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rdyceps militaris의 Mating type과 균사 및 자실체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범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wo isolates of Cordyceps militaris EFCC 12448 and EFCC 10304 collected were used in this study. The isolates have been preserved in Entomopathogenic Fungal Culture Collection (EFCC),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band formation and in vitro fruiting body production of Cordyceps militaris, isolates selection by mating-type, characteristic of mycelium by locations on Petri-dish, and relationship between cultivation date and fruiting-body production. Isolates were inoculated on opposite sides of SDAY agar plates and observed for the band formation in the meeting line of the isolates. The isolates were then inoculated in brown rice medium for in vitro fruiting body production. Fruiting-bodies were produced from combinations of isolates that produced band or no-band on Petri-dish. Thus, it was observed that band formation between the isolates had no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fruiting body formation. Also, the inoculum was prepared by using mycelial discs from the meeting region between the two isolates (A) and the mycelial discs from the opposite sides of peripheral regions of two isolates (B). It was observed that the method B was more appropriate for fruiting body production than the method A. To find superior isolates for fruiting, fruiting bodies were produced from two types of combinations of single ascospores: ascospores isolated from the same stroma and ascospores isolated from different stromata such as EFCC 10304-1, EFCC 10304-2, EFCC 10304-1, EFCC 10304-3 and EFCC 10304-2, EFCC 10304-3. The fruiting bodies were produced in three different environments: mycelial growth room (Place 1), under-ground cultivation room (Place 2), and mush cultivation farm (Place 3).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among fruiting bodies produced from single stroma and those produced from combinations of different stromata. Place 3 was slightly better compared to Place 1 and Place 2. Isolates of the superior combination, EFCC 10304 1(5) × EFCC 10304 3(7) were used to find characteristics of mycelium on different locations on Petri-dish. After the isolates EFCC 10304 1(5) and EFCC 10304 3(7) were inoculated in liquid medium from three different locations (A, B, C), they were again inoculated in brown rice medium for fruiting. Also, four first-generation isolates of EFCC 10304 1(5) and EFCC 10304 3(7) were used for fruiting. Perithecia were formed in A and B type inoculations, but they did not formed in C. Also, artificial fruiting-bodies of first-generation isolates formed perithecium, but some of them did not form perithecia. Finally, superior combination, EFCC 10304 1(4) × EFCC 10304 2(8) was used to know relationship between cultivation-date and fruiting-body production. The isolates of EFCC 10304 1(4) and EFCC 10304 2(8) were cultivated on seven different ages of liquid cultures. The result of seven different cultivation dates was good at color and length of fruiting-body but not at fruiting-body strength when 2 days-old liquid culture of EFCC 10304-1(4) was inoculated with EFCC 10304-2(8) of 2 day, 4 day, 6 day and 8 day-old liquid cultures. On the other hand, it was good at strength of fruiting-body but was bad at color and length of fruiting-body when 2 days-old liquid culture of EFCC 10304-2(8) was inoculated with EFCC 10304-1(4) of 4 day, 6 day, 8 day-old liquid cultures. 본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2004년 8월에 강원도 봉명리에서 채집ㆍ분리한 Cordyceps militaris EFCC 12448과 2003년 7월 제주도 한라산에서 채집 및 분리한 Cordyceps militaris EFCC 10304를 사용하였고, 실험 균주들은 현재 강원대학교 동충하초은행(Entomopathogenic Fungal Culture Collection ; EFCC)에 보관되어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Petri-dish 상에서 형성되는 밴드와 자실체 형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Mating type에 의한 균주선발과 Petri-dish에 자란 균사의 위치에 따른 균사의 특성, 그리고 각 Mating type의 배양일수와 자실체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밴드와 자실체 형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하나의 Petri-dish안의 양쪽에 균을 접종하여 밴드를 형성시켜본 결과 밴드가 형성된 조합이 자실체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었고, 밴드가 형성되었어도 자실체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밴드의 형성과 자실체 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Petri-dish 내에서 두 균주가 만나는 부분(A)과 두 균주의 양쪽 끝부분(B)에서 균을 떼어내어 자실체를 형성 시킨 실험의 결과, (B)방법이 (A)방법 보다 더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Mating type에 의한 우량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인공자실체로부터 자실체 가닥 3개(EFCC 10304-1, EFCC 10304-2, EFCC 10304-3)를 선발하여 그 3개의 자실체로부터 각각 12개씩의 단포자를 얻었고, 그 중에서 6개씩의 단포자를 선발하였다. 같은 자실체에서 분리된 단포자들끼리의 mating 실험과 각각 다른 자실체에서 분리된 단포자들끼리의 mating 실험(EFCC 10304-1, EFCC 10304-2, EFCC 10304-1, EFCC 10304-3, EFCC 10304-2, EFCC 10304-3)을 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공간 조건은 강원대학교 지상층에 있는 동충하초 배양실(Place 1), 강원대학교 지하층에 있는 배양실(Place 2), 농가의 버섯재배사 포장(Place 3)으로 나누어 자실체를 비교하였다. 같은 자실체에서 분리된 단포자들끼리의 조합과 서로 다른 자실체에서 분리된 단포자들끼리의 조합의 비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고, 공간조건에서의 비교는 농가의 버섯 재배사포장(Place 3)이 다른 장소보다 조금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균사의 위치에 따른 균사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EFCC 10304-1과 EFCC 10304-3 단포자 mating 조합 중 우수 조합인 EFCC 10304-1(5)과 EFCC 10304-3(7)의 단포자를 공시균주로 사용하였다. EFCC 10304-1(5) 단포자 원균과 EFCC 10304-3(7) 단포자 원균의 petri-dish상에서 위치를 세 부분(A, B, C)으로 다르게 하여 균사의 Colony를 떼어내어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그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자실체를 형성시켜 A, B, C를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EFCC 10304-1(5) 단포자 원균과 EFCC 10304-3(7) 단포자 원균을 4개씩 1차 계대를 하여 그 1차 계대균들을 이용하여 자실체를 형성시켜 보았다. Petri-dish상에서 위치를 세 부분(A, B, C)으로 다르게 하여 자실체를 형성 시켜본 결과 A, B, C의 인공 자실체들이 서로 자실체 모양과 색,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었으며 인공 자실체 A와 B의 경우 자낭각이 형성 되었지만 C의 경우 자낭각이 형성 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1차 계대균을 이용하여 서로 Mating을 시켜 인공 자실체를 유도한 결과 또한 인공 자실체들이 서로 자실체 모양과 색,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었으며 자낭각의 경우도 형성 된 것이 있는 반면, 불확실하게 형성 된 것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Mating type의 배양일수와 자실체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EFCC 10304-1과 EFCC 10304-2 단포자 mating 조합 중 우수 조합인 EFCC 10304-1(4)과 EFCC 10304-2(8)의 단포자를 공시균주로 사용하였다. 단포자 EFCC 10304-1(4)와 EFCC 10304-2(8)를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배양일수를 7가지 방법으로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균사의 배양정도를 다르게 하여 배양을 한 뒤, 자실체를 형성시켜 배양일수에 따른 자실체 형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미리 EFCC 10304-1(4)와 EFCC 10304-2(8)를 각각 현미배지에 배양시켜, EFCC 10304-1(4)가 배양된 현미배지에는 4일간 배양시킨 flask 액체 접종원 EFCC 10304-2(8)을 접종하였고, EFCC 10304-2(8)이 배양된 현미배지에는 4일간 배양시킨 flask 액체 접종원 EFCC 10304-1(4)를 접종한 뒤 자실체를 형성시켜 비교하여보았다. 배양일수를 다르게 하여 자실체를 비교하여 본 결과 2일 배양한 EFCC 10304-1(4)와 2일, 4일, 6일, 8일 배양한 EFCC 10304-2(8)의 조합에서는 자실체의 길이와 색은 우수하였지만 자실체가 튼튼하지 못하여 곧게 서지 못하였다. 4일, 6일, 8일 배양한 EFCC 10304-1(4)와 2일 배양한 EFCC 10304-2(8)의 조합에서는 자실체는 튼튼하였으나, 자실체의 길이와 색은 좋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미리 배양된 현미배지에 액체배지를 접종한 실험의 결과는 EFCC 10304-1(4)를 먼저 배양시키고 나중에 EFCC 10304-2(8)을 접종하였을 경우 자실체 가닥에 힘이 없었고 노화도 약간 빨랐으며, 길이도 약간 짧음을 확인하였고, 반면에 EFCC 10304-2(8)을 먼저 배양시키고 나중에 EFCC 10304-1(4)를 나중에 접종하였을 경우 자실체 가닥에 힘이 있어 곧게 자랐고 자실체의 양이나 길이 등을 비교하였을 때 훨씬 우수하였다.

      • 공간도형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오류 유형 연구

        김범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thematical errors of students shown in problem-solving process of the Unit 'Space Figures and Spatial Coordinates' of High School Math II and the causes of the error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guide of teachers, and to promote students' interest and attention on space geometry.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types of mathematical errors of students shown in problem-solving process of the Unit 'Space Figures and Spatial Coordinates' of High School Math II? 2) What are the causes of mathematical errors of students shown in problem-solving process of the Unit 'Space Figures and Spatial Coordinates' of High School Math II?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questions, 237 third-graders who were in natural science major classes in three academic high schools (two classes for each school) located in Buchun, Kyunggido were selected to be the subjects. After those who did not answer the test were excluded, 182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of the types of mathematical errors. Test paper corrected and complemented through a preliminary test and experts' advice was used in the investigation, the second test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mathematical error type. In order to classify the types of mathematical errors, the types of incorrect answers of the students by items were classified and were analyzed of their rates. Based on the results, the err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errors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errors for each type were identified. The three types are: errors from the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ion; errors from the process of space competence; and general errors. Also, the basic causes of each mathematical error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precedent researches. The causes of mathematical errors in this study include perception-dominating thoughts, obsession with concrete viewpoint, effects of daily language, difficulties in changes of observation & measurement standards, causal thoughts, over-generalization, analogical thoughts, and limited concentr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teach correct mathematical conceptions of terms used in space figures. Given that students apply the mathematical conceptions used in plane geometry to space geometry or have mathematical misconception of terms in space geometry through daily language,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providing correct mathematical conceptions is necessary. Second,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improve their competence on space and to perceive the spatial figures presented as spatial expression in the textbook as space. Students solve problems by recognizing the spatial figures of the problems as plane ones on the test paper. Therefore, it is needed that students are taught to utilize their competence on space that is essential in problem-solving of spatial figures and that activities of teaching-learning for various, practical activities are developed. Third, computers should be actively used in teaching spacial figures in order for student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from learning and understanding through rotating, cutting, or developing materials used in space geometry. When computers are used, students may understand the parts that are difficult to be spatially visual and identify the characters of spatial figures without direct cutting or developing materials. Using computer provides students with geometric theories that might be guessed through active and visual support and makes them participate in structuring knowledge by themselves. Fourth, contrary to the existing education in which analytic geometry and plane geometry are centered, the importance of space geometry should be emphasized. The methods of students attached to analytic geometry and thoughts of plane geometry cause various mathematical errors in problem-solving in which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ions and space competence in space geometry are utilized. In order to prevent such errors, the importance of space geometry should be emphasized, the structure and curriculum by phases of textbook related to space geometry should be changed, and the course from space geometry to detailed plane and analytic geometry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수학Ⅱ의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어떠한 수학적 오류유형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수학적 오류형성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들의 학습지도 개선에 도움을 주고 학생들의 공간기하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수학II 「공간도형과 공간좌표」단원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은 어떠한 유형의 수학적 오류를 가지고 있는가? 나. 수학II 「공간도형과 공간좌표」단원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수학적 오류 형성의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부천에 소재한 3개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자연계열 학생 중에서 각각 2개 학급에 해당하는 총 237명 중 응답하지 않은 학생을 제외한 182명을 선정하여 수학적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예비검사와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수정 보완한 검사지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고 수학적 오류유형의 구체적인 내용 파악을 위해 2차 검사지와 개별면담을 활용하였다. 수학적 오류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먼저 학생들의 문항별 오답유형을 분류하고 비율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오류 내용의 공통적인 특징별로 세 가지 유형으로 오류를 분류하였고 각 오류유형에 해당하는 세부 오류내용으로 정리하였다. 세 가지 유형은 수학적 개념의 이해과정에서 오는 오류, 공간능력의 과정에서 오는 오류, 일반적인 오류가 있다. 또한, 각각 수학적 오류들을 형성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해당하는 수학적 오류형성의 원인으로는 지각우위적 사고, 구체적 관점의 집착, 일상 언어의 영향, 관찰·측정 기준 변경의 어려움, 인과적사고, 과대일반화, 유추적 사고, 제한된 주의집중 등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공간도형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정확한 수학적 개념 지도를 해야 한다. 학생들은 평면에서 사용하던 기하의 수학적 개념을 확장시켜 공간에서도 같은 수학적 개념으로 사용하거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통한 공간기하 용어의 수학적 오개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파악하여 정확한 수학적 개념을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공간능력을 향상시켜 교과서에 평면적 표현으로 제시되어 있는 공간도형 그림을 공간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학생들은 문제지에 제시된 공간상의 도형을 문제지 위의 도형 즉, 평면상의 도형으로 인지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공간도형 문제해결의 필수적인 요소인 공간능력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고 다양하고 실제적인 활동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간도형에서 사용되는 구체물을 회전시키고 절단하거나 전개시켜 학습하고 이해해야만 하는데서 오는 어려움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공간도형에서는 컴퓨터를 적극 활용하여 지도해야 한다. 컴퓨터를 활용하면 학생들이 공간시각화 하기 어려운 부분과 구체물을 직접 자르거나 펼치지 않고도 공간도형의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추측에 그치는 기하학적 이론들을 활동적이고 시각적인 도움을 학생에게 제공하고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데 활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해 준다. 넷째, 해석기하와 평면기하 중심의 기하교육에서 벗어나 공간기하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학생들의 해석기하와 평면기하적 사고에 치중된 문제해결 방법들은 공간기하에서의 수학적 개념의 이해와 공간 능력을 활용한 문제해결에 있어 다양한 수학적 오류를 낳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간기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공간기하와 관련된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단계별 과정의 변화와 공간기하에서 출발하여 세부적으로 평면기하와 해석기하에 이르는 교육이 필요하다.

      • 치과용 콘빔 CT 영상에서 비구개관 유형과 크기 분석

        김범석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비구개관의 분지 양상에 따라서 비구개관의 유형을 분류하고 비구개관의 폭과 축상 높이를 측정하여, 다양한 비구개관의 해부학적 상태를 치과임상 시술에 참고 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방법: 치과용 콘빔 CT(Mercuray ; Hitachi, Japan)로 상악 전방부위를 촬영한 22명의 축상면 영상에서 1 mm 간격으로 비구개관의 분지 양상에 따른 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축상면의 합을 축상높이로 정하고 비강저부터 구개 표면까지 축상높이를 측정하였으며, 단면 형태마다 전후폭과 좌우폭을 측정하였다. 단면이 독립된 두 개의 비구개관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각각 따로 측정하였고 불완전하게 합쳐진 모양에서는 좌우측 폭 중 큰 값을 전후 폭으로 정하였다. 결과: 비구개관의 분지 형태는 단면의 분지 양상에 따라 4가지로 나뉘었고, 이중에서 비강측에서 하나의 관으로 시작해 변하지 않고 그대로 구개측까지 유지되는 유형(13명, 59.1%)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비강측에서 두개의 관으로 시작해 구개측에서 하나의 관으로 끝나는 유형(6명, 27.3%)이었다. 유형별 비구개관의 축상높이는 최소 7.2 mm 이상으로 나타났고, 두개의 비구개관이 하나로 합쳐져 끝나는 유형의 경우 비강측 1.7 mm 아래에서 하나로 합쳐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구개관 단면의 폭은 전후방으로는 1.0~7.0 mm, 측방으로는 2.9~6.3 mm의 범위를 보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는 상악 중절치의 임플란트 시술이나 기타 상악전방부의 외과 술식에 있어서 비구개관의 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시술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Objective : To classify the NPD shape and measure its axial height using dental cone beam CT.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two dental cone beam CT images on anterior maxilla from 22 dental pati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type of NPD was classified based on its number of superior foramina and whether it merges or not during its course into oral terminus. The axial height of the NPD was measured from its nasal terminus to the oral terminus where the canal border is still encircling. Results : The shape of the NPD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type with one foramen at nasal cavity and maintaining its shape during its course into oral terminus was the most common type of NPD. The mean axial height was 8.0 mm (STD 1.9 mm).

      • 조적채움벽 골조 형식 학교시설물의 반응수정계수

        김범석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부분의 학교시설의 경우 내진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골조형식의 경우 조적채움벽을 가진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로 이루어져있다. 그 중 조적허리벽으로 인해 단주효과가 발생하는 장변방향의 경우 조적채움벽을 갖는 단변방향 대비 내진성능이 취약할 것으로 판단되며 신중하게 평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를 평가하기 위해 비내진 학교시설에 대해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비선형해석을 통하여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나 비선형해석의 경우 평가를 위해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2018년도에 고시된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이하 ‘학교시설 매뉴얼’)에서는 빠른 시간 내에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고자 반응수정계수 기반 선형해석 평가 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교시설 매뉴얼에서는 선형해석을 통한 내진성능평가 시 조적허리벽을 갖는 비내진 RC 모멘트골조에 대하여 반응수정계수 2.5를 적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아직 충분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 중 조적허리벽을 갖는 비내진 RC 모멘트골조의 적정 반응수정계수 선정하기 위해 학교시설 매뉴얼에 제시된 선형해석 및 비선형정적해석 절차에 따라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다양한 해석조건을 적용하여 선형해석 및 비선형정적 해석결과가 유사 또는 동일하게 평가되는 반응수정계수를 후보군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반응수정계수 중 주기 및 전단지배형 기둥 비율 에 따라 해석조건별 가장 보수적으로 평가되는 값을 적정 반응수정계수로 선정하였다. 선정결과 적정 반응수정계수를 주기가 0.6초 이상인 경우 모든 경우에 대해 2.5, 0.4초 이하인 경우 가 30% 미만일 때 2.5, 이상일 때 2.0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주기가 0.4 ~ 0.6초 사이일 경우 주기에 따라 반응수정계수를 선형보간 하도록 하였다.

      • 경, 요추 감압치료가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통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후향적 관찰연구

        김범석 대전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statistically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 of curative effect and satisfaction level between typical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nonsurgical spinal decompression. Methods: Of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the cervical or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at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department of the Dunsan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April 14 to August 25, 2019,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31 patients who underwent the nonsurgical spinal decompression and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ssigned to Group A) and another 31 patients who had a typical treatment of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lone (assigned to Group B). The clinical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23.0. Results : 1. In result of cross analysis between two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morbid and therapeutic characteristics except whether the patient received the western medicine treatment before or after a treatment by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2. In result of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Group A exhibited higher variations in NRS, EQ-5D and EQ-VAS compared to Group B,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score of Group A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 B. 3. The resul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western medicine treatment after a treatment by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ffected NRS variation in Group A and the NRS variation of Group B was affected by whether the patients were hospitalized and treated with the western medicine. In addition, in terms of a group of entire patients, their NRS variation showed to be affected by whether the patients were hospitalized and treated with the western medicine after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the fact whether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western medicine after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affected EQ-VAS and satisfaction score. 4. In result of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western medicine treatment before and after a treatment by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ffected NRS variation and satisfaction score in both Group A and B, and also affected NRS and EQ-VAS variations as well as satisfaction score in case of entire group of patients. 5. The result of cross analysis revealed that desire for continuous treatment in Group A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 B. 6. In result of binary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the western medicine treatment before and after a treatment by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ffected re-treated intention in Group B, and also affected desire for continuous treatment in case of entire group of patients. Conclusion: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nonsurgical spinal decompression showed higher level of pain decrease,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than the patients with typical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Key words: Nonsurgical Spinal Decompression(NSD), Disc Herniation,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전주시 도심 상업지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상업 미활성 지역과 노후화 지역 고찰을 통하여

        김범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t local central cities have repeated explicit expansion while proceed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outskirts of the downtown in order to solve the housing demand problem due to quick urbanization. Accordingly, as the residential population of the downtown and the public office facilities move out to the outskirts, the function of the downtown has begun to be decentralized. Ultimately, the land use for the commercial area located in the outskirt of the central area, among downtown commercial areas has been indicated as one of the reasons for accelerating the downfall of the downtown. Therefore, this study is to conduct basic research into the plans for promoting the land use of the downtow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ercial area in the downtown and the new commercial area in the outskirts of the downtown targeting Jeonju City, and by deducing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 commercial area of the downtown unutilized. In order to distinguish inactive and aging areas in the commercial area of downtown in Jeonju C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such as the floor space index, the building-to-land ratio, the year of building and the building use, and land characteristics such as the land size and the land price, and analyzed them by establishing each land use characteristic as the scale of inactivation. As a result, concerning the commercial area of the downtown in Jeonju City, the further it proceeded to move to the outskirts district from the central area, the further from the highway, and the smaller the pedestrian traffic volume, the more the area was inactivated. Based on assumptions concerning the reasons for such inactivation of the commercial area of the downtown, the plans for promotion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nd use of the western district of the commercial area of the downtown in Jeonju City was discovered to be low, which was analyzed as such because of poor accessibility to the highway. Therefore, if the road used as a road between Jeonju and Gunsan in the past can be restructured and its accessibility may be enhanced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connectivity, the land use of the western district of the downtown is supposed to improve. Second, as to the scale of the district with low land use in the commercial area in downtow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it on the basis of the pedestrian traffic volume. Although the area in which there is high pedestrian traffic volume, such as ‘a road desirable for a walk’ near the central district, has been activated, the further from the central district, the more the pedestrian traffic volume has been reduced and inactivated; thus, the problem was analyzed to be the disconnection of passing pedestrians with downtown, in general. Hence,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a pedestrian plan in which the pedestrian passing in the commercial area of the downtown may be connected to a road in a low hierarchy from a road in a high hierarchy. Third, the downtown has shown an aging of structures and low land use inside the block within a block in which an alleyway was not developed. This does not simply include a problem with an alleyway, but includes complicated problems involving land size and shape, and the period of designation of a commercial area.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provided that the small-scale reopening method in a block unit can be introduced and the reorganization of an alleyway and the restructuring of infrastructure can be enforc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blocks, it is supposed to be committed to the promotion of the downtown.

      • 의사결정스타일과 개인의 행태, 그리고 경영성과의 관계 : 인지편향, 위험성향 및 윤리성향을 중심으로

        김범석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Scott and Bruce(1995)가 제안한 일반의사결정유형척도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 343명의 의사결정스타일을 측정하고, 의사결정스타일과 인지편향, 위험성향, 그리고 윤리성향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또 연구를 통해 확인된 의사결정스타일별 위험성향 및 윤리성향을 이용하여 기업의 의사결정스타일을 추정하고, 기업의 의사결정스타일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하였다. 먼저 의사결정스타일 측정 결과,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합리형 스타일은 전체 표본의 38.16%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타인의 충고 및 조언에 영향을 받는 의존형 스타일이 25.53%로 분포되어 있었다. 개인의 직관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리는 직관형 스타일은 19.21%, 의사결정상황을 피하려하는 회피형 스타일은 8.68%로 분포되었다. 마지막으로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처리하고자하는 즉흥형 스타일은 8.42%로 가장 적게 분포되어 있었다. 의사결정스타일별 인지편향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 직관형 스타일은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기보다는 개인의 직관에 의해 판단을 내리고자 하는 특징으로 인해 소수의 법칙과 분리사건의 가능성을 과소평가하는 인지편향을 보였다. 그리고 의존형 스타일은 타인의 의견이나 가용한 정보에 의존하려는 특징으로 인해 앵커링조정으로 인한 인지편향을 보였다. 한편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내리고자하는 즉흥형 스타일과 의사결정을 최대한 미루고자 하는 회피형 스타일은 인지편향 측면에서도 정반대의 행태를 보였다. 즉흥형 스타일은 평균으로의 회귀와 회상용이성으로 인한 인지편향을 보인 반면, 회피형 스타일은 앞선 두 현상으로 인한 인지편향을 오히려 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스타일과 위험성향과의 분석 결과, 합리형 스타일은 이득과 손실인 상황에서 각각 위험회피-위험추구 성향을 보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인간의 행태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반면 직관형 스타일과 즉흥형 스타일은 합리형 스타일과 정반대로 이득인 상황에서 위험을 추구하고, 손실인 상황에서 위험을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의존형 스타일은 이득과 손실인 모든 상황에서 위험을 추구하는 성향을 보인 반면, 회피형 스타일은 모든 상황에서 위험을 회피하는 성향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기준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하는 능력을 Lind(1995)의 도덕적 판단력 검사(MJT)를 이용해 측정하고, 도덕적 판단력으로 측정된 표본의 윤리성향을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의사결정스타일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덕적 판단력은 성별로는 남성, 연령별로는 30대가 낮게 나타났다. 교육수준별로는 4년제 대학교 졸업 또는 재학생의 도덕적 판단력이 전문대학교 졸업 또는 재학생보다 높았고, 직급별로는 부장급의 도덕적 판단력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 의사결정스타일별 윤리성향은 즉흥형, 의존형, 합리형, 직관형, 그리고 회피형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의사결정스타일과 개인의 위험성향 및 윤리성향에 대한 앞선 결과를 이용하여 기업의 의사결정스타일을 추정하였다. 먼저 자기자본순이익률(ROE)과 ROE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이득과 손실인 상황에서 기업의 위험성향이 각각 위험회피-위험추구, 위험추구-위험회피, 위험추구-위험추구, 위험회피-위험회피인 4가지 기업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평가등급을 이용하여, 구분된 4가지 집단의 윤리성향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구분된 4가지 집단의 위험성향 및 윤리성향은 의사결정스타일별 개인 및 기업 경영진의 위험성향 및 윤리성향과 유사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4가지 집단을 각각 합리형, 직관즉흥형, 의존형, 회피형으로 기업의 의사결정스타일을 명명하여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의사결정스타일별 경영성과에 대한 분석 결과, 합리형 기업은 안정성 측면에서, 직관즉흥형 기업은 수익성 측면에서, 의존형 기업은 성장성 측면에서 좋은 성과를 보였다. 반면 회피형 기업은 경영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회피하는데 초점을 맞춰 기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피형 기업은 기업가치를 대표하는 성과지표인 토빈큐가 다른 스타일의 기업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 기업을 운영하는데 있어 적정수준의 위험감수는 기업에게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의사결정스타일의 분포를 확인하고, 의사결정스타일에 따라 자주 범할 수 있는 인지편향의 유형을 파악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의사결정스타일별 윤리성향을 파악함으로써 개인이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 주의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또 전망이론으로 설명하지 못한 위험성향의 특성을 의사결정스타일로 설명하였고, 기업의 의사결정스타일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관리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의사결정스타일과 관련한 다양한 개인의 행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업의 성과와 접목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국내 기술적 의사결정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 시청자의 능동적 참여방식을 고려한 애니메이션의 전략적 기획방식에 대한 연구 : TV시리즈 애니메이션 중심으로

        김범석 세종대학교 영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대 이후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명목아래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는 기대를 안고 40여 년 동안의 해외 하청제작 산업에서 얻어진 제작기술력과 노동력을 바탕으로 한국적 애니메이션의 개발을 위한 투자와 기획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문화적인 개념을 무시 한 채 산업적 논리로 접근한 작품들이 오히려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열악한 투자환경은 더욱 악화되었으며 전국의 각 대학에서 배출되는 애니메이션 전공의 고급 인력들을 수용하지 못하고 정부 정책에 기대어 단기적인 도약 책만을 마련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실제 많은 성공사례들을 살펴보면 기획 단계부터 준비된 소비자 심리분석과 성공작들을 모체로 한 리스크 관리와 인지도 생성 또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한 치밀한 분석 등을 전제로 단지 내러티브 전달의 기본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콘텐츠의 토대로서 기획되는 예를 살펴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