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추출물의 물질분리 및 생리활성 탐색

        김민경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vestigations conducted with Ulmus davidiana stem bark have demonstrated it to contain (-)-catchin (Compound 1) and (-)-catechin-7-o-β-D-apiofuranoside (Compound 2), which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another compound and identified as (-)-catechin-7-o-β-D-xylopyranoside (Compound 3) by physicochemical and spectrometric methods. The structure of the (-)-catechin-7-o-β-D-xylopyranoside was established primarily by analysis of 1H- and 13C- NMR, HMQC and HMBC. Three isolated compounds were analyzed for antioxidant activity using several different model systems, including 1,1-diphenyl-2-picryl-hydrazil (DPPH) radical scavenging, hydroxyl radical (OH?) scavenging, SOD-like activity and reducing power. Compounds 1 exhibit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on DPPH radicals, with IC50 values of 29.08 μM. The percentage inhibition compounds at 10 μM concentrations on scavenging activity of OH? radicals were 67.82%, 68.22%, 74.71%, respectively. and greater than those 10 μM of BHA(butylated hydroxyanisole), BHT(butylated hydroxytoluene)(57.52%, 56.54%). The reducing power of compound 1 were excellent, and were 1.07 at 1 mM. And we have examin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Compound 1 inhibition of LPS-induced NO without appreciable cytotoxicity on the RAW 264.7 cells.

      • 딸기의 코이어 수경재배에서 FDR 센서 자동관수제어 시 최소대기시간과 관수종료시각이 배액율, 수분이용효율, 비료이용효율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김민경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딸기의 코이어 수경재배에서 FDR 센서를 이용한 관수조절 시 관수 후 최소대기시간과 관수종료시각이 배액율, 수분이용효율, 비료이용효율 및 딸기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관수 후 다음 관수까지의 최소대기시간은 0분, 5분, 10분, 15분과 계절에 따라 10분(11월)-15분(12월~2월)-5분(3월~4월)으로 변화를 갖도록 설정하였다. 관수종료시각은 13시, 15시, 17시 처리와 관수종료시각 없이 24시간 관수한 처리로 하였다. 딸기의 코이어 재배에서 겨울(12월~1월)에 관행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162.9mL이었고, 배액율은 25.4%이었다. 겨울에 FDR 센서 제어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관행의 30.3~72.9% 수준이었다. 즉, FDR 센서 제어의 배액율은 16% 이하였다. FDR 센서 제어 중 최소대기시간 10분의 배액율은 5% 이하였고, 일평균 주당 수분 보유량은 112.2mL로 관행의 주당 수분 보유량 121.5mL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봄(2월~4월)에 관행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269.4mL이었고, 배액율은 35.4%이었다. 봄에 FDR 센서 제어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관행의 37.5~89.1%였다. FDR 센서 제어의 배액율은 20% 이하였다. FDR 센서 제어 중 최소대기시간 0분, 15분 10-15-5분 처리의 배액율은 15% 미만이었다. 그 중 최소대기시간 15분에서 가장 낮은 8.5%의 배액율을 보였고 일평균 주당 수분 보유량은 115.4mL 로 가장 높았다. 딸기의 코이어 재배에서 관수종료시각에 따른 관행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겨울에 급액량은 162.8mL이었고, 배액율은 25.4%였다. FDR 센서 제어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관행의 41.3~79.9% 수준이었다. FDR 센서 제어의 배액율은 17% 이하였다. FDR 센서 제어 중 관수종료시각 13시의 배액율은 10% 이하였고, 급액량이 관행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봄에 관행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267.1mL이었고, 배액율은 26.5%였다. 같은 시기에 FDR 센서 제어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타이머의 37.8~67.4%였고, 배액율은 15% 이하였다. FDR 센서 제어 중 관수종료시각 17시의 배액율은 6% 이하였고, 급액량이 관행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딸기의 코이어 재배에서 관행의 수분이용효율은 13.8g·L·plant-1이었다. 최소대기시간에 따른 수분이용효율은 최소대기시간 5분을 제외한 모든 FDR 센서 제어에서 관행보다 높았다. 그 중 최소대기시간 15분과 0분의 수분이용효율은 관행에 비하여 170.2%와 160.9% 로 통계적 유의하게 높았다. 딸기 품질을 나타내는 당도는 최소대기시간 15분에서 높았다. 관수종료시각에 따른 수분이용효율은 관행에서 13.8g·L·plant-1이었다. FDR 센서 제어의 수분이용효율은 모든 처리에서 관행보다 높았고, 처리 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딸기의 품질을 나타내는 당도는 관수종료시각 17시에서 높았다. 딸기의 코이어 재배에서 관행의 전 재배기간 동안 투입되는 비료양은 주당 3,272.4kg/ha이었다. FDR 센서 제어 시 최소대기시간에 따른 비료양은 주당 1,182.3kg/ha~2,765.7kg/ha이었고, 가장 많이 절감한 처리는 최소대기시간 15분으로 주당 2,090.1kg/ha 절감할 수 있었다. FDR 센서 제어 시 관수종료시각에 따른 비료양은 주당 1,340.6kg/ha~2,016.2kg/ha이었고, 비료양을 가장 많이 절감한 처리는 관수종료시각 17시로 주당 1,931.8kg/ha 절감할 수 있었다. 광합성 특성과 딸기의 지상부 생육 특성에서는 최소대기시간과 관수종료시각에 따른 처리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과실생육 특성 및 수량에서는 전 재배기간 동안 주당 총 수량과 주당 평균 과중도 최소대기시간과 관수종료시각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Water drainage from open hydroponics causes significant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agrochemicals and loss of water and nutrien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an irrigation schedule based on threshold values of volumetric substrate water content for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Duch.) cultivation aimed at minimizing effluent from coir substrate hydroponics and improving water and fertilizer use efficiencies and yield using a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FDR) sensor-automated irrigation system. For the purpose, it was necessary to determine proper duration of off-time between irrigation cycles and end-time of irrigation hours. For the off-time duration between irritation cycles, a 0-, 5-, 10-, or 15-minute treatment was applied to three different growing seasons using the FDR-automated irrigation system. For the end-time of irrigation hours, a 13:00, 15:00, 17:00, or no end-time treatment was also applied to three different growing seasons using the FDR-automated irrigation system. As comparisons, a timer-set irrigation(TIMER) system was applied. In results, the FDR-automated irrigation system reduced irrigation volume and drainage ratio by 15% and lower than 50%, respectively during the entire growing period, compared to those in the TIMER irrigation system. Also it was found that maintaining proper duration of off-time reduced significant drainage ratio. During the winter season, maintaining 10-minute off-time resulted in the drainage ratio lower than 5% with higher retained water volume (= irrigated water volume–drained water volume). During the spring season, maintaining 15-minute off-time resulted in a drainage ratio lower than 15% with the highest retained volume than other treatments. When the end-time of irrigation hours was controlled in the FDR-automated irrigation system, the daily average irrigation volume and drainage ratio during the entire growing period were decreased by 25% and 50%, respectively, compare to those of TIMER. During the winter season, controlling end time of irrigation off hour at 13:00 resulted in a 10% of drainage ratio. During the spring season, controlling end time of irrigation off hour at 17:00 resulted in a drainage ratio lower than 6%. The highest soluble solid content (SSC) was observed when the duration of off-time was the 15 minutes, and the end-time of irrigation hours was controlled at 17:00. A higher water use efficiency (WUE) was found in all the treatments of off-time duration in the FDR-automated system than that in the treatments of TIMER system, except for the treatment of 5-minute off-time duration. Also a higher WUE was observed in all the treatments of end-time of irrigation hours in the FDR-automated system than that in the treatments of TIMER system, except for the treatment of 13:00 end-time. The amount of fertilizer used for 1.0 hectare was decreased by 506.7~2,090.1kg in all the treatments of off-time duration in the FDR-automated system than that in the treatments of TIMER system, and also decreased by 1,256.2~1,931.8kg in all the treatments of end-time of irrigation hours in the FDR-automated system than that in the treatments of TIMER system. All the integrated results indicate that the FDR sensor-automated irrigation system with 10-minute off-time and 13:00 end-time during winter season, and with 15-minute off-time and 17:00 end-time during spring season may be more applicable for strawberry cultivation in coir substrate hydroponics improving water and fertilizer efficiency, minimizing leachate, and reducing pollution.

      • 조기진통 임부의 입원 후 스트레스와 간호요구 변화 연구

        김민경 인하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 of stress and nursing needs in preterm labor after admiss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47 women with preterm labor who were admitted in two university hospital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bstetric characteristics, stress level of preterm labor and nursing needs.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on admission day and the 5th day after admiss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y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aired t-test, ANOVA,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using SPSS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ress level w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ssion (t=.-713, p=.473). Among the various elements of stress, the stresses about fetus, therapy and medical staff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ssion, but those about pregnant women, husband and environmen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ssion. 2.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nursing needs between the admission day and the 5th day after admission was not significant (t=.185, p=.854). The physical part was only increased significantly in four nursing needs after admission(t=.-2.034, p=.048). 3. The total level of stress and total level of nursing needs were correlated on the 5th day after admission(r=.374, p=.009). Thes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stress and nursing needs of women in preterm labor undergo changes after admission. Therefor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ccording to stressors which change from day to day an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in order to reduce the stress. 본 연구는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부의 스트레스 요인과 간호요구의 변화를 파악하여 조기진통 임부의 스트레스와 간호요구 관련 간호 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7년 1월 15일부터 5월 20일까지 총 4개월이었고, 연구의 대상자는 조기진통을 진단받고 수도권 2개 종합병원에 입원한 20세에서 39세의 임부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안황란(1985), 김혜경(2002)의 도구와 김재희(2002)에 의해 번안된 White와 Ritchie(1984)의 산전 입원 스트레스 요인 측정도구(Antepartum Hospital Stressor Inventory: AHSI)를 수정ㆍ보완한 조기진통 스트레스 도구와 이평숙과 유은광(1995)의 조기진통 임부의 간호요구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입원 시와 입원 5일 2회에 걸쳐 자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분석, t-test, ANOVA, paired t-test,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1) 조기진통 임부의 입원 1일 총 스트레스는 총점 184점 중 109.36점, 입원 5일 총 스트레스는 111.02점으로 중정도의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원은 태아관련 스트레스(평균 2.90), 임부관련 스트레스(평균 2.39), 배우자관련 스트레스(평균 2.18), 환경관련 스트레스(평균 2.09), 처치관련 스트레스(평균 2.07), 의료진관련 스트레스(평균 1.85)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입원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전체 스트레스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는 입원 후 태아관련 스트레스(t=2.061, p=.045), 처치관련 스트레스(t=1.905, p=.064), 의료진관련 스트레스(t=2.235, p=.032)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임부관련 스트레스(t=-3.157, p=.003), 배우자관련 스트레스(t=-2.859, p=.007), 환경관련 스트레스(t=-2.929, p=.005)는 증가하였다. 3) 조기진통 임부의 입원 1일 총 간호요구는 총점 124점 중 83.33점, 입원 5일 총 간호요구는 82.95점으로 입원 후 5일째 간호요구가 약간 감소하였다. 그리고 간호요구는 전문 간호(평균 2.05), 교육 간호(평균 2.63), 정서 간호(평균 3.04), 신체 간호(평균 2.90)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입원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간호요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85, p=.854). 간호요구 하위영역에서는 입원 후 신체 간호요구만이 증가하였다(t=.-2.034, p=.048). 5) 입원 시 총 스트레스와 전체 간호요구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r=.222, p=.129) 스트레스원과 간호요구의 하부 영역에서는, 태아관련 스트레스와 정서 간호요구(r=.335, p=.019), 임부관련 스트레스와 정서 간호요구(r=.478, p=.001), 입원 1일 총 스트레스와 정서 간호요구(r=.416, p=.004), 태아관련 스트레스와 전문 간호요구(r=.310, p=.036), 임부관련 스트레스와 총 간호요구(r=.294, p=.043)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입원 5일 경과 후 총 스트레스와 전체 간호요구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374, p=.009). 하부 영역에서는 임부관련 스트레스와 정서 간호요구(r=.502, p=.000)가 중등도의 상관정도를 나타냈고, 태아관련 스트레스(r=.476, p=.001), 환경관련 스트레스(r=.356, p=.013)는 정서간호 요구와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부관련 스트레스(r=.352, p=.016)와 환경관련 스트레스(r=.463, p=.001)는 신체간호 요구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입원 후 총 스트레스 수준과 총 간호요구의 수준은 변하지 않으나 스트레스원과 간호요구의 하부 영역은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스트레스원에 따른 시기별 간호 중재를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입원 후 스트레스 수준과 간호요구가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하부 요인별로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간호요구를 고려한 간호중재를 통하여 입원 후 스트레스 수준의 감소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향후 스트레스와 간호요구의 상관관계에 대한 반복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유령멍게 Ciona intestinalis의 알 발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김민경 삼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국내 해양생태계의 침입 외래종으로 보고되어 있는 유령멍게(Ciona intestinalis)의 알 발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그리고 두 인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여 유령멍게의 최적 발육 조건을 확인하고 생태적 특성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유령멍게의 알 발육 실험에 사용된 개체는 2016년 11월 구룡포항의 항벽, 항구 내 시설물 및 로프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성체를 채집하였고 신속하게 실험실로 운반하여 실내 해수 수조에서 사육하였다. 유령멍게의 성체로부터 정자와 난자를 채취하여 수정시키고, 수정란을 24 well plate의 각 wcell에 한 개씩 분주한 후, 항온수조에서 유지하며 알의 부화 및 유생의 부착을 8시간 간격으로 조사하고 기록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유령멍게 알 발육에서의 수온 및 염분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5개의 수온 조건(10, 12, 16, 20, 24℃)과 8개의 염분 조건(26, 28, 30, 32, 34, 36, 38, 40psu)에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령멍게 알의 발육은 수온과 더불어 염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며, 최적 발육 수온 범위는 16∼20℃, 염분 범위는 32∼34psu 사이로 판단된다. 두 번째 실험은 유령멍게 알의 저온 발육임계수온을 파악하고 염분의 차이가 유령멍게 알의 최적 발육 수온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첫 번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2개의 염분 조건(30psu와 34psu)과 9개의 수온 조건(10, 12, 14, 16, 18, 20, 22, 24, 26℃)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30psu 조건에서 16∼22℃, 34psu 조건에서 12∼22℃로 추정되었고, 유령멍게 알의 저온 발육임계수온은 34psu에서 약 4.25℃ (y=0.0044x-0.0187), 30psu에서 약 7.69℃ (y=0.0055x–0.0426)로 추정되었다. 고염분 조건(34psu)에서는 저염분 조건(30psu)에 비하여 부화 및 부착을 위한 수온 범위가 넓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해(32∼35psu), 남해(30∼33psu) 그리고 서해(29∼32psu)의 연중 염분 변동을 고려할 때, 서해 염분 조건은 유령멍게의 알 발육에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며 실제 유령멍게가 발견되지 않는 원인으로 생각되며, 제주 지역까지는 확산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령멍게의 분포 및 확산을 추정하는데 수온과 염분 및 두 인자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인자로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프로그램진행자와 시청자 선호도와의 관계 연구 : 제주지역 방송을 중심으로

        김민경 성균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텔레비전의 영향력이 강조되면서 시청자와 프로그램을 이어주는 교량과 같은 방송 진행자, 프로그램의 메시지를 최종적으로 수용자에게 전달하는 출연자, 즉 진행자 없이는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가 없게 되었고, 자질과 역할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많은 인식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행자와 시청자와의 관계, 즉 진행자가 프로그램의 시청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시청자가 선호하는 진행자는 어떠한 모습인지 등에 대해서는 특히 지역방송에서 아직 밝혀진 연구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런 진행자의 속성들을 하나의 개별 변인으로 두고 그 속성의 하위 요소들을 찾아내 실제 프로그램 진행자별로 비교 분석한 뒤, 이런 속성에 대한평가와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들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1> : 제주지역 방송 3사 텔레비전 프로그램 진행자 속성에 대한 수용자의 평가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 제주지역 방송 3사 텔레비전 프로그램 진행자의 개별 속성에 대한 평가는 수용자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 연구문제 3> : 수용자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속성에 따라 제주지역 방송 3사 프로그램 진행자에 대한 기대 이미지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앞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의 연령별, 성별, 지역별로 지역의 일반 시청자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포하였는데, 설문지 회수 후 응답을 성의 없이 기재하였거나 조사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전혀 시청하지 않은 시청자와 대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20부를 제외한 28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첫 번째 연구문제에서 수용자 성별로 평가한 남, 여 프로그램 진행자에 대한 각각의 평가는 대체적으로 남, 여 모두 남자 프로그램진행자로는 JIBS의 최재혁 아나운서를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 진행자로 꼽았으며, 여자 프로그램 진행자로는 JIBS 김민경 아나운서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이유로는 외모와 목소리, 전달력, 진행 솜씨, 신뢰감, 세련됨 그리고 기타항목으로 구성된 7개의 평가에서 남,녀 모두 다른 두 명의 진행자에 비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방송사 만족도와 프로그램 진행자와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청자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진행자 뿐 만 아니라 각 방송사 이미지 구축이나 프로그램 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연구문제에 있어서 그 결과 지역 프로그램 진행자와 중앙 방송 프로그램 진행자간의 차이점은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앞으로 더 기대하는 이미지 부분에 대해서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 노련하지 못한 진행을 꼽음으로 인해 가장 중요한 자격요건으로 손꼽았다. 다음으로는 학구적 자세, 공인정신 결여 순으로 나타났는데. 외모나 스타일 면에서는 지역 프로그램 진행자들로부터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어떤 하나의 이미지가 시청자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지만, 시청자는 나름대로 각 방송사의 프로그램 진행자에 대한 이미지와 자질에 대해서 분석 하고 있었으며 주의 깊게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자질이나 조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역 프로그램 진행자는 늘 겸손한 마음으로 노력하는 자세를 임해야 할 것이다.

      • 중소여행사 직원이 지각한 고용불안정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민경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진입장벽이 낮은 여행업계의 특성상 중소여행사가 점점 늘어나면서 그에 따른 직원들의 고용불안정성을 연구의 시작점으로 한다. 이를 통해 중소여행사 직원이 지각한 고용불안정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직원 수 100명 이하의 중소여행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돌린 결과 290부가 회수되었다. 중소여행사 직원의 고용불안정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가지고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이 낮아진다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직무만족을 통제변수로 설정해 조절회귀분석을 통한 실증조사를 했다.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인 고용불안정이 높을수록 종속변수인 직무몰입은 음(-)의 영향을 보였다. 둘째, 고용불안정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음(-)의 영향에 있어서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 낙관적희망의 양(+)의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중소여행사 직원의 고용불안정성에 대한 직무몰입의 음(-)의 효과를 해소하기 위해 직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을 높일 수 있도록 기업차원에서 직원들이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업무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한다면, 직원들이 고객들에게 전달하는 서비스의 질이 높아지며 결국 기업 차원에서도 높은 생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employment instability in the tourism industry as the number of small travel companies increases due to low entry barriers of the industry. This research analyzes moderation effect of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ir lower job commitment caused by their perceived job insecurity.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by small travel company’s employee was analyzed moderation effect of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control. Surveys were undertaken by 300 employees in the small travel companies which have fewer than 100 employees, and 290 employees answered.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which shows that employees tend to have lower concentration on their works as their job insecurity is higher, an empirical analysis was taken to test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commitment of employees in small travel companies, us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as a controlling variable. The result of research, which are prove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insecurity negatively impacts job involvement of employees. Employees in the small travel companies showed lower commitment to their jobs as their job insecurity was higher. Second, self-efficacy and optimism fro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lleviated above negativ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job commitment; employees who had higher job satisfaction tended to have higher job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increas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s is effective to lower negativ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commitment. In order to increase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mpanies should provide work environment where employees can work with stability with methods such as regular job training. The effort on the company level will lead to higher job commitment of employees, which consequently improves service to customers and higher productivity.

      • 필라테스 체어 운동이 폐경기 여성의 하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

        김민경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Effects of Pilates Chair Exercise on Lower-muscles Strength in Menopeusal Women Kim, Min-gyeong Advisor : Prof. Seo Yeong-hwan Department of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ilates Chair exercise program for 8 weeks on the lower muscles strenth in menopausal wom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women in middle-aged with menopause period that a total of 16 subjects were divided into 8 women with Pilates Chair exercise(Exercise Group) and nd 8 women with Control Group. Primary and after 8-week tests were examined body composition and lower muscles EMG and the following conclisions were drawn. The body composition had no change weight, BMI, body fat percentage in both groups but Pilates chair exercise group had change skeletal muscle mass. Regarding change in the lower muscles EMG, pilates chair exercise groupshowed signifiant increase in gluteus maximus, vatus lateralis,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p<.01,p<.01,p<.001, p<.05). Especially in the tibialis anterior,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fter the experiment(P<.01). In conclusion, Pilates chair exercise is a positive factor in improving skeletal muscle mass among menopausal women's body composition and lower muscles EMG and it can contribute to changes in skeletal muscle and an increase in leg strength as an important index of body compos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ilates chair exercise program can be recommended for the menopausal women 's health.

      • 집단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성인 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민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관적 삶의 질의 하위 영역인 심리·사회적 요인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사회참여가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뇌성마비 성인의 주관적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한 부분으로써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의 E재활원에 거주하는 뇌성마비 성인 남성 8명으로 시설거주자 중 기관에서 사전 모집된 구성원에게 본 프로그램 안내 후, 참여에 동의한 자에 한하여 2008년 6월부터 10월까지 주 1회 80분씩, 총 14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평가방법은 주관적 삶의 질 하위요인인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RSES)와 대인관계 척도 검사(RCS), K-HTP 그림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비교하였으며, 사후 면담과 사후 개입에서 드러난 사회참여의 변화를 통해 주관적 삶의 질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척도 검사의 평균이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K-HTP 그림검사에서도 연구 대상자마다 차이는 있으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사후 면담과 사후 개입에서 8명 중 1명이 대학진학에 도전하였고, 1명이 자립을 확정하고 준비 중이었으며, 2명이 시집 발간을 완성 및 계획한 것을 비롯하여 1명은 다른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고, 1명은 미술로 여가를 즐기며, 구성원 중 6명이 공동의 시화전을 기획하고 성공적으로 마치는 등 향상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가 사회참여를 확대시키고 삶의 질에 대한 만족을 높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성인 남성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고 사회참여를 확대하여,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한정하였던 주관적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which includes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study will discuss on how the aspects variate and how the change becomes a basis to improv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male adult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male adults with cerebral palsy staying at E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Information o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notified beforehand and the study containing 14 sessions in total was conducted on those who have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once a week from June to October, 2008. Evaluation methods of the study to understand the change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Rosenberg Self-Esteem Scale, Relationship Change Scale and Kinetic-House-Tree-Person Test(K-HTP). All of the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Subjective Quality of Life’ was analyzed by the change in social participation which was displayed in the post-program interview conducted after the program ended. As a result, the average level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s statistically increased and has illustrated the positive change through K-HTP test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participants. At the post-program interview, one of the eight challenged to enter the college and one was preparing for the self-sustenance, two have succeeded in publishing the poetry books, one was participating in the other therapy program, one has acquired taste in art and six participants have planned an exhibition of illustrated poems themselves and succeeded. As shown in the result, it is seen that developed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ve led them to increase the social participation while those also improved their quality of life as a whole. Thus, the result of the study verifies that group art therapy increased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of male adult with cerebral palsy and positively changed their subjective quality of life which had been limited due to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 금리 시나리오 모형에 따른 보험수리적 분석 결과의 비교에 관한 연구

        김민경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금리 시나리오란 미래의 금리 흐름을 추정하는 시나리오를 말한다. 금리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우리는 현재 자산의 미래가치를 측정할 수 있고 소비나 생산에 있어서 상품의 현재가치를 측정해 봄으로써 의사결정에 필요한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보험료를 책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예정이율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고 적용이율의 흐름을 예측해봄으로써 미래에 필요한 준비금의 규모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험 업무에서 유용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현재 보험사를 포함한 여러 회사들이 금리와 관련한 각종 리스크 측정에 금리 시나리오 모델을 활용하고 있으며 우수한 시나리오 모델을 선택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본 연구는 금리 시나리오 모델 중 이미 알려진 고전적 모델과 최근 제시된 장기 금리 시나리오 모델을 소개하고 각 모델별 특징을 설명하여 금리 시나리오 모델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금리 시나리오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금리 시나리오 모델을 프로그램화하여 각 모델별 금리를 생성해보고 금리의 움직임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생성된 금리를 이용하여 실제 저축성보험과 퇴직연금에 금리 시나리오가 어떻게 활용될지 보험 수리적으로 연구해 보았다. An interest scenario is the scenario to project interest rate flow in future. Using the interest rate scenario we can estimate a future value of assets at present. The interest rate scenario also provide a critical basis for decision making. Especially, In insurance business the interest rate scenario is useful for projecting the rate of interest that it is needed to appropriate a premium and for projecting reserve in future. In this thesis, we discuss various interest rate scenario models and implement a production system of interest rate using excel VBA. The system will be an efficient tool for people that want to know the interest rate models. In this thesis, we also apply to insurance products using the interest rate scenarios produced by the system.

      • 전자빔과 감마선을 이용한 은콜로이드 제조 및 cellulose섬유의 항균가공

        김민경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ilver nanoparticles have provided considerable interest because of their potential application in areas such as for fighting against all types of diseases, whether caused by germs, viruses, bacteria, allergens or pathogens. Therefore silver nanoparticles have been obtained through various methods. we report electrochmical synthsis of silver nanoparticles in Gamma-rays and Electron beams. Silver nanoparticles have prepared by reducing silver nitrate solution with stabilizing agent in irradiation of Gamma-rays and Electron beams. For verify physical properties of silver nanoparticles, we have investigated UV-VIS, XRD, TEM and SEM. Additional irradiation of Electron beams synthesized well-dispersed silver nanoparticles more than only Gamma-rays. And, antibiotic cellulous fibers have prepared by processing cellulous fiber with silver nanoparticle solution and Reactive anion reagent. Reactive anion reagent formed bridge between cellulose fiber and silver colloids. Some of the silver colloids were adsorbed on cellulose fiber directly. That is, absorption and ion bonding happen simultaneously. We have tested durability and antibiotic properties of silver for processed fiber. Durability of silver were tested with ICP, many silver particles were lived after 20 times of washing. Antibiotic properties were tested with Staphylococcus aureus and Klebsiella pneumoniae, 99.99% of the germs were steri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