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스 하케(Hans Haacke)의 시스템 예술(systems art) : 사회 시스템과 정보의 미술
본 논문은 한스 하케의 전 작업 시기를 시스템 예술의 관점에서 서술한다. 하케의 시스템 예술은 1968년 잭 번햄의 시스템 미학 발표 이후 번햄의 논지에 따라 분석되어왔으나 1980년대 벤자민 부클로의 제도 비판적 견지에 의해 무력화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 하케의 시스템 예술 개념이 재조명 받기 시작하며 관련 연구가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본고는 시스템 예술이 갖는 사회적 기능에 주목한다. 먼저 시스템 예술의 형성 배경을 1960년대 정보 사회로 이행하던 분위기 속에서 입체적으로 살펴본다. 루드비히 폰 버틀란피의 『일반 체계 이론』은 정보 기술의 학문적 기초이자 번햄의 시스템 미학의 배경으로 시스템적 사고를 확장시키는데 기여했다. 생물학과 정보처리기술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시스템 미학은 사회적 의사소통 과정이 정보 전달 과정으로 환원될 수 있다고 보았고, 예술을 소프트웨어에 비유하였다. 정보는 물적 토대는 없지만 전송이 가능한 점에서 예술의 비물질화 경향 아래 새로운 예술 제작방식에서도 널리 이용되었다. 1970년 ≪정보≫전시에서 정보는 당대 사회문제에 대항하는 시대정신으로 대두되었고, 여러 개념미술가들의 참여 가운데 하케의 시스템 예술은 독특한 위상을 차지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나아가 시스템 예술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은 예술작품의 감상과 사회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 과정을 정보의 전달과정으로 보는 시각을 전제한 니클라스 루만의 『예술 체계 이론』으로 뒷받침된다. 루만은 사회를 구성하는 하위 시스템으로서 예술이 그것을 둘러싼 주위 환경에 대해 관찰하는 성찰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말한다. 이는 시스템 예술이 예술계와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주체들의 관계에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근거로서, 하케의 사회 참여적 작업이 제도비판의 틀이 아닌 시스템 예술의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도록 한다. 공공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치의견의 공론화, 예술 후원 제도와 자본의 유착관계, 그리고 다국적 기업의 반윤리적 행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케의 작품들은 시스템 예술이 갖는 사회 관찰적 기능을 설명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ntire stages of Hans Haacke’s works with regard to systems art. Haacke's systems art had been analyzed in accordance with Jack Burnham's viewpoint, following Burnham’s announcement of ‘Systems Esthetics’ in 1968. However by Benjamin Buchloh's critical viewpoint, it lost its ground in 1980s. As Haacke’s systems art started to regain spotlight in the late 2000s, and its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is paper mainly addresses the social function of systems art. First,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systems art is investigated in the context of the transition to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1960s. Ludwig von Bertalanffy's “General Systems Theory” is the academic found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ackground of Burnham’s systems esthetics, and i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expanding systems thinking. Based on similarities between biology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systems esthetics considered that the social communication process could be converted to the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and compared art to the software. Information was also widely used in the new methods of art production under the tendency of dematerialization of art in that it had no material forms but could be transmitted. In 1970, the exhibition Information, a concept of information emerged as the spirit of the times against social problems of the day, and among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conceptual artists, Haacke's systems art is considered as having a unique status. Furthermore,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on systems art is supported by Niklas Luhmann's "Art as a Social System," which assumes the appreciation of works of art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members of society to be the process of conve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Luhmann, as a sub-system that makes up a society, art functions as a reflective role to observe its surroundings. This is the basis on which systems art can directly interven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world and the various entities that make up society, so that Haacke's socially engaged work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systems art, not in the framework of institutional critique. Haacke's works, which provide information on the public opinion on politics through public data analysis, the collu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s sponsorship system and capital, and the anti-ethical behavior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explain the function of systems art observing social systems.
말기 신부전 환자들의 경우 신장 대체 요법이 필요하다. 혈액 투석은 신장 대체 요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몸 속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주로 혈액 투석용 동정맥루를 사용하여 투석을 하게 되는데 혈관의 종류에 따라 자가혈관을 사용하는 방법과 인조혈관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효율적인 투석을 위해서는 동정맥루의 개존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혈전 침착, 협착, 내막 증식 등의 합병증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합병증은 유동 형태와도 관계가 있어 동정맥루 내의 혈류 특성 파악을 통해 동정맥루의 개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공 신장기로 흡인, 토출되는 유동의 경우 동정맥루 내 유동 특성의 변화를 유발하므로, 이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투석침 삽입 방법, 투석량 등 혈액 투석 방법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후향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비뉴턴 유체 특성을 고려하여 투석침 각도, 혈액의 흡인 및 토출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조건에 대하여 최대 시간 평균 전단응력이 동맥 측 문합부에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동맥 측 문합부는 유동 조건에 관계없이 합병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투석침 각도가 5도 이상일 경우, 정맥 측 인조혈관에서도 높은 전단응력이 발생함에 따라 백혈구 및 혈소판의 활성화가 유발될 수 있다. 투석침 각도가 5도 이하일 경우, 정맥 측 인조혈관 및 문합부에서 저 전단응력과 전단응력 방향의 변동이 심한 유동이 발생하므로 혈전 침착 등의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5도 이하의 투석침 각도는 투석 시 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혈액 투석 시 흡인과 토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정맥 측 인조혈관 내에 저 전단응력 및 높은 교번전단지수가 발생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흡인만 이루어지는 경우, 투석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For patients with renal failure, renal replacement therapies are needed. Hemodialysis is a widely used renal replacement method to remove waste product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atency rate of the vascular access for efficient dialysis. Since some complications such as an intimal hyperplasia are associated with the flow pattern, the hemodynamics in the vascular access must be considered to achieve a high patency rate. In addition, the blood flow from an artificial kidney affects the flow in the vascular access. Generally, the clinical techniques of hemodialysis such as the needle angle or dialysis dose have been set up empirically. In this thesis, a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effect of the needle angle and injection on the blood flow in the graft. Blood is assumed to be a non-Newtonian fluid. The maximum time-averaged wall shear stress appears at the arterial heel, and a danger of the graft failure exists at the arterial anastomosis for all flow conditions. According to the high time-average wall shear stress value, the leucocytes and platelets can be activated at the bottom of the venous graft when the needle angle is not zero. For a needle angle less than five degrees, there is a low shear and high oscillatory shear index region that appears at the venous graft and the venous anastomosis. Thus, a needle angle less than five degrees should be avoided to prevent graft failure. If the hemodialysis is performed with injection of the blood flow through the venous needle, the low shear zone with oscillating flow occurs in the graft. Therefore, it is shown that there is higher possibility of the graft failure when the suction and injection is performed simultaneously.
LNG 슬로싱 하중에 의한 Mark-III insulation system 국부강도평가 연구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technology for an insulation system performance and dynamic strength characteristics of LNG cargo containment system from various research efforts including dry-drop and wet-drop tests as well as sloshing test have been carried out by GTT, shipyards, oil companies, universities as well as classification societies. Demand for LNG carriers with increased capacity requires further development of the design technology for LNG cargo tanks to meet the safety requirements due to the larger size LNG tanks…
동해 울릉분지 해수의 탄산염계 (총용존무기탄소-총알칼리도)에 관한 연구
동해 울릉분지 해수의 탄산염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4년도와 2015년도 한국-러시아 공동 조사 자료와 2017년 HY2000, 2018년 NARA 조사 자료 중 TA와 DIC 자료를 분석하였다. 염분과 강물 TA로 정규화한 nTAeS로 그린 울릉분지 Deffeyes diagram은 세 수심 구간에서 뚜렷하게 구분되는 분포 유형이 나타났다: 1) 상부 100 m 이내에서는 대기-해양 기체 교환이 우세하여 대기 이산화탄소의 유입이 주도하였고, 2) 100 m - 500 m 구간에서는 호흡에 따라 DIC가 일방적으로 증가하였으며, 3) 500 m보다 깊은 수층에서는 TA를 증가시키는 탄산칼슘의 용해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략 500 m 수심을 경계로 상층은 유기탄소(유기물)의 분해가, 심층은 상층보다 무기탄소(탄산칼슘)의 용해가 주도하는 환경으로 바뀌는데 이처럼 확연히 바뀌는 양상은 대양의 분포와 크게 달랐다. 이는 울릉분지의 해수 순환과 탄소의 생지화학적 순환이 대양에 비해 시공간 규모가 크게 다른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산화탄소 침투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하는 염기성인 탄산 이온의 농도는 울릉분지 전층에서 대양에 비해 훨씬 낮으며 심층의 TA 농도 또한 대양보다 낮았다. 이는 울릉분지 해수가 특히 심층이 해양산성화에 민감(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울릉분지 해수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은 머지않아 고갈될 것이며 지금과는 달리 대기에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상태로 역전될 가능성도 있다. 이 연구는 축소판 해양인 동해로 보건대 알칼리도의 추가적인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해양의 인류 기원 이산화탄소 흡수가 현재 수준으로 지속되기 어려우며 중,심층 해양의 산성화 또한 심각한 환경 문제로 떠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외국인근로자 고용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고용허가제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근로자 고용 등에 관한 법률』 하에서 도입된 고용허가제도를 다양한 문헌분석을 통해 제도와 그 하위요인의 변화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적·제도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고용허가제도의 정책변화를 시간의 흐름과 외부에서 발생하는 외부요인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정책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을 통해, 산업연수생제도의 폐지, 고용허가제도 도입 및 정착, 제도의 기본방향 중 특히 정주화 방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허가제의 도입기(1994~2004)에 대한 분석결과, 이 시기에서는 『외국인근로자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공포됨에 따라 산업연수생제도에서 고용허가제도로 제도가 일원화됨을 확인하였다. 노동법 미적용의 폐해와 같은 ‘사회의제’가 네팔연수생 농성사건으로 인해 ‘공중의제화’되고, 집권정당의 교체, 국제기구 압박 등의 외부요인으로 인해 ‘정부의제화’되어 결과적으로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고용허가제도를 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고용허가제의 성숙기(2005~2012)에 대한 분석결과, 국내산업구조의 다변화, 고용 양극화현상 심화 등의 요인과 함께, 사용자-외국인근로자의 이해관계가 일치됨으로써 고용허가제도가 본격적으로 정착될 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특별한국어시험제도, 성실근로자 재입국 특례제도 등이 신설·확대됨으로써 고용허가제도 기본방향인 단기순환의 견지가 완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용허가제도 전환기(2013~현재)의 경우, 단기순환의 완화조치라고 할 수 있는 각종 체류자격변경제도가 확대되는 확대기로 볼 수 있는데, 이 시기에는 국내노동시장의 숙련기능인력에 대한 수요증가와 노동수요의 질적변화 요인으로 인해 고용허가제도가 전환을 맞게 된 시기였다. 따라서 각종 제도와 정책이 개정되었던 성숙기와는 달리, 국내노동시장의 질적수요 변화에 조응하여 고용허가제도가 외국인근로자 체류자격변경제도 및 숙련기능인력 공급확대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정주화 방지정책 완화의 필요성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고용허가제도의 도입기에서는 외국인근로자 고용문제가 ‘공중의제화’되면서 정부 주도의 고용허가제도로 도입되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성숙기에서는 고용허가제도가 확대·정착되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환기를 통하여 외국인근로자 체류자격변경과 숙련기능인력 공급확대 수요증가 등의 변화의 흐름을 통해 정주화 방지 완화정책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시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으로는 먼저, 단기순환의 견지에서는, 정부의 다양한 지표개발과 외국인력운영제도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외국인력 도입에 따른 행정비용 및 사회적 비용의 부담 주체에 대한 비용부담장치 고려의 필요성과 고용허가제도 및 관계 법률 개선의 필요성을 모색하였다. 정주화 방지 완화의 견지에서는, 국내노동수요 중 영세 중·소기업에 있어서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외국인력 공급체계의 다변화 전략 내지 투 트랙(two-track)의 이원화 전략인 ‘선별적 정주화’를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고려사항은 앞으로의 정주화정책을 이행할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혈청학적 면역반응 분석 및 나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세포독성평가
혈청 내 존재하는 면역 글로불린 G (IgG)는 만성 염증 혹은 식품 과민증의 바이오 마커로써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혈청학적 면역검사를 위한 현재 접근 방식들은 많은 양의 혈청 샘플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중 혈청학적 IgG 측정에 적합하지 않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 마이크로어레이가 있다.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면 적은 양의 혈청으로 대량 분석이 한 번에 가능하므로 신속하게 혈청 내 적은 양의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66 개의 식품 항원을 고정하여 마이크로어레이를 준비하고 식이 정보가 제공된 30 명의 피험자로부터 혈청의 특정 IgG (sIgG)를 검출하였다. 피험자의 식이 패턴과 관련하여 sIgG 수준을 분석한 결과, 우리는 더 자주 섭취하는 식품군, 음식 과민증을 유발하는 식품군, 매운 음식의 중간 IgG 수치가 다른 식품군보다 높음을 확인했다. 또한 알러지 환자의 IgE는 IgG 혹은 IgG4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생활 습관과 Aryl hydrocarbon receptor(AhR) SNP의 유전자 변이 유형에 따른 염증반응 차이도 IgG 측정을 통해 관찰하였다.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AhR 유전자 변이 중 TT형을 가지는 동시에 비만이거나 음주 혹은 흡연을 하는 경우에서만 IgG 값이 증가하였다. 이는 생활 습관에 따라 염증반응을 제어 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여 혈청학적 IgG를 검출한 것은 개개인의 면역 매개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었고, 이는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쉬운 접근법으로써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금 나노입자는 의·생명공학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는 나노신소재이다. 금 나노입자는 그 자체 혹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다른 특성을 가지는 소재로 가공 되어지고, 그에 따른 인체에 대한 영향력 또한 다양해져 여러 독성이 예상된다. 응용되는 부분은 증가되고 있지만 그에 비해 독성에 대한 기준은 모호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우리는 금 나노입자의 표면특성에 따른 독성을 관찰하였다. 이전 연구에서는 여러 리간드를 통해 개질된 금 나노입자의 표면특성에 따른 독성을 보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리간드와 금 나노입자 사이를 도파민을 도입하여 더 견고하게 결합시킨 경우 혹은 같은 리간드 조건에서 다른 코어인 경우 독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HeLa와 HUVEC 두 종류의 세포에서 비교 관찰하였다. 금 나노입자 표면에 리간드를 견고하게 하여 두 세포들에 노출시켰을 때 MTT assay를 통해 독성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와 동일하게 양이온 전하와 함께 소수성기 부분이 함께 있으면 독성이 나타났다. 또한 음이온 전하와 소수성기가 함께 있는 금플래티늄 코어에서도 독성이 관찰되었다. 독성을 일으키는 두 조건의 시료의 세포에서 기작을 알아보고자 트립판블루 어세이를 진행하였다. 양이온성 전하와 소수성기가 있는 리간드와 반대로 음이온성 전하와 소수성기가 있는 리간드에 금플래티늄 나노입자에 의한 세포막 손상은 관찰할 수 없었다. 이는 코어 차이와 표면특성에 의해 생긴 독성으로 어떠한 기작에 의한 것인지 계속 연구가 진행 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런 연구를 통하여 나노 기술 분야에 있어서 나노입자의 종류뿐만 아니라 결합 방식, 표면 특성 등 차이에 의한 영향력을 이해하는데 보탬이 됨으로 나노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최근 암의 치료적 기법으로 종양 미세환경을 표적으로 암을 치료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있다. 대식세포는 암이 발병되는 종양미세환경에서 특이적으로 분화하여 병증을 악화 또는 완화 시키는 이중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미토콘드리아 시트르산 회로의 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2 (IDH2) 결손이 있는 마우스에서 종양의 성장이 감소하는 원인을 대식세포 분극과 관련성을 두어 알아보고자 한다. 암세포와 공동배양한 IDH2 결핍 대식세포는 미토콘드리아 장애를 유도하여 산화적인산화 반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분열을 유도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IDH2 결핍 대식세포에서 M2 분극화와 관련있는 항염증성 인자가 감소하였으며, M2 대식세포 마커인 Arg1, p-STAT3, p-AMPK도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대식세포에서 IDH2의 결핍이 M1와 유사한 대식세포 양극화를 유발하여 암 성장을 억제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ecently, as a therapeutic technique for cancer, research to treat cancer by targeting the tumor microenvironment is being actively conducted. Macrophages have a dual function of specifically differentiating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where cancer develops, exacerbating or alleviating the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reduced tumor growth in mice with Isocitrate Dehydrogenase 2 (IDH2) deficiency, which is responsible for a part of the mitochondrial TCA cycle, in relation to macrophage polarization. It was confirmed that IDH2-deficient macrophages co-cultured with cancer cells induce mitochondrial dysfunction, thereby reducing oxidative oxidation, and confirming the tendency to induce mitochondrial division. In addition, anti-inflammatory factors related to M2 polarization decreased in IDH2-deficient macrophag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2 macrophage markers Arg1, p-STAT3, and p-AMPK also tend to decrease. We confirmed that IDH2 deficiency in macrophages could inhibit cancer growth by inducing M1-like macrophage polarization.
산(山)의 이미지를 응용한 현대 조형가구 디자인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조형 가구의 경향은 실용성을 배제하고 초현실적인 조형성에 치우친 작품들이 많이 눈에 띈다. 물론 조형세계란 새롭고 창의적인 것이어야 함은 물론 인간의 정서 함양을 위한 품격 높은 예술적인 가치를 구현하는데 집중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조형 가구는 작가의 생의 족적으로서 한 시대의 미감을 반영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조형세계를 완성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본 작품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제기를 통하여 현대 생활 공간에서 조형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해결하면서도 향후 지속적으로 작품 연구의 효용성과 가치 추구에 손색이 없는 주제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한국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조형미를 지닌 조형 가구디자인 연구가 계속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연구의 방법은 산을 주제로 한 문화 예술 분야의 선행연구 및 참고문헌을 조사하였으며, 산의 조형적 표현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한국 고전 예술작품에 나타난 산의 조형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현대의 회화, 조각, 공예, 가구 네 분야에서 산을 주제로 한 작품 이미지를 각 분야별로 수집 하여 이미지 맵 자료 분석틀을 통해 그 안에 표현된 산의 형태에 대한 조형성을 조사·분석하고 작품에 적용 된 산의 형상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조형 가구의 작품 제작 트렌드가 현 시대의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그 동향을 조사 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이론 연구의 전체를 종합하여 논문에서 연구된 산의 조형성을 작품 디자인에 적용시켜 조형적 타겟을 설정하고 디자인 컨셉 도출 및 방향을 설정해 도면을 작성하였으며, 최종 결과물을 제작하여 한국의 산의 조형 이미지를 활용한 조형가구 디자인 모델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서 얻게 된 결론은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첫째, 산은 인간 생활의 정서를 윤택하게 하는 활력소로 누구에게나 미적 요소를 충족시켜 주는 대상이 될 뿐만 아니라 예술의 소재로도 끊임없이 다루어 지고 있는 소재였다. 산의 생명 근원의 의미와 형태상에서 보여지는 환상적이고 조화로운 아름다움과 기이함 및 웅대함은 작품 제작에 요구되는 조형적 구상을 위한 미적 가치가 높다고 사료 되었다. 둘째, 한국 미술의 전반에 흐르는 조형적 미(美)와 한국인의 자연관 형성에는 문화적, 사상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역사적 고증을 통하여 한국 산의 상징성, 조형성 및 색의 특성과 산과 한국인의 조형의식, 자연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현대 조형가구 작품 제작의 배경이 형성되었다. 셋째, 전통적으로 한국인이 자연을 바라보고 대하였던 본질적 정신세계를 작품에 담아내면서도 역사적으로 우리나라 회화, 조각, 공예품 등에 적용되었던 산(山)의 조형적 이미지 맵 조사 분석을 통해서 작품 제작의 모티브와 디자인 컨셉 도출 및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넷째, 모티브인‘산(山)’과 디자인 컨셉인‘장면(scene)’에 의해, 가시적인 피사체의 객관적 외형을 담아내는 것이 아니라, 산이 가지고 있는 생명의 기운, 산을 형성하고 존재하게 하는 힘, 그리고 산이 품고 있는 자연의 근원을 스토리 텔링화 하여 다양한 기능과 조형성을 동시에 담아내었으며, 자연과의 대화를 통한 창작 과정이 있는 조형 가구 작품구상을 통해서 연구자에게 심리적이고 주관적인 더 의미 깊은 산을 구상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산의 조형 작가로서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다. 다섯째, 한국미의 세계시장에서의 고부가가치 창출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한국의 고대 예술품에 표현된 삼산형 산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현대의 공간에 어울리는 가구 작품을 도출해내는 과정을 논문 안에서 기술함으로써 한국적 디자인의 현대화를 위한 개발 방법론 및 사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와같이 한국인의 조형관을 바탕으로 한국의 우수한 조형요소를 작품에 응용한 다양한 작품 개발과 연구가 후에도 이어져 창의적인 연구 및 작품세계가 이어지기를 기대 한다. In the recent trend of art furniture, many works that exclude practicality and lean toward surreal forms can be noticed. Of course, the formative world should not only be new and creative but should also be focused on realizing high-quality artistic values for cultivating human emotions. Therefore, art furniture is the footprints of artists lives and tends to reflect the aesthetic sense of an era. And ultimately, it can also be seen as completing a new formative world that did not exist before. This study hopes that the topic can solve both formativeness and practicality issues in the modern living space and is suitable for the pursuit of utility and value in future research. The study was also carried out with the hope that research on art furniture design with Korean and modern aesthetics would continue to be conducted. A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and referenc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with the theme of mountains were investigated,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ountains in Korean classical artwork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formative expression of mountains. In addition, images of mountain-themed works were collected in each of the four fields of contemporary painting, sculpture, craftwork, and furniture, and through the image map data analysis frame, the formativeness of the shape of the mountain expressed therein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applied to the work. Then, the direction was set for the shape of the mountain applied to the work. In addition,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terms of how the trends of art furniture works creation are changing i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present age. Finally, by synthesizing all of the previous theoretical studies, the formativeness of the mountain studied in the thesis was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work to set the formative target. Then, the design concept and direction were set and created as a drawing. The final work was created and presented as an art furniture design model that applied the formative image of Korean mountain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untains are a vital element that enriches the emotions of human life and is not only an object that satisfies aesthetic elements for everyone, but also a material that is constantly being used as a subject for art. The fantastic and harmonious beauty, bizarreness, and grandeur shown in the meaning and form of the mountain as a life source waw considered to have high aesthetic value for the formative design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work. Second, it was found that cultural, ide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cted in a complex way in the formation of the formative beauty that flows throughout Korean art and the Koreans' view of nature.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re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bolism, formativeness,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mountains, the formative consciousness of Koreans, and the view of nature through historical research,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er's modern art furniture work was formed. Third, the motif, design concept, and direction of the art production were set by capturing the essential spiritual world that Koreans traditionally viewed and dealt with in nature, and tho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formative image map of mountains that have been historically applied to Korean paintings, sculptures, and antiques. Fourth, using the motive “mountains” and the design concept “scene,” the work does not capture just the objective appearance of a visible subject, but by the storytelling the energy of life that the mountains have, the power to form and maintain.and the source of nature that mountains have, it was made to contain various functions and formativeness at the same time. Also, through designing an art furniture work that has a creative process through a dialogue with nature, it became an opportunity for the researcher to envision a more psychological, subjective, and meaningful mountain and progress as a formative artist of mountains. Fifth, in order to create high added value and secure competitiveness of Korean beauty in the global market, the three peaks-type mountains expressed in ancient Korean artworks wer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to derive furniture pieces suitable for modern spaces and this process was described in the thesis. With this, the development methodology and examples for the modernization of Korean design could be presented. In this way, it is expected that creative research and the world of works will continue through continuous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works that apply Korea's excellent formative elements to works based on the Korean view of forma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nstituting factors and elements of team leaders'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in corporations, define their concepts and develop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competen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one was "What are team leaders'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in corporations?" and second one was "Is the measurement scale for team leaders'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in corporations valid?" This study acquired basic concepts of competencies from Delphi survey methods which predicts future through intuition of professional panels and draws out their consensus. Through literature review, study drew out 7 constituting factors and 64 elements of team leaders'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in corporations and conducted Delphi surveys 3 times. In order to collect diverse opinions,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with semi-structured and open-ended questions while the third one analyzed CVR values of 37 constituting elements and finally drew out 4 constituting factors and 35 elements.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if these concepts are suitable to be used in corporate organizations, study also performed questionnaire survey on 40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The concepts of each constituting factor and element modified and complemented through these processes were developed into 97 measuring questions for team members (subordinates) as examinees. A total of 725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into sample 1 with 413 subjects and sample 2 with 312 subjects, for which basic ques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both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As the result of study, for team leaders'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in corporations, 3 constituting factors of career coaching value, relationship manage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and 22 constituting elements were drawn out as measuring questions. First, career coaching value factor explains the belief that human beings should recognize differences of others and are the beings capable of growth with the help of other people, and the coaching which facilitates this growth is useful to human life. This becomes the standard for value judgments of a coach who can successfully perform career coaching and was developed into a total of 5 measuring questions with confidence, respect for diversity, sense of coaching mission, conviction of usefulness and belief in human growth as its sub-elements. Second, relationship management factor explains proper communication skills and coach's core competencies to form relationship of trust. It includes listening skills(empathy), questioning skills, genuineness(trust), closeness(creating atmosphere, flexibility), control and balance and observance of coaching ethics as sub-elements and a total of 8 questions were drawn out. Third, performance management factor is the one which promotes a team leader to induce team members(subordinates)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set goals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execute them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In addition, it creates environments for continuous care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manages time and provides opportunities. It includes time management, facilitation of self-reflection and goal-setting, management of career change, career insight, systematic thinking,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bility to acquire career developing information and mentoring as its sub-elements and was developed into a total of 9 questions. With these processes, 3 constituting factors and 22 sub-elements drawn out were developed into a measurement scales with reliability, construct and content validity through Delphi survey, ques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measurement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work as a guide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o develop cultivate competencies when the team leaders support and promote members' career development in corporate organizations. This measurement scale could also work as indices with which team leaders examine and assess their own levels of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and thus render help for life-long learning of individuals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and studies which explore the effect and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의 구성요인과 요소를 도출하여 개념을 구명하고, 역량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 측정도구는 타당한가? 이다. 문헌고찰을 통해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을 7개 구성요인 64개 구성요소로 도출하고 전문가 패널의 직관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여 합의를 도출하는 델파이 조사방법으로 기초 개념을 구명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3회를 실시하였는데 다양한 의견 수렴을 위해 1, 2회는 반구조적 질문과 개방형 질문으로 진행하고, 마지막 3회 델파이 조사는 37개 구성요소에 대해 CVR 값을 분석하여 최종 4개 구성요인, 35개 구성요소로 도출하였다. 또한 그러한 개념이 기업조직에서 활용되기에 적합한지 점검하기 위해 기업체 팀장과 팀원 40명에게 설문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정·보완 된 각 구성요인과 구성요소의 개념은 팀원(부하)을 수검자로 하는 97개의 측정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총 725명의 설문자료를 413명의 표집 1과 312명의 표집 2로 구분하여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초문항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은 커리어코칭가치 이해, 관계관리, 성과관리의 3개 구성요인 22개 측정문항으로 구안되었다. 첫째, 커리어코칭가치 이해 요인은 인간은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누군가의 도움으로 성장 가능한 존재이며, 이러한 성장을 촉진하는 코칭은 인간 삶에 유용하다는 신념을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기업체 팀장이 커리어코칭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며, 자신감, 다양성 존중, 코칭 사명감, 코칭 유용성 확신, 인간 성장에 대한 믿음을 하위요소로 하여 총 5개의 측정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관계관리 요인은 적절한 의사소통 능력과 신뢰관계형성을 위해 기업체 팀장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설명하고 있다. 그 하위요소로는 경청 스킬(공감), 질문 스킬, 진정성(신뢰), 친밀성(분위기 조성, 유연성), 조절과 균형, 코칭윤리 준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총 8 문항으로 구안되었다. 셋째, 성과관리 요인은 팀장이 팀원(부하)의 커리어개발을 위해 스스로 성찰하여 목표를 수립하도록 지원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실행하도록 촉진하는 요인이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커리어개발과 관리를 위해 환경을 조성하고 시간을 관리하며 기회를 제공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 하위요소로는 시간관리, 자아성찰촉진, 목표설정촉진, 커리어변화관리, 커리어통찰력, 시스템적 사고, 일과 삶의 균형, 커리어개발정보력, 멘토링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며 모두 9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이로써 3개 구성요인 22개 하위요소는 델파이 조사,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내용 및 구성타당도를 확보한 측정도구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측정도구는 기업체 팀장이 기업조직에서 구성원의 커리어개발을 지원하고 촉진하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역량개발을 위한 인적자원개발(HRD)의 길잡이가 될 것이다. 이것은 실제 팀장이 자신의 커리어코칭 역량 수준을 탐색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되어 개인의 평생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며, 역량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다른 변인과의 영향관계를 탐색하는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