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테너와 윈드오케스트라를 위한 「저녁의 소묘」의 작곡 및 분석

        김보람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김보람 작곡의 테너와 윈드오케스트라를 위한 「저녁의 소묘」의 작곡 및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은 작가 한강의 시 「저녁의 소묘 4」를 가사로 사용하며, 시는 작곡자의 해석에 따라 시어의 반복, 재배열 등의 방법을 통해 변형된다. 가사는 음악의 형식을 결정지으며, 형식은 서주-단락 A-경과구-단락 A'-단락 B-코다로 구성된다. 또한 가사의 내용은 음악의 구성 요소를 통해 표현된다. 가사에 나타난 고통을 표현하기 위해 불협화적인 음정들이 주요 음정으로 사용되며, 주제 선율은 가사의 내용 일부를 상징한다. 화성은 중심 시어를 표현하기 위해 화성 진행 방식인 화음의 분열을 사용하며, 리듬은 두 개의 리듬형을 이용한 화음 구성음의 순차적 제시와 불규칙한 악센트의 이동을 통해 가사를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음악의 구성 요소와 가사의 사용 방법 분석을 통해 가사와 음악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논문의 제 1부에서는 작곡가 김보람의 작품 「저녁의 소묘」를 분석하고, 제 2부에서는 「저녁의 소묘」의 총보를 제시한다.

      • 2-3차원 경계에서 고분자 나노 박막의 광학적 특성

        김보람 청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olymer electro-optic device with nano-meter scale thick film has been proposed. The electro-optic performance has been investigated for the P(VDF-TrFE 70:30) Langmuir Blodgett film with its thickness in the crossover region between two and three dimensions. P(VDF-TrFE) powder sample was dissolved in dimethyl sulfoxide (DMSO) with a concentration of 0.05wt%. The polymer solution was spread on the ultrapure(18MΩ) water subphase in the LB trough with a working area of 1,000㎠ using a micropipet. The monolayers on the water surface are deposited on the ITO coated glass substrate at room temperature at a surface pressure of 5 mN/m using horizontal transfer method. Atomic force microscopy showed that annealing the thinnest films of crystallized nanomesa patterns, and ML increases, the percentage of the total area of nanomesa increased. The thickness of the film was measured by the ellipsometer. ML thickness increases linearly. The thickness of 1ML 2.37nm was confirmed. The devices for electro-optic measurement were fabricated by the following process: depositing LB layer on the ITO coated glass substrate, annealing the LB copolymer LB film, topping 6nm silicon nitride laye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rt, vacuum coating with 200nm aluminum layer by thermal evaporation. The E/O coefficient was measured by using conventional simple reflection method proposed by Teng etalin 1990. The E/O coefficient measured results of depending on the thickness, P(VDF-TrFE) LB films of more than 15ML depend on a finite-size effect is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P(VDF-TrFE) LB films of Less than 10ML do not depend on a finite-size effect and are the two-dimension characteristics. The boundary of P(VDF-TrFE) LB films of two dimension and three dimension are 10ML. And the electro-optic effect is the most efficient after annealing 10ML.

      • 제대군인의 사회적지지가 긍정심리자본과 재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보람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Effects of Veterans' Social suppor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Willingness to Re-Employment KIM, BORAM Department of Defense Industry Policy and Trad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i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rves as a parameter (in model 1) to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employment willingness among veterans.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if educational satisfaction serves as a parameter (in model 2) to th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re-employment willingness. The study involved 461 mid and long-term service veterans as the subjects. For research tools, the study utilized soci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e-employment willingnes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scal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using four aspects of the integrated model (psychological stability, self-development, job search, and continuous counseling and support) of outplacement service models. Discharged military personnel gain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rough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ducational satisfaction (i.e. satisfaction with transition support education) serves as a parameter that influences re-employment willingness in the self-development phase. To validate this integrated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he study found that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re-employment willingness. First,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employment willingness.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employment willingness. Thir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ur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serve as a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employment willingness. Fifth,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employment willingness. Six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Seventh,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found to serve as a complete meditator in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re-employment willingness. Eighth,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number of dependents, and resid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employment willingness. Among the military-related characteristics, rank, branch, and duration of military servi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employment willingness. Independent sample T-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employment willingness between different employment statuses. For employed veterans, characteristics such as occupations, employment type, and salar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employment willingness. And, for unemployed vetera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re-employment willingnes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rucial to utilize professional counselors. Counselors play a crucial role in providing social support. The attitude and support of the counselors at the Military Service Support Center are especially important in helping individuals maintain their re-employment willingness by engaging in job search activities, as well as providing ongoing counseling and support. Second,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ways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veterans. Having hi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re-employment for veterans. Even after the success of re-employment, it is helpful for the well-being of the organization to which they belong, and it affects job satisfact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areer by continuing economic activities even after re-employment. It's important to ensure that veterans receive job transition support education that's tailored to their capabilities and the changes happening in society. This will help them better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job market and find success in their post-military careers. Unlike most studies on veterans focused on job transition support systems or educational programs, this study utilized an integrated model to identify variables affecting employment. Given its significance, subsequent studies can effectively use this study as a base data. Keywords: Veterans, Soci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illingness to Re-employment,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제대군인의 사회적지지가 긍정심리자본과 재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김보람 국방산업정책통상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제대군인의 사회적지지와 재취업의지의 관계에서 긍정심리 자본이 매개변수의 역할(모형1)을 하는지 확인하고, 긍정심리자본과 재취 업의지와의 관계에서 교육만족도가 매개변수의 역할(모형2)을 하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이미 제대를 경험한 중·장기복무 군인 461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사회적지지, 긍정심리자본, 재취업의지, 교육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들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하여 전직지원서비스 모형 중 통합모형의 4가지 국면(심리적안정, 자기개발, 구직활동, 지속적인 상 담과 지원)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제대군인의 사회적지지 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긍정심리자본으로 심리적 안정을 얻게 되고, 이 미 획득된 긍정심리자본이 전직지원의 만족을 매개로 하여 재취업의지에 이르게 되는 자기개발 국면을 살펴보아 통합 모형을 검증하기위해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사회적지지는 재취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재취업의지에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는 긍정 심리자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 심리자본은 사회적지지와 재취업의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만족도는 재취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긍정심리자본은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육만족도는 긍정심리 자본이 재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여덟째, 일반적 특성 중 재취업의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 령, 부양가족수, 거주지에 따라 재취업의지 차이가 나타났다. 군관련 특 성 중에서는 전역당시신분, 병과, 전역경과기간에서 재취업의지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취업상태 특성 중 취업여부에 따른 재취업의지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결과 취업여부에 따른 재 취업의지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의 경우, 취업종 류, 고용형태, 월급여액에서 재취업의지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미취업자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사의 전 문성을 활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상담사는 사회적지지에 속하며, 재취업 의지가 구직활동으로 이어지고 지속적인 상담과 지원에까지 이르게 하는 것은 제대군인지원센터의 상담사의 태도와 지지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 다. 또한 상담사는 직업에 대해 상담을 하는 전문지식이 있기에 이들의 전문성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제대군인의 긍정심리자본을 향 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긍정심리자본이 높 으면 재취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재취업의 성공후에도 자신이 속 해 있는 조직웰빙에도 도움이 되고, 직무만족에도 영향을 주어 재취업 이후에도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하여 경력에도 도움이 된다. 셋째, 급변하 는 사회에 발맞춰 제대군인 개개인의 역량과 시대의 흐름에 맞는 전직지 원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기존의 제대군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주로 전직지원제도 나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연구한 것과는 달리, 통합모형을 활용하여 취업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후속연구들에 효과적으로 사용 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주제어 : 제대군인, 사회적지지, 긍정심리자본, 재취업의지, 교육만족도

      • 급성백혈병 환자의 유전적 변이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다중형광동소교잡법의 진단적 유용성 평가 : 김보람

        김보람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급성백혈병 환자의 유전적 변이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다중형광동소교잡법의 진단적 유용성 평가 Diagnostic Utilify of Multiprobe FISH Assay for Detecting Cytogenetic Aberrations in Acute Leukemia 의 학 과 김 보 람 지도교수 한 진 영 배경 : 급성골수성백혈병의 55%,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약 65-90%에서 유전적 변이를 동반하며, 이 유전적 변이에 따라 진단, 치료, 예후에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급성백혈병 환자에서 유전적 이상을 진단하는 것은 매우 필수적인 검사이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띠염색법을 이용한 핵형분석과 형광동소교잡법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다중형광동소교잡법은 하나의 슬라이드에 8가지 소식자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핵형분석으로는 검출할 수 없는 미세한 변이와 단일 형광동소교잡법의 단점을 개선시킨 방법이다. 다중형광동소교잡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변이를 검출하고,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08년 10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동아대학교의료원 혈액종양내과에서 급성 백혈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여 다중형광동조교잡법과 핵형분석, 전통 형광동소교잡법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초진시의 G-banding을 이용한 핵형분석과 전통형광동소교잡법, 다중형광동소교잡법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핵형분석에서 보인 유전적 변이가 다중형광동소교잡법의 소식자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유전적 변이는 다중형광동소교잡법으로 모두 발견되었다. 또한 핵형분석으로는 검출할 수 없는 변이를 검출할 수 있었다. 단일 형광동소교잡법과 다중형광동소교잡법은 유전적 변이를 발견하는데 있어서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나, 양성 신호를 보인 세포의 개수에서는 낮은 일치도를 보였다. 5개의 probe 에서 형광 강도가 낮아 판독이 불가하였다. 결론 : 다중형광동소교잡법은 급성백혈병환자의 유전자 변이를 진단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더 빠른 시간 내에 더 저렴한 비용으로 더 많은 유전자 변이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소수에서 낮은 형광강도를 보이므로 결과판독에 있어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양성신호를 보인 세포의 개수에서 단일 형광동소교잡법과 낮은 일치도를 보이므로, 추적관찰용으로는 한계가 있어보이나, 한번의 검사로 여러 유전적 변이의 검출이 가능하므로 첫 진단시의 유용한 검사로 사료되어진다. 주요어 : 다중형광동소교잡법, multiprobe FISH, 급성백혈병

      • 음식문화체험을 통한 상호문화이해능력의 발달 과정 분석

        김보람 서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사회는 지구촌 시대의 특징으로 다문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육에서도 새로운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학교현장에서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학생들이 정체성을 가지고 상대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상호간의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실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한 의미에서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에서 나아가 다름을 존중하는 인식을 정립하여 사회 구성원의 통합을 목표로 하는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상호문화교육의 실천을 통하여 학생들은 상호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서로 의사소통하여 협력하는 상호문화이해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8명(남:14명, 여:14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 한 결과 절반 이상이 직접 타문화를 접한 경험이 없으며 문화가 의미하는 것에 대해 음식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학생들은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음식을 통해 그 문화를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에 상호문화체험의 방법으로 음식문화체험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자는 구체적인 소재를 적용한 과정 중심의 통합적인 방법인 음식문화체험과 학생들의 상호문화이해능력 발달 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계획하여 실행하였다. 먼저 이탈리아, 인도, 일본의 음식문화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상호문화이해능력의 발달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질적인 분석 도구와 양적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다. 실행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한 후 반성을 통해 다음 수업을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현장에서의 의미 있는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상호문화이해능력의 변화 정도를 제작한 분석 도구를 통해 유의미한 정도를 파악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첫째, 음식문화체험을 통한 상호문화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상호문화이해능력은 발달되었으며, 기준별로 유의미한 정도를 분석해본 결과 성별 중에서는 여학생이, 학업성취능력의 상·하 집단에서는 상위집단이, 사전 상호문화이해능력의 상·하 집단에서는 하위집단이 더 큰 발달을 보였다. 둘째,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상대 문화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참여하고 난 후 상대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관심과 흥미를 느끼며 사회적 거리감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문화에 대한 자신의 편견을 발견하고 열린 마음의 태도로 문화를 받아들여 상호문화의 다름을 인정하였으며, 이는 모호함에 대한 참을성과 문화에 대한 행동적 유연성 및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 수용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문화체험을 통해 학생들의 문화에 대한 존중과 공감 및 배려하는 긍정적인 태도와 상호문화간의 올바른 관계형성을 위한 행동적 측면의 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다섯째, 학생 면담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본 연구를 통해 자신의 상호문화이해능력이 변화되었음을 느끼며 음식문화체험이 상호문화이해능력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상호문화체험의 방법으로서 음식문화체험을 통한 학생들의 상호문화이해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상호문화교육의 실천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이 연구에서 제시한 음식문화체험 프로그램을 토대로 다양한 문화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학교 현장에 맞는 상호문화이해능력 발달을 위한 상호문화교육이 체계적으로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As Korean society becomes globalized today,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creasing and a need for change in our education has risen. At school, we need to make a substantial effort so that students with different a identity and a different culture can learn how to solve conflicts by respecting each other,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and communicating with one another. The interest of intercultural eduction which aims for integration of society members by not only recognizing cultural differences but also respecting them, has spread. By putting intercultural education into practice,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d respect different cultures, and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A preliminary survey of 2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fth grade showed that more than 50% had no opportunity to experience other cultures and food was the most selected option for what a culture meant. They understood different culture by the easiest method - experiencing food, therefore, I chose food culture experience as a method of intercultural experience. In order to verify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food culture experience and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I have planned and executed the research as follows. First, I developed programs for Italian, Indian and Japanese food culture experience, and made tools for quality analysis and measurements for quantity results. After performing the class planned and adjusted by method of field action research, I repeated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through reflection in order to make the class more meaningful. Finally, using the tools measurements I made, I analyzed the change in students’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reviewed the caus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s a result of the program, I have identified the following change and effect by groups: first, there is a clear positive effect of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food culture experience on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levels of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re higher in the following groups: female students, the upper group in academic records, and the lower group in preliminary tes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Second, the students had indifferent or negative attitudes about other cultures before attending the program, however,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hey better understood other cultures and showed interests. I could conclude that their social distance about other cultures had been reduced. Third, the students discovered their prejudice about other cultures and recognized the cultural difference by accepting them with a more open-minded attitude. They showed changes in tolerance for ambiguity, behavioral flexibility with culture,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e acceptance. Fourth, students learned respect, empathy and consideration for other cultures. Also, they showed positive attitudes and behavioral promise to establish appropriat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cultures through food culture experience. Last, the students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recognized that food culture experience provides positive effects toward their development.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because it shows practical directions of intercultural education which uses food culture experience as a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for students. I expect the intercultural experience program provided in this research could be a helpful tool for diverse discussions and further research about cultures, finally, intercultur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can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MBSR) 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ADHD)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주의력, 지각된 스트레스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보람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MBSR) 프로그램이 ADHD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주의력, 지각된 스트레스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4년제 대학에 다니고 있는 대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하여, Conners’ 성인 ADHD 평정 척도-한국판 (CAARS-K) 점수가 상위 25% 이상이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28명의 대학생을 선정하였다. 참가자는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MBSR) 프로그램 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4명씩 할당되었다. MBSR 프로그램 집단에는 주 2회, 회기 당 약 90분씩 총 8회기의 MBSR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통제집단에게는 어떠한 처치도 행해지지 않았다. MBSR 프로그램 집단과 통제집단은 프로그램 전,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 및 프로그램 종결 4주 후에 각각 Conners’ 성인 ADHD 평정 척도-한국판 (CAARS-K), 성인 주의결핍증 질문지,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K-PSS) 및 Beck 불안 항목표 (BAI)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MBSR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는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 후 CAARS-K, 주의력 결핍, 지각된 스트레스 및 불안 수준에서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이것이 추적까지 유지되었다. 반면에 통제 집단에서는 사전, 사후 및 추적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효과성 연구

        김보람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사서교사의 증가로 인한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한 현 시점에서,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을 통한 학교도서관 활성화 및 사서교사, 교과교사의 역할 제고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고자 고안되었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시범학교 및 연구학교로 부분 시행 후 2016년도부터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하에서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교사 및 학생 측면의 실행양상과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 향후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에서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독서교육 실행 시, 학생의 학습에 효과가 있는 요인들을 염두에 두고 수업을 계획, 실행할 수 있도록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 경험이 있는 전국의 중학교 교사들에게 설문 요청한 결과 83명의 설문지를 통해 73명의 표본을 얻었고, 광주광역시의 학생 130명의 설문지를 통해 112명의 표본을 얻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에서 수업형태별 사서교사, 교과교사 간의 실행내용의 차이와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독서교육 영역에 따라 실행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형태에 따라 교사는 전문성, 창의성 측면, 학생은 동기유발, 자주성, 상호작용, 창의성 측면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수업형태에 따라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 교사와 학생 모두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방법은,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형태에 따른 효과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이용했고, 수업형태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사용했다. 이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1.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에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 간의 실행 내용의 차이를 보면, 도서관활용교육은 사서교사가 창의적 체험활동 연계 프로그램을, 교과교사는 교과 관련 학교도서관 활용학습을 더 많이 하였다. 진로교육에서는 2가지 항목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사서교사가 ‘사서 및 사서교사 직업 체험’과 ‘학업정보탐색·입시정보탐색·직업정보탐색 활동’을 더 많이 하였다. 독서교육에서는 ‘권장도서 읽기 지도’ 항목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고, 교과교사가 더 많이 실행하였다. 이를 통해 사서교사가 진로교육에서 정보탐색과 관련해서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확대에 따라 권장도서 읽기 지도에서 더 나아가 다양한 독서교육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2.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은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독서교육 영역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사와 학생의 수업의 빈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독서교육,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순으로 높았다. 앞으로 자유학기제 수업이 확대되면, 도서관 활용교육, 독서교육, 진로교육 영역 등 3가지 영역들이 보다 활발히 확대,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3.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수업형태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창의성,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효과성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효과성을 알 수 있으며, 좋은 수업의 조건인 전달, 구성, 관계, 그리고 결과 요건을 모두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태도’부문의 평균이 다른 요소에 비해 높은 것을 통해 교사는 학습자의 이해 및 요구를 중시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진행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업의 계획, 진행 시 성실한 태도 및 자신감을 가지고 수업에 임함으로써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형태에 따른 학생의 동기유발, 자주성, 상호작용, 창의성,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효과성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으며, ‘상호작용’ 영역에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것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르고자 하는 핵심역량인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과 관련해서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5.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형태에 따라 지식, 수행, 태도, 창의성이 교사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수업형태는 진로교육에서, 효과성의 요소는 창의성에서 높았다. 3가지 수업형태 모두 창의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앞으로 교사들이 창의성을 잘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준다면 교사들의 만족도가 증가될 것으로 본다.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실행양상을 통해 사서교사, 교과교사 간의 실행내용의 차이와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독서교육에 따른 효과성과 만족도를 밝힌 연구로서, 향후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관계에서 오는 우울함에 대한 자기 치유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보람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개요 인간은 삶의 시작부터 끝까지 타인과 관계를 맺는다.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타인과의 소통으로 상대방을 알아가며 필요할 때 힘이 되는 상대가 되어주는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이 고도로 발전된 사회 안에서의 인간관계는 SNS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사람들을 만날 수 있도록 변화했지만, 이것은 실제가 아닌 온라인상의 가상현실이다. 현실의 관계는 타자가 자신에게 어떠한 것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해 이해 타산적이며, 타인의 시선과 평판을 의식한 표면적인 관계에 지나지 않는다. 의식하지 못했던 표면적인 관계를 깨닫게 되는 순간 허무함과 우울함으로 나타난다. 본인은 이러한 우울함을 해결하기위해 ‘혼자 있는 공간’인 자발적인 고독을 가진다. 시각과 청각을 차단함으로서 만들어지는 ‘혼자 있는 공간’은 타인을 의식하며 보여 지는 내가 아닌 진짜 자신을 마주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본인은 우울을 극복하고 치유함으로써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되었다. 본 논문은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오는 우울함에 대해 언급하고 이를 치유하는 방법으로서 ‘혼자 있는 공간’이라는 형상적인 표현방법을 통해 진행된 본인의 작품을 분석 하였다. 본 논문은 2017년 석사학위 청구전에 출품한 작품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인의 작품연구 방향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2장 본론에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현대인의 우울의 요인으로 본 대인관계에 대해 서술하고 본인의 경험에서 우울함을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2. 현대인을 투영한 ‘혼자 있는 공간’의 형상과 위로의 장치로 표현된 배게 와 색채에 대한 표현 방법을 서술하였다. 3. 본인의 작품7점에 대한 개별적인 제작방법과 작품설명을 서술하였다. 제3장 결론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을 정리하고 연구를 토대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제시하였다.

      • 교육연극을 활용한 장편소설 교육방안 : 이광수 '무정'을 중심으로

        김보람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육연극을 장편소설 교육에 적용하여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광수『무정』을 구체적인 작품으로 설정하여 고전에서 현대로의 이행기적 면모를 갖춘 작품의 특징을 파악하고, 교과서 지면상의 제한으로 본문을 다 싣지 못하는 교수 매체 상 한계를 보완하는 교육 연극을 제시하였다.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편소설 교육은 교과서의 지면상 한계 때문에 본문 일부만 싣고 있으며 수업시수가 제한되어 있어 전문을 읽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장편소설을 제대로 감상하려면 전문을 읽고 학습자 스스로 분석하는 수업이 마땅히 이루어져야 하지만 앞서 말한 한계와 효율성을 추구하는 학습 분위기로 인해 전문을 읽기 어려운 상황이다. 소설이란 주제, 구성, 문체를 파악하며 읽어야 하고, 특별히 구성의 3 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아는 것이 작품을 온전히 감상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소설의 일부만 교과서에 실어 학습자가 작품의 주제를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 특정 출판사나 저자의 자의적 수록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작품을 감상하기 어렵게 한다. 문학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가 있는 작품 일부를 교과서에 싣는다고 해도 주체적이고 통합적인 문학 감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최적의 요건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기본적인 작품 감상 태도는 작품 전문을 읽고 사건의 흐름과 인물의 성격, 갈등 양상, 문체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현재 고등학교 학습자들은 전문 읽기에 대해 큰 관심이 없으며 작품에 대해 정리된 단편적인 지식의 암기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작품을 세부적으로 감상할 때 교과서나 문제집에 나온 내용으로 전체 줄거리를 접하기 때문에 저자의 관점이 반영된 줄거리 전개를 그대로 받아들이게 된다. 작품에 초점을 맞춰야 할 부분을 간과하게 하거나 수동적인 감상 태도를 갖게 될 위험이 있다. 또한 교과서에 실린 부분이 단편적인 몇몇 사건에만 초점을 맞추게 되면 본래 작품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올바로 파악하기 어렵다. 이러한 장편 소설 교육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연극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장편 소설 교육에 대한 연구는 작품에 따라 각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부분의 연구가 소설의 전문을 읽었다는 전제하에 진행되고 있었다. 실제 장편 소설 교육에서의 어려움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전문을 읽게 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본고에서 제시한 교육연극은 장편 소설 전문을 읽게 하게끔 수업 방법을 마련하였으므로 학습자의 흥미 유발 측면에서 그 기대가 크다. 소설 장르 자체가 연극적 요소를 다분히 갖추고 있고, 인물의 생각과 시대적 배경, 시점과 같이 고등학교 학습자들이 알아야 할 학습요소는 각색하는 과정에서 직접적 흥미 유발을 가능하게 한다. 교육 연극은 조별로 진행하는 활동이다. 조별 활동의 교육적 가치는 협동심을 길러주고, 사회성 발달과 주체적 학습태도를 갖게 해주는 등으로 이미 검증된 바이다. 본고에서 기대하는 조별 활동의 효과는 작품 감상의 부담을 덜어주고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보충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극을 연습할 때 사회적 주체로서의 면모를 배우게 하고 저마다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책임감과 리더십을 기르게 된다. 연극으로 구성하기에 적합한 작품을 선정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이광수의 『무정』을 작품으로 선정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무정』은 우리나라 최초 국문 장편소설로 평가받고 있으며 고전산문의 보편적 특징에서 벗어나 근대적 문학 요소를 완성도 있게 보여준 작품으로 그 위상을 인정받고 있다. 모든 장편소설이 연극으로 구성하기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먼저 교육연극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작품 기준을 마련하고 『무정』의 작품 분석 과정에서 앞서 마련했던 기준을 적용하였다. 2011년에 고시된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에서 『무정』의 수록 양상과 학습활동을 분석하였으며, 교수‧학습 과정을 제시하고 극 대본 예시와 학습활동지로 현실성 있는 수업 계획을 세워 신뢰성 있는 평가에 이르게 하였다. 장편 소설 교육에서 중요한 점은 상황적 한계에 머뭇거리지 말고 학습자가 작품을 온전히 감상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교육연극 활동이 실제 수업 환경에 적용되려면 교사의 노력이 들어갈 것이다. 연극에 의한 학습자의 자발적 흥미 유발과 주체적 감상 태도 향상을 고려한다면 하나의 창의적인 수업 방안으로 제시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에서 진행한 연구이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learner-directed learning measures for novels by applying the educational plays to the education of novels. Selecting 『Moojeong(Heartlessness)』by Lee, Kwang Soo, this paper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showing the transitional aspect from the classics to modern times, and also suggested the educational measures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 instructional media that could not contain the text due to the limited pages of a textbook. Due to the limited pages of textbooks, the education of novels in school site only deals with a part of the whole text. As the lesson hours are also limited, there is no effort to read the full text of novels. In order to fully appreciate novels, the whole text of novels should be read and analyzed by learners by themselv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ad the full text of novels due to the limitations mentioned above and also the learning atmosphere pursuing efficiency. In order to fully appreciate novels, their subject, composition, and style of writing should be understood on top of three elements of composition such as character, event, and background. Sometimes, learners can misunderstand the subject of a work after reading only a part of it in the textbook. The arbitrary inclusion by specific publishers or authors prevents learners from appreciating works independently. Even though a part of works that have literary/educational values is contained in textbooks, if it is only a part, then it is not the optimum condition to appreciate literature independently in the integrated aspect. The basic attitude of appreciating works is the effort to understand the flow of events, personality of characters, conflict aspect and style of writing after reading the full text of works. Realistically, the current high school learners are only focusing on memorizing such fragmentary knowledge summarized about works without having interest in reading the full text. In case when appreciating works in details, they only encounter the whole summary through the contents in textbooks or workbooks, so that they pass over important parts of the work or have passive appreciation attitude after simply accepting the summary reflecting the author's viewpoint. If a part in the textbook only focuses on several fragmentary events, it is hard to correctly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the work. In order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in the education of novel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pplying the educational play was suggested. There have been active studies on the education of novel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full text of novels are read. The actual difficulty in the education of novels is started from the fact that it is hard to make learners read the full text independently. The educational play class suggested by this paper makes learners read the full text of novels, and also induces learners interest. The novel itself is fully equipped with the elements of play, and the learning elements that should be known by high school learners such as characters' thinking, periodic background, and point of view can induce direct interest in learning itself in the process of dramatization. The educational play is a group activity. The educational values of group activity such as raising the spirit of teamwork, sociality, and independent learning attitude, have been already verified. The effect of group activity expected in this paper includes lightening the burden of appreciating works and also supplementing the part unexpected. When practicing the play, they can learn the aspect of social main agent, and also rais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leadership by performing their own roles. Selecting a work suitable for the play is also important. This study established the teaching/learning measures based on 『Moojeong』by Lee, Kwang Soo. As the first Korean novel, the status of『Moojeong』has been recognized for perfectly showing the modern literary elements getting out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proses. Not every novel is suitable for plays.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composing educational plays, the standard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Moojeong』 was applied. It analyzed the aspect and learning activities of 『Moojeong』 in the textbook reflecting the 2011 curriculum, suggeste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then secured reliability by establishing the realistic lesson plans based on the example of play script and worksheets. What is important in the education of novels is to establish the teaching/learning measures in which learners can fully appreciate works, without hesitating due to the conditional limitations. It would be worthful to establish the creative lesson measures for learners' voluntary interest and independent appreciation attitude through plays even though teachers should put much more effort to apply the educational play activity to the actual class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