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와 인지실태

        김섬이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와 인지실태를 파악하여 학부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보완대체요법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전, 충청권 소재 4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는 손행미(2002)가 개발하여 김영희(2004)가 수정 보완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이용하였으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지실태는 NCCIH (2014)의 새로운 분류체계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한 22개 종류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경험해 보았던 보완대체요법, 타인에게 권유하고 싶은 보완대체요법, 교과목 개설을 희망하는 보완대체요법 및 알고 있는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응답하도록 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 보완대체요법 관련 특성,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및 인지실태는 빈도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태도와 보완대체요법 관련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는 t-검증과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증은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중 89.7%는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고, 그 경로는 교육 을 통해서가 53.9%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54.2%는 보완대체요법을 적용 한 경험이 있었으며, 59%는 보완대체요법이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보완대체 요법의 문제점으로 48.3%가 치료효과의 과학적 증거 부족을 들었으며, 대상 자의 49.8%가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육을 받을 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76점으로 비교적 긍 정적이었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각 문항 중 과학적으로 검증된 요법 만을 사용해야 한다(4.1점), 환자에게 유용한 보완대체요법은 적용해 보겠다 (4.1점)에 강한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3)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지실태는 알고 있는 보완대체요법, 경험해 보았던 보완대체요법, 타인에게 권유하고 싶은 보완대체요법, 교과목 개설을 희망하는 보완대체요법 등으로 조사하였다. 학생 1인당 알고 있는 보완대체요법은 평균 13.7개였으며,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항목은 건강보조식품(92.5%), 마사지(91.8%), 요가(90.3%), 이완요법(89.3%), 명상(85.9%), 지압(85.3%) 등 이었다. 경험해 보았던 보완대체요법은 평균 7.0개였으며, 건강보조식품(비타민, 미네랄)이 79.3%로 가장 많았고, 마사지(60.2%), 지압(56.4%), 침술(55.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타인에게 권유하고 싶은 보완대체요법 개수는 평균 6.5개였으며, 마사지(53.0%), 이완요법(50.2%), 요가(48.9%), 예술요법(44.8%), 명상(42.6%) 등의 순이었다. 교과목 개설을 희망하는 보완대체요법의 개수는 평균 2.3개였으며, 마사지(23.5%), 예술요법(22.6%), 요가(20.1%), 향기요법(18.5%), 이완요법(15.4%), 경락마사지(14.7%), 지압(1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보완대체요법 관련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들어 본 경험(t=2.50, p=.013),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들어본 경로(t=-4.43, p<.001),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F=48.63, p<.001), 보완대체요법의 역할(F=12.73, p<.001), 보완대체요법 적용경험(t=4.75, p<.001),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 수강여부(t=2.69, p=.007) 및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육받을 의도(t=8.20,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육받을 의도,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 교육받을 의도,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들어본 경로, 학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 수강여부, 보완대체요법 적용경험 등이었으며, 이들 변수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를 38.6%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고, 인지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학 교과과정에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개설, 운영함으로써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이나 과학적 근거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대상자들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이 증가하고,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통로가 제한적이며, 관련 정보에 대한 만족도와 정확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부 교과과정에 보완대체요법 관련교과목을 개설하여 교육함으로써 간호대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지와 태도를 형성하도록 준비시키는 것은, 대상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보다 안전하고 과학적 근거가 확실한 보완대체요법의 활용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한 시작으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미래 간호사로서 사회화 과정에 있는 간호대학생의 보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