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인 가구주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에 관한 연구 : 청년과 중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순정 청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arrange frameworks for supporting the young adults and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er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m by examining ecological variables that affect the young adults and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ers to elicit implications about the preventive intervention in newly arising social problems in circumstances where despite of the dramatic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occurrence of new problems related with various social and economical factors, the study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focused only on the elderly living alone.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egrated data each for the households and the household members from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extracted relevant variables regarding the young adults and the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analyzed 196 young adults aged from 20 to 44 and 304 middle-aged adults aged from 45 to 64.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household and the level of depressi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young adul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middle-aged, and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middle-ag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young adults. Second, in c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dividualsystem (gender, health status, household annual income), microsystem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esosystem (career satisfaction, leisure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Along with all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Individualsystem (economic activity status) be the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 the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 and Individualsystem (residential area) and microsystem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the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 the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 Third, in case of the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 Individualsystem of residential area and microsystem of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ppeared to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 of depression and in case of the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Individualsystem of health status, microsystem of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combined, mesosystem of career satisfaction and the macrosystem of availability of social service appeared to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 of depression. Through this, we have identified the effects of ecological factors (Individualsystem, microsystem, mesosystem and macrosystem)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young adults and the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society should recognize rapidly increasing single-person household as one type of family and it is urgent that relevant regulations for the single-person households be enacted so as to prevent them from being socially excluded or alienated arranging necessary support system. Second, society should provide programs sui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person households at the early stages because if they come to an old age without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meliorated, the social burden will be aggravated. Also, support for the physical·mental health and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 network such as enlarging volunteering opportunities of the single-person households, propping up self-help leisure groups and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to the formation of network is needed. Third, the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showed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in regard to this matter, it is urgent that we come up with positive social intervention measures, not just see it as personal problems. 본 연구는 1인 가구주의 급격한 증가와 다양한 사회적·경제적 요인에 따른 새로운 문제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1인 가구주에 대한 연구가 독거노인에 집중되어 있어 새로 발생하는 사회문제의 예방적 차원의 개입에 대한 함의 도출을 위한 생태학적 요인을 찾아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에 대한 지원근거를 마련하고 사회복지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제11차 한국복지패널(KOWEPS) 자료 중 가구용, 가구원용 자료를 통합하여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와 관련된 변수를 추출하여 가구형태 질문에 ‘단독’으로 답한 20세~44세 청년 196명, 45-64세 중년 304명을 분석 하였으며,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주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있어서는 청년이 중년보다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중년이 청년보다 우울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1인 가구주의 경우 개인체계(성별, 건강상태, 가구연소득), 미시체계(사회적 친분관계 만족)와 중간체계(직업생활만족, 여가생활만족)가 생활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 변인과 더불어 개인체계 중 경제활동상태가 청년 1인 가구주에게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체계 중 거주지역과 미시체계 중 가족관계 만족이 중년 1인 가구주에게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 1인 가구주의 경우 개인체계(거주지역), 미시체계(사회적 친분관계 만족)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년 1인 가구주의 개인체계(건강상태), 미시체계(가족관계 만족,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와 중간체계(직업만족), 거시체계(사회복지서비스 이용)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개인체계, 미시체계와 중간체계, 거시체계)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급속도로 증가 추세를 보이는 1인 가구를 하나의 가족 형태로 인식하고 이들이 사회적으로 배제되거나 소외되지 않도록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를 위한 관련 조례 제정이 시급하며, 필요한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가 지닌 특성과 문제가 개선되지 않은 채 노년을 맞게 되면 사회적인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조기에 1인 가구주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1인 가구주들의 자원봉사활동 기회 확대나 여가활동 등의 자조모임을 지원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등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과 사회 관계망 형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중년 1인 가구주의 우울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개인적인 문제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이들을 위한 적극적인 사회적 개입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 발레전공자의 외번(eversion)된 발이 발레 기술에 미치는 영향

        김순정 동덕여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the influence that the everted feet of ballet major makes on ballet techniques. Two experimental groups, ones with eversions and ones without, were analyzed on what influences them while doing the ballet techniques and how they are different. The main idea of the study is to implement 12 weeks of Eversion Prevention Training Program and review the results. Also, the result of such experiment will be utilized in developing Eversion Prevention Training Program for the ballet majors. To conduct the 12 weeks of Eversion Prevention Training Program, 20 ballet majors with 10 years of experience from “S” Univers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0, the everteds and the normal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 to classify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mong each subject groups. Attitude derri?re, a ballet posture were used as a tool to classify the everteds and the normals and four ballet postures (1: 1st position & ? l? seconde, 2: 1st position demi-pli? & en b?s, 3: D?velopp? ? l? seconde 90°, 4: Attitude derri?re) and four ballet techniques (1: Doubl? ?chapp?, 2: Sisonne temps l?ve-1st arabesque, 3: 4th position Pirouette en dehors, 4: Tour ? l? Seconde en dedans) were used to compare the two groups and verify the efficacy of the 12 week training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mage analysis tool, EMG measurement tool, ground reaction measurement equipment and it was sorted with Qualisys Track Manager(QTM). To inquire the difference between two subject groups, independent t-test was applie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all groups, eversion treatment group, eversion control group, normal treatment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were collected and compare with the data before and after the test. By 2-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2nd factor, results of 12 week Eversion Prevention Program were analyzed and verified.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with SPSS statistics 19.0 statistics package (IBM, USA)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ere set to . According to the research, evidences showing that everted feet has negative influence on safety issues and ballet postures were confirmed. However, ballet majors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might as well have eversions, but due to their trainings done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everted group were ambiguous. But, in terms of efficiency in the use of muscles, the everted group showed inefficient activation in some muscles. The 12 week program to prevent and fix the eversion was implemented on subjects, bu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cannot rectify the feet of ballet majors with 10 years of experience. Thus, to increase the stability and efficiency for the ballet postures, the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ballet learners will have to be adopted and carried before the actual ballet classes. Such conclusion provides a ground for further studies on experimental researches for the childhood ballet learners. 본 연구는 발레전공자의 외번(eversion)된 발이 발레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외번집단과 정상집단이 발레동작 수행 시 영향을 받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그 차이를 밝히고 12주간의 외번방지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10년 경력의 발레전공자 20명을 선정하여 외번집단과 정상집단으로 10명씩 분류한 후 각각 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앞서 발레 Attitude derriere 자세를 분석하여 외번그룹과 정상그룹을 구분하였으며, 4가지 발레 자세(1: 1st position & ? l? seconde, 2: 1st position demi-pli? & en b?s, 3: D?velopp? ? l? seconde 90°, 4: Attitude derri?re)와 4가지 발레 기술(1: Doubl? ?chapp?, 2: Sisonne temps l?ve-1st arabesque, 3: 4th position Pirouette en dehors, 4: Tour ? l? Seconde en dedans)을 통해 외번그룹과 정상그룹의 차이를 비교하고 12주간의 트레이닝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기기는 영상분석장비, 지면반력기, 근전도 측정장비, 모든 데이터는 Qualisys Track Manager(QTM)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처리방법으로는 외번 그룹과 정상 그룹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independent t-test)을 사용하였다. 또한 외번 처치 집단, 외번 통제 집단, 정상 처치 집단, 정상 통제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사전 사후 데이터를 비교하였으며,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2-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2nd factor)을 사용하여 각 집단 내에서(정상 그룹, 외번 그룹)의 12주간의 외번 방지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세의 비교 결과 자세1에서는 외번그룹의 발목 외번각도와 머리전방기울기가 크게 나왔지만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자세2에서도 외번그룹의 발목외번각도,몸통전방기울기,머리전방기울기가 크게 나왔지만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자세3에서는 발목 외번 각도는 외번그룹이 28.40(±4.7)°로 정상그룹 22.89(±4.1)°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6). 2. 기술의 비교 결과 기술1에서 발목 최대 외번 각도는 외번그룹이 30.21(±7.5)°로 정상그룹 22.52(±2.6)°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p=.003), 발목 최대 외번 ROM도 외번 그룹이 23.83(±7.0)°로 정상그룹 18.84(±4.8)°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40). 기술2에서 첫 번째 지지기에서 발목 외번 ROM은 외번 그룹이 24.71(±5.2)°로 정상그룹 18.44(±5.2)° 보다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p=.008). 기술3과 기술4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외번방지훈련프로그램을 12주간 피험자들에게 적용하였으나 효과 검증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자세2에서 정상그룹에서는 시간에 따른 머리 전방 기울기 각도의 차이는 없으나(p>.05), 시간과 처치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 자세 3의 발목 외번 사전-사후 각도 변화에서 외번그룹에서는 시간에 따른 발목 외번 각도의 차이가 없으며(p>.05), 시간과 처치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6). 기술 1의 첫 번째 지지기에서 발목 최대 외번의 사전-사후 각도 변화는 외번그룹에서는 첫 번째 지지기에서 시간에 따른 발목 최대 외번 각도의 차이가 없으나(p>.05), 시간과 처치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49). 정상그룹에서는 첫 번째 지지기에서 시간에 따라 발목 최대 외번 각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13), 시간과 처치의 상호작용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기술 1의 첫 번째 지지기에서 발목 외번의 사전-사후 ROM 변화에서 외번그룹에서는 시간에 따른 발목 외번 ROM의 차이가 없으나(p>.05), 시간과 처치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32), 정상그룹에서는 두 번째 지지기에서 시간에 따라 발목 최대 외번 각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10), 시간과 처치의 상호작용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기술 2의 첫 번째 지지기 충격량과 점프 시 초기 속도 비율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는 외번그룹에서는 첫 번째 지지기 충격량과 점프 시 초기 속도 비율은 시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시간과 처치의 상호작용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44). 4. 근전도실험 비교 결과, 외번인 피험자가 자세1,2에서는 대퇴직근과 외측광근, 자세3에서는 외측광근, 자세4에서는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전경골근, 비복근의 근활성도가, 효율적으로 근육을 사용을 하는 정상그룹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기술에 있어서도 4가지 기술 수행시 외번인 피험자의 근활성도가 정상그룹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나, 비복근의 근 활성도는 전 구간에서 작게 나타났다. 이로써 자세나 동작이 쉬워도 외번인 피험자는 근활성이 높아 피로를 빨리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자세나 기술이 어려워질수록 비복근 활성이 떨어져 활력있고 수준높은 기술을 구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보면 10년 이상의 발레 경력을 가진 사람에게는 12주 짧은 트레이닝이 자세를 완전히 교정하지는 못하지만 효과가 있었다는 점은 알게 되었다. 외번된 발을 가진 발레전공 피험자 전원은 12주 트레이닝 후 효과가 있었다고 스스로 느끼고 있었으므로 프로그램 직후 이들의 소감과 면담, 질문지를 통한 서술은 향 후 연구를 위해 정리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발레 자세 및 기술을 수행할 때 안정성을 높이고, 자세를 바르게 하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레를 처음 배우는 유년기부터 기본적으로 발목 외번 방지훈련 프로그램을 발레 수업 전에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험자와의 소감 및 면담과 서술을 통해 알 수 있듯이 10년 이상의 발레전공자들의 외번이 발레 연습과정에서 발생하였다고 하는 것은 잘 못된 습관에 기인한 것이므로 예방차원의 외번방지 훈련프로그램 실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초기교육부터 외번을 방지하기 위해 지도자들은 주의를 기울여야하며 이미 외번이 된 발을 가진 전공자들 역시 매 시기마다 측정을 하면서 바로잡아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론은 후속 연구로써 발레를 하는 유년기 아동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실험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당위성을 제공하고 있다.

      •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칼빈(J. Calvin)의 교회표지에 관한 연구

        김순정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Korean church has experienced a dramatic revival and growth in the amazing grace of God Almighty. Korea has become one of top countries which had dispatched many a missionary to whole wide world and have been playing a big role of saving many nations in the Gospel of Jesus Christ. After such a remarkable achievements, however, various kinds of corruptive misdemeanor and secular(earthly) appearance came to rush on. Churches became the target of criticism by unchristians, instead of the position of light and salt. Churches should be functional as a body of Jesus Christ in order to purify, innovate and transform the earth that was stained with blood-like sin. As of this year, we are celebrating the 502nd birthday of John Calvin (1509~1564). At this point in time, we shall remember his passion and faith once again and set up the righteous church theory of Calvin who fell in ardent love with God and church. Calvin did define church as; 1. a graceful organization where preserving the faith of Saints 2. the place where God's words are honestly proclaimed 3. a region where the power of Holy Ghost is vividly working 4. where the Holy Communion of Saints is, as confessed in Apostles' Creed 5. a single gathering through unity with Jesus Christ. Church is referred to as specialized in “inward character and out-ward mark.” The Nicene Creed of 325 and The Nicene-Constantinopolitan Creed of 391 declared the attribute of church to be unified(as on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Calvin also symphasized with those 4 attributes of conventional` position. In addition, did he regulated in his masterpiec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orthodoxical preach and comprehension, holy performance of Sacrament, the Christian ceremony as the guide of a church. He firmly accepted such a communion in possession of these 2 marks as a church-like church. What the modern Korean church needs now is its genuine character. The original form is represented with the attribute and mark. When church loses its original color, it becomes an earthly nature. Therefore, the present writer searched for the conception of an opinion on the mark of the church, as described in Calvin's work,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and tried to find the direction to the mark of the church based on Scriptures and reformisticism. Calvin is referred to as a preacher and theologist on the basis of words of God, was a true advocate who put a most strong stress on the God's words in his pastorship and missionary.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ords, the actual mark of the church. He had a conviction that the origin of church depends on how God's words is preached in righteous way, according to teaching Saints right from wrong as the basic standard. He taught us that in history, Holy Ghost is strongly working with God's words and words are fulfilled through Holy Spirit in reverse. That truth strictly warns who forsake words and are easily fell into mysticism, not to be obsessed by delusion. Sacrament was also considered as one of significant church marks. Words-oriented sacrament, work through Holy Spirit are leading us in unison with Christ. Calvin's thorough biblical point of view on sacrament would assuredly be referred to as a fundamental theology for Korean church. Most distinguishing peculiarity in Calvin's Genevan Ministry was Consistory of Genevan church. Calvin did not describe discipline as the mark of a church, because he did not attribute discipline to the essence of a church. However, he also accented discipline, as well as words and sacrament There was no one but Calvin who strongly made practice of discipline in the arena of pastorship. We, reformed churches today could never forget Calvin for what he had done for Christ and churches in his blood, sweat and tears. Since we, all modern churches owe him in the theology and pastorate as well. For the sake of building up churches on top of Bible, he fervently sermoned God's word, ministered a sacrament in righteous way and enforced a justifiable discipline, which became indispensably required to churches on earth nowadays and in conclusion, we are assured of the fact that those principles are the basic foundation of building up the church on its original formation.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로 눈부신 부흥과 성장을 경험하였다. 세계에서 선교강국으로 자리를 잡고, 많은 민족들을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구원하는 역할을 감당해왔다. 그러나 눈부신 부흥과 성장 뒤에 온갖 부정과 부패, 세속화의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세상에서 소금과 빛의 역할을 해야 하는 교회가 세상의 비난의 대상이 되는 상황이 되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기능을 감당해야 한다. 죄악에 물든 세상을 정화하고 개혁하고 변화시켜야 하는 책임이 있다. 올해로 칼빈(John Calvin, 1509~1564) 탄생 502주년을 맞는다. 이 시점에서 한국교회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교회를 사랑했던 칼빈의 열정과 신앙을 다시금 확인하고 바른 교회론을 정립해야 한다. 칼빈은 성도의 신앙을 보존시켜 주는 은혜의 기관, 하나님의 말씀이 바르게 선포되는 곳, 성령의 능력이 역사하는 곳, 사도신경의 고백대로 거룩한 성도의 교제가 있는 곳, 그리스도와 연합을 통해 하나가 되는 것이 교회라고 보았다. 교회는 내면적인 속성과 외면적인 표지(the Mark)를 가지고 있다. 325년 니케아 신조(The Nicene Creed of 325)와 381년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The Nicene-Constantinopolitan Creed of 391)에서는 교회의 속성을 통일성(one), 거룩성(holy), 보편성(catholic), 사도성(apostolic)으로 규정하고 있다. 칼빈도 이 전통적 입장을 따라서 4가지로 속성을 말하였다. 또한 교회의 표지에 대해서는 그의 『기독교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에서 말씀의 올바른 선포와 청취, 올바른 성례의 시행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두 가지 표징을 가지고 있는 공동체를 확실히 교회로 받아들인다고 하였다. 현대 한국교회에 필요한 것은 교회의 정체성이다. 그 정체성은 바로 속성과 표지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정체성을 상실할 때에 교회는 세속화되어 간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칼빈의 『기독교강요』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에 나타난 교회의 표지에 대한 견해를 정리해 보고, 성경적이고 개혁주의적인 교회의 표지의 방향을 찾아보았다. 말씀의 사역자, 말씀의 신학자로 불린 칼빈은 실제로 그의 목회와 사역 속에서 말씀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인물이다. 그는 교회의 참된 표지인 말씀을 강조하였다. 거짓교회와 참 교회를 구별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기준은 바로 하나님의 말씀이 바르게 전파되는가 하는 것이다. 성령은 말씀을 통하여 역사하며, 말씀은 성령을 통해 완전해진다고 강조함으로 성령께서 말씀을 통해 역사하고 계심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말씀을 떠나 신비주의에 빠지는 자들에게 큰 경각심을 주는 것이다. 칼빈은 성례(Sacrament)도 역시 교회의 참된 표지 중 하나로 보았다. 말씀에 기초한 성례, 성령의 역사를 통해 성례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으로 이끈다. 철저하게 성경에 근거한 칼빈의 성례관은 한국교회에 아주 중요한 성례신학의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겠다. 칼빈의 제네바 목회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제네바교회의 컨시스토리(Consistory)다. 칼빈은 교회의 표지로서 권징을 말하지는 않는다. 권징(Discipline)은 교회의 본질이라고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말씀과 성례와 동일하게 권징에 대해서도 강조를 하였다. 칼빈만큼 권징을 강조하고 목회현장에서 실천에 옮긴 사람도 드물 정도로 강력하게 시행하였다. 그리스도와 교회를 위해 흘린 칼빈의 땀과 노력은 오늘날 개혁교회들이 기억해야 한다. 현대 개신교회는 신학과 목회에서 칼빈에게 모두 빚지고 있기 때문이다. 칼빈이 교회를 성경 위에 세워나가기 위해 몸부림치며 강조한 올바른 말씀의 전파와 성례의 올바른 시행, 권징의 정당한 시행은 오늘 이 땅의 교회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교회의 정체성을 세우는 기초가 되는 것임을 다시금 확인하게 된다.

      • 쉼터여성의 학대경험과 신체심리적 건강 : 쉼터여성과 지역사회 거주 여성들과의 비교

        김순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쉼터여성이 남편의 아내학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남편으로부터 어떠한 형태의 학대를 어느 정도 받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남편으로부터의 학대경험이 이들의 신체적·심리적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아내학대의 부정적인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아내학대로 인해 신체적·심리적 손상을 당한 피해여성의 회복과 보다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치료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쉼터여성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유사한 일반여성을 비교집단으로 표집하여, 남편의 학대에 대한 인식경향, 학대의 경험정도, 신체적·심리적 증상에 있어서 쉼터여성과 일반여성을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의 아내학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비교해 본 결과 두 집단간의 인식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쉼터여성과 일반여성간의 남편으로부터 받는 학대의 경험정도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즉, 일반여성에 비해 쉼터여성이 남편으로부터 학대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쉼터여성과 일반여성간의 신체적·심리적 증상에서 두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즉, 쉼터여성이 일반여성에 비해 신체적·심리적 나쁜 증상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넷째, 쉼터여성의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린 시절 폭력관찰경험과 부모로부터 받은 체벌경험, 남편으로부터 받은 학대의 경험정도를 살펴본 결과, 주로 남편으로부터 받는 학대의 경험정도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편으로부터 받은 학대가 현재 쉼터여성의 신체심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위의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쉼터여성이 일반여성에 비해 신체·심리적 건강에서 더 취약한 가장 큰 원인이 바로 남편으로부터 받는 학대의 경험이다. 따라서 남편의 학대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이 가해자인 남편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와 남편의 학대로 인하여 피해여성이 가지고 있는 수치심, 무기력감을 감소시키면서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책이 필요하다. 먼저 가해자인 남편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성역할태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분노상황이 일어났을 경우 분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학습시킨다. 마지막으로 아내를 학대하는 남편의 경우 표현능력이 부족하면 할수록 갈등을 신체적 폭력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들을 위해서 비폭력적으로 자기주장을 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다음으로 아내학대 피해여성을 위해서는 이들이 가지고 있는 수치심과 무기력감을 감소시키면서 스스로의 자존감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둘째, 아내학대 피해자들의 주변에 존재하는 가족, 친구, 이웃, 동료 등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사회지지체계를 활용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학대’라는 공통의 문제를 가지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어려움들을 해결하기 위한 자조집단을 구성하여 아내학대 피해자로 하여금 자신감, 신뢰감, 자존감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내학대로 인해 피해 받고 있는 여성들이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전문적인 상담서비스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따라서 가정폭력과 관련된 상담의 전문성과 상담인력의 전문화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법적 근거의 마련과 함께 정부의 가정폭력상담정책을 연구하고 전문적인 상담인력의 양성과 교육, 재교육과 관련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수행하는 중추적인 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the shelter women and ordinary women are aware of the wife abuse of a husband and to analyze what kind of abuse and how much abuse a wife is received from a husband, and to disclose what kind of effect the wife abuse makes on physical·psychological symptoms, then to bring the negative effect of wife abuse to light. And through this, it is to find the remedy to recover those women who have suffered physical·psychological damage due to the wife abuse and to make them lead a healthier life. In this study, I compared the awareness tendency, experience degree of abuse, and physical·psychological symptoms targeting ordinary women who have similar socio-demographical features to the shelter women and examined if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how they are aware of the wife abuse of a husb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wareness between two group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degree of abuse from a husband between the shelter women and ordinary women. That i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shelter women have received more abuse from their husbands than ordinary women.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physical·psychological symptoms between the shelter women and ordinary women. That is, the shelter women came to harm in physical·psychological symptoms more than ordinary women. Fourth, as a result that I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al features, the experience of observing violence in childhood, the experience of suffering corporal punishment from their parents, and the experience of abuse by their husbands about the effects on the physical·psychological health of the shelter women, it has been revealed that it is mostly because of the experience degree of abuse by their husbands. To find the remedy for wife abus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we should reduce the sense of shame and lethargy that the victimized women of wife abuse have and help them improve the self-respect of their own. Second, we should use various social support networks to be able to provide them with support such as family, friends, neighbors, and coworkers etc. who are around them. Lastly, in order to solve various difficulties that arise from the common problem of 'abuse', we should organize a self-help group and have the victimized women strengthen the sense of confidence, trust and pride.

      • 음악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순정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음악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문제 1. 음악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음악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은 유아의 언어능력 및 언어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해서 서울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만 4세 남녀 유아 30명을 무선 선정하여 15명은 음악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실시할 실험집단에, 15명은 누리과정을 통한 음악감상과 이야기나누기만을 할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 도구로는 ‘유아 통합 창의성 검사’(이경화, 2012)를 사용하였으며, 언어 측정 도구로는 ‘언어능력검사’(이경화, 2011)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통제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 후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후 효과 검증을 위하여 사후창의성 검사 점수를 이용하여 t-test와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을 통하여 음악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의적 능력을 증진시키는 활동으로 확인되었다. 창의적 성향의 하위요소인 호기심, 독립심, 모험심, 과제집착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창의적 능력의 언어영역과 도형영역은 음악감상과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제공된 통제집단에 비해 음악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음악감상 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언어로 표현 하면서 유아의 표현어휘의 수, 문장의 수, 문장의 길이가 증가되는 것으로 언어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음악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은 창의성과 언어능력 향상에 매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단기간이 아닌 장기적인 기간을 두고 음악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이용한 구체적인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ich effect the story making activity through music appreciation has on creativity and language abi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ly,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nd confirmed this. Research problem 1. Which influence does the story making activity through music appreciation have upon creativity(creative ability, creative propensity) of young children? Research problem 2. Which influence does the story making activity through music appreciation have upon language ability and languag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For this study, it randomly selected 30 little boys and girls at Western age 4 of child care center where is located in Seoul ares, and randomly distributed 15 people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carried out the story making activity through music appreciation, and 15 people to the control group, which was performed only music appreciation and story sharing through Nuri curriculum. A measurement tool, which was used in a study, was used ‘test of the integrated creativity for young children'(Lee, Kyung-Hwa, 2012). A language measurement tool was used ‘language ability test(Lee, Kyung-Hwa, 2011). Group-based homogeneity was confirmed after carrying out pre-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verify effect after experiment, t-test was carried out by using score of post-creativity test. Through verifying group-based difference, the effect of the story making activity through music appreciation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y making activity through music appreciation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improvement in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Especially, it was confirmed to be activity of promoting creative abilit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n't shown in curiosity, independence, adventurous spirit, and task commitment, which are sub-elements of creative propensity. However, the linguistic section and figural section in creative ability were shown to b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story making activity through music appreci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was offered the music appreciation and the story making activity. Second, the story making activity through music appreciation was confirm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improvement in language ability with being increased number of expressive vocabularies, number of sentences, and length of sentence of young children while expressing own thought and feeling with language after music appreciation. In conclusion, the story making activity through music appreciation was identified to have been effective program of being conducive so much to enhancement in creativity and language ability. Accordingly, there will be a need of developing a specific class program with the use of the story making activity through music appreciation with having not short but long term.

      • 韓國人 海外旅行者의 觀光行態에 관한 硏究

        김순정 京畿大學校 經營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8639

        Today, the size of the tourist movement is possibly equal to to the biggest population movement in world history. In this point, peoples participation in overseas travel in Korea is remarkably growing with the increase of disposable income, the change of consumption type and the increase of urbanizing rate by continuous economic growth during that time. Therefore, tourism has been enjoyed as the most desirable and fundamental leisure activity all around the world. Overseas travel in Korea has been greatly increased as from official announcement the liberalization policy of overseas travel in 1. 1. 1995. But increase of overseas travel has been given rise to ill effects as well as an advantage. In terms of this, Korea is required the development for sound overseas travel and improvement about the poind of issue and the need of investigation to tourist behavior for the satisfaction of overseas travel demand. This study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as follow: CHAPTER I 0 Section I : purpose of the study. 1. Investigation about theory related tourist behavior. 2. Analyzing and studying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problems over korean overseas traveller. 3. Formulating a plan to fix sound overseas travel through analyzing people's tourism inclination. 4. Based on the above, it is aimed at finding the plan of activation to fix sound overseas travel. 0 Section II :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The scope of time of the study from 1994 to 2001, the 3th year that National Land Development plan is finished. The method of the study, documents were utilized and material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is study performing and a comparative method on the analysis of the actural condition of investigation of movement by traveling all people from 1988 to 1994. CHAPTER II Theoretical background on tourist behavior. This chapter has a meaning of overseas travel, theoretical background on tourist behavior, the concept of overseas travel and an important factor effects on tourist behavior. CHAPTER III Analysis on the actural condition and problems of tourist behavior about korean overseas travellers. 0 Section I : Analysis on people's tourism inclination. 0 Section II : The present development situation and problems about korean people's tourism inclination of patterns. CHAPTER IV This chapter will set up improvement prospected the side of tourist behavior of korean overseas travellers. CONCLUSION Korea's economic growth and stability policy is expected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There fore, korean Overseas travel has to be carried out to meet people's need in the time of leisure culture.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verseas travel, although many problems is caused by Korean Overseas travellers is so high, but it can accomplish various experiences, well-informed through overseas travel. Besides overseas travel will make a realization internationalization and glottalization of Government. Accordingly we have to stress the development of sound korean overseas traveller in the future.

      • 디지털 만화 플랫폼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만화 연구

        김순정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Korea comics market faced big turning point with webtoon known as new type comics, when Soonjungmanwha (Kang Pul) was published serially at portal site 'Daum' in 2003. Since 2003, webtoon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standard of online comics during 10 years. However, webtoon are approaching the breaking point. Because webtoon is based on free service, it hasn't clear business model. when a new alternative was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an innovative new type of comic appeared in digital comics platform with smart phone in 2009. It is application comics. The study of application comics is incomplete yet in Korea. This paper studied application comics that is new digital platform have appeared due to changes in the age and proposed development potential of domestic application comics. First, this paper organized digital comics' concept and digital comics platform classification to define application comics. Comics that published by printed paper needed new definition in new digital era. The definition of digital comics has to be considered series of digital process "crea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Digital comics is created by digital tools, or comics that is changed and saved as digital data. It is defined as comics type that is sent to reader by digital data in storage tool and network. To find current state of application comics, Concept of digital comics platform was defined and classified. Digital comics platform is defined the huge place that suppliers and consumers of digital comics meet. Based on defined concept, digital comics platform was divided into six kinds, viewer comics webtoon e-book mobile webtoon application comics other platform. As a result, border between Platform is dimming and integrating, application comics is leading this trend. Advanced study can derive a clear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an application comics. Application comics is defined as comics operated by application that is sold software market and installed consumer' tool. Application comics has set own state and make profit in America, but is located the growth stage in Korea. Compared to webtoon, characteristic of an application comics has noticeable differences. First, characteristic of an application comics has discriminatory comics direction. Direction of application comics consider monitor as window, and has unlimited canvas concept that unlimited time and various types exist. Scene can be switched by touching scene by scene gently, and music & video can be inserted. Second, application comics has easy business model development structures. Because webtoon could not make clear business model, webtoon faced limitation of growth now. However, application comics has clear business model that consumer buy supplier's contents in application market. consumer can choose free, paid, part-paid option, part-paid option is popular recently. Using this option, supplier can make clear business model. Third, characteristic of an application is the possibility of one person publishing and scalability of multi-platform, because of trend that has open market structure and combination of digital platform. Everyone can be suppliers that sell their contents directly in application market. Contents in market has the scalability of multi-platform. Based on the previous study, I studied cases of application comics that are on service. I researched Comics and Marvel Comics that is ranked 1,2 for a long time in the U.S. App Store for abroad cases, and Naver webtoon, Smarttoon and Padtoon in Daum, and Today comics in Cacaotalk for domestic cases. Most published comic format that cut techniques in the space used to create the scene is popular in U.S. However, sometimes lyrical direction for digital comics is finded. Because webtoon is main service in market, application comics were produced based on webtoon in domestic case. However, I could find the trend that application comics were produced for smart tools recently. I found that application comics has very large growth potential and marketability in this paper. Various study and effort is needed to make application comics as new alternative in downturn Korean comics market. The study to fine the methods for development of creative comics direction and profit structure of the comics industry is new task. 한국 만화 시장은 2003년 강풀의 「순정만화」가 포털사이트 '다음(Daum)'에 연재되면서 웹툰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만화로 큰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후 웹툰은 10년간 거의 온라인 만화의 표준으로서 자리를 잡아왔다. 그러나 현재 웹툰이 한계점에 다다르고 있다. 초기부터 무료로 서비스되어 왔다는 점과 뚜렷한 수익 모델의 없다는 것이다. 이 상황을 타개할 새로운 대안이 절실한 시점에, 2009년 국내에 스마트폰이 처음으로 출시되면서 디지털 플랫폼에서 새로운 형식의 만화가 등장한다. 바로 애플리케이션 만화이다. 국내에는 아직 애플리케이션 만화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눈문에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등장한 새로운 디지털 만화 플랫폼인 애플리케이션 만화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애플리케이션 만화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애플리케이션 만화를 정의하기 위해 보다 상위개념인 디지털 만화의 개념과 디지털 만화 플랫폼의 분류에 대해 정리하였다. 종이에 인쇄되어 출판되던 만화는 새로운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정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즉 디지털 만화의 정의는 디지털로 '창작, 유통, 소비‘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디지털 만화는 ‘디지털 도구를 이용하여 창작되거나, 또는 스캐너를 이용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되어지는 만화이다. 그리고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저장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제되거나 전송되어 독자들을 만나는 일련의 만화 형식’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만화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디지털 만화 플랫폼의 개념을 정리하고 분류하였다. 디지털 만화 플랫폼은 디지털 만화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만나는 하나의 ‘장(場)’으로 그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정의된 개념을 바탕으로 디지털 만화 플랫폼을 여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①뷰어 만화 ②웹툰 ③e-북 ④모바일 웹 만화 ⑤애플리케이션 만화 ⑥기타 플랫폼이 그것이다. 그 결과 플랫폼별 경계가 희미해지고 통합되어가는 추세이며, 그 중심에 바로 애플리케이션 만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애플리케이션 만화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애플리케이션 만화는 특정 기기의 소프트웨어 장터에서 판매하여 고객의 기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으로 구동되는 만화이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이미 애플리케이션 만화가 탄탄하게 자리를 잡고 수익을 내고 있는 반면, 국내의 애플리케이션 만화는 이제 성장기에 접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애플리케이션 만화의 특징은 웹툰과 비교했을 때 확연한 차이점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첫째, 무한 캔버스의 차별적 만화 연출이다. 애플리케이션 만화의 연출은 모니터를 ‘창’으로 취급하고, ‘창’ 넘어 에는 무한한 시간과 다양한 형식이 존재할 수 있다는 ‘무한 캔버스’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면을 터치함으로서 다양한 연출 방법으로 장면이 전환되거나. 멀티미디어 요소인 음악과 동영상을 삽입할 수도 있다. 둘째, 애플리케이션 만화는 쉬운 수익 모델 개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웹툰이 10년이 지난 지금 한계에 다다른 것은 바로 뚜렷한 수익 모델을 개발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 만화는 애플리케이션 시장을 통해 판매자가 콘텐츠를 내놓으면 구매자가 돈을 지불하고 구매하게 되어 있다. 이때 판매는 무료, 유료, 부분유료의 세 가지 방법 중 선택하면 되는데, 최근에는 부분유료의 모델 방법을 많이 선택하고 있었다. 이 방법으로 쉽게 수익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 셋째, 1인 출판의 가능성과 멀티 플랫폼으로의 확장성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바로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오픈마켓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과 디지털 플랫폼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통합되는 추세 때문이다. 누구든지 원한다면 애플리케이션 시장에 직접 콘텐츠를 판매하는 공급자가 될 수 있으며, 이때 공급한 콘텐츠는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위의 특징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만화를 중심으로 사례를 연구하였다. 해외의 경우 미국 앱스토어의 도서부분에서 오랫동안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코믹솔로지의 「코믹스 (Comics)」와 마블의 「마블코믹스 (Marvel Comics)」, 그리고 국내 사례로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웹툰>에서 서비스되는 <스마트툰>과 포털사이트 ‘다음(Dum)’의 <만화 속 세상>에서 서비스 되고 있는 <패드툰>,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카카오톡’의 <오늘의 웹툰>, 그리고 최근 서비스를 개시한 앱진 <레진코믹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미국의 경우에는 이미 출판 만화 중심으로 만화 시장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만화도 대부분 출판 만화 형식으로, 칸에서 칸으로 장면을 연출하는 기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간혹 디지털 만화를 위한 서정적인 연출의 사례도 찾아볼 수 있었다. 국내의 경우 웹툰이 이미 만화의 표준으로 시장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 의료기관 평가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태도

        김순정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valuates the impact on consumer views of hospital performance repor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1) to describe consume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public hospital performance report, (2) to examine whether these perception and attitude differ by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service utility, and (3) to examine whether these perception and attitude influence on consumer use of hospital performance report.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wth 385 customer visiting OPD in four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Data wera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20 through September 1, 2006. After descriptive analyses, Chi-square tests, ANOVA,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variables associated with knowledge and attitude regarding hospital performance report and variables influencing on consumer's use of public report.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a half of the respondent(49.1%) had the awareness of hospital performance report. Mean scores on perception of hospital performance report were higher in 2006 than 2005. It was observed that hospital was significant predictors for customer awareness and perception of public report.Second, mean scores on attitude toward hospital performance report were significantly higher level among women, those in good health condition. It was observed that sex, age, health condition, the awareness and evaluation indicator understanding was significant predictors for consumer attitude of public report.Thir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ho have a awareness of public report said significantly that the information about public report would have influenced on their use related to the choice of hospital.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ppeared that they would recommend a better hospital for a family member and change the their follow-up hospital. Significant major predictors for their views were hospital, the confidence of public report and effectiveness for quality improvement.The finding indicates that making performance information report generated positive attitude among the consumer perceiving this report. Furthermore, we can conclude that consumer perception and awareness of report would lead them to choose their hospital. That is, consumers would use comparative performance report to make health provider and plan.So, It is suggested that policy promoters increase the consumer awareness and provide the valuable public report because it can impact on consumer's use. 이 연구는 의료기관 평가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인식과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나아가 인식과 태도가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6년 8월 20일부터 9월 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도구를 이용하여4대 종합병원에 내원한 고객 385명 대상으로 면접원에 의한 면담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도에 관한 인식과 태도에 관련요인, 그리고 결과 이용에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chi-square, ANOVA,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을 실시하였다.이 연구의 주된 결과로는 첫째, 의료기관 평가제도에 대해선 절반 수준의 대상자가 제도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2005년보다 2006년에 제도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았고 4개 병원 내원자들의 인식수준이 병원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제도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응답비율이 높았으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성일수록,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제도에 대한 인지도와 용어 이해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셋째,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와 결과 활용의 관련성 분석에서는 소비자 인지도가 더 높고,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경우에 유의하게 결과 활용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결과 활용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 요인은 먼저 우수 병원을 추천하겠다는 활용 의견에서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가 있으며, 질 증진에 효과성이 기대되는 경우 높았다. 평가결과를 보고 내원 병원을 변경할 의사에 대해서는 제도가 의료기관 선택에 도움이 되고 질 증진의 효과성이 기대되는 경우에 유의하게 변경할 의사가 높았다. 자료로서 활용하기 위해 저장하겠다는 경우에는 이상의 변수와 더불어 진료과, 외래 방문횟수, 건강상태, 제도에 대한 인상, 용어 이해도 등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이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아직 제도 초기단계로서 낮은 수준으로 영향력이 크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소비자가 의료기관 평가제도를 잘 인식하고 긍정적 태도를 가질수록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려는 의지도 높다고 요약할 수 있겠다. 중요한 점은 의료기관 평가제도의 긍정적 효과로서 제도가 제공하는 정보가 유익하고 신뢰할만하며 의료기관의 질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경우에 결과활용 의지가 높다는 것이다. 정책입안자들은 의료기관 평가제도가 소비자 행태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제도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결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타당성 제고에 노력해야 하며, 평가제도가 의료기관의 질 개선 활동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에 경주할 필요가 있겠다. 이 연구는 연구대상자가 임의추출방식으로 일반 소비자를 대표할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는 바, 일부 소비자의 의견으로 참고되어야 하겠지만 향후 제도개선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른 유아의 상상놀이 행동

        김순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arly children's imaginative plays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Thus, in an aim to provide guidelines to help early children's imaginative play, this study examine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and element of early children's cognitive play behavior (functional play, constructive play, imaginative play), non-play behavior and imaginative play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and examined if the difference is related to their age. According to these study objectives,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1. How are cognitive play (functional play, constructive play, imaginative play) and non-play behavior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gnitive play behavior (functional play, constructive play, imaginative play)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Is this difference related to ag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non-play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Is this difference related to age? 2. How is imaginative play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ype of imaginative play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Is this difference related to ag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element of imaginative play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Is this difference related to ag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4 three-year-old and five-year-old children in "A" Children's Daycare Center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s research tools, "The Complexity Evaluation Criteria and "A method to Raise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Environment" suggested by Kritchevsky, Prescott and Walling(1977) and revised by Kim Kyung-youn(1999) were used to propose a situation. In addition, Smilansky(1968)'s cognitive play development category and Frost(1992)'s non-play behavior observation classification were used to examine cognitive play and non-play behavior. Plus, McLoyd(1983)'s imaginative play type category was used to examine imaginative play types, and the definition of the components of sociodramatic play developed by Smilansky(1968) and re-proposed by Johnson, Christie and Yawkey(2001) was used to examine Smilansky(1968)'s imaginative play elements. As an observation method, early children of different ag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heir play scenes were filmed for 20 minutes each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As an analytical method, the filmed data was analyzed on a ten-second basis for each child regarding the types and elements of cognitive play behavior, non-play behavior and imaginative play, and then results were recorded in a play analysis card. The total frequency of the analyzed data was calculated in terms of score by subordinate element. In addi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repeated design and a split-plot factorial design through the SPSS win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gnitive play behavior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Regarding cognitive play behavio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unctional play, constructive play and imaginative play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f a difference in cognitive play behavior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is related to age, no difference was found.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play among cognitive play behavi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onstructive play and imaginative play by the level of complexity according to ag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non-play behavior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Among non-play behaviors, unoccupied behavior, exploration and convers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nlooker and transi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f there is a difference in non-play behavior by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according to 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on-play behavior. In addition, among non-play behaviors, explor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occupied behavior, onlookers, conservation and transition by the level of complexity according to a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imaginative play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Among imaginative play types, non-interactive imaginative play, associative imaginative play and cooperative imaginative pla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imaginative play by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according to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on-interactive imaginative play and cooperative imaginative play by the level of complexity according to 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ssociative imaginative play by the level of complexity according to ag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lements of imaginative play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Among imaginative play elements, imitative role play,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make-believe in regard to actions and situations, interaction, verbal communication and persist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lements of imaginative play by the complexity of the sand-play area according to age, it was found that imitative role play,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make-believe in regard to actions and situations, interaction, verbal communication and persist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본 연구의 목적은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상상놀이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합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인지적 놀이 행동(기능놀이, 구성놀이, 상상놀이)과 비놀이 행동 및 상상놀이의 유형과 요소는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는 연령에 따라 다른지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상상놀이를 돕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라 인지적 놀이(기능놀이, 구성놀이, 상상놀이) 및 비놀이 행동은 어떠한가? 1) 복합성 수준에 따라 인지적 놀이 행동(기능놀이, 구성놀이, 상상놀이)은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차이는 연령에 따라 다른가? 2) 복합성 수준에 따라 비놀이 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차이는 연령에 따라 다른가? 2.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라 상상놀이는 어떠한가? 1) 복합성 수준에 따라 상상놀이 유형은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차이는 연령에 따라 다른가? 2) 복합성 수준에 따라 상상놀이 요소는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차이는 연령에 따라 다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만 3세와 만 5세 유아 2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Kritchevsky, Prescott와 Walling(1977)이 제시한 ‘모래놀이영역에 있어서의 복합성 평가기준’과 ‘모래놀이 환경의 복합성을 높이는 방법’에 근거하여 김경연(1999)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상황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지적 놀이 및 비놀이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Smilansky(1968)의 인지적 놀이발달에 관한 범주와 Frost(1992)의 비놀이 행동 관찰 분류를 사용하였고, 상상놀이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McLoyd(1983)의 상상놀이 유형의 범주를 사용하였으며, 상상놀이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Smilansky(1968)가 개발하여 Johnson, Christie와 Yawkey(2001)가 다시 제시한 사회극놀이의 구성 요소의 정의를 사용하였다. 관찰 방법은 각 연령을 3집단으로 나누어서 모래놀이영역에서 복합성 수준별로 20분씩 촬영하였다. 분석 방법은 촬영한 자료를 각 유아당 10초를 단위로 하여 인지적 놀이 행동과 비놀이 행동 및 상상놀이 유형과 요소를 분석하여 놀이 기록표에 기록하였다. 분석한 자료는 각 하위 요인별로 총 빈도를 점수로 산출하여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복측정, 분할구획요인설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라 인지적 놀이 행동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놀이 행동에서 기능놀이, 구성놀이, 상상놀이는 복합성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른 인지적 놀이 행동의 차이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인지적 놀이 행동은 차이가 없었고 인지적 놀이 행동 중에서 기능놀이는 복합성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구성놀이와 상상놀이는 복합성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라 비놀이 행동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놀이 행동에서 비참여, 탐색, 잡담은 복합성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방관자와 전이는 복합성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른 비놀이 행동의 차이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비놀이 행동은 차이가 없었고 비놀이 행동 중에서 탐색은 복합성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비참여, 방관자, 잡담, 전이는 복합성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라 상상놀이 유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상놀이 유형에서 비상호적 상상놀이, 연합적 상상놀이, 협동적 상상놀이는 복합성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른 상상놀이 유형의 차이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비상호적 상상놀이와 협동적 상상놀이는 복합성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연합적 상상놀이는 복합성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라 상상놀이 요소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상놀이 요소에서 역할의 가작화, 사물의 가작화, 행동과 상황의 가작화, 상호작용, 언어적 의사소통, 지속성이 복합성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른 상상놀이 요소의 차이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역할의 가작화, 사물의 가작화, 행동과 상황의 가작화, 상호작용, 언어적 의사소통, 지속성은 복합성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