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저학년 인성교육을 위한 동요 지도방안 연구

        김소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인성이 강조되어왔다. 인성이 강조되는 사회에서 어린이들은 자신보다 남을 먼저 생각할 줄 알고, 타인에게 예의를 갖출 줄 아는 사람으로 자라게 되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자라나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인성 상태가 심각한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특히 학교폭력과 관련된 법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다방면으로 급속한 발달을 이루는 시기인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인성교육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의 한 방법으로 올바른 사고와 가치관을 길러줄 수 있는 동요를 선택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계획하고 수업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동요 지도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바른 인성을 길러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동요는 2000년도부터 2010년까지 MBC 창작동요제의 입상곡 중 가족, 친구, 본인이라는 항목에 따라서 선택하였고, 선택된 곡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인성요소를 추출하여 그에 맞게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동요 지도는 서울시에 위치한 OO초등학교의 돌봄교실에서 10주간 진행되었으며. 10주간의 과정 전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동요 지도가 인성교육에 어떠한 효과를 보였는지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는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가족, 친구, 본인이라는 각 항목에 따라서 나누어진 인성요소에 맞춘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생들이 6개의 답변 중 하나를 고르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답변은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전과 사후의 비교를 위하여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실행한 동요 지도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위한 인성교육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Character has been emphasized traditionally in Korea. In a society where character is stressed, children have been cultivated as the persons who are able to think others first before themselves and be courteous to other people. However, the personality of children and teenagers growing up in modern society is exceeding a serious level. In particular, laws related to school violence are becoming stricter. Therefore,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mandatory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ho are in a period of rapid development in many ways. In this study, children’s song is chosen as a way of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foster upright thinking and values and the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is prepared and applied to the cla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ster the upright character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children’s song teaching. The songs were selected from the prize-winning songs of the MBC Creative Children Song in Korea from 2000 to 2010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family, friend and oneself, from which the personality factors that can be found were extracted, and the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was developed accordingly. The children’s song teaching was implemented for 10 weeks in the Care Class of OO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Before and after the 10-week course, surveys were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children’s song teaching had an effect on character education. The surveys were implemented by being divided into ex-ante survey and ex-post survey. The contents of the surveys consist of questions tailored to personality factors which were divided according to each category of family, friend and oneself, and students were asked to choose one of the six answers. The students' answe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 program,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for comparison between the ex-ante survey and ex-post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limitation and improvement of this study are presented. The author hopes that the children’s song teaching implemented through this study will help in character education for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에서의 유아 리더십 발현양상

        김소리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한 세계화, 정보화와 같은 급속한 사회의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서 각 개인이 사회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갖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유아기 리더십에 관해 연구한 Mitchell(1997)은 리더십이 유아기에 뿌리를 둔 정서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일차적으로 독특한 개인적 관계와 경험을 통하여 발달한다고 하였다. 또한 리더십은 지식습득과 실제 상황에서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필요로 한다고 하며 유아기 리더십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즉 유아는 또래와의 놀이 상황에서 상호작용 경험을 통하여 리더십 기술을 습득하며, 다른 사람과 더불어서 살아가기 위한 대인관계 능력을 길러 사회적 관계를 성공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유아의 리더십 증진 방안의 일환으로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이 자유선택활동과 비교하였을 때 유아의 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 집단과 자유선택활동 집단 간 처치회기에 따라 리더십의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 집단과 자유선택활동 집단 간 리더십의 발현양상은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 4세 유아 15명에게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을 적용하였고,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 4세 유아 15명에게 자유선택활동을 적용하였다. 유아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경현(2007)의 AF분석법과 리더십 구성요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과 자유선택활동에 따른 유아의 리더십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2주간의 예비연구를 거쳐 2014년 11월 24일부터 2015년 3월 6일까지 총 16주간 실험처치와 더불어 3회기에 걸쳐 반복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과 자유선택활동에서 처치회기에 따른 유아의 리더십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3회기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는데, 방법으로는 Scheffé검증을 사용하였다. 부가하여 유아의 리더십 발현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단일대상 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나는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 집단과 자유선택활동 집단 간 처치회기에 따른 유아 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자유선택활동보다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 집단의 유아 리더십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 집단과 자유선택활동 집단 간 처치회기에 따른 유아 리더십의 하위요인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자유선택활동 보다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 집단에서 리더십 하위요소 통솔력, 목표달성, 인간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하위요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구매자-사용자 불일치 구매의도 모델에 관한 연구

        김소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marketing, a consumer, the subject of the exchange, is considerably important. Therefore, marketing researchers have applied a lot of sociology and psychology theories to consumer behavior models to explain their behavior. Most of the theoretical consumer behavior frameworks have not distinguished buyer from user, however there are plenty of cases that buyer and user is not the same person in actuality. As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alternative model which is conducted under conditions that the buyer is isolated from user, this research is progressed dividing into two parts; Study 1 and 2. Study 1 is consisted of 3 hypotheses. Hypothesis 1 is for demonstrating alternative model, 'Buyer-User Disconfirmation Behavior Intention Model', and the model is as follows. ◁수식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Goodness-of-Fit of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so satisfied, that we can find BI (Behavior Intention) is affected by AB (Attitude toward Behavior), PUAB (Perceived User Attitude toward Behavior), SN (Subject Norm) and PBC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AB is influenced by PUAB. Hypothesis 2 is that 'Buyer-User Disconfirmation Behavior Intention Model' is more predictive one than Fishbein and Ajzen's TRA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Ajzen's 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is situati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alternative model is more suitable than existing consumer behavior models. In testing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 Confidence, we analyze Hypothesis 3. As suggested, Attitude Confidenc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AB and BI, but no moderating effect is found between PUAB and BI. So when consumer's attitude affects his/her Behavior, the confidence of his/her attitude mediates the relations. Study 2 is comprised of Proposition 1 and 2. Proposition 1 deals with the differences of variables of this research whether user spends a product private or public. According to the analysis, buyers estimate BI and PBC similarly under the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AB and SN are evaluated high in case of buying a private product, and PUAB is assessed high at buying a public product. Finally, Proposition 2 is for testing the differences of variables according to the advertising model's type. The consequence of this analysis, the difference of variables is finding only PUAB, so when the image of advertising model is matched with user's image, PUAB is more positive. Remarkable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previous models account for considerable proportion in consumer behavior, this study extends the domain of consumer behavioral work, by focussing on the purchase situation when a buyer is separated from a user. Second, the proposition model is not only proper to esteem consumer behavior, but also should lay the foundations of a more sophisticated behavioral model by supplementing new useful predictor, PUAB, and direct path from PUAB to AB. Finally, when some product is used not from buyer,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should assist marketers more comprehensive in forecasting various effect factors. 마케팅 분야에 있어서 소비자는 교환의 주체로서 매우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사회학이나 심리학의 이론들을 이용하여 많은 모델들을 발전시켜왔다. 기존의 소비자 행동 연구는 구매자와 사용자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구매자의 구매의도를 연구한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구매자와 사용자가 일치하지 않는 구매행위를 빈번히 발견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사용자와 구매자가 불일치하는 상황에서의 소비자 행동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의 필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실증연구 1과 2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실증 연구 1은 총 3개의 가설로 구성되었으며, 가설 1은 사용자와 구매자가 일치하지 않는 구매 상황에서 연구자의 제안모델인 ‘구매자-사용자 불일치 구매의도 모델’이 적합한 모델임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자의 제안모델은 다음과 같다. ◁수식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실증 분석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이 모든 적합도 수준을 만족하여, 구매의도(BI)는 그 행동에 대한 구매자의 태도(AB)와 사용자가 구매행동을 어떻게 받아들일지에 대한 구매자의 지각(PUAB)과 사용자를 제외한 주변사람들의 반응(SN), 그리고 행동에 대한 지각된 조절 가능성(PBC)에 양(+)의 영향을 받으며, 행동에 대한 구매자의 태도(AB)는 사용자가 구매자의 행동을 어떻게 받아들일지에 대한 구매자의 지각(PUAB)에 양(+)의 영향을 받는다. 가설 2는 ‘구매자-사용자 불일치 구매의도 모델’과 기존 소비자 행동 모델을 비교한 것으로, 분석 결과 사용자와 구매자가 불일치하는 구매 상황에서의 구매 의도를 예측하는 데에는 제안모델이 Fishbein과 Ajzen의 합리적 행동 이론이나 Ajzen의 계획된 행동 이론보다 해당 상황을 더 적합한 모델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가설 3은 태도에 대한 자신감이 ‘행동에 대한 구매자의 태도(AB)가 구매의도(BI)에 미치는 영향(가설 3-1)’과 ‘지각된 사용자 태도(PUAB)가 구매의도(BI)에 미치는 영향(가설 3-2)’에 조절변수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으로 가설 3-1은 지지되었지만, 가설 3-2는 기각되어 태도에 대한 자신감은 행동에 대한 구매자의 태도(AB)가 구매의도(BI)에 미치는 영향에는 조절적 역할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실증연구 2는 연구문제 1과 2로 구성되었으며, 연구문제 1은 사용자가 해당 제품을 공적으로 사용하는지, 사적으로 사용하는지에 따른 측정변수들이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 결과 구매자는 사용자가 제품을 공적이나 사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관계없이 구매의도(BI)와 지각된 행동 통제(PBC)를 비슷하게 평가하였으나, 행동에 대한 태도(AB)와 주관적 규범(SN)의 경우에는 사적인 제품을 구매하는 것에 대해 더 높이 평가하였고, 지각된 사용자 태도(PUAB)는 공적인 제품을 구입할 때 더 높이 평가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문제 2는 광고의 표현방식에 따라, 구매자와 사용자가 다른 상황의 구매행동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것으로, 분석결과 광고모델에 따른 차이는 지각된 사용자 태도(PUAB)에 있어서만 발견되어, 광고모델이 사용자와 일치할 때에 지각된 사용자 태도가 더 긍정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구매자와 사용자가 일치하지 않는 구매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 된 것으로, 기존 소비자행동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영역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했다는 데에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제안모델은 구매자와 사용자가 일치하지 않는 구매상황을 예측하는 데에 적합한 모델일 뿐만 아니라, 지각된 사용자 태도(PUAB)라는 새로운 변수를 모델에 포함시켜 소비자 행동 모델을 더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했다고 생각한다. 셋째, 마케터가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을 잘 예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 A study on Venetian Games (1960-61) by Witold Lutoslawski

        김소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is about Venetian Games written by Witold Lutoslawski in 1960-61 and focuses on the general analysis of the piece. Venetian Games, composed of four movements, is the pivotal work as transitional and composer’s musical development. After being influenced from American composer John Cage’s work Concert for Piano and Orchestra (1957-58), this work is important because Lutoslawski used aleatory techniques first time. However, unlike the Cage’s “indeterminate” music, the composer utilized “limited aleatory” into his work, Venetian Games. On the controlled material of the way to play, harmony, rhythm and dynamics, the composer intends to sound “aleatory”, which is came from the freedom of playing (ad libitum). From this stand point, this work has the significant role of contemporary music history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early 21st century. Thus, this thesis centers on two critical points. First, focusing the sound organization, the paper studies the timbre, rhythm and harmony. Moreover,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each movement is also going to be examined. This work, with four movements, processes with mostly contrasting features. Each orchestration group represents the contrasting features between the texture, timbre, harmony and register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all four movements commonly. Therefore, the paper is demonstrating that each movement connects organically.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work, this article also studies how Lutoslawksi used the limited aleatorism into his work. Furthermore, in focusing on Lutoslawski’s and Cage’s “chance music”, the dissimilarities between two composers are provided in the aleatory techniques, feature of notation, and musical effectiveness aspects. Therefore, this thesis demonstrates the sound organization and aleatory technique in Venetian Games. The composer uses his new musical language into the work and this influences other composers later. In his composition, each instrument makes their own harmony horizontally, and when merged, each instrumental group creates its own pitch collection. Through this sound organization, the composer intends to make the aleatory counterpoi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reover, the performer play ad libitum within the controlled circumstances, so that the work is able to create “limited aleatory”, thus resulting the notational change of Lutoslawski’s work. 본 논문은 비톨드 루토슬라브스키 (Witold Lutoslawski)의 관현악곡 “베네치안 게임 (Venetian Games, 1960-61)”에 관한 연구이다. 민속 음악 (folk music)에 영항을 받은 그의 이전 시기의 작품들과 달리, “베네치안 게임”을 계기로 하여 그는 자신의 음악 어법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과도기를 맞이하게 된다. 미국 작곡가 존 케이지 (John Cage)의 작품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콘서트 (Concert for Piano and Orchestra, 1957-58)”의 영향을 받은 루토슬라브스키는 이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우연성 기법 (aleatory technique)’을 작품 안에 도입하였으며, 그의 후기에 이 기법을 더욱 발전시켰다. 루토슬라브스키의 우연성 음악 기법을 연구함에 있어,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것은 케이지가 사용한 우연성의 기법과 달리 ‘제한된 알레아 기법 (limited aleatory technique)’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그래픽적인 요소를 악보에 도입하여 연주자의 주관적인 해석을 통한 우연성을 이끌어낸 케이지와 달리, 루토슬라브스키는 음구조, 리듬, 다이내믹, 연주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주어진 틀 안에서 ‘연주의 자유 (ad libitum)’를 연주자에게 부여하여 그 안에서 나타나는 우연성을 추구하였다. 이와 같이, 우연성 기법을 작곡가의 독자적인 방법으로 발전시킨 점과 악곡 내에 제시된 독창적인 음구조의 사용이 이 작품의 주된 특징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위의 두 가지 특징을 착안하여 다음의 두 가지 주요한 목적을 가진다. 첫째, 음 구조 (sound organization)를 중심으로 하여 작품에 나타난 음악적 색채, 리듬, 화음도 함께 연구하여, 작품 전체의 구조와 각 악장별 세부사항을 고찰한다. 각 악장을 분석함에 있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다양한 편성을 가진 악기 그룹간의 ‘대조’이다. 음색의 대조, 다양한 편성으로 구성된 악기 그룹간의 대조, 화음의 대조, 음역의 대조 등이 나타난다. 1악장은 우연적인 요소가 사용된 악기의 그룹과 전통적인 음악 요소가 사용된 나머지 그룹의 대조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화음도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음 구성이 나타난다. 2악장에서는 전통적인 박절의 진행 안에서 현악기군과 나머지 오케스트라 그룹의 대조적인 텍스처, 리듬의 진행이 보인다. 3악장의 독주악기와 이에 따른 오케스트라 반주의 대조,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독주악기의 진행 안에서 오케스트라의 대위적인 우연성 기법 등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사용된다. 마지막 4악장에서는 앞의 3개의 악장에서 나타난 각 악기군의 텍스처, 박자(tempo), 리듬, 화음 등의 대조가 함축되어 있으나, 이전의 악장들과는 달리 더욱 발전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요소를 특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작곡가는 독창적인 기보법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전체 4개의 악장에서 나타나는 주제적 요소, 화음, 우연성 기법, 리듬 등을 통해 각 악장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제한된 알레아 기법’의 특징과 이 작품에 사용된 방법론을 연구한다. 루토슬라브스키의 알레아 기법을 고찰하기 위하여, 이 기법에 영감을 준 케이지의 ‘우연성 음악’을 선행연구로 분석하여 두 작곡가의 ‘우연성 기법’간의 차이점 또한 연구한다. 케이지는 작곡가가 일정하게 제시된 모호한 기보법 안에서 간략한 연주 방법을 부여하여, 연주자로 하여금 그만의 독자적이고 주관적인 연주가 나올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반연에 루토슬라브스키는 작곡가가 정확한 악보 안에서 연주자에게 자유를 주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통제된 요소 안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을 채택하여 예상 가능한 결과를 얻고자하는 ‘제한된 알레아 기법’을 사용하였다. 서로 다른 우연성 기법의 특징이 나타나는 두 작품의 분석을 통해, 작곡가들이 이러한 양식을 표현하기위해 사용한 기보법적 특징과 각각의 효율성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그러므로 이 작품에 사용된 음 구조와 알레아 기법을 고찰함에 따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각 악기들은 수평적으로 독자적인 화음을 만들어 나가며 나아가 악기의 그룹이 모였을 때 이루어지는 음 구성을 통해, 작곡가는 수직적, 수평적인 대위법적 우연성 음악(aleatory counterpoint)을 만들고자 하였다. 또한 통제되어있는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 안에서, 연주의 자유로움을 부여하여 그 안에서 새롭게 창출되는 미시적, 거시적 움직임의 ‘우연성’을 강조하였다. 전통적인 방식과 새로운 방식의 두 가지 기보법이 그의 작품 안에서 공존하며,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하여 '단편적인 악보의 형태(cut-out score)'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20세기 말, 21세기 초 현대음악사에서 이 작품이 지닌 의미는 새로운 기보법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그 만의 독창적인 방법으로 ‘제한된 알레아 음악’을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 아동극에서 배우와 관객의 상호작용 연구 : 관객의 능동적 반응을 수용하는 것을 중심으로

        김소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atre for Young People(TYP) is a unique genre of performing arts in which is required of actors to be equipped with the appropriate style of acting based on characteristics of its audience - children. Most actors, however, have the attitude: "I'll do theatre for young people while I'm waiting for my big break in REAL theatre." Thus, their acting often "fall into" being childish or exaggerated, and when encountering active (or rather unexpected) responses from child audience adult actors lose concentration, drop character, and eventually lose the audience. These are all the result of inappropriate understanding about child audience. If it is right to say that performances emerge out of the spatial, temporal, and physical encounters of actors and spectators, then actors should understand those active attributes of child audience and consider how to adopt their active responses into performance. Adult actors should be aware that the children play an integral part in performance. With their own actions they have a considerable say in deciding the course of events. Because of the active attributes the response from child audience often come out in different form from what the playwright or director has intended. That is what we call 'unexpected response' and it's been regarded as an obstacle. Those 'unexpected responses' are, however, the very signals that the child audience are much interested in what's on stage and so they want to communicate with actor(s). Throughout the performance, children keep going in and out of the performance and reality, and their active response is nothing but a creative act for the performance. The encounter between adult actors and child spectators is at the heart of theatre for young people. If the active response is acknowledged, it can not only expand children's aesthetic experience but also stimulate actors in more creative way. In other word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ctors and child spectators become symmetrical, what the children learn and experience in the theatre can be simultaneously aesthetic and educational in its nature. Based upon the viewpoints above,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very disparate, contemporary theatre productions for young people. In all those three productions, the child audience showed different responses: passive response when the script asked the very intended participation, but gave very active response at the unexpected moment. Literally it was impossible to predict audience response and nothing but flexibility was required of actors all the time. In the effort to cope with the changing response, it has found that an actor's experience as a dramatic play leader contribute to establish mutual trust with the audience: acknowledging the child audience as 'another player' in the performance. In brief, in order to give 'an experience of living theatre', it is the key for adult actor to acknowledge child audience as 'another creator' on stage. 아동극은 아동 관객과 만나는 독특한 예술 장르로서 배우들은 아동 관객의 특성을 고려한 연기와 표현의 방식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배우들은 아동극 연기를 유치하거나 직접적인 표현을 하는 연기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으며,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아동 관객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토로한다. 필자는 이러한 현상들이 아동 관객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배우는 아동 관객의 능동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능동적인 반응을 어떻게 수용할지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고, 아동 관객의 능동적인 반응 수용을 통한 상호작용이 아동 관객과 배우에게 창조적 성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아동 관객의 능동적인 특성은 아동극 창작자가 의도한 형태와 다르게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예상치 못한 반응’이고, 이제까지 공연의 흐름을 끊는 방해요소로 인식되어져 왔다. 그러나 사실 ‘예상치 못한 반응’은 공연에 대한 아동 관객의 흥미의 표현이며, 무대 위의 배우와 소통하고자 하는 욕구의 분출이다. 필자는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며, 연극에 창조자로서 참여하는 아동 관객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아동 관객의 능동적인 반응은 공연에 참여하고자 하는 아동 관객의 창조적 행위이고, 아동극의 본질적인 부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아동 관객의 능동적인 반응을 수용하는 것은 그들의 반응을 인정하고 격려하여 아동 관객의 미적 경험을 확장시켜줄 수 있고, 배우에게는 창조적 자극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아동극에서 놀이에 참여하려는 아동 관객과 그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어른 배우의 관계가 형성될 때, 아동극은 미학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가치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필자는 공연 <가믄장아기>와 <엄마, 나 이거 입을래>, <시라노>를 중심으로 아동 관객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연 속에서 관객들은 구조적으로 의도된 참여의 부분에서 수동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고, 참여가 의도 되지 않은 부분에서도 예상과 달리 능동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관객의 반응은 그야말로 예측불가였고, 배우에게는 변화하는 관객의 반응을 수용하기 위한 현장성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또한, 필자는 어린이의 놀이 관찰과 연극놀이 이끔이의 경험을 통해 관객을 ‘공동 놀이자’로 인식하고, 상호 신뢰를 구축하여 관객과 긴밀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아동 관객과 배우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면서 아동 관객을 연극의 또 다른 창조자로 인식하는 것이 살아 있는 연극의 본질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아동 관객의 능동적인 반응을 수용하는 일은 아동극에서 가치 있는 통찰력을 가진 공연자로서 그 기능을 다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본 연구는 필자의 작업에만 국한되어서 진행되었고, 필자의 경험에 의거하여 기술하다보니 기존의 아동 관련 학문 분야에서 제시하는 아동의 특성은 다루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극에서 배우에 대한 논의나 연구가 미비한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본 논문을 통해 아동극을 하고 있는 많은 배우들이 아동극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아동 관객을 만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 단체교섭의 상대방으로서 사용자의 개념에 관한 고찰

        김소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비용절감 측면에서 기업이 택하는 수단으로는 고용과 구조에서 탄력화 방안이 있다. 전자의 대표적 예로 비정규직 고용비율의 증대이고, 후자의 경우 20세기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해 온 사업양도, 기업의 합병&#8231;분할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단기적으로 비용절감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이에 대한 폐해는 고스란히 근로자들에게 돌아온다. 즉, 노동법은 주로 대기업의 정규직을 전제로 하여 입법화된 부분이 많아 비정규직이나 기업의 구조조정의 경우 기존의 근로관계 및 노사관계에 대한 규정이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법의 사각지대라는 점을 이용하여 비정규직 근로자의 장기간 근로, 낮은 임금 등의 근로조건을 저하시켜 생존권을 침해하거나 표면적인 기업회생을 이유로 구조조정을 통해 대량 해고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어 근로자의 인간다운 생활에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더구나 기본적인 근로관계는 근로계약이나 근로관행 등을 형성한다 하여 자주적인 단결권 행사를 통해 노동자 단체를 형성하고, 이들을 통해 집단적 교섭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으나 무엇보다 단체교섭의 상대방인 사용자의 개념이 노동법에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아 실질적으로 이들 근로자에게 노무지휘권을 행사하는 자가 직접적인 근로계약의 당사자가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단체교섭을 거부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개별적 근로관계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지만, 개별적 근로관계에서의 사용자 개념과 집단적 노사관계에서의 사용자 개념은 그 양상을 달리한다. 즉, 개별적 근로관계에서의 사용자는 근로기준법의 준수의무자로 파악되는 반면, 집단적 노사관계에서의 사용자는 노동조합의 상대방(노조법 제2조 4호 가목), 단체교섭의 상대방(노조법 제29조 및 제30조), 부당노동행위금지의 수규자(노조법 제81조 내지 제85조) 및 노동쟁의의 규율 대상으로서의 의미를 가짐으로서 양자의 논의의 대상은 상이하다. 특히 집단적 노사관계에서 실질적으로 근로조건을 협상하는 단체교섭에서의 사용자개념은 근로조건 결정에 실질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자를 직접 교섭의 상대방으로 확정해야만 단체교섭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러나 헌법 제33조에서는 사용자의 의미와 범위에 대해 별다른 정의를 내리고 있지 않기 때문에 노조법 제2조 제2호상의 ‘사용자’의 의미가 노동3권 전반에 걸쳐 동일하게 해석되어야 하는지도 명확하지 않다. 개별적 근로관계와는 달리 단체교섭의 상대방의 범위에 대해 아직까지 명시적인 입법이 없고, 연구 역시 개별 판례에서 제시한 단편적인 기준에 대한 평석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현재의 노동시장에서 빈번히 문제되고 있는 비정규직 및 기업구조조정 과정에서 문제되는 근로자의 단체교섭 상대방인 사용자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기술하였다. 현행 노동법이 예정하지 못한 다양한 고용관계의 출현에 따른 단체교섭의 상대방으로서의 사용자 개념의 확정 문제의 등장원인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개별 장의 간략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제2장은 문제제기 부분으로, 본격적으로 단체교섭의 상대방을 확정하기 전에 노조법상 사용자개념 일반 및 단체교섭권 보호의 필요성을 고찰해 보고, 단체교섭의 상대방으로서의 사용자 개념의 확정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현행 헌법 제33조에서는 단체교섭의 상대방의 범위에 대한 제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노조법 전반을 해석하더라도 실질적인 노무지휘권을 보유한 사용사업주의 단체교섭의 상대방으로서 포섭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단체교섭의 상대방인 사용자 개념이 문제되는 첫 번째 영역으로 간접고용과 사용자 개념을 검토하였다. 파견사업의 경우 사내하도급과 구별하면서 각기 사용사업주의 사용자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파견근로와 사내하도급은 명시적&#8231;묵시적 근로계약이 존재하지 않은 제3자라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근로자를 지배&#8231;관리할 수 있는 지위에 있다면 단체교섭의 상대방으로 봄이 타당하다. 모자회사는 모회사와 자회사의 법인격이 별개라는 점에 착안하여 노동법에서 법인격부인이론이 적용되기 위해 ‘지배관계’의 의미와 정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업조직변경에 따른 단체교섭의 상대방에 대해 검토하였다. 근로자의 생존이 걸린 노사관계를 근로자들의 개입 없이 구조조정의 주체들의 의사만으로 결정하기에는 근로자의 노동기본권에 대한 침해가 중대하다. 무엇보다 집단적 단결을 통해 노사대등성이 확보되더라도 기업을 양수한 제3자가 단체교섭의 상대방인지 확정되지 않아 기업구조조정 이후 근로조건 등 근로자의 경제적 이익 제반과 노사관계를 협상할 수 없어 근로자의 노동기본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양수인은 기업의 구조조정을 통해 양도기업의 설비뿐만 아니라 양도기업이 누리던 경제적 이익까지 양수인이 승계한다는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 양수인이 양도인이 보유한 단체교섭의 상대방으로서의 지위 역시 승계한다고 보는 게 자기책임원칙에 오히려 부합한다고 보여진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전체적인 내용에 대한 결론으로 간략하게 논의의 핵심을 기술하였다. 사용자성 판단에 있어서 노무지휘권을 행사하는 제3자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입법화되지 않는 이상 구체적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 근거제시가 불명확할 수 있다. 더욱이 단체교섭의 상대방으로 인정될 경우 부당노동행위의 수규자의 지위를 부여받음으로서 노동법상 벌칙과 과태료의 대상이 될 수 있어 죄형법정주의의 제약이 뒤따른다. 따라서 그간의 이론적 연구과 판례의 경향 및 노동현실을 고려하여 입법자로 하여금 다양한 고용형태를 반영한 노사관계법률의 체계적 정비를 촉구함으로서 이 글을 마무리 하였다. Nowadays many employers are trying to take all kinds of measures to provide the flexible employment, to slim the business systems, an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in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The typical methods for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industrial structure are hiring the atypical employment, like temporary workers, part-timers, contract-workers, dispatched workers etc. and the M&A and divestiture which have been fast increased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se methods could save the cost of running business in short term, but in long run, damages could directly reflect employees. In other words, labor law is often enacted with the large companies' regular workers, so the regulations about existing labor relations and labor-management relations for atypical employment and corporate restructuring are incompleted. Thus, those companies employ non regular workers in low wages and poor working conditions because of the blind spot of the labor law which menace their right to live, and the surface meaning of corporate workouts will justify the mass layoffs which menace the human rights. Moreover, labor unions which are composed by atypical employee are built by the exercise of right to organize, and these unions try to collective bargaining to employ, but they have difficulty in collective bargaining because the employ who really has the right of labor direction frequently rejects the demand of collective bargaining for not having the labor contract relation. These problems appear to be same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thus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employer in individual labor relations and the collec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are differ in that aspect. In other words, employer in individual labor is realized as a observer of the Labor Standard Act relations, while the concept of employer in the collective labor-management is realized as the opposite side of the trade unions (Article 2 (4) of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the opposite side of bargaining group (Article 29 and Article 30 of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prohibition of unfair treatment of labor practice disciplinarian (Article 81 or Article 85) and discipline of labor disputes. In particular, in collective labor-management, deciding the concept of employer as a person who has labor directions is effective to the trade union which can make work conditions favorable in the process of collective bargaining. However, due to not clarifying the defining of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it is not certain that the concept of employer in Article 2 (4) of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can applicate in whole interpretation about labor's three primary rights. Unlike individual labor relations, there are no explicit legislation in the other side at group bargaining and the study also presented in individual cases mostly based on fragmentary plain translation. Therefore, this article covers current problems about the concept the employer who is the other side at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labor market that is often issued in atypical employment and the process of corporate restructuring.

      • 임신 및 출산을 경험한 여성목회자를 위한 여성주의 목회상담

        김소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uthor claims that the female exclusion from church ministry during the maternity leave is not a problem that individuals can deal with. Therefore, along with the feministic counseling with individual clients, the author argues that there has to be the structural efforts of churches to solve the problems. To be more specific, there has to be a structural system that assures the maternity leave as well as the paternity leave. Along with the systematic efforts, there has to be the change of perception in relation to the maternity leave of female pastors. With the structural aid for and the individual efforts of perceptual changes on the maternity leave, the genuine meaning of the community to which both of female and male pastors belong can be redeemed.

      • 장애인 취업 영향요인 관한 연구 :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소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인의 취업 영향요인에 관하여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의 비교를 함으로써 장애별 직무특성에 따른 요인을 분석하였다. 장애인에 있어 직업을 가지는 것은 생계를 책임지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에 도모되어 비장애인과 같이 생활하고 업무를 성취함으로써 장애인 패러다임에 맞추어 ‘정상화’를 이루는데 기본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삶의 기본적인 요소를 갖는 것은 헌법 제32조 근로의 권리 보장에 근거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와 사회가 이바지하여야 한다. 장애인의 취업률은 비장애인보다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장애유형에 따라 취업률의 차이는 크게 존재한다. 특히,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취업률은 크게 차이를 보이지만 신체외부장애라는 이유로 동일한 유형으로 판단하여 정책이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직업적 특성을 살펴보고,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및 건강 요인, 인적자본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으로 총 4가지 측면에서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 각각의 취업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고용패널(PSED)로 2차 웨이브 3차 자료를 횡단적으로 활용하였고, 지체장애인 1,799명과 뇌병변장애인 26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및 건강 요인, 인적자본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과 취업 여부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취업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지체장애인의 경우에는 여성보다 남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평균 연령은 46.7세로 나타났다. 또한 배우자가 있거나 가구주인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장애 정도가 경증인 경우의 비율이 높게 차지했다. 반면, 뇌병변장애인의 경우에는 남성의 비율이 높았으나 평균 연령은 39.2세로 지체장애인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지체장애인과 반대로 배우자가 없거나 가구주 아닌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장애 정도는 경증의 비율이 더 높았지만 중증의 47.1%로 차지하면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배우자가 있을 경우, 가구주일 때, 주관적 경제 수준이 높을수록, 장애 및 건강 요인에서는 경증장애이며, 주관적 건강 수준이 높을수록 취업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인적자본요인으로는 자격증을 보유할 때, 직업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요인은 가족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뇌병변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요인으로 가족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공공취업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을 경우 취업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취업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을 한 범주로 인식하며 연구되었고 정책적 방향 역시 분류되고 있지 않는다는 점을 문제 삼고 있으며, 처음으로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ccording to the job characteristics of each disability by comparing the physical and brain lesion disorders with regard to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of the disabl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ving a job is not only responsible for a livelihood, but also a basic element of achieving “norma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of the disabled by promoting society, living with and working with non-disabled people. Having these basic elements of life is based on Article 32 of the Constitution, guaranteeing the right to work, which must be contributed by the state and society. The employment rat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lower than that of non-disabled persons, 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employment rate by type of disability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the employment rate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the brain lesions is very different, but because of the external physical disability, they are judged to be of the same type.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d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We analyzed employment impact factors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brain lesions in four aspects: demographic, disability and health, human capital, and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the secondary wave tertiary data were used transversely as the PSED, and 1,799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261 persons with brain lesions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factors, disability and health factors, human capital factors, social support factors, and employment status, the difference between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verifi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were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and the mean age was 46.7 years. In addition, spouses and householders were found to be high, with mild disability being a high percentage.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males with brain lesions was high and the mean age was 39.2 years. In addition, in contrast to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pouses and non-households were more likely. Seco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e demographic sociological factors, such as spouses, household subjects, higher subjective issues, milder disabilities and health factors, and higher subjective health levels, appeared high. As a human capital factor, the higher the level of vocational competency,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nd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Third, as a social support factor, the higher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getting a job when there is experience using public employment services. Through these results, th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employment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were presented. This study has been concerned with the recognition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have been classified as one category, and the policy directions are not classified. In the existing study, there was no study compari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For the first tim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compared with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 Enantioselective Phase-Transfer Catalytic α-Alkylation of Malonamide esters : Malonamide ester의 입체선택적인 상전이 촉매 알킬화 반응

        김소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rality can be introduced to 1,3-dicarbonyl structure using its high reactivity on alpha position, reacting with various electrophiles. α-Substituted dicarbonyl structures can be used to synthesize biologically active natural products or medicines. If these carbonyl groups can be modified and eliminated, then we can obtain simple structures having stereogenic center. There is meaning in the fact that we can use them as chiral building blocks. In this study, I modified one side of esters of malonate to give malonamide esters and with it in hand carried out phase-transfer catalysis (PTC). There are many advantages in doing alkylation through PTC. To make substrates of malonamide esters, I used coupling reaction. If amine was not commercially available, then I synthesized it via solvent-free indirect reductive amination. After that, I carried out PTC reactions varying conditions including PTC catalyst, base, alkylating agent and temperature and optimized the conditions for the best enantioselectivity. Consequently, I could get high chemical yield and enantiomeric excess value. 1,3-dicarbonyl 구조는 α위치의 큰 반응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electrophile과 반응하여 chirality를 도입할 수 있다. α-alkylsubstituted 또는 α,α-dialkylsubstituted dicarbornyl 구조는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천연물이나 의약품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Phase-Trasfer Catalyst를 사용하여 1,3-dicarbonyl compound의 enantioselective asymmetric α-alkylation을 수행해왔다. 이렇게 만들어진 화합물은 양쪽 carbonyl구조를 제거, 변형하면 quartenary carbon구조를 얻을 수 있고, 이를 chiral building block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malonate구조에서 highly enantioselective한 결과를 얻은 바 있는데 이것은 양쪽이 모두 ester기여서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alonate 한쪽의 ester를 amide로 바꾼 구조를 이용하여 Phase-Transfer Catalysis(이하 PTC)를 수행하였다. 상전이 촉매 반응(PTC)으로 알킬화반응을 진행하는 데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우선 사용하는 시약들이 쉽게 구할 수 있고 경제적이며, 반응 조건이 온화하고 조작이 간단하다. 또한 사용한 촉매의 회수가 용이하고, 화학수율과 광학수율이 높은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N,N-dialkylmalonamide tert-butyl ester구조와 N-alkylmalonamide-2-methyl tert-butyl ester구조를 다양하게 고안하여 PTC반응으로 α-alkylation을 수행하였다. PTC반응의 기질인 Malonamide ester구조를 합성하기 위해서 EDC coupling반응으로 tert-butyl hydrogen malonate로부터 amide를 합성하였다. Coupling반응을 위한 amine이 commercially available하지 않은 경우, reductive amination이나 solvent-free indirect reductive amination방법을 다양하게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PTC기질에 촉매를 5mol% 첨가하고 용매를 넣은 후 잘 교반한다. 고른 용액이 되었을 때 alkylating agent를 첨가하고 PTC 촉매와 기질, alkylating agent사이에 coordination이 잘 이루어지도록 충분한 시간동안 교반하였다(약 1~2시간). 그 후에 염기성 수용액을 첨가하면, α-proton이 떨어져나감으로써 반응이 시작되고 수층과 유층의 계면에서 반응이 일어난다. 이번 연구에서는 PTC 촉매, 염기, alkylating agent, 반응 온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가장 좋은 enantiomeric excess값을 얻기 위해 반응을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높은 화학 수율과 90% 이상의 광학 수율을 나타내는 기질과 반응 조건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이후에는 양쪽 functional group을 변형하여 의약품 합성에 유효한 chiral building block을 만들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