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김선미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 소재하는 4개 대학의 4년제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마음챙김, 관계중독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Brennan 등(2000)이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하여 개발한 성인애착유형검사(ECR-R)인 친밀관계경험척도를 김성현(2004)이 번안하여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음챙김은 위빠사나 명상이론에 근거해서 Brown과 Ryan(2003)이 개발한 마음챙김 주의-자각척도를 사용하여 박성현(2006)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관계중독은 Susan(2005)이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제작한 40문항의 임상질문지를 이수현(2009)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성인애착은 관계중독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은 마음챙김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음챙김과 관계중독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역할을 분석한 결과,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을 마음챙김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성인애착이 높을수록 마음챙김이 낮아지고, 마음챙김이 관계중독을 감소시키는 간접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애착불안은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 성인애착, 관계중독, 마음챙김 The study sought to ascertain whether the mindfulness mediates in the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attachment, mindfulness and relationship addiction among 300 university students from 4 university located around 4 provinces; Seoul,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do. To measure the adult attachment, Kim(2004)’s adaption of Brennan et al.(2000)’s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Revised: ECR-R which utilizes the item response theory was used. Brown and Ryan(2003)’s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adapted and validated by Park(2006), was used as mindfulness scale, based on Vipassana Mediation theory. Susan(2005)’s 40-item questionnaire based on clinical experience, validated by Lee(2009) was used as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examining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between variable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 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negatively associated with mindfulness while i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addiction and the mindfulness was found to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addiction. Secondly, the analysis result of mindfulness’s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discovered that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s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s suggests that adult attachment not only affects relationship addiction directly, it raises the mindfulness. Which, in turn, the relationship addiction, having an indirect effect on relationship addiction. Especially, the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s attachment anxiety, which is sub-factor of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while the mindfulness has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Finally,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Keywords : Adult attachment, Relationship addiction, Mindfulness.

      • 지적장애인의 작업수행능력과 지역사회적응수준과의 상관연구

        김선미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work performance and community integration skill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ontribute to the research about their employment and its maintenance. The results of job assessment given to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special schools and classes in Daegu from 2009~2011 are used as a sample. Community Integration Skills-Assessment(CIS-A) and Work Sample Test including AMOS #2(TAP #6), Purdue Pegboard, and Work Activities #206, #303 were conducted on 122 students.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d many difficulties with performance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and thus 105 participants were used. Compared to a general group, most participants' performance skills were below average. With in the group of disabled students, however, average and above average results were found. The level of community adaption ability was also lower in the general group, in the disabilities group however, more than 98% of participants were above-average.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work performance and community integration skill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only a few secondary factors of community integration skills and work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but most of the primary factors were significant. Currently vocational rehabilitation systems know the importance of community integration skills because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employment and they place emphasis on educations and training to it. For their employment and its maintenance, therefore, this research newly reveals the importance of adaptive skills and can give direction f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As work performance is limited to packaging and fine and gross hand motor skills, further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other areas. Further research about education contents and their placement results are required, though these are not dealt with in this study.

      •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소명의식의 매개 효과

        김선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의료 지식의 증가와 공중 보건에 대한 관심과 같은 의료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건강에 대한 대중의 권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 서비스에 대한 품질 기대치가 빠르게 높아지고 있고, 의료 기관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조직적 시민 행동과 고객 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적 리더십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소명의식이 이들 사이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히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OCB-I와 OCB-O 모두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이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고객 지향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병원에서 혁신적 리더십을 사용하면 조직 구성원이 보다 고객 중심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소명의식은 혁신적 리더십과 OCB-I (고객 지향) 사이를 매개한다. 또한, 소명의식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medical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rapidly, such as an increase in medical knowledge and interest in public health. The public's right to health is increasing, and the quality expectations of medical services are rapidly increasing, and more demands are being placed on the quality of services of medical institution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xerted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job calling tried to clarify that there is a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se. Based on thi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set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der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significantly positive for both OCB-I and OCB-O.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us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ospitals makes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more customer-oriented. finally, job calling mediate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CB-I, customer orientation. further, I checked Sobel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job calling as a mediator.

      • 가족관계와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

        김선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문제시되고 있는 학생 청소년의 비행을 그 청소년이 속한 체계인 가족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체계적·가족 역동적인 관점에서 청소년의 비행을 재검토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개발하고 그 유효한 선도 또는 치료 방법과 예방 대책을 모색하는데 타당성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생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 관계(P), 부-자녀 관계(F), 모-자녀 관계(M), 형제자매 관계(B)간에는 어떠한 상관이 있는가? 2. 학생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 관계(P, F, M, B)와 학생 청소년의 비행간에는 어떠한 상관이 있는가? 3. 학생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 가족 관계도(P, F, M, B)와 청소년의 성에 따라 청소년 비행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1. 학생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부부관계도와 청소년의 성에 따라서 청소년 비행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2. 학생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 부-자녀관계도와 청소년의 성에 따라서 청소년 비행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3. 학생 청소년이 지각한 긍적적 모-자녀관계도와 청소년의 성에 따라서 청소년 비행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4. 학생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 형제자매 관계도와 청소년의 성에 따라서 청소년 비행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표집한 본 연구의 대상으로 인천 시내 거주한 남녀 인문계, 실업계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440명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440명의 표집대상 가운데 연구의 목적에 맞지 않는 부모 모두가 없거나 한 쪽 부모가 없는 학생과 형제자매가 없는 학생 그리고 가족과 동거하지 않는 학생, 대가족에 속한 학생은 선정 대상에서 제외시켰고, 불충분한 자료 또한 제외시켜 277명(남자;138명, 여자;139명)의 핵가족에 속한 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학생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 관계들을 묻는 구조화된 질문지로 하였으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 관계 측정 도구는 Olson 등(1982)이 개발한 부부 관계 도구 중 부부 만족도를 본 연구자가 수정 사용하였고, 부모-자녀 관계 측정 도구는 Olson 등(1982)이 개발한 부모-자녀 의사 소통 도구(PAC, 20항목)를 사용하였고, 형제자매 도구는 Furman과 Buhrmester(1985)가 개발한 SRQ(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을 사용하였고 청소년 비행 유형은 노성호(1986)와 민하영(1991)의 분류를 참고로 하여 5개의 비행 유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시 가족 관계간의 상관과 가족 관계와 비행과의 상관이 어떠한가를 알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을,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 가족관계도의 높고 낮음과 성별에 따라 각 비행 유형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하였으며, 이상과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쳐 나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 관계, 부-자녀 관계, 모-자녀 관계, 형제자매 관계간에는 부부 관계와 형제자매 관계간을 제외하고는 모든 관계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가지 가족 체계간의 상관 정도와 상관 유무를 보았을 때 모자 관계가 좋을 수록 다른 가족 관계 즉, 부부 관계, 부-자녀 관계, 형제자매 관계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 관계, 부-자녀 관계, 모-자녀 관계, 형제자매 관계와 비행간에는 유의한 수준(p<.05, p<.00l)에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가지 비행의 하위 유형인 대인 비행, 대물 비행, 사회질서 비행, 성지위 비행, 일반 지위 비행 하위 비행 유형별로 가족 관계와의 상관을 보자면, 부모의 부부 관계, 부-자녀 관계, 모-자녀 관계는 5가지 하위 유형과 부적인 상관이 있으며, 형제 자매 관계는 사회질서 비행과 성지위 비행을 제외한 대인 비행, 대물 비행, 일반 지위 비행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부부 관계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구분된 집단 내에서의 사회질서 비행에서만 남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비행의 모든 하위유형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다. 즉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비행을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부-자녀 관계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는 대인 비행을 제외한 4가지 비행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부부 관계도 높고 낮음에 따라서는 3가지 비행이 대인, 대물, 성 일반 지위 비행에서 차이가 있었고, 긍정적 모-자녀관계도와 긍정적 형제자매 관계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는 1가지 비행인 사회질서 비행과 대인 비행에서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 청소년의 비행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가족 관계 변인 순은 부-자녀 관계, 부부 관계, 모-자녀 관계, 형제자매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가족의 하위체계 즉 부부체계, 부-자녀체계, 모-자녀체계, 형제 자매체계들은 부부체계와 형제자매체계 간을 제외한 모든 체계들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 특히 가족내의 여러 하위체계들 중 체계간의 상관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체계는 모-자녀체계이다. 즉, 모-자녀관계가 좋을수록 다른 가족 관계 즉, 부부 관계, 부-자녀 관계, 형제자매 관계도 좋다고 해석할 수 있으므로 긍정적인 가족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모자녀 관계를 개선하는 것이 우선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청소년 비행에 있어 성에 따른 차이를 볼 때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더 많은 비행 행위를 하고 있다. 따라서 남학생에 대한 선도 및 예방대책에 더욱 관심이 기울여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성에 따른 차이가 없는 비행의 하위유형이 있는 결과로 보아 청소년 비행의 예방 및 대책은 성차 구별없이 모든 청소년을 대상으로 행해져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학생청소년 비행과 가족관계들 간에는 상호관련이 모두 있었으나 부-자관계가 상대적인 영향력에서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쳤고 형제자매 관계는 영향력이 가장 작다. 따라서 학생청소년의 비행에 대한 이해 및 예방에 있어서 아버지와의 관계를 진단할 필요성과 부-자녀관계의 중요성과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전환 및 이를 뒷받침해줄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최근 문제시되고 있는 학생청소년의 비행을 체계적·역동적 관점에서 가족 성원 모두로 이루어진 체계간의 관계를 통해 재조명하였으며, 사회적으로 낙인찍이는 정도가 심한 비행아(소년원등의 재원아)의 전단계로 보여지는 학생 청소년 비행의 하위유형인 대인비행, 대물비행, 사회질서 비행, 성지위 비행, 일반지위 비행과 가족관계간의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보여주어 학생청소년 및 청소년 비행의 예방과 치료에 가족 변인과 관련된 심도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둔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juvenile delinquency and family relationship.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student juvenile delinquency in systemic family dynamic theory, which explains the individual's problem within the family interac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7 students of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who reside in Inchon. They are girl students and boy students who has parents and more than a sibling and together live theirs family members. Data were gathered from structured adolescent - reporting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ENRICH(Enriching, and Nurturing Relationship Issues, Communication and Happiness) by Olson, Fournier, Druckmen(1982), PAC(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by Olson & Barnes(1982), SRQ(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by Furman & Buhrmester(1985).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requencies, percentile, pearson correlation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positively correlated between parents' couple relationship, parents-adolescent relationship and sibling relationship. Especially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has higher correlation grade with the others family relationships. 2. There were negatively correlated between parents' couple relationship, parents-adolescent relationship, sibling relationship and juvenile delinquency. Parents' couple relationship, father-adolescent relationship,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5 subtypes of delinquency. Sibling relationship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3 subtypes of delinquency. 3. Sex ratio difference of students was in all subtypes of delinquency except 1 subtypes of delinquency.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grade made difference of subtypes of delinquency. Positive father-adolescent relationship grade made difference of 4 subtypes of delinquency. Positive Parents' couple relationship grade made difference of 3 subtypes of delinquency. Positive mother- adolescent relationship and positive sibling relationship grade made difference of subtypes of delinquency. From the above results, 1. Parents' couple relationship, parents-adolescent relationship, sibling relationship is mutually correlated. Especially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has higher correlation grade with the others family relationships. Therefore in oder to make positive family relationships first of all, improvement of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needs. 2. Boys students do more delinquency behavior than girl students. But the sex ratio sames in a subdelinquency. Therefore protection programs of juvenile delinquency without sex difference need. 3. Student juvenile delinquency and family relationships has mutually relation. Especially father-adolescent relationship has the biggest effect, while sibling relationship has the smaller eff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inking of importance and improving of program of father-adolescent relationship in order to a right understand of student juvenile delinquency and protection of juvenile delinquency.

      • 교사의 반응성 교수 전략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선미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성 형성의 결정적인 시기인 유아기에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교사의 반응성 교수전략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교사들이 질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교사 교육과 10가지의 목표행동이 포함된 반응성 교수 전략을 교육한 후 발달지체 유아의 신체적 접촉행동, 공동 관심행동, 언어적 행동의 변화를 관찰하여 교사의 반응성 교수 전략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반응성 교수 전략은 교사의 민감성, 상호성, 반응성, 온정성을 향상시켜 발달지체 유아의 신체적 접촉 행동, 공동 관심 행동, 언어적 행동이 증가 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향상을 지원할 수 있도록 민감하고 수용적인 교사의 상호작용을 위한 교사의 반응성 교수전략을 살펴본 것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습득이 어려운 발달지체 유아의 결정적 시기에 조기교육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김선미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0년 10월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조사대상의 표집은 유층집락 무선 표집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로써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 중 신체적 자기효능감(Mahoney, 1988)척도는 이상구(1997)가 번안 검증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일반적, 사회적 자기효능감(Sherer, 1982)척도는 소수연(1996)이 번안 검증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설문문항을 설명하기 위하여 SPSS WIN 13.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loratory Factor Analysis)과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은 문항 간 내적일관성(internal consistency)을 확인하는 Cronbach‘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배경변인의 특성에 따라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와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에 대한 기술통계 및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자료의 분석에서 유의도는 α<.05수준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가설을 토대로 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활동의 참여 유무는 남학생의 경우 참여집단이 여학생의 참여 집단에 비해 월등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기간 역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월등히 높았다. 반면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저학년에 비해 줄어들었다. 이로 볼 때 성별에 따른 스포츠 활동 참여 유무는 남학생이 신체를 움직이는 활동을 여학생보다 적극적으로 오랜 기간 참여하였으며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과중한 공부 부담으로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스포츠 활동에 시간적 장애를 겪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아효능감은 참여 집단이 비 참여 집단보다 높았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도 참여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 형태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집단이 비 참여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 후 스포츠 참여집단이 비 참여 집단보다 사회성의 요인 중 준법성, 자주성, 협동성, 사교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성 요인에 상당한 상관성을 보이며,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성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상당한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활동에서는 경기규칙이나 운동방법을 정확하게 지키는 것이 중요한데 이와 같은 생각이나 행동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 또한 정기적으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스포츠 참여가 학생의 전반적인 일상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며, 또래 집단생활 및 학교와 가정생활에 창의적인 사고와 행동,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으려는 욕구를 가지게 하여 자주적 실천의지를 갖게 해주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스포츠 활동 참여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초등학생들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스포츠 활동 에 참여한 집단이 자기효능감과 함께 사회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의 참여여부가 긍정적인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을 형성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와 관련된 활동을 지도하고 교육한다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발달에 효과적일 것이다.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자체가 “나는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자기효능감과 여러 학생들이 어울려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활동이기 때문에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사, 학교 관리자, 학부모를 대상으로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의 발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필리핀 차세대 리더를 위한 성경적 멘토링에 대한 연구

        김선미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필리핀 차세대 리더를 위한 성경적 멘토링 방법에 제안하고자 문헌검토연구와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했다. 멘토링은 사람 간의 관계에서 경험자인 멘토의 지식, 지혜, 가치관, 기술 등을 멘토의 도움이 필요한 멘티에게 전수하여 멘티의 성장과 발전을 이끈다. 멘토는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역량을 지닌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여 키워갈 의무를 지닌다. 특히, 선교 현장에서 이러한 차세대 리더의 세우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먼저 멘토링의 이해와 성경적 멘토링의 이해를 위해 문헌검토연구를 통해 멘토링 정의, 종류 및 성경 인물간의 멘토링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멘토링의 효과적인 진행을 위해 다섯 가지 역동성인 호감, 관계, 반응, 책무, 능력 부여의 역동성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실제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이 멘토링에 대한 이해가 있는지와 그들은 성경적 멘토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멘토와 멘토링을 원하는지에 대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은 멘토링을 원하며 그 멘토링이 자신의 삶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설문에 참여한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은 멘토링에 대해 이미 알고 있고 그 중 2/3의 참여자는 현재 멘토가 있다고 응답했다. 멘토가 없다는 응답자들도 앞으로 자신들에게 멘토가 있기를 바란다는 응답했고, 모든 참여자가 멘토링은 자신의 삶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대답을 하며 멘토링에 대한 필요성과 유익에 관심을 나타냈다. 둘째,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은 성경적 멘토링을 원하며 특히 영적 지도자, 제자 훈련자의 멘토를 원했다. 성경적 멘토링을 그들의 삶에 적용하고 싶어하며, 자신들을 이끌어줄 영적 지도자, 제자 훈련자의 멘토를 원하고 있다. 구약 성경의 멘토링 관계에서 모세와 여호수아, 신약 성경의 멘토링 관계에서 예수님과 그 제자들을 가장 많은 수가 그들이 원하는 멘토링 관계로 선택했다는 것이 이를 입증해준다. 마지막으로,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은 성숙한 멘토와의 상향 멘토링을 통해 자기 발전을 이루기를 원했다. 그들이 원하는 멘토로 가장 많은 응답을 받은 ‘바울’이 이러한 상향 멘토링의 모델을 보여준다.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에게 성경적 멘토링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한국인 선교사는 ‘성숙한 멘토로서의 바울’과 ‘멘티에서 멘토로 성장하는 바울’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apply the biblical mentoring method to the next generation of leaders in the Philippines, Korean missionaries will need to understand and study ‘Paul as a mature mentor’ and ‘Paul who grows from mentee to mentor’,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study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the next generation of leaders in the Philippine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Mentoring leads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mentee by passing on the knowledge, wisdom, values, and skills of the mentor, who is experienc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ntors have the duty to discover and nurture next-generation leaders who have the capacity to lead the next generation.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to raise these next-generation leaders in the field of mission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mentoring and biblical mentoring, the definition of mentoring, types, and mentoring cases between biblical character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tudies.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the dynamics of five factors, such as attraction, relationship, responsiveness, accountability, and empowerment, was explained for effective mentoring. The meanings revealed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n whether the next generation of leaders in the Philippines have an understanding of mentoring, what they think about biblical mentoring and what kind of mentor and mentoring they want are as follows: First, the next generation of leaders in the Philippines want mentoring and believe that mentoring will help them in their lives. The next generation of leaders in the Philippine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lready knew about mentoring, and two-thirds of them said they currently have a mentor. Respondents who did not have a mentor also responded that they would like to have a mentor in the future; and all participants responded that mentoring would be helpful in their lives, indicating interest in the need and benefits of mentoring. Second, the next generation of leaders in the Philippines wanted biblical mentoring, especially spiritual leaders and discipleship mentors. They want to apply biblical mentoring to their lives, and they want spiritual leaders and disciple trainers to lead them. Biblical mentoring proves that Moses and Joshua in the mentoring relationship of the Old Testament, and Jesus and his disciples in the mentoring relationship of the New Testament, were chosen as the mentoring relationship they wanted the most. Finally, the next generation of leaders in the Philippines wanted to achieve self-development through upward mentoring with mature mentors. ‘Paul’, who received the most responses as the mentor they want, shows this upward mentoring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