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현상 연구

        김복순 백석대학교 기독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들의 심리사회적 현상의 특성과 구조를 탐구하고, 심리사회적 현상에 대한 신앙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정신질환자 자녀를 둔 40~60대의 기독교인 어머니 7명을 심층면담 하였으며, 이들은 서울000교회 정신질환자들의 회복을 위한 자조모임인 ‘한마음치유공동체’에서 표집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어머니들에 대한 심리사회적 현상을 환원적으로 분석하고, 그것들을 상호 관계로 연결하여 총체적인 현상을 볼 수 있는 Paul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중심 현상은 ‘고통의 밑바닥에서 천국을 소망하며 살아내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어머니들의 ‘심리사회적 현상의 특성’과 ‘심리사회적 현상에 대한 구조’그리고 ‘심리사회적 현상에 대한 신앙적 의미’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현상의 특성으로는 ‘발병에 대한 절망감’, ‘발병 요인에 대한 원망감’, ‘양육자로서의 자책감’, ‘돌봄의 가혹한 부담과 고통’, ‘자녀에 대한 연민’, ‘가족관계에서의 고립감’등이 나타났다. 먼저, 참여자들은 자녀에게 정신질환이 발병한 것에 대하여 절망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들은 병의 진단 결과에 대하여 부정하였으며, 진단으로 죽고 싶을 만큼의 충격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은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사회적 편견에 따라 불가피하게 병을 은폐할 수밖에 없었음이 드러났다. 또한 참여자들은 지금은 돌이킬 수 없는 과거의 삶을 후회하고, 잘못된 만남과 가족환경을 원망하고 있었다. 이들은 정신질환의 발병요인을 선천적·환경적·종교적인 영향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참여자들은 정신질환자를 돌보면서 ‘양육자로서의 자책감’에 시달리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들은 정신질환에 대한 무지를 후회하였고, 부적절한 부모 역할로 인하여 돌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에 대한 아쉬움이 컸다.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어머니들은 ‘가혹한 부담과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들은 자녀의 예측할 수 없는 행동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 병의 만성화로 인한 좌절과 절망, 심각한 병적 증상으로 거의 매일 난감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또한, 이들은 반복되는 병 수발로 자신도 환자가 되어가고, 자녀의 입·퇴원의 반복적인 생활로 감당하기 힘든 삶을 하루하루 지탱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참여자들은‘자녀에 대한 연민의 정’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들은 자녀의 투병과정을 지켜보며 안쓰러워했고, 자녀의 건강했던 옛 모습에 대한 그리움으로 측은한 마음을 떨치지 못했다. 그리고 참여자들은‘가족관계에서 고립감’을 경험하였다. 이들은 자녀의 병에 대하여 비협조적인 남편과 갈등이 많았고, 돌봄에 대한 무관심으로 부부관계가 소원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은 때론 남편이 부담스러운 존재로 느껴지기도 하고, 가족 구성원들끼리 역기능적인 관계가 형성되어 불가피하게 각각 분리된 생활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심리사회적 현상의 중심 특성으로는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어머니들은 가혹하리만큼 힘든 고통과 부담으로 ‘살려고 해도 살 수가 없고 죽으려고 해도 죽을 수가 없는 삶’을 하루하루 지탱하며, 절박하고 처절한 고통상황에 놓여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만성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어머니들의 심리사회적 현상의 구조로는 절망단계, 원망단계, 고통단계, 치료적 노력단계, 수용단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절망단계는 진단 결과에 대한 충격, 사회적 편견 등에 대한 절망을 포함하며, 원망단계에서는 발병의 요인과 자기 자신에 대한 원망이 발견되었다. 고통단계에서는 돌봄에 대한 부담, 재발, 갈등 등이 주된 내용이었다. 치료적 노력단계에서는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 다양한 노력 등이 있었고, 마지막으로 수용단계에서는 신앙의 성숙, 자기발견, 긍정적 변화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연구에서 드러난 참여자들의 심리사회적 현상의 구조는 하나의 연속선상의 발달 과정이 아니라, 돌보는 어머니의 심리상태나 개인적인 특성, 신앙의 성숙, 주위환경, 자녀의 문제증상, 그리고 사회적 여건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 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셋째,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현상의 신앙적 의미는 ‘하나님을 의지함’, ‘신앙의 성숙’, ‘자기를 발견하는 기회를 얻음’, ‘신앙공동체를 통해 유익을 경험함’으로 발견되었다. 먼저, 참여자들은 자녀 병의 치료와 위기상황에서의 보호를 오직 하나님께 맡기고 의지함이 발견되었다. 참여자들은 신앙의 성숙으로 자녀가 살아있는 것만으로도 감사하고, 고난을 유익으로 받아들이며, 신앙 안에서 자기의 정체성을 발견하는 기회를 찾아감이 확인되었다. 또한 그들

      • 초등학생 노인인식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복순 단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and aging by us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make more manifest consideration and an appreciation of society as a multi-generational whole. The end result will be the foundation of a fundamental concept for the continuous, effective and societally salutary educational program focusing on our appreciation towards the elderly. To achieve our aims, the following are the detailed main investigations through accomplishment for the research. Firstly, an elderly-centered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tested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ly, the program's efficiency was verified. It was about the students' responses and experiments about the elderly. The verification was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involving the elderly among the comparison groups, preconception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general verbal descriptions of the elderly and if there's difference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gender. The investigation was implemented using fourth-grade students from Class One in Kyunggi Province. Fourth-graders in other classes were set as comparisons. This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ducation program during the students' voluntary activity period for 8 weeks by experiment group. The education program and research tools were gathered and re-developed from precedent research criteria and results coupled with the oversight of an expert in the field of education. An SPSS/PC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prove the program's effectiveness. Technical statistics was relied upon for average analysis and standard deviation, while ANCOVA was used to verify the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Firstly, most students answered that they never had learnilg experiences about the elderly before this research in the result of the analyzation about students' responses which is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the elderly. The rate of the students' number was mostly high that the program was exciting and easy, they could understand the elderly more through learning, and the way of learning and teaching were appropriate. Secondly, the result of the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understanding toward the elderly,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s. The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 made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to positive responses through the above results. Thirdly, the dramatic differences of preconception about the elderly and the young were observ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changes in age -preconception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s. Understanding program for the elderly was effective to change student's preconception about age. Fourthly, differences in attitude and recognition on how to describe the elderly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s. Overall regard or esteem of the description toward the elderly was changed more positively through the understanding program. Lastly,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in changes about age-preconception were found between the sexes. But, there's no difference about the recognition how to describe the elderly. The females had changed their attitude, recognition toward the elderly more positively and they have less preconception about age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To modify the effectiveness about education process regarding the elderly is to be suggested by this investigation, as followed: Firstly, the curriculum and education about understanding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and taught for elementary students but should not be negative recognition, preconception about the elderly because they obtain the comprehension early in life. Secondly, the curriculum in school should be stressed throughout the program that understand about the intellectual, emotional, physical features of the elderly in order to re-correct the inappropriat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about the elderly and aging. Thirdly, understanding program about occupations should be done during career advisement, since there'll exist an increased elderly workforce in the future. Fourthly, curriculum which cooperate with the elderly should be built and fostered between the generations to emphasize and exchange the positive aspects of each through activities such as joint field trips and other educational endeavors. Fifthly, teachers should focus upon the various methods and data available in education, as well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volunteer acts, which would help engender consideration and appreciation of the elderly through education. Lastly, the further studying about analyzation the factors need to be done depending on the different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gender.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노인과 노화에 대한 바른 이해를 증진시키고, 모든 세대와 더불어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세대공동체적 삶의 태도를 고취시켜 주기 위해, 노인인식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수행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대상의 노인인식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 하였다. 둘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하였다. 효과 검증은, 노인인식 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반응과, 실험. 비교집단간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 노인과 젊은이에 대한 연령고정관념의 차이, 노인을 표현하는 용어 인지의 차이를 검증 하였으며,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경기도 시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4학년 1학급을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실험집단으로 선정 하였고, 다른 1학급을 비교집단으로 선정 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가족의 구성, 인구구조의 변화, 노인과 노화에 대한 지식, 노인과 더불어 살기 등 4개 영역으로 구성 하였다. 재량활동 범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8 주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교육프로그램과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와 교육전문가의 지도를 받아 연구자가 수정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노인인식 교육프로그램 적용 결과에 대한 검증은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하였다. 기술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계산 하였으며, 집단간 의의있는 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ANCOVA 분석 방법을 사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인식 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실험 전에 노인에 관한 학습 경험이 없었다고 응답 하였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이 흥미가 있었고, 학습을 통하여 노인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학습내용은 쉬웠으며,수업 방법이 적절하였다고 응답한 학생 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노인에 대한 태도 변화의 차를 검증한 결과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노인과 젊은이에 대한 연령고정관념의 변화 검증 결과, 노인과 젊은이에 대한 고정관념 모두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노인인식 교육은 초등학생들이 갖고 있는 연령고정관념을 보다 유연하게 변화 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노인을 표현하는 용어 인지에 대한 변화의 차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노인인식 교육을 통하여 초등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표현 용어가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남․여 집단간 노인에 대한 태도, 연령고정관념 변화는 차이가 있었으나, 노인을 표현하는 용어인지에 대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 집단이 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변화 되었으 며, 연령고정관념이 더 적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인식 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하였다. 첫째, 노인에 대한 인식은 어릴 때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노인인식 교육을 통하여 노인에 대한 부정적 견해나 태도, 고정관념을 갖지 않도록 노년기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세대간 갈등 즉 노인과 노화에 대한 그릇된 편견과 오해의 수정 을 위하여 노인들의 삶과 그들의 지적, 정서적, 신체적 특성을 이해시킬 수 있는 학교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미래의 고령사회는 노인들을 위하여 혹은 노인들과 더불어 일하는 직업이 증가할 것이므로, 학생들의 진로지도 시 노인 관련 직업인식 교육이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넷째, 세대공동체 교육을 위하여 노인복지시설 견학 및 봉사활동 등 현장체험학습과 노인과 함께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편성・운영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사들은 노인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와 학습방법을 구안하여 교과, 특활, 재량활동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성별에 따라 노인인식 교육의 효과가 다르므로, 그 요인 분석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 아동의 숙제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김복순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homework, which took a large portion in our country's primary education, an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effective homework guidance by analyzing children's recognition of homework and actual condition of guidance offered to them. For achieving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what would be the actual state of homework guidance offered by elementary teachers? Second, what would be the actual condition of homework guidance offered by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rd, what would b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ttitude to do their homework? Fourth, What would b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homework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The research in literature was made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collect opinions of homework.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eachers in charge of the fourth to sixty-year classes, children and parents, who belonged t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a city, Kyunggi province, and selected randomly as a parent group.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as employed to do statistical handling of 370 questionaries that were found valid(115 from teachers, 120 from children and 132 from parents). A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subjects" understanding of homework, and x^(2)(chi-square) test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disparity in understanding among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the fourth-to sixty-year classes understood homework as a means of preparation or review of lesson or supplementary study, rather than as a process of teaching-learning. So they assigned homework extempore that was easy to do, and chose and handy evaluation method, and didn't feel so much the necessity of offering homework guidance under linkage with parents.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homework shall change, and it" s needed to prepare diverse homework illustrations by domain and detailed homework guidance theory that can be applicable to the field. Second, the fact that the content of homework leaned toward social study or mathematics meant the contents of the two subject matters to be guided were more than what could be dealt with in allocated class hours. Teachers need to put active efforts on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putting aside the existing idea that the contents of textbook must be taught all. The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prepare and supply learning materials to social study which mainly assigned homework about data surveyor collection. Third, as children and teachers had different understanding of homework in various aspects, it's needed to try to grasp how the subject of homework solve and understand it. Fourth, there were disparities between teachers' recognition of homework and their actual homework guidance. This was because it's difficult for them to work out homework plan systematically due to administrative affairs or instructions that were finished late in the afternoon. If homework content is planned and offered in advance with curriculum at the beginning of a term, children will improve learning capability for themselves, by setting up a long-term homework plan and studying a solution, and teachers also will be ready for instruction better. Fifth, parents showed double-side attitude toward homework. They were skeptical about the effect of homework but thought homework was necessary. While they answered they helped their child do homework, they were found, virtually, not to help their child solve a question that the child failed to solve and must be guided. Besides, they didn't make efforts to improve the dissatisfaction at homework, even though they wanted to receive education in homework guidance. A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gether to provide homework guidance effectively, parent opinion shall be accepted to offer guidance under linkage between family and school, and parent involvement in homework guidance shan be stimulated actively. Sixth, both teachers and parents felt the necessity that learning material of place needed for doing homework should be prepared at school. But the focus of future studies shall be placed also on the attitude of children who won't choose school as a place of homework solution even on the assumption that school are equipped with everything needed.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초등교육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숙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아동의 입장에서 숙제가 운영되고 있는 실태와 숙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숙제 지도에 참고가 될 지초 자료를 확보함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루어진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제의 의의와 목적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숙제 지도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학부모의 숙제 지도 방법은 어떠한가? 넷째, 초등학교 아동의 숙제 수행 태도는 어떠한가?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 아동간의 숙제에 대한 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 및 설문지를 통한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의견 조사는 경기도의 시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4~6학년 학급의 담임과 아동, 그리고 학부모를 모집단으로 무선표집 하였으며, 유효 응답 설문지 370부(교사 115, 아동 120, 학부모 135)의 통계 처리를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이 숙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이 용하였으며, 교사, 학부모 그리고 아동간의 숙제에 대한 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x^(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6학년의 담임 교사는 숙제를 교수-학습의 한 과정이라기보다는 예습, 복습이나 보충 학습의 한 방편으로 지도하고 있어, 해결이 용이한 내용의 숙제를 즉흥적으로 제시하고, 손쉬운 평가 방법을 택하게 되며, 학부모와 연계한 숙제 지도의 필요성도 그다지 느끼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숙제를 제시하는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제고되어야 하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숙제 지도 이론과, 영역별로 다양한 숙제의 예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숙제의 내용이 사회 교과나 수학 교과에 편중되어 있음은 두 교과에서 지도할 내용이 배정된 수업 시간에 비해 많음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료 조사나 수집에 관한 숙제가 많이 제시되는 사회 교과를 위한 국가 수준의 학습 자료 제작과 공급, 그리고 '교과서의 내용은 모두 가르쳐야 한다'는 기존의 사고에서 벗어나 교육 과정을 재편성하여 지도하려는 교사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숙제에 대한 인식은 실제의 숙제 지도 실태와는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행정적인 업무나 오후가 되어서야 끝나는 수업 등으로 인해 숙제를 체계적으로 계획, 조직하고 지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학기 초 교육 과정 편성과 함께 숙제의 내용을 조직하고 미리 제시한다면 장기적으로 숙제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해결 방법을 연구하는 과정을 통해 아동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고, 효율적인 숙제 지도와 함께 교사의 수업 준비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아동과 교사는 숙제에 대해 여러 가지로 인식을 달리하고 있어, 숙제의 주체가 숙제를 해결하는 상황과 숙제에 대한 이해도 등을 정확히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부모는 숙제에 대해 양면적인 태도를 보인다. 현행 숙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면서도 숙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아동의 숙제를 도와준다고 응답하나, 아동이 해결하지 못해서 정작 지도가 필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돕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학교에서 숙제 지도를 위한 학부모 대상의 교육을 실시할 것을 원하지만, 숙제에 대해 가지고 있는 불만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하지 않고 있다. 숙제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는 학부모와 교사의 일치된 노력이 필요하므로, 가정과 학교의 연계 지도가 잘 이루어지도록 학부모의 의사를 수용하고, 숙제 지도에 학부모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사나 학부모는 학교에서 숙제 해결에 필요한 학습 자료나 장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느끼고 있다. 그러나 모든 것이 다 갖추어져 있다 하여도 학교를 숙제 해결의 장소로 선택하지 않는 아동들의 태도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DRG 지불제도의 수용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金福淳 建陽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DRG지불제도가 전 의료기관으로 확대 시행될 시에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수용도 증진방안에 목적을 두고 서울지역 의원급 가운데 DRG참여 58기관, 비참여 52기관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5일부터 19일까지 우편을 통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의료기관 특성이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서는 여성이, 연령은 41~50세, 경력년수는 10년미만, 진료과목은 안과, 병상구분은 5명상이상, 재원일수는 2일이하, 평균환자수는 3~5명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2.DRG지불제도 특성이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긍정적 특성에 대한 태도에서 총체적 의료비 절감, 적정진료의 기대, 의료인과 보험자간 마찰 감소항목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부정적 특성에 대한 태도는 의료서비스의 질 저하항목이 다소 높았지만 수용도 영향요인은 아니었다. 3. 참여기관의 DRG지불제도 참여후의 변화정도와 만족도는 참여후의 변화인 새로운 경영기법의 필요성, 이의신청 감소, 환자 본인부담금 감소, 의료서비스 제공량 감소와 DRG지불제도만족이 수용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DRG지불제도 적용대상범위에 대한 태도는 임의신청기관만을, 입원환자만을 ,현재 DRG진료과목만을, DRG수가와 행위별수가의 병행을, 행위별수가제의 대안인지에 대해서는 아니다항목이 수용도와 관련성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 DRG지불제도 참여 여부에 따른 수용도 영향요인은 현재 DRG지불제도 참여기관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이 연구결과로 미루어 DRG지불제도의 수용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DRG지불제도의 긍정적 특성, DRG지불제도 참여후의 변화정도와 만족도, 적용대상범위에 대한 태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기에는 그 크기라 매우 작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DRG지불제도의 수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는 전국 병·의원을 대상으로 보다 심층적인 조사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purposed to analysis influences on the perception of acceptability of DRG system expanded into all medical facilities and to elevate the degree. The inquiry research was carried out to 58 DRG facilities and 52 not-DRG facilities located in Seoul, by mail from 5 to 19 October 2002. The essential outcomes of the research about influences on the degree of acceptability of DRG system were as followings; 1. The features of populational xociology and medical facilities of the subjects investigated; Female sexuality, age of 41-50, career under 10 years, ophthalmology, beds more than 5, length of stay less than 2 days, and average number of 3-5 patients indicated high degree, but they didn'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2. The specific characters of DRG system; On the category of attitude to affirmative features, items of influence on the acceptable degree were curtailment of total medical expenditure, expectation of appropriate medical care and reduction of friction between medical society and insurer, while on attitude to negative features, the lowering quality of medical service showed somewhat many responses, but it didn't influence the degree. 3. Extent of change and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on in DRG system; necessity of efficient management, cutting down appeals, decreasing of patients' sharing reduction of furnishing medical service, which were changes after the facilities took part in DRG system, and satisfaction with the new system acted on chief factors on the degre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4. Recognition of the scope of its applicable subjects;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system must apply to facilities which take voluntary part in it, inpatient, current treatment subjects of DRG, medical fees of DRG system keeping pace with fee-for-service system. And their response, containing another reply, i.e., the new system could not an alternative plan to fee-for-servic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much relation to its acceptable degree. 5. Whether participate in the new system or not; Current facilities participating in DRG system worked on the degre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most influences on the degree of acceptability of DRG system sere affirmative features of the system, extent of change and satisfaction after enforcement of it and recognition of the scope of its applicable subjects. But the size of sample in this research was too small to represent the population. After this, A study to raise the acceptable degree of DRG system needs to invest and analyze more deeply with nationwide hospitals and clinics.

      • 헥사날에 의한 라면의 저장성 예측

        김복순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라면을 밀폐용기에 넣고 35-65℃의 빛이 없는 조건에서 저장하면서 변패취와 헥사날 농도의 변화로 부터 라면의 품질 수명을 예측하고, 헥사날 농도와 산가 또는 과산화물가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헥사날은 모든 저장 온도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헥사날의 생성 속도 상수 값은 아레니우스식에 따랐다. 헥사날 생성의 활성화 에너지 값은 12.7 kcal/mole이었고, 온도 계수는 1.92이었다. 저장중 라면의 변패취는 65℃에서는 6일 째에 50℃에서는 13일 째에 나타났으며 이때 헥사날의 농도는 3.5ppm이었다. 이를 기준으로 헥사날 생성의 온도 계수로부터 예측한 라면의 실온(21℃)에서의 품질 수명은 110일 이었다. 각 저장 온도에서 라면이 변패취에 도달하는 기간 동안의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모두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들의 활성화 에너지 값은 모두 16.0 kcal/mole, 온도 계수는 2..55 이었다. 각 저장 온도에서 핵사날 농도는 산가와 과산화물가와 모두 유의적인 상관 관계를 보였다. The shelf-life of instant noodle stored at 35℃ - 65℃ under dark condition was estimated from the changes of hexanal content, which was linearly increased as the storage time increased. The rate constants of hexanal production at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followed Arrhenius relationship. The activation energy and Q_(10) calculated were 12.7 kcal/mole and 1.92, respectively. The rancid flavor was organoleptically detected after 6 days at 65℃ and 13 days 50℃, at which the con- tent of hexanal was 3.5 ppm. The shelf-life of instant noodle at 21℃ based on Q_(10) value of hexanal production was about 110 days. The changes of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of instant noodle during storage followed similar pattern to those of hexanal. The activation energy and Q_(10) for both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were 16.0kcal/mole and 2.55, respectively. The haxanal content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acid value as well as peroxide value at all storage temp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