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 셀프리더십과 개인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미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The Effects of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on Children’s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Intelligence Kim, Mi Jjin Major in Early Childre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Supervisied by Professor. Lee, Kyung Hwa In order to determine what effects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has on their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intelligence, this study subjected four-year-olds to a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ypothesis 1: The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will help improve children’s self-leadership (consisting in behavioral, compensatory, and thinking strategies). Hypothesis 2: The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will help improve children’s individual intelligence (both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twenty-eight four-year-old children from two classes at S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re were fourteen students in each class. Children in one clas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posed to the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while children in the other class (the control group) were exposed to a sociability program on a random basis. The experiment took place over four weeks, from April 20, 2009, through May 15, 2009, three times per week, for twelve times in total. The tools of measurement used include the Children’s Self-leadership Evaluation Tool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 Questionnaire for Children. The SPSS win 14.0 program and t-test were used as the pre-test and post-test, respectively, to ensu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Firs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the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e., improvement) from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exposed to the sociability program in terms of self-leadership (consisting in behavioral, compensatory, and thinking strategies). In other words, the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helped improve children’s self-leadership. Second, the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also helped to improve children’s individual intelligence (both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Because the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consists of contents designed to help children improve both their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it can help children to improve their individual intelligence. In conclusion, the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helps children improve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intellig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help increase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 preschool education to improve children’s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intelligence. 국문초록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 셀프리더십과 개인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전공 김미진 지 도 교 수 이경화 본 연구에서는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개인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가설 1.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셀프리더십(행동전략, 보상전략, 사고전략)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개인지능(개인내․대인간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S유치원의 만 4세반 두 학급의 유아 28명이다. 각 학급당 유아 수는 14명이며, 두 학급 중 한 학급은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실험집단에 다른 한 학급은 사회성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통제 집단에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09년 4월 20일부터 5월 15일까지 주 3회로 4주 동안 총 12회에 걸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유아 셀프리더십 평가도구󰡑와󰡐유아용 다중지능 검사(MIQ)󰡑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검사 자료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사회성프로그램을 적용한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셀프리더십(행동전략, 보상전략, 사고전략)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셀프리더십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개인지능(개인내․대인간 지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의 교수-학습활동이 개인내 지능과 대인간 지능을 향상시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유아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내용으로 개인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개인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개인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F. Liszt의 Piano Sonata in B Minor에 관한 연구

        김미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프란츠 리스트 (F. Liszt, 1811-1886)의 피아노 소나타 b단조에 관한 것으로 리스트의 작품세계와 음악적 특징 및 이 소나타의 형식과 주제변형기법에 대해 연구ㆍ분석한 것이다. 피아노 소나타 b단조는 형식면에서 보면 끊임없이 연결되는 단일악장 속에서 템포의 변화에 따라 제 Ⅰ부 Lento assai - Allegro energico, 제 Ⅱ부 Andante sostenuto, 제 Ⅲ부 Allegro energico의 3부분으로 구분되는 다악장적인 작품이다. 조성은 제 Ⅰ부의 b단조, D장조, 제 Ⅱ부의 b단조와 F#장조, 제 Ⅲ부의 b♭단조, B장조의 관계로 변화한다. 이는 원조인 b단조와 관계조 (Relative Key)와 나란한조 (Parallel Key)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 변하는 것으로 전통적인 고전 소나타의 조성 체계를 따르고 있다. 화성은 고전적인 것에서 벗어나 증ㆍ감 음정, 집시 음계 (Gypsy Scale)등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증 4도 (Tritone)를 선호하였다. 또한 5개의 주제적 소재들이 리듬의 축소와 확대, 선율의 연장, 단편 음형의 사용, 전위 등의 주제변형기법 (Thematic-Transformation)에 의해 곡 전반에 순환되어 나오면서 긴 곡에 통일성을 가져온다. 피아노 소나타 b단조는 현대적 화성, 피아노의 관현악적인 음향과 기교적인 발전 등 새로운 시도를 보여준 19세기 피아노 음악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review his Romantic elements: his new musical philo sophy, unique per formance techniques, musical structure and from and so on, as found in the Piano Sonata in B Minor. Then, the form, structure and tonality of Piano Sonata in B Minor were analyzed, particularly by reviewing how the fi ve thematic subjects appear through the piece. In terms of form and structure, Piano Sonata in B Minor shows multi-movem ents consisting of ‘fast - slow - fast’, but, the piece as a whole is a single mov ement. In terms of tonality, the themes 1 and 2 of the PartⅠ have B Minor - D Major, whole the Part Ⅱ has B Minor - F sharp Major and the themes 1and 2 of the Part Ⅲ have B Minor and B Major. As it is, the piece follows the traditional sonata tonal system featuring a rela tive key and parallel one. The five thematic subjects are circulates throughout the piece by a thematic transformation, while appearing in each vocal part to help unify the piece. The Piano Sonata in B Minor seems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a ne w way for sonata music, together with his invention symphonic poem. In its co mbination of cyclic form with thematic variation, the curious Lisztian rhetorical qualities, and enormous technical demands, it stands as an epoch-mahing work. In all, Piano Sonata in B Minor may well be Liszt's major works suggesting a new model for sonata music.

      • 원형강관 멀티기둥타워 부재 및 연결부의 강도 평가

        김미진 청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강재량을 줄이면서도 풍하중의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수평재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수직 원형강관으로 구성된 멀티기둥 풍력타워 시스템은 기존의 대형 단일 실린더형 타워 구조에 대한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멀티기둥타워 시스템을 이루는 강관의 부재가 좌굴 및 풍하중 등에 견디기 위해서는 부재의 강도확보는 필수적이며 멀티기둥타워를 하나의 타워로 거동하게 하기 위해서는 수직 주부인인 코드와 수평 보조강관인 브레이스의 연결부인 원형중공강관 조인트의 강도확보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기둥타워의 부재 및 조인트의 강도 평가를 위해 유한요소법에 근거한 범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한 탄성 해석 및 비선형해석을 수행하였다. ISO 19902, AISC, Eurocode 3의 3가지 설계기준을 근간으로 조인트의 강도 산정식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조인트의 축력 및 모멘트강도를 수치해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ISO 19902의 설계기준에서 유용도 개념을 도입하여 10MW급 멀티기둥 풍력타워 부재의 효율적 단면 배치를 제안하였다. 10MW급 풍력하중을 받는 3주 및 4주 멀티기둥타워 부재의 최적 단면 및 수평재의 단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최적단면에 따라 10MW급 풍력하중을 받는 부재의 강도를 재하하여 강관조인트의 강도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부재의 항복강도 비율에 따라 하중을 재하한 조인트의 강도평가를 수행하여 멀티기둥타워의 조인트를 이루는 수직 강관 부재와 수평 강관 부재의 강도 상관관계가 정량적으로 제시되었다. Due to the advantages of reduced weight and wind effect, the space-framed towers that consist of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of circular hollow tubular sections may be an alternative to large size cylindrical towers. It is essential to secure the strength of the members that constitute the multi-column tower system against buckling and wind loads. In order to make the multi-column tower system behave as a single tower, it is also important to secure the strength at CHS tubular joint t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rtical chord members and the horizontal brace members.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e members and joints of multi-column towers, elastic and inelastic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ABAQUS, a gener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 based on finite element method. Based on three design criteria of ISO 19902, AISC and Eurocode 3, applicability of strength calculation for the joints was examined and the axial and moment strengths were cmpared to the numerical results. By introducing the utility concept in the ISO 19902 design standard, efficient section layouts of members proposed for 10 MW level multi-column wind towers. Optimum cross-section and number of horizontal members were proposed for 3-column and 4-column towers subjected to 10 MW level wind loading. According to the proposed sections, the strength evaluation of the members and joints were conducted. The strength interaction between chord and brace was qualitatively presented from the analysis results in which loads were applied as fraction of yield strength.

      • 대장내시경 검진의도와 검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미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대장내시경의 검진의도와 검진수행 유무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련 요인으로 자기효능감과 체념적 신념이 검진의도에 미치는 영향, 검진의도가 검진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대장내시경 조기검진 수행률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궁극적으로 대장암 조기발견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2010년 9월부터 12월까지 건강검진을 위해 도시지역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194명으로, 대상자에게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장암 조기 검진을 위해 한번이라도 대장내시경 검진을 수행한 대상자는 194명 중 81명(41.8%)이었다. 2. 대상자의 대장내시경 검진수행 이유로는 ‘스스로 필요할 것 같아서’가 56명(28.9%)으로 가장 많았고, 대장내시경 비 검진 이유로는 ‘건강 해서’가 44명(38.9%)으로 가장 많았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장내시경 검진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연령(F=3.557, p=.015), 교육수준(F=3.157, p=.026), 직업(t=2.225, p=.027), 수입(F=2.663, p=0.34) 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장내시경 검진수행 유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없었다. 4. 자기효능감과 대장내시경 검진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r=.640, p=.000)를, 체념적 신념과 대장내시경 검진의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37, p=.000). 5. 대장내시경 검진을 수행한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자기효능감은 높았고(t=3.825, p=.000), 체념적 신념은 낮았으며(t=-2.523, p=.012), 검진의도는 높게 나타났다(t=3.914,p=.000). 6. 대장내시경 검진의도의 예측변수로는 자기효능감이 40.7%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나타냈고, 수입이 추가되어 전체변량의 43.1%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대장내시경 검진의도는 검진수행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수로 확인이 되었고(CI= 0.752~0.919, p=.000), 검진의도가 1점 증가할 때마다 대장내시경 검진을 수행할 확률은 안 할 확률보다 83.2%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odds ratio=0.832).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과 체념적 신념은 대장내시경 검진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검진의도는 검진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행동을 결정하는 가장 직접적인 요인은 행동에 대한 의도임을 강조하며 행동에 대한 인지변수들은 이러한 행동 의도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한 통합행동모델의 가정을 지지하였다. 결론적으로 대장내시경 검진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념적 신념을 낮추고 특히 자기효능감을 높여 검진의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하겠다. 주요어: 자기효능, 체념적 신념, 검진의도, 검진행위

      • 호남산조춤 무보와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미진 원광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다음 두 가지 목적을 갖는다. 첫째 산조와 호남산조춤의 기원과 발전, 특성을 이론적 배경과 전승자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추월'-'최선'-'이길주'로 이어지는 호남산조춤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정리하여 호남산조춤의 계보를 정립한다. 둘째 호남산조춤의 무보를 독자적으로 문헌화하여 미적 특성을 규명하고 그 가치를 밝힌다. 이를 위해 호남산조춤의 음악 및 의상, 춤길, 춤사위의 특성을 정리한다. 연구방법은 산조와 산조춤, 호남산조춤에 관한 문헌연구와 호남산조춤 전승자의 구술기록을 중심으로 한다. 무보채록은 호남산조춤 전승자인 '이길주'의 춤을 '김미진'을 모델로 사진 촬영했다. 무보의 세부적인 구성은 춤사위 동작사진, 음악, 춤사위 설명, 무대동선, 얼굴방향 등이다. 또한 호남산조춤의 미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음악, 의상, 춤길, 춤사위를 한국적 미의식 관점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호남산조춤 특유의 미의식과 미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일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호남산조춤은 '추월'-'최선'-'이길주'로 이어졌다. 계보가 이어질수록 호남산조춤은 형식과 내용면에서 구체화되고 발전하고 있다. 호남산조춤은 '추월'로부터 기본 춤사위와 정신이 시작된다. 이후 '최선'은 호남산조춤의 기초를 완성했고 그는 '정인방'에게서 다양한 춤사위와 창의성을 이어받았다. 그의 후계자인 이길주는 이것을 정형화하고 무대화하였다. 둘째 호남산조춤의 무보를 최초로 문헌화하였다. 본 연구 이전에 호남산조춤의 무보는 문헌화 되지 못했다. 독자적인 틀로 호남산조춤을 문헌화한 본 연구는 이후 호남산조춤 연구와 발전에 시금석이 될 것이다. 셋째 작성된 호남산조춤의 무보를 바탕으로 나타난 세부적인 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분류로 음악, 의상, 무대, 춤사위로 나누었으며 중분류로 춤사위, 춤길의 특색을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호남산조춤은 한국 전통춤의 핵심사상에 바탕하고 있음을 밝혔다. 호남산조춤은 천지인 합일사상과 음양오행사상을 바탕으로 정중동의 미, 내면의 미, 선의 미, 수족상응의 미, 조화의 미 등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한국전통춤의 미의식을 계승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다섯째, 호남산조춤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자연스러운 선이 살아있는 춤, 한 호흡의 어긋남이 흥과 멋으로 넘쳐나는 춤, 순간과 찰나가 영원으로 공존하는 춤, 농익은 여인의 춤, 음의 개성을 살려 조화를 이루는 춤이 미적 특성임을 밝혀냈다. 여섯째 호남산조춤은 특유의 형성과정과 발전의 역사를 보유하고 있다. 음악, 의상, 무대, 춤사위는 다른 산조춤과 확연히 구별되는 것이다. 이것을 통해 호남산조춤은 특유의 미의식과 미적 특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호남산조춤의 미적, 예술적 가치가 한국 산조춤의 한 유파를 형성하는 데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다. This study has two objectives as follows. First, it examines the origin,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sanjo and Honam Sanjo Dance, focusing on theoretical backgrounds and successors. Through this, we clarif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Honam Sanjo Dance transmitted through Chuwol ?] Choi Seon ?] Lee Gil?]joo, and establish the lineage of Honam Sanjo Dance. Second, this study documents the dancing score of Honam Sanjo Dance in our own way, and through this, identif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the dance. For this, w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ostume, dance line, and dance movement in Honam Sanjo Dance. As to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mainly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on sanjo, sanjo dances, and Honam Sanjo Dance, and Honam Sanjo Dance successors?f oral records. The dancing score was collected by photographing Honam Sanjo Dance successor Lee Gil?]joo?fs dance reproduced by Kim Mi?]jin. The detailed components of the dancing score are photographs of dance motions, music, explanations about dance movements, stage flow line, face direction, etc. Moreover, in order to identif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onam Sanjo Dance, we analyzed music, costume, dance line, and dance movement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aesthetic sense. These research methods covered basic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unique aesthetic sens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onam Sanjo Dance. This study derived results as follows. First, Honam Sanjo Dance was handed down through the line of Chuwol ?] Choi Seon ?] Lee Gil?]joo. Through the lineage, the dance was refined and materialized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The basic dance movement and spirit of Honam Sanjo Dance originated from Chuwol. Then, Choi Seon completed the basic of Honam Sanjo Dance, and he inherited various dance movements and creativity from Jeong In?]bang. His successor Lee Gil?]joo patterned and staged the dance. Second, this study documented the dancing score of Honam Sanjo Dance for the first time. Until this study, the dancing score of Honam Sanjo Dance had not been documented. In this sense, this study that documented Honam Sanjo Dance using our own frame is expected to provide a touchstone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onam Sanjo Dance in the future. Third, based on the documented dancing score of Honam Sanjo Dance, we analyzed the detaile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largely in the aspects of music, costume, stage, and dance movement, and again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movement and dance line were examined more closely. Fourth, this study proved that Honam Sanjo Dance is based on the core idea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Honam sanjo dances are based on the harmony of heaven, earth and man, and the theor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and express the beauty of movement within stillness, the beauty of inner spirit, the beauty of line, and beauty of hand?]foot coordination, the beauty of harmony, etc. This suggests that Honam Sanjo Dance inherits the aesthetic sense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Fifth, in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the aesthetic sense of Honam Sanjo Dance, we fou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such as dynamic natural lines, overflowing amusement and elegance coming from offbeat breath, coexistence of moment and eternity, voluptuousness, and harmony with characteristic sounds. Sixth, Honam Sanjo Dance has unique history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I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sanjo dances in music, costume, stage, and dance movement. This shows the distinct aesthetic sens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onam Sanjo Dance, and evidences that the aesthetic and artistic value of Honam Sanjo Dance is high enough to create a school of Korean sanjo dance.

      •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미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aracter strengths- base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geared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by reviewing related theories, by conducting a pilot survey and by gathering opinions from experts and to examine its effect by utiliz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on the assumption that taking advantage of one's own strengths would make it possible to lead a happy life in daily life and at work. It's ultimately meant to enhance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chool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pecifics of the study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1. Develop a character strengths-base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geared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2. Examine what effects it produces. The following efforts were made to serve the purpose: First, 200 selected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rveyed using a character strength inventory and DRM(day reconstruction method)-based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ir character strengths and happy experience to determine which elements out of 24 character strengths suggested by Peterson and Seligman(2004) should be selected as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testing their character strengths, the most common character strength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ported they had was love, followed by gratitude, optimism, kindness,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and forgiveness. The least common character strength that they had was love of learning, followed by spirituality, leadership, creativity and bravery. The character strength that was most closely linked to their happiness was gratitude, followed by kindness, love, optimism and forgiveness, and the character strength that was least linked to it was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followed by spirituality, creativity, love of learning and authenticity. Seco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arried out after experts in positive psychology,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xperienced early childhood educators were selected in order to decide on the right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first draft. The first focus group interview aimed at deciding on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 strengths-base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necessity, content, method, time and period of the program. As for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the focus group pointed ou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lienated and that they were under heavy stress, and they told that this kind of program would make it possi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well aware of their own positive traits, namely strengths, to find out how to make themselves happy. The focus group also expected that this program would help them to look back on their own happy experienc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character strengths and happy experience and ultimately to lead a happy life and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In terms of program content, they agreed that the character strength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ir happiness, and that the character strength which affected their happiness the most should be developed. Besides, they suggested several character strengths such as love, forgiveness, kindness, gratitude and spirituality as what should make up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the focus group on the way of conducting the program, a variety of methods should be utilized to proceed with the program, but teachers should be allowed to make a choice of the method at their own discretion. A well-grounded model(order) of the program should be prepared, and some of the experts argu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program should be arranged in a flexible manner in consideration of the given circumstances. As a result of asking how to ensure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and what should especially be noted, they suggested that the program should be run in a flexible manner in order to provide motiv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build rapport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s, and the number and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hey advised that the program should be led by teachers themselves. A second focus group interview was implemented primarily to test the appropriateness of the first draft suggested by this researcher. The data of the seco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objects, content, method, time and period of the activities, and the first draft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opinions of the experts. As to activity objects, they argued that the activity objects should be described clearly by mentioning the five components(PERMA) of flourish, by focusing o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uld be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and in consideration of each activity's content and tasks. In terms of content and method, they gave the following opinions: modifying the terms and sentences of the activity plans, re-describing part of the plans, ensuring the diversity of methods, preparing intriguing activities, considering the factor of fun and allowing participants to choose whom they would teach and how to conduct the activities. As for the time and period of the program, some advised that the activity time should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each character strength on happiness and in response to the needs of teachers, and that the order of each activity should be corrected based on the two as well. Third, the draft of a character strengths-base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rawn up based on the results of earlier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of a survey on the awarenes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Kim Mi-jin, et. al., 2014), of the survey on the character strengths and happy experi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The appropriateness of the draft was tested by the experts in terms of object, objectives, composition of the subfactors, the order and time of sessions, content and method, and then the draft was modified. After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lected, the program was provided for them to finalize the draft. The finalized program consisted of three stages: introduction, acting out and terminating. The first stage of introduction for the first four sessions was composed of rapport(trust) building among participants, exploring the meaning of happiness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diagnosing the level of happiness, and realizing and utilizing a key individual strength. The second stage of acting out for the 5th to 12th sessions makes use of the five character strengths, which are optimism, gratitude, forgiveness, kindness and lov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were come up with by this study. The third terminating stage for the 13th session consisted of strengthening one's will to act and mapping out action plans. A task is given in each session, and participants check their performance of the task given in the last session and give feedback to one another. The program is composed of 13 sessions, and each session runs approximately 120 minutes. In terms of content, how to realize one's key strength and take advantage of it in daily life and field is explored and then is put into practice. The five happiness strengths(optimism, gratitude, forgiveness, kindness and love) that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pilot study are utilized in order when the activities of the program are carried out. Fourth,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tested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Dominant-less dominant mixed method designs were put to use in this study, which was one of mixed methods that make us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Tashakkori & Teddlie, 1998/2001).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for 13 weeks before and after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onducted respectively. A pretest, a posttest, an intermediate test and a retention test were respectively carried out before, during, immediately after and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The control group took all the tests withou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repeated-measure ANOVA was utilized to see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the main effects of the testing time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esting time and the conditions of the experiment were all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the variables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underwent few changes. To see whether the program remained steadily effective after the program, paired-samples t-test between the pretest and retention test and between the posttest and the retention tes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every variable of the retention test in comparison with their pretest results, and that group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or decrease in the retention test that was carried out four weeks after the posttest. It implied that the program remained steadily effective even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첫째, 본 연구에서는 Peterson과 Seligman(2004/2009)이 제시한 24가지 성격 강점 중 본 프로그램의 내용이 될 성격 강점을 추출하기 위하여 유아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성격 강점 검사와 일상재구성법 질문지를 사용하여 유아교사의 성격 강점 및 행복 경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성격 강점 검사 결과, 유아교사가 가장 빈번하게 보고하는 성격 강점은 사랑, 감사, 낙관성, 친절성, 심미안, 용서의 순이었으며, 가장 드물게 보고하는 성격 강점은 학구열, 영성, 리더십, 창의성, 용감성의 순이었다. 유아교사의 행복과 밀접한 상관이 있는 성격 강점은 감사, 친절, 사랑, 낙관성, 용서의 순이었고, 상관이 낮은 성격 강점은 심미안, 영성, 창의성, 학구열, 진실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전문가, 유아교육전문가, 유아교육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발 방향 및 1차 시안에 대한 적절성을 알아보았다. 1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주제로 이루어졌으며, 분석 결과 프로그램의 필요성, 내용, 방법, 실시시기 및 기간 등의 하위내용으로 분류‧정리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현재의 교사 소외 현상 및 유아교사의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지적하면서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로 하여금 자신의 긍정적 특성, 즉 강점에 대해 가시화시켜 줌으로써 행복에 접근할 여러 가지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행복 경험을 반추해 보게 함으로써 성격 강점과 행복 경험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행복한 삶의 실천과 긍정적인 교사 역할 수행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을 위해 성격 강점이 계발될 필요성이 있고, 유아교사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성격 강점을 계발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였으며, 낙관성, 사랑, 용서, 친절성, 감사, 영성 등의 성격 강점을 제안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교사들에게 방법적 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하며,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모형(실시순서)을 마련하고, 상황적 요인을 고려한 융통성 있는 활동 순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효과적인 운영 방안 및 현장 적용 시 고려할 사항으로는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동기 유발, 연구자와 교사들 간의 라포 형성, 참여 집단의 규모, 특성 등을 고려한 융통성 있는 프로그램 운영, 교사 주도의 프로그램 운영 등에 대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2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연구자가 제안한 프로그램 1차 시안에 대한 적절성 검토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2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 결과 활동 목표, 내용, 활동방법, 운영시기 및 기간 등의 내용으로 분류‧정리되었으며, 이러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 1차 시안을 수정‧보완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활동목표에 대해서는 당 회기 활동과 실천과제의 내용을 모두 고려하여 플로리시를 구성하는 5가지 요소(PERMA)가 드러나면서 프로그램의 참가자인 유아교사에 초점을 맞추어 목표가 진술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에 대해서는 활동 계획서에 사용된 용어 및 문장 수정, 일부 내용 재진술, 활동방법의 다양성 확보 및 활동 내용의 흥미, 재미에 대한 요소 고려, 참가자에게 대상, 활동방법 등의 선택권 부여 등에 대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실시 시기 및 기간에 대해서는 각 성격 강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와 교사의 요구도를 고려하여 활동 시간을 결정하고 활동 내의 진행 순서를 수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결과(김미진 외, 2014), 유아교사의 성격 강점 및 행복 경험에 대한 조사 결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에 기초하여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시안은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하위영역 구성, 회기 순서 및 실시 시간,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의 적절성 등에 대한 전문가 적절성 검토 과정을 거친 뒤 수정‧보완되었다. 다음으로 유아교사 5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예비 적용하여 진행상의 문제점을 수정‧보완한 후 프로그램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도입, 실행, 종결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입단계인 1단계(1~4회기)는 프로그램 참가자들 간의 라포 형성(신뢰감 형성), 유아교사로서의 행복 의미 탐색, 행복 수준 진단, 대표 강점 인식 및 활용, 실행단계인 2단계(5~12회기)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인 낙관성, 감사, 용서, 친절, 사랑을 활용한 활동, 종결단계인 3단계(13회기)는 실천 의지 다지기와 실천 계획 세우기로 구성되어 있다. 각 회기에는 실천과제가 있으며, 각 회기 전반부에 지난 회기 과제를 확인하고 서로 간의 피드백을 주는 시간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총 13회기로 프로그램 실시 시간은 회기당 약 120분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자신의 대표 강점을 알고 일상생활과 직무에서 자신의 대표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하는 것과 예비연구를 통해 추출된 5개 행복 강점(낙관성, 감사, 용서, 친절성, 사랑)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활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넷째,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모두 활용하는 혼합방법(mixed method) 연구 중 주부 패러다임 혼합설계(dominant-less dominant mixed method designs) 방법을 사용하였다(Tashakkori & Teddlie, 1998/2001). 실험집단에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13주간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시작 전, 중간, 종료 직후, 종료 4주 뒤에 각각 사전, 중간, 사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고 실험집단과 마찬가지로 사전, 중간, 사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사용하여 개별 종속측정치별로 실험집단과 비처치 통제집단 간 사전, 중간, 사후에 측정한 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종속측정치들에 대해서 측정시점의 주효과 및 측정시점과 처치조건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즉,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적용에 따라 모든 종속측정치에서 사전측정치와 사후측정치 사이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고, 통제집단은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가 프로그램 종결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추후, 사후-추후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종속측정치 모두에서 추후측정치가 사전측정치에 비해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 사후측정 이후 4주 후에 실시한 추후측정에서 처치효과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지도 않았지만, 유의미하게 감소하지도 않았다. 이는 프로그램의 처치효과가 프로그램 종결 4주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설화를 통한 한국어 교육 연구

        김미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Increased education theories and teaching - studying methods are being presented recently, with the sudden rise of demand for Korean language. However, most research has focused on the Korean functional education. In other word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is focused on four areas for research and education is too focused on your area is. Some books also dealing with culture and education and culture classes, and the degree to which present knowledge is fragmentar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are the inseparable to each other.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nd culture in the formation, maintenance, and culture through the language, because most can reveal. In other words, this close relationship to the language and culture to education separately by separating the Korean education can not be right. Culture in language teaching to do this, and naturally learned to communicate, to reflect the legitimate educational need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and seek a method to reach functional and cultural education together. Texts found as part of the method were tales from classical literature. The reason why classical literature was selected is because classical literature contains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such cultural elements still affect us today. Thus, culture in classical literature piec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ommunication functions. Educating on culture through tales in particular out of classical literature pieces, would allow appropriately harmonious education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knowledge. This is because tales abundantly contain cultural areas such as our traditional values, lifestyle and traditions. In addition, culture in tales are not presented in a one-dimensional way, but are naturally presented amidst a story. If such cultural factors melted in a story are used to teach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foreign students will not just gain knowledge on Korean culture but properly understand the culture through a natural situation. Therefore, using tales of the Korean culture and education will be efficient education. Making an appropriate selection of tales to be used as useful texts for culture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The general and unique aspects of culture need to be used appropriately when educating culture. Therefore, it is best to choose tales that are known around the world. The main frame of famous tales known around the world are generally similar. But according 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has a slightly different nature.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untry to learn about cultural differences can be an appropriate text. In this thesis of th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and choose a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tales discuss specific elements of the educational culture. In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unique points about Korean culture such a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idea of perennial youth and longevity, gratitude of animals, the heart of woodcutters, how to go to heaven, motherly love and filial piety by coming back to earth. If such culture educational factors are used together with functional education to teach culture to foreign students, foreign students learning Korean will receive more significant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presented teaching - study methods that combine cultural and functional education, together with other culture educational factors. However, there is a need for more diverse studies on teaching - study methods that combine cultural and function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