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atalytic Co-pyrolysis of Cellulose and Thermoplastics over HZSM-5 and HY Zeolites

        김범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HZSM-5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바이오매스의 촉매 열분해는 방향족 탄화수소의 생산을 위한 환경친화적 방법으로 여겨지지만, 낮은 방향족 수율이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최근 바이오매스의 촉매 열분해에 수소가 풍부한 플라스틱을 혼합 투입함으로써 방향족 수율을 증대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올라이트 촉매의 기공 크기와 투입하는 플라스틱의 분자 직경이 촉매 혼합 열분해의 열적 거동 및 방향족 탄화수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HZSM-5와 HY를 이용한 셀룰로오스와 플라스틱 고분자(폴리프로필렌(PP),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촉매 혼합 열분해를 수행하였다. 비등온 열중량 분석 결과, HZSM-5를 사용한 셀룰로오스-PP 혼합물의 열분해에서 PP의 분해온도가 고온으로 상승하였으며, 이는 PP 분자의 HZSM-5의 작은 기공으로 유입될 때 셀룰로오스가 먼저 반응하여 생성된 촤(char)와 코크(coke)에 의해 방해받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분자 직경이 작은 LLDPE 또는 기공이 큰 HY를 적용할 경우, 이러한 방해작용이 줄어들었다. 상세한 생성물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heart cut-evolved gas analysis (EGA)-GC/MS와 flash pyrolysis-GC/FID 분석을 수행하였다. HY 촉매를 사용할 경우, PP와 LLDPE 모두 방향족 생성에 있어 상승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촉매 혼합 열분해에서 큰 기공 크기가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반면, HZSM-5 촉매는 촉매비가 크거나(10:1) 반응온도가 높은(600˚C) 경우에 방향족 생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Catalytic pyrolysis with HZSM-5 is a promisin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enewable aromatic hydrocarbons directly from solid biomass, even though the aromatic yields are still very low.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co-feeding of biomass with plastic significantly improves the aromatic yield due to high hydrogen content in plastic.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zeolite pore size and the molecular diameter of co-feeding plastic on the aromatic production, catalytic co-pyrolysis of cellulose and thermoplastics, including random polypropylene (PP) and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was conducted over HZSM-5 and HY catalysts. Thermogravimetric (TG) results showed that maximum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PP was shifted to the higher temperature when PP was co-pyrolyzed with cellulose over HZSM-5 because the diffusion of PP molecules was hindered by the cellulose-derived coke and char. This hindering effect was attenuated by employing LLDPE as the co-feeding plastic due to its smaller molecular diameter than PP, and/or applying HY due to its larger pore size than HZSM-5. Heart cut-evolved gas analysis (EGA)-GC/MS and flash pyrolysis-GC/FID were used to monitor the detailed product distribution and yields. The synergistic aromatic formation was easily achieved over HY catalyst for both PP and LLDPE,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larger pore zeolite for the catalytic co-pyrolysis. In contrast, HZSM-5 was very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aromatic production under severe reaction conditions, such as high catalyst to feed ratio (i.e. 10:1) or high pyrolysis temperature (i.e. 600˚C).

      • 플라이오메트릭 훈련방법이 인라인롤러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김범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종목에 특화된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인라인롤러 스피드 스케이팅에서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목적의 실행을 위해 일반 플라이오메트릭과 종목 특성에 맞게 변형된 플라이오메트릭 두 가지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전문 인라인롤러 스피드 스케이트 선수들의 신체구성, 순발력, 발목과 무릎의 등속성 근력 그리고 스케이팅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하고 두 훈련법의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피험자들은 17세 이상인 전문 인라인롤러 스피드스케이팅 고등학생 선수들이며, 남자 선수(n=8), 여자 선수(n=8)로 구성되었다. 실험군, 대조군 인원 선별은 무작위로 각각 남자 4명, 여자 4명을 한 그룹으로 선별하였고,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은 8주 동안 일주일에 3회 실시 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서 Window용 SPSS /PC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집단에 대한 기술 통계치(mean±SD)를 산출하고 두 집단 간 유의차검증을 위해 반복 이원변량분석(Repeated two-way ANOVA)를 통해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도 수준은 α=.05 설정 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일반 플라이오메트릭 집단과 인라인 플라이오메트릭 집단 간 신체 구성, 순발력, 등속성 근력, 스케이팅 후 심박수, 젖산 농도 및 기록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서 8주간 일반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을 한 집단과 종목 특성에 맞게 수정된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을 실시한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종목특성에 맞게 수정된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을 실시한 집단은 일반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어느 정도 운동능력 및 스케이팅 기록 향상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종목특성에 맞게 수정된 플라이오메트릭 훈련법이 인라인롤러 스피드 스케이트 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가치 있는 훈련법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yometric training on performance in inline roller speed skating. To perform this study purpose, the effect of sport specific plyometric training and normal plyometirc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power, isokinetic strength of ankle and knee, and skating capability was analyzed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of two groups applied with different training methods was compared as well. For study participants, 16 high school inline roller speed skaters with more than 17 years of skating experience in elite level were selected and the composition was 8 for male and 8 for femal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with one group composed of 4 male skaters and 4 female skaters. Plyometric training was conducted 3 times a week for 8 weeks. For data processing, using Window SPSS /PC 12.0, descriptive statistics(mean±SD) of each group were drawn and repeated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ith significance level of α=.05. The study results drawn from these study methods and processes are as follow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of normal plyometric training and sport specific plyometric training in body composition, power, isokinetic strength, and skating capability which includes heart rate, lactate, and record change after skating.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undergoing normal plyometric training and sport specific plyometric training for 8 weeks,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more increase in athletic capability and skating records found in the group of sport specific plyometric training than that of normal plyometric training. Thus, sport specific plyometric training has a meaning for future study and is considered to have potential to be one of valuable training methods contributing to the performance enhancement of inline roller speed skaters.

      • 도덕성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월슨의 도덕성 요소를 중심으로

        김범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윌슨의 사람의 개념을 기초로 한 도덕교육론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아동들의 도덕성을 증진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도덕과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아동들에게 도덕적 행동을 하도록 하는 데 있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서는 교실이라는 제한된 장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그들에게 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 즉 도덕성을 함양시켜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덕적 행동의 전제 조건인 도덕성 함양을 위한 도덕교육의 주제는 도덕성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도덕성 함양을 위한 교육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것은 도덕성이 인지적 측면, 정서 감정적 측면, 행동적 측면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 이를 통합적이고도 조화롭게 다루어야 하기 때문이다. 올바른 도덕성 함양을 지향하고 있는 현행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우리의 도덕 교과서가 아동들이 흥미롭게 받아들일 만한 방식으로 덕목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사고를 자극하는 자료로서 미흡한 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에 있어서도 대개는 미리 정해진 덕목이나 가치를 중심으로 교사의 일방적인 설득과 주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에게 도덕적 원리에 따라 합리적인 사고를 거쳐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가 어렵다. 도덕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질적으로 수준 높은 자료가 필요함에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행 도덕교육의 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도덕교육론으로 사람의 개념에 기초한 4범주 15요소로 구성된 윌슨의 도덕성 이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가 제시하는 도덕성 요소 목록은 도덕성의 세 측면이 통합적이면서도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도덕적 삶과 도덕적 문제해결의 방법론으로도 작용한다. 윌슨은 도덕성을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의 절차로 보고 있다. 즉 그의 도덕성요소 목록은 이해관계가 발생한 문제사태에서 순간이 어떤 감정에 이끌리지 않고 이성을 사용해 옳은 답을 찾는 절차이다. 도덕적인 사람은 자신의 신념과 행동에 합리적인 사람이다. 다른 도덕 교육 학자들과는 달리 윌슨은 아동·학생들에게 도덕교육의 주제가 도덕성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도덕성이 무엇인지를 직접적으로 교수해야 한다고 말한다. 윌슨이 정의하는 도덕성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도덕적 사태에서 도덕적 문제를 합리적이고 자율적으로 해결하는 방식과 절차를 의미하는 '사고의 형식'의 도덕이며, 다른 하나는 자신의 삶을 의미 있고, 가치 있게 사는 방식을 의미하는 '삶의 형식'의 도덕이다. 전자는 다른 사람의 이익과 관련된 공적 도덕, 즉 대인간 도덕 영역과 관련되는 좁은 의미의 도덕이며, 후자는 자아이상, 개인적 관계 등의 사적 도덕 영역과 관련되는 넓은 의미의 도덕이다. 그는 도덕교육은 '사고의 형식'의 도덕에서 출발하라고 한다. '사고의 형식'의 도덕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한 것이 윌슨의 도덕성 요소이다. 도덕성 요소에 관한 각 범주의 내용은 다른 사람을 나와 동등하게 고려하기, 사람들의 정서감정을 인지하기, 사실적 지식과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기, 도덕적 문제를 인식, 사고 판단하여 행동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가 말하는 도덕적으로 교육된 사람이란 이러한 도덕성 요소를 갖추고 있는 사람으로 이러한 도덕성 요소를 계발하여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절차적 규칙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도덕교육의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행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도덕교육론으로 통합적, 체계적, 논리적이라고 할 수 있는 윌슨의 도덕성 요소 이론과 이에 기초하여 남궁달화가 새롭게 구안한 '기본적 도덕과 교육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도덕성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윌슨의 도덕성 요소에 기초한 4개 생활영역의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료의 부족한 점이 개선되고 나머지 단원의 교수학습 자료도 개발되어 도덕과 수업에서 아동들의 도덕성 증진을 위한 수준 높은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되어 도덕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crease children's morality by applying theories of moral education based on Wilson's concept of human beings to elementary school practice.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worked ou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moral education class of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ultimate purpose of moral education consists in helping children to morally behave themselves. In fact, activities in a limited space of classrooms aim to equip them with abilities to morally behave. That is, the end of moral education is to cultivate morality through class. In this context, the subject of moral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morality, the requisite of moral behavior, should be morality. However, the cultivation of morality is far from being easy. It should be integrative and harmonious for morality is complicatedly composed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The current 7th moral-education curriculum designed to cultivate right morality leaves much to be desired.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highlights 20 principal value virtues, setting 10 virtues by grade in consideration of class and ranks. But it is the way such virtues are presented that is as important as virtues presented by the curriculum. Korean books on good citizenship fail to interest children and to stimulate students' thinking process.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eachers engage in lopsided persuasion and cramming by focusing on predetermined virtues and value. This method doesn't help students to go through free thinking, choice and rational thinking process, failing to enable them to live in this various and complex society. Teachers are supposed to help them to cultivate abilities to choose on their own on the basis of rational thinking process according to moral principles. The educational purpose of a nation lies in that of its curriculum. The value of moral-education curriculum cannot be acknowledged until it is put into practice in educational field. Moral education includes not only subjects but also life guidance. Although all the teachers engage in moral education, their methodologies show differences. Such differences in the ways of teachers' moral education are related to disrespect for and inconsistency of moral education, and likely to bring confusion to the behaviors of students. If one is to blame once-a-week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one fails to realize the insufficiency of class sessions for moral education. Currently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are a far cry from acting as a facilitator to encourage moral judgement and to stimulate intelligent activities. Besides, teachers have difficulties for lack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use in class. It takes a variety of quality materials to achieve the goals of moral education, but the reality of moral education has much room for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hat various materials including fables dealing with moral problems should developed. Although there are a lot of scholars whose moral education theories can solve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moral education, this researcher finds Wilson's theory on moral education the most appropriate one. 15 moral factors in four categories based on Wilson's concepts of human beings consist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ones in harmony and on a integrative basis and act as the methodologies of solving moral problems as well as moral life. Wilson regards morality as rational and logical thinking process. He says that morality refers to procedures without becoming too emotional to find right answers. Moral man is the person whose belief and behavior are rational. Unlike other scholars, he claims that the subject of moral education is morality and that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what morality is. His morality can be divided into two. One is the morality of thinking mode, which means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solving moral problems in a rational and self-regulatory way in moral situations. The other means the morality of life mode meaning the ways of living a meaningful life. The former is morality in a narrow sense related to interpersonal moral province, or public morality connected with others' interest. The latter is morality in a broad sense related to private moral province such as self-ideal and individual relationship. He says that moral education should begin with morality in a thinking mode. It is his morality factors that suggest morality in a thinking mode in a logical and conceptual way. He suggests his moral factors in four categories and in 15 factors. The four categories include considering others on an equal basis, recognizing the feeling of others, acquiring factorial knowledge and social skills, recognizing moral problems and acting after thinking and judging. Wilson says that morally educated persons are possessed of moral factors and that the end of mor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to develop such moral factors and to think according to the rule of rational and logical procedures. With a view to achieving the goals of moral education, this study takes a look at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7th curriculum, Wilson's theory on morality factors deemed to be integrative, systematic and logical and to be able to solve the problems and newly devised basic morality curriculum based on the theory. The researcher developed four life-are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Wilson's morality factors for the use of class so that the sixth graders may be helped with the enhancement of moralit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shortcomings of this material will be improved and used as high-qualit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morality and tha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other units will be developed.

      • 강원도 연안과 하천에서 산란 회유하는 연어(Oncorhynchus keta)의 이동특성

        김범식 강릉원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mong the countries in the North Pacific where salmon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s distributed, Korea is located in the southernmost region. In Korea, Gangwon Province has the largest distribution of chum salmon that migrate to spawn. The east coast of Korea is the boundary where the cold water mass flowing from north to south and the warm water mass flowing from south to north meet; therefore, the coastal environment changes as per the changes in the two water masses. Rivers show environmental changes based on various geographical features and sediments within a narrow range. This study investigated when and how chum salmon migrates from the coast to river in this environment. Chum salmon usually migrates to the river between early October and early December. The number of chum salmon entering the river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coastal surface-water temperature fell to <18°C and reached a peak when the surface and bottom layers were actively mixing. The number of salmon sharply decreased when temperatures of the surface and bottom layers became uniform and the surface-water temperature fell to <14°C. The time of the chum salmon entering the river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n the basis of when such environment was formed: Type 1 (late October), Type 2 (early November), and Type 3 (mid-November). The salmon showed active vertical movement within the surface and bottom layers of the coast and moved from the bottom to the surface layer along with the rising tide level as the temperature of the coastal surface layer and the distance to the river decreased. The salmon moved more slowly in regions where the riverbeds comprised gravel that was suitable for spawning than in regions where the riverbeds comprised sand and mud. During the day, they stayed in deep and shaded areas, whereas during the night, they moved rapidly upstream along the deep depth zone.

      • D-STATCOM의 스위칭 주파수 최적화를 위한 3-레벨 인버터 기반 이중밴드 히스테리시스 전류제어 성능 향상 연구

        김범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a novel double band hysteresis current controller of a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based on three Level inverter to compensate reactive power on a distribution network. The STATCOM is configured using a three level voltage source inveter. For high power applications, Three level inverter is commonly preferred over the two level voltage source inverter from the standpoint of harmonic component, dc link voltage and inverter switching frequency. And hysteresis controllers are intrinsically robust to system parameters, exhibit very high dynamic response and are suitable for simple implementation. But the current control using a conventional hysteresis controller in STATCOM has the disadvantage that variable modulation switching frequency may happen due to fixed hysteresis band and high switching frequency may happen due to fewer zero voltage vectors and small effective voltage vectors. This will increase the switching loss. So, in this paper to reduce the switching frequency and optimize the modulation frequency, a novel double band hysteresis current controller based on three level voltage source inverter is proposed. Proposed algorithm is the method to use a three level voltage source inverter, a two double band hysteresis controllers, current error values, region detector, ST(Switching Table) method to apply zero voltage vector for reducing the switching frequency and a new variable band width definition for optimizing the modulation frequency in synchronous rotating reference frame. A conventional hysteresis current control system and a novel hysteresis current control system was tested with digital simulation in the Borand C++ program and demonstrate the advantage of the novel hysteresis current controller.

      • P-e 곡선의 타원 특성을 고려한 전력계통의 최대 허용 부하의 예측

        김범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algorithm to estimate the maximum load level for heavily loaded power systems with the load-generation variation vector obtained by ELD (Economic Load Dispatch) and/or short term load forecasting while utilizing the elliptic pattern of the P-e curve. It is well known the power flow equation in the rectangular coordinate is fully quadratic. However, the coupling between e and f makes it difficult to take advantage of this quadratic characteristic.In this paper, the elliptic characteristics of P-e curve are illustrated and a simple technique is proposed to reflect the e-f coupling effects on the estimation of maximum loadability with theoretical analysis. An efficient estimation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with the use of the elliptic properties of the P-e curve. The proposed algorithm is tested on IEEE 14 bus system, New England 39 bus system and IEEE 118 bus system, which shows that the maximum load level can be efficiently estimated with remarkable improvement in accuracy. 본 논문에서는 우선 일반적인 전력계통의 전압안정도 해석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전력 계통 최대 허용부하가 전력계통운용을 위한 전압붕괴 근접도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P-e 곡선의 타원특성을 이용하여 전력계통의 최대허용부하 (maximum loadability)를 예측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보였다. 경제급전 (Economic Load Dispatch)과 단기부하예측 (short term load forecasting)으로부터 부하-발전량 변화 벡터를 얻을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 방향으로의 계통 최대 허용부하를 예측하는 것이 주요내용이다.직각좌표계 (rectangular coordination)로 표현되는 계통 조류방정식은 순수한 2차식이나 모선 전압의 실수부 및 허수부인 e와 f사이에는 일반적으로 커플링이 존재하며 이러한 커플링이 2차 특성을 이용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본 논문에서는 전압안정도에 대해 간략한 소개와 함께 P-e 곡선의 2차 특성을 설명하고, 최대허용부하의 예측에 있어 이러한 e-f 커플링을 제거할 수 있는 간단한 기법을 이론적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e-f 커플링을 고려하고 P-e 곡선의 타원특성을 이용한 효율적인 최대허용부하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IEEE 14모선, New England 39모선 그리고 IEEE 118모선에 적용하여 계통의 최대허용부하를 예측하고 제안된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예배음악의 효과적 사용에 대한 연구

        김범식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찬양은 구원받는 사람만이 부를 수 있는 특권이며 기쁨이기에 이 땅에 구원받은 백성들이 늘어날수록 하나님을 찬양하는 소리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하나님은 언제나 변함이 없으시고 예배가 하나님과 인간이 만나는 신비스런 의식임은 세월이 아무리 흐른다 해도 변하지 않는 진리이지만 시대적 요청이 신학의 변화를 가져오게 했듯이 문화와 시대의 발전이 교회음악의 변화를 요청한다. 한국교회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 사역의 방향이 시대에 따라 분명하게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삶의 자리가 변할 때마다 언제나 요청될 것이며 이런 변화를 감당하지 못하는 교회는 도태되어 그 사명을 다 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예배음악도 별반 차이가 없다. 현재 우리가 예배 시간에 사용하는 찬송가는 전체 558곡 중에서 약 16곡 내지 17곡 정도만 한국 사람이 작사하거나 작곡한 것을 수록하고 있을 뿐이다. 그 외의 나머지 곡들은 18세기와 19세기 영국과 미국의 찬송가이거나 유럽의 사교장에서 흘러 나왔던 노래를 개사한 곡과 그들의 민요가 거의 대부분이다. 이제 우리의 예배형식과 예배음악을 찾고 만들어 가야 한다. 예배음악을 연구하고 예배음악의 변화를 시도하는 모든 노력들은 통하여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그분께 경배를 드리고 영광을 돌리기 위함이다. 그것이 목적이다. 그런데 이 목적이 무시된 채 인간의 귀를 즐겁게 하고 사람들을 모으기 위한 수단으로 예배음악이 쓰여진다면 그것은 예배음악이 될 수 없다. 그러기 위해서 이에 대한 냉철한 비판과 진지한 연구가 필요함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21세기를 맞은 우리 한국교회도 이 시대에 존재하는 신앙공동체를 이끄는 이 시대의 신앙고백으로서의 예배음악을 갖추어 나가야 하겠다. 매 주일마다 드리는 예배를 통하여 삶이 풍요로워지고 예배음악을 통해 주안에서의 평안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다음 한 주간을 예배처럼 살도록 이끌어 주어야 한다. 찬양은 하나님께 드려지는 노래이다. 하지만 찬양하는 것은 사람이다. 그렇기 때문에 찬양을 드리는 마음의 자세와 예배를 통하여 경건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마음과 생활의 변화가 중요하다. 앞서가는 교회음악관을 갖고 교육하고 부단히 창조해 나가야 한다. 이 일을 위해 각 신학교마다 갖추고 있는 기독교 교육과정에서 전문 교회음악 전문가를 양성하고 양성된 전문인들은 각 지역 교회를 책임지고 교육사역을 담당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옳은 가치판단을 할 수 있는 분별력과 비전(Vision)을 가져야 한다. 음악에 대한 전문성을 갖출 뿐만 아니라 음악적 실천 행위라는 측면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젊은이들의 건전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또한 바른 방향성과 꿈을 심어 줄 수 있어야 한다. 이제 서서히 예배를 갱신해 나아가고 있다. 분별없이 받아들인 다른 나라의 예배 전통들을 하나하나 고쳐가며 우리의 것으로 만들고자 하는 노력도 시도되고 예배음악에 있어서도 우리가락 찬송이 불려지고 우리의 전통악기가 예배시간에 쓰여진다. 이러한 현상은 자각하지 못했던 우리의 예배의식을 일깨우는 좋은 변화라는 생각을 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