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교육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환경 불확실성의 매개효과

        김민조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s expanded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since i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critical elements to succeed in this competency-based organization.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management in economic depress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unique competency to meet the strategic goal orientation of organization. In this regard, the research examined influential variabl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at can improve transfer of lear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how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s on the transfer of learning in organization, and whether environmental uncertainty shows the mediation effect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ransfer of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11 employees were randomly selected to participate and answer the online/off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finally 200 data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23.0 for Window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ransfer of learning, employees who perceived greate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greater transfer of learning. And among the sub-variabl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ly mastery-approach affects on the transfer of learning. It proved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encourages the transfer of learning. Second, as for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environmental uncertainty, employees who perceived greate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perceived greater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among the sub-variabl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ly mastery-approach affects on environmental uncertainty. Third, environmental uncertainty was found to be partial mediating effects up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ransfer of learning. The detailed results of sub-variabl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showed that environmental uncertainty was partial mediating effects upon mastery-approach and transfer of learning. While mastery-avoidance and performance-approach did not show any mediation effects. The study results are practical meaningful in that the scope of research has expanded to stud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organization. Further, they have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 This study showed that transfer of learning formulated throug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hen employees are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designing a support system that tak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into account in organizations will improve their transfer of learning. In particular, designing a support system that takes mastery-approach into account in organizations is necessary. And the limitations, and the future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기업교육에서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과 학습전이와의 관계에서 환경불확실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환경 불확실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밝혀내고 학습 전이효과를 높이는 HRD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거쳤다. 국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 대상자를 선정하였고, 연구대상자 총 211명에게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을 제외한 총 200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때 조사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환경 불확실성, 학습전이 및 인구학적 특성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질문지 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각 변인의 개념을 기반으로 검증된 설문 도구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나타난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전이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인인 성취목표지향성과 종속변인인 학습전이 사이에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나 보이고 있으며, 독립변인인 성취목표지향성은 매개변인인 환경불확실성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매개 변인인 환경 불확실성은 종속변인 학습전이와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취목표지향성의 3개 하위 변인에 대한 회귀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F값이 10.386(p<.001)으로 유의한 회귀모형임을 설명하였다. 다음 R²=.124으로 나타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전이에 12.4%의 효과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 변인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변인들과 성취목표지향성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세 개의 하위변인 중 숙달접근이 ß=.323 (p<.001)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 관계를 가지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숙달회피와 수행접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이 환경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F값이 7.232(p<.001)으로 유의한 모형이며, R²=.086로 나타나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이 환경불확실성에 대해 8.6%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 변인 중 숙달접근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의 매개변인인 환경불확실성이 성취목표지향성의 선제적 행동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수와의 상호작용항을 이용한 Baron & Kenny(1986)의 3단계의 분석 절차에 따라 독립 변인과 매개 변인을 함께 투입하여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은 F=10.524 (p<.001)로 적합한 모형임이 확인되었고 성취목표지향성(β=.156, p<.05)과 환경불확실성(β=.238, p<.01)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지향성의 β값이 1단계보다 3단계에서 영향력이 감소(β=.206 → β=.109)하였고, 설명량은 매개 변인이 투입됨에 따라 증가(R²=.037→ R²= .087)하였으므로 환경불활실성은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 전이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의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업 내에서 성취목표지향성과 환경 불확실성은 학습 전이의 효과성을 증대시키는 데 필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성취목표지향성이 높은 구성원에게 조직 및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내적, 외적인 환경요인의 매우 빠르게 급변하는 치열한 경쟁환경과 업무 상황 속에서 개인적 특성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된다는 토대를 입증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목표지향성의 개인적 특성과 환경불확실성의 외재적 요소의 상황에 따라 학습전이의 영향을 미치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긍정적인 학습전이 풍토를 조성할 수 있는 개인의 자발성을 높이는 데 조직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환경불확실성의 인식을 통한 학습전이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綿 纖維 表面이 키토산으로 被服된 스킨·코어 短纖維의 製造 및 物性

        김민조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건강과 쾌적한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키토산을 이용하여 셀룰로오스 섬유에 항균· 방취성을 부여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면을 키토산 용액으로 처리하여 코어 부분의 셀룰로오스와 스킨 부분의 키토산으로 구성된 스킨·코어 단섬유를 제조하여 면 섬유에 대한 키토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면 섬유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 흡습성, 인체 친화성, 항균성과 같은 우수한 화학적 물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면 섬유 표면이 키토산으로 피복된 스킨·코어 단섬유를 제조시 키토산함량은 처리 키토산 용액의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지만 아세트산 수용액과 가성 소다 수용액의 농도 및 맹글의 압력에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taphylococcus aureus와 Psedomonas aeruginosa, 두 균주에 대하여 99.9%의 항균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2wt%이상의 처리 키토산 농도가 필요하며 제조 공정 상의 조건 및 영향을 고려시 4wt% 이하의 처리 키토산 농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CCC 섬유는 면 섬유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 수분율, 항균성등의 우수한 기능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염색성 또한 우수하였다. 그리고 산성 용액에 대한 키토산의 안정성은 매우 낮았으며 염기성 용액에 대한 안정성은 매우 높았다. 다만 높은 농도의 염기성 용액 상에서 고온으로 처리 시에는 면 섬유의 안정성 저하로 인하여 키토산의 안정성 또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키토산 도입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면 섬유 표면에 키토산이 피복된 스킨·코어 단섬유는 기능성 재질의 원료 물질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또한 다양한 기능성 재질을 위한 연구의 바탕이 되는 연구로서 본 연구의 내용이 활용되어 질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chitosan(β-(1,4)-2-deoxy-2-amino-D-glucopyranose(mainly)), which is used for antimicrobial and deorization finishing of cellulose. In this study, we made conjugated cotton with chitosan skin using new applying method of chitosan on the cellulose. To make conjugated cotton with chitosan skin, law cotton was dipped in chitosan solution, mangled, neutralized in NaOH solution, washed, and finally dryed. The conjugated cotton with chitosan skin has not only maintenance of cotton's mechanical properties but also excellent chemical properties such as moisture regain, biocompatability, antimicrobial, dyeability and so on.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treated chitosan solution increasing, the chitosan contents of conjugated cotton with chitosan skin is increasing. However, it is not affected by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and NaOH solution, mangle pressure. It is required that the cotton treated with over 2wt% chitosan solution to get 99.9% bacteriostatic ratio. And cotton, which dipped in over 4wt% chitosan solution, has problem in process because of excess of chitosan, so cotton treated with less 4wt% chitosan solution. Acid solution dissolve chitosan, stability of chitosan is decreasing in acid solution, however chitosan is stabilized in alkali solution. And chitosan‘s stability is decreasing because of cotton’s low stability when CCC treated in high-concentration alkali solution at high temperature. Form the study of chitosan durability, it is revealed that chitosan contents have less 9.9% than before treatment, after treatment in high-temperature water. And chitosan contents are big decreasing at the first time of washing, but it is less decreasing after that. It is expected from this results that CCC can be used as law material of functional products and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base reaserches in study for various functional materials.

      • 이동로봇을 위한 행동선택 및 학습구조의 설계와 구현

        김민조 漢陽大學校 情報通信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 생명체는 실제 생명체를 모방한 가상의 시스템이다. 이러한 인공 생명체가 지능적이며 살아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외부 환경과 내부 상태를 조합하여 가장 적절한 행동을 선택할 수 있는 행동 선택 구조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행동 선택 구조 및 학습 방법에 있어서, 기존에 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나, 기존 방법들은 임무 수행을 위한 행동을 표현하고, 학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행동 선택 구조를 실제 로봇에 적용하는 경우 소프트웨어에 적용하는 경우와 달리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실제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를 통한 외부 상태 인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 생명체를 위한 새로운 행동 선택 구조 및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구조를 실제 모바일 로봇에 적용해 봄으로써, 적용 시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행동 선택 구조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동기(임무)를 선택할 수 있고, 그 동기를 만족시키기 위한 적합한 행동을 선택할 수 있다. 제안된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모바일 로봇에 적용하여 실험 하였고, 주어진 임무(PBIG : pushing-box-into-a-goal)를 수행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 3D 펜을 활용한 삼국시대 금관 재현 수업지도안 연구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김민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고대사회에 존재한 삼국시대의 금관이 세계사적으로 어떤 상징과 의의가 있는지 탐구하고 역사적 가치가 있는 금관을 현대적으로 재현하는 수업을 통해 우리 학생들에게 우리나라의 문화재의 우수성과 예술성을 보존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리고 한국인의 정체성을 견고하게 하고자 이 수업을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B.C 4세기부터 A.D 6세기 사이에 출토된 고대 금관들을 시대별 지역별로 분류하고, 세부적인 형태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대 금관들 사이에 존재하는 형태적, 상징적 유사성을 발견하였고, 이것은 고대인들이 시대적 환경에 따라 지역을 이동하거나 교류하며 금관을 통해 그 형태의 원형을 남겼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해 서양의 그리스 끝에서부터 흑해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를 지나 동양의 한반도까지 금관의 변천사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대 금관발굴 시기 중 후기에 속하는 5, 6세기 삼국시대에 출현한 금관은 고대 금관의 80%가량 차지하며 규모와 수량 면에서 세계 최고의 출토량을 보여주고 있다. 변하지 않는 물성을 지닌 금을 사용해 만든 금관은 왕권 국가의 절대권력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당대 우수한 예술성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기도 하다. 이러한 황금 문화유산의 맥을 보존하고 후대에 보전하는 것은 우리의 역사적 사명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학교 교육은 이것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통로라고 생각한다. 연구자는 학생들에게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금관을 소중히 여기고 계승해야 할 문화재임을 지도함과 동시에 학생들에게 금관을 현대적이면서 감각적으로 새롭게 재현할 방법을 모색하였다. 그 도구로 새로운 매체인 3D 펜과 그 소모품으로 쓰이고 있는 3D 모델링 신소재인 필라멘트를 제시하였다. 3D 펜을 사용하여 우리 문화유산을 현대적으로 재현하는 과정을 설정하고 청소년에게 유물의 전통성에 현대적이고 트렌디한 소재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교수과정에서 기대되는 교육 효과를 계획하였다. 3D 펜으로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금관의 도면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국립중앙박물관과 문헌 자료에 나와 있는 금관의 수치 기록을 제공하였다. 또한, 금관의 도면작업을 위해 평면 전개도 작성에 필요한 기초제도 과목을 도입하여 제도를 더욱 쉽게 작성할 수 있고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수업 설계에 참여한 학습자는 다양한 문화의 교류를 통한 고대사회의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당시의 예술품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 사용된 신소재에 대한 체험 역시 새로운 시대를 공감하는 매체로써 표현재료의 범위를 확장해 주고, 소재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목을 갖게 해주었다. 다음은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 측면이다. 첫째, 우리나라가 세계 최대로 보유한 금관이 출현했던 시기에 고대사회에서도 출현 된 고대 금관들의 세부 형태와 상징성을 탐구함으로써, 우리 금관의 기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고대사회의 미술 문화교류에 대한 상호 연관성을 관련지어 생각하는 통찰력을 기를 수 있다. 둘째, 3D 펜을 이용해 신소재 필라멘트로 금관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신소재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필라멘트 소재의 현대적인 질감 표현이 금관 제작에 반영되어 창의적이고 새로운 해석을 할 수 있다. 셋째, 금관이라는 입체물을 2차원의 평면 전개도로 제작하는 과정과 이 평면도를 전제로 3D 펜을 이용해, 다시 3차원 입체로 재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입체적으로 사물을 보는 입체적 사고와 다양한 각도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다면적 사고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3D 펜을 활용한 금관 제작을 통해 우리 문화재가 신소재와 결합해 재현되는 감동을 기대해 보며, 우리 전통문화를 한층 가깝게 수용하고 이를 통해 훌륭한 문화유산을 가진 한국인의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

      • 대학생 영작문에 나타난 Be 동사의 오류 분석

        김민조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much the goal of English education of 7th curriculum plan has been achieved. To identify the achievement, a number of uses of a verb “Be” and errors of it in compositions are analyzed because the use of verb “Be” belongs to basic English grammar skill. To analyze the usage of the verb “Be” and forms of erroneous use, the compositions written by the learners who completed the 7th curriculum plan were analyzed.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by graded levels and the frequency of error was analyzed accordingly, and the ratios of addition and deletion errors of the verb “Be” were investigated. To write the compositions, 2,981 freshmen in 00 University in Seoul were selected, and the subject of the composition was “Winter Vacation of 2013.” In writing the composition, the students were allowed to write freely without restriction in vocabularies and grammar. The result shown through the English compositions by the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sing form of the verb “Be”, the lower the level, the higher the using form as the copula connecting the subject and the comple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higher groups, the forms of the passive, the progressive and the auxiliary verb were used. However, the passive sentences were excluded from the research. Second, in the form of errors, the error of insertion, rather than deletion, was high in general. According to Topic-comment structure theory, in the higher level group, the error should have been also repeated as in the lower level group, but this phenomenon was not shown, rather, the higher the level, the smaller the frequency of errors. Also, in inserted sentences, mother tongue subject priority was shown as the phenomenon of acquiring English in the initial stage. Third, even in the cases of adult learners who completed all of the 7th curriculum plan, the erroneous use of the verb ‘Be“ was not completely disappeared, but in the Advanced level, the form of errors in the most basic sentence types of S+be+X , S+be+V+X could not be found. To piece together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result can be obtained. First, even for Korean adult learners, the form of erroneous use of the verb “Be” shows that the sentence structur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luency, and the accompanying addition and deletion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range linguistic development, just as shown in the cases of various school ages. Second, in Korean adult learners case, as Felta asserted, the ratio of addition of unnecessary use of the verb “Be” is higher, rather than its deletion. This result was identified as the influence of mother tongue in the initial stage of linguistic learning. Research on the form of errors in using the verb “Be” by the adult learners such as this can be utilized as a useful material for teachers to understand the middle language of students and give feedback on learning methods and compositions.

      • 한국제조기업의 재료비 원가행태에 관한 연구

        김민조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매출증감에 따른 재료비 원가행태와 이를 재료사용량과 재료가격의 변화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KIS-VALUE의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공시시스템을 통하여 재료비와 재료가격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료사용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제품매출을 설명변수로 재공품과 제품의 기말재고변화를 통제하여 연구 정합성을 높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출증감에 따른 재료비 행태를 분석한 결과 제품매출 증감에 따른 재료비는 선행연구와 달리 하방경직적 행태를 보였으나 총매출 증감에는 대칭적 행태를 나타냈다. 또한 적자기업은 흑자기업과 비교하여 매출증감에 따른 재료비의 하방경직적 행태가 완화되거나 하방탄력적 행태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경영상황 뿐만 아니라 매출수준이 재료비 원가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품매출과 더불어 생산량이 감소한 경우보다 총매출 감소와 더불어 생산량이 감소한 경우에 재료비의 절감유인이 높은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둘째, 세부적으로는 매출 증감에 따른 재료생산량 변화는 흑자기업의 경우 하방경직적 행태를 보였으나 적자기업의 경우 제품매출 증감에는 대칭적 행태를 총매출 증감에는 하방탄력적 행태를 보였다. 또한 매출 증감에 따른 재료가격은 흑자기업에서는 대칭적 행태를 나타내 매출 증가 시 재료가격 상승을 일부 수용하는 것으로 보이나 적자기업에서는 매출증감과 유의하지 않아 매출증감과 무관하게 가격인하를 수행 하는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당기의 순수 생산량가치를 환산하여 생산량가치 증감에 따른 재료사용량과 가격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재료사용량 변화는 경영상황과 무관하게 대칭적 행태를 보이나 재료가격 변화는 적자기업의 경우 생산량가치 증감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경영상황 뿐만 아니라 매출수준에 따라 재료비, 세부적으로 재료사용량과 재료가격의 운영 전략이 달라 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Inferences for heteroscedastic location-scale time series models with application to VaR and ES estimation

        김민조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first considers nonlinear expectile regression models to estimate conditional expected shortfall (ES) and value-at-risk (VaR). In the literature, the asymmetric least squares (ALS) regression method has been widely used to estimate expectile regression models. However, no literatures rigorously investigated the asymptotic properties of the ALS estimates in nonlinear models with heteroscadasticity. Motivated by this aspect, this thesis studies the consistency and asymptotic normality of the ALS estimates and conditional VaR and ES in those models. To illustrate, a simulation study and real data analysis are conducted. Secondly, this thesis studies the asymptotic properties of a class of conditionally heteroscedastic location-scale time series models with innovations following a generalized asymmetric Student-t distribution (ASTD) or asymmetric exponential power distribution (AEPD). We show the consistency and asymptotic normality of the conditional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MLE) of model parameters under certain regularity conditions, and then, based on the MLE, we estimate the conditional VaR and ES using their closed forms induced from the model. Their performance is compared with that of conditional autoregressive value-at-risk (CAViaR) and expectile (CARE) methods. Meanwhile, one should be convinced of the model adequacy in advance of the VaR and ES calculation. For this task, we develop an entropy-based goodness of fit test based on residuals and a residual-based cumulative sum (CUSUM) test to conduct a parameter change test. To handle the former, we also investigate the asymptotic behavior of the residual empirical process. For illustration, a simulation study and real data analysis a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