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축대각단조 공정 시 구조재료의 미세조직 및 미소역학적 변형 거동에 관한 연구

        김민성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신개념 강가공 공정인 다축대각단조(multi-axial diagonal forging, MADF) 공정을 활용하여 초미세립(ultra-fine grained, UFG) 구조의 Al 및 Fe 합금 소재를 제조하고, 공정 시 발생하는 변형 미세조직 및 미소역학적 변형 거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변형된 소재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고, 미세조직학적 인자와의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공정 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MADF 공정의 구성 및 공정 단계별 미세조직학적 기초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변형 소재의 상용화 가능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총 4개의 Chapter로 구성되며, Chap. 1, 2, 3는 AA1100 합금을, Chap. 4에서는 IF-steel을 활용한 연구 결과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Chap. 1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AA1100의 변형 불균일성에 미치는 다축단조 유형의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3가지 단조 공정(Route A=conventional MAF process; Route B=MADF-ver1 process; Route C=MADF-ver2 process)에 따라 가공품에 발생하는 변형 불균일성 및 정수압 분포를 이론적으로 예측하였다. Route A와 B 공정 시 가공품 내 중앙 및 각 꼭지점(corner) 영역별로 불균일한 변형 분포로 발달하였다. 이에 비해 Route C 공정 시 상대적으로 균일한 변형 분포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정수압은 다축대각 단조공정 시 균열이 없는 가공품 제조를 판단할 수 있는 인자이다. Route C 공정 시 Route A와 B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정수압이 발달하여, 안정적인 공정 수행과 동시에 완전한 초미세립 구조 소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Chap. 2에서는 MADF 공정을 구성하는 단조 유형에 따라 AA1100에 발생하는 미세조직학적 변형 불균일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Type-P와 Type-D 단조 공정에 의해 변형된 가공품 내 영역별 경도, 변형 미세조직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 결과로부터 가공품 내 soft 및 hard-zone의 발생 위치나 정도는 단조 유형의 영향이 큰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Type-D 단조 시 Type-P 단조에 비해 소재 내 발생하는 변형 불균일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을 실험·이론적 측면에서 도출할 수 있었다. SPD 공정을 활용하고자 하는 대표적인 목적으로 초미세립 구조의 소재를 제조하여 혁신적인 물성 향상을 달성하려는 것에 있다. 극심한 소성변형을 부여하여 국부적인 결정학적 방위 구배가 발생하고, 다양한 변형 조직으로의 세분화를 유도시킨다. Chap. 3에서는 미시집합조직 분석, rate-sensitive model, 결정 소성 유한요소해석(crystal plasticity FEM, CPFEM) 모델을 활용하여 MADF 공정의 PF 및 R-PF 공정 시 발생하는 변형띠(deformation band, DB) 조직에 의한 미세조직 세분화 현상을 규명하였다. PF 공정 이후 변형된 결정립 내 저각입계로 구분되는 희미한 띠들이 관찰되었으며, R-PF 공정 이후에는 결정립 내 고각입계로 구분되는 DB가 다수 관찰되었다. 다양한 영향 인자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PF 시편에서 관찰된 희미한 띠들의 내·외부 영역 간 방위 안정성의 차이가 커 R-PF 공정 시 불균일한 변형 분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CPFEM 해석을 통해 PF 공정 시 발생한 방위 안정성의 불균일성은 R-PF 공정 동안 DB 조직 형성에 주요 원인으로써 작용하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Chap. 4에서는 FCC 구조가 아닌 BCC 구조를 갖는 IF-steel 합금을 이용하여 MADF 공정을 수행하고, 변형 미세조직과 기계적 물성간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Chap. 1에서 고려한 Route C 공정을 1~4 Cycle 동안 반복하여 가공품을 제조하였고, 결정립 미세화 현상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Cycle 수가 증가할수록 결정립 미세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Center 영역에서 가장 미세한 결정립으로 발달하였다. 또한 평균 불일치각 및 고각입계의 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가공품 내 GND 밀도는 공정 시 발생한 동적 회복에 의해 Cycle 수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미미한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정립 미세화 현상에 의해 Cycle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항복 강도는 점차 증가하였으나, 동적 회복에 의해 GND 밀도의 차이가 미미하여 파단 연신율의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Glass reflow process를 이용한 평면오목렌즈 제작

        김민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초 록 Glass reflow process를 이용한 평면오목렌즈 제작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기정보공학부 김민성 렌즈란 굴절률이 다른 매질을 빛이 통과할 때 굴절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켜 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렌즈는 일상생활, 과학연구, 의료, 우주항공 분야등 매우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영역은 더욱더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렌즈는 연삭 공정을 통해 표면을 갈아서 형성하는데 크기가 작은 마이크로 렌즈의 필요성이 점차 커짐에 따라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제작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감광막, PDMS(Polydimethylsiloxane)와 같은 폴리머를 이용한 렌즈제작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글래스를 이용하여 렌즈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글래스를 이용한 렌즈 제작 방법에 대한 연구는 볼록렌즈 제작법에 관한 비중이 높으며 볼록렌즈와 더불어 중요 광학 부품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오목렌즈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오목렌즈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직 시도되지 않은 글래스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하여 구조의 크기를 컨트롤 하였다. 이를 위해 렌즈에 관한 광학 공식을 이용하여 렌즈를 설계하고 설계한 렌즈를 제작하기 위해 하나의 마스크와 글래스 리플로우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오목렌즈를 제작하였다. 한 장의 실리콘 웨이퍼는 170㎛의 캐비티를 DRIE(Deep Reactive Ion Etching)로 형성하고 또 다른 실리콘 웨이퍼는 2000㎛의 지름을 가지는 실린더의 관통공정을 진행한다. 이렇게 준비된 실리콘 웨이퍼와 Pyrex7740 글래스 웨이퍼는 양극 접합을 진행한 후 글래스 웨이퍼가 변형될 수 있도록 675℃에서 5분간 글래스 리플로우를 진행한다. 이 때 Pyrex7740 글래스 웨이퍼의 위에 양극 접합되어 렌즈의 지름을 결정할 관통 실리콘 웨이퍼와 Pyrex7740 글래스 웨이퍼 아래쪽에 양극 접합된 아래쪽 실리콘 웨이퍼와의 압력차이가 렌즈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렌즈의 표면형상은 알파스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렌즈의 새그(sag height)값과 지름은 렌즈에 크롬을 증착한 뒤 현미경 깊이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평면 오목렌즈는 각각 평균 지름 2008㎛, 평균 새그값 163.8㎛, 평균 초점거리 -6.7mm를 갖는다. 본 논문은 MEMS공정을 통하여 단일한 공정조건에서 렌즈를 형성할 수 있으며 mm단위의 크기를 갖는 오목렌즈를 제작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Plano concave lens, Glass reflow process, Triple anodic bonding, Lens equation 학 번 : 2015-20894

      • Fluorene을 기반으로 한 공액형 고분자와 SWNT의 초분자적 거동 및 형광특성

        김민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otential utility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s) in numerous areas, such as molecular wires and electronics, sensors, high-strength fibers, and field emission displays, is now well recognized. However, the inherent insolubility of SWNTs in most organic and aqueous solvents is a major limitation to the solution-phase manipulation and processability of these structures, greatly hindering the widespread application of carbon nanotubes in real devices. Recently, a number of research groups have focused on the functionalization of carbon nanotubes. The primary focus of many of these studies has concentrated on improving the solubility properties of nanotubes. A series of the supramolecular complexes of conjugated rod-like segments of oligo(9,9-didodecylfluorene-2,7-diyl) (PF) with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s were prepared. Conjugated PF block segments with various end-functional uni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ecific interaction with SWNTs on the dispersion of SWNTs in selective solvents. The fluorescence behavior of the PF segments, coupled with SWNT and the morphology of the complexes of PF/SWNT we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our measurements, the π-π stacking binding interaction between PF and SWNT and the resulting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SWNTs was modulated by changing the end functional units of PF.

      • Mini-forming 기술을 적용한 V형 굽힘 시험 시 Mg합금의 미소 역학적 변형 및 파괴거동 분석에 관한 연구

        김민성 순천대학교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Micromechanical deformation and failure behaviors of E-form Mg alloy were investigated using mini V-bending test. Mini-forming technique was suggested to evaluate the bendability of Mg alloy, directly. Formability and bendability of E-form Mg alloy were discussed in terms of minimum bending radius. Microtexture evolution through thickness direction in the deformed Mg alloy was examined via electron back-scattered diffraction (EBSD) technique. Two level simulation technique which combined continuum finite element method (FEM) and crystal plasticity FEM (CPFEM) successfully simulated the microtexture evolution in Mg alloy during V-bending test. The effect of deformation twinning on the failure in Mg alloy was also examined.

      • 폐수 내 중금속과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기능성 세라믹 분리막 시스템 적용

        김민성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금속 이온은 채광, 금속표면처리, 도금, 유리, 섬유, 세라믹, 반도체와 전지 등 다양한 산업에서 배출된다. 중금속 이온에 의한 수질오염은 유기체에 대한 유해성과 생물농축에 의해 인간과 수생 생물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과 수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다량의 중금속 이온으로 오염된 산업 폐수를 정화해야한다(Godwin et al., 2019). 산업 폐수 내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은 부상, 침전, 산화, 용매 추출, 증발, 흡착, 전기화학, 생분해, 이온교환 및 막 여과가 있다(Crini and Lichtfouse, 2019). 그 중 막 여과에 사용되는 고분자 분리막과 세라믹 분리막 중 세라믹 분리막은 고분자 분리막에 비해 우수한 열적,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다(Lee et al., 2020). 세라믹 분리막의 표면은 친수성이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막 오염이 적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Chang et al., 2020). 또한, 폐수처리 시설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고압 운전으로 콜로이드 입자와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산업 폐수처리에 있어 적합하다(Ahmad et al., 2018). 그러나 고압 운전이 가능한 분리막은 막의 기공 크기가 중금속 이온과 같은 이온성 오염물질보다 크기 때문에 이온성 오염물질 제거에 효과적이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Yin et al. 2016). 세라믹 분리막 공정을 적용하여 폐수 내 이온성 오염물질의 제거율을 높이기 위해서 오존이나 이온교환 공정과 결합하거나(Jiang et al., 2013; Park et al., 2011; Stylianou et al. 2015), 세라믹 분리막의 표면에 산화철과 이산화지르코늄 같은 나노 크기의 무기물을 부착시키는 방법(Dzyazko et al., 2014; Sabbatini et al., 2010; Sklari et al., 2015)과 세라믹 분리막 지지체의 표면에 키토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고분자를 코팅하는 방법(Jana et al., 2011; Nandi et al., 2009) 등 기능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부착된 나노 무기물은 지지체와 분리되어 2차 오염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고(Kim et al. 2010), 고분자는 내화학성, 내열성이 낮기 때문에 다양한 폐수에 적용하기 어렵다(Barroso et al., 2019). 또한, 폐수 내 이온성 오염물질 처리가 용이하며, 세라믹 분리막 공정에 결합 가능한 섬유형태의 이온교환 공정은 이온교환수지보다 관능기까지의 이온의 확산 거리가 짧고 섬유를 따라 존재하는 다량의 관능기로 인해 높은 흡/탈착 속도와 우수한 흡착능을 보인다(Aung et al., 2017; Lee et al., 2017; Lee et al., 2017; Lee et al., 2018). 또한,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고 비교적 손실수두가 적다. 대부분의 이온교환섬유 모듈은 고정상 컬럼 형태 혹은 카트리지 형태로 사용한다(Fard et al., 2018; He et al., 2019; Pendergast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폐수 내 중금속 이온과 부유물질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 세라믹 분리막과 부직포 형태의 이온교환섬유를 각각의 공정으로 분리하지 않고 세라믹 분리막과 이온교환섬유를 결합한 기능성 세라믹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다양한 pH 조건에서 세라믹 분리막과 이온교환섬유의 중금속 이온 제거 특성을 파악하였고, 중금속 이온의 제거 기작은 지화학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추정하였다. 기능성 세라믹 분리막 시스템에 의한 중금속 이온 As(V), Zn(II) 및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은 역세척 및 재생 공정을 포함하여 구축한 분리막 시스템에서 평가하였다. Ceramic membrane is one of various physical methods that remove heavy metals from wastewater and has been widely used to purification, desalination, fuel cell and etc.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ceramic membrane system combined of an ion exchange fabric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both heavy metals and suspended solids in wastewater. The removal rate of As(V) and Zn(II) by the functional ceramic membrane system has been compared with a ceramic membrane. The removal rate of As(V) and Zn(II) by the ceramic membrane increased with solution pH, while turbidity was completely removed regardless of the solution pH. The main removal mechanisms of As(V) were adsorption at solution pH 6 and precipitation at solution pH 8. The dominant mechanism of the Zn(II) removal was the phase change at both solution pH values.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ion exchange fabric was influenced by the solution pH, and the maximum removal rate of As(V) occurs at solution pH 4. The As(V) adsorption capacity of the ion exchange fabric reached equilibrium within 120 minutes. The ion exchange ability of the ion exchange fabric was compared with commercial ion exchange fibers. The regeneration efficiency of the ion exchange fabric using 0.1M NaCl solution was slightly decreased as the regeneration cycle increased, and it above 89% of the initial value after three regeneration cycles. The functional ceramic membrane system has removal rate of As(V) and Zn(II) more than 80% at solution pH 6 steadily The reduced flow rate and removal capacity of functional ceramic membrane system during continuous processing were recovered through a backwash process.

      •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전승 보존 및 운영실태 연구 : 강선영 태평무 전수교육관을 중심으로

        김민성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practical plan to revitalize the training center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transmission preservation and operation of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ining Center, centering on Kang Sun young, Taepyeongmu Training Center.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focusing on literature and case studies. Accordingly, the current statu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ining Center was examined and the issues were summariz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as enacted in 1962 and Jongmyo Jeryeak was first designated in 1964. As of September 30, 2021, 150 kind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designated. After the form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 the training center began to be built in 1974 to stably carry out transmission activities b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space for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The main function of the training center wa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general public to experience by open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the public's cultural awareness has increased since 2000.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training centers is currently 161 (as of August 31, 2021). Therefor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concept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 and the training center,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 of the training center are important as a space for transmission, but it is also important to implement various projects and open the training center. However, the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budget support to carry out the project had limitations in operating the training center. With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nsmission system by intensively studying the Taepyeongmu Training Center of Kang Sun young. Accordingly, along with the origin of Taepyeongmu,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were revealed, and 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Taepyeongmu Training Center was examined. Kang Sun young Taepyeongmu Training Center consists of a transmission system of transmission organizations, holders, honorary holders, transmission educators, graduates, trainees, and transmission scholars.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the transmission education center includes transmission education, public events, permanent performances, housewives' university, and international UNESCO education projects. However, Kang Sun young, the Taepyeongmu Training Center, is facing difficulties in fulfilling its original purpose in that it is suffering from a lack of budget and professional manpower based on private sector. While considering these limitations, a plan to revitalize Kang Sun young Taepyeongmu Training Center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ve the expertise of the institution by setting the mission and vision of the training center. The mission is to convey the meaning of social education by imitating the existence of the Taepyeongmu Training Center and the spirit of Taepyeongmu. In addition, a vision for direction was presented based on future values and heritage values.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further diversify the training programs to recognize and improve problems in the existing training system so that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properly, and to establish systems necessary for training training professionals. Third, the archiving work of Kang Sun young Taepyeongmu is very important, so we need to organize these records and find ways to utilize these records. Fourth, for community cooperation programs, it is very important that Taepyeongmu Training Center Kang Sun young should gain a lot of support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so it should be pursued in various ways required by the local community. Fifth, for the audience development strategy, the membership membership system should be used to reconsider the recognition of Kang Sun young and Taepyeongmu. Six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rofessionals for the revitalization and operation of the training center by selecting specialized professionals from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본 논문은 강선영 태평무 전수교육관을 중심으로하여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전승 보존 및 운영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실질적인 전수교육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현황을 살피고 쟁점을 정리하였다. 무형문화재는 1962년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고 1964년 종묘제례악을 최초로 지정하면서부터 무형문화재 제도가 시행되었다. 2021년 9월 30일 기준으로 현재 150종의 무형문화재가 지정되었다. 무형문화재 제도가 형성된 이후에는 전승 ·보존하기 위한 공간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전승자들이 안정적으로 전승 활동을 할 수 있는 전수교육관을 1974년부터 건립하기 시작하였다. 전수교육관의 주요 기능은 후계자 양성인 전수교육을 주목적으로 운영하였으나, 2000년도 이후에는 국민들의 문화 인식이 높아지면서 무형문화재를 개방하여 일반인들에게도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현존하는 우리나라 전수교육관 현황은 현재 총 161개(2021년 8월 31일 기준)로 집계되고 있다. 따라서 무형문화재 제도와 전수교육관의 현황 및 개념을 살펴본 결과 전수교육관의 성과와 한계는 전승개념의 공간으로 전수교육도 물론 중요하지만 일반인들에게 무형문화재를 보급과 선양함으로써 다양한 사업을 시행하며 전수교육관을 개방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러나 사업을 수행할 전문인력 부족과 예산지원은 전수교육관을 운영하는데 있어 한계점이 들어났다. 이러한 배경을 두고 본 연구자는 강선영 태평무 전수교육관을 집중 연구함으로써 전승체계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태평무의 유래와 함께 춤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혔고, 특히 강선영 태평무 전수교육관의 전승구조를 살폈다. 강선영 태평무 전수교육관은 전승단체, 보유자, 명예보유자, 전승교육사, 이수자, 전수자, 전수장학생으로 전승체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수교육관의 현 시행사업으로는 전수교육, 공개행사, 상설공연, 주부대학, 강습회, 국제 유네스코 교육사업 등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강선영 태평무 전수교육관이 사립에 기반하여 예산부족과 전문인력 부족을 겪고 있다는 점에서 본래의 목적을 수행하기에 어려운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면서도 강선영 태평무 전수교육관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전수교육관의 미션과 비전을 설정함으로써 기관의 전문성을 살려야 될 것이다. 미션은 강선영 태평무 전수교육관의 존재와 태평무의 정신을 본 받아 대사회적 교육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미래적 가치와 유산적 가치를 바탕으로 방향성에 대해 비전을 제시하였다. 둘째, 전수자 교육프로그램을 더 다각화하여 기존 전수교육 제도에 있어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하여 올바르게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전승에 있어 전수인력양성과 전문인력 양성 등 전수교육관에 필요한 체계를 수립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셋째, 강선영 태평무의 아카이빙 작업이 매우 중요하여 이런 기록을 정리하고 이 기록물을 아카이브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되겠다. 넷째, 지역사회 협력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강선영 태평무 전수교육관이 지역사회에 기반하여 많은 지지를 얻어야 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바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하는 것을 추구해야 될 것이다. 다섯째, 관객개발 전략을 위해서 강선영 태평무의 인지도를 재고하기 위하여 멤버쉽 회원제도의 방안을 사용하여야 한다. 여섯째, 문화예술단체의 특화된 전문인력을 선발하여 전수교육관 활성화 운영을 위한 전문인력을 강화해야 될 것이다.

      •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성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삶의 질이 향상되고 의료기술의 발달로 고령인구 비율이 증가하면서 교통약자의 비율도 함께 증가하고 있지만 고령자 및 장애인, 임산부, 영유아 등이 이동을 함에 있어 편안하고 안전한 이동권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교통약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이 제정(2006년 1월 27일)되어 이들의 편의를 위한 시설들이 추가 되거나 정비되어 이동권 보장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지만 아직 교통약자들이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대안을 가지고 서로 비교분석을 하고, 교통약자를 특정 한부분의 대상이 아닌 고령인, 장애인,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자 및 어린이 등을 하나의 그룹으로 선정하고 일반인과 전문가 집단을 구분하여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서 교통약자 비율이 가장 높고 지형 특성이 산간지역농촌으로 대중교통환경이 열악한 순창군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고, 일반인과 교통약자를 구분하여 통계분석, 수량화분석 및 계층화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하여 교통약자와 일반인이 생각하는 순창군 대중교통환경에 대한 만족도 및 이용실태, 그룹의 개인속성과 속성에 따른 보행환경, 교통수단, 여객터미널 및 버스정류장 등의 선호도를 분석 하였다. 분석한 결과 일반인과 교통약자의 다른 개인속성이 결과 값들에 반영이 되어 나타났고 그것을 통해 두 그룹 간의 벽을 해소하고 평등한 이동권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반인보다 교통약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대중교통환경의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수량화분석을 통하여 보행환경 만족도조사를 위한 항목들이 보행환경의 종합만족도 점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같은 분석방법으로 교통수단, 여객터미널 및 버스정류장도 각각 규명 하였다. 수량화분석에서는 각 요인별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였지만 계층화분석을 통하여 각 요인별과 각 요인들의 세부항목들을 모두 함께 고려한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각 요인 중에서 가장 선호하는 요인과 세부항목을 선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순창군에 거주하지 않는 전문가 집단을 함께 분석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따라 이동편의 증진 우선순위의 전문성 및 현실 가능성 정도를 판단해보고 집단별 속성에 따른 모형결과의 연관성을 확인 하였다. 계층화분석을 통하여 보행환경, 이동편의시설, 대체교통수단 세 가지 정책을 비교하여 각 정책들로부터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전체 정책 내의 평가기준에 우선순위를 선정함으로써 현재 응답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대중교통환경의 실태를 유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인과 교통약자 및 전문가 집단이 생각하는 대안을 각각 비교함으로써 이동편의 증진에 근거자료로써 활용 될 수 있도록 연구를 수행하였다. The number of aging popula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as the quality of life has enhanced but physically challenged, pregnant women, infants or children and elderly people are still exposed to the difficulty of their use of transportation. For those who are relatively in weak position in using transportation, although ‘law of securing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elderly and pregnant women’ was enacted on Jan. 27 of 2006 and some facilities were added or rearranged but the reality does not enough satisfy them. In this study, some alternative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for the whole group of those people mentioned above, I analyzed elements that are contributed to the easy use of transportation by choosing general people and experts separately. For the research, I selected Sunchang-gun, the highest proportion of people having serious problems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located at remote and mountainous areas in the North Chulla province and carried out statistical analysis, quantification 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by distinguishing general people from the people who have difficult using transportation. Through such analyses, I analyzed satisfaction degree by the two groups about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ir use, their attributes and the following walking environment, transportation means and preferences for passenger terminals and bus stops. The results show that the two groups' different personal attributes are reflected in the final values, which means that it could be first of all desira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have disadvantages in using transportation in order to get rid of the barrier between the two groups and provide convenient use of transportation for their move, which could finally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public transportation environment in terms of their view. In addition, through the quantification analysis, I analyzed how items for the walking environment-satisfaction survey influence the grades of the whole satisfaction degree and also studied transportation, passenger terminals and bus-stops with the same analysis method. In the quantification analysis, the degrees of each factor to influence are analyzed but the most preferred factor and detailed elements could be selected among factors by building up a model that considers both each factor and its detailed item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with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expert group who are not living in Sunchang-gun, I studied the possibility of the improvement of transportation, priorities and their possible realization, confirming the association of the results of the model by the attributes each group has.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I compared three policies of walking environment, convenient facility for transfer and alternative transportation, selecting priority from each policy, which makes it possible to draw the actual condi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the respondents are now using and compare alternatives from general people, the disadvantaged in using transportation and experts, ultimately served to the enhancement of convenient transfer.

      • H.264 기반의 PIP(Picture In Picture)를 위한 비디오 트랜스코더 설계

        김민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비디오 및 오디오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서비스로부터 디지털 방식으로의 전환도 활발하다. 디지털 비디오나 오디오는 저장매체나 전송매체의 용량에 비해 데이터 량이 지나치게 많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대표적인 압축 방식인 H.264 및 MPEG등의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원 신호(source)를 압축하고 있다. 더 나아가 원 신호를 그대로 보관하기 보다는 압축된 상태의 비트스트림을 보관하고 있다가 재활용하는 시도가 활발해지고 있다. 현재 디지털 비디오 서비스를 하려면 디지털 원 신호를 MPEG 등과 같은 부호화기에 입력시켜 압축을 한 후 전송하는 것이 보통이다. 스튜디오에서는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원 신호를 그대로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원 신호 대신 비트스트림을 저장하고 있다면 저장 공간을 수십 배 절약할 수 있다. 스튜디오에서 신호를 압축된 비트스트림의 상태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비디오 검색, 화면내화면(picture-in-picture), 비디오 합성, 비디오 편집, 전송 비트율 변환 등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해야만 한다. 따라서 최근에 원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이 비트스트림을 그대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에서는 앞에 언급한 응용 가운데 다중의 영상 비트스트림을 합성하여 단일의 H.264/AVC 비트스트림으로 출력하는 화면 내 화면을 가지는 변환 방법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이 변환 부호기는 단순한 복호기에서 부호기로 연결된 형태이지만 실제로는 압축된 비트스트림 내의 여러 정보(헤더정보 및 모션 벡터)를 이용하고 복호기와 부호화기의 중복 부분을 제거하므로 단순화되는 형태이다. As multimedia service is spread recently, weight of video and audio great more. Also, diversion of digital system is lively from existent analog service. Thing that digital video or audio is overfull data amount than capacity of save media or transmission media is well informed truth. Therefore, is compressing digital source signal taking advantage of a MPEG technology that is representative compression method. Furthermore, attempt that recycle for being keeping bit stream of compressional state rather than keep as it is source signal. It is commonness that transmit after compress doing to input digital source signal in encoder like MPEG if do now digital video service. Is keeping as it is signal to use later at studio. However, can economize storage space tens times if is storing bit stream instead of source signal. To store signal by state of compress bit stream at studio, various application of video search, PIP(Picture-In-Picture), video synthesis, video edit, transmission bit rate conversion etc. should be possible. Therefore, study that wish to take advantage of as it is bit stream without having used source signal recently is lively. In this paper, I wish to discuss about PIP(Picture-In-Picture) conversion method that composs image bit stream of multiplex among application that refer in front and displays by H.264/AVC bit stream. These conversion encoder is linked form from simple decoder to encoder, but it is form that is simplified because uses several information(Header Information and motion vector) in bit stream that is compressed actually and removes repetition segment of decoder and encoder.

      •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전략에 관한 인식

        김민성 창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puts the purpose in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disability and teaching strategie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t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on the perceptions of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in Changwon-si, Gyeongsangnam-do on learning disability and teaching strategies. As final subjects, 288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With the collected data,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19.0. Findings, obtained according to teaching careers, possessed qualifications, the experience and non-experience of a homeroom teacher in special class, and the completion and non-completion of special education training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ccording to teaching careers among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tiation of learning disability and education methods. As career was higher, learning disability was perceived to be differentiated from learning under-achievement and learning delay. In terms of education methods,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conduct a special compensatory education after school or share learning materials with special teachers. Second, in the case of possessing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urately know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disability, and identification tool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part of teaching strategies, interactive teaching strategies or the use of cognitive training appeared to be high. This demonstrate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must have known the instructional method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y actively used the instructional methods that befit learning disability in the education field. Third, homeroom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integrated cla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differenti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resources and educational method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difficulties in the education of learning disability, and the channel for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learning disability. This might be a more significant part because teachers who had an experience of a homeroom teacher in the integrated class expressed the actual contents that they had experienced in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urth, in the case of teachers who completed the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hey comparatively accurately knew the definition, caus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iation of learning disability. This reveals that basic concepts can be well-established by teachers through acquiring specialized knowledge on the learning disability through train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teaching strategies. Teachers who had completed training had a well-understanding of teaching strategies and applied these strategies to the class more properly. Since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for many teachers to acquir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should be improved through a wide range of special education training, an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re allowed to receive the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appropriately. To use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for learning disability based on the findings, clear standards in regard to the definition and differentiation of learning disability are required and opportunities of training to learn learning disability should be offer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사가 학습장애 및 교수전략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일반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장애 및 교수전략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8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교직경력, 소지자격, 특수학급담임여부, 특수교육연수 이수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배경변인 중 교직경력에 따른 인식을 살펴보면 학습장애 구분과 교육방법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이 높을수록 학습장애를 학습부진, 학습지체 등과 구분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방법에 있어서 특수교사와 학습자료를 공유하거나 방과후 특별보충학습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특수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교사의 경우 학습장애의 정의나 특성 및 판별도구 등에 관해 정확히 알고 있는 부분이 많았다. 그리고 교수전략부분에서도 상호작용적 교수전략이나 인지훈련의 사용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습장애 학생의 지도방법을 정확히 알고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통합학급 담임을 경험한 교사는 학습장애 구분, 학습장애 학생 교육에 필요한 지원과 교육방법, 학습장애 교육 시 어려운 점, 학습장애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경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통합학급 담임을 해 본 교사가 평소 학습장애 학생을 지도하면서 실제적으로 경험한 내용을 표현한 것이므로 더 의미 있는 부분이라 하겠다. 넷째, 특수교육관련 연수를 이수한 교사의 경우 학습장애의 정의, 원인, 특성, 판별에 대해 비교적 정확히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수를 통해 학습장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접함으로써 기본적인 개념이 잘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교수전략의 사용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고 있는데 연수를 이수한 교사가 교수전략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수업에 많이 적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실적으로 많은 교사들이 특수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다양한 특수교육연수를 통해 교사의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해당 아동들이 특수교육 지원을 적절히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학습장애에 대한 인식과 적절한 교수전략의 적용을 위해서는 학습장애의 정의와 판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며,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학습장애에 대한 연수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1930년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의 이념과 성격

        김민성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Independence Party was established in Shanghai on Jan. 25, 1930 for the integration of independent activists focusing on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t was a party for independence movement established to solve or overcome the ideological dispute after the failure of the “National Consolidation Movement” in Oct. 1929. The ideology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is shown through its platform and policy’s ideology and character. The party’s platform is the basic ideology pursued by the party while the party’s policy is the detailed code for realizing the basic ideology. Korean Independence Party platform and policy was made by 7 initial members such as Yi Dongnyeong, Ahn Changho, Jo Wangu, Lee Yupil, Kim Dubong, Ahn Gonggeun, and Jo Soang. Among 7 initial members, the person who stands out was Ahn Changho. After the national representative meeting, he often visited US and China to argue for “Korean Cooperation Movement”. He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at that time was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In addition, he argued that the ideology and idea for getting independence is not critical. He thought that it would be OK even if we discuss on the system of the new Korea only after Korea achieves the independence from Japan. His ideas are well shown in his Samildang speech in 1926 and his letter to Hongeon or his friend Hongeon. Up t now, his idea “Daegong” has not been well identified or studied. But, his argument shown in the “National Cooperation Movemen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it. In addition, his idea of “Daegon” was reflected on the platform and policy for Korean Independence Party. It is because in the platfor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the idea “fully take back Korea’s land and sovereignty from Japan” and Korea’s independence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precious goal. The platform of Korea Independence Party in 1930, was not different from those for Korean National Party, reconstructed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Integrated Korean Independence Party”. It means that the platfor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remained until 1940 with the policy being changed a little. However, in 1942 when People’s Revolution Party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Provisional National Parliament, there was a suggestion that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should be changed to the ideology of Samgyun. Cha Riseok prepared the “The draft theoretical syste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platform” to refute the argument for changing the platform and policy of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to the ideology of Samgyun. “The draft theoretical syste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platform” was made of 5 chapters and among them, what was critical was Chapter 5. Chapter 5 “explanation of ideology of Samgyun” argued that due to three reasons,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 Independence Party cannot be changed to the ideology of Samgyun. The argument that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was based on the Jo Soang’s ideology of Samgyun is not correct. Rather than that, it is confirmed that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was much affected by Ahn Changho’s idea of Daegong.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 Independence Party in 1930 were passed down to those for Korea People’s Party in 1935, those for reconstructed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then those for Integrated Korea Independence Party. In addition, the “The draft theoretical syste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platform” prepared by Cha Riseok in 1942 clearly shows that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 Independence Party was not affected by the ideology of Samgyun. On top of that, it is confirmed that Ahn Changho’s idea of Daegon which has not been well known up to now were reflected on the platform and policy of conduct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韓國獨立黨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독립운동계의 통합을 위해 1930년 1월 25일에 上海에서 결성되었다. 1929년 10월 ‘민족대당촉성운동’의 결렬 이후 파벌적 대립을 청산,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독립운동 정당이었다. 한국독립당의 이념적 지향은 黨義·黨綱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당의는 정당이 추구하는 기본이념이며, 당강은 기본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강령이다. 한국독립당의 당의의·당강은 이동녕, 안창호, 조완구, 이유필, 김두봉, 안공근. 조소앙 등 7명의 기초위원에 의해 만들어졌다. 7명의 기초위원 중 주목해야할 인물은 안창호였다. 그는 국민대표회의 이후 미국과 중국을 오가며 ‘민족대당촉성운동’을 주창하였다. 안창호는 우리나라의 독립이 가장 최우선적인 과제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이를 이루기 위한 사상과 주의는 크게 상관없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독립을 맞게 되면 이후에 새로운 국가에 대한 제도를 논해도 된다고 한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1926년 삼일당 연설과 1931년 그의 동지인 홍언에게 보낸 서한 등을 통해 잘 드러나 있다. 그동안 안창호의 대공주의에 대한 실체가 제대로 규명이 되지 않았으나, ‘민족대당촉성운동’에서 주장한 내용이 대공주의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었다. 그리고 그의 대공주의가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의 제정과정에서 반영되었음을 살필 수 있었다. 한국독립당 당의에서 “국토와 주권을 완전광복하고”라며 우리나라의 독립을 최상의 목표로 삼았기 때문이다. 1930년 한국독립당 당의는 한국국민당, 재건 한국독립당, ‘통합 한국독립당’ 당의와 차이가 없었다. 즉 한국독립당 당의가 1940년까지 큰 변함없이 유지된 것이다. 당강만 약간 바뀌었을 뿐이었다. 하지만 1942년 민족혁명당이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에 참여하는 상황에서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을 삼균주의로 바꿔야 한다는 논의가 제기되었다. 차리석은 「한국독립당 당의의 이론체계 초안」을 작성하여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을 삼균주의로 바꾸자는 주장에 대해 반박하였다. 「한국독립당 당의의 이론체계 초안」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목해야할 장은 5장이다. 5장 “삼균주의론에 대한 설명“에서는 세 가지 이유를 들어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을 삼균주의로 바꿀 수 없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동안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이 조소앙의 삼균주의에 의해 제정되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른 것이었다. 오히려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에는 안창호의 대공주의에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1930년 한국독립당의 당의·당강은 1935년 한국국민당, 재건 한국독립당, 1940년 ‘통합 한국독립당’의 당의로 이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1942년 차리석의 「한국독립당 당의의 이론체계 초안」은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이 삼균주의에 의한 것이 아니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뿐 아니라 실체가 분명하지 않던 안창호의 대공주의가 한국독립당 당의·당강 제정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