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inite Analytic Numerical Solution of Laminar and Turbulent Flow in a Two Dimensional Artificial Heart Model : 김상현

        김상현 Univ. of Iowa 1991 해외박사

        RANK : 247647

        이차원적으로 간단히 구성한 인공심장모델의 정상상태에서의 층류 및난류유동을 수치해석에 의 하여 고찰하였다. 심실내 혈류유속이 최고로 되는이완기상태에서 구성한 심실 모델의 유출구에는레탄 삼첨판막을설치하였고 유입구에는 삼첨판과 일첨판 두가지 모델을 설정하여 수치해를구하여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카티젼좌표에서 유한분석법을 이용하여지배방정식의 해를 구하였는데 난럽�k-ε-E 모델을 이용하였다. 수치해를 구하기위한 알로리즘으로 SIMPLER 방법을 계산하였다. Re수는 유입관의 지름과 평균유입 속도를 기준으로 층류계산에서는 600,난류계산에서는 6000에서 갭�구하였다. 수치해석 결과에 의하면심실내의 상대적 정체지역이나 와류현상이 유입구에 삼첨판할 때 보다일첨판을 설치할 때 덜 일어났다. 따라서 유입구에 일첨판을 설치할 경우심실내의 혈씩廢걷�이루어져서 혈전침전의 원인을 줄일 수 있다는사실을 알 수 있다. 심실내의 유입구부근에류전단응력 역시삼첨판보다는 일첨판에서 작은 값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인공심장내에서높은 단응력이 일어나는 지역과 혈전이 생기는 지역과 서로 밀접한연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여본 연구에서 계산한인공심장내에서의 혈류모양과 난류전단응력은 실험적으로 구한 값들과 근접한보여주었다. 수치해석에 의한 심실내 유동분석은 결과적으로 일첨판이삼첨판보다 혈역학적으로 였�사실을 증명하였다.

      • 이동평균법을 이용한 플러그인 타입 전동차 출입문의 고장예측에 관한 연구

        김상현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도시철도에서 전동차는 고정된 편성으로 1편성에 4량부터 10량까지 다양하게 노선별로 승객 수요에 맞추어 운행되고 있다. 전동차는 크기별로 대형, 중형과 경전철로 나누어진다. 대형 전동차는 1량당 승객 정원이 150% 승차기준 212명으로 1편성 6량 기준으로 1,272명이 승차하게 된다. 전동차 운행 중 발생하는 고장의 12%는 출입문 시스템 고장으로 조치방법은 승객을 하차 후 차량기지로 전동차를 입고하여 사후검사 및 시험 후 운행을 재개하게 된다. 승객을 하차하고, 조치하는 과정에서 전동차가 지연 운행됨에 따라 다음역 부터 승차, 하차 대기 승객의 불편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출퇴근 시간에는 승객 증가로 불편이 가중되며, 민원 발생이 증가한다. 출입문 시스템을 분류하면 구동장치는 공기식과 전기식으로 분류되고, 패널구조는 포켓 슬라이딩, 아웃 슬라이딩, 플러그인으로 분류된다. 플러그인 출입문을 장치별로 분류하면 제어장치, 설비장치, 패널과 회전부 장치, 비상핸들 장치, 안전장치로 분류되며, 고장 유형을 보면 단품 고장이 발생하는 장치는 제어 장치, 비상핸들 장치, 안전장치이며, 설비장치, 패널과 회전부 장치는 구동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다른 장치와 복잡하게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장치로 열림, 닫힘 시 각종 부품의 동작 과정에서 승객으로부터의 외부충격 및 차량의 진동 등에 따라 연결부가 조금씩 변형되면서 부품의 이상 마모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게 되며, 조치방법 또한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 전동차 출입문 시스템에서 구동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다른 장치와 복잡하게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장치의 고장을 예측하기 위해 전기식 출입문 중에서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진 플러그인 출입문의 구동 모터 전류량 변화를 분석하여 기계적 고장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이다. 고장예측을 위해 첫째, 플러그인 출입문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및 감시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년도 별로 필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동차 운행 중 발생한 출입문의 이상 동작에 의한 사후검사와 지연고장 건수를 분석하였다. 둘째, 2014년까지 수집한 출입문 관련 사후검사 및 지연고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후검사에서 발생한 불량 부품의 마모율, 손실률을 측정하여 부품의 마모로 인한 이상 동작 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를 기반으로 고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출입문 열림, 닫힘 동작 시 출입문 패널과 회전부 장치에서 외부충격 또는 기계적 마모에 따라 변화하는 구동모터 전류량을 검출하여 정상 동작 시 보다 일정 수준 높게 되면 이상 동작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장예측 기준 파형을 설정하였다. 고장예측 기준 파형을 사후검사에 적용한 결과 출입문 이상 동작을 모두 검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용 후 신뢰성에 대해 와이블 분포 분석 결과 신뢰수준 90%에서 더 좋을 확률은 85.93%로 분석되어 신뢰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출입문 설비장치, 패널과 회전부 장치 등 출입문 설비장치 불량에 의한 열차 지연고장은 적용 전보다 많이 감소하였으나, 일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정상 동작하는 출입문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고장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고장예측 알고리즘의 높은 신뢰성을 얻기 위하여 이동평균 데이터 분석 방법을 통해 고장을 예측할 수 있는 고장예측 기준을 설정하였다. 새로운 알고리즘은 모터 전류 분석을 통한 고장예측 방법에서 부족하였던 모든 상황에서 이상 동작을 잘 검출하였다. 플러그인 타입 전동차 출입문은 구동 모터에 의해 기계적 인터페이스 과정을 거쳐 열림, 닫힘 과정을 반복하는 시스템으로 전체 동작 거리와 동작 시간 동안 모터 전류 변화량을 분석하면 열림과 닫힘 과정에서 승객과 부딪힌 충격 등으로 인해 롤러 및 벨트의 손상과 이상 마모 등의 문제로 발생하는 출입문 고장을 예측할 수 있다.

      • 가솔린 기관의 배출가스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

        김상현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서울 등 대도시의 경우 자동차 배기가스가 전체 대기오염 배출량 중 80%(가솔린 및 디젤 자동차 배출가스)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환경부의 보고가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대기오염문제의 심각성 때문에 환경 오염물질 배출규제를 위한 법규를 강화하고 있으며, 자동차 배기가스 검사 방법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감독하기 위해 새로운 환경오염 제도를 도입 하고 있다.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는 연소실에서 연소한 연료가 연소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가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 되는데 그 내부에는 많은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취지로 우리나라도 선진국에서 환경오염규제목적으로 시행하는 운행차 배출가스 정밀검사를 2002년 5월부터 광역시를 비롯한 인구 50만 이상지역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으며, 매년 확대 시행하여 2~3년 후에는 전국적으로 시행할 예정으로 있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는 환경오염이 자동차 배출가스에서 기인하며, 운행 자동차인 경우 배출가스억제 방침으로 자동차의 철저한 점검 및 정비가 유해 배출 가스양을 줄이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험하고 자료를 분석 하였다. In large cities such as Seoul, automobile discharged gas takes up 80% of the atmosphere contamination as repor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Currently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strengthening laws and regulation against environment contaminating substance discharge regulation due to the seriousness of the contamination problem of the atmosphere, and introduced new environmental pollution system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and supervise method of automobile exhaust gas. The discharged gas from automobile gets discharged through discharging pipe as high pressurized combust gas as they get combust in the combustion area, and this contains various harmful materials. For this effect, our country will enforce same vehicle discharge gas inspection as the developed countries with the purpose to environmental pollution regulation starting from May 2002 against cities with over 500,000 residents such as a big city. It also will be expanded every year, and after 2-3 years it will be carried out through out the whole country. These series of measures has been experimented and the results has been analyzed in the aspect which, environmental pollution are caused by discharged gas by automobile, and in the case of operating automobile, through restraining discharging gas policy the amount of discharged toxin gas will be decreased thorough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automobile.

      • 한약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발효한약 유용성에 관한 연구

        김상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발효식품들에서 발효는 당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식물이든 다른 재료든 포함하고 있는 포도당과 같은 당을 미생물이 유기산, 알코올 등과 같은 종류로 변화시킨다. 그런 관점에서 보았을 때 발효한약에서 쓰이는 발효와는 다르다. 단백질이 분해되어 아미노산으로 변하듯이 물질이 분해되어서 유용한 성분으로 바뀌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한약의 경우는 이미 한약자체가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지만 그 작용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발효를 선택한다. 발효법제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형태학적으로 분류하여 진균, 효소, 세균 가운데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식용 미생물을 이용하게 되는데 주로 이용된다. 음식물의 소화, 흡수대사와 장내세균에 대한 연구는 더욱 가속화되며 락토 바실러스 같은 균의 순 작용 또한 같이 작용하는 효과도 볼 수 있다. 순수 액체발효 또는 순수 고체발효 방법을 이용하여 한약재를 수치법제 한다. 순수 액체발효에 의한 수치법제는 한약재를 완전히 물속에 넣어 물을 매체로 이용하여 액체상태의 발효한약을 얻는 것이고, 순수 고체발효에 의한 수치법제는 한약재를 공기에 완전히 노출시켜 공기를 매체로 이용하여 고체상태의 발효한약을 얻는 것이다. 발효법제과정에 한약재가 다른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멸균수와 무균공기를 발효매체로 사용한다. 발효한약의 대표적 장점 6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약재가 저분자구조로 분해되어 체내흡수율이 높다. 둘째,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여 생체이용률이 높다. 셋째, 약효성분이 많이 추출된다. 넷째, 부작용이 없고 비교적 체질에 관계없다. 다섯째, 색이 연하고 맛이 순하여 어린이들도 먹기 편하다. 여섯째, 농약이나 독성 등 각종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다. 발효는 약효성분의 체내흡수율과 생체이용률을 모두 극대화시킨 가장 과학적이고 안전한 수치법제 방법이다. 최근 미생물을 다루는 기술이 고도로 발달하여 발효한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연속 반복적으로 균일하게 확보하고 있다. 발효한약의 이러한 안전성 및 유효성 확보 외에 새로운 유효물질에 대한 기대도 크다. 예를 들어, 발효삼의 경우 기존의 인삼사포닌에서 발견되지 않은 활성사포닌이 생기는데, 이는 암 등의 난치병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최근 발효제품을 생산하는 업체가 우후죽순처럼 생기고 있다. 발효한약은 많은 장점과 함께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발효법제 설비 투자에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된다. 둘째, 발효법제 기술 개발에 많은 시간이 사전에 소요된다. 셋째, 발효법제기 설치장소와 조작인력이 별도로 필요하다. 넷째, 발효법제 시간이 길어 즉각적인 조제처방이 곤란하다.

      • 위암에서 Transcription Factor 4 프로모터의 CpG 메틸화 연구

        김상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Epigenetic silencing of tumor-related genes by CpG island methylation is an important mechanism for the development of many tumors, including gastric carcinoma. DNA methylation of multiple CpG sites in the promoter regions of several tumor-related genes such as hMLH1, p14, p16, and APC has been reported in human cancers. Deregulation of transcription factor 4 (TCF4) by promoter methylation was recently shown to play a key role in gastric carcinogenesis. In the present study, we quantified the methylation of multiple CpG sites in the TCF4 gene using bisulfite-treated DNA amplified by PCR, followed by pyrosequencing. As promoter methylation is a principal mechanism of epigenetically down-regulating genes, the status and level of CpG methylation in the promoter region of the TCF4 gene were analyzed in early and advanced gastric carcinomas (GC), compared with normal gastric mucosa. The gene product was analyz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hylation profile of the promoter and clinicopathological variables was examined. Materials and Methods: The extent of methylation in the TCF4 gene promoter was assess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using methylation-specific PCR (MSP) and pyrosequencing (PS) in 60 early gastric carcinoma (EGC) and 60 advanced gastric carcinoma (AGC) samples collected during gastrectomy, and in 40 normal gastric mucosa samples collected from patients with benign gastric pathology. Results: A CpG island in the TCF-4 gene promoter was methylated in 81 (67.5%) of the 120 primary GCs, based on MSP. The PS analysis of GCs revealed a higher frequency of TCF4 methylation (75.8%; 91/120). The methylation frequency for the TCF4 gene by both the MSP and PS techniqu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vanced (75.0% and 91.7%, respectively) compared with early (60.0% and 60.0%, respectively, p < 0.05) G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CF4 methylation between GCs and normal gastric tissues (67.5% vs. 40.0%, respectively, by MSP and 75.8% vs. 30.0%, respectively, by PS; p < 0.05). In the 120 GC sample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two methods were concordant in 94 (78.3%) and discordant in 26 (21.6%, p ≤ 0.001) cases. The mean methylation levels of the 17 CpG sites in the TCF4 promoter as determined by PS were 3.6, 7.6, and 7.7% in normal gastric tissue, EGCs, and AGCs, respectively. In the 120 GCs tested by PS, the mean level of TCF4 promoter methylation as determined by MSP was 2.3% in unmethylated cases (39/120, 32.5%) and 9.6% in methylated cases (81/120, 67.5%). Methylation of the TCF4 promoter as determined by both methods was closely correlated with reduced or absent TCF4 protein expression (p < 0.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CF4 methylation status by PS and tumor size (p = 0.004), Lauren classification (p = 0.043), depth of invasion (p < 0.001), and nodal metastasis (p = 0.021). However, the survival curve of GC patients with TCF4 methylation by PS was not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atients without methylation (p = 0.18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CF4 methylation occurs frequently in the early stage of gastric carcinoma progression and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own-regulation of TCF4 expression. Inactivation of the TCF4 gene by promoter methylation may play a role in the early stage of gastric carcinogenesis and may be associated with better prognosis. Furthermore, standard PCR followed by PS may provide a more specific and quantitative diagnostic alternative to MSP, because it produces a more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distribution of DNA methylation throughout the promoter regions of specific genes, which may be of benefit in oncology research.

      • 가야금 분석을 통한 가상악기 연구 : 25현가야금을 중심으로

        김상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한국악기를 재료로 사용하여 음악을 제작하는 이들에게 가야금의 구조와 특성 및 조율방법을 밝히고 음향 분석을 통해 가상악기화하여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야금에는 전통적 12현의 형태인 신라금, 법금, 산조가야금이 있으며 개량된 순서로 13현, 15현, 17현, 18현, 19현, 20현, 21현, 22현, 25현가야금이 있다. 이 여러대의 특성 가야금 중에 현재 활용빈도성이 가장 높은 25현가야금을 본 논문의 연구과제의 가상악기 재료로 선택하였다. 25현가야금은 다수 대학의 국악관련학과에 정규 커리큘럼으로 포함되어 교육측면적인 방면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또한 전통가야금에 비해 평균율에 근거한 7음계의 조율체계를 가지고 현재 작곡자들과 연주자들의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기에 25현가야금을 선택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25현가야금을 활용하는 연주자들에 음의 배열 활용도를 통한 음원 매핑에 충실하였으며 음원의 Band Pressure Level을 정리하고 Envelope와 Harmonic을 분석하여 가상악기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통음악적 시김새(연주기법)를 정리하여 그 활용에 중점을 두었으며 시퀀서 프로그램상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주기법으로는 가야금 연주시 활용성이 높은 추성, 퇴성, 전성(굴림), 막는음, 다루, 농현, 꺽는음의 7가지에 대한 설명과 이 연주기법이 사용된 예시 자료도 제시하여 제작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showing music producers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a Gayageum and ways to tune it using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utilizing the Gayageum by making it a virtual instrument through an analysis of sound. There are many kinds of Gayageum. Sillageum, Beopgeum and Sanjogayageum which are traditional form of the Gayageum have 12 strings and there also are improved versions of Gayageum with 13, 15, 17, 18, 19, 20, 21, 22 and 25 strings, respectively. For this research, a 25-stringed Gayageum which is being used most frequently has been chosen. As the 25-stringed Gayageum has been included in their regular curriculum and has joined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in a large number of colleges, it has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erms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25-stringed Gayageum has a seven-note tuning system based on the equal temperament compared with Beopgeum and Sanjogayageum which are traditional versions with a five-note tuning system, so many composers and performers are actively using it. For this reason, the 25-stringed Gayageum was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is faithful for mapping a sound source through the level of usage of the sound arrangement of performers utilizing the 25-stringed Gayageum, the band pressure level of the sound source was arranged and the envelope and harmonic were analyzed by using the instrument as a virtual one. Finally traditional musical performing techniques were arranged centering its use and ways to utilize it on sequencing programs were suggested. This research explains about performing techniques regarding seven sounds, including "Chuseong," "Toeseong," "Jeonseong,'' "Daru" and "Nonghyeong," which are being frequently used while playing a Gayageum. Cases in which the seven playing techniques are used were illustrated to help producers utilize them.

      • 한자 형태소의 의미 투명도와 조어력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확장 교육 방안 : 토픽 초급·중급 어휘를 중심으로

        김상현 경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자 형태소의 의미 투명도와 조어력을 활용하여 한국어 어휘를 확장하고, 한국어능력시험의 어휘 중에서 한자어 어휘를 익히는 데 도움을 주는 것에 있다. 아울러 한자 학습이 아닌 ‘한자 형태소’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와 교육적 활용이 한국어 어휘 학습에 유의미하며, 이를 통해 인식한 한자 형태소의 의미를 바탕으로 사고와 추론을 통해 더 많은 어휘를 확장하도록 하는 틀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을 동시에 갖고 있다. 한자는 대부분 한자 자체로 뜻을 가지고 있는 독립된 형태소(形態素)로써 이 한자들을 서로 조합하면 다양한 한자어 어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독립된 형태소의 의미를 한자에 대입하여 뜻을 유추할 수 있다는 것을 학습자 스스로가 알 수 있다면 어휘 학습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자 형태소의 의미 투명도와 조어력을 활용해 학습하고자 하는 연구의 대상으로 한국어능력시험(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의 어휘 목록을 기준으로 하여 선별하였는데 이는 국립국제교육원에서 공개한 <토픽어휘 공개목록(2015)>이다. 또한 학습 대상은 비한자문화권 학습자와 한자문화권 학습자를 나누지 않고 모두 포함하며, 한국어를 공부하는 목적에 있어서는 학문목적이나 일반목적 또는 직업목적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포함하였다. 한자어를 구성하고 있는 한자의 의미 투명도가 높고 학습자가 해당 한자에 대한 인식이 높다고 한다면 한자어 의미를 쉽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교육적인 의미가 있는 한자를 추출 과정을 거쳐 한자 형태소의 의미 투명도가 높고 조어력의 질적인 면이 풍부하여 토픽어휘 학습에서 유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한자와 한자어 어휘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교육적인 의미가 있는 한자를 추출하기 위해 한국어 한자ㆍ한자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선행연구를 통해 주제별로 분류하여 정리하고 검토하였다. Ⅱ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한국 한자어의 역사와 특징을 살펴보고 한자 형태소의 의미 투명도와 조어력에 관한 용어의 정의 및 개념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내용을 토대로 한자ㆍ한자어 선정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한 한자 목록을 바탕으로 토픽어휘 목록에서 유의미한 학습을 할 수 있는 한자 목록을 선정하고 한자어 어휘 선정 과정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이렇게 하여 한자는 40개, 한자어 어휘는 초급에서 활용 가능한 한자어 어휘가 301개, 중급에서 703개로 모두 1,004개 가운데 중복된 한자어 151개를 제외하고 853개의 한자어 어휘를 선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의미 투명도의 교육적 활용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능력시험 학습용 기초 한자ㆍ한자어 교수-학습을 전제로 한국어 어휘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활동지를 난이도에 따라 고안하고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흐름과 결과를 정리하여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를 서술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에서 본 연구를 더욱 발전시키고 활용하기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한자ㆍ한자어 어휘의 목록과 한국어 어휘 확장 학습 방안이 실제 한국어능력시험을 준비하는 학습자나 한국어능력시험의 어휘에 대해 학습욕구가 있는 학습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 아울러 학습자들이 새로운 한자어 어휘를 접할 때마다 형태소 하나의 의미를 바탕으로 어휘 전체의 의미를 추론하는 사고를 풍부하게 하고 언어적 경험을 신장시키는 데 밑거름이 되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나아가 한자 형태소의 의미 투명도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한국어 어휘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력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