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茶山家의 家族疏通 硏究

        김세리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다산가족의 소통을 재조명하여 현대가족 소통에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가족관계 회복을 위한 바탕을 마련하는 데 있다. 당시 유가(儒家)의 핵심 개념인 인(仁)의 실천은 서로 존중하고 사랑하는 인간관계를 통해 형성되었다. 관계의 친밀함과 화합을 추구하는 입장에서 인(仁)과 소통(疏通)의 지향점은 유사성을 갖는다. 동양적 입장에서 소통에 대한 정의는 선이해(先理解)를 비운 '나'가, 진정성과 신뢰를 기반으로 타자(他者)와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비로소 마음의 화합을 이루는 것으로, 막혔던 것을 터서 물이 잘 흐르도록 하는 작용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다산의 소통논리의 핵심은 인간(人間) 중심의 실천을 통한 발현에 있으며, 관계를 최상의 상태로 만들어 소통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다산의 소통 논리의 기반을 이해 할 수 있는 그의 사상과 가족들과의 소통을 매개하기 위한 도구들 -서간, 가계, 시문, 서첩, 족자, 편액 등-의 내용에 관련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다산의 유배로 그의 가족은 현대의 분거가족(分居家族)과 유사한 형태로 생활하였다. 가족의 분리는 가족 간의 소통을 절실하게 만들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방식을 살펴보면 첫째, 심재(心財)의 소통방법으로 물질적인 방식이 아닌 마음의 재산을 마련해주고자 하였다. 둘째,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소통하고 있는데, 가장으로서의 훈계의 방법도 있지만 그 보다 칭찬하기를 선호하였다. 또 당시에는 효(孝)사상이 중요한 덕목이었기 때문에 효하는 마음으로 인생을 바르게 살기를 권유하였다. 셋째, 소통을 위한 다양한 매개로 글로는 가계(家誡), 증언(證言), 서(書), 묘지명(墓誌銘) 등이 있으며, 기물로는 편액(扁額), 서첩(書帖), 그림[畵] 등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찻자리를 통하여 가족 간에 화합을 도모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산가족의 소통 덕목으로 인(仁)을 실천하는 기제인 ‘효(孝)ㆍ제(弟)ㆍ자(慈)’실행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5가지 가족소통의 덕목으로 ‘성심(誠心), 환애(歡愛), 부격(孚格), 화기(和氣), 사무괘체(事無絓掣)’로 정리할 수 있다. 다산가족의 소통 양상으로 부부간에는 사이를 연결해주는 소통의 매개물과 시(詩)가 등장하며, 부자지간에는 자아소통(自我疏通)과 타자소통(他者疏通)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형제지간에는 가사(家事)에 관련된 문제들을 함께 상의하여 결정하고 서로 의견을 충분히 받아들이며 존중하는 우애 있는 소통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다산가족의 소통을 바탕으로 현대가족에게 소통방식을 적용해 보았다. 정신적 요소로는 심재(心財), 마음의 재산을 물려주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예시하였고, 현대가족에서 응용할 수 있는 소통과정의 모형을 제시하여 실현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실천적 요소로는 우선 나와 타인을 대하는 태도를 살펴본 후, 다양한 소통방식의 활용을 위해 가훈을 실현하는 과정, 손글씨 쓰기, 편액의 활용을 예시하였다. 가족관계에 적용을 위해 부부간에는 서로 교감할 수 있는 소통의 매개물을 나누는 방법, 편지나 정서적 글쓰기를 통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서술하였으며, 부자관계․형제관계의 소통을 위한 방법도 함께 모색하였다. 본 연구로 다산가족을 통해 현대가족이 화합할 수 있는 소통의 방식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가족이 더욱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 사진을 통한 비평적 미술 감상 연구

        김세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Practically, a way which art contributes to society is enormous. The defeated nation Japan's vision was its industrial attitude as national upbringing of art after the World War. The reason that Britain and France are respected by a lot of nations in spite of their insufficiency in economy compared with the United States is because of their cultures which are based on art. In appearance, Korea is known as a leading country in some point cultures such as digital and internet service. However, it doesn't make lots of positive results in art or music. That's because it overlooked cultural raising and enjoyment under the standard of economical performance. Moreover, artistic freedom has become a slave of formalism especially of matriculation exam. Originally 'aesthetic judgements' and 'taste judgements' are synonyms. 'Beauty' means the same with 'taste'. The photograph reflects children's cultures and tastes in these days. The popularization of digital pictures and the private blog in fashion has made a new aspect of cultural code. At this very moment we could make children understand art by training them with the artistic category of digital pictures. Because a common saying 'Art reflects its society.' is quite true. The present society is making unlimited digital images. The real goal of learning is to open up students' sensory ways through the division of meaningful as well as valuable and meaningless images in this flood of confusion. We could logically discu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in pictures' and 'the art works' while we compare the pictures taken by children with artistic pictures shot by modern artist. Through this process the artistic essence could be separated from the simple flood of images. The artistic essence would contain organizational reasons, aesthetic completion, hidden messages. Without those things, simple pictures would be just meaningless images. Furthermore, we could tell the students some stories which are hidden in the artistic works. For example, we could notice 'sexual moral problems widespread in New York' from Robert Mapplethorpe's works, 'the origin of life symbolized by the ocean' from Hiroshi Sugimoto's, and 'insecure modern feminine problems which hasn't a lot of choices' from Cindy Sherman'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make children have an interest on the basic subject and to extend the fields of attention from pictures to art, from art to society, and from society to history. It's the era of visual information. Begun with the photograph, there are many expressive instruments showing up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Global society is turning into the knowledge-based learning society. The role of art education which is needed to improve the critical eyes is becoming bigger and bigger among the rapid information flows. The photograph appreciation learning method in this research is just a small step. Yet, based on this research there should be more specific learning methods which could make children understand numerous images in the visual culture, accept them critically, and create more things with critical and creative thoughts. 오늘날 우리는 '시각매체의 시대'라고 한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시각매체는 급격히 발달, 보급 되었고 그것이 현대 사회와 문화 전반에 가져온 변화와 영향력 또한 실로 대단하다 할 수 있다. 이제 미술은 미(美)・아름다움이라는 말로서는 그 모두를 표현할 수 없고 미술작품이 삶의 한 부분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미술교육이 시각적 이미지 읽기와 더불어 그 비판적 수용과 능동적 표현에까지 관심을 가져 폭을 넓혀야 할 때라 생각한다. 미술이 아름다운 미술품을 가리키는 말이 아닌 우리가 보는 모든 시각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시각문화 같은 넓은 의미로 파악되어야 하는 시대이다. 아이스너(Eisner)는 교육의 기본적 기능을 다양한 문해(文解) 기술의 획득이라고 본다. '만일 어린이가 미술, 음악, 수학, 시의 언어를 읽을 수 없다면, 이들 표상 형식이 가지고 있는 내용과 전달하고자 하는 경험을 알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학교의 교육과정은 다양한 문해 형식의 발달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만약 그렇지 않다면 반드시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문화 현상을 읽고 이해하고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의 햠양이 삶을 영위하는 중요한 기초이고 교육이 이를 담당해야 하는 것이다. 문자의 시대에 문자를 해독하는 리터러시(literacy) 능력이 필요했다. 이미지의 시대인 현대에는 시각적 이미지를 읽고 해독하는 능력을 가리키는 말인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 능력이 필요하다. 시각적 이미지는 그 자체로서 많은 정보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 자체가 의미소통을 목적에 두고 있다. 감상자와 이미지 사이의 의미소통을 위해서 비주얼 리터러시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이미지가 의미의 전달을 목적에 두고 만들어진 것이라면 감상자는 그것을 읽고 의미를 파악해야한다. 미술교욱이 담당해야 할 부분이 바로 이런 시각적 의사소통능력을 키워주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현대와 미래 사회에 필요한 문화 소비자로서의 능력을 갖추는 길이라 하겠다. 더불어 비주얼 리터러시 능력의 배양과 함께 이미지로 표현하는 능력까지도 미술교육에 담당해야할 부분인 것이다. 또한 미술 안에서의 변화가 일어났다. 켐프(W..Kemp,1978)는 "대형 스크린의 시대는 프랑스 혁명과 동시에 시작되었으며, 이것은 전통적인 회화의 단지 크기 변화로 간주 될 수 없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포스트 모더니즘의 특징인 미술의 대중성과 확대성에 대해 암시한다. 이는 더 이상 보는 미술이 아닌 읽는 미술로 현대의 미술 감상의 변화를 암시하기도 한다. 지금의 현대 미술은 과거의 재현이 아닌 아방가르드한 작품뿐 아니라 사회 속에서의 모든 시각적 이미지들을 감상자가 비평적으로 수용하고 해석 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이렇듯 미술 전반의 개념에 변화가 온다. 우리는 이 시점에서 새로운 미술교육 방안을 연구해야한다. 이제까지 우리나라의 미술교육은 미술의 수용의 입장이기보다 미술의 생산자로서의 미술 교육이 였다. 미술의 조형 요소와 기초적인 원리를 배우고 미적 감수성을 키워 예술의 가치를 느끼고 삶속에서 활용할 수 있게 가르치는 교과서가 아닌 그저 표현의 교과로만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시각적 표현. 이미지의 표현을 주로 다루고 감상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미술이었다면 현대의 삶 속에서의 시각 이미지의 비판적 수용과 능동적 사용에 필요한 비평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기르게 해주는 교과도 미술이어야 한다. 현대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미술교육도 발맞추어야 할 때 지금의 미술세계는 어떠한지 살펴보자. 현대 전시회을 보면 모더니즘의 주요 형식이었던 회화나 조소 작품뿐만 아니라 사진과 비디오들 새로운 미디어를 사용하는 작품들이 많아졌다. 현대 사회에서의 미술은 기존의 매체가 갖지 못하는 새로운 테그놀로지를 이용하여 나타내게 되었다. 현대 미술 속의 사진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그 구분 자체가 모호해졌고 미술계 안에서도 시간이 지날수록 그 역할과 비중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컴퓨터를 활용한 이미지 편집 기술이나 디지털 카메라 보급의 급속한 확대 등으로 사진에 대한 관심과 인식도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 미술교육은 새로운 미술사의 흐름을 반영하고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있는가? 요즘의 어린이들은 현대 미술과 영상종류의 예술형식을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고 있다. 또 그 적응력이 과거의 세대들보다 더 빠르게 진행된다. 이런 어린이들에게 현대의 새로운 예술과 왜 예술가들이 기존의 예술세계를 바꾸려고 시도하는지에 대해 가르치는 것은 과거보다 그들이 살아가는 한 시대의 예술에 대한 분별력을 키워 주기 때문에 가치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다른 나라의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교육은 너무도 경직되어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지역사회, 학교, 교사의 재량권을 넓혀 내용적인 측면에서 개방해놓고는 있지만 대부분의 교사들이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감상교육이 강조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도 부족하고 동시대를 살면서 새로운 기술에 먼저 눈을 뜨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술계 안에서의 사진의 위상이 달라짐과 더불어 사진은 현대의 시각문화에 있어 기본적인 원리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데서 사진 감상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사진의 이해를 통해서 현대의 시각문화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다. 사진이 재현적 표현 도구이지만 재현의 의미만으로 미술관에서 보는 사진 작품을 이해하기란 성인들에게도 그리 쉬운 일만은 아니다. 사진과 평면 회화 모두 시각적인 이미지를 이차원의 평면 안에 담아 넣는다는 것은 공통점이다. 그러나 사진은 평면 회화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주안점을 두고 사진작품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회화작품의 감상법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 사진의 특성을 이해하고 사진의 영향을 받은 회화에서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사진 예술에 대한 이해와 회화와의 관계성탐구는 현대 시각문화를 읽을 수 있고 비주얼 리터러시를 신장시킬 수 있다. 이 시작이 시각문화를 향유할 줄 아는 인간으로 키워내는 미술교육의 큰 목표에 다가서는 일이라고 본다.

      •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의 기록화에 관한 연구

        김세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묘지 기록화는 묘지의 정체성을 분석하는 작업이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는 사람들의 죽음(사회적 죽음이라고 지칭)과 관련된 묘지는 죽은 자들이 묻힌 장소적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메모리얼이라는 기념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 대표적인 메모리얼로서의 묘지 공간은 정부에서 운영ㆍ관리하는 국립묘지를 들 수 있다. 민간에서 운영하는 메모리얼 묘지의 경우, 묘지 안장자에 대한 정보를 찾기도 어렵고 메모리얼 묘지에 대한 존재 여부도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묘지 기록은 묘지의 업무 활동의 증거이자 묘지 안장자에 대한 증거이다. 동시에 묘지에서 생산, 수집된 기록은 안장자를 기억하는 추모자에 의해 새로운 기록이 될 수 있다. 묘지는 죽은 자의 안식처인 동시에, 산 자가 죽은 자를 회고하고 추모한다는 의미에서 산 자들을 위한 장소다. 묘지는 과거와 현재가 생과 사를 초월하여 소통하는 경계지대가 될 수 있다. 이 논문은 메모리얼 묘지와 관련된 기록화의 중요성을 분석하고 적절한 기록화 방법 및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대표적인 메모리얼 묘지로 민간에서 운영하고 있는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을 선정하였다.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은 묘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근대의 역사적인 유적지이며 메모리얼이다.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의 묘지 업무 활동과 안장자 기록수집 활동을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안장자와 추모자가 중심이 되는 묘지 기록화의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Cemetery archiving is an analysis of the identity of the cemetery. In particular, death many people remember has its own memorial character as well as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the tomb of the dead. The cemetery space as a representative memorial in Korea is the National Cemetery operated by the government. In the case of the Memorial Cemetery managed by the private organiz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information about the people buried, and the existence of the cemetery is also not well known.    The cemetery records are evidence of the cemetery work and the people buried. At the same time, the records produced and collected at the cemetery can be a new record by the mourner memorizing the people buried. The cemetery is a refuge for the dead, and a place for the live in the sense that the live recall and remember the dead. The cemetery can be a boundary that communicates past and present beyond life and death.    This essay deals with the system of the memorial cemetery documentation, analyzing the importance of the cemetery archiving, and suggesting proper archiving method and service plan. ‘Yanghwajin foreign missionary cemetery’ managed is a representative private memorial cemetery in Korea. ‘Yanghwajin Foreign Missionary Cemetery’ is not only a cemetery but also a modern historical site. And the cemetery itself is a memorial. I analyzed the work activities of the cemetery of the Yanghwajin Foreign Missionary Cemetery and the collection of the people buried. And I wanted to establish a system of cemetery documentation, centered on visitor to a memorials.

      • 초현실주의적 표현 연구 : 데페이즈망(Depaysement)을 적용한 사진 이미지

        김세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에 관한 이론적, 형식적 측면을 연구, 제작한 논문으로써, 초현실주의에 접근하여 그 내용을 고찰해 봄으로써 본 작품과의 연관성에 관해 검토해보고 작품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또한 초현실주의의 표현기법 중에 데페이즈망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방법적, 형식적인 측면에서 본인 작품을 설명하고 더불어 작품의 이론적인 타당성을 연구하여 다양한 사진의 표현방법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더불어 이 논문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 나가고 있는 현대 사진 속에서 본인의 작품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논문을 통해 앞으로의 작품을 발전시키기 위한 근거로 삼을 수 있는 계기를 발견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사진이 발명되면서 1900년대에서 1920년대의 사진적 시각의 정립시기와 1930년대에서 1940년대의 포토저널리즘의 전달매체 시기를 지나 1950년대에서 1960년대의 사진의 영상 자아의식이 정립되는 시기로 발전되었다. 즉 현실 재현의 시대를 지나 자아의 인식, 자각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발전된 것이다. 1950~60년대에는 사회적, 문화적 영향으로 인간의 내면에 대한 표현의식이 고양되었다. 이런 시기에 사진은 초현실주의라는 문화사조와 맞물려 초현실주의 사진이라는 장르를 보이게 된다. 초현실주의 사진은 그 단어가 가지는 의미대로 현실을 초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현실에 존재하지는 않지만 의식 속에 존재하는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의식 속에 존재하는 세계를 눈에 보이는 사진으로 현실감 있게 표현하는 것을 초현실주의 사진의 특징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초현실주의는 인간행위의 불합리나 본능 등 무의식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사상에 접목했다. 초현실주의 세계는 모든 생명체의 삶을 조정하는 근원적 에너지를 지닌 세계이므로 기존의 표현방법을 거부하여 크게 둘로 나누어 오토마티즘(Automatism)과 데페이즈망(Depaysement)이라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두 가지의 기법은 인간의 내면과 감추어진 무의식을 탐구하여 깊숙이 숨겨진 정신생활의 직관적인 표현방법이었다. 그 중 데페이즈망은 낯익은 물체를 그 사물의 속성과는 다른 엉뚱한 곳에 놓음으로써 심리적 쇼크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이의 형식적 측면을 바탕으로 본인 작품이 이루어졌으며, 이 기법은 전치, 전위법이라는 뜻으로 서로 무관한 형상들의 연결이나 현실에서 불가능한 형상의 이미지를 결합해 보는 사람의 마음 밑바닥에 있는 무의식 세계를 해방하려 하였다. 초현실주의의 충격적이고 기발한 착상에 의한 작업들의 효과는 보는 이와 행하는 이로 하여금 일상을 탈피하여 자신을 다시 바라보게 만드는 것이었다. 그래서 사진에 있어서 초현실주의의 정신은 기존의 사진을 재검토하게 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의 내면세계에 잠재되어 있는 욕망은 내적인 심리조건이나 사회적 규범에 의해 억압되어짐으로서 무의식적인 변형과 전위를 거치게 된다. 여기서 예술을 잠재의식의 표현이자 억압된 욕구가 표출되는 통로로 본다면, 예술의 창작과정은'욕구 대상이 충족되는 표출된 매커니즘'으로 범주화 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한 작가와 형식상의 유사한 표현을 한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검토함으로서, 본인은 초현실주의의 이념에 입각하여 눈으로 볼 수 있는 세계를 넘어서 형이상학적인 세계 즉, 현실을 초월하는 시각으로 작품을 표현하였고, 이것은 사진의 표현영역을 확대하고 앞으로의 작업에 있어서 내적 표현의 사진 해석에 진일보 할 수 있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결론이라기보다는 또 하나의 시작을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작업에 있어 새로운 인식의 장을 여는 지표를 제시하여 가능성의 타진과 모색을 기대하고 있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analyze theoretical and formal aspects of my works. The relationship between my works and surrealism was reviewed and theoretical bases were presented. This thesis also explains methodological and formal aspects of my works that were based on depaysement, an expressional method of surrealism, and studies various expressional methods of photography. Also the significance of my works in ever changing modern photography is sought and hopefully would provide a basis for further improvement. Since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the photography advance from the period was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photographic sight (vision) between 1900s to 1920s, and the period of communication media of photojournalism between 1930s to 1940s to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self-consciousness of photographic images. In other words, the photography advanced from the period of reproduction of reality to the expression of self-recognition and self-consciousness. The expressionistic awareness of the human inner self was raised during the period between 1950s to 1960s because of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During this period, the new genre, named as surrealistic photography was introduced as a result of the cultural trend toward the surrealism. The surrealistic photographs are termed as the transcending the realism. Th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tic photography include realistic expression of the world that only exists in the human conscious. The surrealism incorporates unconsciousness such as human instincts and irrational behaviors. The surrealistic world is the world that contains basic energies that controls the lives of every living creature. Thus the current expressional methods were rejected and the two new methods, Automatism and Depaysement were developed. These two methods are intuitive expressional methods of spiritual life that search inner self and hidden unconsciousness. Depaysement is a method that induces psychological shock by placing a familiar material at a place with completely different property. My works were composed of these formal aspects of depaysement. This method is termed as transposition and displacement that connects unrelated images and unite the impossible images in order to liberate the unconsciousness of audiences. The extraordinary works of surrealism resulted in the reevaluation of one's self by escaping from daily life. Therefore the surrealism reevaluated traditional photography and presented future direction of photography. The human desires that were dormant in the human inner self were suppressed by the inner psychological conditions and social standards, and experiences unconscious transformation and displacement. If the art is a pathway for suppressed desires and unconsciousness to be expressed, the creative process of art can be categorized as the expressed mechanism of fulfilled desires. By comparing works of artist with these philosophy and others with similar formal expression, my works expressed metaphysical world based on the surrealism, and expanded the territories of expression. Thus my works could be a basis to advancement of expression of inner self. This thesis is not a conclusion; rather it is a beginning of new search. With more research, further guides to open a world of new recognition could be presented.

      • 외식업의 리더십,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 연구

        김세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21세기 세계는 글로벌화, 디지털화, 지식정보화로 구조변혁을 하고 있으며,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 경제로의 전환이 동반되고 있다. 서비스 기업 또한 이러한 경영환경의 변화에 생존하고 조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인적자원의 관리와 통제에 각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서비스 기업 중에서도 인적 구성요소의 비중이 크고, 종사원을 통해 상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인적 서비스 사업이라 할 수 있는 외식업은 경제·사회적으로 기대효과가 큰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지만, 아직도 종사원들이 낮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높은 이직율을 보이고 있는 등 인적자원 관리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외식산업과 관련하여 특히 요구되는 것이 바로 경영 관리자의 리더십 능력이며, 특히 이러한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외식업에 있어서 조직의 발전을 위해서는 조직의 리더가 조직을 수단으로 하여 조직구성원에게 심리적 성공의식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한, 이러한 리더십의 중요성과 아울러 최근 부각되고 있는 개념이 임파워먼트인데, 임파워먼트가 서비스 기업 종사원에 대해 실행되면 종사원 개개인의 직무만족을 통해 직무성과가 극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외식산업에서는 임파워먼트 도입의 필요성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업 경영·관리자의 리더십과 종사원들의 임파워먼트, 그리고 조직유효성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외식업의 인적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방법(documentary study)과 실증적 연구방법(empirical study)을 병행하였다. 우선, 외식업의 리더십, 임파워먼트, 조직유효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구성 개념들의 이론적 체계화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제안된 연구모형을 분석하는데 사용될 측정문항을 도출하고 측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외식업체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분석은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12.0 for Windows와 AMOS 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리더십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종사원들의 임파워먼트 강화를 위해서는 전반적으로 거래적 리더십보다는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 임파워먼트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거나 그 영향이 미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조직유효성의 제고를 위한 리더십의 발휘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전반적으로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식업의 조직유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모두 효과적이며, 특히, 변혁적 리더십의 직접적인 효과보다도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이 조직유효성에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외식업의 리더십, 임파워먼트,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외식업의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업에서 강력한 변혁적 리더십의 발휘이다. 이에 따라 외식업에서는 변혁적 리더십 발휘를 위한 경영차원에서의 정책이 수립되고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변혁적 리더십 증진을 위한 교육투자의 증대, 부하들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는 추진자로서 리더역할의 확립 및 정착, 변혁적 리더십을 갖춘 인력선발 및 인력개발, 개인적 배려를 위해 종사원 개인의 고충처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또한 객관성과 공정성을 유지하면서 종사원 개개인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리더십 능력의 배양, 지적 자극의 극대화를 위해 종사원의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목표 설정과정에의 참여 권장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 외식업의 경영·관리자는 효율적인 리더십 발휘를 위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제도와 보상제도를 개발하고 시행하며, 종사원들과 보다 밀접한 관계에 있는 중간관리자에게 실질적인 권한을 위임하여 중간관리자와 종사원의 만족을 통해 효과적인 조직운영을 도모해야 할 것이며, 예외의 관리도 적극적인 방법과 소극적인 방법으로 구분하여 종사원들을 관리해야 하며, 더불어 변혁적 리더십의 개별적 고려에 관한 부분을 상황에 따라 적절히 상호보완하여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외식업에서 적극적인 임파워먼트의 도입이다. 이에 따라 업장 또는 점포별 특성에 맞는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임파워먼트의 도입에 있어서는 직무별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기업상황에 따른 접근도 고려하여 업장 및 점포별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상황분석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임파워먼트의 실행시 개인수준의 임파워먼트뿐만 아니라 집단수준의 임파워먼트도 고려하여 부서 또는 팀별로 업무권한 부여에 따른 적절한 상황적 보상을 통해 조직유효성을 증대시키는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대표적 인적 서비스 기업인 외식업이 조직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리더들의 변혁적 리더십이 무엇보다도 효과적이긴 하지만 거래적 리더십도 적절하게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인적자원의 관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종사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직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리더십과 함께 임파워먼트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 더욱더 보완되어야 할 부분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업의 리더십, 임파워먼트, 조직유효성의 구성요소와 측정항목의 도출에 있어서 좀 더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용하지 못하여 다양한 요소와 측정변수들이 수렴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외식업의 여건상 기업의 형태로 운영되는 외식업이 한정되어 있어 본 연구를 외식업 전체에 적용시키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셋째, 향후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일반 외식기업과 호텔에서 운영하는 외식사업체에 대한 비교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twenty-first century is seeing structural changes in the world due to globalization, digitalization and knowledge informatization, accompanied by transformation from manufacturing industry centered economy to service industry centered one. Thus, service industry is making special efforts management and control of human resources in order to survive the changed in management environment and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ervice industry, food service industry can be said as the representative human resources service industry in that human component factor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and that it offers service to customers. However, though it is emerging as an industry with enormous expected effects socially and economically, there are still a lot of problems with human resources management with workers' low job satisfaction and high turnover rate. What is especially required in relation with food service industry with such practical problems is the very manager . supervisor's leadership ability. In particular, it is desperately necessary for a leader of an organization to make organizational members feel psychological success by means of the organization so as to cope with such situations and to develop organization in food service industry. As well, the idea of empowerment is recently emerging with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The importance of empowerment introduction is also important because empowerment, when conducted to workers of service industry, is known to maximize job performance of individual workers. Thus, this study aims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food service industry by identifying relationships if influence among leadership of manager·supervisor, work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food service industr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ocumentary study was conducted along with empirical study. For the first step,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up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leadership,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food service industry and theoretical systemization of constituent concepts. And then, measurement test items were induced and measurement criteria were developed to be used to analyze the suggested research model. Based upon these, a survey was given to workers in food service industry. The statistics for empirical study were put through the processes of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for Windows and AMOS 4.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rom empirical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model verification and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effect of leadership in empowerment, it is found that resorting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more effective to strengthening workers' empowerment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either negative or little effect on empowerment. Second, in terms of the effect of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is found that in overall sens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more effective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in exercising leadership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in terms of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is revealed that empowerment is generally effective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urth, bo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are effective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food service industry. Especially, it is found that the intermediary role of empowerment is more important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the direct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ased upon the relationships among leadership,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food service industry, comprehensive methods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can be presented as follows: The first method is to exercise powerfu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us, policies to exercis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management level should be made and sought for. The specific methods include increase in educational investment to promot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stablishment and settlement of leader's role which can present visions to workers and powerfully drive them,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solution of individual grievance for individual comfort, raising leadership anility that can maintain objectivity and fairness and satisfy workers' individual needs, and work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setting up goals of organization to maximize intellectual stimulation. On the other hand, concerning transactional leadership, manager ?supervisor in food service industry should develop and enforce fair and objective evaluation system and reward system, promote effective organization operation through the satisfaction of middle managers and workers by entrusting practical authority to middle managers in closer relationship with workers, manage workers by dividing management by exception into active and passive methods, and need to include individualized consideration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second method is to introduce active empowerment to food service industry. It is desirable to actively examine introduction of empowerment programs that suit characteristics of establishments or stores. In introducing empowerment, they should establish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by job, and conduct detailed and objective situational analysis by establishment and store in consideration of corporate situations. Again, in implementing empowerment, the methods of impro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appropriate situational rewards based upon assigned job authority by department or by team in consideration of group empowerment as well as individual empowerment. In conclusion, for food service industry as the representative human service industry to promot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is desirable to properly consider transactional leadership, though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effective more than anything else. Especially,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empowerment along with leadership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directly affect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reduce turnover rate. However, this study has a few limits despite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and the following are the points to be complemented in further studies. The first limit is that this study fails to reflect a variety of factors and measurement variables because it dies not include more experts' opinions in drawing constituent elements and measurement items for leadership,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econd limit is that this study cannot be applied to the whole food service industry as the number of the food service businesses operated in corporate forms is limited. The third is that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conduct comparative studies between representative food service businesses and food service establishments operated by hotels.

      • 일본어의 인식모달리티에 관한 연구 : 진성(真性) 유사(疑似)모달리티의 형식과 의미확장성을 중심으로

        김세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일본어의 인식모달리티 형식인 だろう, ようだ, らしい, はずだ, (し)そうだ의 다차원적 의미분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식모달리티는 화자의 심적 태도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에 해당하며, 특히 사태의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힘든 상황에서 화자의 입장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전통적인 일본어 문법에서는 인식모달리티를 진성(真性)과 유사(疑似) 형식으로 하위분류를 하고 있다. 이에 대해 仁田(2000)은 だろう만이 1인칭 시점의 주관성을 표현할 수 있다 하여 진정(真正) 형식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 외 ようだ, らしい, はずだ, (し)そうだ는 유사형식으로 분류되며 1인칭 이외의 화자의 심적 태도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유사모달리티문은 해당 명제내용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주로 문 내에 증거항을 제시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객관성을 드러낸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갖게 되었다. (1) だろう는 유사모달리티처럼 객관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기능을 할 수 있을까? (2) ようだ, らしい, はずだ, (し)そうだ는 진성모달리티처럼 주관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기능을 할 수 있을까? 인식모달리티문의 의미 변화가 생기는 데에는 화자의 관여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본고의 가설은 이와 같은 의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가설 검증을 위해 본고는 ‘인식모달리티 추론과정 절차’라는 알고리즘을 분석 방법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는 명제논리학과 의미론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분석 자료는 BCCWJ(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에서 추출한 예문 및 일부 온라인 미디어로부터 발췌한 텍스트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진성과 유사모달리티문에서 모두 객관성과 주관성이 각각 관찰되었다. 본고에서는 (1)과 같은 경우를 ‘진성모달리티의 유사화’, (2)와 같은 경우를 ‘유사모달리티의 진성화’라고 부르고 있다. 주관성과 관련해 분석 결과의 내용을 덧붙이자면 だろう문이 가장 적극적인 주관성을 보이는 것에 반해, (し)そうだ문은 객관에도 주관에도 치우치지 않은 애매한 위치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추론 과정에서 보이는 명제 간의 결속성에 대해 말하자면 ようだ문이 らしい문에 비해 더욱 긴밀한 귀납추론의 흐름을 보였다. はずだ문은 (1)과 (2)의 경우를 막론하고 연역추론의 사고 과정을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실제 분석 결과 진성화된 はずだ문에서는 귀납추론의 예시도 일부 발견되었다. 주관적 의미영역에서 쓰이는 はずだ는 인식모달리티 체계 안에서의 재조정 및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은 언어학적인 접근방법으로 일본어의 인식모달리티 체계를 고찰하기 위해 명제논리학 및 의미론의 관점을 중점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향후에는 본고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구문론과 화용론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이어 나가고자 한다. 주관성에 대한 더욱 깊이 있는 선행연구 검토 및 고찰 또한 향후의 과제로 삼겠다.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 semantic analysis of five epistemic auxiliaries in Japanese―daroo, yooda, rashii, hazuda, (si)sooda, with an approach of polysemy. These modal markers are commonly interpreted in English as 'will probably', 'it appears/it looks like', 'it seems', 'it must/I am sure', 'I have a feeling that'. Traditional Japanese grammar has distinguished between true and pseudo-modality, which Nitta (2000) argues that only daroo can be classified as the true form because it expresses the first person's subjectivity. And the rest―yooda, rashii, hazuda, (si)sooda―is classified as pseudo forms. They usually provide objective evidence―visual, auditory, tactile information―in a sentence to justify the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he previous study led me to the question: (1) Can daroo function as the pseudo form to express objective meaning? (2) Can yooda, rashii, hazuda, and (si)sooda function as the true form to express subjective meaning? It is developed as a hypothesi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speaker's involvement and the change of meaning in a sentence. In order to demonstrate it,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The Inferential Process of Epistemic Modality, based on propositional logic and semantic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Balanced Corpus of Contemporary Written Japanese (BCCWJ) and texts from online media. According to the results,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appears in both true and pseudo-forms as mentioned above in the hypothesis. In this research, the case (1) is called pseudo-class modals and the case (2) is called true-class modals. When it comes to subjectivity, (si)sooda-sentences(2) lie in the most ambiguous region not belonging to either side, while daroo-sentences(1) reveal the most active subjectivity in a sentence. It has also been found that yooda-sentences(2) show higher coherence in inductive reasoning than rashii-sentences(2) do. Regardless of either cases, hazuda-sentences have been considered to be well applied in deductive reasoning. It is found, however, that there are some hazuda-sentences(2) that perform inductive reasoning. I argue in this paper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azuda need to be reconsidered within the overall system of epistemic modality. This dissertation is conducted with the frame of propositional logic and semantics. Future research will have to cover syntactic and pragmatic analysis and an exploration of the notion of subjectivity.

      • 《어린이》연구 : 1920년대 아동문학 작가와 독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세리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writing is to be wish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writers and readers through the process that have investigated juvenile literature work that was inserted《child》during early 1920s. Therefore, I have wished to observe the special communication method of juvenile literature from the most important special quality of composing juvenile literature. The literary peculiarity of juvenile literature is detected clearly in communication mode, and the peculiarity of this communication method is an inner primary element of juvenile literature because we consider that it is a main cause that how the relation between a sender and a listener is established to concept of juvenile literature. If we imagine children readers and define written texts are the only juvenile literature texts, production of juvenile literature should be restricted by the propensity of the consumption. That's the reason juvenile literature became more reader-directed than other literature genres. Writer's imagination about the peculiar personality of reader controls the production and the consumption of juvenile literature and propensity of communication that is always argued on it. In this article, I believe that the important factor of composing juvenile literature is in communication way, and wish to clear how it has been established and what has influenced on juvenile literature literary style. The writers of the early 1920s pictured the juvenile's mind as innocence and naivety, and it included that their unique inclination that children and adults were totally different. This point of view put the writers away from readers and they changed their method of treating readers. And the writers recognized children readers' peculiarity and could find suitable speaking form. 'Story' was having the meaning of 'Tell' strongly in juvenile literature of the 1920s, this was created through consciousness that form of relation between a sender and a listener in juvenile literature differs with adult literature. Special method of telling a story is an oral narration. Specially, Bangjeonghwan emphasized that 'Telling' is more important means than 'Get to be read'. It means that an oral narration was emphasizing at that time and 'talking' form was preferred to a lettered text. Therefore, 'writing' action that could show the writer's personality in juvenile literature was pushed out by 'talking' action. In juvenile literature, 'talking' action means that the focus is put on the listener. Now we can see juvenile literature texts of 《child》 take an oral narration as a important frame unlike other literature texts. 'haetseupnida' shows the will that standardizes the form of 'an oral narration'. 'haetseupnida' is distinguished with low ranked genre of other juvenile literature and it makes an fairy tale distinguished with other genres. The reason that the writer use 'haetseupnida' is they think the write must give the child reader impression that seems to tell a story. Now we can believe 'haetseupnida' has colloquialism differently with other genres and it reflects circumstance of 'Oral narration'. 'haetseupnida' even has a meaning of respect with the meaning of child respect. Now, 'haetseupnida' has a secure position as a customary ending of a word in the fairy tale.

      • 現代 行茶法의 北較 硏究

        김세리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tries to make a structural analysis of current tea treatment, understand the flow of tea culture, and provide the grounds for developing the culture. It aims at providing more Korean tea etiquette education with traditionality and objectifying it by the terms and rites for the culture being based on the direction of etiquette that past ancestors had basically performed in rites.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tea treatment' which is educated as many times as an increasing number of tea etiquette educational facilities, and its overall methods show similarity, but its detailed acts make a difference in a term, an order, a direction and so on because of different regulations pursued by each facilities, lacking a consistent standard. Many published tea books related to the treatment describe many contents about how to act. However, it is now necessary to fully study it because we remarkably lack the cases in which concrete grounds for it are presented. It is natural for a method of the treatment to depend on the character of a tea meeting or an organization or on a region or a religion, and in the future it will continue to change into the form requested by the times. It is essential to make a study on the treatment based on ideas and scientific methods by making a clear literature study on the matter in hand for the consistency of the culture as on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s from the past through the present to an extension of the future. This thesis first explained the basic components of the treatment, selected the five organizations performing it now, and investigated their life tea treatment. And it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tea treatment sampling fifteen books related to the treatment published recently. Besides, it guessed the suggestions for its future development and its problems. This study will well motivate a study on the treatment to attract a person's attention progressively, the field to be developed, and a higher level of more diverse tea treatment models to be created.

      • 지역민의 도시축제 참여동기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자치구의 축제를 중심으로

        김세리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축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도시축제에 참가한 지역주민의 참여동기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축제참여에 영향을 끼치는 동기와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주민의 참여 활성화를 이끌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 자치 행정을 하고 있는 서울시와 기초자치구의 축제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서울시를 세계적인 문화관광의 도시로 자리 매김 하자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실증결과를 통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이론연구에서는 도시축제와 참여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관련문헌을 고찰하고, 이론적인 체계를 세우기 위해 축제의 본질적 성격과 기능, 축제 행사시 파급되는 효과, 축제의 관광가치 등 축제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하였으며, 소비자 행동의 하나로 볼 수 있는 동기의 개념 및 종류, 관광동기의 개념 및 종류, 그리고 축제참여동기에 관한 선행연구의 동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서울시 자치구에서 개최하는 축제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문헌 분석과 함께, 서울시 시청과 25개 기초 자치구의 관광관련 실무자들과 지역주민의 면담을 통해 축제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실증적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출된 도시축제 참여동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고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의 각 자치구에서 개최한 도시축제 중 5곳의 도시축제를 선정하여 이에 참가한 해당자치구 거주 지역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 추출방법은 무작위추출방법이 이용되었고, 유효표본은 총 300매의 설문지 중에서 203매로 확정되었다. 조사기간은 2000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하였고, 조사된 자료는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분석, 차이검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해서 지역민의 도시축제 참여동기요인으로 “사교적 동기”, “체험동기”, “일상탈출동기”, “지식추구동기”, “가족활동동기”, “흥미적 동기”의 6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요인을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첫째, 도시축제의 활동특성에 있어서는 소비비용이 5만원 미만의 집단, 동반자 형태가 가족, 친구, 연인 등인 집단, 축제에 대한 정보원천이 주위의 권유 또는 추천, 팜플랫, 브로셔 등의 홍보물인 집단, 다른 도시축제 참가경험의 유무에 있어서 참가경험이 없는 집단, 사전인지여부는 조금이라도 인식하고 있는 집단의 비율이 각각 높게 나타났고, 둘째, 도시축제의 활동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흥미적 동기요인, 사교적 동기요인, 체험동기요인, 일상탈출동기요인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축제참가동기요인과 만족·재참가여부·추천의사와의 관계분석 결과, 사교적 동기요인, 흥미적 동기요인, 체험동기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에 참여한 지역민들이 보다 많은 소비를 할 수 있고, 축제의 행사내용에 있어서도 사교 및 가족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지역민의 축제의 참여를 유도하는 데 있어서 구전효과와 일반적인 홍보물의 제작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해 좀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인터넷 공간의 활용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둘째, 사교적 동기요인과 체험동기요인 그리고 흥미적 동기요인이 축제의 전반적인 만족과 재참가 및 추천과의 영향관계가 매우 크다는 연구결과는 도시축제의 개최시 체험적인 부분과 흥미적인 부분을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시축제 참여동기요인에 있어 보다 객관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더욱 많은 속성을 가지고 측정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설문응답자의 답변에 대한 어려움과 설문지의 회수 및 시간상의 문제로 인하여 실행하지 못하였고, 조사지역 및 조사대상을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으로 한정함으로써 다른 지역이나 다른 국가의 지방 축제와의 비교연구를 실행하지 못하였으며,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동기요인 및 결과가 전체 도시축제를 대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estival is one of the most attractive tourism resources like cultural vestiges, natural attractions. Many tourist participate this special events to get enjoyment and interests. In past actually it is characterized by ritual ceremony but these days festivals are not seem just as attractions but as part of the cultural processes, economic stimulators and social organizations. Festivals can thereby generate re-investment of profits in the country, so these have influence on economic side. Especially the huge city like Seoul, Festivals are alternative tourism which can saturate community people and foreigner who visit Seoul some other reason. Governments have actively promoted their establishment and supporters. They consider festival as potential tools for community developments, attracting crowds, creating new forms of entertainments, achieving educational objectives, preserving culture, celebrating ethnic diversity and raising money. In 1995, thereby Government decided to support continuously cultural practicable festival to bring it up. But unfortunately participant rate of festival is just under 10%, instead there are 142 festivals including 21 ones which are held by Seoul city. So this study aim to research of the participation motives of city festivals which are held by Seoul city recently, to help the festival planners improving programs and facilities and to give residents a chance of relaxing, catharsis an recharging for the next day. In this study 23 questions were given to figure out festival motives and it results 6 motives with factor analysis ; 1. Socializing Motive, 2. Experiential Motive, 3. Escape-Oriented Motive, 4. Knowledge seeking Motive, 5. Family-Oriented Motive, 6. Pleasure-Oriented Motiv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ANOVA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city festival activity, Pleasure-Oriented Motive, Socializing Motive, Experiential Motive, and Escape-Oriented Motive wer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factors by residents. Second, through the Regression result between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es of city festival and satisfaction, will to re-participate and recommend, Socializing Motive, Pleasure-Oriented Motive, and Experiential Motive turned to be the factors that mostly influenced the result.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residents are able to consume more time to participate in festivals, and it is necessary to include programs such as socializing and family orientation as the content of the event. In addition, it shows that advertisement brochures should be produced more prudently and programs that satisfy the Experiential Motive and pleasure-Oriented motive must be developed. I hope that the next study would keep high study as theoretical study and some more needs as statistically analysis by closely questionnaire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