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게히건의 비평모형을 적용한 예술 비평 지도안 연구 : 예술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김려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2015년 교육부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비평’교육을 기본 역량에 추가한다. 이는 예술 비평 교육의 긍정적 신호로 향후 예술교육이 나아가야할 새로운 방향이기도 하다. 기존의 비평교육은 펠트만(Edmund Burke Feldman, b.1924)의 ‘비평적 담화’의 수직적 교사중심의 수업방식과 교수자가 전달하는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수업방식은 특정한 지식이 증진되는 장점은 있지만 학생의 의견이 피력되지 못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심미적 관점’의 증진은 더디게 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기 주도학습’이 반복적인 ‘반성’과 ‘성찰’을 통해 ‘지속적 경험’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게히건(George Geahigan)의 학습모델은 정답을 위한 비평이 아닌 학생이 주체되어 새로운 작품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명확히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가장 적절한 교육비평 모형이다. 예술은 ‘지식’과 ‘기술’을 단순히 획득과 취득하는 것으로 이해 할 수 없고 학생의 심미적 기능과 사고력 또한 발전시켜주지 못한다. 게히건의 모형은 ‘탐구과정’과 경험’을 중시함으로 이를 실효성 있게 보완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예술비평교육의 관점을 벗어나 새로운 비평모델을 적용한 지도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는다. 이러한 게히건의 비평 모형이 적용된 ‘자기 주도학습’의 수업지도안을 총 6차시로 제시하며 대상은 예술 고등학교 학생으로 한정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 스스로의 예술적 ‘취향’과 ‘사고’의 판단력을 높아지는 새로운 예술 비평모형 연구에 일조하는 것을 연구의 의의로 삼는다. In 2015,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added 'criticism' education to basic competencies to grow the 'creative convergence' talent. This is a positive signal of art critic education and is also a new direction for art education to go forward. The traditional criticism education has remained in the way of evaluat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work based on the vertical teacher-centered teaching method of Feldman's ‘critical discourse'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delivered by the professor. The teaching metho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specific knowledge, but the opinions of students are not expressed, therefore, the students' promotion of 'creative thinking' and 'aesthetic point of view' is slowly develop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self-directed learning' must be combined with 'continuous experience' through repeated 'reflection‘. Geahigan's learning model is not the criticism for the correct answer, but the most appropriate educational criticism model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xpress their views on new arts clearly. Understanding arts cannot be achieved to simply acquire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it does not develop the aesthetic skills and thinking way of students. Geahigan's model emphasizes 'critical inquiry' and experience, effectively complementing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uidance plan that applies a new criticism model beyond the perspective of existing art critic education. The instructional plan of 'self-directed learning' to which this criticism model of Geahigan is applied is presented in a total of six hours, and the subject is limited to the students of art high school.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help students study new artistic criticism models that enhance the judgment of their own artistic “flavor” and “thinking.”

      • 노인의 골프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김려원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Analysis on the?the Actual conditions of Elderly's Involvement in Golf and Improving Their Participation. ?Kim Ryeo Won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Graduate School?Korea University ??????? As median living age is getting higher, we are faced with difficult challenges of improving qualities of life for the elders of our generation. Specially, physical health for the elderly are major concern? not only for the families involved but also society as whole. Local and federal government are trying hard to improve life qualities of the old people by providing medical and social services but it is obvious there should be more? measures needed. However, rather than relying on those social benefits alone,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be more active in sports may give greater benefits to their qualities of life.? Among the sports, golf is considered by many as one of better sport for the old people to participate because of low demand on your body physically. At the same time, many people are hesitant to participate by following concerns: cost involved with golf, golf facilities, and services provid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improve participation to the sports of golf from elderly people by analyzing two groups of survey participants.?The first group is elderly people whose age is over 60 who are already playing golf. They are provided with?set of uestionaires that are consists of three main parts, which are cost involved with golf, facilities, and qualities of general services. ? The second group is for the elderly people over 60 who never?played the game of golf. They are also provided with a questionaires with same catagorie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conducted. ???? First, elderly people who already participating the sport of golf?, maintaining a?good health(33.3%),and getting a upper hand in?business dealings (23.3%) scored high for advantages for playing golf. On the other hand, high?cost for golfing fees (29.2%), expensive additional facilities use fees (28.9%), and lack of professional services are pointed out as a major obstacles for them. To improve their golfing experience, for the economy reasons,?players indicated? golfing fees (32.3%), fees associated with additional facilities(17.9%), and cost of buying golf equipments(15.5%) rated high on their list. Also,? they want improved golf facilities(57.7%),?specially adequate?locker and shower (15.5%) are must for them. Finally, diverse golf fee system(23.7%), special occasion promotion program(17.5%)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m. ?? Second, elderly people who never played golf before, Their interest in golf was very high(84%). The obstacles that prevent them from playing golf are lack of free time(31%), and high cost that associated with game of golf(28%). When you look into details of? survey, It is obvious they are really concerned about golfing fees(60%), golf equipment cost(24%), and fess associated with using golf facilities(10%). ??? In conclusion, To draw more elderly people to the game of golf,? developing? various programs for elderly people in terms of pricing point, old people friendly facilities, and marketing strategy specifically designed for elderly are essential. Most of all, survey shows high cost involved with golf are the major concern for elderly people. To solve this problem, as this study shows, creative ideas from both local?,feder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are essential.

      •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김려원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상담관련 근무 경력이 3년 이하인 초심상담자 232명에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자기자비, 정서조절곤란, 심리적 소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측정을 위해 Freeston 등(1994)이 개발하고, 이슬(2016)이 한국판으로 타당화한 척도(K-IUS-14)를 사용하였다. 자기자비는 Neff(2003b)가 개발하고 김경의 등(2008)이 번안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조절곤란은 Gratz와 Roemer(2004)가 개발하고 조용래(2007)가 번안 및 타당화한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DERS)를 사용하였다. 심리적 소진은 Lee 등(2007)이 개발하고 Yu(2007)가 한국판으로 타당화한 한국판 상담자 소진 척도(K-CB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 정서조절곤란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자비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기자비는 심리적 소진, 정서조절곤란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정서조절곤란은 심리적 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둘째, Hayes(2020)의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이용하여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심리적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자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은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심리적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의 순차적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20)의 SPSS PROCESS macro의 model 6을 이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이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심리적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자기자비가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초심상담자가 불확실한 상황을 경험할 때,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비난하지 않고 부정적인 정서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스스로를 돌보는 것이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novice counselor.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self-compassi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with 232 novice counselors whose career was three years or less in counseling-related jobs across the na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measured with the Korean-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K-IUS-14) developed by Freeston et al(1994) and validated as a Korean version by Lee Seul(2016). Self-compassion was measured with the Korean Self-Compassion Scale(K-SCS) developed by Neff(2003b) and translated and validated as a Korean version by Kim Gyeong-ui et al(2008). Emotional dysregulation was measured with th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DERS) developed by Gratz and Roemer(2004) and translated and validated as a Korean version by Jo Yong-rae(2007). Psychological burnout was measured with the Korean-Counselor Burnout Inventory(K-CBI) developed by Lee et al(2007) and validated as a Korean version by Yu(2007).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psychological burnout, and emotional dysregulation.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elf-compassion, which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emotional dysregulation, and thi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burnout.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novice counselors with model 4 of SPSS PROCESS Macro in Hayes(2020) and found that self-compass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burnout via self-compassion. Thirdly, the study test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novice counselor and found that i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two variables, which suggests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psychological burnout via emotional dysregulation. Finally, the study test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with model 6 of SPSS PROCESS Macro in Hayes(2020).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ha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se finding indicates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s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but has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by mediating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sequentiall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self-compassion can be used as a method of regulating emotions to prevent psychological burnout in novice counselors that are intolerant of uncertainty. That is, the findings imply that novice counselors in an uncertain situation can lower their psychological burnout by taking care of themselves to avoid self-criticism of their shortcomings and regulate their negative emotions in an adaptive manner.

      • 노인의 손 씻기 관련요인

        김려원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손 씻기는 개인위생을 실천하는 첫 걸음이다. 이는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가 손을 통하여 전파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예방법으로(Baek, 2005), 손 씻기를 통해서 최근 문제가 되었던 사스, 감기인플루엔자, 식중독, 유행성 눈병 등의 전염병 예방이 가능하며, 최근의 연구결과에서 일반 비누를 사용한 손 씻기 증진만으로 폐렴과 설사, 세균성 이질의 발생률을 40~50% 감소시켰다고 보고되고 있다(Curtis 등, 2003). 특히 노인은 신체적 퇴화로 인해 기능이 감소되고 만성 퇴행성 질환의 높은 이환율을 가지고 있어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새로운 건강습관을 갖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손 씻기와 관련된 지식, 태도, 손 씻기 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손 씻기 실천의 영향요인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지역주민의 건강수준과 보건의식 행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 매년 전국 시·군·구에서 시행되는 지역사회 건강조사의 2015년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63,915명이며, 본 연구에 사용된 2015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는 2015년 8월 31일부터 2015년 11월 8일까지 조사가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65세 이상 노인에서 손 씻기 실천이 높은 집단은 여성, 65~70세 연령대, 동 거주자, 아파트 거주자,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수록, 손 씻기 태도가 긍정적이고, 손 씻기 교육 및 홍보 경험이 있는 경우로 도출되었다. Infectious diseases circulating in the home and community remain a significant health concern. Hand cleanliness the most important intervention in the control of cross-infection. Therefore, hand hygiene will be considered first. In particular, the elderly are a risk group in which the immune system is not fully developed, as the function of the immune system is diminished by physical degeneration. In addition, they are vulnerable to infection as compared with other age groups, and the morbidity and mortality rate of infectious diseases are also high.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in the past on hand hygiene.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related to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of hand hygiene with the elderly. Referring to the 2015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KCHS), the focus of this research was on 63,915 seniors(≥ 65 years). For analysis, the Chi-square distribu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WIN(ver. 25.0)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A total of 84.7% of the elderly washed hands before meals, 70.0% of the elderly washed hands after going out, 80.7% of the elderly washed hands after using a toilet, and 58.3% of the elderly used soap and hand sanitizer when they wash their hands. Groups with high hand washing practices among people over 65 years old were females, the residents of a dong area, apartment dwellers, people with subjectively better health, people with positive attitude for hand washing, and people who are educated and knowledgeable about the importance of hand was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future as the preliminary data to improve public health and wellbeing for the elderly.

      • 중다 요소 중재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도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 참여행동 및 교사의 사회적 강화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려원 순천향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요한 요소인 기능평가와 중다 요소 중재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3명의 초등2학년 자폐성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문제행동 감소와 유지, 수업 참여행동의 증가와 유지, 그리고 학생에 대한 교사의 사회적 강화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은 시각적 분석과 통계적 분석을 함께 사용하였다. 시각적 분석을 위한 보충자료로 실험조건의 변경 시 4분법(quarter-intersect method)을 사용하여 평균과 경향선의 변화, 비중첩 자료의 비율(Percent of Non-overlapping Data, 이하 PND), 실험 조건 간의 자료의 기울기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셀 프로그램의 기울기 함수(SLOPE(known_y's, known_x's)를 이용하여 산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본 연구 대상인 중도 자폐성장애 3명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본 연구 대상인 중도 자폐성장애 3명 학생의 수업 참여행동 증가에 효과가 있었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생에 대한 교사의 사회적 강화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에 효과가 있었다.

      • 한국 주크박스 뮤지컬에 대한 연구 : 뮤지컬 <젊음의 행진>을 중심으로

        김려원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Musical has the largest percentage at performance market and it is a stage art’s genre which is never separated from the public. Specifically jukebox musical which number consists of the popular song ha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popularity. Musical genre works beyond music drama and dance drama has been created since the 1960s in South Korea; however, advanced research is insufficient as the history was short. Especially, only a very small minority of research on jukebox musical exists. Most of research about Jukebox musical issued in domestic have dealt with worldwide steady seller musical <Mamamia!> consisting of ABBA musics. As other Korean creation jukebox musical, only a few research such as musical <the days> or <December: never ending song> made by the late Kim Gwang-Suk exist. For a while, some words such as‘Slow food’ or ‘Aesthetics of slow’ appeared and newly stimulated the emotion of turbulent times. As a similar context, if ‘old people’ listen to electronic music or songs composed of neologism which never causes attention and hard to understand, people become to recall lyrical song and a rustic rhythm and melody again. As if representing this kind of fact, Cable channel tvN had broadcasted <Reply> series which dealt with daily life and social issues in detail in the 1990s since 2012. This drama series had swept three times the whole country for 4 years. Furthermore, it put the generation who did not experience the period into old song’s attraction by remaking and issuing the time’s popular songs which appeared in the drama. Since the period of broadcasting and performance of 2015 musical <March of Youth> was overlapped with <Reply 1988(2015)>, it suited to more wide range of audience’s palate. And it was the great box office hit since the performance season has started in 2007. K-POP and singers singing K-POP are spotlighted in abroad and the culture contents of Korea are continuously touching off a boom at movies and dramas. I suggest that our musical market also study & develop K-Musical and participate in globalization by our musical based on rapid reaction and contents analysis. This research is being proceeded based on musical <March of Youth> which has been loved for such a long time among Korea creation jukebox musical. Furthermore, research on other contents which have worth to compare and analyze will be proceeded together including the nature of this work. The formation of this research as following. Firstly, chapter 1 explains the study goal and object about Korea creation jukebox musical and the composition. Furthermore, it considers advanced research and lists study methods. Chapter 2 explains the definition of jukebox musical and examines the history of jukebox musical. Also, arranging the history of Korea creation musical and examine the nature. Also, it examines jukebox musical and popular music concert together. After that, chapter 3 narrows down the range in earnest. With Korea creation jukebox musical <March of Youth> as the center, it will examine the utilization of the existing content materials in detail. It will also examine work script and the number. After analysing a work in earnest, it will analyze the merits and demerits of each other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a few other contents. At the conclusion, it may suggest the prospec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Korea creation jukebox musical based on the pre-analyzed contents. 뮤지컬은 공연 시장 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중성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무대예술의 한 장르이다. 그 중 특히나 넘버가 대중가요로 이루어진 주크박스 뮤지컬은 대중성과 굉장히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60년대부터 악극과 무용극을 넘어 뮤지컬이라는 장르의 작품들이 창작되기 시작했는데, 역사가 그리 길지 않은 만큼 선행 연구 자료가 많지 않고, 특히나 주크박스 뮤지컬에 관한 연구는 극소수만이 존재한다. 국내에서 발표된 주크박스 뮤지컬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이 ABBA의 음악들로 이루어진 세계적인 스테디셀러 뮤지컬<맘마미아!>에 관해 다룬 것이며, 그 외 한국 창작 주크박스 뮤지컬로는 故김광석의 음악으로 만들어진 뮤지컬<그날들>이나 <디셈버:끝나지 않은 노래> 등에 대해서 연구한 몇 가지 것들만 존재한다. 한 동안 ‘슬로우 푸드’나 ‘느림의 미학’과 같은 단어들이 등장해, ‘빠르게’만을 외치며 격변하는 시대의 감성을 새롭게 자극했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옛날 사람들’은 이해하기 힘든 일렉트로닉 뮤직이나 관심 가지지 않던 신조어가사들로 이뤄진 곡들을 듣고 있노라면, 다시금 서정적인 가사에 조금은 촌스러운 리듬과 멜로디로 이루어진 음악들을 그리워하며 추억한다. 이러한 사실을 대변이라도 하듯이 2012년부터 케이블 채널 tvN에서는 80년대와 90년대 당시의 소소한 일상과 음악, 사회적 이슈 등을 섬세하게 그린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가 방영되었고, 이 드라마 시리즈는 4년 동안 세 차례나 전국을 휩쓸었다. 또한 이 드라마에서 다뤄졌던 당시의 대중가요들을 리메이크해 발표하면서, ‘그 시절’을 살지 못한 세대들까지 옛 음악의 매력에 빠지게 만들었다. 2015년 뮤지컬 <젊음의 행진>은 《응답하라1988(2015)》의 방영시기와 공연시기가 겹치는 바람에 더욱 폭넓은 관객층의 입맛에 맞았고, 2007년부터 시작된 공연 시즌 중 가장 큰 흥행을 거두었다. K-POP과 K-POP을 부른 가수들이 해외에서 각광을 받으며, 영화, 드라마 등 한국의 문화 콘텐츠들이 지속적으로 붐을 일으키고 있다. 뮤지컬 시장에서도 발 빠른 대처와 콘텐츠 분석으로 K-Musical 을 연구하고 발전시켜 우리의 뮤지컬로 세계화에 동참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창작 주크박스 뮤지컬 중 오랜 기간 사랑받아온 뮤지컬<젊음의 행진>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더불어 이 작품의 특성과 함께 비교·분석될 가치가 있는 다른 콘텐츠들의 연구도 함께 진행할 것이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장은 한국 창작 주크박스 뮤지컬에 대한 연구 목적과 대상 그리고 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선행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연구 방법을 나열한다. 제 2 장은 주크박스 뮤지컬의 정의를 설명하고 주크박스 뮤지컬의 역사를 살펴본다. 또한, 한국 창작 뮤지컬의 역사를 정리하고, 그 특징을 알아본다. 또, 주크박스 뮤지컬과 대중음악 콘서트를 함께 살펴본다. 그 후, 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범위를 좁힌다. 한국 창작 주크박스 뮤지컬 <젊음의 행진>을 중심으로 작품 속, 기존 콘텐츠 소재의 활용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볼 것이며, 작품의 대본과 넘버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작품을 본격적으로 분석한 후에는 이 작품 외의 다른 몇 가지 콘텐츠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서로의 장단점을 분석 해볼 것 이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앞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앞으로의 한국 창작 주크박스 뮤지컬의 전망과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제시하고자 한다.

      • 모듈 패턴 기반의 인공자연 이미지 생성과 복잡도(Complexity) 조율 방식 연구

        김려원 부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현대 예술은 인공자연 이미지를 통해 시각적 표현과 복잡도를 탐구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연구자는 인공자연 이미지를 제작한 평면 회화 및 그래픽 연구작품의 모듈 패턴을 분석했고, 연구작품에 등장하는 트리 모델(Tree Model)과 터레인 모델(Terrain Model)의 복잡도 조율 방식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예술과 다른 학문 분야 간의 상호작용과 융합을 탐구하며, 창의적 시각 경험과 표현방식에 대해 통찰력을 얻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연구자의 대표 시리즈인 <인공자연 시뮬레이션> 연작이다. 해당 연작은 회화 버전과 그래픽 버전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연구자는 <인공자연 시뮬레이션> 회화 연구작품을 컴퓨터 생성 이미지와 생성예술의 한 형태로 발전시키는 과정으로 분류한다. 다시 말해, 이미지 패턴 분석 방법론을 찾아내고 해당 방법을 통해 컴퓨터 기반 창작을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는지 검토한다. 연구자는 이 과정에서 컴퓨테이셔널 아트 크리에이티비티(Computational Art Creativity)를 기반으로 작품을 만들어가는 방법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예술과 다른 분야의 상호작용과 융합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창의적 시각 경험과 표현방식을 탐구할 수 있다. 연구자의 방법론과 연구 결과는 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구작품 결과물에서는 컴퓨터에 의한 이미지 생성과 제너레이티브 아트 이미지를 복잡도 수치 조율을 통해 유형화하고 확장 시킨다. 연구작품 결과물을 통해 컴퓨터 그래픽의 이미지 처리와 미술 분야에서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연구자는 시각예술을 통해 컴퓨터 그래픽스(Computer Graphics)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고 복잡도를 활용한 이미지 조율 능력과 연구작품 결과물에서의 시각성을 연결한다. 회화 연구작품 이미지 분류에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 필요하며, 그래픽과 평면 회화를 통해 인공자연 환경을 표현하고 분석함으로써, 창작과정에서 시각적인 요소와 복잡도를 고려하고자하여 일종의 시스템을 만든다. 이는 연구작품에 더 깊은 의미와 창의성을 부여하며, 예술과 과학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새로운 표현방식을 모색하고자 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예술 분야에서 다양한 시각적 표현 방식을 탐구하고 새로운 관점과 아이디어를 발굴함으로써 예술 영역을 넘어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줄 것을 기대한다. In this study, presents a new methodology in contemporary art driven by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exploring visual representation and complexity through artificial nature imagery. The researcher analyzed modular patterns in the creation of artificial nature images in flat paintings and graphic artworks, examining the complexity control methods of tree models and terrain models featured in these works. The goal is to explore the interaction and integration between art and other disciplines, gaining insights into creative visual experiences and modes of expression. The focus of the study is the researcher's representative series called "Artificial Nature Simulation." This series is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painting version and the graphic version. The researcher classifies the painting research works of "Artificial Nature Simulation" as a process of evolving computer-generated images and generative art as a form of creative expression. In other words, they investigate methods to advance computer-based creativity through image pattern analysis, seeking to comprehend computational art creativity. Through this research,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and fusion between art and other fields can be achieved, while exploring creative visual experiences and modes of expression. The methodology and findings of the study offer potential applications not only in the field of art but also in other domains. The research results classify computer-generated image creation and generative art imagery through complexity adjustments, enhancing typification and expansion. The analysis of computer graphics image processing and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in the field of visual arts is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Moreover, the researcher confirms attitudes towards computer graphics through visual arts and connects complexity with image adjustment abilities and visuality in the research works.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is required for the classification of painting research works, and by representing and analyzing artificial nature environments through graphics and flat paintings, a sort of system is created, considering visual elements and complexity in the creative process. This endows the research works with deeper meaning and creativity, showcasing the exploration of new expressive methods at the intersection of art and science. Ultimately, the researcher expects to influence various fields beyond art by exploring diverse visual expression methods and discovering new perspectives and ideas in the realm of art.

      • 조나단 라슨(Jonathan Larson) 연구 : 뮤지컬 <Rent>를 중심으로

        김려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paper is on Jonathan Larson, the composer and playwright of the musical, Rent. In the 1990s, a trend was created in the field of musical by England's Mega Musical led by Andrew Lloyd Webber and Cameron Mackintosh and remakes of the musicals in the past. Larson broke this trend by creating a musical with a new structure using unconventional themes and subjects. Larson went down in the history of musicals by using rock music in his musicals during a time when the musical market was flooding with old-fashioned musicals. This style attracted the younger generation into musicals. Rent, a musical that provocatively displayed the social issues of the era, was Larson’s autobiographical work that reflected his life. His premature death a day before the preview performance of this musical added a stronger meaning to the work. This research paper explores the life and career of Larson over three time periods: before 1990, during 1990s, and after Larson’s death to the present. Reviewing Larson’s hommage to Stephen Sondheim, who Larson revered, I examined the influence Sondheim had on Larson’s works. Larson developed a great interest in playwriting and stage performance from a young age. However, he had a premature death at the age of thirty six. Today, two of his works, Tick Tick Boom and Rent, are well known to the public. Larson was a passionate fan of Sondheim. He was a youth who had an ambition to follow Sondheim’s footsteps to open a new chapter in the musical genre. “Sunday”, a song Larson wrote, shows his homage to Sondheim through its title and rhymes, which were derived from Sondheim’s work. This research paper explains the synopsis and plot of Rent, the period of history in the United States at the time of Rent’s cre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about rock musicals. No one expected the success of Rent. However, it attracted the MTV generations into theater districts with its close ties to pop culture. In 1996, it earned a number of awards in prestigious awards ceremonies. Rent not only broke down the wall between the public and musical genre by making a statement towards the panic caused by the spread of AIDS, but also influenced the public to see that musicals were not old-fashioned. Also, I analyzed the musical about the aspects of the characters and the themes. I analyzed each character’s person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This analysis revealed the several aspects on the social stratum. Further analysis of this stratum provided and explained the traits of each class. Also, I conducted more analyses on the characters in regards to their social classes. Through these analyses, I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modern society and the society described in Rent. In addition, I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matters involved in the plot of the musical. While concluding my analysis, I searched for the main theme of Rent, finding that Larson displayed his attitude towards life and his values in this work. Larson, through unconventional subjects and raw expressions, displayed a life accompanied by sincere love and conveyed the theme that one should be faithful to present, neither the past nor the future. While studying the theme, I discovered the importance of the personality of Angel – one of the main characters in Rent– and the importance of his existence in the context of the musical. Angel, despite his unfavorable conditions, does not hide his weaknesses. Instead, he is confident and shows sincere love and kindness to others. Moreover, he exemplifies the meaning of true love to people around him to eventually save Mimi before he dies, so that those who are alive can find hope and dream once again. Also, he reminds them to understand and to embrace one another. The theme of Rent is conceptualized through its number, the three songs, “La Vie Boheme”, “No Day but Today”, and “Seasons of Love”, which condense the main theme. Larson reveals the lives of young artists who pursue their dreams despite their hardships and handicaps through “La Vie Boheme”. Then he delivers a message to the younger generation to live their lives to the fullest at this present, rather than regret the past or make uncertain promises about the future. Finally, he states that “today” is a precious moment accompanied by love, which is the most valuable part about life. In Korea today, there are but few papers and researches on the importance of Jonathon Larson and his musical Rent.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hat we would realize the reward of studying Rent in depth. It is a work that can shed light on the life of the modern age with great ease.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Rent>의 작곡가이자 극작가인 조나단 라슨(Jonathan Larson)에 대해 탐구하였다. 그는 1990년대 앤드류 로이드 웨버(Andrew Lloyd Webber)와 카메론 메킨토시(Cameron Mackintosh)가 이끌었던 영국의 메가 뮤지컬(Mega Musical)과 리바이벌(Revival)하여 제작된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던 기존의 뮤지컬의 흐름을 깨고 새로운 형식과 주제, 그리고 파격적인 소재를 다루었다. 구식으로 취급되던 뮤지컬 시장에 록(Rock)이라는 장르로 젊은 관객세대를 이끌어내는 등 뮤지컬 역사에 획을 그었다. 당대(當代)의 사회적 이슈(Issue)를 직설적이고 도발적으로 드러내면서도 거창하지 않게 표현한 <Rent>는 조나단 라슨의 자서전이라고 할 만큼 그의 삶이 작품에 크게 반영되었다. 프리뷰(Preview)공연 전날 갑작스러운 그의 요절(夭折)마저도 작품의미를 실어주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나단 라슨의 생애와 작품 활동 및 연혁을 시대별로 조사하여 그의 일대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어렸을 때부터 극작과 공연활동에 지대한 관심을 두고 꾸준히 자신의 꿈을 키워온 라슨은 서른여섯 살의 짧은 생을 마감하였다. 따라서 현재 대중에게 알려진 작품은 <Tick tick Boom>과 <Rent> 두 작품이다. 라슨은 스태픈 손드하임(Stephen Sondheim)의 열렬한 팬(Fan)이자, 그의 뒤를 이어 뮤지컬의 새로운 장을 열겠다는 포부를 가진 후생(後生)으로서, 그에 대한 오마주(Hommage)를 통해 존경심을 드러냈다. 특히 ‘Sunday'라는 곡은 제목의 차용과 압운(押韻)을 통해 그에 대한 오마주를 드러냈는데 손드하임의 작품과 비교를 통하여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뮤지컬 <Rent>의 개요 및 줄거리를 살펴보고 오리지널 버전(Original Version) 초연 당시 미국사회의 시대적 상황, 그리고 이 작품의 특징인 록뮤지컬에 대한 개괄적인 의미를 다루었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작품의 성공은 MTV세대들을 극장가로 끌어들였으며, 1996년 한 해 각종 권위 있는 시상식의 상을 동시 석권하였다. 에이즈에 대한 공포로 휩싸였던 <Rent> 초연 당시 시대적 분위기와 뮤지컬 음악은 구식이라는 인식을 뒤바꿔 록 콘서트(Rock Concert)장 같은 뮤지컬로, 대중음악과의 장벽을 무너뜨린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좀 더 구체적으로 인물분석, 소재의 의미 분석 등의 작품분석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하였는데, 우선 각각의 캐릭터(Character)별 성격분석 및 관계, 그로 인해서 나타난 다양한 사회계층의 양상에 대해 사회계층별 분류·예시 및 특성, 사회계층별 등장인물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Rent>의 현대 사회와의 실제적 연관성과 특징을 나타내고, 플롯(Plot)에서 다루어지는 소재의 의미에 대해 소품과 소재로 나누어 표면적 의미와 내면적 의미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하여 뮤지컬 <Rent>에 나타나는 작품의 주제의식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봄으로써 조나단 라슨이 작품 속에 자신의 삶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을 나타내었음을 연구하였다. 라슨은 파격적인 소재와 원색적인 표현을 내세워 진실한 사랑이 수반된 삶과 과거도, 미래도 아닌 오늘 이 순간에 충실하자고 말한다. 주제를 연구함에 있어서 특히 <Rent> 등장인물 엔젤을 통한 주제의식을 알아보고자 엔젤(Angel)의 성격 및 특성과 엔젤(Angel)이 가진 의미와 중요성을 재조명하였는데 엔젤은 자신의 악조건에도 굴하지 않고 당당하게 드러냄으로써 오히려 장점으로 승화시키며 남에게 진실한 마음으로 친절과 사랑을 베푼다. 또한 그는 주변인들에게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전달하고 죽음으로써 미미를 되살려 살아있는 자들에게 꿈과 희망을 되찾게 하고 서로에 대한 이해와 포용을 깨우치게 함의 의미를 갖는다. 주제의식은 넘버(Number)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다루어진다. 특히 ‘La Vie Boheme’, ‘No Day but Today’, ‘Seasons of Love’ 세 곡을 통해 주제를 응축할 수 있는데, 사회의 악으로 불릴만한 조건을 가지고 있고 지위나 명예 없이 가난하지만 자신들만의 순수예술을 지향하는 젊은 예술가들의 삶을 거침없이 드러내는 ‘La bie Boheme’과 불안정한 삶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과거에 대한 후회나 미련도, 불확실한 미래를 기약함이 아닌 오늘 바로 이 순간 최선을 다하자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그 오늘은 다른 가치로는 셀 수 없는 바로 사랑이 수반된 소중한 시간임을 역설한다. 본 연구자는 조나단 라슨과 뮤지컬 <Rent>를 메인 텍스트(Main Text)로 다룬 국내 논문이나 학술자료가 거의 전무한 현 실태에 오늘날의 삶을 조명할 수 있는 작품으로 <Rent>의 내재적 의미와 의의를 더욱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성을 통감(痛感)하며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유아교사의 직무요구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김려원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 of infant teacher's job demands on presentism varies depending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teacher (ag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institution, and position) 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job demands on presentism.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to perform such that objectives are as follows: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in presentism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infant teachers (as above articles)?Second, what is the effect of infant teacher's job demands on presentism?Sele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solve the research problems were 349 infant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selection of samples for the subjects was based on convenience and used an arbitrary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tables extracted at random by the researcher. A total of 37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etrieve a total of 353 (95.4%) and 349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four questionnaires that responded insincerely. The collected data was finally classified through the consultation process between researchers and reviewers, verified by the advisor, and collected to calculat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eacher's presentation depending on the age of the infant teacher. Specifically, teachers who are younger had higher presentism than teachers who are older. Such results show the peculiarity of infant education, as young people experienc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flicts due to the lack of coping with various practical problems that occur in the educational field, which causes presentism. Second, infant teachers' job demands have been identified as a direct cause of their presentism.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are relatively small in size compared to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job demands given to each teacher are high. Such high job demands make infant teachers feel high expectation pressure, which eventually becomes a burden, causing physic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and presentism. In summary, this study identifies differences in presentism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infant teachers (ag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institution, and position), and identifies the impact of infant teachers on presentism. As one of the measur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teachers' duties and roles and specify the job contents that they should perfor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nstitutions will be able to practice more stable educational activities when they clearly share their roles and develop educational activities accordingl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직무요구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이 교사의 일반적 배경(연령, 경력, 학력, 기관, 직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과 직무요구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연령, 경력, 학력, 기관, 직위)에 따른 프리젠티즘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요구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정된 연구대상은 부산시 및 경상남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49명이었다. 연구대상의 표본 선정은 편의성에 기준을 두어 연구자 임의대로 추출하는 비확률표집 중에서 임의표집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 총 370부를 배부하여 총 353부(95.4%)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4부를 제외하고 34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와 검토자의 협의 과정을 통해 최종 분류하여 신뢰도를 확인하였고,지도교수에게 타당도를 검증 받았으며,그 결과를 수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라 교사의 프리젠티즘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령이 적은 교사가 연령이 높은 교사들에 비해 프리젠티즘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실제적인 문제상황에 대한 대처가 부족하여 심리·정서적 갈등을 경험하고 이것이 프리젠티즘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요구는 이들의 프리젠티즘을 유발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아교육기관은 다른 교육기관에 비하여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각 교사에게 부여되는 직무요구가 높다. 이렇게 높은 직무요구는 유아교사로 하여금 높은 기대 압력을 느끼게 하며 그것이 결국 부담이 되어 신체, 정서, 심리적 건강 문제 및 프리젠티즘을 유발시킨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연령, 경력, 학력, 기관, 직위)에 따른 프리젠티즘의 차이를 밝히고, 유아교사의 직무요구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면서 이에 따른 유아교사들이 프리젠티즘에 겪지 않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직무요구, 그 가운데서도 역할모호를 벗어날 수 있도록 각종 장치나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교사의 직무와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이들이 수행해야 할 직무 내용을 명시화 해 줄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관 안에서도 서로의 역할분담을 명확히 하고 이에 따라 교육활동을 전개해 갈 때 보다 안정적인 교육활동을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