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자가 인지한 의료서비스 품질이 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하노이 A 병원 이용자를 중심으로

        김보하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베트남은 급속도로 경제발전이 이뤄지면서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다. 의료비 지출 역시 빠르게 상승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베트남은 보건의료 개혁으로 정책 시스템을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적극적인 변화 시도에도 불구하고 의료시장 및 서비스체계는 개선해야 할 과제들이 산재해 있다. 열악한 공공의료서비스와 인력난, 높은 의약품 가격은 베트남 의료서비스 산업 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공공병원은 대부분 지어진 지 20년이 넘었으며, 시설, 장비뿐 아니라 직업훈련 및 의료서비스에 대한 개선도 함께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베트남은 환자 입장의 만족도에 관한 심도있는 연구는 드물었으며, 실제 병원 관리자는 경험에 의존하며 환자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환자만족도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의료서비스품질의 중요성을 지각하고 환자의 만족을 위한 지속적인 시스템 개선 활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의료서비스의 확대 및 정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환자가 인지한 의료서비스품질 중 유형성, 접근성, 신뢰성이 환자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환자만족도의 매개효과와 병동유형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대한보건협회에서 베트남 하노이의 A 공립병원에 내원한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자료원으로 하고 있으며 총 28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모형 및 가설검정을 위해 SPSS 27.0과 AMOS 2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우선 차이분석에서 환자가 이용한 병동 유형에 따른 차이는 유형성과 접근성 부분에 H병동(VIP) 환자들의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진료 횟수에 따른 차이에서는 2회 이상 진료받은 환자가 초진집단 환자보다 재방문의도가 더 높았고, 5회 이상 진료받은 환자가 초진집단보다 환자만족도가 더 높았다. 진료예약 선호방법에 따른 차이에서는 사전예약을 선호하는 집단에서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접수 대기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30분 미만으로 접수대기를 한 환자가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분석되었다. 반면에 성별, 연령, 학력, 월평균 수입, 입원 이력, 예약 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다음으로 환자가 인지한 의료서비스품질 유형성, 접근성, 신뢰성이 환자만족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의료서비스 품질 항목 유형성, 접근성, 신뢰성 모두에서 환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재방문의도에서는 접근성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환자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자만족도는 의료서비스품질 중 접근성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고, 신뢰성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며, 유형성에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동유형은 의료서비스품질 중 유형성이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신뢰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의료서비스를 지원하는 가시적 서비스, 이용의 편리함, 진료에 대한 신뢰 등이 환자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환자가 처음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마지막까지의 모든 접점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기관의 접근이 쉬울수록, 사용이 편리할수록 재방문의도가 높아지므로 의료기관에서는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한다. 이러한 환자가 인지한 접근성과 신뢰성은 전반적인 환자만족도를 높이고 이는 재방문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관은 VIP병동뿐 아니라 일반병동의 물리적 환경과 장비 등이 환자만족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환자에 대한 배려와 정확한 의료서비스 수행으로 재방문의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 반(反) 위조명품 광고가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광고메시지, 제품제시방식, 자기해석의 역할

        김보하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으로 위조품 판매가 가장 많이 성행하고 있는 나라들 중 하나인 한국은 국내 패션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과 건전한 소비윤리 정착을 위하여 위조명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낮출 수 있는 대안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시적이고 상징적인 소비 성향을 갖는 패션 제품에 주목하여, 사회순응적/ 가치표현적 메시지 유형과 위조명품의 제시방식, 소비자 개인의 자기해석의 삼원상호작용(three-way interaction)이 위조명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위조명품에 대한 위험지각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는 독립적인 소비자보다 상호의존적인 소비자의 위조명품 태도와 구매의도가 더 높지만, 사회순응적 메시지가 노출됐을 때에는 상호의존적인 소비자의 위조명품 태도와 구매의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 위조명품이 단독으로 노출되는 분리제시 상황 보다는, 위조명품이 다른 매스티지 브랜드의 제품과 함께 노출되는 공동제시 상황일 때 위조명품의 태도와 구매의도가 더욱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조명품 구매의도에 대한 3원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나, 독립적 소비자가 가치표현적 메시지에 매스티지와의 공동제시 광고에 노출됐을 때 가장 낮은 위조명품 구매의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초상 사진의 본질에 대한 고증의 의미 : '낯선 이'展 作品論을 중심으로

        김보하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is about the works in the photo exhibit of 'Strangers' exhibited in Seoul Gallery Now from March 26 to April 1, 2008. Since the history of pictures began based on the nature of filming record, people have found the value of the picture in the role of reminding people's memory and the function to record the time and place of life. The recording function of the picture means that pictures make the record regardless of the will of the photographer and the objects in the pictures cannot help but accompany the contemporary information. Through this exhibit of 'Strangers', models provide the contemporary information semiologically. Among such information, there is everyday life information such as clothing and hair style. As such photos are taken when there are things worthy of record. One of them is portrait photo. A portrait photo has attracted people's mind with the theme of the face of human be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photo history. We may say that human figures are still an important object until now. People have desire and want to keep their own appearance for a long time and portrait photos were born from such desire and demand. In early times, portrait photos were perceived as a privilege of the nobles as a symbolical item in terms of social analysis because taking pictures cost much money. The dual structure of aesthetics such as aesthetics itself and popular aesthetics for the public was included in this background. A portrait photo is the representation of essential understanding and essential beauty in the classification of images. What are the nature of the portrait photos and what are the representation of the essential beauty in them? We may have such questions in mind and this study tries to provide the solution to those questions. Human beings have communicated for various problems with languages and letters since the primitive era. From the modern times, we have a third language which is a new medium so called image. We communicate with the public with semiology and meaning application system. In this exhibit,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s made through semiology. Through various poses of the models, the photographer communicate with the people. The common pose and the eye direction of the models have unity and they are approaching to the public as a lover. However, they come closer to the public not only as a lover but also as a stranger or an alien. The poses and their eyes looking at the same direction show that they are not usual and we can feel some kind of implications from them. The human figures who become objects in the fixed frame as showing their front part are the ones who digress from their usual and ordinary life such as nail art girl, doctor and nurse, lesbian, professional model and teacher and students in a 'Jochongryeon' school. They look strange because of their external heterogeneity, which is the personal information from which we can guess their (models') identity. However, the information include not only their personal information but also the customs and tradition of the times as collective codes or semiology. Strange clothes, pose and nude attract the people's attention and it is shown as the curiosity to the figures in the pictures. In this study, we took pictures of various people in various classes in the fixed frame in the limited space through portrait photos. They can approach to us as lovers or strangers or aliens, which is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common idea of the society. 본 논문(論文)은 지난 2008년 3월26일부터 4월1일까지 갤러리 Now 에서 전시(展示)된 사진전에 대한 작품론이다. 사진의 기록성은 사진가의 의지와 관계없이 촬영의 순간 기록은 동반되며 사진에 찍힌 대상은 그 시대적 정보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낯선 이” 사진전은 모델이 기호학적으로 이 시대의 정보를 주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기획되었고, 그 정보 중에는 의상과 헤어스타일과 같은 일상적인 정보가 그 예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엇인가 기록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일에 사진은 등장 하였는데 그 중의 하나가 초상사진(初喪寫眞)이다. 대중은 항상 자신의 모습을 오랫동안 지속시키고자 하는 욕구와 욕망이 있었고 그 욕구와 욕망 때문에 초상사진이 태동하였다. 1839년 서구에서 사진술의 발명이 공포된 이후 사진은 사회발전의 한 특정한 단계와 때를 같이 하여 나타났는데, 그것은 사회의 넓은 계층이 보다 큰 정치적, 사회적 중요성을 획득하며 상승한 단계를 뜻한다. 특히 초상사진은 이러한 사회발전과 중산 계층의 경제적 상승 등의 요인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등장하였다. 초창기 사진이 지닌 사회적(社會的) 현상이 초상사진을 찍는 다는 행위자체는 상류계급의 특권중의 하나로 인식 되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뒤에는 초상사진 그 자체 미학과 대중 미학이라는 이중적인 구조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초상시진은 영상유형 속에서 본질적 이해와 본질적 미의 표현인 것이다. 초상사진 속의 본질과 본질적 미의 표현은 무엇일까? 하는 의문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그 의문의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인류는 고대 원시사회부터 사회에 처한 다양한 문제들을 언어와 문자라는 영역으로 소통해 왔으며 근대(近代)에 들어와 복잡 다양한 사회의 구성으로 새로운 매체인 영상이라는 제3의 언어가 탄생하게 되었고 의미의 작용 체계와 기호학 적으로 대중과 소통하고 있는 것이다. 낯선 이의 전시에서 대중과 이 시대를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은 기호학으로 여러 모델들의 포즈를 통하여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모델들의 공통된 시선과 포즈는 일체성(一體性)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분명 대중에게 그들의 의상 포즈와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시선은 그들이 평범하지 않으며, 여러 계층의 모델에서 무언가를 암시하는 힘을 느낄 것이다. 고정된 프레임 안에 사진적으로 오브제(Object)화 하여 정면을 포착하여 보여주는 인물들 그들은 네일 아트걸, 의사와 간호사, 레즈비언, 전문모델, 조총련학교의 선생과 학생 등 평범한 일상에서 벗어나 있는 어느 정도는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한 부분을 표현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의 외양적(外樣的) 이질감 때문에 낯설게 느껴지고 그 이질감은 인물들(모델)의 정체성을 짐작하게 하는 개인적 정보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정보들은 그들만의 개인적 정보가 아닌 이 시대의 관습, 풍습을 집단적 코드 또는 기호학적으로 이 시대의 트렌드를 보여주고 있으며 낯선 의상과 포즈, 누드 등의 언던그라운적인 표현 요소는 대중의 시선을 유도하여 사진 속 인물에 대해 호기심으로 드러난다. 이번 연구에서 인물을 주제로 초상이라는 사진을 통하여 제한된 공간을 배경으로 고정된 프레임으로 여러 계층의 사람들을 촬영하였다. 그들은 연인이며 혹은 이방인 “낯선 이” 로 우리에게 다가오며 그것은 이 시대의 흐름이며 사회적 통념이기도 하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인간군상이 평등하고 동일하다는 인본주의적인 사상은 이미 지난 세기의 유물이 되었으며 ‘나’가 속한 계급, 문화적인 집단 이외의 사람들을 이해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들 문화의 주체자가 될 수는 없는 것이다. 본인의 작품과 논고는 사진은 촬영대상에 대해 방관자적인 그리고 제 삼자의 입장에 위치하지 않고 그들의 존재감을 대상 그 자체의 이미지를 넘어 촬영자만이 가질 수 있는 상황적 아우라(Aura)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