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부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인지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명진 전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nfluence of perceived quality of house wifes by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For this purpose, I questioned house wife between 30 and 50 years old who live Chon-Ju in 2001. This population was established and selected for a total of 10 physical activities facilities. The sample data was selected through multipl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was 400.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Leisure Satisfaction Scale(L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is Scale's validity and reliability reported high significance level. The statistics employed by this study wer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Analysis of Covariate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that were derived from these processes were as follows: 1. The 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were education and income. Age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again also, the 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quality life were education and income. Age was only partial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2. Frequent and organized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leisur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was greater for house-wives. 3. Frequent and organized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4. Participation in sport activity had positive influence of the quality of life directly as measured by life satisfaction. It was concluded that participation in sport activi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directly through increasing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 친환경 젤 추진제의 전기 분해 및 점화

        김명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주 개발의 핵심은 엔진의 개발이라 할 수 있다. 과거 대형 발사체 위주의 연구가 주로 수행 되었다면 최근에는 큐브 위성의 개발과 관련하여 추력기의 소형화에 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하이드라진 추력기는 ~220 sec 수준의 비추력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위성 시스템의 자세제어 추력기로 사용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들의 높은 독성은 환경 문제 및 취급 문제로 인해 이를 대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과산화수소가 대체 후보군에 있으나 비추력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새로운 추진제 합성 및 젤 추진제 적용이 제안 되었다. ‘친환경 추진제’라 불리는 ADN과 HAN 등 추진제는 특별한 보호 장구 없이 취급이 가능하며 생성물 또한 수증기가 다수를 차지한다. 젤 추진제의 경우 독성 추진제를 기반으로 하며 적절한 첨가제를 통해 증기압을 낮추고,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비추력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원 추진제의 연료로 사용되는 하이드라진 단일 추진제의 경우 젤 추진제는 오히려 비추력을 낮출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ADN과 HAN은 각각 27%, 33%의 높은 산소 균형(Oxygen balance)을 가지고 있어 산화제로 작용하며 적절한 젤 화제 첨가는 연료로 작용하여 예혼합 단일 추진제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의 가장 큰 문제는 점화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다. 분해 시 발생하는 고온의 가스는 장기적으로 활성 촉매 손실로 인한 연소 효율 감소 및 지속적인 고온 고압의 환경에 노출된 촉매 지지체의 구조적 불안정성은 이들의 우주 추진제 적용에 큰 장애물로 작용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DN에 비해 상대적으로 합성이 용이한 HAN을 기반으로 하는 친환경 젤 추진제를 직접 합성하고 이온 특성을 갖는 HAN 추진제의 전기 점화를 통한 점화 특성에 대해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에 비해 11% 수준의 전기에너지 소모를 통해 5 sec 수준의 점화 지연 시간을 얻을 수 있었다.

      • 大氣中 揮發性有機化合物의 處理를 위한 流動層 光反應器의 性能 向上

        김명진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s of ethyl alcohol, acetone, methyl ethyl ketone(MEK) and toluene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photoactived titanium oxide. In this study the photocatalytic oxidation of volitile organic compounds(VOCs) was examined in fluidized bed reactor-honeycomb reactor system. For treatment of high concentration and high volume reactant, fluidized bed reactor was used. Then for using aftertreatment system, honeycomb reactor was employed. In fluidized bed reactor the employed nano-sized TiO_(2) catalyst was prepared by the sol-gel method and was coated on the silica gel powder. the UV lamp wa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ed, and the VOCs flowed through annulus of the bed. The filters of honeycomb reactor were used Al mesh type filter and monolith type filter. The monolith type filter was more effective in photocatalytic oxidation of VOCs for improvement of contact area between reactants and catalytic surface. The reaction products were detected by gas chromatogram. The effects of the initial comcnetration of VOCs, the amount of TiO_(2)/SiO_(2) catalyst in fluidized bed reactor, and superficial gas velocity on the reaction rate of decomposition of reactant were determined. At 1.2U_(mf) of flow rate, the treatment volume of air was about 6.5㎥/day using 350㎛ TiO_(2)/SiO_(2) catalyst in fluidized bed reactor. 55% of ethyl alcohol, 15% of acetone, 10% of MEK decomposition was respectively confirmed at 500ppmv in the reactor. But toluene decomposition rate was lower than other materials. The trand of photodecomposition of various VOCs in fluidized bed was similar to honeycomb reactor. For increase treatment volume of VOCs, bench-scale photoreactor system was designed and tested. The treatment volume of air was about 3000㎥/day.

      • 과학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지원정책 영향 : - BK21사업을 중심으로 -

        김명진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과학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지원정책 영향 - BK21사업을 중심으로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세계 인재랭킹에서 우리나라는 30위권에 정체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인재개발을 위한 투자와 발전이 우수한 편인 반면 인재를 유치하는 매력도가 저조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청년과학자의 불안정한 신분, 단기성과 위주의 평가, 과도한 경쟁 유도, 프로젝트 기반 인건비 지원제도 등 불안정한 연구환경을 조성하는 정부정책 영향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이공계지원특별법을 제정하고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 추진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등 과학기술 연구 인력양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로인해 대학원 입학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특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세부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연구는 조직 차원의 접근을 통해 인력양성 지원 정책영향을 분석하는 양적연구이다. 정부의 대표적 연구인력양성 정책인 BK21사업 수행 대학을 대상으로 대학의 재정수혜가 대학원생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주요 대학의 대학원생 진로 지원제도 현황들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연구는 개인 차원의 접근을 통해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영향을 분석하는 질적연구이다. Bloom의 전문성 발달이론과 Csikszentmihalyi의 체제모형을 응용하여 BK21사업 수혜자인 과학자 7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실시하였다. 과학자의 성장단계별 주요 질의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자의 전문성 발달과정 주요 특성과 정책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에서 전체 대학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교수 연구비는 대학원생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대학원생 장학금은 진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학생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 연구비를 확보에 집중해야 하고, 진학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학금 확보에 집중하는 운영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세부적인 대학 유형별로 샘플을 분리하여 재정수혜가 대학원생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공립 대학에서는 재정수혜의 영향이 확인되지 않고, 사립대학에서는 연구비와 장학금의 영향이 확인되는데 그 결과가 소재지에 따라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지방 사립대학에서는 장학금 지급 여력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진학률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추가 점검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이후 계량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대학의 대학원생 진로지원 제도들을 분석하였는데, 대학원생 진로에 대한 전주기적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많은 제도들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많은 대학이 공통적으로 취업지원 교육과정 개설, 취업박람회 및 상담지원과 같은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고, 특히 지방대학은 자교 학생이 수도권 대학으로 진출하지 않고 자교로의 진학을 유도하기 위해 자교 출신학생 장학금 제도 등을 시행하면서 학생 수급에 많은 재원을 투입하고 있었다. 이것은 재정수혜가 대학원생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양적연구와도 일관성 있는 타당한 결과로 볼 수 있겠다. 두 번째 연구를 통해 과학자들의 발달과정은 각기 다양하였지만 공통적인 특성들도 상당수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자들은 Bloom의 이론과 일치하게 입문기인 학부생 시절에는 자신의 전공영역에서 수업을 통해 흥미있는 분야를 발견하는 시기였고, 과도기인 대학원생과 박사후연구원 시기에는 자신의 세부 전공분야에서 자기주도적 스스로 학습, 의사소통능력, 시간활용능력 등을 습득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완성기에는 자신의 분야에서 과학자로 뛰어난 업적을 남기고 싶어 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인터뷰 결과로 확인된 과학자들의 전문성 발달단계별 특성은 Bloom의 전문성 발달이론이 정부정책 수혜자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입문기, 과도기, 완성기로 단계별로 진화하면서 전문성이 발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각 발달과정에서 Csikszentmihalyi의 모형에 따라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상호작용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BK21사업 중심으로 각 발달과정에서의 지원정책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대학원생 시기에는 등록금 등 학비 지원과 해외연수 지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고, 박사후연구원 시기에는 해외로의 박사후연구원 진출을 기본경력으로 고려하고 있었다. 해외 박사후연구원으로 진출 하기 전 공백기간 동안 연구활동이 단절되지 않도록 BK21사업 신진연구인력 지원제도가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로 임용된 후에는 연구활동과 학과 운영에 정부정책 및 평가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고, BK21사업의 과도하게 많은 평가지표로 인해 실효성 없는 단기 프로그램들을 운영하는 부작용도 일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와 연구배경, 선행연구 분석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 및 BK21사업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제언들은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과학기술 인력양성을 고민하는 정부의 정책 기획자, 정부 예산을 어떻게 집행해야 인력양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준정부기관의 관리자에게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과학기술 인력양성, 전문성 발달, 대학원생, BK21사업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xpertise of scientists and the influence of support policies - Focused on the BK21 program - Myeongjin Kim Department of Public Policy,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wanpyo Bae) In the world talent ranking announced yearly by the Swiss Inter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MD), our country is stagnant in 30th place. While our country has excellent investment and development for talent development, the attractiveness of attracting talent is low. This is related to the impact of the government policy that creates unstable research environments such as the volatile status of youth scientists, short-term evaluation, excessive competition inducement, and project-based systems. In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is making a lot of efforts to foster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by enacting a special law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upport and expanding the budget for promoting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Due to this, the number of graduate school students has continued to increase, and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 graduates is steadily ris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licy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s policy in science and technology, draw problems and propose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is. This study consists of two detailed studies. The first study is a quantit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policy impact of support for manpower through an organizational approach.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on the careers of graduate students was analyzed for the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BK21 program, the government's representative research human resources, and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support systems for graduate students at major universities was examined. The second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impact of fostering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through personal acces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scientists who are the recipients of the BK21 program by applying the system model of Bloom's expertise development theory and Csikszentmihalyi.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ajor questions and answers by the scientists' growth stage, we analyzed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act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cientist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ntire university as a research subject, it was confirmed that professors' research funding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graduate students' employment, and scholar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advancement. This means that if we want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we should focus on securing research funds for professors, and if we want to increase the entrance rate, we should set up an operational strategy that focuses on securing scholarships. Next, the sample was separated by detailed college type and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on graduate student pathways was analyzed. The National University h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is not confirmed. The impact of research funds and scholarships at private universities is confirmed and the results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 particular, the local private universities have been asked to further check whether the students' entrance rate is low due to a lack of scholarship allowance.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e have analyzed the pathway support systems of major universities in Korea. It has been confirmed that many institutions are operating the system to build customized support systems for graduate students. Many universities have commonly operated institutions such as the opening of the job support curriculum, job fairs, and counseling support, and the local universities have invested much of their student scholarships to encourage students to enter the self-governing school. This can be seen 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on graduate students' careers. The second study showed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scientists varied, but there were many comm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Bloom theory, scientists in their undergraduate years found their field of interest through classes in their major and learned about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ability to utilize their specialized field during their graduate school days. The final stage showed the characteristics that wanted to leave outstanding achievements with scientists in their fiel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tise development stages of scientists confirmed as the result of the interview show that Bloom's expertise development theory can be applied to government policy recipients. It was confirmed that expertise develops as it evolves through the stages of entry, transition, and completion, and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appear to have mutual influences in each development process. Next, the impact of support policies at each stage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BK21 program. Tuition support and overseas training during graduate school had an impact, and postdoctoral research students valued their research experience abroad. It was shown that the BK21 program manpower system is playing a stepping stone to preventing research activities during the vacuum period before going to the overseas postdoctoral researcher. After being appointed professor,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policy and evaluation influenced the research activities and the operation of the department, and the excessive evaluation of the BK21 program was found to have some side effects operating inefficient short-term programs. By synthesizing the research results, research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training policy and the BK21 program policy were presented, and policy improvement plans were presented. The policy proposals of this study will be a good reference for government policymakers who are thinking about fostering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in preparation for the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 managers who are thinking about way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science and technology. Keywords : the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resources training, expertise development, graduate student, the BK21 program

      • 광용적맥파(PPG) 분석을 통한 음파진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광용적맥파(PPG) 분석을 통한 음파진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명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즘 현대인들은 항상 바쁜 회사와 가정 그리고 각종 사회생활에 자신의 항상 시간이 부족하다. 그리하여 자기개발인 학업 및 운동에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을 할애 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현 시대를 반영하여, 적은 노력과 시간으로 업무와 학업을 병행하며 신체개선을 병행 할 수 있는 음파진동운동 장비의 효과 및 효능을 광용적맥파(PPG; photoplethysmography)와 혈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여, 바쁜 현대인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아래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음파진동운동기는 근육을 강화시키고 골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장비로, 모터 진동운동 방식에서 음파진동운동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음파진동운동기는 상대적으로 근력강화에 대한 실험들만 진행되어 왔었다. 그에 대하여 음파진동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여 새로운 효과에 대하여 가능성을 확인 하려고 하였다. 실험은 각각 4 Hz, 8 Hz, 20 Hz, 30 Hz의 주파수로 진행 되었으며, 실험마다 미분맥파지수, 박출강도, 혈관탄성도, 잔혈량을 비교하여, 혈관의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확인을 하였다. 실험 1은 다른 실험에 비하여 변화 값은 적으나, 혈관탄성도에서 많은 변화를 보였다. 실험 2는 다른 실험에 비하여 변화 값은 적으나 잔혈량의 수치가 실험 4 다음으로 많이 감소하였다. 실험 3은 미분맥파지수가 가장 높게 변화 한 값으로 혈관의 노화정도를 개선하려한다면, 실험3의 강도 (주파수 20Hz, 강도 90)로 자극을 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다 실험 4는 다른 실험에 비하여 전체적인 지표가 준수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였다. 혈관에 단기간에 높은 영향을 주고 싶다면 실험 4의 자극(주파수 30 Hz, 강도 100)을 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바쁜 현대인뿐만 아니라 노약자 및 환자에게 효과를 확인한다면, 단순 운동기기를 넘어서 한방 의료기기 분야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직장인의 학습동기가 생애진로설계에 미치는 영향

        김명진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Ⅰ. Purpose of the Study There has been many changes in life cycle with prolonged length of life owing to the developments of science, and people are making efforts for enjoying more affluent & valuable life during their prolonged life. The enforcement of five-day workweek changed people's life-style and increased free time. They are making many efforts to use increased free time into leisure of more productive type rather than simple consumptive type. We can see many people to acquire skills required for business & plan their future career including activities of hobby & leisure for their life and doing meaningful things to serve for the society after leaving their office or on weekends. Therefore, it's required to acquire the necessary knowledge & skill through learning during life and cultivate abilities in order to adapt themselves to social changes, so it's very important through life to plan life career plan fitting for the situation, experience, interest & aptitude of each individual. Ⅱ. Method of the Study So this study intends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career guidance & counseling in order for individuals to pursuit life they want & maintain stable job life through investigating workers' spheres of learning motivation & life career plan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on life career pla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set as the office workers located in Seoul, and the total 551 copies were studied except for the cases having many inadequate & omitted replies. A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ing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using SPSSWIN 12.0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Ⅲ. Results First, as the difference analysis result of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workers'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it's higher for women than man with high mean value in 20s. As for academic background, it shows significance only in learning motivation for social relations, as for occupational category, it's higher for persons in professional work, and it shows unmarried people have much interest in learning than married people. Second, it shows life career plan comes to differ according to workers'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It's higher for men than women, people over 40s are higher at work-oriented, and as for academic background, it shows significance only in work-oriented. In addition, as for job category, there'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oriented than other factors. This shows that workers pursuit work mainly in planning life career plan and have much interest in developing & improving it. Third, as the result of verifying if there's difference in life career plan according to workers' learning motivation, it was analyzed there are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including activity-oriented type, aim-oriented type & learning-oriented type. According to this analytic result, it shows most workers have high motivation on learning and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ely in order to develop their selves & pursuit individual growth related to their vocations. Fourth, as an analytic result if workers' learning motivation influences on life career plan, it shows individual learning motivation influences on life career plan complexly. It was verified there's greatest influences in work-oriented as the objective career, so it shows workers make much of work in their entire life and learning takes very important role for life career plan. On conclusion, there's significance in learning motivation & life career plan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it shows setting the successful career direction through the systemic learning & educational programs influences positively on the labor market according to analytic result that life career plan comes to differ as to learning motivation. So in order to live a life an individual wants, many efforts will be required for future life career plan through acquiring learning they need. 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사람의 수명 연장과 함께 생애주기에도 많은 변화를 맞고 있으며, 사람들은 길어진 생애동안 보다 풍요롭고 가치있는 삶을 누리기 위해 노력한다. 주5일제 실시는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life-style)을 변화시키고 여가시간을 증대시켰다. 사람들은 증대된 여가시간을 단순히 소비적 형태의 여가로서가 아닌 보다 생산적 형태의 여가로 활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는 퇴근 후나 주말을 이용하여 업무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거나, 자신의 인생에서 필요한 취미나 여가활동하거나,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뜻 깊은 일을 하거나 하는 등 미래에 대한 진로설계를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생애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학습을 통하여 필요한 지식과 기술 등을 습득하고 사회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필요하며, 각 개인의 상황이나 경험, 흥미, 적성 등에 맞는 생애진로설계를 계획하는 것은 생애 전반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와 생애진로설계의 영역을 조사하고 학습동기가 생애진로설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개인이 희망하는 삶을 추구하고, 안정된 직업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진로지도 및 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직장인으로 하였으며, 이중 부적절하고 누락된 응답이 많은 사례를 제외하고 총 551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으며,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를 직장인의 개인특성변인에 따라 차이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냈고, 20대에서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학력에서는 사회관계를 위한 학습동기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고, 직종에서는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높게 나타났으며, 미혼이 기혼보다 학습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직장인의 개인특성변인에 따라 생애진로설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40대 이상이 일지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에서도 일지향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직종에서도 다른 요인들보다 일지향에서 가장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직장인들이 생애진로설계를 계획하는 데 있어 일을 추구하는 부분이 많으며, 이를 더욱 발전시키고 향상시키는 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인의 학습동기에 따라 생애진로설계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활동지향형, 목표지향형, 학습지향형 등의 학습동기에서 모두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분석결과에 따르면 직장인의 대부분이 학습에 대한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과 관련하여 자신을 개발하고 개인적인 성장을 추구하기 위하여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인의 학습동기가 생애진로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분석 결과, 각각의 학습동기가 생애진로설계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객관적 진로인 일지향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는데 이는 직장인들의 전체 생애에서 일(work) 측면을 중요시하는 동시에 생애진로설계를 위해서 학습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개인특성변인에 따라 학습동기 및 생애진로설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학습동기에 따라 생애진로설계가 달라진다는 분석결과에 따라 체계적인 학습과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성공적인 진로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노동시장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개인이 희망하는 삶을 영위해서는 스스로가 필요한 학습을 습득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생애진로설계를 하는 것에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 Development of skin scar and pigmentation in animal models for laser treatment

        김명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피부 흉터는 상처 치유 과정에서 형성되며 외상, 부상 및 화상을 동반하며 선진국에서 매년 1억 명이 넘는 환자가 겪고 있습니다. 일부 흉터는 가려움증과 고통을 동반하고 심리 사회적 문제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연고, 실리콘 겔, 레이저 요법과 같은 다양한 흉터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치료법을 연구하기 위해서 in vitro와 in vivo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흉터는 지속적인 과정의 관찰이 필요하므로 in vivo 연구가 필수적이며 전 임상 단계에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적합한 동물 모델 제작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동물 흉터 모델들은 불규칙한 상처 모양, 복잡한 절차를 가지기 때문에 정량적이고 간단한 동물 모델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랫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빠른 방식의 흉터 모델을 확립하고 레이저에 의해 유발된 상처는 조직염색과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섬유증 유발 인자의 현저한 증가를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제안된 동물 모델이 전 임상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레이저 치료 연구에 적용하였습니다. 흉터 모델뿐만 아니라 최근 화두가 되는 문신 제거 연구를 위해 색소 병변 모델을 개발하여 레이저 치료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현재 임상적으로 색소 병변 치료 지표가 부족한 문신 제거 평가법을 이미지 시스템을 이용해 적용될 수 있는 간단하고 정량적인 방법을 제안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은 다양한 피부 병변 연구에 이용될 수 있으며 정략적인 평가를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를 평가할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