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을 활용한 파티패션 디자인 개발

        김미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21st Century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has been increased interest for the audio visual media which is the most critical element that leads a pop culture today. Especially, as larger areas of entertainment are magnified, the girl-group has emerged as a pop culture icon. The brilliant girl-group fashion through the new media has strongly imprinted to the public and it is leading the fashion as the mentor role. The girl-group fashion style has affected the public by the most practical use as fashion information in a party place. In recent years, the public's interest of the party fashion with increasing of party was also increased. The party fashion tendency which follows their favorite girl-group's style has been increasing. As purchasing clothes separately for a party and buying fashion items which worn by girl-group tend to have increased. The girl-group style popularity and fashion imitation demands has extended and the mass media which introduces their fashion is appearing. Even though related sites and information are being activated, however, the supplying of party fashion is deficient condition to satisfy for the public's various craving. Consequently, the necessity of party fashion design proposals is needed to satisfy the aesthetic sensibilities of the public personality. The girl-group fashion style design has led the formation and flow of popular culture and identify characteristics after analyzing the formative elements. The main purpose of this project is the differentiated party fashion design proposal that the people who are copying girl-group's fashion are to be satisfied their needs. Furthermore, we could propose the basic stuff for the related brand development and it helps to activate a party cultural industries. There is a significance of the development of party fashion design that increases demand for a party fashion and assists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order to carry out the hottest new media era is examined the girl-group's concept and history. Also pop singer, fashion and girl-group's correlation have investigated for linkage of the fashion industry. In addition, we divided and analysed by popular girl-group 4 team's album concept fashion styles and party fashion styles. We have developed the differentiated party fashion design which is satisfied the craving of 20 to 30 young generation who likes to copy girl-group's fashion that reflected after analysing the formative elements of the girl-group fashion design. As a result, w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girl-group is the important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and the formation of visual culture and they are the person who shows their charming features and position to masses. The girl-group has created fashion trends and propagated the fashion as an epicenter and a core element of fashion cultural industries and strengthen its position. Second, the girl-group through the media which includes a new media has affected the whole of society and culture. The girl-group's fashion has created a powerful trend and it has extended as the new route .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girl-group fashion style, we have analyzed each fashion as fashion for album concept, and visual fashion which participated at a party. The aggregated result of the style analysis is as following: Girls' Generation has seen two types of style, the one is a natural romantic style of fit & flare silhouette and the other is a sexy feminine style of Sheath silhouette. Wonder Girls was a Retro-feminine style of pitideu silhouette, 2NE1 was a funky & chic style of the H silhouette and Tiara showed a cute romantic style of fit & flare silhouette. The Girl generation's natural romantic style had the girlish romantic style by race matched black on white, and the sexy feminine style used a sexy one-piece dress with short length which looks slim on silhouette. Used a lot of black color. In detail, there are ribbon decoration and frill with deep V- neckline, mini one-piece dress style of short length. In Wonder Girls' retro-feminine styles, animal print which is the year 2012 S / S 's trend is commonly used, and Retro-feminine style skirts line of knee-length has been shown a lot. They frequently used brilliant Cubic, and detail was showed sexy slit. In 2NE1's funky & chic style, vivid color graphic printed pattern became the common and the metal strings and belts were used as decoration. The cute romantic styles of Tiara showed a lot of object style representations such as cuteness, sporty Tiered-details, detail of ribbon decoration, beadwork and cubic. Also the feminine color like white and clean ivory color has been widely used. Four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atG Party Girl' as a concept, we designed 5suits work for whom people like to mimic girl-group's fashion and create self-directing style and enjoy the party culture which reflected the lifestyle of consumers. They want to be superior of more than anyone as pursuing girl-group's trendy style and the same image of them.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Girl's Generation prefers natural romantic & sexy feminine style, Wonder Girls' Retro-feminine, 2NE1's funky & chic and Tiara's cute romantic style. They present the trendy and distinctive sensibilities's design based on each group's characteristics. When we look over, as taking advantage of current popular girl-group's fashion styles, the basis of the party fashion industry characteristics is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public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party fashion design. That will be able to prepare the opportunity which is increasing the public's interest of the party fash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useful resources that will be able to activate party fashion markets to younger generation as suggesting the new party fashion design with the fundamental data provision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party fashion brands. 21세기 뉴미디어의 발달은 오늘날 대중문화를 이끌어가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시청각 대중매체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엔터테인먼트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걸그룹은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 부상하였다. 뉴미디어를 통해 보여지는 화려한 걸그룹의 패션은 대중에게 강하게 각인되고 있으며 트렌드를 제시하는 조언자 역할을 통해 유행을 선도하고 있다.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은 자신이 누구보다 돋보여야 하는 파티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패션 정보로써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파티의 증가와 함께 파티패션에 대한 대중의 관심 또한 증가되었다. 파티를 위해 따로 의복을 구매하거나 걸그룹이 입었던 것과 같은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자신이 좋아하는 걸그룹의 스타일을 따라하는 파티패션 성향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걸그룹 스타일 유행과 패션의 모방 수요가 늘어나면서 그들의 패션을 소개하는 대중매체가 많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관련 사이트와 정보지가 활성화되고 있으나, 걸그룹 스타일을 좋아하는 대중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파티패션 공급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대중의 개성 있는 미적 감각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파티패션 디자인 제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문화의 한 흐름을 형성하며 유행을 선도하고 있는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을 디자인의 조형적 요소로 분석하여 특징을 도출한 후 그들의 패션을 따라하는 대중들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파티패션 디자인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파티패션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파티패션 수요를 증가시켜 관련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고 관련 브랜드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 파티문화 산업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데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뉴미디어 시대에 가장 주목받고 있는 걸그룹의 개념과 역사를 고찰하고, 대중가수와 패션의 상관관계 및 걸그룹과 패션산업의 연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인기 걸그룹 4팀의 앨범 컨셉별 패션 스타일과 파티패션 스타일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을 디자인의 조형적 요소로 분석한 결과를 반영하여 그들의 패션을 따라하는 20~30대 젊은 층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파티패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걸그룹은 뉴미디어의 발달과 시각문화의 형성을 통한 중요한 문화 콘텐츠로 대중에게 매력적인 모습과 지위를 보여주는 인물이며, 패션 트렌드를 창조하고 전파시키는 패션의 진원지이자 패션 문화산업의 핵심요소로 그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뉴미디어를 포함한 대중매체를 통해 걸그룹은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걸그룹의 패션은 강력한 트렌드가 창출되는 새로운 경로로써 확대되고 있었다. 셋째,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해 앨범 컨셉별 패션과 파티 참여에서 보이는 패션을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각 걸그룹의 대표적 스타일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스타일 분석을 종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녀시대는 핏 앤 플레어 실루엣의 내추럴 로맨틱 스타일과 시스 실루엣의 섹시 페미닌 스타일의 두 가지 스타일이 나타났다. 원더걸스는 피티드 실루엣의 레트로 페미닌 스타일, 2NE1은 에이치 실루엣의 펑키&시크 스타일, 티아라는 핏 앤 플레어 실루엣의 큐트 로맨틱 스타일이 나타났다. 소녀시대의 내추럴 로맨틱 스타일에서는 화이트에 블랙을 매치시킨 레이스 소재를 사용한 소녀스러운 로맨틱 스타일이 많이 나타났고 섹시 페미닌 스타일에서는 슬림하게 보이는 실루엣에 짧은 길이로 섹시한 원피스가 많았고 블랙 컬러 사용이 높았다. 디테일로는 깊게 파진 브이 네크라인에 짧은 길이의 미니 원피스 스타일로 리본 장식과 프릴 등이 보여졌다. 원더걸스의 레트로 페미닌 스타일에서는 2012년 S/S 트렌드이기도 한 애니멀 프린트가 많이 나타났고 무릎 밑 기장의 복고적이고 페미닌한 스커트 라인이 많이 보여졌다. 화려한 큐빅의 사용이 많았으며 슬릿과 같은 섹시함을 주는 디테일이 보여졌다. 2NE1의 펑키&시크 스타일에서는 비비드 컬러의 그래픽 프린팅이 된 패턴이 많이 나타났고 금속과 스트링, 벨트 등의 장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티아라의 큐트 로맨틱 스타일에서는 귀엽고 발랄한 티어드 디테일과 리본 장식, 비즈 장식, 큐빅 등의 오브제적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화이트와 아이보리와 같은 깨끗하고 여성스러운 컬러가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위의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atG Party Girl’이라는 컨셉 아래, 걸그룹을 좋아하고 그들의 패션을 모방하여 자기 스타일로 연출하며 파티 문화를 즐기는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5벌의 작품을 디자인 하였다. 이들은 걸그룹의 트렌디한 스타일 연출과 그들과 같은 이미지를 추구하며 자신이 누구보다 돋보이길 원한다. 이들을 위해 분석 결과 도출된 소녀시대의 내추럴 로맨틱과 섹시 페미닌, 원더걸스의 레트로 페미닌, 2NE1의 펑키&시크, 티아라의 큐트 로맨틱 스타일을 중심으로 각 그룹의 특징을 바탕으로 트렌디하고 차별화된 감성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현재 주목 받고 있는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을 활용하여 파티패션 산업의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대중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파티패션 디자인 개발을 통해 파티 및 파티패션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젊은 층에 새로운 파티패션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파티패션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 제공 및 다양한 파티패션 브랜드 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보상체계가 회복탄력성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김미화 협성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협성대학교 대학원 아동보육학과 김미화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보상체계, 삶의 의미, 회복탄력성, 조직스트레스 사이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종사자들의 삶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종사들의 보상체계가 삶의 의미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조직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들의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보상체계, 삶의 의미, 회복탄력성, 조직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보상체계는 삶의 의미와 회복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셋째,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보상체계는 삶의 의미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보상체계와 삶의 의미,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조직스트레스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의미는 성별, 연령과 학력, 건강상태 그리고 조직스트레스와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 중 교육훈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삶의 의미는 성별, 연령, 학력, 건강상태가 개인적인 삶의 의미에 대한 의미성을 부여하는데 긍정적으로 정(+)적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보상체계의 하위요인 급여적절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에 대해서는 교육훈련이 삶의 의미와 관계에서 정(+)의 영향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종사자에게 적절한 교육훈련의 기회를 제공한다면 종사자 개인의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성이 커질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과 건강상태, 조직스트레스,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 중 급여의 적절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 연령, 학력, 건강상태와 보상체계의 하위요인 급여적절성, 교육훈련, 복리후생 요인이 회복탄력성과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남에 따라 종사자들에 대한 급여의 적절성, 교육훈련, 복리후생 등을 지원함으로써 종사자들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 종사자들이 근무환경에 대한 스트레스나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회복탄력성은 떨어진다고 분석할 수 있다. 셋째, 종사자의 보상체계와 삶의 의미와의 관계에서 조직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보상체계는 조직스트레스를 통해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종사자의 보상체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스트레스의 하위요인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급여적절성과 복리후생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학부모관계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고 급여적절성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조직스트레스_업무과부화는 완전매개 역할, 복리후생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조직스트레스_업무과부화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복리후생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근무환경은 부분매개 역할을, 급여적절성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근무환경은 직접적인 효과인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주제어: 보상체계, 삶의 의미,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ABSTRACT The Effects of the Compensation System on the Meaning of Life and Resilience of Community Child Center Employees -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tress - Kim, Mi Ha Dept. of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Hyupsu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mpensation system, meaning of life,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stress of local children's center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ompensation system of local children's centers on the meaning of life and resilie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tress. First, how does the compensation system of the workers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affect the meaning of life and resilience? Second, does organizational stress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the compensation system of the workers in the local children's center on the meaning of life and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mployees working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Gyeonggi-do and they were measured by self-report method.,In order to fully explain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n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naire items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sponse content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directly to the center to cooperate with the questionnaire response.,A total of 30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missing values of the respondents who were unfaithful to the main variables among the 350 questionnaires collected and collected for one month from March 1 to March 31, 2023.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mpensation system did not affect the meaning of life through organizational stres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nsation system of employees and the meaning of lif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n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stress in the effect of the compensation system of the employees on the resili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ental relationship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the salary adequacy and the welfare benefits on the resilience, and the organizational stress_work overload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the salary adequacy on the resilience.,Finally, working environment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welfare benefits on resilience, and working environment played a full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pay appropriateness on resilience

      •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조사

        김미화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조사 유아교육전공 김미화 지 도 교 수 이경화 오늘날 인류가 안고 있는 환경문제는 인간이 자연에 대한 태도 변화를 교육을 통한 의식 변화 없이는 생태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는 인식이다. 특히 유아기 때 형성된 가치관과 습관이 삶의 태도에 큰 영향을 준다고 볼 때 생태지향적인 가치를 추구하며 자연친화적인 교육을 실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인식의 정도를 알아보고 생태유아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은 어떠한가? 셋째, 생태유아교육 필요성에 대한 교사인식에는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쳤는가? 넷째, 생태유아교육 실천을 위한 문제점과 대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82명을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인식조사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이 생태유아교육을 처음 접한 곳은 대학졸업 후에 강좌나 연수를 통해서 알게 되었으며 생태유아교육 방향전환의 교사인식은 교사의 경력,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교사 88.4%가 생태유아교육은 유아기부터 시작한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은 기관형태나 시설규모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산책활동과 텃밭 가꾸기가 제일 많은 활동으로 조사 되었다. 셋째, 생태유아교육 필요성에 대한 교사인식은 연수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연령, 경력에 상관없이 모든 교사가 필요성은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유아들이 자유롭게 탐구하고 생각 할 수 있기 때문이며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현실적으로 실천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태유아교육 실천을 위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기관의 형태 및 시설규모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제시된 문제점은 환경개선 및 정보부족과 유아의 안전사고에 대한 부담을 지적하였다. 다섯째, 생태유아교육 실천을 위한 대안으로는 실천 가능한 프로그램개발과 주변환경 여건의 개선, 유아 수 적절성과 학부모의 인식변화와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현대사회의 자연생태계 관심과 더불어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와 관심이 높은 것과 함께 체계적인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의 보급과 교사․부모교육, 주변 환경개선과 정부의 지원이 있다면 더욱 더 활성화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 Research in Teachers' Recognition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im, Mihwa Major in Early Chil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Kyunghwa Nowadays environmental issues brought human beings the recognition that a man cannot get over the crisis of the ecosystem without a change of consciousness on its attitude toward the nature through the education. Especially, when we consider that our values and habit formed in babyhood have a great effect on our attitude in life, it is very important to pursue an eco-oriented value and practice an eco-friendly educat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attempted to check the level of the recognition concerning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education in pre-primar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earch for the direction to activate an eco-babyhood education. We can hereby suggest the results drawn through this study as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issues of the study. Firstly. how is teachers' recognition on the eco-babyhood education? Secondly, how is the eco-babyhood edu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irdly, what kinds of factors affected teachers' recognition on the necessity of he eco-babyhood education? Fourth, what are the problems and alternative plans for the practice of the eco-babyhood education? In this research we collected the data using the Teacher Recognition Survey Questionnaire regarding the eco-babyhood education targeting 182 teachers who were in service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analyzed the disposition of collected data through the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We present the results drawn through this research as follows by the issues of the research. Firstly, early child teachers first contacted the eco-early child education through the lectures or training programs after the graduation from the university, and the teachers' recognition on the turnover of the direction of the eco-babyhood education had no differences in teachers' career or age, and it appeared that 88.4% of the teachers had the opinion that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started from babyhood. Secondly,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being executed in the babyhood education institutions ha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orms of institutions or the scale of facilities, but the survey showed that the walking activities and the kitchen garden growing were the most frequent activities. Thirdly, it was shown that the training program affected teachers' recognition on the necessity of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mostly, and all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without regard to teachers' age, career. It appeared that the reason for the necessity of the eco-babyhood education was because babies could inquire and think liberally, and the reason for non-necessity wa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practice it in reality. Fourth, the problems for the practice of the eco-babyhood education had no differences in the forms of the institutions or the scope of the facilities, bu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suggested problems were the betterment of environment and the shortage of information and the burden of babies' accidents. Fifth, the alternative plans for the practice of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ed the development of practicable programs, the improvement of neighbo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adequacy of the number of babies, the changes of parents' recognition and the necessity of teachers' efforts. Therefore, we could know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at teachers had high demand and concern about the eco-babyhood education along with the interest in the natural ecosystem in the modern society and that the eco-babyhood education would be activated all the more if there should be the supply of the systematic eco-babyhood education program, teachers․parents education, peripheral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 동사의 의미 확장 연구 : 영어 FALL과 한국어 '떨어지다'의 은유적, 환유적 확장을 중심으로

        김미화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aspects of English fall and Korean ttelecita based on concepts of cognitive semantics, especially based on orientational metaphors, image-schemas, and perspectivization.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glish fall and Korean ttelecita share their prototypical meaning, ‘to move downward to a lower position.’In English expression Apple fell off the tree and Korean expression pang-kum pis-pang-wul-i ttel-e-ci-ki si-cak-hayss-e, English fall and Korean ttelecita similarly refer to ‘to move downward to a lower position.’ However, in their extended meanings, considerable differences are observed. English fall only refers to what happen fortuitously. They never indicates intentional movement. Korean ttelecita refers to fortuity as well as intentionality. Another difference is that Korean ttelecita utilizes metonymy more frequently when compared with English fall, referring to ‘separation,’‘disappearance,’and ‘arrival,’which are not observed in English fall. *Key words: image-schema, up-down orientational metaphor, metonymy, perspectivization 영어의 FALL과 한국어의 '떨어지다'의 의미를 인지의미론적 방법을 이용해 비교분석하였다. 영상도식과 은유, 환유적 인지 기제를 이용해 두 언어권의 어휘를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자 하였다. FALL과 '떨어지다'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지다'라는 원형 의미를 공유하고 있으며, 몇 가지 의미군에서 같은 확장 양상을 보인다. 물리적 '추락'의미, '하락'의미, '배당', '상태나 상황으로의 추락'의미에서 같은 양상을 보인다. 차이점으로는 영어의 FALL에만 나타나는 의미군은 '감소'의미, '속'의 의미이다. 한국어의 '떨어지다'에서는 '소진', '분리', '소멸', '도착'의 의미가 영어에 없는 의미군이다. 인지 기제와 관련하여 FALL에서는 수직성의 개념과 위-아래 은유에 의한 확장이 주를 이루었고 '떨어지다'에서는 수평적 거리 개념과 환유에 의한 확장이 발견되었다.

      • 한국 달력체계의 근대적 전환 : 근대국가와 사회적 동기화

        김미화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Modernization brought about overall reorganization of time and space. The specific and qualitative experience of time that adhered to people’s everyday life was replaced by abstract and quantitative time measured by mechanical clocks. The Durkheimian concept of ‘holistic synchronicity’ where members of a society come together in one place periodically, has changed to an organic synchronicity of various holidays and events in ‘homogeneous and empty time’ as stated by Walter Benjamin. However, unlike clock-time, calendar-time is still composed of multiple dimensions of time period and rhythm even today. In addition, a calendar includes various anniversaries and holidays in accordance with a society’s history, culture, and socio-political commitments. In this paper, the consciousness, practice, and system of calendar-time as well as the physical calendar medium that includes such components are combined and defined as the ‘calendar system’. Also, the paper observes how the calendar system changed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The lunisolar calendar system of premodern East Asi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oday. First, calendars were mainly in the form of ‘almanac(曆書)’ booklets rather than wall calendars, and majority of almanac contents were plenty of astrological advice(曆注) on ‘things to do’ and ‘things not to do’ on a daily basis rather than information on dates and astronomical phenomenon. Second, calendars were the symbol of Chinese emperor’s power and hegemony that could be issued by the son of heaven, a Chinese emperor. Joseon Korea was forced to receive almanacs from China each year, but in reality, Koreans learned the Chinese calendar data calculation, thenreproduced and issued the same Chinese almanacs(時憲曆). Like it was in China, the distribution of almanacs in Korea was the exclusive right of the king. The East Asian order centered on China diminished with the invasion by the Western power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ith this, the Chinese calendar was also replaced by the solar calendar, the Western Gregorian calendar. However, cultural traditions and customs were more persistent than political order. In particular, the acceptance of the solar calendar in Korea did not bring actual change to life for a very long time even after constitutional reforms. The Joseon Dynasty adopted the solar calendar as the official calendar of the state in 1896, but it was a political measure that expressed the independence from China(the Qing Dynasty) rather than for reasons of solar calendar’s accuracy or convenience. However, even after the adoption of the solar calendar, the previous Chinese almanacs were continuously issued, and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 that was established in 1897 also proclaimed the lunisolar calendar as the official calendar again(明時曆). With Japan’s command of the Korean Empire’s domestic affairs from 1908 and colonization of Korea from 1910, the use of the solar calendar in state administration was strengthened further. However, in their daily lives, people continued to follow the traditional lunisolar calendar ev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lso,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did not actively enforce the use of the solar calendar for quite some time and rather issued an eclectic almanac(朝鮮民 曆) that contained both the solar and lunisolar dates. It was not until the beginning of the wartime mobilization in the late 1930s that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ctively started to compel the use of solar calendars. It was a measure on ‘double celebration of New Year's Day(二重過歲)’ abolition campaign and to change the dates of markets at the time, which enabled the solar calendar to penetrate into the rural communities as well. Meanwhil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the state and citizens during the Joseon period was the ancestral rites(祖上祭祀) based on the lunisolar calendar. Along with modernization and conversion of calendar, the weekly system that reflects the labor-leisure cycle representative of an industrial society and the anniversaries of the modern state emerged as important factors of the calendar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weekly holiday system was introduced through the Gabo Reform(갑오개혁) of 1894, which established the government office working hours. And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the Joseon Dynasty, King’s birthday, etc., were set as the anniversaries and holidays. The anniversaries of the modern state replaced the target of celebration and commemoration from the ancestors of each household to historical figures and events related to state building and nation building. The characteristics of rituals were also changed from Confucian/Buddhist rites in which only a small number of relatives participated to ceremonies or athletic events based on large-scale crowd mobilizations and spectacles. With the failure to build an independent modern state and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Japanese anniversaries centered on Emperor(天皇) worship were fully enforced, and at the end of the 1930s, all sorts of anniversaries were newly designated for the purpose of total mobilization during wartime. However, traditional times and seasons and ancestral rites based on the lunisolar calendar were prevalent privately, and despite the intense enforcement and prohibition by the colonial authorities, Korean nationalistic anniversaries that resist Japanese imperialism and socialistic anniversaries were practiced both openly and secretly. The social permeation and expansion of the modern calendar-time was made possible through distribution of calendars. However, almanacs in Korea were often exclusively issued by the stat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s and colonial period, and private production was impossible. Similar phenomena were prevalent in Japan and the Republic of China at the time. The adherence to the same calendar in a country in terms of homogeneous application in a territory ruled by the modern state is obvious, but I believe the exclusive issuance of almanacs by the state is a part of the cultural heritage of East Asia. However, even though the solar calendar was strictly enforced in Japan, not only was the joint use of the solar calendar and lunisolar calendar tolerated in its colonies such as Joseon and Taiwan, but astrological advice of the traditional lunisolar calendar were still included in the official almanacs issued by the general governments. I believe this is the characteristic and limit of colonial governmentality, which could not perfectly implement such modernization in colonies despite basing colonial rule on the superiority of modern civilization. Although the state exclusively issued official almanacs in Japan and Joseon, the exclusivity was limited to almanacs that succeeded the traditional Chinese format. Private production of such almanacs was prohibited, but single-paged or multiple-paged wall calendars or diaries, unlike books, could be freely published if they did not infringe on several political and social taboos. The emergence of broadsheet wall calendar format that combined East Asia’s traditional calendars’ table of month(月表), table of Solar terms(節氣表), Japanese colored woodcut flyer containing calendar(引札 曆), Western wall calendar, etc., is especially noteworthy. This broadsheet calendar satisfied the civic demand on modern calendar-time information that could not be fulfilled by official almanacs. And at the same time, it was used for commercial advertising by companies, stores, and even for policy advertising by some government offices, and gained great popularity as a necessary decoration in people’s homes. If the official almanac at the time can be seen as the reflection of the state’s intentions, the change of wall calendars’ composition and elements can be said to be the reflection of the people’s temporal consciousness and its changes. In summary, the calendar changed from lunisolar calendar to solar calendar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temporal rhythm and anniversaries centered on times and seasons as well as ancestral rites were replaced by industrial societies’ labor-leisure temporal rhythm and anniversaries that commemorate nation building. However, the conversion process of the calendar-system was slow and gradual, and the traditional customs did not disappear completely. Rather, it gave birth to uniqu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 by compromising with Western modernism and modern state’s regime, consciousness, and practices. The synchronicity of the modern society is not a uniform integration of the entire society; it involves varied, multi-layered and organic synchronicities in ‘homogeneous and empty time’. Each synchronity has its own temporal cycle, rhythm, and meaning. Although modernization ushered in great changes in the calendar-time, the change was not a replacement of καιρος to χρονος. It was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daily life. 근대로의 이행은 시간과 공간의 전면적 재편을 동반했다. 근대적 공간이 일차 적으로 등간격의 눈금이 매겨진, 무한히 연장되는 좌표평면으로 표상된다면, 근대 적 시간 역시 그렇게 연장된 시간으로 상정되었다. 사람들의 생활세계에 밀착한 구체적이고 질적인 시간의 경험은, 기계-시계로 측정되는 추상적이고 양적인 시간으로 대체되었다.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주기적으로 한데 모인다는 뒤르켐적 의미의 총체적 同期化도, 벤야민이 말한 ‘공허하고 균질한 시간’ 속에서의 다양한 이벤트들의 유기적 동기화로 바뀌었다. 이 시간을 상징하는 것은 기계시계이고, 근대적 시계-시간은 시간의 엄수와 절약, 점점 더 조밀해지는 시간감각과 관련된다. 그러 나 시계-시간과 달리 달력-시간은 지금도 여전히 여러 차원의 시간주기와 리듬으로 구성되며, 달력에는 그밖에도 한 사회의 역사와 문화, 정치적⋅사회적 약속에따른 각종 기념일과 축제일도 기재된다. 이 글에서는 달력-시간에 관한 意識과 실천, 제도, 그리고 그것을 담아낸 물질적인 달력-매체를 한데 묶어서 ‘달력체계’로 명명하고,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달력체계가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전근대의 달력체계는 지금과는 성격이 크게 달랐다. 첫째, 조선시대 달력의 지배적인 형태는 한 장짜리 카렌다가 아니라 책자 형태의 ‘曆書’(almanac)였다. 역서는 천문학적 역법 계산에 따른 객관적인 날짜와 시간의 정보뿐 아니라, 그 날짜와 시간마다 점성술적 의미를 부여한 ‘曆注’도 포함하고 있었다. 역주란 매일을 각기다른 의미를 갖는 ‘때’(καιρος)로 규정하고, 날마다 하면 좋은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규정한 지침이다. 사실 조선시대 역서에서 더 많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객관적 날짜 정보가 아니라, 매일의 길흉을 알려주는 역주였다. 전근대에는 하루하루가 五行, 십간십이지 등 중국 고대의 여러 사상체계에서 온 복잡한 意味 素(semanteme)의 조합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진 날로 규정되었고, 자연현상과 인간의 삶이 서로 이어져 있다는 天人合一⋅天人感應의 세계관⋅우주관에 따라 사람들의 삶은 그날그날이 갖는 서로 다른 징조와 의미에 따라 이루어져야 했던 것이다. 이렇게 시공간의 길흉에 관한 인식은 하루하루를 질적으로 다른 날로 구분지었고, 사회 전체에 택일의 풍습을 형성하였다. 둘째, 달력은 단지 날짜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적 장치가 아니었다.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달력은 天子인 중국 황제의 정치권력과 헤게모니의 상징이었다. 중국 내의 봉건적 질서로부터 동아시아 국제관계에까지 확대된 책봉⋅조공관계에서, 황제는 번속국 왕에 대한 역서 반사를 통해 제국의 시간질서를 구축하고자 했다. 조선은 왕조 내내 매년 중국에 조공하고 역서를 청해 받아오면서 중국의 正朔을 받들었으나, 실제로는 역법 자체를 익혀 자체적으로 역서를 제작했다. 觀象授時가 중국황제의 통치의 일부이자 그 정당성의 확인이었듯이, 조선에서도 마찬가지로 역서 반포는 왕만의 특권이었다.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질서는 19세기말 서구 열강의 침략과 함께 해체되었다. 그와 함께 중국 역법도 태양력인 서구의 그레고리우스력으로 대체되었지만, 문화적 전통과 관습은 정치질서보다 더 끈질겼다. 특히 한국에서의 태양력 수용은 법제의 개혁이 이루어진 뒤로도 무척 오랫동안 실제 생활의 변화가 뒤따르지 않는 모습을보였다. 조선은 1896년 태양력을 국가의 공식역법으로 채택했는데, 그것은 태양력의 정확성이나 편리함보다는 갑오개혁 이후 중국 연호 대신 자국의 ‘開國’ 기년을 도입한 것과 궤를 같이 하는, 淸으로부터의 자주독립을 표명한 정치적 조치였다. 그러나 태양력 채택 이후에도 종전의 時憲曆도 계속 간행했고, 1897년 수립된 대한제국은 光武 연호 제정과 함께 시헌력과 내용이 같은 明時曆을 공식 달력으로 선포하기에 이른다. 이런 일련의 과정은 조선이 한편으로는 ‘만국공법’의 국민국가 체제 속에서,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여전히 독립국을 ‘제국’ 형태로 상상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의 산물이며, ‘舊本新參’ 노선의 귀결이기도 하다. 국가행정에서 태양력이 한층 더 강화된 것은 일본이 대한제국의 내정을 장악한 1908년부터다. 이해부터 종래의 관상감을 대신해서 근대적 관측소의 일본인 技師들이 역서의 편찬을 담당했다. 1910년 조선총독부 설치와 함께 조선은 일본 천황 의 연호를 쓰고, 일본처럼 공식적으로는 태양력을 따르게 되었다. 양력은 관공서와 학교를 중심으로 차츰 확산되어갔으나, 사람들의 일상생활은 여전히 ‘음력’이라고 불린 전통의 태음태양력에 따랐다. ‘왜설’이라는 명칭처럼 양력은 식민지지배와 관련된 것으로 치부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양력과 ‘음력’은 각각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지배하면서 중첩되었고, 양력설과 음력설의 ‘二重過歲’가 사회문제로 부각되었다. 총독부도 한동안은 일본 본국에서와 달리 양력 사용을 적극 강제하지 않았고, 태양력과 태음태양력을 절충한 朝鮮民曆을 발행했다. 총독부가 적극적으로 태양력 보급과 역법의 일원화에 나선 것은 1930년대 후반부터다. 이때 이중과세 철폐 캠페인과 定期市의 장날을 양력으로 변경하는 등의 강제조치가 이루어졌고, 『朝鮮民曆』을 『略曆』으로 개편하면서 역주를 삭제하고 음력은 날짜 대조용도로만 남겼다. 이런 조치를 통해 태양력은 농촌사회에까지 침투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조선시대 국가와 민간 모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태음태양력에 따른 조상 제사였다. 근대화와 역법의 전환과 더불어, 서구 근대 산업사회의 특징인 週休제도와 국민국가의 국가적⋅사회적 기념일이 근대적 시간제도의 중요한 요소들로 등장하였다. 조선에서는 갑오개혁을 계기로 1895년 관청근무시간을 제정하면서 주휴제 도를 도입하고, 개국기원절, 대군주폐하탄신일 등을 기념일이자 공휴일로 규정하였다. 근대국가의 기념일은 기념의 대상을 집안별 조상에서 국가와 민족에 관련된 역사적 인물과 사건으로 대체해갔다. 의례의 양상과 성격도 소수의 관련자들만 참여하는 유교식⋅불교식 제사에서 대규모 군중동원과 스펙터클로 이루어지는 기념식이나 운동회 같은 행사로 바뀌었다. 자주적 근대국가 건설이 실패하고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천황 숭배를 중심으로 한 일본식 기념일이 전면 시행되었다. 법률로 정해진 기념일 외에도, 특히 1930년대 후반의 전시 총동원체제 아래서 는 민중의 동원이 극에 달하면서 휴일과 축제일이 ‘봉사의 날’ 또는 ‘국민봉축의 날’로 요구되었고, 온갖 종류의 기념일들이 새로 지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민간에 서는 전통의 세시와 태음태양력에 따른 조상제사가 여전히 성행했고, 식민지 당국의 집중 단속과 금지 속에도 일본제국주의에 대항하는 한국의 민족주의적 기념일과 사회주의적 기념일도 공공연히 또는 몰래 준행되었다. 당연히 이런 기념일 행사들은 식민지 당국의 집중 단속과 금지의 대상이었다. 제국은 제국대로, 피지배 민족이나 계급은 또 그들대로, 자기들의 기념일뿐 아니라 외국의, 세계적인 차원의 기념일을 함께 기억하고 축하하게 되었다는 것도 근대의 한 특징일 것이다. 근대적 달력시간이 사회 속으로 침투, 확산된 것은 달력의 유통을 통해서였다. 그러나 대한제국기는 물론 식민지기에도 한국에서 역서는 줄곧 국가가 독점 발행하였고, 사적인 제작은 불가능했다. 이런 현상은 같은 시기 일본, 중화민국 등에서 도 마찬가지였다. 근대국가의 지배가 영토 내에서 균질하게 작용한다는 점에서 한 나라가 동일한 역법을 따른다는 것은 당연하지만, 국가가 역서를 독점 발행하는 것은 왕조시대의 頒曆 형식을 따른 동아시아의 특징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일본 은 본국에서는 태양력을 엄격히 강요하면서도, 조선이나 타이완 등 식민지에서는 민간사회에서 태양력과 태음태양력을 竝用하는 것을 용인했을 뿐 아니라, 국가가 발행하는 공식 역서에도 태음태양력에 따른 역주를 포함시키기도 했다. 이것은 근대문명의 우월성을 식민지지배의 근거로 삼으면서도 정작 식민지에서 그런 근대를완벽히 구현할 수는 없었던, 식민지 통치성의 특징이자 한계라고 생각된다. 일본제국과 식민지 조선에서는 국가가 역서를 독점 발행했지만, 그 독점은 중국의 전통적 형식을 계승한 역서에만 한정되었다. 私的으로 역서를 제작하는 일은 출판법령으로 규제되었고, 따라서 출판된 책이 아닌 한 장 또는 여러 장짜리 벽걸이 달력이나 다이어리는, 정치적⋅도덕적인 몇 가지 금기만 건드리지 않으면 자유롭게 출판할 수 있었다. 동아시아 전통 달력의 月表, 節侯表, 일본의 引札曆과 서구식 벽걸이 캘린더 등이 혼합되어 한 장짜리 月曆 형식이 출현한 점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 월력은 공식 역서로 다 채우지 못한 달력-시간 정보에 대한 민간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한편, 기업과 상점, 심지어는 정부의 판촉물로, 또 가정에서는 실용품인 동시에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장식품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당시의 역서 가 국가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라면, 벽걸이 달력의 구성요소와 그 변화는 민간의 시간의식과 그 변화를 대변한다고 하겠다. 요약하자면 근대화과정에서 역법은 태음태양력에서 태양력으로 바뀌었고, 세시 와 조상제사 중심의 시간리듬과 기념일도 산업사회의 노동-여가의 시간리듬과 국가건설을 기념하는 기념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달력-체계의 전환과정은 느리고 점진적인 것이었고, 전통의 관습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곳곳에서 서구적 근대, 근대국가의 제도, 의식, 실천과 習合되면서 한국적 근대의 고유한 특징들을 낳았다. 근대사회의 동기화는 전체사회의 획일적 통합(integration)이 아니라, ‘공허하고 균질한 시간’ 속에서 각 부분들이 다층적이고 유기적인, 複數의 동기화를 이루는 방식이다. 각각의 동기화는 저마다의 시간주기와 리듬, 의미를 갖고 있다. 근대화 는 달력-시간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그 변화는 의미 있는 때(καιρος)를 공허 하고 동질적인 연대기적 시간(χρονος)으로 대체한 것이 아니라 하루하루의 의미를 다른 의미로 바꾼 것이다. 近代化过程伴随了时间与空间的重建。紧贴人们日常生活的具体的、质的时间已被可用钟表测量的量的时间所代替。爱米尔·涂尔干所说的那种意味着所有社会成员定期 聚集在一起的整体同时性也已转变成瓦尔特·本雅明所说的均质而空洞的时间。但与钟 表时间不同,日历时间至今依然由多层次的时间周期和时间点构成。此外,日历上还记载着源于社会历史文化和政治协议的各种纪念日和节日。本文将关于日历时间的意识、 实践、制度及作为其载体的日历命名为“日历体系”,并分析近代化过程中韩国的日历体系是如何转型的。 近代以前的东亚地区日历体系和现代相比差异巨大。首先,日历的基本形态不是现 今的挂历或台历,而是书本型的历书。历书绝大部分内容也不是日期或气象信息,而是预测每天“宜”、“不宜”的占星指南。其次,颁布历书是皇帝的特权,因此历书是中国皇 帝的权力象征。韩国(朝鲜)每年遣使到中国请历,由王廷掌握中国历法并自制历书于国内颁行。与中国相同,在韩国颁布历书也是国王的特权。 19世纪末,以中国为中心的东亚秩序随西方列强的侵略而瓦解,中国历法也随之被西方的格里高利历代替。但文化传统与习惯要比政治秩序坚固的多,韩国亦如此。阳历制度化以后,人们实际生活中依然长期使用阴历。1896年,朝鲜以阳历为法定历法,主要原因并不在于阳历的准确性或便利性,而是为了表明断绝与清朝的藩属关系,成为一个独立的国家。但改革的同时,朝鲜继续发行了之前的《时宪历》。1897年,新成立的 大韓帝國国再次宣布阴历-《明时历》为国家的正朔。日本在1908年控制大韓帝國的内 政,1910年又把朝鲜殖民地化,加强了国家行政方面的阳历使用,但直到殖民地时期人们在日常生活中仍然以阴历为标准。在日本统治前期,朝鲜总督府也没有刻意强迫民众使用阳历,甚至发行了兼有阴阳历的综合历书-《朝鲜民历》。从进入战时总动员体制的 20世纪30年代起,朝鲜总督府开始积极普及阳历并欲实现日历的一元化。这时期的“二重过岁”废止运动以及把集市的日期改为阳历的措施,使阳历渗入到了农村社会。 另外,在朝鲜时代,无论对国家还是百姓来说,祭祀祖先都是每年例行的重要活动。随着近代化和历法的转变,作为产业社会的一大特征——反映劳动-闲暇循环的周休 制度和近代国家的纪念日成了日历体系的重要要素。朝鲜以1895年甲午改革为契机,在制定政府工作时间的同时引进了周休制度,并把开国纪念日、大君主陛下诞辰日等规定 为纪念日兼公休日。近代国家纪念日的纪念对象从家族祖先逐渐演变为与国家建设、民 族建设有关的历史人物和事件。礼仪形式也从少数有关者参与的儒教、佛教祭祀转变成 动员大规模群众的大型纪念活动或运动会等。自主近代化失败以后,韩国沦为日本的殖民地,以天皇崇拜为中心的日本式纪念日开始全面实行,到20世纪30年代后期为战时总动员又增加了各种纪念日,但传统的年中活动和以阴历为准的祖先祭祀依然盛行于民 间。在殖民地政府的集中管制和查禁下,对抗日本帝国主义的民族纪念日和社会主义纪 念日也在暗中或公开举行。 通过日历的流通,近代日历时间渗透并扩散到社会。但不管是大韩帝国时期还是殖 民地时期,韩国的历书一直都由国家垄断,私历是被禁止的。这种情况同样出现在同时 期的日本和中国等国家。依据近代国家在本国领土的支配权,同一国家遵守同一历法是 理所当然的,但国家垄断历书发行却是东亚国家沿袭王朝时代颁历形式的一大特征。日 本虽然强烈要求本国人民使用阳历,却容忍朝鲜、台湾等殖民地的民众阴阳历并用,并 且国家发行的历书里还包括了以阴历为准的占星指南。这表明了日本雖然以近代文明的 优越性为殖民地支配根据,但在殖民地环境下却无法完整地实现近代。可以说这是殖民 地支配的一个局限性特征。 虽然在日本和朝鲜,国家垄断了历书的发行,但这仅限于中国传统形态的历书。只 要不违反政治或道德规范,单页或多页的挂历、台历等日历就可以随意出版发行。东亚 传统历书中的月份表和节气表、日本的彩色木版画和引札、西方的挂历等多种形式混合 在一起出现的一种新的日历形态很值得关注。这种日历包括了国家发行的历书不具备的 信息,满足了民间的日历时间需求。同时,企业、商店、甚至政府也把它当作促销赠品 和宣传品。在家庭中,这种易得的日历既是实用品又是装饰品,因此人气很高。如果说 当时的历书反映的是国家的意图,挂历、台历等日历反映的则是民间的时间意识及其变 化。 总的来说,历法在近代化过程中从阴历转变成阳历,以年中活动和祖先祭祀为中心的时间周期和纪念日也被产业社会的劳动-余暇的时间周期和纪年国家建设的纪念日所代替。但日历体系的转换过程是缓慢的、渐变的,传统的习惯并没有完全消失,并且在各方面与西方近代国家的制度、意识与实践相结合,形成了韩国近代固有的特征。近代 社会的同时性并不是全社会划一的统合,是在均质而空洞的时间里各部分形成的多层面 的、有机的、复数的同时性。每个同时性都具有各自的时间周期、节奏和意义。虽然近 代化给日历时间带来了巨大的转变,但其变化并不是将καιρος(有意义的时间)代替为χρονος(均质的时间),而是把每一天的意义转换成另一种意义。

      • 선호도를 활용한 시각적 지원이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미화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통합교육은 장애 유아를 비롯하여 모든 유아들이 함께 활동하고 발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은 유아들이 다양한 관계와 사회적 경험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특히 영유아 시기에 장애 유아들은 통합된 환경에서 다양한 중재를 받으며 참여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많은 연구들이 있다.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장애유아 뿐만 아니라 비장애 유아들에게도 중요하다. 하지만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통합 교사 및 일반교사들은 장애 유아들을 교수하는 것이 어렵고 힘든 교육으로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통합된 환경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지원을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는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성을 일정한 영역에서 보여지거나 몰두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교사는 이러한 제한되고 특별한 관심 영역을 가진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행동 특성을 이해하고 선호도를 활용하여 지원해야 한다. 통합된 환경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시각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활동의 참여를 높이고 문제행동을 줄이는데 효과적인 전략이다. 시각적 지원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시각적 정보 처리에 대한 강점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인으로는 유아의 선호도를 활용한 시각적 지원을 중재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장애통합 어린이집에 완전 통합반으로 구성된 환경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로 진단받은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은 2019년 2월부터 5월까지 총 16주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대상유아의 행동특성을 관찰하고 어머니와의 상담을 통해 특별히 관심을 보이는 영역과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선호도를 활용한 시각적 지원을 중재로 사용하였고 상황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각 상황인 대그룹활동, 자유선택활동, 전이활동에서의 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았고 관찰은 기초선-중재-일반화-유지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호도를 활용한 시각적 지원은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참여행동은 증가하였고 문제행동은 감소하였다. 둘째, 선호도를 활용한 시각적 지원을 통해 변화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참여행동과 문제행동은 중재가 종료된 후 다른 교사와의 활동에서도 일반화 되었다. 셋째, 선호도를 활용한 시각적 지원을 통해 변화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참여행동과 문제행동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호하는 대상을 활용하여 시각적 지원으로 중재한 것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특성을 파악하여 교구를 제작함으로써 교사의 시간적 노력을 비교적 적게 요구하면서도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선호도를 활용한 시각적 지원의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다양한 활동에서 참여행동과 문제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노인 구강건강 수준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김미화 영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이 연구는 노인의 구강건강수준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경상북도의 1개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노인을 대상의 치아 불소도포, 스케일링 서비스 제공 대상자 282명이다. 조사는 치과의사 1인과 치과위생사 1인이 치경과 탐침으로 인공조명과 자연광을 이용하여 구강검진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면접조사를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였다. OHIP 설문 문항은 5점 만점으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구강건강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20.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1.9점 이었으며, 교육수준에 따라 OHIP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충치개수가 적을수록, 잔존치아 수와 일일 칫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의치를 장착하지 않은 그룹에서 구강건강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하위영역 점수를 비교한 결과, 기능적 제한 점수는 학력이 높을수록 적었다. 신체적 동통 점수는 나이가 많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신체적 능력저하는 학력이 낮을수록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구강건강상태와 칫솔질 횟수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하위영역 점수를 비교한 결과, 기능적 제한과 신체적 동통, 정신적 불편, 정신적 능력저하, 사회적 능력저하, 사회적 불리 점수는 충치개수가 많을수록 삶의 질이 낮았고, 잔존치아가 많을수록, 의치장착을 하지 않은 그룹에서 삶의 질이 좋았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충치의 개수와 의치장착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의 수준과 노인들의 삶의 질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나이가 들더라도 잔존치아 수를 많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의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M.S. Thesis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Life Quality among the Elderly. Mi-Hwa Kim Department of Health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iversity (Supervised by Associate Professor Kyeong-Soo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oral health of the elderly and oral health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2 participants who received the fluoride application and the scaling service through program targeting elderly people carried out by a public health center locat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oral examination by using artificial lighting and natural lighting with mouth mirror and an explorer by one dentist and one dental hygienist. In addition, one on one personal interview was carried out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1. OHIP questionnaires were measured on a scale of one to five. Since it was measured in a reverse score, as the score higher, it implied that the quality got lower. For data analysis, SPSS ver 20.0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of subjects was 1.9 points out of 5 poi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OHIP score depending on educational level. The oral health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with fewer numbers of cavities, more numbers of residual teeth, more frequency of toothbrushing and without denture. The result of comparing subscale scores of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depending 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functional limitation scores were lower as educational level got higher. Patients felt more physical pain as they got older and their educational level got lower. They felt more physical ability decline as the educational level got lower. The result of comparing subscale scores of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depending on status of oral health and frequency of tooth brushing showed that quality in functional limitations, physical pain, psychological discomfort, physical disability, psychological disability, social disability and handicap scores were lower as the number of cavities got more.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showed that the number of cavities and installation of denture were significa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of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order to maintain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t is important to keep many number of residual teeth even if a person gets older and to support the installation of dentures if necessary.

      • 박완서 가족소설의 양상

        김미화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roup that a person comes first in contact after his birth is a family. So a family is important. Park Wan-seo, a novelist, demonstrates some features of various families in our society through her work. In this study, I study an aspects of the families in Park Wan-seo′s novel. We experienced the change of society caused by the war and the industrialization. The concept of the family, therefore,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past and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remarkably degrades in comparison with that in the past. Some families of today seem to be dissolved. In chapter 2, I research into the aspects of the family dissolu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asons why the families are dissolved: Firstly, a cause of the family dissolution is wars. The family dissolution occurs when some of family members die or are separated in wartime and it also takes place when some family members who are left after the war do not overcome the agony of losing their family members and do not live in unity. Secondly, one of the reasons causing it is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The industrialization in Korea generated materialism, egoism and snobbish characteristic. The problems of the industrialization took place in the families and dissolved them. Family members should love and understand one another. In industrialized society, family members, however, are referred to material tools by themselves. Some families of today in our society, therefore, have split up. Lastly, some families have been dissolved by the conflict of traditional values. Because our society has been dominated by patriarchal ideology for many years. In our society, it is considered that men predominate. Because of this, boy preference ideology, predominance of men ideology and masculine predominance are present in our society. However, women claim the equality of both sexes with social consciousness advancement, economic growth and education Which have been partly done by them. They also try to free themselves from patriarchal ideology. Consequently, some troubles have arisen among the family members. In the result, the families have been dissolved because the conflict between man and woman has not been solved. Like this, some families of our society have been dissolved. On the other hand, some other families have been recovered with their love. Some people have tried to form other family-like organizations so as to make up non-family connection communities. This phenomenon is well-reflected in Park's work. Park has emphasized that the love of a couple is extremely important for family harmony. When the love of a couple is broken, the family faces a crisis. On the contrary, a family lives in perfect harmony when the couple love and trust each other. Park tells that it can be possible that a family is able to be born by people who truly love one another in spite of non-family connection. For thi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love.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love among dissolved family members. For that reason, one another's love and trust are needed in order to restore the family or form a new family.

      • 고린도전서의 성만찬에 관한 연구 : 고린도전서 11:17-34을 중심으로

        김미화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1. 서론 교회 공동체에 있어서 성만찬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것은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여 '한 몸'을 이루는 연합과 일치이며,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교회의 정체성이요, 교회의 사명을 이루어 가는 것이기에 모든 교회는 예배에서 성만찬을 합당하게 시행하고 그것을 삶으로 나타내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한국교회는 성만찬을 제대로 시행하지 않고 있다. 그 원인은 복합적인 이유가 있겠으나 우선적으로 성만찬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오늘날 한국교회의 교단적인 분열과 영적지도자들의 문제, 교회의 세속화는 마치 고린도교회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교회가 바른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명을 온전하게 감당할 수 있는 대안은 존재하는가? 필자는 고린도전서에서 바울이 강조하고 있는 성만찬의 합당한 시행은 오늘날 교회 공동체의 구조적인 문제와 분열의 문제, 그리고 세속화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그 대안이 되는 것임을 고린도전서의 성만찬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제시하였다. 2. 본론 본론에서는 고린도교회 성만찬의 문제와 그 해결방안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고린도교회 성만찬의 문제를 알아가기 위해 먼저 고린도전서의 성만찬의 배경연구가 이루어 졌다. 첫번째로, 고린도교회 성만찬의 상황적인 이해를 위해 1세기 로마 식민지로 속해 있었던 고린도 시의 지리-사회-경제-문화적인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두번째로, 바울이 강조하고 있는 성만찬의 역사적 배경을 연구하였는데, 특별히 구약의 유월절과 성만찬의 비교연구들을 통해 성만찬은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진 새 언약으로써 유월절과 관련되어 있으며, 그 중심은 상호 섬김을 통한 연합과 일치를 이루어 내는 것임이 강조되었다. 세번째 배경연구는 1세기 그리스-로마에서 보편적으로 행해졌던 성만찬의 사회-문화적인 배경연구를 통해 고린도교회 성만찬의 문제들을 고찰해가는 연구를 하였다. 또한 고린도전서의 구조와 본문주해를 통해 고린도교회 성만찬의 문제와 그 해결책으로써, 바울이 강조하고 있는 성만찬의 신학적인 의미와 실천방안을 도출하였다. 여기서 연구되어진 자료들을 바탕으로 한국교회 성만찬의 문제를 고찰하고, 올바른 적용을 위한 제언을 서술하였다. 3. 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도출되어진 고린도교회의 성만찬의 문제는‘그리스도의 몸’을 분별하지 못한 신학적인 이해의 부족과, 사회적 계층화에 기인한 세속적인 가치관의 유입으로 인한 차별과 분열의 문제였다. 고린도교회의 리더로서 부유하고 힘 있는 사람들이 그 당시에 보편적으로 행해졌던 사회-문화적인 관습을 따름으로 가난한 자들을 성만찬 식사에서 배제하고 차별하였다. 이러한 문제에 직면하여 바울이 강조하고 있는 신학적이고 실천적인 해결방안은 '한 몸' 된 지체로서의 차별 없는 사랑이다. 본문에서 연구되어진 고린도교회의 문제는 오늘날 분열되고 세속화된 한국교회의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한국교회가 세상 속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며‘그리스도의 몸 된’교회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성만찬이 예배에서 회복되어야 하며, 삶속에서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랑을 반드시 실천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