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iagnodent를 사용한 우식진단과 컴퓨터 분석에 의한 우식병소 단면 상태와의 상관관계

        김문숙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자는 우식진단기 Diagnodent 2095 기기의 임상적 진단기준을 확립하기 위하여, 교합면에 우식이 있는 발거된 대구치 45개를 대상으로 하여 우식병소를 측정해 본 후, 대상 우식치아를 수직 절단하고, 절단면을 대상으로 하여, 컴퓨터 분석방법으로 관찰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법랑질 우식에 있어서 Diagnodent 측정값은 평균 15.59(±8.88)로 나타났으며, 측정범위는 4.00~34.00으로 조사되었다. 2. 상아질 우식에 있어서 Diagnodent 측정값은 평균 51.63(±26.56)으로 나타났으며, 측정범위는 23.33±99.00으로 조사되었다. 3. Diagnodent 측정값과 컴퓨터 분석에 의한 우식단면 측정값과의 상관관계는 최대우식깊이와 r=0.641(p<0.001), 법랑질 우식면적에서 r=0.499 (p<0.001), 상아질 우식면적에서 r=0.665(p<0.001), 그리고 전체 우식면적에서는 r=0.610(p<0.001)으로 조사되었다. Diagnodent 측정치가 35이상인 경우 상아질로 확대된 우식으로 진단 할 수 있으며, 23~35사이인 경우도 일부의 경우는 상아질로 확대된 우식일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다. 그리고 23이하의 경우 법랑질에 국한된 우식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author aimed to establish the diagnostic criteria for the Diagnodent 2095 system by comparing the Diagnodent readings and computer-analyzed data of vertical sections obtained from 45 extracted molars with occlusal car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1. In enamel caries, the average reading obtained from the Diagnodent system was 15.59(±8.88), ranging from 2.00 to 34.00. 2. In dentinal caries, the average reading obtained from the Diagnodent system was 51.63(±26.56), with a range of 23.33±99.00.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gnodent values and the computer-analyzed data of the vertical sections was r=0.641(p<0.001) for maximum carious lesion depth, r=0.499 (p<0.001) for the surface area of enamel caries, r=0.665(p<0.001) for the surface area of dentinal caries, and r=0.610(p<0.001) for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carious lesion. A Diagnodent reading of over 35 can be diagnosed as caries extending into dentin, and in some cases, dentinal caries can be suspected in values between 23 and 35. Readings below 23 can be determined as caries confined to the enamel.

      •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장기변동과 환경요인

        김문숙 강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인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장기변동과 환경요인」에서는 크게 3가지 부문으로 구분하여 추진하였다. 첫째,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장기적인(2003-2014) 군집구조 및 계절변동을 이화학·생물학·물리적 환경요인 및 수리학적 특성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양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내에서 영양 상호작용(Trophic interaction)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인 2003∼2014년 소양호 유역의 강수량은 705∼1,779 ㎜·yr-1의 큰 변동을 보였으며, 70% 이상이 6∼9월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양호의 수질은 연도별 변화보다 계절적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몬순기후로 인한 여름철 홍수기 탁수유입이 가장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군집은 2006년 이전과 이후로 구분되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006년 이후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크게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군집구조 또한 현저한 변동을 보였다. 반면에 Chl.a 농도를 포함한 수질농도는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달리 연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2006년에 유입된 탁수가 표층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동물플랑크톤 생물량 증가는 여름철 집중강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탁수에 포함된 높은 영양염과 유기물 농도가 동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증가시키고 종 조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소양호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은 5∼6월과 8∼10월로 매년 두시기에 거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9월에 최대 생물량을 나타내었다. Chl.a 농도는 동물플랑크톤과 유사한 계절변동을 보여 동물플랑크톤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0.45). 소양호의 동물플랑크톤 종 조성의 계절천이는 PEG모델을 따랐지만, 생물량의 계절천이는 온대호수 뿐만 아니라 몬순지역의 자연호 및 인공호와도 차이를 보였다. 이는 소양호의 유역환경 및 수리학적 특징이 계절적인 요인과 함께 동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계절변동을 결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장기변동은 2000년 이전에는 가두리양식장의 어류배설물에 의한 호수내 오염원이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였다면, 2000년대 이후에는 몬순강우에 따른 탁수유입의 증가가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여름강우 시 외부에서 유입된 유기물은 동물플랑크톤 food web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양호에서 동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계절변동은 수온, Chl.a 등 화학적 환경요인과 함께 top-down과 bottom-up 효과로 인한 생물학적 요인 또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Chl.a 농도와 섭식에 용이하지 않은 규조류가 우점하는 봄 시기에 소형동물플랑크톤의 밀도 증가는 microbial loop에 의한 bottom-up 효과로 판단되었으며, 남조류가 우점하는 시기에 갑각류의 밀도증가는 bottom-up과 top-down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었다. 겨울시기에는 어류(빙어, Hypomesus nipponensis)의 어획량 감소를 통해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top-down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소양호에서 동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다양성 및 계절변동은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생물 상호간의 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정도가 오히려 더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소양호에서 동물플랑크톤의 장기변동 및 계절적 군집구조의 변화에는 홍수기 탁수유입이 가장 주요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접하여 있으면서 수리학적으로 상이한 특징을 보이는 파로호, 춘천호 및 의암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소양호의 장기적 및 계절적 변화를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홍수기 강우는 4개 호소의 수리학적 상태와 이화학적 수질특성에 차별화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동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계절변동 또한 호소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상대적으로 영양상태가 높고 규모가 작은 춘천호와 의암호에서 더 높았게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의 계절변동은 규모가 큰 소양호와 파로호의 경우 8∼9월에 최대 생물량을 보인 반면, 하천형 호수인 춘천호와 의암호는 6월에 최대 생물량을 보였다. 소양호와 파로호는 일반적인 온대호수에서의 동물플랑크톤과 다른 계절천이를 보였으나, 춘천호와 의암호는 유사한 계절천이를 보였다. 여름철 강우 이후에는 4개 호수에서 소형 동물플랑크톤의 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PEG모델과는 다른 계절천이를 보였다. 4개 호수의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수온이 낮은 겨울시기(1∼3월)의 경우 동물플랑크톤 군집구조는 유사하였으나, 여름시기(7∼9월)의 경우에는 소양호가 다른 3개 호수와 큰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4개 호수의 동물플랑크톤 군집변동은 모두 몬순기후에 의한 여름철 강우가 가장 큰 환경요인으로 작용하였으나, 호수별로는 지리적인 위치, 호수의 형태 등에 따라 차별화 되었다. 셋째, 국내에서 소양호는 대형 호수이며, 빈영양 호수로 구분되어 일반적인 호수의 동물플랑크톤 군집과는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소양호와 국내의 다양한 영양상태인 27개 호소를 대상으로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비교분석하여 소양호의 영양상태를 상대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대상호소의 LQI(Korea Lake water quality index) 부영양지표 평가결과, 빈영양호와 중영양호가 각각 8개소, 부영양호 3개소, 과부영양호는 8개소로 나타났으며, 부영양호소일수록 소형호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상태별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부영양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영양지표(LQI)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특히,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는 LQI와 뚜렷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빈영양호인 소양호의 동물플랑크톤 현존량과 종 조성은 부영양호의 호소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분류군별로는 부영양호일수록 윤충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과-부영양 63.0∼68.0%, 중-빈영양 50.0∼57.0%를 보였다. 윤충류는 영양상태의 증가에 따른 개체수 증가뿐만 아니라 또한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으며, 종수와 LQI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0.58). 반면에 LQI와 동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호수의 영양상태를 간접 평가하는데 있어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긍정적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윤충류 개체수는 부영양화도 평가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2년간 소양호를 대상으로 동물플랑크톤 군집구조와 물리·화학·생물학적 환경요인을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장기적인 모니터링 결과는 온대 몬순기후에서의 호수 미소생태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나아가 소양호에서의 food web과 관련한 연구결과는 수환경 및 생물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하는 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e three parts. In the 1st chapter, the long-term vari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er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environmental and hydraulic factors in Lake Soyang. Annual precipitation of watershed showed a large variation in the 705∼1,779 ㎜·yr-1 and more than 70% of it was being concentrated from June to September. The water quality of Lake Soyang was shown a clearly seasonal variations and particularly turbid water flowing into the lake during rainy season w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Soya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2006. Zooplankton biomass has shown a large increase and also showed a change in the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since 2006. However, variations in annual water quality was not large compared to zooplankton biomass.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hat nutrient and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turbid water influences the increase in zooplankton biomass and species composition. Zooplankton biomass in Lake Soyang showed an increasing in the two periods (May to June and August to October) and the maximum biomass was in September in every year. Zooplankton biomass and chlorophyll showed a similar seasonal variation and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r = 0.45). Seasonal succession of zooplankton species composition was the same as the PEG model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zooplankton biomass. It is considered that community structure and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of Lake Soyang were determined by environmental and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The inflow of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during rainy season also affected to zooplankton food web in Lake Soyang. The increase of small zooplankton density in spring which is dominated by diatoms is considered as a bottom-up effect by the microbial loop and increased density of crustaceans in autumn was considered a bottom-up and top-down effects appeared at the same time. Also it confirmed the top-down effect on zooplankton through reduced catches of fish (Hypomesus nipponensis) in winter. In conclusion, biomass, diversity and seasonal variations of zooplankton in Lake Soyang were determined by physico-chemical factors but it is determined that biological interactions is more important. In the 2nd chapter, long-term vari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y of Lake Soyang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ree lakes (Lake Paro, Lake Chuncheon and Lake Uiam) have different hydraulic characteristics. The Lake Chuncheon and Lake Uiam with a high trophic state and a small storage capacity showed a higher zooplankton biomass. Whereas the maximum zooplankton biomass of two lakes (Lake Soyang and Lake Paro) with a large storage capacity showed from August to September but the Lake Chuncheon and Lake Uiam showed a maximum of it in June.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 all lakes were similar in winter (January to March) but it of Lake Soyang showed large difference compare with other three lakes in summer (July to September). In conclusion, the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four lakes were significantly determined by rainfall and were different depending on geological position and hydraulic type of lake. In the 3rd chapter,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 Lake Soyang compared with 27 lakes have different trophic state. The trophic states were classified using the LQI (Korea Lake Water Quality Index) for Lake Soynag and 27 lakes. The lakes with higher trophic state has increased the zooplankton biomass and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LQI. The abundance of zooplankton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LQI and particularly rotifer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The eutrophic lakes showed a higher proportion of rotifers. In conclusion, rotifers population was determined to be possible to utilize the evaluation index for eutrophication. In this study, it were analyzed a various factors that may affect to the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These results can be a useful data to understand micro-ecosystem in lakes that located in monsoon area.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food-web in Lake Soyang are respected to be utilized in the field to manage the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resources.

      • 사계절의 이미지를 담은 유리그릇 연구

        김문숙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욕구 중 하나다. 경제발전과 과학기술의 향상으로 생활여건이 좋아진 오늘날 우리는 아름다움을 단지 미술작품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의 생활용품에서도 기대한다. 그릇은 인류가 지상에 나타난 때부터 우리와 함께 있었던 가장 친근한 생필품이며, 그 외의 장식을 비롯한 여러 용도로도 쓰여 왔다. 본 작품연구에서는 작품의 주제로 사계절의 자연 이미지를 택했다. 각 계절의 이미지는 주로 주위의 소박한 풍경과 인상 깊었던 미술가의 작품이나 건축물에서 찾아보았고, 동시에 문학작품에 표현되어 있는 추상적인 언어적 상상을 연구자의 마음속에 재구성하여 표현하려했다. 이미지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보다는 주관적 느낌대로 단순화하여 표현하거나, 단순화된 모티프로 변형하여 반복적인 문양으로 유리그릇에 담았다. 실용적인 그릇의 경우 단순미를 살려 음식이 담겨졌을 때 음식과 그릇이 서로 어울릴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마련해 두었고, 상차림에 통일성을 주기 위해 같은 느낌으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세트형 그릇을 구성해 보았다. 장식을 목적으로 하는 그릇에서는 색과 문양을 과감하게 사용하여 유리의 화려한 이미지를 강조했다. 또한 유리의 투명성과 반투명성의 특성을 살려 층층의 이미지들을 통과시키고 차단하면서 겹쳐진 상들 사이에 거리를 주어 신비감을 표현하고자 했으며, 선명한 상이 요구될 경우엔 불투명 유리를 바탕으로 효과를 얻었다. 한 작품 안에서 유리의 양을 부분적으로 가감함으로써 밋밋한 그릇바닥에 변화를 주기도 했다. ‘담아 간직한다’는 그릇의 근본 속성에 중심을 두기는 했으나, ‘담는다’는 수동적인 여성적 표출 보다는 포용의 상징적 의미를 더 강조하여 사계를 품으려 했다. 사계절을 품는다는 것은 세월을 품는다는 뜻이며, 그 안의 삶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유리그릇 속에 연구자 안에 있는 ‘창조적 잠재력’을 실현시켜 계절의 이미지를 장식적으로 배열하여 자신만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Searching for beauty is one of human desires. In these days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technology, we expect to meet beauty not only in the works of art but also in articles for daily use. Vessels have been the very closest commodities from the advent of humanity on earth and used in many other ways other than the main purpose of containing things. In this research, nature of the four seasons is taken for the subject of the glass vessels. The images of each season are found in the familiar scenes around us and the works of impressive artists as well as the works of literature expressed in the forms of abstract verbal imagination. They are reorganized in my mind and represented in the glass vessels through repeating patterns modified with simplified motifs by my own subjective feeling. As for the vessels for use on tables, the space needed for harmony between the vessel and food is arranged, and to give unity to the table setting, various sizes and shapes of an image are prepared as a table service. As for the vessels for decoration, colors and patterns are daringly used to emphasize the brilliant glass image. Furthermore, mysterious glass images are produced enforcing the distinctive nature of glass - transparence and opacity, giving distance among patterns on layers of glass, and passing or shutting the other images. If a clear design is required, opaque color glass is used as the ground. Partially adding some glass in the bottom of a dish gives some variation to a flat one. This study focuses on the main nature of vessels: 'containing and keeping things.' It also tries to put the meaning of symbolic capacity of tolerance rather than passive feminine feature in its vessels with images of nature. Embracing the four seasons means accepting time and life in it. Through the study, I'm trying to represent the images of the four seasons arranged decoratively with my own feeling realizing the potential creativity in myself with the glass vessels.

      • 도시공원 식생의 자연성 평가 : 익산시 도시자연공원을 중심으로

        김문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도시자연공원 생태자원의 효율적인 보전ㆍ복원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생의 자연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도시식생의 자연성 평가를 위하여 전형적인 중ㆍ소도시인 익산시의 5개 도시자연공원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식물상, 식생, 녹지자연도, 현존식생도, 생태자연도, 식생보전등급도를 토대로 자연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익산시 5개 도시자연공원의 식물상은 84과 208속 261종 1아종 3품종 34변종의 총 299종류로 조사되었다. 2. 익산시 5개 도시자연공원에 분포하는 식물들의 생육형에 따른 생육환경의 특징은 H-D4-R5의 유형으로 나타났고 생육형에서는 직립형이 우세하였다. 3. 생활형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M(소형지상식물): 20.0%±1.0%, N(미소지상식물): 10.2%±1.5%, E(착생식물): 2.5%±1.0%, Ch(지표식물): 5.2%±0.8%, H(반지중식물): 22.3%±2.5%, G(지중식물): 9.6%±1.1%, HH(수생식물): 4.5%±0.8%, Th(1년생식물): 27.3%±3.7%로 나타났다. 4. 식물군락을 분류한 결과 곰솔군락, 소나무군락, 소나무-상수리나무군락, 곰솔-상수리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의 5개 군락이었으며, 식재림은 화백식재림, 리기다소나무식재림으로 분류되었다. 5. 익산시 5개 도시자연공원 식생의 대부분은 소나무, 곰솔 등의 상록침엽수림에 의하여 우점 되어있다. 6. 녹지자연도 등급은 대부분이 이차림(A)인 7등급이며, 그밖에 6등급, 4등급, 2등급, 1등급, 0등급으로 나타났다. 7. 식생보전등급은 대부분이 Ⅲ등급 이였으며, 생태자연도등급은 5개 도시자연공원 모두 Ⅱ등급으로 나타났다. 8. 식생 자연성 평가에서 III등급인 배산을 제외한 4개 도시자연공원은 IV등급이다. 전체적으로 익산시 주요 도시자연공원의 자연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nature value in a urban forest after constructing the nature assessment indicator to develop ecological restoration in the light of landscape planning. The flora of 5 urban forest in th Iksan city was composed of 84 families, 208 genera, 261 species, 1 subspecies, 3 forma, 34 varieties or 299 taxa.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in these area have represented such H-D4-R5 type in biological type, erect form in growth type, 33 taxa in naturalized plant. The life form spectra investigated from 5 urban forest was recognized as the following M(Microphanerophytes): 20.0%±1.0%, N(Nanophanerophytes): 10.2%±1.5%, E(Epiphyten): 2.5%±1.0%, Ch(Chamaephytes): 5.2%±0.8%, H(Hemicryptophytes): 22.3%±2.5%, G(Geophyte): 9.6%±1.1%, HH(Hydatophytes): 4.5%±0.8%, Th(Therophytes): 27.3%±3.7%. By the Z-M method 5 plant communitise and 2 afforestation were recognized ;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thunbergii-Quercus acutissima community, Robinia pseudo-accacia community, Chamaecyparis pisifera afforestation, Pinus rigida afforestation.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constructed on the grounds of the communities classified and other data. According to value grade from assessment indicator, the nature value of Baesan urban forest is the highest among 5 urban forest. Finally,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5 urban forest was suggested as the management method for succession promotion, habitat diversity, stratification, species richness and native species planting.

      • SAT와 수능을 통해 측정된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김문숙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betwee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y assessed by the SAT in Korea (KSAT) and their critical reading ability assessed by the SA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participants were 54 high school third-year students (34 male; 20 female). They undertook two sets of the 24-item critical reading section of the SAT. The students’ responses to each of the test items were analyz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reading ability measured by the KSAT and that measured by the SAT? How are their responses to each test item in the critical reading section of the SAT different according to reading 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critical reading ability measured by the SAT fell in three levels: Fair, Poor, and Very Poor. Most notably, four students, among whom one was at the first level and three were at the second level when measured by the KSAT, showed the Poor level of critical reading ability. On the other hand, five students whose reading ability turned out to be lower than the third level when measured by the KSAT showed the Fair level of critical reading ability. Besides, there were more Poor-level students whose reading ability was at the fourth level of the KSAT than those who were at the fifth or lower level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reading ability measured by the KSAT and the critical reading ability measured by the SAT. Second, the items in the SAT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actual understanding, inferential understanding,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e Fair group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n the items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the lowest mean score on those of inferential understanding. They were able to solve more diverse item types as compared to the Poor and Very Poor groups. The Poor group showed a low score on all the three item types except for a few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tems. The Very Poor group did not show any distinctive patterns according to item type because their responses were not systematic and they were not able to solve most of the test items. Furthermore, the Fair and Poor groups both showed a relatively high score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tems. This means that the students were better able to identify the general idea or contextual atmosphere of a given passage. In addition, they also showed a stable understanding of the comparative structure of the text with a high correct response rate on the items which asked them to compare the ideas of two passages. However, both groups showed the lowest score on the inferential understanding items that required them to read the text critically beyond the surface level in order to infer why the author stated certain sentences in the passage. Third, the students’ correct response rate on the items based on a long passage was lower than those based on a short passage, perhaps due to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items and the diversity in item types. For instance, short passages had less than 5 items and normally consisted of factual understanding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tems. But long passages had 9 to 12 items among which many were inferential understanding items. This implies that if students do not implement critical reading and use proper learning strategies in the long-passage reading so that they can infer the intention of the author presented in specific statem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e whole context of the passage in limited time, they are likely to make errors concerning such items as asking the contextual meaning of a vocabulary item used in the sentence, inferencing based on the main contents in each passage and drawing a conclusion, the goal of the text, the tone of the author, the function of a specific statement in the given passage, and the detailed inference of why the author asks something specific. Fourth, the students’ responses showed the highest mark on the narrative genre and the lowest mark on the novel genre regardless of item type. That is, the narrative genre in which a story is developed by the overall flow of the historical and factual experiences around the center of the core events by the author’s statements along with the students’ familiarity with the narrative text structure which has the interactive knowledge in the high density such as shared experiences. The students’ ordinary knowledge structure helps them recognize and use the textual schema in which sentences and discourses structure are embedded naturally. However, the novel genre in which they were required to read the text more in depth to distinguish the author’ statements about the story from those of the other characters appeared in it in order to interpret them, which helps to identify the characters’ relationship, the atmosphere and the tone that are revealed through specific statements in small scales of narrative. Consequently, the students could not recognize the textual schema due to lack of familiarity with the novel genre, which makes them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text.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능 외국어 영역 시험을 통해 측정된 읽기 능력과 SAT를 통해 측정된 비판적 읽기 능력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SAT 비판적 읽기 문항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문항 반응 특성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Pilot 테스트 결과 학생들의 수능 외국어 영역 시험을 통해 측정된 읽기 능력과 SAT를 통해 측정된 비판적 읽기 능력 사이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SAT 비판적 읽기 지문 독해 문항들을 분석한 결과 그룹별 학생들의 문항 반응 특성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위의 연구를 위하여 함평군 소재 H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 34명 여학생 20명 총54명을 대상으로 SAT 비판적 읽기 시험을 총 2회를 실시하였고 시험은 1회당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살피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1. 인문계 고교 3학년 학생들의 수능 외국어 영역을 통해 측정 된 읽기 능력과 SAT를 통해 측정된 비판적 읽기 능력 사이에는 차이가 있는가? 2. SAT 비판적 읽기 문항 분석 결과 나타난 그룹별 학생들의 문항 반응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AT를 통해 측정된 학생들의 비판적 읽기 능력이 Fair, Poor, 그리고 Very Poor 세 그룹으로 나뉘었고 과반수 이상 에 해당되는 학생들의 비판적 읽기 능력이 Poor그룹에 속하였다. 주목할 점은 수능 외국어 영역을 통해 측정된 읽기 능력이 1등급에 해당하는 학생 1명과 2등급에 해당하는 학생 3명의 비판적 읽기 능력이 Poor로 나타났고 반면에 6등급에 해당하는 학생 1명, 4등급에 해당하는 학생 1명, 3등급에 해당하는 학생 2명이 2등급에 속하는 학생 1명과 함께 비평적 읽기 능력이 Fair로 나타났다. 또한 Poor그룹에서는 5~7등급 학생들보다 4등급에 속하는 학생들이 더 많았다. 따라서 학생들의 수능 외국어 영역을 통해 측정된 읽기 능력과 SAT를 통해 측정된 비판적 읽기 능력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SAT 비판적 읽기 문항 분석 결과 ‘사실적 이해’, ‘종합적 이해’, 그리고 ‘추론적 이해’ 의 세 가지 문항유형으로 분류가 되었고 이에 대한 그룹별 문항 반응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Fair 그룹은 다른 두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 가지 문항유형들에 해당하는 다양한 문항들을 해결하며 ‘종합적 이해’ 문항유형에 대해서 가장 높은 반응을 다음으로는 ‘사실적 이해’ 문항유형에 대해 그리고 ‘추론적 이해’ 문항 유형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반응을 나타냈다. Poor 그룹 또한 ‘종합적 이해’ 문항 유형에 대한 반응이 '사실적 이해’ 와 ‘추론적 이해’ 문항유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문항들에 낮은 반응을 보이며 다수의 문항들을 해결하지 못하는 상당히 저조한 비판적 읽기 결과를 나타냈다. Very Poor 그룹의 경우 문항유형에 대한 뚜렷한 패턴이 나타나지 않고 개인별 문항들에 대한 답이 다 달라서 문항 반응 특성에 대한 신뢰성 있는 성취도를 보인 영역이 관찰되지 않는 비판적 읽기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나아가 Fair 와 Poor 그룹 학생들은 문항 반응 특성에 있어 공통적으로 ‘종합적 이해’ 문항유형에 높은 반응을 나타내며 지문의 전체적 맥락의 분위기와 정서 파악과 관련된 정의적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높은 이해력을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지문 간 또는 지문 내 내용의 비교를 묻는 문항에서도 높은 반응을 보이며 비교 구조 텍스트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력 또한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주어진 텍스트의 표면적이며 문장수준의 읽기를 넘어서 작가가 왜 특정진술 문장을 진술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세부적으로 추론하기 위해 학습자의 적극적인 비판적 읽기가 요구되는 다수의 ‘추론적 이해’ 문항유형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반응을 나타냈다. 셋째, 지문의 길이에 따른 문항 수와 문항 유형 분포의 차이로 인해 짧은 지문보다 긴 지문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이 낮게 나타났다. 짧은 지문 독해의 경우 2∼5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주로 ‘사실적 이해’ 와 ‘종합적 이해’ 문항유형들이 분포되어 있었던 반면에 긴 지문 독해의 경우 9∼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특히 학생들이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던 다수의 ‘추론적 이해’ 문항유형들이 분포되어 있었다. 즉 긴 지문 독해에 있어 제한된 시간 내에 지문의 전체적 맥락의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작가가 왜 특정 진술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지의 이유에 대해 세부적으로 추론하기 위한 학습자의 심도 높은 적극적인 비판적 읽기와 함께 다양하고 적절한 학습전략과 기술을 인지하고 사용하지 못할 경우 학생들은 문장 내 문맥상 어휘의 의미를 묻는 문항부터, 각 지문에서 강조하는 핵심내용에 따른 일반적 추론이나 결론도출, 글의 목적, 작가의 어조, 지문 내 명확하게 제시된 상세한 진술내용, 그리고 작가가 왜 무엇인가 구체적인 것을 언급하고 있는지에 대한 세부적 추론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진체 문항들에 대해 오류를 보일 가능성이 높았다. 넷째, 학생들은 문항유형과는 관계없이 ‘내러티브’ 장르에 대해 높은 반응을 나타냈고 반면에 ‘소설’ 장르에 대한 반응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내러티브’ 장르의 경우 역사적이며 사실적 경험의 핵심적인 사건을 중심으로 한 대서사의 흐름이 작가의 진술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개되며 평소 학생들에게 공유된 경험과 보편적 지식 구조와 같은 높은 밀도의 상호적 지식을 갖고 있는 내러티브 텍스트로 구성된 이야기 읽기의 익숙함(Grasser et al,1991)에 따라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문장과 담화 구조를 담고 있는 텍스츄얼 스키마(Chandler,1997)를 인지하고 사용할 수 있어 지문에 대한 이해가 용이하였다. 하지만 ‘소설’ 장르의 경우 지문 내 소서사의 구체적인 진술내용을 통해 드러나는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관계와 분위기, 그리고 어조 파악에 있어 학습자는 진술자로서의 작가의 의견과 등장인물간의 의견을 구별하여 각각의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교류하고 해석해야 하는 텍스트로 구성된 심층적 독해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소설’ 장르 읽기에 대한 익숙함의 결여로 인해 텍스츄얼 스키마를 인지하고 사용할 수 없어 지문에 대한 이해가 어려웠다.

      • 가정환경이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문숙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가정환경과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건전한 자아개념 발달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1. 가정의 물리적 조건과 아동의 자아개념은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가정의 가치 지향성과 아동의 자아개념은 상관이 있을 것인가? 3. 가정의 집단 성격과 아동의 자아개념은 상관이 있을 것인가? 4. 가정의 심리적 과정과 아동의 자아개념은 상관이 있을 것인가?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의 J 초등학교 4학년 남학생117명과 여학생 94명(총 21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도구는 「가정환경 진단검사」 (정원식)와 「자아개념검사」 (정원식)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분석 방법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alysis of variance : ONE WAY ANOVA)과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친구관계의 부정적 특성(갈등과 경쟁)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친구관계의 긍정적 특성(도움, 친밀)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인정의 경우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자아개념의 하위요인인 정의적 자아개념과 사회적 자아개념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신체적 자아개념과 학문적 자아개념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자아개념의 총체적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친구관계의 긍정적 특성이 높을수록 자아개념의 하위 영역(신체적 자아개념, 정의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학문적 자아개념) 정도도 높아지고 부정적 특성이 높을수록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친구관계의 긍정적 특성이 높아질수록 자아존중도 높아지고, 부정적 특성이 높아질수록 자아존중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친구관계의 긍정적 특성과 부정적 특성은 자아존중에 영향을 미쳤으나, 친구관계가 같은 수준에서 성별은 자아존중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corroborative materials for the sound development of children by dint of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elf-images.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came up with the following hypotheses. 1. Will there b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physical conditions of families and children's self-images? 2. Will there b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 orientation of families and children's self-images? 3. Will there b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families and children's self-images? 4. Will there b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families and children's self-images? The researcher worked with a total of 3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sting of 170 fourth male graders and 146 fourth female graders who attend J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Asan, Kyeonggi Province with the help of a diagnostic test on family environment by Jeong Won-sik and a test on self-images by Jeon Won-sik. And the researcher made use of one-way ANOVA and correlative coefficients with a view to making analysis of data. The researcher came up with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physical conditions of families don'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s on children's self-images. Second, the value orientation of families turned out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s at all on children's self-images, while physical self-images among its subordinate factors turned out to be improved as families are devoid of traditionalistic tendencies. Third, the study reveals that the higher the subjects' expectation for the roles of their parents is, the higher the concepts of children are. Fourth, the survey reveals that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families doesn'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s on children's self-images, and that the higher rejection-affection tendencies(β=.146, P<.05) are, the higher the emotional self-images of the subjects are. In conclusion, the survey shows that the higher the expectation for parents' roles is among th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families, the better the subjects' self-images are and that the lower the traditionalism tendencies among the value orientation of families, the better physical self-images among the self-images of families are. And the research also indicates that the higher family unity is, the better emotional self-images are and that social self-image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family environment of children and that higher expectation for parents' roles play a key role in improving academic self-images.

      • 기독교 전화상담의 내담자 문제유형 분석 : 극동방송국 전화상담 현장 중심으로

        김문숙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foundational data by analyzing the patterns of issues dealt with Christian tele-counseling clients; thus paving the way for the future of Christian tele-counseling. To achieve this goal, data of 1,483 clients that were counseled through telephone at Far East Broadcasting Company (FEBC) starting from January of 2009 to December of 2009 were used. Via SPSS WIN 10.0 software,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on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ristian tele-counseling clients' issues can be categorized as faith related issues, marriage issues, children issues, diseas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male clients, the most frequent issue is faith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sues. Faith and marriages issues are most frequent among female. As per age groups, clients in their 40's has marriage issue as their top counseling topics; 60's childre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sues, and 20's diseases. Married men and women show marriage and children issue as their top counseling needs where as singles requests counseling for diseases, and dating issues. Female deacons' most frequent issue is children related problems; elders and pastor's wife marriage issues and pastors faith related problems. People with all length of faith has faith and marriage problem as their top issues, where as Christians with 5 years or less of their faith show disease as their top counseled issue. Overall faith and marriage problems are the most dominating issues. Second,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tele-counseling clients, gender and marital status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age, duty at a church, duration of their faith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us the future direction of Christian tele-counseling must recognize that Christians of today struggle in their faith related issues and prepare a Christian tele-counseling model that can adapt to their needs. More concretely, client's gender and marriage must be taken into account and dealt differently by professional Christian tele-counselors to provide holistic recovery of well-being and the health of the clients.

      • 로지스틱 모형에서 후향적 표본추출에 의한 Bias 영향조사

        김문숙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모집단에서 종속변수의 형식이 이항변수화(binary) 되어 있는 로지스틱 회귀 모형에서 단순임의추출방법을 이용한 경우와 후향적 표본추출을 사용한 경우에 각각의 bias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가중우도(Weighted likelihood)에 의한 Bias 교정방법을 이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간단한 교정방법과 비교함으로서 Bias 교정 효율을 측정하였다. 관측자의 신상 정보와 기부여부에 대한 실제자료를 사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Bias 교정방법이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 都市空間에서의 環境彫刻에 관한 硏究

        김문숙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apid economic growth has led today's cities to quantitative expansion. As cities make bigger, the domain of artificial environment expands, the artificial work (artifact) increases, and the urban environment comes to take on artificial plastic image. Considering that the plastic urban space exerts great influence on the urban residents' experiences and emotions of beauty, today's urban space doesn't become harmonious space but make a bleak impression upon urbarn residents from the view-point of city as a whole though many plastic (formative) works have been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quantitatively rapid expansion of today's citie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at inquiring into the general plan being able to increase the entire beauty of urban space with priority given to the environmental sculpture established in the outdoor space of the plastic (formative) works constituting a city. This study made an investigation on the association of architecture with environmental sculpture, the major plastic elements of urban space in the light of the flow of art history, and discussed the conditions and functions the resting environmental sculpture have to retain. In particular the environmental sculpture have to take into consideration physical conditions, can help urban residents experience beauty only if it should be established comprehending its relation to the peripheral environment and energy as the factor degenerating the beautiful sight of cities, when physical conditions are ignored. And this study dealt with the conditions of environmental sculpture as a central figure from an aforementioned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all the provisions on art work provided on Article 13 of the existing Law of promotion for Art and Literature were enforced from the viewpoint of simple performance of duty, so it brought about the qualitative degradation of plastic (formative) work and proved to be in the actual situation of the weak support from government when it was compared with that of U.S. Accordingly, government should not only strengthen the preparation for institutional arrangement and its function, but should authors do their best to performance their own tasks as the messengers of the sense of beauty. More importanly, this study emphasized that it should bring about its beauty from a perspective of sense since the qualitative level of environmental sculpture depends on the urban resident's level of consciousness. If environmental sculpture is to play its role best in uban space, it should be harmonized with peripheral surroundings and provide urban residents with the experience of beauty as well as rich space. For this purpose all the conditions of environmental sculpture should be abided by, and plastic work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heighten plaststic (formative) beauty in urban space.

      •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김문숙 우석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하여 고등학생들의 학교 부적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미래 지향적인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업계고등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학교현장에서 이용 가능한 예방적, 미래 지향적 차원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고등학생의 정신건강에 관련하여 자아존중감 향상과 스트레스를 낮춤으로 학교부적응을 감소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9월 4일부터 12월 22일까지 약 4개월간 J도에 소재한 OO실업고등학교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진행하였다. 총 15주간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매주 대안학습 시간에 1주일에 1-2번, 80-100분씩, 17회기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통계ㆍ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자기이해 및 자기장점 발견, 타인과의 의사소통, 긍정적 대인관계, 문제해결기술, 학습태도 향상, 진로탐색 및 가치관 정립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에 학교부적응,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를 측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고등학생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아졌다. 2.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고등학생보다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대안학습으로 실시하여 실업계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스트레스가 낮아져 학교부적응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양한 정신문제를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고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증가와 스트레스가 낮아져 학교부적응 감소에 매우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정신건강문제와 미래 지향적인 목표의식 등으로 청소년들의 인성교육과 정신건강 관련과 연계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정규화하고 학생, 부모, 교사를 위한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시행하고 활성화 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done to reduce maladapting of teenagers to school system by a group-art-therap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creen the promising future for the teenagers with analyses of the effects of the therapy. The group-art therapy was matched with the level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nd performed to increase something related with their mental hygiene. And it was tried to decrease the degree maladaptation to school system by both increasing the level of pride and decreasing stress level with the therapy. The study was done from September 4 to December 22, 2006 with 14 numbers of students of a technical high school, which is located in J Province. The method for data collecting was decided by the results of the preparatory investigation o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before the initiation of the study. The group-art therapy was run one or twice per week for 15 weeks (total number was 17) during alternative classes in the school. Then, data which are belonging to post-investigation were analyzed statistically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ere self-understanding, finding of self-strong point, communicating skill with others,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skills for problem-solving, improvement of the attitude for studying, searching for the future, and building-up of value system in this program of group counseling. Maladaptation to school system, pride, and stress level were measured in both preparatory and post-investigations of the program. The results were below: 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the group-art therapy could have a higher level of self-respect than students who didn't involved in this study. 2. The level of stress i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the group-art therapy was lower than the level of students who didn't involv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maladaptation to school system was improved because the level of pride was increased but the level of stress was decreased in the processes of this program-art therapy as an alternative study for 17 weeks. Therefore, the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as a mediat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in mental hygiene of students who have various mental problems potenti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gram of the group-art therapy should be involved in educations of humanity and mental health as a regular program for teenagers. The program will need to be improved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nd each program should be integrated and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