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haracterization of an Inhibitor of Virus Replication from Tobacco

        김미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식물 바이러스 복제 저해 단백질로 알려진 inhibitor of virus replication (IVR)의 특성을 밝혀내기 위해 IVR 유사 단백질 (IVR-like protein) 내에서의 CMV, TMV, PVX, PVY 접종엽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IVR silenced 형질전환 식물체(siIVR)과 IVR 과발현 형질전환 식물체(ovxIVR)에 CMV, TMV, PVX, PVY, PepMoV-GFP를 접종하여 바이러스 복제량을 분석하였다. 총 3종류의 siIVR 형질전환체들은 두 종류의potyvirus(PVY, PepMoV-GFP)와 PVX에 대조구인 비형질전환식물체보다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나 IVR이 potyvirus와 PVY을 저해하는 역할을 하였다. TMV와 CMV는 병의 진행속도가 저해되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그 농도가 줄어들었다. 또한 ERF5와 IVR의 결합부위를 밝혀내기 위해 yeast-two-hybrid 분석을 수행한 결과 ERF5 단백질 amino acid 255에서부터 555의 부위가 IVR와의 결합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to characterize an inhibitor of virus replication (IVR), IVR-like protein was examined for its activity on CMV, TMV, PVX and PVY in the same plant species, tobacco. IVR-expressing transgenic plants were infected with CMV, TMV, PVX or PVY. Transgenic plants silenced for induction of IVR (siIVR) were assessed for effects on virus infection. Plant lines siIVR 2-28, 6, 6-1-3 were all susceptible to two potyviruses (PVY and PepMoV-GFP) and PVX, IVR inhibits potyviruses and transgenic plants overexpressing IVR (ovxIVR) were surely protected against PVY and PVX. Applied IVR inhibits potyviruses. Accumulation of TMV and CMV were reduced in ovxIVR tobaccos. To identify the interaction sites of IVR and ERF5, the two proteins, IVR and ERF5 were tested using the yeast-two-hybrid assay. The ERF5 protein from amino acid 255 to 555 has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the IVR protein.

      • 간호사의 유머감각과 업무스트레스와의 관계

        김미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간호사의 유머감각과 업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C도 J시에 위치한 종합병원에서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64명이었다. 자료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8년 9월 30일부터 10월 10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총 26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유머감각 정도는 Svebak(1996)이 개발한 SHQ-6와 업무스트레스 정도는 구미옥, 김매자(1984)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가 지각하는 유머감각 점수는 평균 3.29점이었으며, 하위요인별 점수는 유머에 대한 선호도, 메타메시지 유머 감수성, 정서의 표현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혼인 경우가 기혼인 경우보다 유머감각 정도가 높게 지각되었다(p<.05). 2)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4.20점으로 업무 중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스트레스 요인은 밤 근무, 업무량 과중, 의사와의 대인관계상 갈등, 업무외의 책임, 의사와의 업무상 갈등 순이었다. 결혼상태, 근무경력, 근무부서에 따라서 업무스트레스 정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3) 유머감각 상위집단이 유머감각 하위집단보다 업무스트레스를 적게 받았다. 요인별로는 유머감각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업무량 과중, 전문직으로서의 역할 갈등,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 대인관계상의 문제, 의사와의 대인관계상 갈등, 부적절한 대우, 상사와의 불만스런 관계, 부적절한 보상, 부하직원과의 불만스런 관계, 업무외의 책임, 익숙치 않은 상황 등에서 업무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4) 간호사의 유머감각은 업무스트레스에 대해 9.8%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비교적 높은 편이며 유머감각을 통해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대처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관리 시 이들 요인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사가 효과적인 유머감각을 구사할 수 있도록 유머사용의 능력 개발을 위한 방안이나 전략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plored relationships between sense of humor and job stress of nurses. Study participants were 264 nurses who understood and agreed to take part in the survey,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in J city, C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0, 2008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Sense of humor of nurses was measured with SHQ-6 developed by Svebak(1996) and job stress from work was assessed with the tool developed by Gu and Kim(198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sense of humor of the nurses was 3.29. The subscale scores were,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3.71(liking of humor), 3.11 (metamessage sensitivity), and 3.06(expressiveness of emotions). Singles had higher sense of humor than married nurses(p<.05). 2) The mean score of job stress was 4.20,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the literature. The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were night shift, overwork,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with doctors, work which was not related with their job, and conflict with doctors in work. The level of job stress was related with nurses' marital status, job experience, and place of work(p<.05). 3) Nurses with more sense of humor had less job stress from overwork, nonprofessionalism, insufficiency in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troubles in relationships,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with doctors, inappropriate treatment, unsatisfied relationship with their boss, inadequate compensation, unsatisfied relationship with their staff, work which was not related with their job, and situations which they were not familiar with(p<.05). 4) The result shows that the sense of humor of nurses has 9.8% explanatory power on their job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nurses had respectively high stress from their job which could be relieved by sense of humor. Therefore it is recommendable to utilize sense of humor in interventions to reduce job stress of nurses. To do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increase sense of humor efficiently.

      • 마을교육공동체의 활동체제 분석: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김미라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교육개혁의 흐름에 따라 나타난 마을교육공동체를 Engeström의 역사·문화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활동이론은 인간의 활동을 둘러싼 집단의 모순을 살펴보고 더 나은 활동체제를 모색하는 것을 중요 목표로 하고 있어서 기업, 학교 등의 조직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발전적인 컨설팅에도 유용한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G광역시 A구의 마을교육공동체의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와 공동체이다. 연구결과 A구 마을교육공동체는 구성 요소 각각 그리고 상호간에, 또는 외부의 다른 활동체제와의 관계에서 많은 모순을 지니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갈등과 모순의 양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주체간의 목표 갈등으로 참여자가 공동체의 일부에 국한되었다.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적극 참여하는 활동가, 학생, 학부모, 교사들이 아직은 소수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마을교육과정 운영이 모든 주체의 참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관심 있는 몇몇의 개인이나 시민단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학교와 마을 간에 교육운영방식에 대한 갈등이 나타났다. 마을활동가들은 마을이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학교 관계자들은 학교가 계획을 세우고, 마을은 보조적인 지원을 하는 방식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셋째, 마을교육공동체의 관리시스템 미비와 불안정한 예산 상황으로 참여 주체들은 사업의 지속성에 대한 확신이 없음이 관찰되었다. 넷째, 마을별, 학교별, 인적·물적 자원의 활용의 능력 차이로 인해 공동체별 사업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났다. 다섯째, 마을에 관한, 마을을 위한 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적음이 관찰되었다. 주로 문화예술체육 프로그램과 자연생태 체험 프로그램과 청소년 자치프로그램, 진로 프로그램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 공동체성 함양과 마을만의 특색 있는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적게 진행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여섯째, 공동체별(마을, 학교, 교육청, 지자체 등) 소통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마을의 입장에서는 학교와의 관계 설정에 어려움을 갖고 있고, 학교가 폐쇄적이라는 불만이 존재하고, 학교에서는 마을의 영역, 마을의 풍토에 들어가는 것이 매우 조심스럽다고 지적한다.

      • 영․유아기 자녀를 보육 기관에 보내는 어머니의 애착 경험 이야기

        김미라 배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자녀 관계의 질에 영향을 주는 부모의 아동기 경험 및 현재 마음 상태의 내용을 살펴 보고자 한다. ‘성인 애착 면접(Adult Attachment Interview, AAI)’이라는 성인 애착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내적 실행 모델에서의 개인차를 알아보고, 부모의 아동기 애착에 대한 경험이 현재의 양육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바람직한 양육과 부모자신의 어린 시절 애착 경험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연구의 대상은 영․유아기 자녀를 보육 기관에 보내는 어머니 20명이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기 자녀를 보육 기관에 보내는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은 어떠한가? 2. 영․유아기 자녀를 보육 기관에 보내는 어머니의 현재 마음 상태는 어떠한가? 3. 영․유아기 자녀를 보육 기관에 보내는 어머니의 일관성은 어떠한가? 연구 결과 영․유아기 자녀를 보육 기관에 보내는 어머니가 어린 시절 부모와 긍정적인 경험을 한 어머니들은 자신을 사랑 받을 가치가 있는 대상으로 여기고 자녀에게도 관심을 가진다고 보고하였으며, 부정적 경험을 한 어머니들은 자녀에 대한 태도에 개입 되어 자녀에게 심리적 공격을 더하게 된다고 하였다. 어린 시절 부모와의 경험은 성인이 된 후에 어머니 자신의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 기형도 시의 기독교적 상상력 연구

        김미라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형도 시의 기독교적 상상력 연구 이 연구는 기형도의 시에서 상상력의 표출방식으로 나타난 이미지의 미적구조를 기독교적 관점에서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형도의 작품과 삶에서는 ‘기독교적 사상’을 도출할 수 있는 요소들이 일관되게 발견된다. 이는 시인의 시적 사유와 창 작의 근원을 종교적 관점에서 찾을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동안 기형도 시의 죽음에 관한 대다수의 연구들은 정치적 · 사회적으로 어둡고 불안한 시대를 살다 간 80년대 젊은 시인의 요절로부터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기 어려웠다. 본고는 기형도 시의 특징인 죽음의식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의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기형도가 「포도밭 묘지」 연작시와 그 외 시편들에서 보여주는 참회와 성찰의 과정은 키에르케고르의 종교적 실존과 연관성을 지닌다. 기형도에게 고독은 허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신앙에 바탕을 둔 구원을 지향한다. 그것은 키에르케고르가 인간을 고독한 존재로 인식하고, 고독을 극복하기 위해 절대자를 붙잡으려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한편,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비약적 사고의 이미지들은 ‘환상’을 토대로 작동하고 있다. 환상과 주관적 이미지들은 시에서 상상력을 발휘하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바슐라르에게 있어서 인간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 거기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일상생활의 모든 상징적 흔적들은 정신적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 바슐라르에게 이미지는 인간의 정신활동인 상상력의 결과물인 것이다. 세계와 대상에 대한 표면적 측면의 인식이 아닌 정신적 측면의 인식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키에르케고르와 바슐라르의 관점은 시인의 내적 사유를 발견하는 데에 유용한 분석틀을 제공한다. 본고는 기형도 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상상력을 각 주제별로 세 단계로 나누어 논의해 보았다. 첫째는 실존의 성찰과 참회를 주제로 ‘포도밭 묘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시인은 자아의 성찰을 통하여 내면의 불모상황을 확인하고, 내적변화를 위해 주변에 대한 환상전정(幻想剪定)을 시도하는 양상을 보인다. 둘째는 죽음의 초월과 구원에의 염원을 주제로 살펴보았다. 실존의 유한성을 인식한 시인의 죽음의식은 ‘늙음’이라는 형태로 사물화 되어가고, 차갑고 딱딱한 형태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영원한 삶을 추구하는 죽음의 각오에 지나지 않으며, 그 이면에는 구원에 대한 욕망이 비밀스럽게 숨겨져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어둠과 고통의 시간을 통과한 시인은 체념을 통하여 상승과 구원의 의지를 드러낸다. 셋째는 신성과 세속의 합일을 주제로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문학과 회화에서 각기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은 기형도와 루오의 작품들을 함께 논의했다. 여기에서는 근대의 망각된 ‘신의 존재’와 ‘신이 없는 인간의 비극’적인 현실 속에서 신성을 긍정하고 삶의 궁극적 근원을 질문한다. 죽음과 삶, 신성과 세속, 현재와 영원, 이상과 현실성의 대립적인 역설관계를 드러낸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창조 공간의 침묵을 묵시적으로 조명하고 있으며, 모든 존재는 어둠과 빛 안에서 함께 어우러져 세계의 모든 사물들과 합일을 이룬다. 기형도는 작품 속에서 신앙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라는 믿음을 노골적으로 표현하지 않는다. 그에게 교의는 그 모습이 교의로서가 아니라 순수한 환상으로 나타난다. 기형도의 시에 나타나는 죽음에 대한 불안과 구원에의 욕망은 시대를 초월한 보편적인 감성으로써 그의 시가 함유하고 있는 의미는 중층적이다. 기형도의 시는 현실의 모순과 고통을 체감하는 과정에서부터 구원에 대한 열망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적 상상력을 시적 이미지로 형상화함으로써 종교와의 연속성을 이룬다. 그의 작품 속에 나타난 종교적 실존은 인간 존재의 무의식에 공통적인 보편성을 획득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가 기형도의 시에서 기독교적 상상력을 도출해 내는 작업은 그의 시적 삶의 원형을 이루는 종교적 사유에 대한 발견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미니멀리즘의 조형적 특성을 이용한 금속제 테이블웨어 연구

        김미라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not only the basic function of tableware as a tool but the role that provides an artistic image in a space called 'Kitchen' were suggested to satisfy the sense and taste of people today. For the display of design, the minimalism that is the theoretic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discussed and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carefully examined to suggest a tableware with simple but laconical beauty. Thus, decorative element was reduced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metal were emphasized to drag a differentiate image such as repeated use of a circle or changing the usage or size of materials from the existing designs with mere laconical elements. Before initiating the actual work, the modeling process was done with plaster to see various images of a circle with multi-dimension. This process was interesting because it enabled to create an art piece that was almost identical to a real one, and eventually it became an important motif for the design development. Depending on designs, various techniques were used for producing and basically, the hammering work was preceded ahead of the actual designing. Also, lathe, spinning, laser cutting were used. Such designs and the producing techniques were based on the consideration on the further production in reality. The materials used were 92.5% of silver, brass, copper, stainless steel, and duralumin), and some wood and ceramic were adopted as additional materials. For usage, bowls, trays, vessels, spoons, and a tea set were produced as tableware and some of them were produced by utilizing the heat conductivity, thus, they maximized their efficiency to enjoy cold drinks. Because tableware is mainly used in kitchen, every product was designed to be cleaned easily. In conclusion, this study designs living utensils based on the basic formative concept of minimalism and suggests new tableware that is small-sized and multi-items oriented production through a close communication with a manufacturing agent. 본 연구에서는 테이블웨어가 도구로서 지니는 기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주방이라는 공간에 세련되고 미적인 이미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현대인의 감성과 여유를 충족시킬 수 있는 테이블웨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전개에 있어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미니멀리즘을 이해하고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여 단순하고 간결한 조형미를 지닌 테이블웨어를 구상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장식적 요소를 줄이고 금속 자체가 지닌 재료의 특성은 그대로 살려 정원(正圓)의 반복적인 사용이나 크기의 변화 등 간결한 요소만으로도 기존의 디자인과 차별화된 이미지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실질적인 작업에 들어가기에 앞서 입체로써의 정원(正圓)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접해보기 위해 석고를 이용하여 모델링 작업을 하였다. 이 작업은 실제 작품과 거의 흡사한 형태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웠으며 디자인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다. 제작기법에 있어서는 디자인에 따라 기본적으로 망치성형 작업이 선행되었으며 그 밖에 선반가공, 스피닝, 레이저 컷팅 등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디자인과 제작기법은 향후의 생산성을 고려한 것이며 실생활에서도 쓰일 수 있어야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료에 있어서는 은(92.5% Silver), 황동(Brass), 적동(Copper), 스텐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듀랄루민(Duralumin)을 사용하였고 나무와 도자(Ceramic)를 부재료로 사용하였다. 쓰임에 있어서는 보울, 쟁반, 기(器), 스푼, 다기(茶器) 등의 테이블웨어를 제작하였고 이 중 몇 가지는 금속의 열전도성이라는 특성을 이용하여 차가운 음료를 즐기는데 있어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주방이라는 공간에서 활용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려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의 근본 조형 개념을 바탕으로 한 생활용기를 디자인하고 산업 현장과의 제작상의 긴밀한 교류를 통하여 향후 다품종 소량생산에 입각한 테이블웨어 시제품을 연구제작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