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大邱旣成市街地의 變遷과 活用方向에 關한 硏究

        김병춘 大邱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오랜 역사를 가진 지방도시의 도시중심부 즉 도시의 역사와 문화가 축적된 기성시가지의 쇠퇴에 대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여러 도시들 중 대도시이면서 오랜 역사를 담고 있는 대구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대구의 역사와 가장 활발하게 발전하였던 조선시대 후기의 읍치구조와 현재 기성시가지의 현황에 대해서 주로 고찰하였다. 인간에게서 사상적인 측면은 삶의 전반적인 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정치사상의 추상적인 일정한 행위 표현이 사실은 조영물의 형태를 규정하는 실제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제도라는 개념은 생활의 질서를 형성한다는 측면에서 그것을 수용하는 공간체로 조형물의 계획과 시공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되게 되었다. 주례고공기의 동관편은 도시를 조성하는 이상적인 모델로서 동양에 영향을 미쳤으며, 주대의 중심사상 이었던 례는 정치제도에 영향을 미쳤다. 조선시대는 6조라는 정치제도를 낳았으며, 지방에는 6방을 형성하였다. 이 제도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의 필요성은 6조와 6방의 건축물을 영조하게 하였다. 도시계획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 우주관은 천원지방사상과 사분세계관이다. 즉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형태이며 그것의 중심에 통치권을 상징하는 王이 天子의 아들로써 중앙에 왕궁을 입지시켜 동서남북의 사방형의 이상적인 도시를 만들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도시는 불교와 유교가 그 문화를 수용하는 그릇으로서 주례의 도성제를 이상으로 하였지만, 우리나라의 지형․지세․정치제도에 적합한 형태로 적용시켰다. 즉 조선시대는 중앙집권적인 정치형태로서 지방 읍치는 지방행정도시로 발전하여 일율적인 도시형태로 형성되어 졌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읍치의 구성에서 주례의 원칙은 지켜졌지만 공공시설의 종류와 배치에는 여러 사상적인 요소의 가미로 인하여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도시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도시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외세에 의해 강제적인 도시의 변화를 가져왔고, 특히 고도의 성장기를 거치면서 전통의 맥이 이어지는 도시계획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짧은 기간에 산업화․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제환경이 불균형하게 발전되었다. 특히 최근 들어 이들 문제 중에서도 대도시의 기성시가지(도시중심부)의 쇠퇴현상은 도시계획분야의 정책적 화두가 되고 있으며, 이 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기성시가지가 가지고 있는 도시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인구감소와 산업기능의 쇠퇴를 해결하는 도시활성화의 방안으로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대구의 형성에 관한 역사와 기성시가지의 현황에 대해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구는 삼국시대 달성을 중심으로 발전하였고, 조선시대 임란 이전에는 주변의 성주보다도 작은 읍치였으나, 임란 이후 경상도 감영의 설치로 인하여 경상도의 주요도시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대구는 임란 이후 도시 건설의 입지 선정에서 타 지역과 달리 진산이 북쪽이 아니라 남쪽에 있으며, 다른 지역의 경우 진산의 향에 따라 도시의 주향이 결정되어 도로망․공해 등의 배치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대구의 경우 조선후기 감영이 설치됨에 따라 급성장한 지방도시로 풍수지리가 성행한 시기에 형성된 도시에 비하여 유교적 성향이 강한 도시로서 남향을 주향으로 읍치의 공간을 형성하였다. 대구는 1910년을 전․후하여 일제에 의해 읍성의 철거, 철도의 부설, 중앙로의 건설, 북성로 주변 및 감영 주위의 일본인 거주지 및 주요 건축물들의 입지 등 도시의 모습이 강제적으로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읍성내의 남서부는 전통적인 주거공간으로서 현재까지 주거지역 및 골목길 등 그 원형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대구의 기성시가지에서 개발밀도가 높은 지역은 교보생명, 대구백화점, 삼성생명 건물을 축으로 이어지며, 이들 지역은 개발밀도 기준의 대구도심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중구 남쪽의 일부 개발밀도가 높은 지역은 재개발, 재건축 등을 통한 고밀 아파트 주거지역임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읍성 내의 기성시가지는 중앙로와 인접한 지역은 단위면적당 토지이용의 강도가 높고 이들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은 비교적 낮은 층수로 개발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북성로 및 주변지역에서 서성로와 경상감영공원 사이 옛길과 인접해 있는 한옥이 분포되어 있으며, 달서문 근처의 경우는 19세기 말로 추정되고 한옥들의 입면 상태는 양호하며, 북성로를 기준으로 근대건축물이 밀집 분포되있고, 상업주택을 포함한 상업용도의 건축이 76%이다. 또한 북성로를 기준으로 남쪽 방향으로 주거건축이 분포하고, 모두 주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 공간은 한옥의 특성을 다양하게 느끼고 체험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보존․역사적 환경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구 기성시가지의 현황을 토대로 도시중심부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본방향으로는 양분된 기성시가지의 성격을 해소 또는 완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며, 북성로 쪽의 근대, 감영의 조선시대, 봉산문화거리의 문화 등 시대를 아우르는 계획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존 주거정비계획 등 도시의 물리적 생산 재개발 수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문화적 생산수법의 재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기존 지역․지구제도를 읍성내의 공간성격에 따른 지구의 개편으로 새로운 공간 모델의 제시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구의 기성시가지에 대한 현황과 활용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도시 계획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새로운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합리적인 사고체계를 거친 계획으로 설명하기에는 활용방안에 대한 이론 및 여러 방법론이 부족하여 명확하지 않지만 역사․문화가 함축되어 있는 대구 도시의 기성시가지에 대한 명확한 현황조사를 근거한 자료로서 가치를 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도시계획 및 도심활성의 연구방법에 있어서 다각적인 시각을 필요로 할 것이다. 앞으로 다양한 시각을 토대로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그 결과 역시 다각적으로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그 과정과 결과는 도시역사 및 전통도시공간에 대한 이해와 보존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며, 앞으로의 새로운 도시공간계획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presentation of a new city policy direction for the issue of activation by the city population decline. It is the new city policy plan that the suggestion activates the city through a reconfiguration to the city where culture and the history were reflected. This city has its own identity. Also Daegu, where is long history city, has his own identity. Daegu have been preserved the form of the modern city in many disaster such as korean war. However, the historical space of Daegu did not get much attention. and the historical main area were destroyed without any doubt. Therefore, we should be interested in the change of the main space of the city And can preserve the historic space of the city through such an interest. This research is study for a status of the main space of Daegu center chiefly. and its utilization. This process is show not only the recognizing anew for the history space of the city but also various methods to establish city policy. In addition, we can show what kind of documents and image can be used for historic Urban Planning. This study can be discuss as new course in the city policy establishment by method of Urban Planning. and We hope that such a study process is utilized as new methodology in the downtown area policy establishment.

      •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장의 지도성 인식에 관한 연구

        김병춘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장의 지도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erception on Administrator's Leadership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행정전공 김 병 춘 지도교수 송 양 섭 본 연구는 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지도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파악하여 교사의 배경변인과 학교장의 지도성 인식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학교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선정 하였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 중 성격변인을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사회성, 자율성, 사려성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 따라 학교장의 지도성 행위를 인식하는데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 중 성별에 따라 학교장의 지도성 행위를 인식하는데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의 배경변인 중 교직경력에 따라 학교장의 지도성 행위를 인식하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 선행 연구물에서 시사점을 보완 하였으며, 교사의 배경변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범모‧이종승이 개발한 성격진단 검사지를 수정‧발췌하여 사용하였고, 학교장의 지도성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Ohio 주립대학의 Halpin과 Winer가 개발한 지도자 행동 기술 설문지(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를 수정․보완하여 경기도 가평군과 남양주에 있는 초등학교 10개교 211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에서 204명의 유효한 표본을 얻어 SPSSPC+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방법을 통해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변인에 따른 학교장의 지도성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활동성과 자율성이 높은 집단과 안정성이 낮은 집단에서 유의수준 .05에서 과업지향 지도성 행위를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유의수준 .01에서 과업지향 지도성 행위를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율성이 낮은 집단과 사려성이 높은 집단은 유의수준 .05에서 인화지향 지도성 행위를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의 배경 변인 중 성별에 따른 학교장의 지도성 인식 차이를 알아 본 결과 남자는 지배성이 높고, 여자는 사려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성 유형에서는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배경변인 중 교직경력에 따른 학교장의 지도성 행위 인식의 차이는 경력이 높아질수록 안정성, 지배성, 자율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11년-20년 경력의 집단이 유의수준 .05에서 과업지향 지도성 행위를 가장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성격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지도성 행위를 인식하는데 차이를 보이며 인화지향보다는 과업지향 지도성 행위를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장들은 인화지향 지도성 행위를 많이 발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의 배경변인 중 성별과 교직경력에 따라 지도성 행위를 인식하는데도 차이를 나타내므로 학교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있어 성별, 교직경력을 고려한 지도성 행위를 발휘할 필요가 있다.

      • 實數集合의 몇 가지 性質에 關한 硏究

        김병춘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t first a set of real numbers needs to be defined because R, the set of real numbers, is the most familiar set to us and most of the mathematical subjects have been modeled on Euclidean space, R^(n). In mathematics the set of real numbers is defined as a complete order system. Many important theorems of the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such as the theorem of intermediate value, the mean value theorem and so on, have their origin in the properties of the completeness, the connectedness and the compactness which the set of a real number has and other properties which the function of real numbers has.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define the properties of the completeness, the connectedness and the compactness which the set of a real number has, to find out the things which are equivalent to those propertie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leteness and the compactness, and to examine some important properties of the set of a real number which are related with the completeness, the connectedness, and the compactness.

      • 주택재개발사업의 관리처분계획 변경에 따른 조합원의 청산금 변화 분석

        김병춘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effect the change in both revenuesand project costs on the change of union member’s liquidation amounts in terms of estimated amounts of maintenance project expenses of a management disposition plan. Access was attempted from methods to reduce union member’s share of the expenses in terms of relocation. As a method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union member’s liquidation amounts that appeared when applying revenue and expenditure items increased in change of estimated amounts of maintenance project expenses to union member’s allotment price and proportionate rate respectively. Conclusion of the related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ly, I examined progress of project promotion. As the result, changes occurred after management disposition plans were firstly in all the object areas. It was found that most of changes occurred at the time before or after several months from approval of completion of works. Secondly, I examined detailed items regarding revenue and expenditure in estimated amounts of maintenance project expenses. As the result, construction expenses of expenditure were 78.6%, and allotment for union member of revenue was 66.8%, which charged the largest portion. Estimated amounts of maintenance project expense expenditure were average 1.45 million won per㎡, and 360 million per union member was expended. The principal of union member bore average 66.8% of revenue, and revenue equivalent to the remained 33.2% was generated from revenue source other than the principal of union member. In addition, it was considered that revenue of 2.16 million was generated by expending 1.45 million won with property value of average 710,000 per ㎡ in the house redevelopment project. Thirdly, I analyzed about change of amounts of composition items in estimated amounts of maintenance project expense. As the result, expenditure amounts firstly increased by 60,000 won from about 1.45 million won per㎡, increasing to 1.51 million won. Revenue amounts were increased to about 2.22 million won from about 2.16 million won, by about average 61,000 won. It was seen that a structure so that the proportionate rate was not changed was formed by adjusting revenue amounts and expenditure amounts in the management disposition plans of the house redevelopment project. Fourthly, I analyzed about change of detailed items in estimated amounts of maintenance project expense. Construction expenses increased by about 40,000 won from about 1.13 million won per㎡ to 1.17 million won, showing increase in the largest width. For revenue, revenue of general allotment was increased by about 65,000 won per㎡, showing the largest change volume. It can be seen that increase of general allotment revenue reduces union member’s burden of liquidation amounts. Revenues increased in general allotment were consumed as design construction supervision expenses and construction expenses. Fifthly, it was analyzed that union member’s burden of liquidation amounts was reduced if reducing union member’s allotment price or increasing the proportionate rate without consuming revenue amounts as expenditure in terms of reduction of union member’s burden of liquidation amounts. For union member to obtain allotment right of a house, he or she must pay expenses equivalent to 1.098 times as his or her property. However, union member’s burden of liquidation amounts was reduced as 1.013 if reflecting total revenue amounts on the union member’s allotment price, and was reduced by 0.949 if reflecting general allotment revenue on the proportionate rat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if reflecting the increased expenditure amounts without consuming increased revenue amounts as expenditure for reducing the union member’s allotment price or improving the proportionate rate, it can be likely to reduce union member’s burden of liquidation amounts.

      • 共學 中ㆍ高等學校 學生의 學校親舊 選擇形態의 分析

        김병춘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lection patterns of best school friends in coeducational secondary school students from the basic aspects of friendship selection theories: proximity, balance, status, and exchang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2(107 boys and 135 girls), 2nd and 264(131 boys and 133 girls) 3rd graders of one coed middle school and 186(103 boys and 83 girls) 2nd graders of one coed high school. The research-mad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3 items including academic achievement, SES, parents' education, mothers' occupation, and personality. To analyze the selection patterns of best friends test,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is coeducational secondary school, male students had more close friends than female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had more close friend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Higher the level of family SES, larger the number of their close friends. But the number of students' close friends wasn'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high and low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arents' education. Second, characteristics of the best school friend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years. But the students had the tendency to choose the same sex friend as best friend. Third, proximity was a dominant factor in choosing best school friend. The selection of school friends was not beyond the boundaries of school, class, and sex. The proportion of choosing the same sex friends within their own school, and their own clas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students' school years and sex. Fourth, middle school students made more reciprocal selection of best friend than high school students. And girls made more reciprocal selection of best friend than boys in middle school. But the proportion of reciprocal selection of best friend in high school was not different between sex. Fifth, exchange influenced the selection of best friend. That is, boys selected higher students reciprocally while girls same leve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selected same level students reciprocally while highr school students higher level students. Sixth,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reciprocal selection of best friend were sex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 웹 기반 학습을 통한 미술 감상 수업 연구

        김병춘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웹 기반 학습을 통한 미술 감상 수업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김병춘 정보화시대로 대변되는 현대 사회의 변화는 인간으로 하여금 종전의 지식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새로운 문제에 끊임없이 직면하게 하므로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능력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시대가 원하는 교육을 실현함이 교육의 지향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표현위주의 미술교육으로 일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미술 교육 담당자들이 학력 이해 중심의 미술교육, 다문화 미술교육 등을 적용하려 하지만, 감상 수업 관련 지식의 부족과 감상 자료의 부족을 이유로 소홀히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WBI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미술 감상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로 동적인 수업 과정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본적인 능력이 갖추어져 웹 기반 학습에 기능적인 어려움이 전혀 없었으며, 멀티미디어 자료를 이용한 생동감 있는 자료 제시로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 유발의 효과가 매우 높았다. 둘째는 홈페이지 중심의 교수-학습은 학생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준별 개인 학습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셋째로는 미적 가치 판단 능력의 증대이다. 웹 기반 수업 자료를 이용한 세 가지 수업 형태를 실험하면서 학습자가 작품을 대하는 시각이 분석적으로 변해 가는 것이 보였으며, 관련 사이트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비평도 하게 되었다. 웹 기반 학습을 통한 미술 감상 수업은 풍부한 감상 자료의 확보와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 조성, 개인 학습과 상호 협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업 설계로 미술 수업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Art Appreciation Class through Web Based Instruction(WBI) Kim, Byung-Choon Department of Fine Art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Kong Ju Korea Directed by Professor Kang, Gil Weon Today, we are living in an information societ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We can now get and share new information and techniques throughout the world via the internet. Under present circumstances students, as future leaders in our society, should have increased opportunities for self-directed study and be provided with study materials appropriate for an information era like the 21th century. However, at present art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continue to focus on 'expression'. Some art education teachers have tried to apply scholarship-understanding-centered art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however the field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s been carelessly neglected due to a lack of knowledge and materials for appreciation classe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 uploaded an internet based program focusing on comparative artwork appreciation and another program for isolated appreciation of individual work. I implemented these programs in both whole and individual art classes. The program implementatio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arners were very active and highly interested during art classes using the internet based programs. Most of the students were already computer literate and could use the basic computer functions and internet. They did not have any functional difficulties in web-based learning. Secondly, web based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specially designed homepages can enable students to pursue self-directed study, and allowed for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study according to levels. Thirdly, the learners showed some changes in their personal view of art as they developed their art appreciation skills and the ability to judge and compare worth. Korean art education will continue to advance through the continued study and use of new teaching methods and information-related materials related to web-based learning of art.

      • 남해 열수지에 관한 연구

        김병춘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6년부터 1995년까지 남해 인근 기상관측소의 기상자료와 국립수산진흥원이 관측한 수온 자료를 근거로 bulk method를 이용하여 해표면 열수지를 계산하였다. 남해에서 연평균 유효 열교환량은 -110 W/m^(-2)(음의 부호는 해양이 대기로 열을 잃음을 의미)으로 해표면이 연중 대기로 열을 방출하고 있으며 12월에 -327 W/㎡로 가장 많이 방출하며, 6월에는 90 W/㎡로 가장 많이 열을 흡수한다. 공간적으로 열손실이 가장 큰 지역은 제주도 남동쪽으로 이는 대마난류의 통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해표면에 유입되는 태양 복사량은 5월에 최대, 12월에 최소를 보인다. 장파복사량은 상대적으로 다른 열 손실항보다 변화폭이 적으며 겨울철에 최대, 여름철에 최소를 보인다. 잠열속은 12월에 최소치를 보인다. 한편, 6월에 난류속인 잠열속과 현열속은 가장 적게 나타난다. 남해에서 해표면 열수지는 연변화가 뚜렸하다. 이는 대기온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특히, 2월과 8월에 연변화 폭이 크다. 열수지 계산에 사용한 Box model에서 대한해협 수송량을 3S_v으로 가정하면, 총 열유입량의 약 71∼76 %는 제주도와 대마도 사이를 통해 들어오고, 약 24∼29%는 제주해협을 통해 들어온다. 총 열유출량의 약 95∼97 %는 대한해협을 통해 빠져나가고, 약 3∼5 %는 해표면을 통해 빠져나간다. The mean surface heat fluxes over the South Sea of Korea are estimated by the bulk method vsing the most of the available meteorological observatory data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from the NFRDA(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from 1986 to 1995. The long-term annual mean net heat flux is about -110 W/m^(-2) (negative sign means that the sea loses heat from the air)with the annual range from 90 W/m^(-2) in June to -327 W/m^(-2) in December. The region with the largest loss of heat is in the Southeast of Cheju Island. This seems to indicate the pass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In that area in winter, the maximum loss of heat is -403 W/m^(-2). The largest insolation occurs in May and the smallest in December. This is due to variation in cloudiness. The long-wave radiation has small variations, but it shows a maximum value in winter and a minimum in summer. The upward latent heat flux becomes the largest in December in this area. In June, the latent heat flux and sensible heat flux are the smallest. The annual variations of heat fluxes in this area are closely related to the air temperature. In February and August, annual variations of heat fluxes are larger than other months. This is due to variations of marine-meteorological variables. Assuming that the transport of the Korea Strait is 3.0 ×10^6 ㎥/sec in the Box model, annual mean incoming heat content through the section between Cheju Island and Tsushima Island is about 71∼74 % and the other is through the Cheju Strait. Outgoing heat content through the Korea Strait is 95∼97 % and the other is through the sea su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