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지역의 사회적기업 종사자와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

        김수미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요 약> 인천지역의 사회적기업 종사자와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김수미 지도교수 윤홍식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실업난 극복 등의 대안으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현황 및 근무환경을 살펴보고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 특성들이 직무만족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의 발전 및 종사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종사자 대상을 다양화해야 한다. 사회적기업 대부분은 여성들이 많이 근로하는 기업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기업에 사회서비스 분야의 일자리가 많아 경력단절여성, 고령자 여성들이 가사․ 간병, 보육 일자리에 참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성을 위한 일자리를 사회서비스 분야에 국한시키지 말고 문화, 환경, 제조 등의 다양한 분야로 확대를 시키고, 청년층이나 노인층 등의 대상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지원제도를 확대해야 한다. 현재 한국 사회 사회적기업의 지원제도를 살펴보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영업전문인력, 마케팅 및 홍보 인력 등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재정적인 지원은 물론 기업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인력 지원이 시급하다. 사회적기업이 먼저 성장하고 지속가능할 수 있을 때 참여하는 종사자들의 만족도가 증가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가치실현에 주목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 종사자들이 사회적기업에 근무하는 이유에 대해 “가치, 가치 실현을 위해서” 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기업은 다른 섹터의 일자리와 다르게 종사자들이 자신의 일을 가치 있는 일자리로 여기고 있었다. 종사자들의 가치실현에 비중을 두기 때문에 사회적기업에서 자발적인 참여와 헌신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종사자들의 가치실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나 자존감 향상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직무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종사자 교육 서비스 제도가 필요하다. 넷째, 종사자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시켜야 한다. 연구 결과, 종사자들은 최저임금을 받고 비정규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종사자들의 근무 여건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제도 개선과 사회적기업가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이들을 단순히 일자리 참여자로 간주하기보다 사회적기업의 당당한 노동자로 인식하고 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주체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지역사회 내 사회적기업의 인지도가 높아져야 한다. 사회적기업은 지역 사회 내에서 성장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존속하고 지역사회를 통해 자립할 수 있다.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사회적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며, 지역 주민의 착한 소비를 통해 사회적기업이 보다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내 사회적기업 인지도가 올라갈 때 사회적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종사자들의 자존감도 높아지고 직무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다. <Abstract>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Enterprise Workers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Social Welfare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olicy, Inha University Social Welfare Major, Kim Soo-mi Academic Adviser, Yun Hong-sik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status and working environment of social enterprise which has become popular for solution of unemployment an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orker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such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and the improvement of workers’ occupational satisfaction are in the following. First, workers of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diversified. It was found that most workers of social enterprise are females. This phenomenon happens because there are many jobs related to service industry in social enterprises, and many discontinuous-career women and old women participate in jobs such as housekeeping, nursing, and child care. Work for women should not be confined to service industry but rather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fields such as culture, environment, and manufacture; work should be more designed to draw younger class and senior class. Second, supporting system of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expanded. To examine current supporting system of Korean society’s social enterprises, sales personnel on the spot and marketing/advertising personnel are very insufficient. In order for companies to be independent, it is urgent for companies to support not only with finance but also with specialized personnel. Only when social enterprises grow first and continue to survive,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workers can increase. Third, social enterprise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workers’ value realiz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highest response among the reasons that workers of social enterprises are working was “to realize their values.” The workers of social enterprises are different from other workers in that social enterprise workers consider their work valuable. Because workers value their value realization, they often voluntarily participate and sacrifice for social enterprises. Education service system such as education program and self-regard improvement program is necessary in order for workers to realize their values and to increase their occupational satisfaction. Fourth, working environment for workers should be improv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rate in which workers earn the minimum wage and serve as temporary workers is very high.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improve system and for social enterprisers to improve awareness in order to improve overall working environment for workers. Workers should not be considered simple job participators but be considered main agents of social enterprises who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enterprises. Fifth, the awareness of social enterprises in regional communities should increase. Social enterprises grow within regional communities, coexist with regional communities, and become independent through regional communities. The members of regional communities should buy the products and service of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enterprises can continue to grow through good consumption of inhabitants of the regions. When the awareness of social enterprises go up, the self-regard of social enterprise workers will increase, and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will be influenced positively.

      • 신경재생을 위한 조직공학적 담체와 신경계 세포와의 상호작용 연구

        김수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PART 1 Effect of DBP Content on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Schwann Cell and Olfactory Ensheathing Cell on DBP/PLGA Film Poly(lactic-co-glycolic acid)(PLGA) is a biodegradable synthetic polymer with acceptable mechanical strength and well-controlled degradation rate. Also, it can be easily fabricated into many shapes. Demineralized bone particle(DBP) contains powerful bioactive molecules. In this study, we fabricated natural/synthetic biomaterial hybrid films using 0, 10, 20, 40 and 80 % of DBP. Schwann cells(SCs) and olfactory ensheathing cells(OECs) were seeded on PLGA/DBP film and confirmed the effects of adhesion and proliferation on SCs and OECs according to content of DBP. PLGA/DBP composite films are easily fabricated and provided bioactive environment that enhance the cell adhesion and proliferat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specific 10 ~ 20% DBP in PLGA/DBP films was superior to adhesion and proliferation of SCs and OECs and content of DBP such as 40% and 80% could not help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BP, natural material, provide suitable surface to neural cells and proper content affect on culture condition to improve cell adhesion and proliferation. In addition, these information would contribute to design of 3-dimentional PLGA/DBP scaffold for tissue engineered spinal cord regeneration. PART 2 Effect of DBP Content on Proliferation and Phenotype of Olfactory Ensheathing Cell on DBP/PLGA Scaffold Olfactory ensheathing cells (OEC) have been reported to migrate long distances and to guid axonal regener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SCI). Bone morphogenetic proteins (BMPs), members of the TGF-β family of signaling molecules, have numerous functions in nervous system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refore, we investigated interaction of OEC with PLGA/DBP scaffold according to content of DBP. We manufactured PLGA/DBP scaffold by solvent casting/salt leaching method. Cell proliferation seeded into the scaffold were assayed MTT test and NF, S-100, P75, BDNF were expressed in OEC cultured PLGA/DBP scaffold according to content of DBP. We examined the cell adhesion and proliferation by SEM observation. We confirmed that OEC adhesion and proliferation was increased on PLGA/DBP scaffold of higher content of DBP. In these results, we recognized that PLGA/DBP scaffold provide the suitable environment for improvement of cell proliferation and formation of extra cellular matrix. PART 3 Effect of PLGA/DBP scaffolds seeded OECs and SCs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BMSCs Poly (lactic-co-glycolic acid) (PLGA) is a biodegradable synthetic polymer with acceptable mechanical strength and has well-controlled degradation rate. Demineralized bone particle (DBP) contains powerful bioactive molecules.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BMSCs) are important progenitor and supporting cells that have the intrinsic ability to self-renewal and differentiate into multiple functional cells. In this study, we fabricated natural/synthetic hybrid PLGA scaffolds included 20% of DBP(PLGA/DBP). Schwann cells(SCs) and Olfactory Ensheathing cells(OECs) were seeded on PLGA/DBP scaffolds. We confirmed that effects of PLGA/DBP scaffolds seeded OEC and SC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BMSCs. PLGA/DBP scaffolds seeded OECs and SCs were superior to differentiation into neuronal cell proliferation of BMSCs. This phenomenon was expected due to cytokine secreted by OECs and SCs promot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BMSCs. PART 4 Effect of Olfactory Ensheathing Cells on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Stem Cells Olfactory ensheathing cells(OECs) transplantation is a promising orpotential therapy for spinal cord injury(SCI). Bone marrow stromal cells(BMSCs) contain mesenchymal stem cells and progenitor cells. BMSCs can differentiate into various cell types, including muscle and brain cell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feasibility of using BMSCs as a source of stem cells for the differentiation into OECs by co-culture approach. Only OECs and BMSCs were cultured as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designed that OECs were transferred on transwell and insert this OECs culturing were co-cultured with BMSCs attached on 6 well bottom. Another experimental group cultured BMSCs in OEC-derived conditioned medium. Cultured cells were fixed at co-culture day 3, 7, 14 and 21. The expression of GFAP and P75 were characterized by immunocytochemistry. RT-PCR was used to evaluate the gene expression of P75, NSE and NF in BMSCs co-cultured with OECs. Our results showed that BMSCs able to differentiate into OEC-like cells using co-culture system in vitro. These findings could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the cell-based therapeutic strategies for CNS repair.

      • 성매매방지법 이후 지방 소도시 다방여성의 노동과정과 자기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김수미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다방여성의 열악한 근로조건과 업주의 경제적 착취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된 다방이 최근에 제정된 성매매방지법으로 어떤 변화를 겪고 있는지를 다방여성의 고용과정, 노동과정 그리고 자기인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동안 다방에 대한 연구에서는 그 논의가 성매매에만 제한되었기 때문에 성매매 이외의 부문은 심도 있게 검토되지 않았으며, 다방여성은 수동적인 피착취자로 간주되어 이들의 현실적인 모습이 제한적으로 다루어졌다. 다방과 다방여성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다방의 노동과정과 고용관계의 내적구조를 다방여성과 업주의 양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방여성의 자기인식까지 검토해 보았다. 겸업형 성매매업의 성장으로 넓어진 고용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쇠퇴하는 업종이며,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종사여성들의 유입력이 떨어진 다방은 고용난을 겪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성매매방지법의 제정으로 성매매 종사여성의 채무가 무효화되자 빚으로 얽힌 관계를 맺고 있었던 다방여성과 업주의 관계는 급변하게 되었다. 다방여성은 부채의 짐과 업주와의 인신구속적인 고용관계에서 벗어나게 되는 동시에 이․퇴직의 자유를 얻게 된 반면, 업주는 더 이상 빚으로 다방여성을 구속하고 통제할 수 없게 되어 이들의 안정적 고용과 관리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다방여성의 채무가 무효화되자 거액의 선불금이 오갔던 고용관행이 사라졌고, 다방의 선불금은 한 두 달치의 월급 정도로 축소되었다. 이에 따라 부채고용관행에서 다방여성을 고용하는 방법이었던 소개소의 이용이 감소하였다. 한편 부채 없이 업주와 대등한 고용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된 다방여성들은 기존 경험을 바탕으로 괜찮았던 업주와 다시 고용관계를 맺거나, 주변 여성들을 통해 들은 정보와 소개를 바탕으로 자신이 원하는 다방을 선택하고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다방여성들이 부채를 변제하지 않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월급 선불 거래에 있어 신뢰성이 중요한 업주는 면식관계와 인맥을 통한 소개로 다방여성을 고용하고 있었다. 채무로 인해 불평등한 고용관계에서 벗어난 다방여성은 업주와 피고용인과 고용인으로서 고용계약관계를 맺게 되었으며, 이들은 고용계약과정에서 고용난에 처한 업주와 근로조건에 관해 협상할 수 있는 교섭력을 갖게 되었다. 성매매방지법으로 다방여성의 고용방법이 변화되었고 고용계약과정에서 이들이 교섭력을 가지는 변화가 일어났지만, 계약기간 한 달의 단기임금노동, 과도한 장시간근로, 한 달에 한번뿐인 휴일, 벌금규정까지 있는 고용조건은 여전히 열악하며, 다방여성에게 불리하였다. 계약상으로 다방여성에게 불리한 근로시간 제한, 위반에 대한 벌금, 그리고 부족한 휴일 등의 고용조건은 실제 노동과정에서는 완화되어 적용되고 있었다. 근로규정의 완화가 이루어진 이유는 우선 업주에 대한 다방여성의 대항력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자유로운 퇴직이 가능하게 된 다방여성은 쉽고 간단하게 다방을 그만두고 있는데, 이들의 퇴직은 업주에게 직접적인 수익 감소와 다방 운영상의 문제를 안겨주며, 퇴직 후의 소문내기, 채무불이행, 동맹퇴직, 불법 ‘시간’영업 신고의 앙갚음은 다방을 위기로 몰수 있으며 심지어 하루아침에 망하게도 할 수 있다. 이런 대항력을 가진 다방여성은 업주에게 직접적으로 의사를 전달하여 더 나은 대우와 조건을 획득하고 있었다. 그리고 업주는 더 이상 고액의 부채로 다방여성을 통제할 수없게 되자 근로규정과 벌금규정을 다방여성들에게 철저히 준수시키기 어려워졌고, 다방여성의 퇴직과 퇴직 후 앙갚음의 위력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함부로 대할 수없게 되었다. 이런 이유에서 그리고 다방 영업에서 가장 중요한 다방여성의 안정적 고용을 위해 업주는 이들의 비위를 맞춰주는 회유적인 대응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임에 따라, 근로규정을 완화시켜 적용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요구를 받아주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다방여성의 근로여건이 개선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다방여성과 업주의 고용관계 변화와 근로여건의 개선은 다방여성의 부정적인 직업에 대한 인식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사회적으로 낙인찍힌 직업을 가진 다방여성이기 때문에 이들이 겪는 비인격적 대우와 수모은 여전하였으며, 다방여성도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자신의 일을 부정적으로 인식함에 따라 이 일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하지만 다방여성은 다방을 떠날 수 있는 상황이나 떠나지 않고 있었다. 고수입과 함께 개선된 근로여건은 이들이 다방 일을 지속하도록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다방의 고용난의 상황에서 성매매방지법의 제정으로 다방여성 채무의 무효화가 이루어지자, 다방여성과 업주의 관계가 전환되어, 고질적 문제였던 불평등하고 착취적인 고용관계가 변화되었다. 부채로 인해 구속적이던 상황에서 벗어난 다방여성은 업주에게 맞설 수 있는 대항력과 교섭력이 높아져, 근로 규정의 완화와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적극적 태도를 취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더 이상 채무로 다방여성을 통제할 수 없어 통제력이 약화된 그리고 다방여성 고용의 어려움을 겪는 업주는 다방여성을 잘 대해주는 회유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비록 형식상의 고용조건은 변하지 않았지만, 다방여성이 보다 편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고, 이는 다시 이들이 다방 일을 지속하는 가능성을 높이는 결과를 낳았다. 다방 내부에서는 이런 변화가 일어났지만 다방여성은 여전히 사회적으로 낙인찍힌 직업을 가진 주변인으로서 차별과 비인격적 대우를 경험하고 있으며, 자신의 직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힘든 삶을 살아가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which the dabang(tea-room) industry, which has continuously been plagued by problems ranging from poor working conditions to dabang owners' economic exploitation of dabang girls-a type of prostitute who delivers coffee during the day- has undergone since the recent enactment of the Sex Trafficking Prevention Act. More to the point,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s in the employment and work-related tasks of dabang girls, as well as in their perception of themselves. While existing studies on the dabang industry have focused almost exclusively on the sex trafficking aspect, very little work has been done in terms of other aspects of this industry. Furthermore, the reality of dabang girls, who have been regarded as being exploited, has only partially been dealt with. In order to develop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dabang industry and dabang girls,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bor process and labor relations within dabang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dabang girls and their employ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then delved into the matter of dabang girls perceptions of themselves. The dabang industry, which became somewhat of a sunset industry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sex-trafficking services in other business sectors, and whose lure for young women decreas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the growing awareness of the poor working conditions in which they were expected to work, has reached a point where the recruitment of new employees has become somewhat of an arduous task. In this regard, the Sex Trafficking Prevention Act which officially erased the debts of women engaged in sex trafficking ushered in a rapid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bang owners and their indebted female employees.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these dabang girls, this law not only removed their burden of debt, but also freed them from being subjected to personal abuse from the dabang owners. It also provided them with the freedom to quit their jobs or seek employment elsewhere. Meanwhile, from the standpoint of dabang owners, this sudden inability to use indebtedness as a means of controlling their employees has meant difficulties in securing a steady flow of dabang girls. The voiding of the debts of these dabang girls has in essence ushered in the disappearance of the practice of paying out large amounts in advance for dabang girls. The amount of advance payment that dabang owners have to make to hire girls has been reduced to about one or two months worth of these girls' salaries. As a result, the usage of sogaeso(employment offices), which had been the primary method of securing dabang girls under the previous debt-based employment system, has decreased tremendously. Meanwhile, the dabang girls, who suddenly found themselves capable of establishing a debt-free egalitarian relationship with the dabang owners, were able to establish a new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the owners that was based on their previous experiences and their ability to use information they had collected themselves, or obtained from others within their circle, to chose the particular dabang in which they desired to work. Meanwhile, the frequent occurrence of instances in which dabang girls did not repay their debts in the past has meant that owners, who place a high premium on reliability when making the decision to make an advance payment on the girls' salaries, employ dabang girls that have been introduced by people within their own networks. The fact that dabang girls suddenly find themselves capable of establishing a new employment contract with the dabang owners as a result of the eradication of the debt-based unequal employment relationship which had previously existed between the two, in essence means that they now possess a certain bargaining power when negotiating working conditions with a potential employer. Although the Sex Trafficking Prevention Act brought about a profound change in the methods used to employ dabang girls, and improved the latter's bargaining power during the employment negotiation process, employment conditions have remained disadvantageous to dabang girls. Such conditions have been characterized by short-term wage work based on one-month contracts, exacting schedules, only one day off per month, as well as the levying of monetary fines for any violations. In reality, disadvantageous contract conditions such as excessive working hours, the levying of monetary fines for any violations, and a shortage of days off have not been applied in an aggressive manner. The slack manner in which such working conditions have been applied has its origins in the growing ability of dabang girls to oppose any unwanted conditions. The dabang girls' freedom to change workplaces or quit their jobs outright has decreased owners' direct income and created several new problems with regards to the operation of their dabangs. In addition, several actions taken by dabang girls after their resignation, including the formulation of malicious rumors, default on their obligations, inciting their coworkers to resign en masse, and taking revenge on the dabang owner by filing a claim of illegal working hours, drove many dabangs into crisis and even resulted in many of them going out of business. The dabang girls' growing ability to oppose any unwanted conditions has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them securing better conditions and treatment by directly conveying their opinions to the dabang owners. As the dabang owners can no longer use the girls' significant debts to control them,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for them to force these dabang girls to blindly abide by the regulations related to working conditions and monetary fines. Moreover, painfully aware of the damage that these dabang girls can cause after their resignation, they find themselves unable to treat them in an impudent manner. As a result, dabang owners have found themselves with no other choice but to adopt a conciliatory stance towards dabang girls' demands for stable employment. To this end, they have exhibited a tendency to loosely apply working regulations and to accept the demands of the dabang girls. As a result, the working conditions of dabang girls have improved. The change in the employment relationship between dabang girls and owners and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have not had a marked influence on dabang girls' negative perceptions of their jobs. The fact that their jobs are regarded as being at the bottom rung of the social ladder has resulted in these girls' lingering sentiment that they are treated in an inhumane manner and that people regard their career choice with contempt. This negative perception of their jobs as something that could never be socially accepted, has caused many of these girls to seek other forms of employment. Nevertheless, many dabang girls have not left their jobs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now in a position to do so. The relatively high remuneration and improved working conditions have been identified as important reasons why many of these dabang girls have chosen to stay put. In conclusion, the eradication of dabang girls' debts as a result of the promulgation of the Sex Trafficking Prevention Act has rapidly changed the previously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dabang girls and their employers. From the standpoint of the employment process alone, the method through which these girls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the dabang owners is established can be said to have undergone profound changes. Dabang girls have begun to have the bargaining power needed to alter their prospective working conditions during the process of negotiating a contract with the owners. In addition, dabang girls, who now find themselves better placed to oppose any unwanted working conditions, can now adopt a more aggressive attitude toward these owners. Meanwhile, owners, whose ability to control these girls has been severely weakened, have had to adopt a more conciliatory attitude towards dabang girls. This has resulted in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se girls. Moreover, while not influencing dabang girls' negative perception of their jobs, this change has heightened the possibility of these girls continuing in their current jobs.

      • 주민참여 유형이 아파트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원구-시흥시 아파트 주민

        김수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도시에 늘어만 가는 아파트단지들은 현대인들이 거주하는 대표적인 주거양식이다. 아파트는 함께 모여 살고 있는 밀집성과 접근성에서 공동체적 성격을 갖고 있으나, 개인의 익명성과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현대인들의 태도로 인해 삭막하고 단절되기 쉽다는 특성이 있다. 사회적으로 ‘공동체’에 대한 높은 인식과 함께 아파트의 단절성을 극복하고 공동체성의 회복과 주민들의 참여로 아파트공동체를 활성화하는 많은 활동들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주민들이 스스로 아파트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아파트의 공동체의식과 공공기관에서 지원하여 주민참여를 이끌고 있는 아파트 주민들의 공동체의식은 차이가 있을까와 아파트에서 어떻게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까하는 관심에서 출발하여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민들의 참여 유형별 특성은 공공주도형 아파트에서 행사 계획에나 기초 다지기에 시와 자치구에서 파견된 커뮤니티플래너의 역할이 두드러졌고 주민리더들과 협조가 이루어졌다. 주민주도형 아파트공동체에서는 주민리더들이 계획하고 진행이나 결과의 공유에 있어서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을 고민하고 내용을 만들어 나가고 있었다. 아파트공동체로서 지속가능이 되기 위해서 주민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고 리더들의 인식, 주민들끼리 ‘이웃’이 되는데 촉매제(활동꺼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설문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아파트 주민 공동체의식 중 친밀감은 주민주도형이나 공공주도형 아파트공동체 간에 차이는 없었다. 몇 질문에서 공공주도형 아파트공동체에서 높은 연대감과 소속감이 나타났다. 둘째, 아파트공동체 활성화와 관련해서 아파트주민들이 생각하는 이웃의 범위는 주민주도형 아파트에서는 ‘이웃해 있는 호’와 ‘내가 살고 있는 층’이, 공공주도형 아파트 주민들은 ‘우리 아파트단지 모두’를 이웃으로 생각해 범위가 넓었다. 교류 유형은 ‘인사’, ‘상호 방문’, ‘대화’였고, ‘동호회 모임’이나 ‘아파트 복도’에서 이웃들과 주로 교류하였다. 셋째, 아파트공동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이웃과의 교류’가 가장 필요하고 이를 위해 주도적으로 큰 역할을 하는 조직은 공공주도형 아파트에서는 ‘입주자대표회의’로 답했고 주민주도형 아파트공동체에서는 ‘주민리더’였다. 앞으로 참여하고 싶은 아파트공동체 활동은 ‘동호회 활동’과 ‘봉사활동’으로 나타났다. 주민주도형 및 공공주도형 주민 참여는 본질적으로 아파트에서 주민들의 참여를 촉진시키는데 그 뜻을 두고 있다. 각 추진 방식별로 주민들의 공동체의식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크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은 적었고 그 이유는 공동체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주민리더들의 운영방식, 방법 등 아파트별 활성화된 사례 학습이 쉬워지고, 주민들의 공동체에 대한 의식수준이 상향평준화된 배경이라 여긴다. 또한, 주민들은 궁극적으로 주민들이 참여하는 방식을 주도하는 공공이나 주민리더들이 주도하는 활동들에는 차이를 느끼지 않으며, 모두 우리 아파트공동체 주민들을 위하여, 주민들을 주체로 만드는 활동들인 것이다.

      • 고등학생 축구선수의 성장 마인드셋, 고정 마인드셋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 실수인식과 그릿의 매개효과 -

        김수미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had tried to prove the dual mediation role of the Perception of Error and Grit in the effect which Mindset ( Growth Mindset vs Fixed Mindset ) has on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 the belief in the ability of oneself in the maturing process of youth soccer players . We conducted the online survey on 259 local High School Soccer Players whose average age is 17.94 for the research. The chief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 First , the Growth Mindset showed the statistically import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 the Perception of Error and Grit but the Fixed Mindset manifested statistically import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 perception of mistake and Grit. Second , in the influence which the Growth Mindset of the High School Soccer Player exerts on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 the Perception of Error and Grit showed the statistically useful safety mediation effect . On the other hand , the statistically important partial mediation effect was displaye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Fixed Mindset and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In a concrete way , it was found that while the athlete with the Growth Mindset reinterpreted the Error positively to enhance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gradually , the athlete with the Fixed Mindset reinterpreted the Error negatively to lower the Grit and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successively. So, this investigation has confirmed the effect of mindset having been applied to the soccer player which had been verified in the diverse fields all the while, and specially affirmed that the Attitude with which they accept the competenece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mpetence itself, raising question the general belief that the inborn gift is momentous. 본 연구는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성장 과정에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인 마인드셋(성장 vs 고정)이 실수인식과 그릿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운동지속의도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고등학생 축구선수 19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 마인드셋은 운동지속의도, 실수인식, 그릿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고정 마인드셋은 주요 변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고등학생 축구선수의 성장 마인드셋이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수인식과 그릿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반면 고정 마인드셋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실수인식과 그릿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성장 마인드셋의 신념을 가진 선수는 실수를 긍정적으로 재해석하여 그릿과 운동지속의도를 순차적으로 높인 반면, 고정 마인드셋은 실수를 부정적으로 재해석하여 그릿과 운동지속의도를 순차적으로 낮춤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그 동안 여러 분야에서 확인된 마인드셋 효과를 축구선수들에게 적용하고 확인하였으며, 특히, ‘운동은 타고 나는 재능이 중요하다’는 일반적인 신념에 의문을 제기하며, 능력 자체보다는 능력을 바라보는 태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 읽기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과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태도 분석

        김수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oviding implications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vitaliz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o raise positive attitudes about mathematics by analyz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disposition, or attitudes of the students who had lower mathematical achievement rather than that of Korean language in class used reading materials and strategies. To achieve this,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like below: 1. What are the features of mode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lessons used reading materials and strategies? 2. How can mathematical disposition or attitudes of students in class applied reading materials and strategies present?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reading materials related learning contents of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were made as the activity papers by referring to teaching manual on reading and related books. Furthermore, teaching-learning plans based on reading strategies were prepared. And then 4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who had lower mathematical achievement rather than that of Korean language in M school in Chung-buk area were selected, and 4students taken 4-period lessons in using reading materials and strategies. As analyzing materials, videotapes recorded whole class, interview materials, reading materials, activity papers, lesson plans, field notes of observer, and before and after testing results of mathematical disposition, or attitudes. The research results are: First, the feature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lessons used reading materials and strategies present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of reading materials and strategies. In class used reading materials about mathematical history formed story, all the students approached and understood easily without the influence such as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re-learning, and writing and speaking activities · thinking and feeling to reading materials - with logical ground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were accomplished. In class used reading materials on mathematical concepts and problem - solving, the students read and understood mathematical concepts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with the reading materials composed of detailed examples and repeated explanation, and they described the process by using daily language, mathematical expressions and symbols, formula, and examples. The writing activities on organizing logically proof process expressed daily language through mathematical expression were performed in lessons used reading materials about proof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showed vigorously, and insufficient parts in listening and speaking were boosted in reading strategy activities. The strategy into drawing with free-writing activities enabled the students to write thinking and feeling about reading materials and mathematics straightly and logically through daily language and mathematical expression, drawings. Another strategy, reconstruction read contents, as the students consisted problem-solving process by themselves and corrected deficient parts, they can do logical writing on problem-solving process used mathematical expressions like daily language, symbols, formula, charts, and drawings. Organizing texts reading strategy help the learners write in using mathematical expressions as drafting notions for themselves. During presentation or structuring proces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mong the students, brisk speaking activities were realized, and students can have the ability of classifying the notions and sorts of functions. The strategy, or moving with act, made the learners write repeated processes and conclusions of activities systematically and speak the meaning of procedures and the results of activities logically by using mathematical formula and understand Pythagorean theorem and the need of proof. Second, the feature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attitudes of students in class used reading materials and strategies was that the students understood the values or roles of mathematics thoroughly through the contents of reading materials, and the reading materials with ample examples and detailed explanation on process enabled the pupils to study self-regulating and effective learning about mathematical concepts and problem-solving process. Reading strategy in class raised students’ will, or confidence to mathematics and gave the responsibility to learning and reflection about overall own learning process. Especially, the students who had low level of mathematics accomplishment and negative disposition, or attitudes in before and after reading test results were affected positive effects in that recognition of mathematics values, confidence and will, learning attitudes to mathematic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teaching-learning activities used the reading materials and strategies let the low achievers in mathematics communicate ·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 with thinking and feeling about mathematical notions and problem-solving process actively, and the activities triggered interests, or attention of mathematics and self-study. In addition to, the lessons with reading materials and strategies aroused confidence and will, responsibility to mathematics learning to the students. And they make the learners notice mathematics’ values and roles and gave the opportunity of reflection about students’ learning processes. As a result, the teaching-learning used reading materials and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and accomplished actively in classroom to tur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attitudes of the students who had had negative inclination and attitudes to mathematics into those of positive and to vitalize mathematical communication to the lower achievers of in mathematics. 본 연구는 국어에 비해 수학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읽기 자료 및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과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태도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수학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을 활성화시키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기를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국어에 비해 수학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읽기 자료 및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의 방식별 특징은 어떠한가? 나. 국어에 비해 수학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읽기 자료 및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태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학교 3학년 학습 내용과 관련된 읽기 자료를 관련 도서 및 독서 지도 매뉴얼을 참고하여 활동지 형식으로 구성하였고 읽기 전략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으며, 충북 소재 면 단위 M중학교 3학년 학생 중 국어에 비해 수학 성취도가 떨어지는 학생 4명을 선정하여 4차시에 걸쳐 읽기 자료 및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 과정을 녹화한 비디오 자료와 녹음된 면담 자료, 학생들의 읽기 자료, 활동 자료, 수업 일지, 관찰자의 관찰 노트와 사전·사후 수학적 성향 및 태도 검사 결과 등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자료 및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은 읽기 자료의 내용, 읽기 전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야기 형식의 수학사 읽기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학업 성취 수준이나 선행 학습 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읽기 자료에 쉽게 접근하여 읽고 이해하였으며, 읽기 자료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자신의 경험을 중심으로 논리적인 근거를 들어 제시하는 쓰기와 말하기 활동이 이루어졌다. 수학적 개념과 문제 해결에 대한 읽기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서는 예시 중심의 자세하고 반복적인 설명으로 이루어진 읽기 자료를 이용하여 수학적 개념 및 문제 해결 과정을 읽고 이해하였으며, 일상 언어·수학 언어·기호·식 및 예시 등을 이용한 수학적 개념과 문제 해결 과정의 쓰기가 이루어졌다. 증명 과정에 대한 읽기 자료 활용 수업에서는 일상 언어로 되어있는 증명 과정을 수학적 표현을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조직하는 쓰기 활동이 이루어졌다. 읽기 전략 활동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은 읽기 자료 활용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이 더욱 활성화되거나 미흡한 부분이 수정되어 나타났다. 자유로운 글쓰기 활동을 첨가한 그림으로 확장하기 전략은 일상 언어와 수학적 언어 및 그림을 이용하여 읽기 자료와 수학에 대한 느낌과 생각을 솔직하고 논리적으로 제시한 쓰기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읽은 내용 재구성하기 전략은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해 스스로 구성해보는 활동을 통하여 읽기 자료의 이해와 해석에서 미흡했던 부분을 수정 보완하여 일상 언어, 기호, 식 등의 수학적 표현과 그림 등을 이용한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논리적인 쓰기를 가능하게 하였다. 텍스트 구조화하기 읽기 전략은 수학적 표현을 이용한 개념 쓰기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발표 및 구조화하는 과정에서 학생과 교사, 학생들 사이의 적극적인 말하기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함수의 개념과 표현 및 종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행동으로 옮기기 전략은 반복적인 활동의 과정과 결과를 수학적 표현을 이용하여 조직적으로 쓰고 논리적인 말하는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피타고라스 정리의 의미와 증명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강화할 수 있었다. 둘째, 읽기 자료 및 전략을 이용한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태도의 특징은 읽기 자료의 내용을 통하여 수학에 대한 가치와 역할을 이해하였으며, 풍부한 예시와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으로 이루어진 읽기 자료는 수학적 개념과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자율적이고 능률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수업에서 사용한 읽기 전략은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의 의지 및 자신감을 이끌어낼 수 있었고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자신의 학습 과정을 반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사전·사후 수학적 성향 및 태도의 검사 결과 수학 학업 성취 수준이 낮고 부정적 성향과 태도가 강한 학생들일수록 읽기 자료 및 전략을 활용한 수업이 수학의 가치 인식, 수학적 자신감과 의지 및 학습 태도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지속적으로 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수학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자료와 읽기 전략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생각과 의견, 수학적 개념과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의 수학적 의사소통이 활성화되었으며,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자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에 대한 가치와 역할을 이해할 수 있게 하였으며 수학 학습에 대한 의지와 자신감 및 책임감을 심어주고 학습과정을 반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수학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을 활성화시키고 수학적 성향과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읽기 자료 및 전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교육연극(theatre in education)에 의한 장애성인의 자기결정권 행사에 대한 연구

        김수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does Theatre in Education(TIE) affect exercise of self-determination and to define its implication to special educ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ticipant observation is conducted through ethnographic study from March to December 2011 in J yahak in Daegu, South Korea. The following is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nd it is summarized in three sections. First, to find out how does TIE affect the change of the disabled adult's perception to their bodies. TIE is a way to educate through theatre. The common view that using a 'body' is not education but training is based on Descartes' mindbody dualism. However, Union of the Physically Impaired Against Segregation(UPIAS) has regulated that someone who makes people with impairment the disabled is society. A disability has been defined as the thing which is added to impairment by unnecessarily isolated and excluded from full participation to society. As theatre is a sort of 'pretending play', so a 'body' has fictitious identity. This fictitious identity makes us confirm that the 'body' is the totality of human including spirit. Participants who has experienced social disconnection perceived their bodies negatively, however, they are showing changed perception toward it by TIE. Second, to find out how does TIE affect the change of perception related to the disabled adult culture. According to the survey on disabilities in 2008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st and watching TV and videos were the most answers to a question about culture and leisure activities, and it shows that disabled people's culture and leisure activities are limited to only passive ones. This perception makes people regard disabled people's right to cultural enjoyment as a peripheral and extravagant thing. The current of cultural art against it is able art. The rights movement of minorities was perceived as advocacy for the right of a certain group. However, perception which is rather a problem of our own that makes us look back a way of life of majorities appeared. TIE can unconstrainedly deal with local issues, social problems, and so forth, and it is a form of 'go and meet' to participants. This process of co-creation changes individual's role setting from a passive position as a guardian and a beneficiary to an active position as a producer. It makes disabled people be possible to get empowerment and contributes to more successful exercise of self-determination. Third, to find out how does TIE affect the change of the disabled adult's perception to a quality of life. Self-determination about his or her life and selection is a critical difference that distinguishe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Disabled people are unlikely to know about self-selection in a community because they has often been a target of discrimination. Various factors in organic relationship which comprise of a quality of life influence on disabled people's quality of life. Exercising self-determination is a prerequisite for improving the various factors of a quality of life. Improving these factors is necessarily related to self-determination and it will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self-determination can potentially cover all the factors. Currently, personal autonomy or self-determination has become the dominant current against violations of human rights. Considering the disabled as a principal people who exercise self-determination, however, there are reality-based conditions which have to be the concept of social rights to exercise their substantive self-determination. On the process of change of self-determination, special education is required to be expanded its denotation. In current Korean situation that the disabled are experiencing severance of special education without preparing life of adulthood, it is time to be aware of requirements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교육연극(TIE)이 장애성인의 자기결정권 행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것이 특수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 소재의 J장애인야학을 연구 현장으로 선택하고 2011년 3월부터 12월까지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참여 관찰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의 세 갈래로 요약된다. 첫째, 교육연극(TIE)이 장애성인의 몸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교육연극(TIE)은 연극을 통해 교육하는 방식이다. ‘몸’으로 하는 것은 훈련이지 교육이 아니라는 일반적인 관점은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에 바탕을 두고 전개되었다. 하지만 분리에 반대하는 영국 신체장애인 연맹(UPIAS)은 손상이 있는 사람들을 장애인으로 만든 것은 바로 사회라고 규정하였다. 장애는 사회의 완전한 참여에서 불필요하게 고립되고 배제됨으로써 우리의 신체적 손상에 덧붙여 부과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연극은 ‘척 하는 놀이'의 일종이기 때문에 ‘몸’은 허구적 정체성을 갖는다. 이런 허구적 정체감은 ‘몸’은 정신을 포함하는 인간의 총제임을 확인케 한다. 사회적 단절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몸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교육연극(TIE)을 통해 이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교육연극이 장애성인의 당사자 문화와 관련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보건복지가족부의 2008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문화 및 여가활동 방법에 대한 질문에서 TV 및 비디오 시청, 휴식이 가장 높은 답변을 차지해 장애인은 문화 및 여가활동에서도 수동적인 활동에 국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문화 향유에 대한 장애인의 권리를 부차적이고 사치스러운 것으로 여기게끔 한다. 이에 반해 나타난 문화 예술적 조류가 에이블 아트이다. 소수 집단의 권리 운동은 특정 집단의 권리 옹호 차원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다수 집단의 삶의 방식을 되돌아보게 하는 우리 자신의 문제라는 인식이 등장했다. 교육연극(TIE)은 지역의 이슈나 사회적 문제 등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고 그 대상의 공간 속으로 ‘찾아가서 만나는’ 형태이다. 이러한 공동창작 과정은 보호자, 수혜자라는 수동적 입장에서 대변자, 생성자라는 능동적 입장에로의 개인의 역할 설정에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이는 장애인 당사자의 역량 강화를 가능하게 하며 보다 성공적인 자기결정권 행사에 기여하게 된다. 셋째, 교육연극이 장애성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자기 삶과 선택에 대한 자기결정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구별하는 결정적인 차이이다. 장애인은 자주 차별의 대상이 되어 왔기 때문에 지역사회 안에서의 자기 선택과 관련 된 선택내용을 알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삶의 질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삶의 질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향상을 위해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 자기결정권 행사이다. 이런 삶의 질을 구성하는 각 요소를 향상시키는 것은 필연적으로 자기결정과 관련이 있고 이들 각 요소를 다 망라할 수 있는 요인이 자기결정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최근에 와서 인격적 자율론 내지 자기결정론이 인권침해의 현대적 상황에 대응하는 유력한 조류가 되었다. 하지만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는 주체로서 장애인이라는 집단을 고려해 볼 때 이들의 실질적인 자기결정권의 행사를 위해서는 사회권적 인권의 개념이 자리할 수밖에 없는 현실 기반의 조건들이 존재하고 있다. 자기결정권의 변화과정에 특수교육 또한 그 외연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성인기로의 삶을 미처 준비하지 못한 채 특수교육의 단절을 경험하는 한국적 상황에서 장애성인 평생교육에 대한 특수교육 영역 안에서의 인식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 FTA체제 下에서의 한국의 무역구제제도 및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김수미 崇實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rade Remedy System(TRS) is the policy applied to certain importing goods to levy tariff or non-tariff measures on if the import of these goods results in the serious injuries or the possibility of serious injuries to the domestic industries. The TRS has been adopted since the period of the GATT and regulated more clearly by the WTO as a part of the WTO agreement. The official TRS under the WTO agreement is limited only to antidumping, countervailing duties and safeguard as the agreed concept. Currently, the Free Trade Agreement(FTA) promoting regionalism or bilateralism has been increasingly concluded, which is against multilateralism of the WTO. The adoption of the TRS under the FTA carries various issues from the rationale of its existence to its contents. To explain these contradictory issues between the WTO and the FTA, this paper studied on the TRS by analyzing present cases and negotiation results of the TRS under the FTA and comparing them under the WTO. When the negotiations of the FTA is on the process,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TRS depending on the negotiating party countries of the FTA after considering fully the economic situations of Korea and the need of protection for the domestic industries. In this paper, the adoptable models when negotiating the Trade Remedy System under the FTA are stated as follow: 1) exclusion of application between parties 2) application of the WTO agreement 3) reinforcement of the WTO agreement 4) relaxation of the WTO agreement 5) application of law from the FTA parties Major countries have adopted the TRS from the above five models to maximize their national profits when entering into the FTA. Currently, Korea has entered into the FTA with several countries and most of the agreements with respect to the TRS maintain and observe the right and duty in the WTO agreement and the SSG is applied to some sensitive goods when necessary. In most of other major countries, they have changed 4 aspects of the TRS; Sub-condition of application, valid period of application, effective period of application, and remedy. Therefore,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results of analysis, the features of the TRS under the FTA with China should be determined depending on relative competitive relations of the overall industries and major trade goods. Consequently, from the purport that the purpose of the FTA should be considered fully and unexpected changes of the economy should be prepared to protect against by both countries, it is needed to establish at least the basis for application of the TRS. Also, additional application of the SSG provision to some sensitive goods is highly recommended. Currently, Korea and China have started the 5th research in 2008 for the FTA, and are expected to accelerate to negotiate as soon as the result of research comes up. 무역구제제도란 특정물품의 수입으로 인하여 국내 산업이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는 경우, 당해 수입물품에 관세 또는 비관세조치 중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국내산업을 보호하는 제도를 말한다. GATT체제에서부터 인정되어 온 무역구제제도는 WTO의 설립과 함께 WTO협정의 형태로 보다 명확히 규정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WTO의 다자주의 체제에 대비되는 지역주의 또는 양자주의를 표방하는 FTA의 체결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FTA 체제하에서 무역구제제도는 존립 필요성 및 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가지고 있으며, FTA체제 하에서 무역구제제도의 존립근거는 GATT 제24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공식적인 무역구제제도는 반덤핑, 상계, 세이프가드가 있고 본 연구는 이러한 협의의 개념에 국한하여 이루어졌다. FTA체결 시에는 한국의 경제상황과 국내산업 보호 필요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FTA협상 상대국 별로 다른 무역구제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FTA 무역구제분야에서 채택 가능한 모델은 1) 당사국 간 적용배제 2) WTO협정의 준용 3) WTO협정의 강화 적용 4) WTO협정의 완화 적용 5) FTA 당사국의 법 적용을 들 수 있다. 현재, 한국의 기 체결된 FTA에서 무역구제제도는 대체로 WTO협정의 권리와 의무를 유지하고, 민감품목에 대해서 특별세이프가드를 도입하는 형태를 띤다. 그러나 주요 국가들의 FTA 무역구제분야에서는 주로 WTO 협정의 부과요건, 조치의 가능기간, 조치의 존속기간, 보상이라는 4가지 측면을 변경하여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의 분석결과를 실제 한·중 FTA의 무역구제분야 협상에 적용하였는바, 중국과의 산업전반 및 주요 교역품목에 관한 경쟁력 우열관계를 고려하여 바람직한 무역구제제도를 예측해 보았다. 중국과의 FTA에서는 체결 목적을 충분히 고려하고, 예상치 못한 경제상황 변화에 대비한다는 취지에서는 최소한 무역구제조치의 발동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 민감품목에 대해서는 추가로 특별세이프가드 규정을 도입해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한국과 중국은 2008년 5차 공동연구를 진행하였고 공동연구의 결과가 나오는 대로 본격적인 FTA협상을 진행할 전망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