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 새남굿 춤 연구 : 김유감을 중심으로

        김성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논문은 한국춤의 토속적인 근원을 찾는 하나의 방법으로써 최근 중요 무형 문화제 104호 지정되어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서울 새남굿 춤에 있어서 우리무용의 토속적인 형태와 근원을 찾아 정립함으로써 오늘날 무용 예술을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무용의 토대가 되는 무의식은 B.C 3∼4세기 경부터 자연적으로 발생되어진 종합예술의 형태를 지닌 종교의식에서부터 출발하여 시대가 흐름에 따라 미술, 문학, 음악, 춤 등으로 분화되어왔는데 현재까지 전승되어져 오는 무속에서 그러한 흔적을 엿 볼 수 있다. 이러한 무속은 지역적 여건에 따라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발전되어 왔으며, 무속의 한 구성요소인 무무는 굿의식에 있어서 주술적 단계에서 벗어난 사회적 특성을 반영하면서 독자적인 춤의 특징과 기능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서울 지방의 '망자천도굿'인 진오기는 그 규모와 제가집의 사회 계층에 따라 새남굿, 얼새남, 그리고 평진오기 등의 세종류로 나뉜다. 이중 새남굿은 상류 및 부유층을 위한 굿으로 궁중의 화려한 복식과 각종 화사한 의례용구가 들어 있으며 다른 굿에 비해 거리가 많고 정교한 짜임새를 보인다. 이처럼 상류 및 부유층을 위해 행해졌던 서울 새남굿은 일반 서민이 아닌 소수의 상류계층만을 대상으로 한 굿임에도 '恨'과 '신명풀이'라는 우리춤의 기본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통의 다른 굿과 비슷한 정서지닌 보편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서울 새남굿은 다른 굿에 비해 궁중 문화의 장중하고 화려한 점과 토속적인 굿춤의 융합에 의해 고차원적인 한국춤의 발전을 이루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이처럼 서울 새남굿의 사회적 경향속에 내재되어 있는 특징에 대해 제의 절차, 무악, 무구, 무복 및 춤사위를 예능 보유자 김유감씨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전수 받는 방법과 interview를 중심으로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각 거리마다 발동작은 비슷하지만, 장단에 따라서 느낌이 달라지며 주로 무릎과 발목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움직인다. 둘째, 前, 後, 左, 右의 발동작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4방4귀를 밟아 주는 주술적인 기능을 지닌다. 셋째, 모듬발이나 깨끔발 같은 도무가 사용되나 도약의 정도는 약하며 절제된다. 넷째, 발동작은 주로 4박에 3걸음을 가며, 전진에는 오른발을 먼저 후진에는 왼발을 먼저 딛이며 발디딤은 곱고 섬세하다. 다섯째, 팔동작은 주로 가슴앞 사선에 위치하며 팔꿈치를 자연스럽게 구부린 자세에서 움직 인다. 여섯째, 팔동작은 발동작과 마찬가지로 거리마다 사위가 비슷하며 반복이 많으며 부드럽게 움직인다. 일곱째, 발동작은 장구가 있는 쪽으로 먼저 향한다. 즉 장구는 오른쪽에 놓이는 것이 기본이기 때문에 오른편 방향으로 먼저 향하며, 팔동작 또한 넘겼던 팔을 풀때에도 오른쪽으로 가면서 푼다. 이상 서울 새남굿춤의 움직임은 그리 크지 않고 고도의 테크닉을 요하지 않지만 나름대로의 법칙이 있고 단순한 형태로 거리마다 비슷하며 반복이 많고 장단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 또한 춤동작은 매우 곱고 섬세하며 절제되는듯하나 매우 우아한 사위를 보여 상류층이나 부유층을 위한 굿으로 궁중무용의 요소를 받아 들였음을 알 수 있다. 서울 새남굿 춤의 연구는 일반 굿춤의 연구에 비해 궁중 문화의 장중하고 화려한 점들이 토속적인 굿춤에 융합되어 보다 고차원적인 한국춤의 발전을 이루어 냈다는 것에 가치를 부여할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전통의 올바른 재인식과 근원을 정립하는데 필요하며 더 나아가 한국 창작무용의 창조적 계승방법에 대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 논문의 연구 범위상 서울 새남굿의 보편적인 특징에 집중되어 다른 진오기 굿인 얼새남, 평진오기등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신분계층별의 춤사위 각각의 특징과 각 신분계층을 초월하여 일관되게 존재하는 보편적인 한국 전통춤의 춤사위 분석은 차후의 과제로 남기게 되었다. 이 논문의 전개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논문을 쓰게된 목적과 그 방법을 제시하며, 제2장에서는 새남굿의 개요에 대해 언급하고 제의 절차, 무악, 무구, 무복의 특징을 고찰하여 새남굿에서의 춤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새남굿 춤의 발동작과 팔동작의 분석을 통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4장 결론에서는 앞 내용을 요약하고 새남굿 춤의 특징을 열거하면서 한국춤 전통 정립에 있어서 새남굿춤 연구의 의의와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aenamgut dance recently appointed as one of major intangible cultural assets(No. 104) as a way of finding the traditional basis of Korean dance. The fundamental spirit of dance - unconsciousness was originated with religious rituals naturally from B.C 3-4C., and it has been divided into art, literature, music and dance, which is found in our folk beliefs. These beliefs have developed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and their dance as a factor has origin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Though Seoul Saenamgut was played for the rich and upper classes, it includes the basic structure of our dance, which is 'Han(恨)' and 'Shinmyoung puri', and has universal characteristics similiar with other normal Gut. However, Seoul Saenmgut can be evaluated to make a high-level development of Korean dance by the fusion of solemn and luxurious court dance and folk Gut d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Seoul Saenmgut including its porcess, dance instrument, music and costume, through direct instruction from Kim, Yoo-Gam, artistic dance holder, and interview with her,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ot movement is similiar with one other in each distance, but feeling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rhythm, and mainly knees and ankles softly move. Seound, foot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front and back, left and right is often used, and it functions as incantation to expel four demons in four directions. Third, leapings are used but intensity is low and controlled. Fourth, foot movement is made of three steps per four beats, and right foot goes to progress, and left foot to regress, and foot stepping is soft and delicate. Fifth, arm movement is mainly located in front chest, and it moves in the state of bent elbows. Sixth, arm movement is similiar with one another in each distance, just like foot movement, and it softly moves with several repetitions. Seventh, foot movement is first toward Janggu. That is, Janggu is originally located on the right, so it is toward right direction, and arm movement is also loosened toward right. Hereabove, the movement of Seoul Saenamgut is not very big and doesn't require high-level technique, but it has its own rules, and many repetitions and feeling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rhythm. Also, its dance movement seems soft, delicate, and controlled, but it shows that it accepted the elements of court dance for the rich and upper classes. It is valuable to study Seoul Saenamgut in that it made a high-level development of Korean dance harmonizing the solemn and luxurious factors of court culture with folk Gut dance A study like this is needed in establishing the desirable recognition of our tradition, and, furthermore, it will become a method of succeeding to Korean creative dance. However, the study method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universial characteristics of Seoul Saenamgut without comparing it with other Jinogigut such as Earlsaenam, Pyoungjinogi, So it should be the next task to analyze other Korean dance consistently existing beyond colasses. The following are the process of this thesi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the second chapter summary on Saenamgut is stated and the basic materials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aenamgut are suggested by examining its process, music, tools and costumes. In the third chapter, the characteristics of arms and feet chapter, the characteristics of arms and feet movements in Saenamgut are examined. Lastly in the fourth chapter, I emphasized the meaning and the necessity of Saenamgut dance in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Korean dance, arranging the summary of the contents above.

      • 정지용 시 연구

        김성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鄭芝溶 詩學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작업의 기초를 마련코자 작성되었다. 이는 또한 한국문학사에 있어 분단을 극복하고 그 주체성 ·지속성 ·일원성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기도 하다. 한국 시문학사에 있어 정지용이 차지하는 시사적 비중은 실로 크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만족할 만한 상태에 이르고 있지 못하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에 대한 논의 자체가 다분히 금기시 되어 있다는 시대적 제약성에 있겠으나, 또다른 한편으로는 그를 단순히 1930년대에 활동한 모더니즘계열의 시인으로만 평가해 왔던 학계의 통념이 그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에 분명한 장애로서 작용해온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 지용시에 대한 연구사를 개관해 보는 일은 그러한 사실을 확인하는 작업에 속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정지용의 생애를 고찰해 봄으로써 그의 시에 나타나는 인간적 고뇌의 실체를 파악해 보고, 이어 저작체계 및 텍스트 분석을 통해 표기체계의 변천과 문체의식의 변모과정을 살폈다. 그리고 정지용의 시에서 보이는 내용상의 특정을 몇가지로 분류하여 시세계의 전모를 밝혀봄과 동시에 그의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와 메타포를 분석해 보았다. 끝으로 古典詩와의 관계, 당대시와의 관련양상, 후대시에의 영향 등을 고찰해 봄으로써 그의 시가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고자 했다. 그 결과, 정지용의 시는 전통지향성과 모더니즘 지향성이라는 이원적 시의식이 끊임없이 상호 길항함으로써 오히려 시적 상승효과를 획득하게 되었고, 그리하여 우리의 근대시를 현대시로 전개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그의 탁월한 이미지구사와 은유의 시학은 그의 시를 한층 현대시답게 하는 핵심적 방법론으로 사용되었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그의 문학사적 의미는 바로 이러한 점, 즉 시에 대한 현대적 의식과 방법론의 확보 그리고 전통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폭넓게 찾아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world established by Jeong, Ji-Yong the poet. With this prospect it was designed to establish the identity and continuity of Korean literature on its historical basis. It may be said that his literary contribution 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Korean poetry was great and remarkable. But, in spite of his great contribution, the diverse studies on his poetry and poetics have never been reached at their desirable height. The main obstructions were the restriction preventing them from discussing about his poems and the narrow confinement regarding him as a poet of 1930's. The attempt to sum up the history of study may help to confirm such facts. Accordingly this study, through textual analysis, took up his literary life, mental conflicts, and the change of style. By classifying of his literary traits, this study roughly illuminated his poetic world, and it analyzed the images and the metaphors. By surveying the relation of his poetry to the tradition of Korean poetry, it confine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his poetry obtained its poetic effect from the interaction of his dual tendancies towards tradition and modernism, he contributed a great deal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poetry, his excellant command of image and metaphor was the crucial cause which made his poetry contemporary, and his historical significance should be found in his modernistic poetics and his roll as a linker of Korean literary tradition.

      • 한국이슬람교의 다음세대 "다와(Dawah)"활동에 대한 기독교 대응방안 연구

        김성옥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ABSTRACT A Study of the Christian Countermeasures against Korea Muslim Federation’s “Dawah” Activities toward the Next Generation Kim, Sung-Ok Ph. D. in Missiology The Graduate School Asia United Theological University Islam is a religion of about 1,407 years’ history, established by Muhammad in AD 610, and it is the fastest growing religion in the US. Many Islam historians say that the greatest motivation for growth of Islam is “Dawah”. Through “Dawah”, Muslims are continually renewing their communities internally, and expanding their boundaries. In arabic, “Da’wah” means friendly calling of non-Muslims into Muslim societies without pressure as can be seen from the Quran 16:25 : “invite all to the way of thy Lord with wisdom and beautiful preaching; and argue with them in ways that are best and most gracious; for thy Lord knoweth best, who have strayed from his Path, and who receive guidance(Surah 16:125)” Dawah has developed in various forms along the history and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Islam. It was in Unified Shilla dynasty when Korea contacted the Islamic world for the first time and the Islam religion in Korea experienced a rapid growth since May 1976 when the first mosque opened in Itaewon. And the number of Muslims among Koreans are continually increasing. The reasons for Koreans to convert to Islam is very diverse such as visit to mosque, studying in an Islam country, job experiences of relevance with Islam, etc.. Especially, the number of Korean islams rapidly increased since 1990s. This results from influx of foreigners based on the lack of laborers, low birthrate and ageing. Also, the reasons for growth of Islam is immigration, fertility, marriage and conversion to Islam. Chapter 2 of this study looked into the factors affecting the expansion of muslim population in Korea. It also tri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next generation and their crisis and necessity for mission in relevance to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es. Chapter 3 tried to looked into the definition, historic development and methodologies of Islamic Dawah which is the ground for the Islamic expansion and thereby contribute to correct understanding on Islamic Dawah. It also looked into the history and the methodologies of Islamic Dawah in Korea. It also looked into the seriousness of the exposure of the next generation to Islam by analyzing major three activities of Dawah by Korean Islam towards the next generation, namely education and publication, broadcasting and media on internet websites. Chapter 4 looked into the positions of the Islamophobia on strategic and proactive Dawah activiies of Korean Islams, means for peaceful co-existence of Christianity and Islam and also the evangelical standpoint to establish the stance against Dawah activities by Korean Islam. Chapter 5 looked into evangelical strategies of Jesus as a biblical model for effective mission and the importance of evangelical dialectic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Islam by Christianity. It also looked into countermeasures against Dawah activities such as education, publication and media and the strategies for evangelism for restoration and revival of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churches and strategies for evangelism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muslim migrants as countermeasures and strategies against Dawah activities of Korean Islam for next generation. This study is done in a sincere hope that this may contribute to the revival of the next generation Korean churches by knowing Islam right and coping with it like Jesus’ teaching “... Therefore be as shrewd as snakes and as innocent as dovees.(Matthew 10:16)”, and thus turn the crisis of expansion of Korea’s muslim population into an opportunity for evangelism by preaching gospel with Father’s heart and love to muslims entering Korea and raising them as Jesus’ disciples and expand the kingdom of God.

      • 新表現主義 繪畵에 대한 考察 : Image의 表現的 特性 硏究

        김성옥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신표현주의 작가들이 내면세계를 표출시킬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가를 연구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표현적 특성과 다양한 표현기법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이러한 탐구는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 미술을 이해하기 위해서 나아가 예술적 표현에 있어서 앞으로도 항구적으로 지속 될 신표현주의적 '표현'를 이해하기 위해서 가장 근본적인 과제라고 하겠다. 1970년대 초반 최후의 모더니즘(Modernism)이라 할 수 있는 미니멀리즘(Minimalism)에 이르러 더 이상 추구할 수 없는 관념론의 완성을 보게 되었는데 이러한 모더니즘의 환원적 실험의 논리적 종결이자 내용으로의 확대를 가져온 개념미술(槪念美術: Conceptual Art)은 모더니즘의 불가피한 결과인 동시에 포스트모던 회화(Post-modern Art)의 발단이 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은 서구의 보편적 이성과 이성 중심적 형이상학의 진리관을 거부하고 해체시키고자 하였으며, 이는 절대적 진리관을 사유주체의 상대성으로 치환시킴으로써 주체와 진리의 탈중심화(Decentering)를 도출하였고 그 대안적 차원에서 다원주의(多元主義 : Pluralism)를 제기하였다. 그리하여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엘리트주의에 반대하여 대중성의 부각을 가져왔으며 유럽계 백인중심의 문화로부터 여성 및 소수민족과 제3세계 등 소외된 객체들의 부활을 가져왔다. 이러한 현상은 1960년대 여성미술(Feminism)운동으로부터, 1976년경에 탄생한 장식 및 패턴 페인팅(Decorative and Fatten Painting), 그리고 1980년경에 등장한 신표현주의(新表現主義 : Neo Expressionism)에 이르기까지 현대미술의 단선적 흐름을 해체시키는 다양한 미술 양식을 낳았다. 신표현주의는 이전까지 터부시해왔던 서술성, 이미지로의 복귀, 전통적인 이젤화의 부활을 꾀하였으며, 그동안 억눌려왔던 격렬한 감정을 제스쳐적 물감과 드로잉, 알레고리(allegory)와 신화적 형태, 미술사, 대중매체, 광고, 패션 등에서 고의적으로 차용한 이미지를 통하여 표현하였다. 이 새로운 회화는 국제적 양상을 띠며 독일에서는 '신표현주의 (New Expressionism)' 라는 이름으로 미국에서는 이미지를 새롭게 한다는 의미에서 '뉴-페인팅(New Painting)', 이탈리아에서는 마르셀 뒤샹 계통의 모더니즘을 극복한다는 의미에서 '트랜스 아방가르드(Trans Avant -garde)', 프랑스에서는 '인간과 시민의 권리'에 대한 대중예술 운동의 형식으로서 '자유구상(Figuration Libre)' 이라는 명칭으로 전개되었다. 각 나라에 따라서 개별적 차이는 있지만 표현적인 예술의지의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비평가들은 이러한 동향에 대하여 '신표현주의' 라는 명칭을 부여했다. 본 논문에서는 각 나라에서 전개되는 신표현주의의 전개 상황을 고찰하였고 또한 대표작가를 연구하여, 신표현주의자들이 인간의 내면적 의식을 어떠한 이미지를 통하여 어떠한 형식으로 표출시켰나를 알아보고자 함이며 독일 작가 Georg Baselitz, Anselm Kiefer, A.R. Penck, 미국작가 Eric Fischl, David salle, 이탈리아 작가 Francesco Clemente를 분석해 보았다. 이들 작가들의 회화에 나타난 이미지의 특성은 첫째 인물이며, 작가들은 시대 정신적 상황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소계로써 인물을 택하였다. 둘째는 자연의 이미지다. 자연의 이미지를 빌어 인간의 내면 세계를 표출하는 조형수단으로 사용하였고 작가 나름의 방식으로 화면을 전개시켜 나갔다. 셋째는 구상으로 나타내어 현실을 옮기는데 반박할 수 없는 주체성을 제시하였다. 이전의 전통적인 사실묘사 회화와는 달리 형태에 대한 시각적 경험에 근거한 직접적인 묘사가 아니라는 점에 있으며 이들 그림은 감성 또는 직관에 의해서 이해되는 은유적 메시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표현형식에 있어서도 대형화면을 몇 개의 판넬로 단순히 분절한 것에서, 각각 다른 이미지의 화면으로 조립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이 나타났으며 표현 기법에서도 다양화를 시도한다. 거대한 화면과 풍부하고 자유로운 색채의 사용, 거친 터치, 다양한 오브제의 사용과 콜라쥬와 몽타쥬를 도입하고, 혼합된 특수한 재료를 사용한다든가 혹은 사진술의 기법을 이용하는 등 자유롭고 과감한 독창성이 발휘되었다. 현대미술 흐름의 변화 속에서 표현주의-즉, 신표현주의는 역사상 정신적인 불안의 시대에 나타났으며 본질은 현실에 대한 혹은 인간본성에 대한 '비판 정신'이며, 또한 격변하는 '사회 현상'에 대한 비판적 반영이며 인간의 감성적인 내면의 표출은 항구적인 미술의 한 경향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understanding of complex contemporary art and its various forms and movements will require to look into the whole 20th century art which is directly linked to it, among whom expecially Neo Expressionism as the representation of inner sense and emo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isms" in 1980s, draws my attention here. In 1970s, Modernism reached an impasse with the idealistic completion of Minimalism, as the last version of it, and the logical end of such reductive experimentation, Conceptual Art, in turn caused expansion into content, starting Post-modern Art Trying to deny and deconstruct the universal reason and the metaphysical, reason-oriented view of truth, Post modem Art accomplished decentering of subject and truth by replacing the absolute view of truth with the relativism of thinking subject, and posed Pluralism as its alternative. Postmodernist brought popularity foreground against elitism, and rehabilitated the neglected subjects such as woman, ethnic minorities, and the 3rd World in white, European dominated culture. Such phenomena produced various artistic styles from the feminist art movement and Decorative and Patten Painting in 1976 to Neo Expressionism in 1980, which deconstructed a linear stream of the contemporary art. Neo expressionism intended to revive narrative, return to image, and the rise of easel painting, and expressed the hitherto repressed, violent emotions using such devices as gestural color and drawing, images adopted from allegory, mythic form, art history, mass media, advertising, fashion, and so on. Assuming an international character, this new kind of painting developed as 'New Expressionism' as a descendant of Expressionism in Germany, 'New painting' meaning renewal of image in US, and 'Trans Avatgarde' implying overcoming Modernism like that of Marcel Duchamp in Italy, 'Figuration Libre' as a shape of popular art movement for 'the right of man and civilian' in France.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m according to each nation, they are called commonly as Neo Expressionism because they accepted the expressive art will.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various aspects of Neo Expressionism unfolded in each above mentioned country with its respective leading artists such as Georg Baselitz, Anselm Kiefer, A.R. Penck in Germany, Eric Fischl, David salle in US, Francesco Clemente in Italy, and in what way and with what images those Neo Expressionist represented inner sense of human being.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image in their painting lies in a figure, which is chosen as a motif to reflect our historical, mental situation most accurately. The second is the image of nature, as a formative means to express the inner world, with which those artist complete canvas. The third is that they represent real things with a special kind of apparent concreteness. Unlike traditional descriptive paintings, their artworks are composed of metaphorical messages to be understood by sentiment or intuition, not direct descriptions based on a visual experience with forms. As for expressive styles, they show varied forms ranging from splitting a large canvas into several panels to assembling canvases with different images. Such diversification can be also found in the expressive technique; they prefer large canvas, free and rough stroke, free and rich colors; they introduce many kinds of objets, collage, montage; they apply unique mixed media or the techniques of photography, exhibiting the unrestricted and bold originality. We can say that Expressionism in the changing streams of contemporary art, that is, Neo Expressionism is the creature of the times of spiritual unrest. The manifestation of the inner emotional life of human being will be a permanent part of art history. Thus, the artistic idea of Neo Expressionism as the representation of such life can provide a common ground sympathetic to everybody. It will continue for a long time in that the essential expression of life transcends individuals and nations, considering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present times and the future.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언론의 보도 경향 연구 : 신문기사의 유형 및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김성옥 북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남한 사회에서 소수자로 살아가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을 다루는 언론의 보도가 이들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과 직결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언론의 보도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동아일보,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에서 보도된 북한이탈주민 기사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사들의 유형을 분석하여, 각 유형별로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고 있고, 신문사별로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기사의 ‘표제’를 분석하여 ‘전쟁’, ‘대처 및 긴장’, ‘신체’로 범주화되고 있고, ’과어휘화‘ 경향과 감정적 표현이 나타나고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를 부정적이고 불안정한 사회 병리현상으로 ’전제‘하고 있음을 알았다. 기사의 ‘내용’ 분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개인 성공 사례나 범죄 사건을 보도할 때 북한이탈주민의 명칭 구분을 통해 이들을 ‘타자화’, ‘대상화’하고 있고, 주로 ‘소수자ㆍ사회적 약자’이면서, ‘국가보호대상’으로 규정하면서 ‘주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았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사회 현상을 정의함에 있어 ‘개인화’하고 있고, ‘포용과 복지의 대상’으로 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보도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향되고 배타적인 인식을 전달하고 있었는데, 앞으로 언론이 이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통일을 위해 함께 협력할 동반자로서 인식하는 방향으로 전환해 가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thesis focuses on news regarding the issues related to North Korean refugees as seen by South Korean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 tendencies of the Korean media regarding on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articles from the Dong-A, Cho-Sun, Kyung-Hyang, and Hankyoreh newspapers over 2 years beginning on January 1st, 2007, and employ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the research First,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by patterns. Likenesses and differences i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among the newspapers was examined.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headlines of each article. These headlines categorized the North Korean refugees into 'war', 'tension', and 'body', and often used emotional expressions and exaggerated terminology. In addition, the headline's premise regarded the issues surrounding the North Korean refugees as a social pathology that is negative and unstable.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text of the articles. Those articles objectified the North Korean refugees and regarded them as a social minority in need of protection by the government. Also, they defined the North Korean refugees as objects of welfare. They personalized and marginalized those refugees. As a result, the media tendency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delivered a biased and exclusive percep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outh Korean media should recognize the North Korean refugees for who they are, and as partners to cooperate with for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