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회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회예약・서비스 단계를 중심으로

        김소윤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past, the hotel was the simple destination only for resting or dining. But as hotel is getting popular for its upscale facilities and quality service, people gathers in hotels for various purposes. As the standard of living gets higher, customers who have desire for various cultural & social experience visit hotels with higher expectations. Among all services provided by hotels, the importance of banquet business is getting emphasized. The banquet is like the essence of the quality food and beverage, ability of event planning and attractive physical attributes and it becomes one of the important revenue centers. Also, by nature of the operation, banquets can contribute to generation of extra revenue and positive influence on other operations. In order to meet or exceed guest' expectation, hotels make diversified efforts to attract clients for banquet events. However, although many hotel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banquets, sometimes they tend to focus on inducing events itself as a revenue aspect, rather than obtain guests' satisfaction by quality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process or follow ups of finished events to achieve repeated business. Service providers need to assure that 'Guest satisfaction' cannot be acquired by events themselves, and recognize the quality service through whole process, from reservation to follow-ups after functions. The banquet service process consists of several steps as follows; Reservation - Confirmation - Preparation - Operational service on the date of event - Follow ups after the function. This study attempts to highlight the nature and magnitude of the impact of the quality service on each stages and propose a systemic solution to enhance guest satisfaction and draw intention of revisit. A factor and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to the customers who had experience to host banquet events at 5-star hotels in Seoul. Through the empirical research, those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all stages through the banquet service process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guest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outcome that is the successful function is not the only one factor which affects guest satisfaction, but the factor that customers start to notice the level of service from the reservation stage to the follow up after functions. Secondly, the survey shows that the most influential stages on customer satisfaction is Operational service on the event day stage. Since it is the guest's main purpose of using the hotel paying guest's money, effort and time and visitor's satisfaction is also considered by organizer at this stage, fully understanding of the event and perfect preparation are required. Since satisfied guest has more possibility to have intention of the revisit, hotel manage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se area not to loose repeat guest and business. The suggestive points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ooperation of the involved departments and communication among them are the crucial to make perfect banquet to achieve guest satisfaction. Also, it suggests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expenses guests pays and survey conducted with more detailed segmentation by characteristics of hotels and functions.

      • 골프 드라이브 스윙 시 3차원 동작과 족저압력의 운동역학적 분석

        김소윤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most effective sport biomechanical movements when golf drive swing; six infrared rays cameras were used to analyze the sport biomechanical factors of skilled and unskilled golfers considering the gender difference and the Pedar-X system was used to analyze the foot plantar pressure. The subjects were five men and five women, respectively, who were five skilled and five unskilled golfers, hence twenty in total. Data processing such as calculating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was performed by using SPSS Ver. 23.0 program. Independent t-test was done for statistical processing to perform the movement analysis based on the skilled and the unskilled, gender difference, phase comparison as well as the difference in foot plantar press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hase-by-phase swing movement analysis of skilled and unskilled golfers Knee bending and stretching when drive swinging is to minimize the movements of lower body and maximize the swing of upper body in order to make a strong coiling movement. Moreover, one must keep bending the knee to minimize the movement so that the axis of rotation is fixed to prevent the sway phenomenon. In this way,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can be improved. When back swinging, right knee flexion would prevent the up-and-down sway and reduce the top ball. When having impact, left knee would straighten still without changing the angle of the body so that the flying distance can be improved. 2) The phase-by-phase swing movement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Rotation is important when golf swinging. In order to advance the rotation movement, it is desirable to rotate for the energy to flow from the core of the body to the drunk, arm and club in this order to speed up the body segment. Since women are physically less muscular but more flexible than men, women can swing using the flexibility while men are less capable of swinging due to the lack of flexibility. Therefore, advancing the flying distance is possible if the women exercise weight training to improve the muscles while the men exercise to increase the flexibility. 3) The phase-by-phase maximum foot plantar pressure of skilled and unskilled golfer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aximum foot plantar pressure is optimal when the right fore foot is on the ground at the moment of impact and the weight is moved to the left foot right after the impact. Such movement is considered to improve the stability, directivity and accuracy of the impact. 4) The phase-by-phase average foot plantar pressure according to gender The phase-by-phase average foot plantar pressure is higher for men than women. In case of address, women have higher right foot plantar pressure than men. This phenomenon causes the larger swing arc, addressing in the state of the weight moved to slightly right to prevent the reverse pivoting. Consequently, coaches should lead the female golfers to perform back swing with the weight moved to right side when addressing in order to prevent the reverse pivoting so that they can upper blow swing.

      • MOCVD 방법에 의해 4H-SiC 기판 위에 성장한 Ga2O3 박막의 결정상 변화에 대한 연구

        김소윤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β-Ga2O3의 고기능 소자 제작과 열방출 문제 해결을 위해 hetero-epitaxy 성장이 중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표면 거칠기를 위해 유기 금속 화학 증착법(MOCVD)으로 4H-SiC 기판 위에 여러 가지 성장 조건에서 ε-Ga2O3 박막들을 성장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후에 β-Ga2O3의 전도성 이용을 위해 고온 열처리를 이용하여 결정 상(crystal phase) 전이에 의한 β-Ga2O3 박막들을 형성하였다. ε-Ga2O3 박막의 결정질은 성장온도는 665°C, 산소유량은 200sccm 조건에서 성장한 경우가 가장 좋은 조건 임을 알 수 있었고 상전이(Transformed) β-Ga2O3 박막은 ε-Ga2O3 박막을 665℃에서 산소유량이 200sccm로 성장한 후 산소 분위기로 900℃에서 10분간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ε-Ga2O3 박막 성장의 경우, 육각형 모양의 핵생성 이후 박막 성장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육각형 핵 결정들의 배열 방향은 기판의 결정 방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육각형 모양의 핵 생성 후 2차원으로 형성된 ε-Ga2O3 박막의 결정 구조는 hexagonal 구조가 아니고 orthorhombic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XRD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결정상 전이에 의한 방법이 아닌, 직접 β-Ga2O3 결정상 성장 방법으로 형성한 박막과 transformed β-Ga2O3 박막의 결정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직접 β-Ga2O3 결정상 성장 방법으로 형성한 박막에 비하여, ε-Ga2O3 결정상에서 β-Ga2O3 결정상으로 전이된 박막의 결정성이 훨씬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a2O3 hetero-epitaxy growth is important for manufacturing high-performance devices of β-Ga2O3 and solving heat dissipation agents.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grow ε-Ga2O3 thin films under various growth conditions on a 4H-SiC substrate using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MOCVD) for surface roughness. Later, for the conductivity of β-Ga2O3, β-Ga2O3 thin films were formed by crystal phase transition using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It was found that the best condition for the crystalline quality of the ε-Ga2O3 thin films was grown at a growth temperature of 665°C and an oxygen flow rate of 200 sccm. For the transformed β-Ga2O3 thin film, the ε-Ga2O3 thin film was grown at 665°C with an oxygen flow rate of 200 sccm, and then annealed at 900°C for 10 minutes in an oxygen atmosphere. In the case of ε-Ga2O3 thin film growth,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in film growth was performed after hexagonal nucleation,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hexagonal nuclei was closely related to the cryst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However, it was confirmed through XRD analysis that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ε-Ga2O3 thin film formed in two-dimension after hexagonal nucleation had an orthorhombic structure. In addition, the β-Ga2O3 thin film grown directly on 4H-SiC and the transformed β-Ga2O3 thin film were compared and analyz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rystallinity of the thin film transferred from the ε-Ga2O3 crystal phase to the β-Ga2O3 crystal phase was much better than the thin film formed by the direct β-Ga2O3 crystal phase growth method.

      • 산(山)의 이미지를 응용한 현대 조형가구 디자인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소윤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조형 가구의 경향은 실용성을 배제하고 초현실적인 조형성에 치우친 작품들이 많이 눈에 띈다. 물론 조형세계란 새롭고 창의적인 것이어야 함은 물론 인간의 정서 함양을 위한 품격 높은 예술적인 가치를 구현하는데 집중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조형 가구는 작가의 생의 족적으로서 한 시대의 미감을 반영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조형세계를 완성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본 작품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제기를 통하여 현대 생활 공간에서 조형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해결하면서도 향후 지속적으로 작품 연구의 효용성과 가치 추구에 손색이 없는 주제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한국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조형미를 지닌 조형 가구디자인 연구가 계속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연구의 방법은 산을 주제로 한 문화 예술 분야의 선행연구 및 참고문헌을 조사하였으며, 산의 조형적 표현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한국 고전 예술작품에 나타난 산의 조형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현대의 회화, 조각, 공예, 가구 네 분야에서 산을 주제로 한 작품 이미지를 각 분야별로 수집 하여 이미지 맵 자료 분석틀을 통해 그 안에 표현된 산의 형태에 대한 조형성을 조사·분석하고 작품에 적용 된 산의 형상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조형 가구의 작품 제작 트렌드가 현 시대의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그 동향을 조사 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이론 연구의 전체를 종합하여 논문에서 연구된 산의 조형성을 작품 디자인에 적용시켜 조형적 타겟을 설정하고 디자인 컨셉 도출 및 방향을 설정해 도면을 작성하였으며, 최종 결과물을 제작하여 한국의 산의 조형 이미지를 활용한 조형가구 디자인 모델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서 얻게 된 결론은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첫째, 산은 인간 생활의 정서를 윤택하게 하는 활력소로 누구에게나 미적 요소를 충족시켜 주는 대상이 될 뿐만 아니라 예술의 소재로도 끊임없이 다루어 지고 있는 소재였다. 산의 생명 근원의 의미와 형태상에서 보여지는 환상적이고 조화로운 아름다움과 기이함 및 웅대함은 작품 제작에 요구되는 조형적 구상을 위한 미적 가치가 높다고 사료 되었다. 둘째, 한국 미술의 전반에 흐르는 조형적 미(美)와 한국인의 자연관 형성에는 문화적, 사상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역사적 고증을 통하여 한국 산의 상징성, 조형성 및 색의 특성과 산과 한국인의 조형의식, 자연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현대 조형가구 작품 제작의 배경이 형성되었다. 셋째, 전통적으로 한국인이 자연을 바라보고 대하였던 본질적 정신세계를 작품에 담아내면서도 역사적으로 우리나라 회화, 조각, 공예품 등에 적용되었던 산(山)의 조형적 이미지 맵 조사 분석을 통해서 작품 제작의 모티브와 디자인 컨셉 도출 및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넷째, 모티브인‘산(山)’과 디자인 컨셉인‘장면(scene)’에 의해, 가시적인 피사체의 객관적 외형을 담아내는 것이 아니라, 산이 가지고 있는 생명의 기운, 산을 형성하고 존재하게 하는 힘, 그리고 산이 품고 있는 자연의 근원을 스토리 텔링화 하여 다양한 기능과 조형성을 동시에 담아내었으며, 자연과의 대화를 통한 창작 과정이 있는 조형 가구 작품구상을 통해서 연구자에게 심리적이고 주관적인 더 의미 깊은 산을 구상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산의 조형 작가로서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다. 다섯째, 한국미의 세계시장에서의 고부가가치 창출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한국의 고대 예술품에 표현된 삼산형 산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현대의 공간에 어울리는 가구 작품을 도출해내는 과정을 논문 안에서 기술함으로써 한국적 디자인의 현대화를 위한 개발 방법론 및 사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와같이 한국인의 조형관을 바탕으로 한국의 우수한 조형요소를 작품에 응용한 다양한 작품 개발과 연구가 후에도 이어져 창의적인 연구 및 작품세계가 이어지기를 기대 한다. In the recent trend of art furniture, many works that exclude practicality and lean toward surreal forms can be noticed. Of course, the formative world should not only be new and creative but should also be focused on realizing high-quality artistic values for cultivating human emotions. Therefore, art furniture is the footprints of artists lives and tends to reflect the aesthetic sense of an era. And ultimately, it can also be seen as completing a new formative world that did not exist before. This study hopes that the topic can solve both formativeness and practicality issues in the modern living space and is suitable for the pursuit of utility and value in future research. The study was also carried out with the hope that research on art furniture design with Korean and modern aesthetics would continue to be conducted. A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and referenc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with the theme of mountains were investigated,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ountains in Korean classical artwork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formative expression of mountains. In addition, images of mountain-themed works were collected in each of the four fields of contemporary painting, sculpture, craftwork, and furniture, and through the image map data analysis frame, the formativeness of the shape of the mountain expressed therein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applied to the work. Then, the direction was set for the shape of the mountain applied to the work. In addition,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terms of how the trends of art furniture works creation are changing i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present age. Finally, by synthesizing all of the previous theoretical studies, the formativeness of the mountain studied in the thesis was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work to set the formative target. Then, the design concept and direction were set and created as a drawing. The final work was created and presented as an art furniture design model that applied the formative image of Korean mountain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untains are a vital element that enriches the emotions of human life and is not only an object that satisfies aesthetic elements for everyone, but also a material that is constantly being used as a subject for art. The fantastic and harmonious beauty, bizarreness, and grandeur shown in the meaning and form of the mountain as a life source waw considered to have high aesthetic value for the formative design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work. Second, it was found that cultural, ide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cted in a complex way in the formation of the formative beauty that flows throughout Korean art and the Koreans' view of nature.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re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bolism, formativeness,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mountains, the formative consciousness of Koreans, and the view of nature through historical research,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er's modern art furniture work was formed. Third, the motif, design concept, and direction of the art production were set by capturing the essential spiritual world that Koreans traditionally viewed and dealt with in nature, and tho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formative image map of mountains that have been historically applied to Korean paintings, sculptures, and antiques. Fourth, using the motive “mountains” and the design concept “scene,” the work does not capture just the objective appearance of a visible subject, but by the storytelling the energy of life that the mountains have, the power to form and maintain.and the source of nature that mountains have, it was made to contain various functions and formativeness at the same time. Also, through designing an art furniture work that has a creative process through a dialogue with nature, it became an opportunity for the researcher to envision a more psychological, subjective, and meaningful mountain and progress as a formative artist of mountains. Fifth, in order to create high added value and secure competitiveness of Korean beauty in the global market, the three peaks-type mountains expressed in ancient Korean artworks wer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to derive furniture pieces suitable for modern spaces and this process was described in the thesis. With this, the development methodology and examples for the modernization of Korean design could be presented. In this way, it is expected that creative research and the world of works will continue through continuous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works that apply Korea's excellent formative elements to works based on the Korean view of formativeness.

      •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 측정도구 개발

        김소윤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nstituting factors and elements of team leaders'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in corporations, define their concepts and develop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competen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one was "What are team leaders'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in corporations?" and second one was "Is the measurement scale for team leaders'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in corporations valid?" This study acquired basic concepts of competencies from Delphi survey methods which predicts future through intuition of professional panels and draws out their consensus. Through literature review, study drew out 7 constituting factors and 64 elements of team leaders'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in corporations and conducted Delphi surveys 3 times. In order to collect diverse opinions,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with semi-structured and open-ended questions while the third one analyzed CVR values of 37 constituting elements and finally drew out 4 constituting factors and 35 elements.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if these concepts are suitable to be used in corporate organizations, study also performed questionnaire survey on 40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The concepts of each constituting factor and element modified and complemented through these processes were developed into 97 measuring questions for team members (subordinates) as examinees. A total of 725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into sample 1 with 413 subjects and sample 2 with 312 subjects, for which basic ques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both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As the result of study, for team leaders'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in corporations, 3 constituting factors of career coaching value, relationship manage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and 22 constituting elements were drawn out as measuring questions. First, career coaching value factor explains the belief that human beings should recognize differences of others and are the beings capable of growth with the help of other people, and the coaching which facilitates this growth is useful to human life. This becomes the standard for value judgments of a coach who can successfully perform career coaching and was developed into a total of 5 measuring questions with confidence, respect for diversity, sense of coaching mission, conviction of usefulness and belief in human growth as its sub-elements. Second, relationship management factor explains proper communication skills and coach's core competencies to form relationship of trust. It includes listening skills(empathy), questioning skills, genuineness(trust), closeness(creating atmosphere, flexibility), control and balance and observance of coaching ethics as sub-elements and a total of 8 questions were drawn out. Third, performance management factor is the one which promotes a team leader to induce team members(subordinates)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set goals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execute them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In addition, it creates environments for continuous care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manages time and provides opportunities. It includes time management, facilitation of self-reflection and goal-setting, management of career change, career insight, systematic thinking,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bility to acquire career developing information and mentoring as its sub-elements and was developed into a total of 9 questions. With these processes, 3 constituting factors and 22 sub-elements drawn out were developed into a measurement scales with reliability, construct and content validity through Delphi survey, ques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measurement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work as a guide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o develop cultivate competencies when the team leaders support and promote members' career development in corporate organizations. This measurement scale could also work as indices with which team leaders examine and assess their own levels of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and thus render help for life-long learning of individuals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and studies which explore the effect and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의 구성요인과 요소를 도출하여 개념을 구명하고, 역량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 측정도구는 타당한가? 이다. 문헌고찰을 통해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을 7개 구성요인 64개 구성요소로 도출하고 전문가 패널의 직관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여 합의를 도출하는 델파이 조사방법으로 기초 개념을 구명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3회를 실시하였는데 다양한 의견 수렴을 위해 1, 2회는 반구조적 질문과 개방형 질문으로 진행하고, 마지막 3회 델파이 조사는 37개 구성요소에 대해 CVR 값을 분석하여 최종 4개 구성요인, 35개 구성요소로 도출하였다. 또한 그러한 개념이 기업조직에서 활용되기에 적합한지 점검하기 위해 기업체 팀장과 팀원 40명에게 설문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정·보완 된 각 구성요인과 구성요소의 개념은 팀원(부하)을 수검자로 하는 97개의 측정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총 725명의 설문자료를 413명의 표집 1과 312명의 표집 2로 구분하여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초문항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은 커리어코칭가치 이해, 관계관리, 성과관리의 3개 구성요인 22개 측정문항으로 구안되었다. 첫째, 커리어코칭가치 이해 요인은 인간은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누군가의 도움으로 성장 가능한 존재이며, 이러한 성장을 촉진하는 코칭은 인간 삶에 유용하다는 신념을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기업체 팀장이 커리어코칭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며, 자신감, 다양성 존중, 코칭 사명감, 코칭 유용성 확신, 인간 성장에 대한 믿음을 하위요소로 하여 총 5개의 측정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관계관리 요인은 적절한 의사소통 능력과 신뢰관계형성을 위해 기업체 팀장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설명하고 있다. 그 하위요소로는 경청 스킬(공감), 질문 스킬, 진정성(신뢰), 친밀성(분위기 조성, 유연성), 조절과 균형, 코칭윤리 준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총 8 문항으로 구안되었다. 셋째, 성과관리 요인은 팀장이 팀원(부하)의 커리어개발을 위해 스스로 성찰하여 목표를 수립하도록 지원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실행하도록 촉진하는 요인이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커리어개발과 관리를 위해 환경을 조성하고 시간을 관리하며 기회를 제공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 하위요소로는 시간관리, 자아성찰촉진, 목표설정촉진, 커리어변화관리, 커리어통찰력, 시스템적 사고, 일과 삶의 균형, 커리어개발정보력, 멘토링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며 모두 9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이로써 3개 구성요인 22개 하위요소는 델파이 조사,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내용 및 구성타당도를 확보한 측정도구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측정도구는 기업체 팀장이 기업조직에서 구성원의 커리어개발을 지원하고 촉진하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역량개발을 위한 인적자원개발(HRD)의 길잡이가 될 것이다. 이것은 실제 팀장이 자신의 커리어코칭 역량 수준을 탐색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되어 개인의 평생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며, 역량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다른 변인과의 영향관계를 탐색하는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안성 칠장사 오불회괘불탱(五佛會掛佛幀) 모사를 위한 제작기법

        김소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term for imitation an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Gwaebuldo before the 17th century and the techniques used in Chiljangsa Gwaebuldo based on the techniques of pigments, base materials, and coloring. Due to its large size and storage method, various types of problems such as fiber damage and pigment stripping are revealed. However, research on the material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Buddhist painting imitation has been conducted so far, and it is about tang-oriented feuds such as Chilsung and Gamro kings. Due to the enormous cost and manpower required to simulate large-scale Buddhist paintings such as gwaebuldo, small-scale Buddhist painting-oriented research was conduct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production technique and materials of the "Treasure No. 296 Obulhoe Gwaebulbotang" in Chiljangsa, Anseong, which was not previously covered. Gewaebuldo Island in Chiljangsa Temple was recently produced as a replica for preservation and the use of alternative exhibitions. Despite its large scale, it was copied in real size to the purpose of recording cultural assets. Although the pigments were painted only in the front, the pigments were stuck thick enough to prevent the white, dark blue, and green fabric from being identified, and some fabrics such as black, light blue, and red were found, but the overall fixation was good. The color was painted with the thickness of the paint, not the pear-chae, when the color was applied to be applied when the reproduction was being carried out. By preparing the same base material as the actual target cultural property, the same base material as the relics coul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e base material. A brief summary of the significance gained from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said that among the existing Gwaebul paintings, The Chiljangsa Obulhoe-Gwaebul-Tang was produced as a reproduction painting at a relatively early period, and thus that the research direction and standards for the subsequent reproduction paintings for Gwaebul were suggested. Second, The Chiljangsa Obulhoe-Gwaebul-Tang were expressed so that they could look as natural as possible in order to reproduce the feeling of old Buddhist paintings through the Reproduction of the status quo. Third, it was copied from the same pigments and base materials manufactured through scientific analysis. Fourth, this study paved the way to solve the problem of using or exhibiting the paintings outdoor for fear of going bad. The original copy is preserved, but the use of a reproduction paintings for the use of the Buddhist service can increase the effective value. Passing down a cultural legacy is important in that cultural assets clearly reveal the identity of a nation.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of little help to the conservation of painting and research, and that it will be an academic basis for the techniques and materials for the future study of the Reproduction paintings for Gwaebul.e of researching inheritance and restor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본 연구는 모사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고, 17세기 이전 괘불 현황과 안료 · 바탕재 · 채색 기법을 근거로 칠장사 오불회괘불탱괘불에 사용된 안료와 제작기법에 대해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괘불탱은 큰 크기와 보관방식 때문에, 섬유 손상, 안료 박락 등, 다양한 형태의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된 불교회화 모사의 재료와 제작기법 연구는, 칠성도·감로왕도 같은 탱화 위주의 불화에 관한 것이다. 괘불도와 같은 대형 불화를 모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인력의 방대함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소규모 불교회화 위주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번 연구 대상은 기존에 다루지 못했던 ‘보물 제 296호 안성 칠장사 오불회괘불탱’의 모사도 제작기법과 재료에 관한 것이다. 칠장사 괘불도는 최근 보존과 대체 전시 활용을 위해 모사도로 제작 된 바 있으며, 큰 규모에도 불구하고 문화재 기록화라는 취지에 맞춰 실제 크기로 현상모사 되었다. 칠장사 괘불도는 앞에서만 채색했음에도 불구하고 안료층의 고착상태를 보면 백색 · 짙은 청색 · 녹색이 바탕재인 직물이 확인되지 않을 정도로 두껍게 고착되어 있고, 흑색 · 옅은 청색 · 적색등 일정부분 직물이 확인되는 곳도 있으나 전체적으로 고착상태는 양호하였다. 모사본을 진행할 때도 배채를 하지 않았고 안료의 두께감을 살려 채색하였다. 실제 대상 문화재와 같은 바탕재를 마련함으로써 유물과 동일한 바탕재가 주는 특징을 가질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의의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단으로만 제작된 유일한 괘불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괘불은 비교적 시기가 이른 현존 괘불화 중 최초로 모사도로 제작되어 이후 진행되는 괘불 모사도 제작의 연구 방향과 기준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칠장사 오불회괘불탱은 현상모사 기법을 통해서 고불화의 느낌이 재현되도록 최대한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도록 표현되었다. 또한 과학적 분석을 통한 동일한 안료와, 제작된 바탕재로 모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야회 법회 사용이나 전시 등이 힘들었던 문제를 모사도로 대체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 원본은 보존하되 모사도를 법회용으로 사용하여 효용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문화재는 한 민족의 정체성을 여실히 드러낸다는 점에서 문화의 전승은 중요하다. 본 연구가 회화문화재 보존 방안과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이루어질 괘불 모사도에 대한 기법, 재료 등에 학술적인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반유석(反幼石)을 이용한 “이혈”과 “아시혈” 첩압 치료가 어깨 통증에 미치는 영향

        김소윤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PC와 스마트 기기의 사용 증가로 잘못된 자세로 인해 신체의 불균형과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초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어깨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이혈과 아시혈을 이용한 어깨통증 치료의 효과는 이미 입증된 바 있으나 두 치료법을 병행한 연구는 아직 진행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녀 20~50대를 대상으로 황토 볼을 부착한 스티커를 이용하여 이혈과 아시혈 부위의 첩압이 어깨 통증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군(A)과 대조군(B) 연구로 설계되었다. 수원시 광교에 있는 G 교회, 웰니스이혈센터에 오시는 고객으로 총 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 1회 15~20분, 8주 동안 총 8회 진행하였다. 실험군(A)은 아시혈과 이혈에 첩압 하였고, 대조군(B)은 아시혈과 가짜혈에 첩압하여 전·후 그룹 내 비교와 그룹 간 비교를 하였다. 어깨 통증강도는 시각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여 측정, 어깨 통증 역치(pain threshold)는 압통기, 삶의 질은 삶의 질 척도 단축형(WHOQOL-BREF)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어깨 통증 강도는 그룹 내 비교에서 중재 후 실험군,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p<0.1) 보였다. 압력통증역치도 그룹 내 비교에서 중재 후 왼쪽, 오른쪽 어깨 근육(상부승모근, 견갑거근, 대능형근)에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으며,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p<0.001) 보였다. 삶의 질 척도 단축형의 실험군은 중재 후 신체적 건강 p=.006, 심리적 건강 p=.002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사회적 건강 p=.691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 전체 삶의 질은 p<.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조군도 심리적 건강 p<.001, 신체적 건강 p<.001, 사회적 건강 p=.044, 전체 삶의 질은 p<.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룹 간 비교에서 신체적 건강 p=.268, 심리적 건강 p=.782, 사회적 건강 p=.052, 전체 삶의 질은 p=.087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시행한 8주간의 첩압요법은 이혈과 아시혈을 병행했을 때 어깨통증이 있는 사람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황토 볼을 이용한 이혈과 아시혈 첩압요법은 어깨 통증에 임상에서의 그 활용의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겠다. 핵심되는 말 : 이혈, 아시혈, 어깨 통증, 반유석, 황토볼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 of acupressure in the area of Auricular and Ashi on improving shoulder pain by using stickers with red clay balls for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50s. A total of 23 participants with shoulder pain were recruited from G church and customer at the center,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A) and a control group(B).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or a total of 8 weeks, with five consecutive days a week. The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acupressure on the shoulder area of the ear and on the shoulder. The control groups received no acupressure on the shoulder area of the ear and acupressure on the shoulder. The data was measured by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pressure pain threshold(PPT),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BREF(WHOQOL-BREF). The data was analyzed by IBM SPSS Statistic version 2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8 weeks, VAS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A) and the control group(B). 2. After 8 weeks, PPT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A) and the control group(B). 3. After 8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health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WHOQOL-BREF. But the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of the experimental group(A), the physical health of the control group(B),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health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it seems that the 8 weeks acupressure therapy performed in this study has the effect of reducing pain in people with shoulder pain when auricular and ashi are combin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auricular and ashi acupressure therapy using red clay balls suggest the possibility of clinical use for shoulder pain. auricular, ashi, acupressure, shoulder pain, red clay ball

      • Bob Fosse의 뮤지컬 작품에 나타난 안무 성향에 관한 연구

        김소윤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Bob Fosse는 뮤지컬 안무의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스타일을 재즈 댄스로 자리 잡게 한 Fosse Style의 창시자로써 다른 안무가들과 같은 기본적인 안무 테크닉을 기반으로 시작하였으나 스스로 신체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창조한 특징적 요소와 동작적 요소를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그를 통해 Bob Fosse만의 독자적인 안무 스타일을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오늘날에 이르러서까지 Fosse Style이라는 명칭을 얻어 공고히 각광받는 하나의 장르로 입지를 다지는 안무 스타일을 구축한 인물로 회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ob Fosse의 작품에 나타난 안무성향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뮤지컬의 역사와 특성을 알아보고 뮤지컬 안무의 형성 과정과 Bob Fosse의 생애, 작품 활동을 살펴보았다. Bob Fosse가 안무하고 연출했던 <카바레(Cabaret)>와 <시카고(Chicago)>를 중심으로 살펴보며 두 작품에 나타난 Bob Fosse의 안무 성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Bob Fosse의 안무 성향은 크게 두 가지로, Jerome Delamater가 정의한 특징적 요소와 할리우드에서 정의하는 Fosse Amoeba의 동작적 요소로 나눌 수 있었는데, Fosse Style의 특징적 요소는 독특성(Eccentricity), 아이솔레이션(Isolation), 반복성(Repetition), 분리 기법(Fragmentation) 네 가지이며, 동작적 요소는 Fosse Amoeba라는 명칭으로 무릎과 발가락을 턴 인으로 사용(turned in knees and toes), 어깨를 돌리는 동작(shoulder rolling), 장갑을 낀 재즈 핸드 사용(gloved jazz hands shuffle), 중산모 등의 소품 사용(bowler hat wearing), 엉덩이를 돌리는 동작(hip thrusting), 손가락을 튕기는 스내핑 동작(finger snapping)등 여섯 가지이다. 이와 같은 Fosse Style의 특징적 요소와 동작적 요소를 통해 Bob Fosse의 뮤지컬 작품 <카바레(Cabaret)>와 <시카고(Chicago)>에 나타난 Bob Fosse의 안무 성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Bob Fosse의 안무 성향이 여타 안무가들의 안무 성향과 확연히 다른 Fosse만의 독특한 안무적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ob Fosse is the founder of Fosse Style, which established the basic and representative style of musical choreography as jazz dance, and opened a new era of musicals with jazz choreography and challenging attempts beyond the framework of existing musical genres. He started out based on basic choreography techniques like other choreographers, but is said to have built a dance style that has been firmly established as a genre today through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motion elements created to compensate for his physical defects. In this study, we wanted to study the choreography tendency shown in Bob Fosse's work, and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musicals and the process of forming musical choreography, Bob Fosse's life, and work activities. Looking at <Cabaret> and <Chicago>, which were choreographed and directed by Bob Fos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pecifically present Bob Fosse's choreography tendencies in the two works. The choreography of Bob Fosse investigated in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characteristic elements defined by Jerome Delamater and the movement elements of Fosse Amoeba defined in Hollywoo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four Fosse Style, there are Eccentricity, Isolation, Repetition, and Fragmentation. and six movement elements are called Fosse Amoeba, turned in knees and toes, shoulder rolling, gloved jazz hands shuffle, bowler hat wearing, hip thrusting, and finger snapping. In this study, we tried to suggest Bob Fosse's choreography inclination through the scenes where you can check the choreography among the numbers of Bob Fosse's musical works <Cabaret> and <Chicago> through these characteristic elements and movement elements of Fosse Styl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ob Fosse's choreography shows a unique choreography aspect that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choreographers.

      • 한스 하케(Hans Haacke)의 시스템 예술(systems art) : 사회 시스템과 정보의 미술

        김소윤 한국예술종합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스 하케의 전 작업 시기를 시스템 예술의 관점에서 서술한다. 하케의 시스템 예술은 1968년 잭 번햄의 시스템 미학 발표 이후 번햄의 논지에 따라 분석되어왔으나 1980년대 벤자민 부클로의 제도 비판적 견지에 의해 무력화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 하케의 시스템 예술 개념이 재조명 받기 시작하며 관련 연구가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본고는 시스템 예술이 갖는 사회적 기능에 주목한다. 먼저 시스템 예술의 형성 배경을 1960년대 정보 사회로 이행하던 분위기 속에서 입체적으로 살펴본다. 루드비히 폰 버틀란피의 『일반 체계 이론』은 정보 기술의 학문적 기초이자 번햄의 시스템 미학의 배경으로 시스템적 사고를 확장시키는데 기여했다. 생물학과 정보처리기술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시스템 미학은 사회적 의사소통 과정이 정보 전달 과정으로 환원될 수 있다고 보았고, 예술을 소프트웨어에 비유하였다. 정보는 물적 토대는 없지만 전송이 가능한 점에서 예술의 비물질화 경향 아래 새로운 예술 제작방식에서도 널리 이용되었다. 1970년 ≪정보≫전시에서 정보는 당대 사회문제에 대항하는 시대정신으로 대두되었고, 여러 개념미술가들의 참여 가운데 하케의 시스템 예술은 독특한 위상을 차지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나아가 시스템 예술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은 예술작품의 감상과 사회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 과정을 정보의 전달과정으로 보는 시각을 전제한 니클라스 루만의 『예술 체계 이론』으로 뒷받침된다. 루만은 사회를 구성하는 하위 시스템으로서 예술이 그것을 둘러싼 주위 환경에 대해 관찰하는 성찰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말한다. 이는 시스템 예술이 예술계와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주체들의 관계에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근거로서, 하케의 사회 참여적 작업이 제도비판의 틀이 아닌 시스템 예술의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도록 한다. 공공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치의견의 공론화, 예술 후원 제도와 자본의 유착관계, 그리고 다국적 기업의 반윤리적 행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케의 작품들은 시스템 예술이 갖는 사회 관찰적 기능을 설명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ntire stages of Hans Haacke’s works with regard to systems art. Haacke's systems art had been analyzed in accordance with Jack Burnham's viewpoint, following Burnham’s announcement of ‘Systems Esthetics’ in 1968. However by Benjamin Buchloh's critical viewpoint, it lost its ground in 1980s. As Haacke’s systems art started to regain spotlight in the late 2000s, and its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is paper mainly addresses the social function of systems art. First,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systems art is investigated in the context of the transition to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1960s. Ludwig von Bertalanffy's “General Systems Theory” is the academic found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ackground of Burnham’s systems esthetics, and i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expanding systems thinking. Based on similarities between biology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systems esthetics considered that the social communication process could be converted to the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and compared art to the software. Information was also widely used in the new methods of art production under the tendency of dematerialization of art in that it had no material forms but could be transmitted. In 1970, the exhibition Information, a concept of information emerged as the spirit of the times against social problems of the day, and among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conceptual artists, Haacke's systems art is considered as having a unique status. Furthermore,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on systems art is supported by Niklas Luhmann's "Art as a Social System," which assumes the appreciation of works of art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members of society to be the process of conve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Luhmann, as a sub-system that makes up a society, art functions as a reflective role to observe its surroundings. This is the basis on which systems art can directly interven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world and the various entities that make up society, so that Haacke's socially engaged work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systems art, not in the framework of institutional critique. Haacke's works, which provide information on the public opinion on politics through public data analysis, the collu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s sponsorship system and capital, and the anti-ethical behavior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explain the function of systems art observing social systems.

      • ‘진실다움’의 맥락에서 본 글루크의 개혁 오페라 :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를 중심으로

        김소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18세기에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폰 글루크(Christoph Willibald von Gluck, 1741-87)가 주도했던 오페라 개혁의 사상적 기반이 17세기 프랑스 고전주의 문학에 있음을 주지하고, 그것이 오페라 작품을 통하여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글루크 오페라 개혁의 핵심은 극에 부합하는 작품을 만드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글루크는 17세기 프랑스 고전주의 비극 규칙 중 하나인 ‘진실다움’(le vraisemblable)에 주목하여 이를 개혁의 근간으로 삼았다. 본 논문은 먼저 글루크의 주목한 ‘진실다움’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이 어디에서 유래되었고 역사적으로 어떻게 이어져 왔는지 밝혀 보았다. 진실다움은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 서 언급한 개념으로 극의 플롯에서 그렇게 될 수 있다고 이해되고 믿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플롯이 탄탄한 구조를 갖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진실다움이었다. 17세기 프랑스 문학자들은 고대문화 안에 재현된 자연을 모방하려고 했으며 자연의 모방을 문학의 제 1원리로 믿었다. 그런데 그들이 생각한 자연은 우리 앞에 펼쳐진 자연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적, 정신적 자연이었고, 따라서 그들이 말하는 자연의 모방은 인간의 내적, 정신적 현실의 모방이며 더 나아가 인간 본질의 모방을 의미했다. 고전주의 학자들은 이렇듯 관념과 본질의 형태로 압축된 자연을 축소하여 3통일의 규칙 안으로 넣었다. 이렇게 규칙에 따라 재현된 관념화된 자연은 진실답다고 인정된 것이며 따라서 진실다운 것은 합리적인 것을 의미했다. 우리의 이성에 의해 재구성된 관념화된 자연이 진실답고 합리적이라는 생각은 18세기 계몽주의자들의 사상과 맞닿아 있다. 이들의 생각은 오페라를 만드는 이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비평가이자 대본가인 알가로티는 1756년 발표한 『오페라에 관한 소론』 (Saggio Sopra l’Opera in Musica)을 통해 통일된 시적 아이디어에서 모든 극 요소를 수용할 것과 고대 그리스 비극의 엄격함으로 돌아가자고 역설했다. 알가로티와 함께 활동했던 음악가 욤멜리와 트라예타는 알가로티의 생각을 음악으로 실현시키고자 했다. 본격적이 개혁의 움직임은 빈에서 일어났다. 새로운 오페라에 대한 열망을 갖고 있었던 부르크극장 감독 두라초는 글루크와 칼자비치를 빈으로 불러들여서 개혁 오페라를 만들도록 전폭적 지지와 후원을 했다. 10년간 파리에서 활동하며 앞선 생각을 갖고 있던 칼자비치는 획기적인 대본을 썼고 글루크는 이에 효과적으로 음악을 붙임으로써 새로운 오페라를 만들어냈다. 그들의 첫 개혁 오페라가 바로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Orfeo ed Euridice) 였다. 이 작품에서 칼자비치는 대본의 절제와 압축으로 주제를 집약시켰고 글루크는 대조와 연속이라는 큰 틀에서 작품을 구성했다. 음악적으로는 이탈리아 오페라 세리아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었던 아리아와 레치타티보를 새롭게 만들었고 극과 관계없는 내용으로 극을 열고 닫거나 극 중간에 삽입되어 흐름을 끊었던 합창과 발레, 오케스트라를 등장인물처럼 극에 넣어 사용했다. 이 모든 방법은 진실다움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였고 이로써 인간의 본질적 정서인 희노애락의 감정을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를 통해 진솔하게 그려냈다. 글루크는 진실다움의 구현을 통해 음악이 극의 내용을 훼손시키지 않고 극이 전달하고자 하는 중심 내용을 충분히 부각시켜 청중들을 극에 몰입시키는 오페라를 만들어냈다.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그는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에서 프랑스 고전주의 문학의 이상이자 계몽주의 사상, 더 나아가 개혁 오페라의 이상이었던 ‘아름다운 단순함’(la belle simplicité)을 이루어냈다.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에 문학과 음악은 예술의 장르에 함께 포함되어 있었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면서 둘 사이는 점점 멀어져 오늘날에는 각자의 길을 가고 있다. 인문학의 관점에서 음악을 보는 작업은 21세기 통섭의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이 문학과 음악을 이어주는 작은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키워드 ; 오페라 개혁, 글루크, 칼자비치, 진실다움, 고전주의 비극 규칙, 아름다운 단순함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basic idea of‘le vraisemblable’ of the French dramaturgy in the 17th century was employed in Gluck’s first reformed opera, 「Orfeo ed Euridice」(1762). The point of Gluck’s reform is returning to the opera as ‘dramma per musica’, and he took ‘le vraisemblable’ as the concept of reform. In this paper, I first examine the concept and the origin of ‘le vraisemblable’, and how it was used historically up to Gluck. Aristoteles, his book Peri Poietikes (B.C. c330), explained this concept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plot of tragedy. The French scholars of the 17th century wanted to emulate the ancient art and culture, thus they accepted those rules as the basic guidance to their literature, especially in drama. As a result, the concepts, such as ‘les trois unités’, ‘la bienscéance’, and ‘le vraisemblable’ became the three important rules of the 17th century’s dramaturgy. These rules were not only the important issues to the scholars of the 17th century, even during the Age of Enlightenment. In addition to Gluck, there were some precursors and collaborators who participated the reform movement. In 1756, Francesco Algarotti, an art critic in Parma, pointed out the abuse of the Italien Opera Seria in Saggio Sopra l’Opera in Musica. In Vienna, Count Durazzo worked with choreographer Angiolini and Noverre, castrato Guadagni, librettist Calzabigi. In 1762, their collaboration made the first reformed opera 「Orfeo ed Euridice」, and this work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movement in Opera. In 1767, at the preface of 「Alceste」, Gluck and Calzabigi announced their thoughts on reform. In 1774, they advanced to Paris, where 「Iphigénie en Aulide」 was great hit, upon this opportunity 「Orfeo ed Euridice」 was made of the French version. In 「Orfeo ed Euridice」, Calzabigi revised the libretto based on theme of ‘le vraisemblable’ and Gluck composed the music accordingly. Furthermore Gluck achieved the concept of ‘la belle simplicité’, the ideal of french classic literature, of Enlightenment, in his reformed opera. In the age of convergence and fusion in the 21st century, studying music in its relation to other arts forms, especially literature seems quite appropriate, since changes in music have been historically deeply influenced by the changes in literature. I hope this study can provide one example of many future collaborative approaches between musicology and the literature. Keyword: Gluck, Calzabigi, reform of opera, le vraisemblable, la belle simplicit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