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 새남굿 춤 연구 : 김유감을 중심으로

        김성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논문은 한국춤의 토속적인 근원을 찾는 하나의 방법으로써 최근 중요 무형 문화제 104호 지정되어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서울 새남굿 춤에 있어서 우리무용의 토속적인 형태와 근원을 찾아 정립함으로써 오늘날 무용 예술을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무용의 토대가 되는 무의식은 B.C 3∼4세기 경부터 자연적으로 발생되어진 종합예술의 형태를 지닌 종교의식에서부터 출발하여 시대가 흐름에 따라 미술, 문학, 음악, 춤 등으로 분화되어왔는데 현재까지 전승되어져 오는 무속에서 그러한 흔적을 엿 볼 수 있다. 이러한 무속은 지역적 여건에 따라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발전되어 왔으며, 무속의 한 구성요소인 무무는 굿의식에 있어서 주술적 단계에서 벗어난 사회적 특성을 반영하면서 독자적인 춤의 특징과 기능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서울 지방의 '망자천도굿'인 진오기는 그 규모와 제가집의 사회 계층에 따라 새남굿, 얼새남, 그리고 평진오기 등의 세종류로 나뉜다. 이중 새남굿은 상류 및 부유층을 위한 굿으로 궁중의 화려한 복식과 각종 화사한 의례용구가 들어 있으며 다른 굿에 비해 거리가 많고 정교한 짜임새를 보인다. 이처럼 상류 및 부유층을 위해 행해졌던 서울 새남굿은 일반 서민이 아닌 소수의 상류계층만을 대상으로 한 굿임에도 '恨'과 '신명풀이'라는 우리춤의 기본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통의 다른 굿과 비슷한 정서지닌 보편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서울 새남굿은 다른 굿에 비해 궁중 문화의 장중하고 화려한 점과 토속적인 굿춤의 융합에 의해 고차원적인 한국춤의 발전을 이루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이처럼 서울 새남굿의 사회적 경향속에 내재되어 있는 특징에 대해 제의 절차, 무악, 무구, 무복 및 춤사위를 예능 보유자 김유감씨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전수 받는 방법과 interview를 중심으로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각 거리마다 발동작은 비슷하지만, 장단에 따라서 느낌이 달라지며 주로 무릎과 발목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움직인다. 둘째, 前, 後, 左, 右의 발동작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4방4귀를 밟아 주는 주술적인 기능을 지닌다. 셋째, 모듬발이나 깨끔발 같은 도무가 사용되나 도약의 정도는 약하며 절제된다. 넷째, 발동작은 주로 4박에 3걸음을 가며, 전진에는 오른발을 먼저 후진에는 왼발을 먼저 딛이며 발디딤은 곱고 섬세하다. 다섯째, 팔동작은 주로 가슴앞 사선에 위치하며 팔꿈치를 자연스럽게 구부린 자세에서 움직 인다. 여섯째, 팔동작은 발동작과 마찬가지로 거리마다 사위가 비슷하며 반복이 많으며 부드럽게 움직인다. 일곱째, 발동작은 장구가 있는 쪽으로 먼저 향한다. 즉 장구는 오른쪽에 놓이는 것이 기본이기 때문에 오른편 방향으로 먼저 향하며, 팔동작 또한 넘겼던 팔을 풀때에도 오른쪽으로 가면서 푼다. 이상 서울 새남굿춤의 움직임은 그리 크지 않고 고도의 테크닉을 요하지 않지만 나름대로의 법칙이 있고 단순한 형태로 거리마다 비슷하며 반복이 많고 장단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 또한 춤동작은 매우 곱고 섬세하며 절제되는듯하나 매우 우아한 사위를 보여 상류층이나 부유층을 위한 굿으로 궁중무용의 요소를 받아 들였음을 알 수 있다. 서울 새남굿 춤의 연구는 일반 굿춤의 연구에 비해 궁중 문화의 장중하고 화려한 점들이 토속적인 굿춤에 융합되어 보다 고차원적인 한국춤의 발전을 이루어 냈다는 것에 가치를 부여할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전통의 올바른 재인식과 근원을 정립하는데 필요하며 더 나아가 한국 창작무용의 창조적 계승방법에 대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 논문의 연구 범위상 서울 새남굿의 보편적인 특징에 집중되어 다른 진오기 굿인 얼새남, 평진오기등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신분계층별의 춤사위 각각의 특징과 각 신분계층을 초월하여 일관되게 존재하는 보편적인 한국 전통춤의 춤사위 분석은 차후의 과제로 남기게 되었다. 이 논문의 전개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논문을 쓰게된 목적과 그 방법을 제시하며, 제2장에서는 새남굿의 개요에 대해 언급하고 제의 절차, 무악, 무구, 무복의 특징을 고찰하여 새남굿에서의 춤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새남굿 춤의 발동작과 팔동작의 분석을 통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4장 결론에서는 앞 내용을 요약하고 새남굿 춤의 특징을 열거하면서 한국춤 전통 정립에 있어서 새남굿춤 연구의 의의와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aenamgut dance recently appointed as one of major intangible cultural assets(No. 104) as a way of finding the traditional basis of Korean dance. The fundamental spirit of dance - unconsciousness was originated with religious rituals naturally from B.C 3-4C., and it has been divided into art, literature, music and dance, which is found in our folk beliefs. These beliefs have developed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and their dance as a factor has origin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Though Seoul Saenamgut was played for the rich and upper classes, it includes the basic structure of our dance, which is 'Han(恨)' and 'Shinmyoung puri', and has universal characteristics similiar with other normal Gut. However, Seoul Saenmgut can be evaluated to make a high-level development of Korean dance by the fusion of solemn and luxurious court dance and folk Gut d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Seoul Saenmgut including its porcess, dance instrument, music and costume, through direct instruction from Kim, Yoo-Gam, artistic dance holder, and interview with her,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ot movement is similiar with one other in each distance, but feeling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rhythm, and mainly knees and ankles softly move. Seound, foot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front and back, left and right is often used, and it functions as incantation to expel four demons in four directions. Third, leapings are used but intensity is low and controlled. Fourth, foot movement is made of three steps per four beats, and right foot goes to progress, and left foot to regress, and foot stepping is soft and delicate. Fifth, arm movement is mainly located in front chest, and it moves in the state of bent elbows. Sixth, arm movement is similiar with one another in each distance, just like foot movement, and it softly moves with several repetitions. Seventh, foot movement is first toward Janggu. That is, Janggu is originally located on the right, so it is toward right direction, and arm movement is also loosened toward right. Hereabove, the movement of Seoul Saenamgut is not very big and doesn't require high-level technique, but it has its own rules, and many repetitions and feeling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rhythm. Also, its dance movement seems soft, delicate, and controlled, but it shows that it accepted the elements of court dance for the rich and upper classes. It is valuable to study Seoul Saenamgut in that it made a high-level development of Korean dance harmonizing the solemn and luxurious factors of court culture with folk Gut dance A study like this is needed in establishing the desirable recognition of our tradition, and, furthermore, it will become a method of succeeding to Korean creative dance. However, the study method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universial characteristics of Seoul Saenamgut without comparing it with other Jinogigut such as Earlsaenam, Pyoungjinogi, So it should be the next task to analyze other Korean dance consistently existing beyond colasses. The following are the process of this thesi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the second chapter summary on Saenamgut is stated and the basic materials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aenamgut are suggested by examining its process, music, tools and costumes. In the third chapter, the characteristics of arms and feet chapter, the characteristics of arms and feet movements in Saenamgut are examined. Lastly in the fourth chapter, I emphasized the meaning and the necessity of Saenamgut dance in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Korean dance, arranging the summary of the contents above.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언론의 보도 경향 연구 : 신문기사의 유형 및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김성옥 북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남한 사회에서 소수자로 살아가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을 다루는 언론의 보도가 이들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과 직결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언론의 보도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동아일보,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에서 보도된 북한이탈주민 기사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사들의 유형을 분석하여, 각 유형별로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고 있고, 신문사별로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기사의 ‘표제’를 분석하여 ‘전쟁’, ‘대처 및 긴장’, ‘신체’로 범주화되고 있고, ’과어휘화‘ 경향과 감정적 표현이 나타나고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를 부정적이고 불안정한 사회 병리현상으로 ’전제‘하고 있음을 알았다. 기사의 ‘내용’ 분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개인 성공 사례나 범죄 사건을 보도할 때 북한이탈주민의 명칭 구분을 통해 이들을 ‘타자화’, ‘대상화’하고 있고, 주로 ‘소수자ㆍ사회적 약자’이면서, ‘국가보호대상’으로 규정하면서 ‘주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았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사회 현상을 정의함에 있어 ‘개인화’하고 있고, ‘포용과 복지의 대상’으로 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보도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향되고 배타적인 인식을 전달하고 있었는데, 앞으로 언론이 이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통일을 위해 함께 협력할 동반자로서 인식하는 방향으로 전환해 가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thesis focuses on news regarding the issues related to North Korean refugees as seen by South Korean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 tendencies of the Korean media regarding on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articles from the Dong-A, Cho-Sun, Kyung-Hyang, and Hankyoreh newspapers over 2 years beginning on January 1st, 2007, and employ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the research First,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by patterns. Likenesses and differences i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among the newspapers was examined.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headlines of each article. These headlines categorized the North Korean refugees into 'war', 'tension', and 'body', and often used emotional expressions and exaggerated terminology. In addition, the headline's premise regarded the issues surrounding the North Korean refugees as a social pathology that is negative and unstable.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text of the articles. Those articles objectified the North Korean refugees and regarded them as a social minority in need of protection by the government. Also, they defined the North Korean refugees as objects of welfare. They personalized and marginalized those refugees. As a result, the media tendency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delivered a biased and exclusive percep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outh Korean media should recognize the North Korean refugees for who they are, and as partners to cooperate with for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통한 조형 활동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성옥 창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다른 사람 앞에서 본인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것이 부끄럽고, 때에 따라서는 두려운 일이며, 어리석은 일이라고 여겨지는 감정을 마음껏 치고, 주무르고 두들기는 조형 활동을 통해 긴장을 이완시키고 감정을 전환시켜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화를 자기표현과 승화를 해 봄으로써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자아수용성,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시의 한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생 심리적 안녕감을 사전검사로 실시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상대적으로 낮은 30명의 아동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한 명씩 상담자와의 면담을 통해 본인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아동은 실험집단에, 그렇지 않은 아동은 통제집단에 각각 13명을 선정 후 학부모에게 설문지를 통해 실험에 참여하겠다는 동의서를 받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문항-총점 상관계수, 요인 부하량 등을 분석하여 보완한 한국판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박상균(2009)이 아동용으로 수정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이 후 실험집단 13명에게 주 1회 90분 동안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통한 조형 활동 프로그램을 10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통한 조형 활동 프로그램은 정재찬(2012)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본 연구자가 조형 활동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고 소크라테스 대화법은 하재홍(2010)이 소크라테스식(문답식)교수법이란 논문을 통해 질문의 유형을 구분한 것을 그 질문의 유형에 맞추어 본 연구자가 대화법을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슈퍼바이저를 통해 전문가의 검증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집단과 비슷한 점수의 아동 13명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여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고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에게 초등학생 심리적 안녕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로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활용한 조형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부분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하지만 자율성과 환경 통제력 부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좀 더 폭 넓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통한 조형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의 변화량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점을 실험연구를 통해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김성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실천적노력)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경기도 소재의 재학 중인 대학생들 355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 긍정심리자본 척도로 설문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19.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방법으로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분석검증을 실시하고 Sobel test를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결과를 요약하연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실천적노력), 긍정심리자본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지각한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또한 지각한 진로장벽은 긍정심리자본에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에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실천적노력)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실천적노력)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대학생들에게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 학교사회복지실천에서의 지역사회자원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김성옥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가 학생들에게 최적의 교육환경을 제공해주기 위하여 지역사회자원 연계자로서 실천하고 있는 지역사회자원과의 연계 실태를 알아보고 학교사회복지사의 인식도를 분석하여 학교사회복지실천에서의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역사회자원 연계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와 실증적 조사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인 학교사회복지사는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회원 중 학생 및 학부모의 문제 및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사회자원연계를 담당하고 있는 학교사회복지사를 조사대상으로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는 자기 기입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사회복지실천에서 현재 연계하는 자원은 민간 비영리자원이 가장 높았으나 필요성은 정부자원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향후 대학자원과 학교자체 자원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사회자원과의 연계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자원 연계와 관련하여 응답자 모두가 연계의 필요성을 느끼며 연계 경험을 갖고 있어 지역사회자원 연계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었다. 주 연계 대상자는 한부모, 조손가정 학생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저소득 가정으로 나타났다. 의뢰자는 학교 담임선생님이 가장 높았으며, 연계경로는 기관의 홍보물을 통한 연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계 내용은 심리ㆍ정서적 문제 및 경제적 문제에 대한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학교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자원 연계 시 학생ㆍ학부모의 비밀 보장을 요청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학교사회복지 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중요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지역사회자원 연계에 따른 영향은 긍정적 영향으로는 학생들의 문제해결을 위한 지지체계 구축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부정적 영향으로는 학생들의 비밀보장문제와 학부모의 의존성증대가 부정적 영향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지역사회자원 연계 시 어려움으로 지역사회자원과 학교의 공식적인 채널미비가 가장 높았고, 지역사회자원부족 순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지역사회자원 연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지역사회자원과 학교와의 공식적인 네트워크 구축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지역사회자원에 관한 정보수집, 지역사회자원과의 유기적인 관계형성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실천에서의 지역사회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내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위한 지원체계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의 대표자인 교장ㆍ교감의 인식변화와 학교 내 지원 시스템을 확립하고 연계 관련 직무를 공식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차별화된 지역사회자원 연계 전략을 들 수 있다. 차별화된 연계 전략을 위해서는 학교별 특성에 맞는 연계 전략과 연계에 따른 긍정적ㆍ부정적 측면을 고려한 연계 전략이 모색되어야 하고 지역사회자원의 다양화를 위한 차별화된 대상자 발굴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위한 제도적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시범운영 중인 학교사회복지가 지속적으로 운영 될 수 있는 인력배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국가 차원의 예산 확보가 요구된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사가 학교 내의 전문 인력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위치에서 연계 역할을 활발히 수행 할 수 있도록 학교사회복지사의 신분이 보장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위한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연계체제 구축은 대외적으로 공식적인 지역사회자원 협의체와 대내적으로 학교사회복지사간의 정보망 형성이 되어야 하며, 정보 체계 구축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school social workers are linked with the community resources and how much they perceived the community resources, for the purpose to offer the most prope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ost common community resource linked to the school social workers was the civil nonprofit-making resource, while government resources were more required. All the responder in the survey replied that the linkage of school social work to the community resources was required and important. In particular, students of single-parent family and of poor family should be benefited the most. School teachers were the most frequent applicant asking for the linkage, and they mainly acquired the information from the brochure of each social welfare resource. The main types of linkage asked by them were for seeking for the solution for the students' emotional, psychiatric, or economic problems. Secondl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linkage was to be confidential to others when students were linked to the community resource. Next, school social workers replied that the understanding for the school social welfare was important. Thirdly, the positive effect of the linkage was the establishment of a supporting system for students, whereas the negative effects were the dependency and confidentiality. Fourthly, the limit wa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resources. Another problem was the limited number of community resources. Fifthly, the official communic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resources were the most required for the acti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linkage. Upon these findings,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s for the activation of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resources. Firstly, an official communication system are needed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resources for the linkage. Secondly, a specialized strategy for the linkage should be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and the positive or negative aspects of the linkage to students. Moreover new programs are needed to develope the diversity of community resources. Thirdly, schools should keep specialized and well-trained school social workers for making an efficient linkage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resources. And communities should make a system to support the linkage. Moreover, an organized system is needed including a close relationship to the regional resource organization and networking among school social workers.

      • 한국무용 참여가 여성노인의 기능체력과 혈중지질 및 노화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김성옥 단국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노인의 기능체력(상체근력, 하체근력, 전신지구력, 하체의 유연성, 상체의 유연성, 민첩성과 동적 평형성, BMI), 혈중지질(TC, HDL-C, LDL-C, TG) 및 노화관련 호르몬(IGF-I,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DHEA-S)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노인들이 참여하기 쉽고 장기간 지속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한국무용 프로그램 참여가 노년의 신체적 건강에 유익하다는 가치 및 역할에 대한 과학적이며 실증적인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노인의 한국무용 참여 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서울 Y구에 거주하는 67세 이상 75세 미만의 여성노인으로 외형상의 특이한 문제가 없고 신체활동이 가능한 자 16명을 선정한 후, 실험군 8명과 통제군 8명을 배정하였다. 한국무용프로그램은 12주간, 주 3회, 일일 50분간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과 후에 기능체력, 혈중지질 및 노화관련 호르몬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Window SPSS ver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한국무용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서 노인의 기능체력 검사항목 중 상체근력, 하체근력, 전신지구력, 하체의 유연성, 상체의 유연성 및 민첩성과 동적평형성 항목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BMI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통제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2) 한국무용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서 혈중지질 분석항목 중 TG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한국무용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서 노화관련 호르몬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DHEA-S의 경우 통제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보면 12주간 실시한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여성노인들에게 기능체력을 향상시키고, 혈중지질과 노화관련 호르몬에 있어서는 부분적이지만 TG, DHEA-S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무용 프로그램은 고령화시대에서 노인들의 신체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프로그램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Korean dance program effect on the functional fitness(upper limb muscular power, lower limb muscular power, cardiorespiratory endurance, upper limb flexibility, lower limb flexibility, agility and dynamic quality), blood lipid(TC, HDL-C, LDL-C, TG) and hormones(IGF-I, estrogen, testosterone, DHEA-S) related to aging in elderly women.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get the scientific and objective evidence of the effect of Korean dance for the health of the elderly and reinforce the elderly to take part in Korean dance program that is easy for them so they will take part in the program for a long time. This study employed 16 healthy women who were 67-75 years old living in Y-Gu in Seoul.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experiment group and control one). Experiment group did Korean dance in dance hall for 50 minutes per one session and three times a week. Two groups were tested functional fitness test, blood lipid and hormones related to ag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data statistics was applied by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d ANCOVA in Window's SPSS 12.0. The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α=.05.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unctional fitness of upper limb muscular power, lower limb muscular power, cardiorespiratory endurance, upper limb flexibility, lower limb flexibility, and the agility and dynamic quality in experimen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On the other h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in control group. 2)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blood lipid of TG in experiment group.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ormones related to aging in experiment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DHEA-S in control group. In conclusion, 12 week's Korean dance program affected positive to the improvement functional fitness, blood lipid and hormones related to aging in elderly women. For this reason, it seems that Korean dance program is one of the answers to the physical problem of the elderly in an aging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