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입체조형 활동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창의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김소형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입체조형 활동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창의성과 행복감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D구의 H유아학교 6세반 유아로 참여 희망에 부모의 동의서를 받은 총 24명의 유아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각 12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9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이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8회기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주 1회 9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와 유아 행복 척도(Happiness Scale for Young Children), 행복감 관찰 기록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앞서 창의성 검사 채점과 행복감 관찰 기록지의 각 항목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ICC 값을 산출하여 본 연구자를 포함한 총 4명의 채점자 간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연구결과의 양적 분석을 위해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체조형 활동 집단미술치료는 실험집단에 한하여 창의성의 4개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입체조형 활동 집단미술치료는 실험집단에 한하여 행복감의 9개 하위요인인 활동에 대한 부모 관계, 교사 관계, 또래 관계, 인지 및 성취, 몰입, 영성, 정서, 건강, 생활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입체조형 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유아의 창의성과 행복감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현장에서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모색하였음에 의미가 있다. 이에 따라 유아가 주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활동에서 몰입 및 내적 동기를 발휘하여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경험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자신감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본 연구를 활용한 치료적 접근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three-dimensional art activities on the creativity and happines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24 six-year-olds from an undisclosed child care center in Seoul. The subjects, whose parents consented to their participa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of 12 each. The study period was September–December 2019, and the program was conducted over 18 weekly 90-minute sessions (excluding the pretest and posttes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K-CCTYC), happiness scale for young children, and happiness observation records were employed as research tools. Before performing data analysis,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K-CCTYC scores and items in the happiness observation records, ICC values were computed to measure the reliability among four scorers (including the author of this paper).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results, the program IBM SPSS 25.0 was used to perform paired sample t-test to analyze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focusing on arts and crafts activ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four subcategories of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veness. Secon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focusing on arts and crafts activ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nine subcategories of happiness: relationship with par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peer relationship, cognition and achievement, immersion, spirituality, emotion, health,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group art therapy focusing on arts and crafts activities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by boosting creativity and happiness in young children. The program was significant because it explored what could be implemented on site.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erapeutic approaches. This will help young children positively interpret their experiences and confidently and proactively solve problems by exercising immersion and intrinsic motivation in activities wherein they can engage in independent expression.

      •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소형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의학의 발전과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 된 것은 전 세계적으로 더 이상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이와 관련된 노인질환 역시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 중 치매노인 수의 증가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치매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치료법으로 약물을 이용한 의학적 치료법 외에 다양한 예술치료를 통한 심리 치료법의 효과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최근에는 단일 예술치료의 장점을 극대화시키고 단점을 보완한 통합예술치료가 다양한 대상자들을 통해 그 효과와 영향을 인정받고 있지만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이 연구자(부록 10참조, p. 179)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먼저 연구 I을 통해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홍유진(2017)의 통합예술치료(Integrative Arts Therapy [IT])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하였다. B시 J종합사회복지관 치매노인 12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한 후 대상자들의 정서 및 사회적 행동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과 진행 방법에 대해 수정 및 보완할 사항에 대해서도 분석한 후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II에서는 개발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들은 B시 S노인복지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15명으로서 7명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집단으로 8명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집단에게는 2017년 1월 2일부터 4월 12일까지 주 2회 90분씩 30회기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참여관찰을 통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30회기 프로그램 전체를 녹취·녹화한 자료와 치료사가 매 회기 작성한 관찰일지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과의 비교 연구를 위하여 두 집단에게 인지, 정서, 사회적 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권용철, 박종한(1989)의 한국형 인지기능 척도(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와 Snyder, Ryden, Shaver, Wang, Savik, Gross(1997)의 정서 측정도구(The Apparent Emotion Ratings Instrument) 그리고 김부영(2001)의 사회적 행동기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SPSS v25를 사용하여 t-검정을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치매노인들은 회기가 진행될수록 우울감이 감소되고 안정이 유지되며 관심과 기쁨의 증가로 정서적인 안정을 유지하였다. 대상자들에게서 관찰되는 비언어적인 행동으로는 무표정하거나 슬픈 표정에서 미소와 웃음이 증가하고 춤을 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위 환경에 무반응이었던 대상자들이 주위에 관심을 보이는 행동을 하고 편안한 신체 자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언어적인 행동으로는 대상자들의 목소리가 힘차고 커지며 기쁘거나 만족스러움에 대해 표현하고 노래를 부르고 유머를 사용하는 것이 점진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치매노인들은 회기가 진행되는 동안 무관심, 무반응, 수동적인 행동에서 의사소통이 증진되고 능동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치료사/보조치료사와의 관계에 있어서 대상자들은 인사를 하거나 눈 맞춤을 하며 설명에 잘 따르고 자신의 불편한 점에 대해서도 편하게 말하는 것이 점진적으로 관찰되었다. 동료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대상자들은 동료에게 반갑게 인사하거나 동료의 행동을 관찰·모방·수정하며 서로를 칭찬하며 신체적인 접촉도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아울러 실시한 참여집단과 비 참여집단의 인지, 정서, 사회적 행동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참여집단의 인지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는 유의하지는 않지만 평균 0.71 증가하였고 정서는 유의수준 .001에서 사회적 행동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비 참여집단은 같은 기간 인지, 정서, 사회적 행동 모두 유의수준 .05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 개발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할 뿐만 아니라 치매노인에 대한 통합예술치료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에서 이 연구가 치매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통합예술치료의 활성화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에 의의를 둔다. 이 연구가 치매노인을 위한 통합예술치료의 유용한 본보기와 준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치매노인, 정서적 안정, 사회적 행동, 통합예술치료 The prolongation of human life expectancy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is no longer a new phenomenon all over the world. The diseases of the old adults related to this are also inevitable realit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through various art therapies besides medical treatment using medication as a treatment for relieving symptoms of dementia. Recently, Integrative Arts Therapy, which maximizes the merits of single art therapy and compensates for weaknesses, has been acknowledged through various subjects. However, research on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is still lacking. Therefore, the researcher(Appendix 10, p. 179) recognized the need for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and developed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behavior.    To accomplish this goal, the researcher first developed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behavior enhancement of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through research I based on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Manual of Hong, Yoo-Jin(2017).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12 old adults with dementia in B city J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motional and social behavior changes of the subject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we developed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behavior of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In research II,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developed for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behavior of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15 old adults with dementia using S welfare center in B city. 7 people were divided into the program group and 8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Participants in the program participated in 30 sessions of Integrative Arts Therapy, 90 minutes twice a week, from January 2 to April 12, 2017.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subjects in detail,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recorded and recorded data of the entire 30 sessio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s and the observation journal prepared by the therapist each session were used as research tools. In addition, pre-and post-test of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behaviors were performed on the two groups in order to compare them with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research tools included measuring instruments for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of Kwon, Yong-Cheol and Park Jong-Han(1989) and the Emotional measurement tool of Snyder, Ryden, Shaver, Wang, Savik and Gross(1997) and the Social Behavior measurement Tool of Kim, Bu-young(2001). The pre-post test result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v25.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of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maintained emotional stability by decreasing depression, maintaining stability, and increasing interest and joy as the sessions progressed. The nonverbal behaviors observed in the subjects showed that smile and laughter increased and dance in expressionless or sad expression. And subjects who were unresponsiv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ere observed to behave in a manner that showed interest in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to maintain a comfortable body posture. In verbal behaviors, the voice of the subjects was stronger and bigger, gradually expressing pleasure or satisfaction, singing and using humor.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of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improved communication and active interaction during indifference, unresponsiveness, and passive behavior during the session. In relation to the therapist/assistant therapist, it was gradually observed that the subjects greeted or greeted, followed the explanation well, and was comfortable talking about their discomfort. In relation to peers, the subjects were also observed to greet their peers in a friendly manner, to observe, imitate, modify their peers' behaviors, to praise each other, and to increase physical contac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behavior of participating groups and non-participating groups. The pre-test for the cognitive of the participant group was not significant but increased 0.71 and the emotional level was .001 and the social behavior was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05. On the other hand, the non-participation group decreased in significance level .05 in both the same period, emotion, and social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research not onl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in promoting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behavior, but also supports the need for Integrative Arts Therapy for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In addition, in the context of the lack of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s for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informing the importance of dementia management and contributing to the activation of Integrative Arts Therapy.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useful example and reference for Integrative Arts Therapy for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Key words: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Emotional Stability, Social Behavior, Integrative Arts Therapy

      • Double bass의 발달과정과 연주기법의 변천에 대한 연구

        김소형 숙명여자대학교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양음악을 비교적 뒤늦게 수용한 우리나라에서도 Violin족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이루어져 분야별로 많은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Double Bass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은 이 악기에 대한 전문서적이나 학술지 또는 석·박사학위의 논문 부재로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Double Bass의 악기 발달 및 구조 그리고 연주법의 발달에 관하여 연구를 시도해 봄으로써 새로운 연구의 계기와 인식의 개선점등을 제시 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Double Bass의 전반적인 특정을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 Ravanastron-rabab-fidel-Viola da gamba등의 단계를 거쳐 1750년경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장착하게된다. 둘째, 4현의 악기가 보편적이다. 셋째, 낭만음악부터는 점차 Cello로 부터 독립되어 독자적인 파트를 구사하게 된다. 넷째, 20세기에는 더욱 다양한 연주법의 개발로 새로운 음향추구를 하게되었다. 다섯째, 20세기음악의 실험 정신은 독주악기의 사용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즉 Double Bass의 오랜탐구끝에 단순한 연주를 지양하고 보다 새로운 시도로 연주기법을 사용하여 그 기능과 형태의 불합리를 극복하고 Solo 악기로의 기능을 훌륭히 해 낼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하게 되었다. Many developments of the study on the violin family has been made as a resulf of continuous research even in our country, where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Music, itself, was comparatively late. The study on Double Bass, however, has been inactive, judging from the fact that Music texts, academic essaies or thesises for a master degree or a doctorate can be hardly foun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ctivate. The study and renew the existing recognition of Double Base by researching the development, structure and performance techques of it.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Double Bass shaped as it looks like today through the developmental stages of aroung 1750. 2. Four strings become general. 3. Double Bass began to play an independent role by seperating gradually from Cello from the Romatic Music Era on. 4. As a result of the delevelopment of various musical performace techniqnes in twentieth century, the new sound of Double Bass come to be pursued. 5. The experimental sprit of the twentieth centry music made it possible for Double Bass to playas a solo instrument. This study ensures that Double Bass can supplement irrationalies in terms of function and structure and playa role of solo instrument by means of new techniqnes instead of the simple performance through the long research.

      • 좋음의 우선성과 덕 윤리에 관한 고찰 : 플라톤의 중첩된 좋음을 중심으로

        김소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the limits of liberalism and utilitarianism And propose Plato's the Superposition of the Goo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Liberalism insists on “the priority of the Right over the Good”. Only procedural justification is emphasized for justice as a fairness. However, as Sandel points out, procedural justification cannot guarantee the happiness of an actor. So we must study the priority of the Good again. But not all the Good ethics can be an alternative. Utilitarianism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rights of individuals by considering only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community of the greatest number. Modern ethics are all indifferent to the individual's well-being by considering only the formal system of action and the quality or quantity of the outcome of the community rather than the actor. I think that the problem of happiness of the actor needs to be studied for the goodness of the actor itself in order to be discussed again in community life. I think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actor itself in order to consider the individual's well-being in community life. Plato is the representative scholar who approaches ethics in this respect. To this end, I propose the Plato’s the Superposition of the Good. the Superposition of the Good is the technē of weaving together rights of individual and the interests of the community. the Superposition of the Good is a new concept that can consider both 'soul care' and 'politics', that is, my good and the good of others. I will argue that a combination of these two areas can help restore politics for a good life. Therefore, the order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n Chapter II, we look at the overall discussion of the good and the right. In particular, it focuses on act-centered ethics of modern utilitarianism and deontological liberalism. In contrast, the Superposition of the Good ethics emphasizes actor-centered ethics. It also focuses on understanding in more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Plato's the Good In Chapter Ⅲ, I analyze the dialogue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Superposition of the Good. In Eutydemus, the Superposition of the Good turns out to be politikē. In Politikos, politikē is the technē of weaving the Good into happiness of polis. And if politikē is really the technē of weaving the Good of ‘I’ and ‘others’, then politikē is the Superposition of the Good. Afterwards I analyze the Politeia in chapter Ⅲ(2-4) to review this point. But the Politeia's approach has its limitations. For the happiness of the guardian cannot be guaranteed. They must sacrifice for others. In Chapter 4,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I Analyze the Nomoi. The purpose of legislation in the Nomoi is to provide good for all. Plato says that laws reflecting "natural ordering of the Goods" are good laws. Therefore, if citizens aim for these laws in their lives, they will be able to satisfy various goodnesses and be happy.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guardians in this politeia now cultivate virtue in a pleasant way. This allows politikos who possess noble souls to weave the Good of 'I' and 'others', creating a state of the Superposition of the Good In chapter V, I analyze the ergon of happiness and of virtue. First, by analyzing the function of happiness, it is argued that Plato's pursuit of goodness is not limited to mental satisfaction or divine goodness. The Phaidon analysis will show that the philosopher may actively accept human good for the sake of philosophies. In chapter Ⅴ-2, I review the key criticisms of Plato's ethics of goodness. Liberalists point out that virtue ethicists like Plato have turned morals into tools for human happiness. But Plato's virtue is a value because i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noble souls. Therefore It is the superposition of the Good that to build a social system governed by noble soul politikos and nurture these politikos. The researcher expects the following significance to be found. I reinterpreted Plato's theory and applied it to reality. So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al meaning of Plato's philosophy. Second, I provide a new interpretation of Plato. Previous interpretations suggest that Plato neglected the real world. But I think Plato's philosophy was to solve real world problems. In addition, he does not only seek divine good but also acknowledges human good.

      • 항공산업의 환경변화에 따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불안정성이 역할 내 행동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절된 매개경로 탐색

        김소형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항공산업의 환경변화로 인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불안정성이 승무원의 역할 내 행동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직무불안정성과 승무원의 행동 간의 관계에서 경로 기제로 작용할 수 있는 매개변수를 밝히고, 직무불안정성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할 수 있는 요인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신기술 도입과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 등의 항공산업의 환경변화에 따른 항공사 승무원의 직무불안정성은 전반적으로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요구-자원모형(JD-R Model)을 이론적 토대로 현시대에서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직면하고 있는 직무불안정성이 승무원의 태도 및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연구를 설계하였다. 직무불안정성과 승무원의 행동 간의 과정적 기제로 직무 차원의 태도인 직무열의와 조직 차원의 태도인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개인 차원의 직무효능감이 직무불안정성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해 줄 수 있는 기제로 작용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국내 7개 항공사 객실승무원 3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불안정성은 승무원의 역할 내 행동 및 조직시민행동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불안정성이 역할 내 행동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비교했을 때,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불안정성과 역할 내 행동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영향 관계에서 직무열의와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직무효능감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직무효능감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조건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불안정성이 과업 행동뿐 아니라 조직의 발전을 위한 자발적인 행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경로 기제를 밝힘으로써 직무불안정성과 승무원의 행동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직무불안정성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는 기제로 직무효능감이 작용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항공사 객실승무원은 제한된 기내라는 공간에서 고객과의 최접점에서 서비스 업무를 수행해야 하므로, 이들이 인지하는 직무불안정성은 현장에서의 직무 태도 및 행동에 즉각적인 부정적 영향을 미쳐 항공사의 성패를 좌우하는 서비스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항공사 경영에 있어 조직구성원의 직무불안정성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이를 최소화하고 관리해야 할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of airline cabin crews and their behavior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variables that can act as path mechanis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airline cabin crews’ behaviors, which are in-role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it also explores an variable that can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insecurity. Overall, job insecurity of airline cabin crews is increasing because of changes in the aviation industry's environment, such as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etc. This study examined by applying the job demand-resource model(JD-R model) that job insecurity that airline cabin crews are facing in the present era w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which is a job-level attitude and psychological ownership, which is a organizational-level attitude was verified as process mechanisms between cabin crews’ job insecurity and their behaviors. Also, it was explored whether job efficacy at the individual level could act as a mechanism that could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insecurity. To examine hypotheses, the data from 342 cabin crews of 7 domestic airlines wa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job insecurity of airline cabin crews had a negative effect on both in-role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as greater than the one on in-role behaviors. Second, it was verified that job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ownership act as process mechanis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cabin crews’ job insecurity and their behavior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effic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nditional effect when it was above a certain level.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job efficacy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job insecurity of airline cabin crews have a negative effect on not only task behaviors but also voluntary behavio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Moreover, a theoret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bin crews’ job insecurity and behaviors by revealing the path mechanism. This implies that job insecurity of airline cabin crews has an immediate negative impact on job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e field since they have to perform service tasks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customers in a limited cabin space. Therefore, this could lead to poor service quality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airlin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job insecur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airline management should be deeply understood. Also, necessity of minimizing and managing job security and specific measures for this were discussed.

      •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영어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김소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적 스토리텔링 학습은 교사가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들려주는 형식으로 학습자의 능동적, 적극적인 수업 참여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식의 스토리텔링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스토리텔링 활용 초등영어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스토리텔링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수업 모형의 이론적 바탕을 형성하고,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모형 개발의 원리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기반과 요구조사를 토대로 6차시의 디지털스토리텔링 활용 초등 영어과 수업 모형을 개발, 부산 소재 D초등학교 4~6학년 세 개 학급에 6주 동안 적용하여 학생들의 영어능력과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후 영어능력과 정의적 영역 증진에 대한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에 영어성취도평가와 정의적 영역 검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 수업 모형의 적합성과 효과성 평가를 위해 교사 수업 일지, 학생들의 자기평가, 학생 사후 설문 및 인터뷰, 전문가 설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모형을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스토리텔링 수업 모형을 적용한 결과, 사후 영어성취도 검사에서 학생들의 영어 학습 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사후 정의적 영역 설문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전 영역에 대한 학습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디지털스토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일어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도, 동기, 참여도, 불안감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는데, 특히 동기와 불안감 영역에서 큰 효과를 보였다. 둘째, 본 연구의 수업 모형, 지도안, 각종 수업 결과물 분석을 통해 초등 영어과 디지털스토리텔링 활용 수업을 시도해보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방향을 제공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수업 모형에서는 차시별 내용이 상세하게 안내되어 있으며, 지도안을 통해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또 교사 수업일지, 학생 자기평가, 학생 사후 설문 및 인터뷰 등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스토리텔링 활용 수업은 교사, 학생, 교실 환경 등의 제반 여건이 종합적으로 갖추어져야 성공할 수 있는 모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모형을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교사는 교육과정,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 수업 전략 등 다양한 교육적 상황을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준비해야 한다.

      • 한국신문의 인터뷰기사 도입과 변천에 관한 연구 : 1890년대-1990년대

        김소형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가 어떻게 도입되었으며, 현재에 이르는 그 변화의 흐름은 어떠한지를 역사연구의 형식으로 접근했다. 언론보도형식으로서의 인터뷰에 주목하여,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의 등장과 지난 100년여에 걸친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초기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의 성격과 그 도입 배경은 어떠한가’와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는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라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초기 한국 신문의 인터뷰 형식에 대해서는 일정 기간 표집을 통한 사례연구 방법을 택했고 인터뷰 기사의 역사적 변천에 대해서는 192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일간지를 대상으로 인터뷰 기사의 주제별·형식별 분류에 따라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초기 신문의 인터뷰 기사는 정형화된 틀이 성립되지 않았었고, 당시 신문의 성격상 사실의 전달보다는 계몽적인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는 주관적인 어휘들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적 다양한 기사형식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이로부터 인터뷰 기사가 관행으로 확립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린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초기 인터뷰 기사의 도입 과정에는 독립신문의 발행인이었던 서재필의 역량이 상당 부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간신문의 도입을 통해 관급보도의 한계를 넘어설 현장취재의 보편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 미국 유학당시의 새로운 저널리즘 사조를 독립신문에 적용했다는 점, 영자신문 The Independent의 도입을 통한 영문 기사형식의 도입, 신문의 한글전용으로 언문일치를 시도해서 인용의 사실성을 강화했다는 점 등이 인터뷰 기사도입에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초기 인터뷰 기사형식은 1920년대에도 이어지는데, 1950년대까지는 구한 말 신문의 인터뷰 기사 유형들과 많은 특징을 공유했다. 일단 인터뷰 기사가 정례적인 관행으로 정착되지 않았고, 기사형식 변에서 상당부분에 개화기 기사형식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현장취재의 보편화 움직임과 함께, 인터뷰를 통한 확인과정에 대한 인식은 진전된 모습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기격인 1960년대를 지나 1970년대 이후로는 인터뷰 기사의 정착과 확산과정이 뒤따른다. 그리고 1990년대에 이르면 인터뷰 기사가 양적으로 급속한 증가를 보이며 그 위치를 공고화한다. 이러한 인터뷰 기사의 변천과정은 ‘인터뷰 기사의 표준화된 관례화’와 ‘인터뷰 기사의 다양화 및 용도확장’, ‘인터뷰 기사에서의 기자 역할 변화’ 등으로 요약된다. 양적으로는 증면, 내용 면에서는 인터뷰 대상자와 주제의 확장과 인물 보도의 감소, 성격 면에서 의견보도의 감소 등으로 대표되는 이러한 변화의 원인들은 한국 신문 언론관행의 일면을 대변한다. 이러한 변천양상은 인터뷰 기사가 기본적인 읽을거리(Feature)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공식적이고 신뢰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움직여 왔음을 시사한다. 즉 정치적 압력과 상업화 등으로 인한 한국언론의 성격변화와 함께, 기사쓰기가 객관적인 방향으로 전환되고, 다양한 취재방식과 기사틀의 확립을 통해 독자의 이해와 동의를 얻는 방향으로 진전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 신문의 인터뷰 기사는 독립신문의 기본적인 틀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기사쓰기 형식면에서는 획기적인 전환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양적으로 엄청난 증가를 보이며 정착과 확산의 과정을 거쳤고, 인터뷰와 인터뷰 기사에 대한 시각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였다. 개화기에 계몽적인 성격의 기사 일변도였던 인터뷰 기사는, 1920년대를 거쳐 읽을거리(Feature)로서의 성향을 강하게 나타내게 되고 1960년대를 기점으로 보다 확장된 사용영역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현장취재관행의 확립과 언론규제 완화 둥으로 인해 인터뷰 기사는 확고부동한 보도양식으로 자리잡았다. 결국 시대적인 언론상황의 맥락과 그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인터뷰 기사는 한국 언론사의 흐름에서 대표적인 하나의 관행으로 굳어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언론에 대한 정치권의 통제와 이에 적응 혹은 대응하기 위한 언론의 취재보도 방식이 인터뷰 기사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인터뷰 기사의 변천은 관제화 및 기업화의 과정을 거치는 언론의 변화와 그 맥락을 함께 한다. 일제 시대 이후 지속되어 온 언론에 대한 탄압과 회유정책의 변천사는 물론, 거시적인 매체변화와 사회변화를 엿볼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써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history of 'Korean interview story'. It is focused on the interview story as reporting convention which has been changed over the century, from 1896 to 1996.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the alteration of the interview story in Korean press, then to clarify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se changes. In this study, 'news as a cultural product' must be preconceived. It is based on Michael Schudson's notion. He noted that press conventions of narration and form are changed since the politics and press practice have modified. This point of view is adopted to this study for the contextualization of the interview story which is related to the Korean press circumstance. The interview story must be conceived as a kind of news format, here. Therefore two methodologies were set up. First, 'Case study' was selected from the early stage of Korean press. The interview stories were sampled from The Independent and The Korea Daily Mail. Second, 'Content analysis' were done on the stories written after the period of 1920s. In this section of the study, interview stories from Chosun-Ilbo and Donga-Ilbo were sampled, which were coded according to some categories that con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iew story. Although writing interview stories were not widely practiced in the early stage, there were various formats of the articles. It is an outstanding improvement in Korean press history that news coverage could be done from the field instead of reporting rumor. In that process, Seo, Jae Phil who was the publisher of The Independent seems to be the contributor of the introduction to interview stories. Regarding his background, it was possible to infer that he contributed to introduce American new journalism, the penny press style. The trial of publishing bilingual paper and newspaper written in Korean language only could be another contribution. From 1920s, interview stor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have been changed. This alter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cluding interview stories in the paper became a convention. Second, The range of interviewees, themes, and usages were expanded. Third, the reporters' point of view were changed. They tried to write objectively. Most of them appeared during 1960s-1970s. Due to Government pressure, the genuine characteristics of the press have been changed. It has become passive and commercialized. Control against news sources, interference of editing, limitation of publishing newspapers, and increasing tendency of sensationalism of the press were major factors. In conclusion, there was just little improvement in the writing formats of interview. But the perspective for the interview story has been changed with the gradual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p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