbalance between time and distance rates, irrational surcharge policies etc. These problems has led not just to the low quality of taxi service, e.g. reckless and violent driving habits but also to the deepened financial crisis of taxi industry due to the revenue loss. This study attempts to rationalize the taxi fare structure so a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as well as to enhance the operator's financial situation. It looks into present situation of Busan taxi services as a case for the study and identify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urrent taxi fare structure. To suggest a rational fare structure, the fare structures of advanced cities in abroad are also discussed and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time fare is charged too low when compared with that of distance fare, causing speeding and violent driving. Also it was found that current surcharge system not well represent the real cost structure of taxi service. This study suggests necessary reform in taxi fare structure , resulting in higher level of service and increase in revenue.

      • 전주한옥마을의 주택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순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성장으로 인해 개인 삶의 질이 중요시되고 전통, 친환경, 웰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한옥에 대한 관심과 거주선호가 점차 늘고 있다. 또한 한옥마을 내의 한옥에 거주할 경우 한옥보전조례를 통해 일정 보조금을 지원받아 한옥을 개·보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한옥마을에 대한 관심도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옥마을의 가격결정요인을 분석하여 한옥마을의 가격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지로 전주한옥마을을 선정하였다. 가격결정요인 분석을 위해 한옥마을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건물특성, 토지특성, 지역특성으로 접근하여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변수들을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위해 사용한 데이터는 2005년에서 2011년의 전주한옥마을의 개별한옥 가격자료이며 4,700개의 데이터 중 특이케이스를 제외한 4,472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건물특성과 관련된 변수들 중에서는 한옥의 고유특성과 관련된 변수가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특성 변수들 중 건물용도/단독주택, 건물구조/목구조, 지붕구조/기와 변수가 양(+)의 방향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건폐율, 비주거용면적, 노후도, 증·개축여부, 층 수, 건물동수 변수는 (-)의 방향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분석결과 중 중요한 변수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건폐율은 클수록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단독주택으로써 한옥을 찾는 이유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정원을 꾸미거나 텃밭을 일구기 위한 것으로 건폐율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주택이 차지하는 면적이 적고 여유 공간이 많다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증·개축여부는 증·개축을 실시한 한옥의 가격이 더 낮아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목구조이며 기와지붕인 한옥의 가격이 더 높다는 것을 살펴볼 때, 증·개축 시 한옥의 고유한 특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한옥마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옥마을 내 한옥의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현상이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인 전주한옥마을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주한옥마을의 가격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한옥의 고유한 특성을 잘 살려 개발하는 것이 한옥의 가치상승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새로운 한옥마을을 조성하거나 기존 한옥을 개·보수할 때도 이런 사항들을 잘 반영하여 발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정부의 정책이 지가 및 한옥의 가격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정부차원에서도 용도지구설정 및 개·보수지원 등에 더 세밀한 관심을 가지고 합리적인 정책을 수립하여 한옥마을을 잘 보전·개발시켜야 하겠다. Recently traditional Korean housing village has become popular. Due to economic growth, improving individual's quality of life is important as interests in tradition, eco-friendly life and well-being have been rising up and the preference in residence at a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also has been increasing. Furthermore, it helps raising more interests in traditional housing village that you can maintain the house and use it with certain subsidies through the ordinance to preserve a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if you decide to reside in the village.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was to offer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n the price of the traditional housing village by analyzing the determinants in pricing of the village. Jeonju Hanok Village was selected as a study fiel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in pricing they were accessed by the nature of building, land and area,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erived determinants. The data used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the price data of individual house in Jeonju Hanok Village from 2005 to 2011. 4,472 cases of total 4,700 data were used except the particular cases. As a result, the variable relevant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tyle house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ice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building. Among the variables of the nature of the building, the variables on building use/detached house, building structure/wooden structure, roof structure/roofing tile showed the positive result while the variables on the building-to-land ratio, non-residential area, degree of decrepitude, extension and alteration of building, number of stories, number of buildings revealed the negative result. We found out some major variables from the analysis as below. First of all, this study showed that i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rice as the building-to-land ratio increased. It is assumed that one of the biggest reasons to choose a Korean style house as a detached house would be making a garden or a vegetable garden because low building-to-land ratio implies a small house area with plenty space. Also we found out that the price decreased when extension and alteration of building was done. As we see that the price of wooden structure house with roofing tile is much higher, we should carry out the construction within the bounds not to damag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 when extending and altering the building. This study showed the phenomenon that the value of the Korean style house in the village had been rising not only in capital area but also in Jeonju Hanok Village in rural area as the interests on the village had increased. Also it revealed that develop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yle house could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value of the hou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in pricing of Jeonju Hanok Village. It suggests that these respects need to be applied and developed well when a new Korean housing village is constructed or extension and alteration of building is done. Through this study we also found out that the government policy could affect the price of land and traditional style house. The government should take an significant interest on the selection of district and support for extension and alteration of building, and establish the reasonable policy to preserve and develop the traditional housing village.

      • 濟州地域 初等學校 敎室의 室內環境性能 및 快適性 評價에 관한 硏究

        김순주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시설은 다양한 교육 방식과 내용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고 쾌적하게 수행하며, 변화하는 교육과정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이 우선되어야 하는 건물이다. 특히 초등학교시설은 어린 학생들이 성장기의 대부분을 보내면서 물리적, 정신적 영향을 크게 받게 되므로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의 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기존 학교시설을 대상으로 열․빛․음․공기 등 실내 환경요소의 실측과 재실자의 설문 인터뷰를 통해 실내환경의 쾌적성을 분석하여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시설의 실내환경을 보다 건강하고 쾌적하게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교시설의 실내 환경관련 기초연구로서 국내․외 관련기준 및 가이드라인을 분석하고,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진행된 학교시설의 실내 환경 및 실내 환경요소의 실측 관련 논문을 조사하였다. 실측 및 설문조사는 제주시내에 위치한 12개의 기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11월~12월에 걸쳐 일반교실 및 특별교실의 온열환경, 공기환경, 음환경 및 빛환경에 대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1.1. 온열환경 학교보건법시행규칙에 준하여 실내기온을 평가하면 일반교실은 42%, 컴퓨터실은 25%, 과학실은 75%의 학교가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겨울철 온열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3점으로 실내 환경요소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에서 겨울철 실내 온열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일반교실의 난방기 보급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난방기기의 유지관리비용 측면을 고려하여 건물의 기밀성능 및 단열성능 향상도 동시에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1.2. 공기환경 실내공기환경은 CO2, CO, 미세먼지(PM10) 등 세 가지 항목을 측정하여 학교보건법시행규칙 기준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일반교실의 CO2농도는 전체 학교의 67%가 기준을 초과하였다. 미세먼지(PM10)농도는 일반교실이 75%, 컴퓨터실과 과학실이 각각 58%의 학교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공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8점으로 온열 및 음환경에 비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공기질에 대한 재실자의 인식수준이 낮기 때문에 CO2농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자동환기시스템 계획이 요구된다. 1.1.3. 음환경 평균소음수준은 강의 중 교실이 운동장소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은 2.5점으로 온열환경 다음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수업방식의 변화로 인접교실에 의한 소음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인접교실간의 소음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절한 차음과 흡음계획이 요구된다. 1.1.4. 빛환경 인공조명을 병행하는 경우 실내 조도수준 및 균제도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터실의 경우 수평면보다 수직면에 대해서 좀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광률로 평가한 자연채광성능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기준에 미달하여 자연채광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빛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0점으로 실내환경요소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연채광부족과 함께 현휘발생이 빛환경 저해요인으로 조사되어 실내 빛환경향상을 위해서는 확산광을 교실 깊이 유입시켜 자연채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획이 요구된다. For school facilities and buildings, the design and structure should put the function to serve as a base first where a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ologies and contents can be practiced under efficient, safe, and comfor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fac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are particularly important to incorporate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elements because schools are the place where young students spend long hours, thu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m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Subsequently, this study seek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hat are required in improving indoor environment more healthily and comfortably. The indoor environment such as thermal, indoor air quality, acoustic, and visual environments was measured and assessed on the subject of comfort conditions and levels in existing schools in Jeju province using the field measurement method and survey. And then the methods of improving indoor environment were indicated. In advance, domestic or overseas standards and guidelines were searched as a basic reference. Additionally, studies on indoor environment and field measurement of school facilities from the 1980s to the early 2000s were searched. Field measurements and survey were taken in the period of November through December to assess thermal, indoor air quality, acoustic, and visual environments in 12 elementary schools in Jeju.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mal environment When the interior temperature wa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School Healthy Code standards, 42% of classrooms, 25% of computer laboratories and 75% of science laboratories did not meet the required standar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rmal environment in winter rated at an average of 2.3 scale point and it was lowest in th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To improve thermal environment during winter in Jeju, installing heating system is most imperative. At the same time improving airtightness and insulation performance has to be considered to reduce heating load. (2) Indoor Air Quality CO2, CO and PM10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School Healthy Code standards among the indoor air quality factors. In 67% of the measured classrooms, concentration of CO2 was above the standard. And PM10 was above the standard in 75% of the measured classrooms, 58% of computer laboratories and 58% of science laboratories.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indoor air quality rated at an average of 2.8 scale point and it was higher than thermal and acoustic environments. Most of occupancies can't perceive their poor indoor air quality. Thus, to improve IAQ in schools is especially required a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which can maintain the standard level. (3) Acoustic environment The noise level of classroom in class is higher than the noise level of playgrou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acoustic environment rated at an average of 2.5 scale point and it was lowest in th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except thermal environment. The noise damage is on the increase owing to varied teaching style. Thus plans for sound insulation and absorption are required to minimize noise transfer caused by adjacent classrooms. (4) Visual environment The measured range of light intensity and uniformity with the use of artificial lighting did meet the required standard in the majority of schools. In computer laboratories, vertical measured point was worst than horizontal measured point when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School Healthy Code standards. Daylighting performance was assessed by daylighting factor, and it did not meet the required standard in the majority of schools.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visual environment rated at an average of 3.0 scale point and it was highest in th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Glare, as well as lack of daylighting, cause the poor visual environment. To improve visual environment, the plan is required that admit diffused lighting into classroom deeply.

      •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학습동기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김순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상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실태와 인터넷의 중독 실태에 대해 살펴볼 때, 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실태는 거의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인터넷을 학업에 활용하기 보다는 게임이나 채팅으로 사용하고 있다. 인터넷중독 실태를 보면,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은 심각하며, 성별, 학년별에서 중독실태가 비슷하며, 성적분포를 통한 연구를 통해 인터넷중독이 심한 학생일수록 성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학습동기의 관계를 살펴볼 때, 인터넷중독과 학습동기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인터넷 중독이 심할수록 학습동기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즉, 학습동기가 낮을수록 인터넷중독 경향이 높으며, 이는 학습에 대한 동기가 낮을 학생일수록 인터넷중독에 대한 위험요소를 더 갖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살펴볼 때,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인터넷 중독이 심할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즉, 인터넷 중독경향이 높을수록 교사와 조화롭고 긍정적인 관계를 맺는 정도가 떨어지고, 친구에 대한 관심과 학교의 여러장면에서 적응력이 떨어진다. 넷째, 인터넷중독이 대도시의 청소년뿐만 아니라, 소도시의 청소년에게도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학습을 하고자 하는 학습동기와 학교생활적응하는 전반적인 영향이 매우 큼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nd academic motivation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d follows: First, How are the actual conditions of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1) How are the actual conditions of internet addiction among gender groups? 2) How are the actual conditions of internet addiction among academic background? Second, How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academic motivation level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1) How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academic motivation level among gender groups? 2) How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academic motivation level among academic background? Third, How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level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1) How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level among gender groups? 2) How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level among academic background? There were 475 students in Tea-An and Tea-An area in Korea as a subject for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149.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157. High school students were 169)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was very severe. and we need to find the effective methods and several methods about the internet use and educ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nd academic motivation was found to indicate a negative relationship. This result means that the more the possibility of internet addition was, the lower subjects' academic motivation becam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was found to indicate a negative relationship. This result means that the more the possibility of internet addition was, the lower subjects' adaptation of school life became. Fourth,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re spreading small tows as well as metropolis. Because internet addiction affects severely academic motivation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we need various directions, parents concern and expert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internet addiction 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