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소듐 전이금속 질화인산염의 결정 구조와 물리화학적 특성
암모니아 분위기에서 고상법을 이용하여 소듐 전이금속 질화인산염 계열 화합물, Na3MⅢ(PO3)3N (MⅢ = V, Ga)와 Na2MⅡ2(PO3)3N (MⅡ = Fe, Co, Ni)을 합성하였다. 시료의 결정구조를 방사광 X-선 분말 회절 데이터를 이용한 리트벨트 정련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Na3MⅢ(PO3)3N (MⅢ = V, Ga)와 Na2MⅡ2(PO3)3N (MⅡ = Fe, Co, Ni) 모두 입방정계 대칭을 가지며 공간군은 P213, 격자 상수는 Na3MⅢ(PO3)3N (MⅢ = V : 9.44747(2)Å; Ga : 9.36845(2)Å)와 Na2MⅡ2(PO3)3N (MⅡ = Fe : 9.34604(4)Å; Co : 9.26924(3)Å; Ni : 9.17807(3)Å)에 해당됨을 확인하였다. Bond valance sum을 계산하여 이론 값과의 비교를 통해 구조 모델 해석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 구조에서, P와 O 원자는 general position에 놓여있고, 다른 원자들은 three fold axis 상의 special position에 놓여있다. PO4 에서, O 원자 하나가 N 원자로 치환되면서 PO3N 사면체를 이루고, N 원자를 중심으로 세 개의 사면체가 꼭지점 공유를 통해 (PO3)3N 단위체를 형성한다. Na3MⅢ(PO3)3N 구조에서 MⅢ 원자는 6개의 O 원자와 팔면체를 형성하고 Na1, Na2, Na3 원자는 각각 Na1-O6N 7배위, Na2-O6 6배위, Na3-O9 9배위 결합한다. Na2MⅡ2(PO3)3N 구조에서는 두 개의 MⅡ 원자가 각각 6개의 O 원자와 배위 결합하여 면을 공유하는 팔면체, M2O9를 형성한다. Na1, Na2는 각각 Na1-O6N 7배위, Na2-O9 9배위 결합을 한다. 또한, Na2MⅡ2(PO3)3N 구조의 MⅡ2 원자와 Na3MⅢ(PO3)3N 구조의 Na2 원자는 결정학 적으로 같은 자리에 위치한다. 교류 임피던스를 측정한 결과, 약 500 K 온도에서 Na3MⅢ(PO3)3N (MⅢ = V : 1.51 × 10-5 S/cm, 0.56 eV ; Ga : 4.91 × 10-8 S/cm, 0.59 eV), Na2MⅡ2(PO3)3N (MⅡ = Fe : 6.00 × 10-6 S/cm, 0.68 eV ; Co : 2.20 × 10-7 S/cm, 0.83 eV ; Ni : 1.48 × 10-6 S/cm, 1.05 eV)의 소듐 이온 전도도와 활성화 에너지를 보였다. 이것은 rutile type의 소듐 이온 전도 물질인 Na0.7Ga4.7Ti0.3O8의 전도도 및 활성화 에너지(1.0 × 10-5 Scm-1, Ea = 0.75 eV, at 730 K)와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더 좋은 성질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Na2Fe2(PO3)3N의 충방전 용량을 측정하여 소듐 이온 배터리의 전극물질로서 응용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이론용량 131 mAh/g을 기준으로 C/10 일 때, 첫 번째 사이클의 방전용량은 111 mAh/g, 충전용량은 2.7 mAh/g을 보였으며, 두 번째 사이클에서 방전용량 7.0 mAh/g, 충전용량 2.4 mAh/g을 나타내었다. C/100 일 때, 첫 번째 사이클에서 방전용량 58.7 mAh/g, 충전용량 12.0 mAh/g을 보였으나 두 번째 사이클에서 방전용량 22.7 mAh/g, 충전용량 10.0 mAh/g 을 보였다. C/10 과 C/100 두 가지 경우 모두 쿨롱효율이 현저히 낮았으며 두 번째 사이클에서 측정 용량은 이론용량 대비 각각 5%와 17%의 매우 낮은 결과를 얻었다. Na2MⅡ2(PO3)3N (MⅡ = Fe, Co, Ni)의 자화율을 측정한 결과 Ni2+가 포함된 Na2Ni2(PO3)3N 화합물은 spin-only 자기 모멘트(μs) 이론 값에 가까운 반면, Fe2+가 포함된 Na2Fe2(PO3)3N와 Co2+가 포함된 Na2Co2(PO3)3N는 μs 이론 값보다 큰 값을 보였다. 이는 Na2Ni2(PO3)3N의 ground term은 3A_2g (t_2g^6 e_g^2)인 반면, Na2Fe2(PO3)3N와 Na2Co2(PO3)3N의 ground term은 각각 5T_2g(t_2g^4 e_g^2)과 4T_1g(t_2g^5 e_g^2)인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200 – 800 nm 범위의 UV-Visible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금속 이온(V3+, Ga3+, Fe2+, Co2+ and Ni2+)의 d 오비탈 전자전이를 관찰하였다. V3+는 특정 파장 범위에서 세 개의 흡수 띠가 관찰되며 (3T1g(F)→3A2g, 3T1g(F)→3T1g(P), 3T1g(F)→3T2g), Co2+과 Ni2+는 각각 두 개의 흡수 띠 (Co2+ : 4T1g→4A2g, 4T1g(F)→4T1g(P) ; Ni2+ : 3A2g→3T1g(P), 3A2g→3T1g(F))를 확인하였다.
정보보호 시스템 환경에서 조직과 개인요인이 최종사용자의 충실한 전유에 미치는 영향 : 학습과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 및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ly, to examine factors and mechanism inducing end users' faithful appropri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care behavior through the information security system, secondly, to find out the role of employees' adaptive activities like learning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in organization's information security and thirdly, to review moderating effect of job position between information security factors and employees' adaptive activities. Design/methodology/approach An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sample of employees working in the financial service company. Employees(n = 268) completed a written questionnai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Results indicated that employees' learning activities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major information security factors towards end users' faithfulness of appropri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systems.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position is significant such that the organizational information security factors are highly positive to the senior group than the junior group, meanwhile, individual factors are more effective to the juniors than the seniors. Research implications In order to increase employees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in accordance with security guideline, organizations should facilitate interactions that support the feedback seeking process between employees on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behavior. Additionally, organizations may reinforce these behaviors by periodical training and adopting bounty hunter system. 정보유출사고를 비롯한 정보보호 관련 사고는 상당부분 내부조직원의 행위로부터 발생하고 있다. 금융회사와 같이 정보보호 시스템과 전담조직을 갖추고 다양한 정보보호 활동을 지속하는 조직에서도 기술적인 대응과 단순한 절차 중심의 사용자 통제로는 해결되지 않는 내부 조직원에 의한 정보보호 사건 사고들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결국은 ‘사람’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를 풀어나가야 하는데, 최종사용자로 하여금 어떻게 하면 정보보호 시스템을 디자인된 취지에 맞게 올바르게 사용하게 할 수 있을까에 대한 물음에 대해 탐구해가는 과정이 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이자 약한 고리이지만, 결국은 해결주체인 조직구성원의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정보보호 시스템을 올바르게 활용하게 하는 데에 조직의 여러 정보보호 정책적 조치들이 강구되고 실행되는 환경에서 조직원의 능동적인 학습과 피드백 추구행동이 어떤 역할을 하는 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문헌연구를 통해서 정보보호 영향요인 중 조직차원의 요인과 개인차원의 요인이 최종사용자의 조직내 학습활동과 피드백 추구 행동에 그리고 최종사용자의 정보보호 시스템 사용의 충실한 전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변수간의 가설 검증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였다. 설문조사는 보유자산금액과 인원수에서 충분한 규모(자산 25조, 인원 1,000명)를 가진 전국단위 금융회사에서 정보보호 시스템을 사용하는 최종사용자인 현업조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SEM: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이용하였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능동적인 학습활동과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와 직급이 갖는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조직의 CEO 혹은 최고경영진이 보여주는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과 강조는 직원들에게 커다란 자극으로 다가갈 것이며, 구성원들의 피드백 추구 행동을 통해 합목적적인 정보보호 시스템 사용에 대한 명시적 혹은 암시적인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정보보호 지침제공은 최종사용자의 능동성을 촉발하기보다는 정보보호 정책과 지침이 반영된 시스템의 합목적적인 사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정보보호 교육훈련은 조직에서 목적의식적으로 강조하는 사항을 전달하고 인지시키는 방식인데, 이를 반영하듯이, 최종사용자의 능동적인 학습과 피드백 추구행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다. 매개효과분석을 통해 최종사용자의 능동적 적응과정인 학습활동과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고경영진의 정보보호에 대한 지원과 정보보호 교육훈련은 최종사용자의 학습활동과 피드백 추구행동이 없이는 정보보호 시스템 사용의 충실한 전유로 귀결될 수 없다는 점에 있어서 실천적인 함의를 내포하고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조절효과분석을 통해 관리자급에게는 조직적인 요인이, 팀원에게는 개인차원의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직급에 따른 정보보호 영향요인의 작용이 대조적인 점에서 관리의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발견한 사항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가 정보보호 시스템을 업무효율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이를 무시하거나 그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기존 업무 자체의 비즈니스 연속성(Business Continuity)조차 확보할 수 없는 사회적 환경에서, 조직은 조직구성원의 학습활동과 피드백 추구행동 관리를 통해 정보보호 시스템을 설계된 의도대로 충실하게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결국에는 조직의 견고한 정보보호에 이르는 하나의 방편임을 시사하였다는 점이다.
식스시그마 방법론 관점에서의 고려말 왜구 토벌 전략에 관한 연구 : 진포대첩 이후 황산대첩까지의 과정을 중심으로
김민웅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식스시그마 문제해결 방법론은 통계적 방법을 주요도구로 하는 경영혁신 방법론이지만, 전쟁을 포함하는 위기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한 뛰어난 인물들이 사용한 방법론이 식스시그마 문제해결 방법론과 일맥상통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식스시그마 문제해결 방법론이 기업경영에서 품질관리 측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한 개인으로부터 모든 국가적 상황에 이르기까지 인간 세상에서 다룰 수 있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고려말 진포대첩에서 황산대첩에 이르는 왜구 토벌 과정에 나타난 전략 및 전술을 식스시그마 방법론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각 전투를 시기별 각각의 전투가 아닌 전략적인 관점에서 일련의 전투 과정으로 관점을 확장하고, 식스시그마 DMAIC 방법론의 각 단계별 용어를 일반적 용어로 재정의하여, 고려의 왜구 토벌 전략 및 전술을 DMAIC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식스시그마 문제해결 방법론을 소개하고, 제3장은 본 연구의 배경이 된 고려말 왜구 토벌 전투인 진포대첩, 사근내역전투, 황산대첩의 과정을 소개한다. 제4장은 고려말 왜구 토벌 과정에서의 고려의 전략을 식스시그마 문제해결 방법론에 적용시켜 보았으며, 제5장은 결론으로 식스시그마 방법론 적용으로 분석된 고려말 왜구 토벌 전략 및 전술에 대한 평가를 담고 있다. Though the Six Sigma methodology was developed to solve corporate problems,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fixing of personal or national problems, since it can be considered as a general procedure to find a solution to any kind of problem. This study deals with late Goryeo's strategy to suppress a Japanese invasion from the perspective of Six Sigma methodology, focusing on the process from the Jinpo naval battle to Hwangsan mountain battle. This strategy was analyzed at each of the DMAIC stage by redefining the terms of each stage of the Six Sigma DMAIC methodology as strategic terms, considering Jinpo Battle, Sageunnaeyeok Battle, and Hwangsan Battle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디지털 출력에서 출력물의 색 재현성은 프린터, 인화지, 잉크의 성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즉 디지털 출력에서 출력물의 색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출력물의 색 차이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 측색 장비를 사용하여 출력물의 색을 측정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색으로 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측색 장비 또한 장비의 종류나 기기적인 특성에 따라 색 재현성에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색 차이는 색을 평가할 때, 여러 가지 문제를 방생시킨다. 따라서 출력물의 색재현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측색 장비의 색 재현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색을 측정하는 측색 장비의 색 재현 특성을 파악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는 원색, 혼색, 피부 톤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서 C사, E사, H사의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IT8.7/2 타겟을 출력하였고 X사, M사의 측색 장비와 J사의 농도계를 사용하여 IT8.7/2 타겟의 각 영역별 색을 측정 후 분석하였다. M사의 측색 장비는 X사의 측색 장비보다 채도와 밝기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밝은 색보다 어두운 색에서 X사의 측색 장비보다 색을 밝게 측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X사의 2가지 측색 장비는 채도와 색상에서 부분적인 차이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색재현성이 비슷 하였다. J사의 농도계를 사용한 각 색의 측정에서 Red, Magenta 색상은 색 재현할 때 서로 영향을 주었고 그레이(Gray)는 선형을 이루며 재현되었으나 인화지에 따라 색재현의 차이는 있었다. 이 연구는 측색 장비의 색 재현 특성을 연구한 것으로 디지털 출력에 필요한 기초적인 연구이고 색채 산업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chromatic reproduction of digital photographic printing varies by the quality of printer, photographic paper and ink. In other words, there are various environmental elements which differentiate the colors of digital photographic printing. Therefore, chromatic measuring tools are used to minimize chromatic differences, test printing colors, and correct it to the colors a user wants. However, the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chromatic measuring tools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difference of reproduced colors. This chromatic difference generates various problems in the evaluation of colors. In this vein, for the improvement of printed colors, it is basically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romatic measuring tools'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col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romatic measuring tools'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colors, focusing on primary colors, compound colors and skin tones. For this, the investigator used ink-jet printers of C, E and H Companies to print IT8.7/2 target and then analyzed printed colors by spheres with the chromatic measuring tools of X and M Companies and J Company's densitomete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measurement by M Company's measuring tool is relatively lighter in chroma and brightness than the measurement by X Company's measuring tool. And M Company's measuring tool measures colors more brightly not in bright colors but in dark colors than X Company's measuring tool. X Company's two chromatic measuring tools show partial difference in chroma and tones but similar in chromatic reproductivity in general. As for the measurement of colors by J Company's densitometer, red and magenta colors are mutually influential in tones. A gray color is reproduced in linear formation and influenced by photographic paper.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examined chromatic measuring tools'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colors. It is a basic study on the digital printing. The investigator expects study findings are used in the chromatic industry diversely.
학교 스포츠 클럽 참가자의 성별 학년별에 관한 운동 상해 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sport injury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nts by gender and grade in order to prevent sport injury. A direct survey through questionnaire method was conducted to 400 students from 2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analyzed the verified response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port injury experience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nts during club activity had no relevance to gender and grade. Second, sport injury by sports category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nts during club activity had relevance by gender, whereas no relevance was found by grade. Third, body part of sport injury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nts during club activity had no relevance to gender and grade. Fourth, the type of sport injury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nts during club activity had no relevance by gender, but had relevance by grade. Fifth, the cause of sport injury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nts during club activity had no relevance to both gender and grade. Sixth, first-aid method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nts during club activity had no relevance by gender, but had relevance by grade. Seventh, the recurrence experience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nts during club activity had relevance by gender, but had no relevance by grade. Eighth, the prevention method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nts during club activity had relevance to both gender and grade.
국어과 교과서 수록 풍자소설 분석과 교육적 의의 : 채만식의 풍자소설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채만식 소설의 풍자 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고 현행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중등 국어과 교과서 속 채만식 소설 제재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행 중등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채만식 소설 제재는 「태평천하」,「탁류」,「치숙」,「미스터 방」네 편의 제재만이 수록되어 있는 연유로 위의 작품들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풍자의 성격과 풍자 소설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채만식 소설 제재의 중등 교과서 수록 양상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학습 활동 구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Ⅲ장과 Ⅳ장에서는 본문·학습 활동의 학습 목표와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의 연관성 및 적합성을 중점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Ⅴ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고 채만식 소설 제재의 올바른 교과서 구현을 제언 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meaning of satire education from Chae Man-shik’s novels and realization of Chae man-shik’s novel topic on the secondary Korean textbook revised in 2009. The reason we concentrate upon 「Taepyungchunha」, 「Takryu」, 「Chisook」, 「Mr. Bang」 is that only they are included in existing the secondary Korean textbook. In chapter 2, we explor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 of satire in Chae-man-shik’s novels, and in chapter 3, after we analyze the aspect of Chae man-shik’s novels included in textbooks, we look at how it is associated with learning activity process. Especially, in chapter 3 and 4, w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ims of the learning activity and standard of accomp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 chapter 5, we summarize our discussions, and suggest realizing based on Chae man-shik’s novel.
음이온 중합을 이용한 Nylon 4 및 Nylon 4/6 공중합체의 합성 연구
김민웅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본 논문은 음이온 개환중합에 의한 Nylon 4와 Nylon 4/6의 합성에 관한 논문이다. 2-Pyrrolidone을 단량체로 사용하였고, Sodium을 음이온 중합 촉매로 사용하고 benzoyl pyrrolidone응 개시제로 사용하여 벌크 및 용액중합 방법으로 중합을 시도하였다. Nylon 4의 중합에서 중합 방법, 개시제의 양, 촉매의 양, 온도 등이 분자량에 미치는 영향들이 FT-IR, 1H-NMR(핵자기 공명 분석), 점도평균 분자량 측정, TGA(열중량 분석), DSC(시차주사 열량분석)에 의해 조사되었다. 또한 가공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caprolactam과의 공중합을 시도하고 caprolactam의 양이 중합과 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1H-NMR(핵자기 공명 분석), TGA(열중량 분석), DSC(시차주사 열량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고분자 사슬 내의 caprolactam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분해 온도는 다소 높아지고, 용융 온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