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방용 합성수지배관(C-PVC) 시공 안정성 확보에 관한 연구

        김병철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importance of extinguishing facility system to reduce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s due to fire is emphasized. Among the systems, sprinkler facility is recognized as an extinguishing facility very useful in early suppression with its object and range of application expanding as well. Sprinkler facility is characterized by proceeding its deterioration together with that of building, as it maintains its early condition for long time if without any special cause once it was built. Especially in case of piping part, mostly steel pipe and copper pipe are applied and there are water always filled quickening the deterioration. Accordingly it results in leakage and according damage, and furthermore affecting even the working confidence of sprinkler facility. Accordingly it is universalized to use sprinkler facility piping of C-PVC piping, the synthetic resins piping for fire fighting and currently recommended too in advanced countries. C-PVC piping is superior to the existing steel pipe or copper pipe in terms of corrosion resistance, convenience in construction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its application is gradually expanding domestically. However, various problems are occurring in construction site with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of C-PVC piping and construction laws unable to maximize the merit of C-PVC piping.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of C-PVC piping and construction laws and problem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and based on analysis, presented a plan to be able to secure the constructional stability of C-PVC piping. Problems likely to occur in C-PVC piping construction were analyzed by constructional stages and construction laws by recently distributed C-PVC piping products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Problems were drawn that could occur during construction by stages of constr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ducts. Main problems drawn were one according to the tightness of valve socket during piping connection, improper use of adhesive, problem in piping cutting and improper piping inspection. The fundamental cause of those problems is that architects or technicians show difficulty in recognizing construction method proper for characteristics of products and in construction itself as they lack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of C-PVC piping and construction laws. To solve such problems,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fire fighting technicians and architects to confirm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C-PVC piping construction method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Based on research findings, followings were presented including opening and obligatory comple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 of constructional method, correct unity of construction method by manufacturers, supply of detailed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of construction method by constructional goods and supplementation of instructions of specification. Also as C-PVC piping is on its early stage of introduction to Korea, the necessity of technology education was presented for fire fighting technicians to understand the relevant technology sufficiently and for its field application.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o secure constructional technology and stability by raising workers' technology, understanding and proficiency of construction through detailed presentation and education of the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of C-PVC piping and construction laws. In that way, it might minimize outbreak of errors or defect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r maintenance management, and to contribute to decrease of fire damage by raising the working confidence of sprinkler facility.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한 소방 설비 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그 중에서도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에 매우 유용한 소화설비로 인정받고 있으며, 그 적용대상 및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스프링클러설비는 그 특성상 건물 건축 시 시공이 되고 나면,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대부분 오랜 시간을 초기 시공 상태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건물 노후화와 동일하게 해당 설비의 노후화가 진행된다. 특히 배관부의 경우 주로 강관이나 동관이 적용되는데, 항상 물이 차 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더 빠른 노후화가 진행되어 부식, 누수의 문제는 물론, 이로 인한 수손피해, 더 나아가서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 신뢰성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해외 선진국에서는 소방용 합성수지 배관인 C-PVC 배관의 스프링클러설비 배관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현재에도 권장되고 있다. C-PVC 배관은 내부식성, 시공의 편의성, 경제성 측면에서 기존의 강관, 동관보다 우수한 장점이 있어, 국내에도 C-PVC 배관의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C-PVC 배관의 시공 특성 및 시공법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한 채 현장에서 시공되는 경우가 많아 시공 상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어 C-PVC 배관의 장점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C-PVC 배관의 시공 특성 및 시공법, 그리고 시공 과정에서의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C-PVC 배관의 시공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PVC 배관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시공 단계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현재 보급된 C-PVC 배관 제품별 시공법 등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공 단계별, 제품 특성별로 발생할 수 있는 시공 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 문제점은 배관 이음 시 밸브소켓 조임 강도에 따른 문제점, 접착제의 부적절한 사용, 배관 절단 시 문제점, 부적절한 배관 검사 등 이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시공자나 기술자의 C-PVC 배관의 특성 및 시공법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고, 제조업체별, 제품별 시공방법의 제시가 미흡하여, 제품 특성에 적정한 시공방법의 인지 및 시공이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소방 기술자 및 시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C-PVC 배관 시공방법에 대한 이해수준 및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C-PVC 배관의 시공 안정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시공공법 전문교육 과정 개설 및 이에 대한 의무 이수, 제조업체별로 시공방법의 정확한 통일, 시공제품별 상세한 시공특성 및 시공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 시방서의 준수사항 보강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C-PVC 배관이 국내 도입 초기단계이므로, 소방기술자들에게 해당 기술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현장적용을 위한 기술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C-PVC 배관의 특성 및 시공법에 대한 상세한 제시 및 교육을 통한 작업자들의 기술 및 시공에 대한 이해도와 숙련도를 높임으로서, 시공 기술력 확보 및 시공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시공과정 및 유지관리과정에서의 하자 및 결함 발생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 신뢰성을 높여 화재피해를 줄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두 개의 슬롯을 가지는 고이득 이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김병철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고속이동체가 터널을 통과 할 때 터널 내의 전파환경에서 위성신호 중계를 위한 두 개의 Y 형태 슬롯을 가지는 이중 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SHS 구조를 이용한 이중 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신호중계장치는 IEEE 802.11a/b 표준인 2.4∼2.483 GHz 대역과 5.725∼5.825 GHz 대역을 동시에 만족해야 하며, 높은 이득특성이 요구된다. 첫 번째로 제안한 두 개의 Y 형태 슬롯을 가지는 이중 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이중 공진을 유도하기 위하여 큰 Y 형태 슬롯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에 작은 역 Y 형태 슬롯을 추가한 구조로써, 큰 Y 형태 슬롯은 2.4 GHz 대역을, 작은 역 Y 형태 슬롯은 5.8 GHz 대역을 각각 유도한다. 그리고 접지면의 크기를 조절하여 공진 대역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두 대역에서 유사한 이득을 가지도록 하였다. 측정결과 안테나는 VSWR<2를 기준으로 2.376∼2.492 GHz와 5.425∼6.055 GHz의 대역폭을 가지며, 낮은 쪽 중심주파수인 2.44 GHz에서 8.37 dBi와 높은 쪽 중심주파수인 5.57 GHz에서 8.38 dBi의 이득을 가진다. 다음으로 제안한 안테나는 안테나로부터 유전체로 인가된 전자기파가 공기와 기판 사이의 불연속에 의해 발생하는 표면파를 기판 가장자리까지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는 soft/hard surface (SHS)를 추가한 구조이다. SHS는 802.11a/b 두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며, 반사손실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복사패턴을 향상시킨다. 측정결과 VSWR<2를 기준으로 2.384∼2.485 GHz와 5.238∼5.991 GHz의 대역폭을 가지며, 낮은 쪽 중심주파수인 2.43 GHz에서 10.32 dBi와 높은 쪽 중심주파수인 5.76 GHz에서 10.44 dBi의 이득을 가진다.

      • Solar Thermal Storage를 위한 熱交換 性能에 關한 硏究

        김병철 朝鮮大學校 大學院 1984 국내박사

        RANK : 247631

        To study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for the solar thermal storage in a single loop solar water heating system, under the energy storing state, a solar hot water storage tank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cylinderical inner diameter : 600mm, outer diameter: 700mm, height: 1,100 nun, total capacity: 286 liters). In the tank several types of the helical coiled tubes were immersed. The helical diameter was fixed 45cm, the turns were fixed 8 and the lengths were fixed 13.57m. For the helical coiled tube, diameter 13.88mm, tube center interval 100mm. For the helical coiled tube, outer diameter was 12.7mm inner diameter 11.1mm, and tube space was varied, i.e. Om, 37.3mm, and 87.3mm. The hot water was circulated from either top or bottom of the helica1 coiled tube with the constant water temperature 70℃. h e circulation flow rate was varied from 500㎖/min to 20,000㎖/min. While the water temperatures were increased from 20 ℃ to 50℃ at the height of 25cm from the bottom of the strong tank, the effects of the flow rate, the tube space, the tube diameter, the flow direction, and the tube turns were observed h e heat exchange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flow rate, the flow direction, the tube space, the tube diameter and the tube turns were examined. The observ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the water circulated from the bottom of the helical coiled tube,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was the best near the bottom entry. 2. When the flow rate was little,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helical coiled tube was large. 3. The optimum flow rate was 5,00ml/min. 4. In the case of the same flow rate the effect of the tube diameter was not large. 5. In the case of more than 37.3mm of tube space, the heat exchange rate remained the same. 6. When the water circulated from the top of helical coiled tube, the less flow rate was, the more stratification of water temperature was appeared. 7. When the water circulated from the top of the helical coiled tube, in the begining,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was the better in the upper part of the helical coiled tube, but, as the time goes by, better in the lower part of the helical coiled tube.

      • 우리나라 老人福祉政策의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 老人福祉 인프라 構築을 中心으로

        김병철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老人問題는 고령화에 따른 갖가지 사회생활의 곤란을 말하며 이는 貧困·疾病·고독·역할상실로 집약된다. 따라서, 노인들의 기본욕구는 주로 所得·保健·住宅·교육·여가 및 보람에 관한 것으로 어떻게 하면 일할 의지가 있는 한 기회를 얻어 소득을 유지하며, 노후에 經濟的 안정을 누리고, 醫療保障으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고, 가족관계가 안정이 되고 계속적인 교육의 기회로 자기발전을 기하며, 사회참여와 役割을 지속하며, 휴식과 오락을 즐기고 문화를 창출하며 삶의 보람을 찾을 수 있는가하는 것이다. 2000년대의 福祉國家를 목표로 하고 있는 우리는 복지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지고 그 동안 외면당해 왔던 사회적 脆弱階層, 즉 老人, 障碍者, 勤勞靑少年, 生活保護對象者, 모자세대 등에 대한 생활향상 내지는 再活을 도모하는 福祉施策을 추진하여야 하겠다. 특히 노인문제는 우리 사회가 점차 高齡化 社會에 접어들고 있고 또한 모든 국민이 潛在的 노인복지 대상의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서구제도를 무분별하게 답습하던 지금까지의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우리의 社會 文化的 여건에 맞는 福祉對策의 마련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과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산업사회의 성숙으로 노인문제가 크게 확산되고 老人福祉에 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현행 老人福祉 政策의 실태를 재점검하여 우리나라의 文化的·社會的 여건에 부합하는 한국적 老人福祉政策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구체화시키기 위하여 첫째, 노인문제의 원인과 老人福祉의 當爲性, 한국인을 지배하고 있는 보편적 사회의식 등을 고찰하여 이론적 틀을 삼고, 둘째로 老人福祉法의 基本理念을 살펴본후 현행 老人福祉政策의 실태를 所得保障·醫療保障·住宅保障·노인복지서비스로 구분하여 파악하였으며, 셋째로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노인복지의 사회·문화적 인프라구축을 중심으로 하는 老人福祉政策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考察이 점증하는 노인문제를 효율적으로 대응하려는 사회적 노력에 일조가 되기를 바란다. Generally, the problem of the elderly involves various difficulties related to their social activities, which can be reduced to poverty, diseases, loneliness and loss of roles. In other words, the elderly's basic needs are relevant to income, health, house, education, recreation and pride. Namely, most of the elderly desire to earn their living as long as they can work, enjoy their retirement life, live a healthy retirement life with medical insurance, have a stable family relationship, develop themselves through continued education, continue to play their social roles, enjoy refreshment and recreation, participate in cultural creation and ultimately seek for a significant life. Korea who aims to establish a true welfare nation in 2000's has been much concerned about welfare programs. To do so, we are requested to design and implement the welfare programs serving or supporting such classes alienated so far as the elderly, handicapped people, working youth, those poor people requiring a public subsidy, fatherless families, etc. In particular, as our society becomes more and more aged and all the people sure become the beneficiaries of the elderly's welfare program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depart from the passive attitude introducing the Western systems recklessly and instead design a welfare system befitting our socio-cultural conditions. Under such a circumstance where the problems of the elderly spread more widely as our industrial society matures,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welfare programs for the elderly and thereby, suggesting the directions for the welfare programs which befit our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To this end, causes of the elderly's problems, needs for their welfare programs and our social awareness of the welfare programs were examined theoretically, and then, the basic ideals of "The Elderly's Welfare Code" were discussed. Thereupon, the conditions of the current welfare programs for the elderly were examined in terms of income guarantee, medical insurance, housing warranty and welfare services. Third, based on such an analysis, the directions of the elderly's welfare program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a socio-cultural infrastructure were suggest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the efforts of our community to effectively counter the increasing problems of the elderly.

      • 고강도 강기둥 부재의 국부 안정성 평가

        김병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강도 강재란 미국에서는 609MPa, 유럽에서는 460MPa, 한국에서는 500MPa 이상을 고강도 강으로 정의 하고 있다. 이것은 최근 건축구조물이 대형화, 초고층화, 장스팬화 됨에 따라 높은 축력을 요구하는 구조물에서 고강도 강재를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고강도 강재는 낮은 연신율과 높은 항복비, 무 항복점 발생등[박만우외(2008), James and Richard(1998)]의 단점이 알려짐에 따라 구조용 강재로 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FEM(Finite Element Method)를 이용하여 고강도 강재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여 보았다

      • IP망에서 콘솔네트워크를 이용한 시스템 원격제어 연구 및 구현

        김병철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number of subscribers from companies and houses is rapidly growing, Internet service providers have been equipping more and more network devices in Internet. This means that the cost of network operations and management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the research on remote control systems is very actively on going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s. Its purpose is to obtain the accessibility and control-ability over remote devices without dispatching person experts to the area of problematic equipments. Remote control systems enable service providers to monitor various equipments and repair them without visiting the problematic working place. Currently, the most basic management methods have deployed to connect a console to the device and get the authority for the control of system ranging from BIOS level to application level. A bit improved method, Remote Control System is to get the control from the remote site to the device. However, it can do operation only when the networking line and facilities between remote control center and the suspicious devices are working well. So, current methodology largely relies on the network availability. But, frequently the network line itself can be the problem-making source. Therefore, the diagnostician should visit the place the system is located. To solve this limitation, this paper proposed and implemented the new Remote Control System using separate console networking. Remote Control System connects to the console server residing at the local devices' region and gets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devices. Console network provides the detour way to target system, so even when the main networking facilities are malfunctioning, remote control system can diagnose and fix the problem. Furthermore, the proposed system can manage the power of the remote devices to On/Off. This system improves the time and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