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토골수에서 유래된 골모세포를 하악골결손부 이식시 골형성에 미치는 효과

        김보균 翰林大學校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CT- Many people studied defect repair for using biotic materials. Mesenchymal stem cell have the capacity to diffentiate into various cell type. for example osteoblast£¬condrocytes£¬myoblasts, and adipocytes. Osteoblasts were aspirated in illiac crest with common method. The method is modification of human bone marrow cell aspiration. Autogenous bone offers directly potentially useful material in maxillofacial bone and implant reconstructive surgery. So autogenous bone is the first choice for bony defect. Autogenous bone was optained in the Madibular bone. Five equal 10mm diameter defect were created in each rabbit Mandible with low speed trepine bur and grafted. 6 rabbits were evaluated at 2,4and 8months. This study failed to show a histomorphometric increase in bone formation with the addition of osteoblast cell to autogenous bone or autogenous bone alone Key word : osteoblasts, Autogenous bone£¬histomorphometry ³¤

      • 최장 공통 부분 수열 길이를 이용한 이중 RCE 인공신경망 기반 스트리밍 숫자 손 제스처 인식

        김보균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트리밍 데이터에서 연속으로 입력된 손 제스처를 인식하는 것은 단일 손 제스처 인식보다 더 복잡한 과제다. 여러 개의 숫자 제스처가 스트리밍되는 경우에 인접한 두 제스처 사이에 제스처가 아닌 구간이 포함되므로, 제스처 인식 전에 각 제스처 구간을 검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스처 구간 검출을 위해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과 DTW(dynamic time warping)나 HMM(hidden Markov model)을 결합한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이 두 방법은 계산 량이 많아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구간이 긴 데이터를 학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RNN(recurrent neural network)와 LSTM(long short-term model)을 사용하여 학습을 하는 방법이 있지만, 새 학습 데이터가 추가될 때 마다 훈련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반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착용형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를 사용하여, 3차원 공간인 공중에 쓴 아라비아 숫자를 손 제스처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군집화를 통해 군집 레이블로 표현된 1차원 시계열 데이터로 바꿨다. 이중 RCE-NN을 구성하여 학습에 필요한 시간과 데이터 량을 줄이고, 데이터의 앞과 뒤의 일부 샘플 만을 인식에 사용하여 계산 시간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시계열 데이터 비교 방법으로 DTW보다 계산량이 적은 최장 공통 부분 수열을 사용하였으며, 슬라이딩 윈도우 탐색을 통해 스트리밍 입력에서 제스처 구간을 검출하였다. 이중 RCE-NN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단일 제스처는 99.50%의 인식률을 기록하였다. 이중 RCE-NN을 사용한 경우 99.10%의 인식률과 평균 0.395초의 인식 시간을 기록했다. 스트리밍 데이터에서 연속 제스처의 인식률은 이중 RCE-NN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90.28%, 평균 테스트 시간은 190초 였으며, 이중 RCE-NN을 사용한 경우 인식률은 87.78%이고 평균 테스트 시간은 87초를 기록했다. 인식 시간을 더욱 줄이기 위해 은닉 뉴런을 줄이고, 윈도우 이동 간격을 늘려 인식률은 83.89%을 기록하고, 평균 테스트 시간을 41초로 줄였다. Recognition of concatenated numerical characters written by hand gestures in streaming data is a more complex task than that of isolated single character. Since a non-gesture sequence is included between two adjacent gestures when several numeric gestures are concatenated, it is necessary to detect each gesture sequence before recognizing each gesture. The combination of sliding window technique and dynamic time warping (DTW) or hidden Markov model (HMM)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to detect gesture intervals. However, However, these two methods have the disadvantage of taking a long time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computation. For spotting a gesture sequence, there is a method of searching with using HMM(hidden Markov model), or using a sliding window with DTW(dynamic time warping).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due to a large amount of calculation or difficult to learn data having a long sequence. There is also a method of learning using RNN(recurrent neural network) and LSTM(long short-term model), However, each time new learning data is added, the training process has to be repeated from the beginning. In this paper, using a wearable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Arabic numerals written in the air, three-dimensional space, were collected as hand gesture data. Collected six-dimensional time series data was converted into one-dimensional one, where a six-dimensional vector is converted as a cluster label through clustering. By constructing a dual RCE-NN, we reduced the time and amount of data required for learning. In addition, the recognition time could be reduced by using only part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data. The longest common subsequence with less computation than DTW was used as the time series data comparison method, and gesture sequences were spotted from the streaming input through sliding window search. Without dual RCE-NN, single gesture yielded 99.50% recognition rate. In case of using dual RCE-NN, the recognition rate of 99.10% and the average 0.395 second recognition time were achieved. In streaming data, the recognition rate of concatenated gestures was 90.28% without dual RCE-NN, and the average test time was 190 seconds. With dual RCE-NN, the recognition rate was 87.78% and the average test time was 87 seconds. To further reduce recognition time, the number of hidden neurons was reduced, the window movement interval was increased, and the recognition rate was 83.89%, and the average test time was reduced to 41 seconds.

      • Effect of swimming exercise on depression and cell proliferation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in rats

        김보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raumatic brain injury (TBI) is known to induce neuropsychiatric disorders by alteration of the central serotonergic system.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wimming on the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synthesis and tryptophan hydroxylase (TPH) expression in the dorsal raphe, on the oxytocin synthesis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 (PVN), on the memory capability, cell proliferatio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and tyrosine receptor kinase B (TrkB) expressions in the hippocampus following TBI in rats. The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n = 10 in each group): the sham-operation group, the TBI-induction group, and theTBI-induction and swimming group. The animals in the swimming groups were forced to swim for 30 min once daily for ten consecutive days.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5-HT synthesis and the TPH expression in the dorsal raphe and oxytocin expression in the PVN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following TBI. Swimming increased the 5-HT synthesis and TPH expression in the dorsal raphe and the oxytocin expression in the PVN. Induction of TBI inhibited memory capability, cell proliferation, BDNF and TrkB expressions in the hippocampus. Swimming also increased memory capability, cell proliferation, BDNF and TrkB expressions in the hippocampus. Here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swimming might overcome the TBI-induced depression through increasing of serotonin expression in the dorsal raphe and facilitate memory impairment by enhancing of new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us. 외상성 뇌 손상 (traumatic brain injury)은 많은 신경 정신과적 이상을 유발시킨다. 특히 우울증 (depression)은 외상성 뇌 손상의 중요한 후유증 중의 하나이다. 외상성 뇌 손상에 대한 뚜렷한 치료법이 아직 없는 반면, 운동이 신경세포의 보호작용이 있음은 여러 연구들에 의하여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이용하여 외상성 뇌 손상을 유발시켰고, 수영이 외상성 뇌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외상성 뇌 손상은 봉선핵의 세로토닌 (serotonin)과 그 합성효소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해마의 신경세포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해마에서의 뇌 유래 영양인자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와 그 수용체 (trkB)의 발현은 외상성 뇌 손상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반면 수영운동은 봉선핵의 세로토닌과 그 합성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해마의 신경세포 생성을 향진시켰다. 수영운동은 해마에서 뇌 유래 영양인자와 그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과적으로 수영은 외상성 뇌손상에 의한 기억력의 감퇴를 경감시켰다. 본 실험의 결과 수영은 외상성 뇌손상에 의한 우울증과 기억력의 감퇴를 치료하는데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외상성 뇌 손상의 신경계 후유증에 수영 운동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학습민첩성이 정서적 조직변화몰입을 매개로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보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agility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of the workers in domestic private enterprises and how its affec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appears as mediated effect. For this, two subjects of research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Does the learning agility have an effect on the affec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second, ‘Does the affec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work as a mediu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agility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he survey conducted for this research use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was distributed online to 500 workers in domestic private enterprises, from September 25th to October 5th, 2020 which resulted in the total collection of 452(returnrate : 90.4%), excluding the undependable answers of 13, and the final number of 439(valid response rate : 97.1%) analyzed. The learning agi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affec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as a parameter, and the innovative work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all used single-factor variables while control variables included gender, academic background, total work experience, duty, industry, and organization scale. As for the methods of analysis for this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nd for mediated effect analysis, a significance test was conducted using 3-step regression analysis method by Baron & Kenny (1986) and Sobel test. For the data analysis of the research, SPSS 25.0 was used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0.05.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learning ag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ffec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Second,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learning agility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innovative work behavior.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ffec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works as a partly-mediating effec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agility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his research means that the affec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in the relation of two variables of learning agility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play a role as a psychological process, which is also significant in the sense of dealing with and proving the roles of affec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of the employees of organizations that has never been touched on. Moreover, in the way that the learning agility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variables being the social and constructive process in the social relationships, it is now understood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elicit the innovative work behavior of the members of organizat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members with self-challenging environment and various experiences for growth, practice organizational learning including learning groups, require much effort to draw understanding and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ransparent communication and horizontal corporate cultu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rom the above, a conclusion for the subject and a range of empir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s well as a follow-up study being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민간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과 혁신적 업무행동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조직변화몰입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민첩성은 정서적 조직변화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습민첩성과 혁신적 업무행동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조직변화몰입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의 설문은 편의표본추출 방법으로 2020년 9월 25일부터 2020년 10월 9일까지 국내 민간기업 근로자 500명에게 온라인으로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총 452부(회수율 90.4%) 중 불성실한 답변 13부를 제외하고 최종 439부(유효 응답률 97.1%)를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인 학습민첩성과 매개변수인 정서적 조직변화몰입, 종속변수인 혁신적 업무행동은 모두 단일요인변수를 사용하였으며, 통제변수는 성별, 학력, 총 직장경력, 직무, 산업, 조직규모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매개효과분석은 Baron &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방법과 Sobel test를 통한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을 0.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민첩성이 정서적 조직변화몰입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민첩성은 혁신적 업무행동간의 관계에서도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서적 조직변화몰입이 학습민첩성과 혁신적 업무간의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민첩성과 혁신적 업무행동 두 변수 간에 정서적 조직변화몰입이 심리적인 프로세스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동안 다루지 않았던 조직원들의 정서적 조직변화몰입 역할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민첩성과 정서적 조직변화몰입 변수가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 구성적 과정이라는 점에서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에게 도전적 환경과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성장을 이끌어내야 하며, 학습조직을 비롯한 조직학습 역량구축이 필요하며, 조직 내 투명한 의사소통과 수평적인 조직문화 구축을 통해 구성원들의 이해와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과 실증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 마음챙김과 우울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간접(매개)효과

        김보균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direct(mediating) effects of Emotion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indfulness and Depression. The subjuects of this study were 275 collegian.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Mindfulness scales (MS), Korea Depression Scale (KDS), Trait Meta Mood Scale (TMMS) and Korea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K-CERQ). SPSS 21.0 and AMOS 21.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e analysis include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and the results indicated and acceptive goodness of fit indices. also, to identify the indirect(mediating) effects,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 Clarity affected indirectly between Mindfulness and Depression. Second, Emotion Clarity affected indirectly between Mindfulnes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ir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ffected indirectly between Emotion Clarity and Depression. Fourth, Sequential indirect(mediating) effect of Emotion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Mindfulness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addic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esented.

      • 직업유형과 운동이 요통 및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보균 翰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ccupational types and physical exercises on back pain and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The 60 citizens were randomly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in xx city of Kyonggi districts. 60 subjects were divided with two groups, sedentary workers( 30 subjects) and standing workers(30 subject). Based on the data provided by the above subjec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Standing workers were severer than sedentary workers in the level of back pain. 2. The female subjects were much lower than male' in the level of back pain. 3. In the health related physical muscular strength factors of the occupational types, male sedentary workers and female standing workers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case of muscular endurance factors, sedentary worker in push up, and sedentary female worker and standing male workers in sit up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case of flexibilities, sedentary male and female workers in trunk flextion, and standing male workers and sedentary female workers in trunk extension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4. The back pa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physical exercise. 5. The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lifestyle exercise.

      •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리더쉽에 미치는 영향

        김보균 대구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매개변수로 하여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밝히고,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력 관계는 성별 간에는 어떠한 차이를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사회적 능력,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리더십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상정된 인과관계 모형은 어떠한가? 2.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리더십의 관계에서 유아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3. 유아의 사회적 능력,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리더십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상정된 인과관계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가?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경산시에 소재한 6개 유치원의 유아 403명, 유아의 아버지 403명과 어머니 403명을 대상으로 검사도구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아버지 양육행동, 어머니 양육행동, 유아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 15.0과 AMOS 19.0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통계분석과 모형적합도 검증을 하였다. 연구문제 1의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공변량 구조분석(Analysis of Convariance Structure)을 최대우도 추정법(Maximum Likelihood Eestimation)을 통해 가설적 모형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먼저 적합도 검증를 χ²검증법을 하고, 더불어 χ²검증이 표본수에 영향을 받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가지 제안된 적합도 지수중에 χ²/df비가 5이하이면 적절하다는 Wheaton(1987)의 견해를 따라 분석하였다. χ²검증과 함께 χ²의 표본의존성을 고려하여 기초부합치(GFI: Goodness of Fit Index), 표준부합치(NFI: Normed of Fit Index), 조정부합치(AGFI: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평균잔차제곱근(RMSR: Root Mean Square Residual), 근사치오차평균제곱근(RMSEA: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을 함께 사용하였다. 또한, Wheaton등의 χ²/df비 Carmines와 Mclver의 지수들도 같이 사용하며, 만약 χ²값과 다른 적합도 지수들 간에 표본 크기로 인한 결과상 불일치가 있으면, χ²검증치 보다는 NFI나 χ²/df의 결과에 따른다. χ²/df비는 5이하이면 NFI, GFI, AGFI는 .90이상일때, RMR은 .05~.08이하 이면, 그리고 RMSEA는 .05 이하이면 적합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검증(Sobel test)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 3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중 대응별 모수비교(Pairwise parameter comparison)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리더십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리더십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유아의 리더십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리더십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매개변수로 한 매개효과는 없다. 다섯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리더십 간에 구조적 관계에 대해 상정된 인과관계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남아와 여아 간에 차이가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