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L-4에 의한 AID 발현기작과 Ig isotype switching의 관련성에 관한연구

        김란주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Activation-Induced Cytidine Deaminase (AID) is an inducible gene that plays an critical role in Ig class switch recombination and somatic hypermutation (SHM)in B cells. In recent studies, murine AID expression has been shown to be induced by IL-4, CD40 ligand, LPS and BAFF. First, we explored the intracellular signaling mechanisms by which IL-4 mediates AID expression in mouse B cells. IL-4 increased AID expression not only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but also at the protein level. In addition, over-expression of Stat6 further augmented the IL-4-induced AID promoter activity. In contrast, over-expression of DN-Stat6 completely abrogated the promoter activity augmented by IL-4. On the other hand, treatment with H89, an inhibitor of PKA, substantially decreased the IL-4-induced promoter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KA and Stat6 play important roles in IL-4-induced AID expression. Next, we determined whether IL-4-induced AID can affect TGF-β1-induced IgA isotype switching. IL-4 did not augment level of TGF-β1-induced germline a transcription, which is a pre-IgA switching indicator. In contrast, IL-4 further augment the level of TGFβ1-induced a circle transcription, which is a post-IgA switching 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L-4-induced AID participates in IgA isotype switching event for post-germline α transcription.

      • 라이프 스타일을 적용한 디지털 홈 실내설계에 관한 연구

        김란주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국내에서도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홈이라는 새로운 주거 환경을 개발하고 있다. 각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디지털 홈 서비스를 구현하여 사용자 요구에 맞는 주거환경과 서비스를 구축하여 보다 나은 사용자의 안전, 편의 및 삶의 질적인 혁신적인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거환경의 변화를 가져오는 라이프 스타일의 기본 개념과 변화에 대해 고찰 하고, 디지털 시대의 디지털 홈 개념을 알아보며, 사례를 통해 현재까지의 개발되고 있는 System과 공간 가치를 분석하여 미래의 주거 환경의 변화를 고찰하고, 현재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을 분류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주택유형 및 거주자 특성의 유형별 가능한 서비스를 보면, 첫째, 사이버 아파트 노인 가족 건강 생활 중시형은 노인의 생활 특성에 대응하는 생활 지원시스템을 제공해준다. 둘째, 단독주택 맞벌이 가족 생활 지원형은 홈 오피스(재택근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공간 제공) 기능을 제공해준다. 셋째, 일반아파트 중고생 교육 중심형은 위성통신 수신을 통하여 원격교육 시스템, 화상대화형 시스템을 제공해준다. 넷째, 임대 아파트 알뜰 생활형은 에너지 관리 위주의 시스템을 제공해 준다. 마지막으로 독신 직장 Grace life은 엔터테인먼트 위주와 건강관리, 홈오토메이션(생활정보, 자동요리, 매니아 정보 제공 등) 시스템을 적용해준다. 사례를 통한 공간의 특성을 살펴보면 미래의 주거 기능은 거주자의 생활 상을 중심으로 작성된 시나리오가 주거 공간에 설정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을 재구성할 것이다. 거주자의 특성과 요구에 맞게 system을 제공하여 고효율성, 기능성, 편리성 등을 제공하며, 또한 디지털 홈은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따라 가변성, 융통성 있는 주거 공간 또한 변화를 요구할 것이며, 이는 고도의 기술력의 도입에 따른 주거 공간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간의 본질적 감성을 충족할 수 있도록 인간과 자연, 기술이 조화를 이루어 낸 커뮤니케이션의 방법과 문화 등 새로운 생활 양식 또한 창출해 줄 것이다. Recently Korea has been developing one of system called “Digital Home,” which is new residence based on Ubiquitous computing, mainly for real estate business. Ubiquitous computing based Digital Homes are attempting to give perfect residential service under by increase users’ safety, convenience, and value of life for the individual lifestyle users. This following method is the answers of the research. First, this considers the changes of residential lifestyle’s general idea and variety. Second, it identifies Digital home concept of the digital era. Third, it demonstrates some instances; this analyzes the future residential life transforms rooted in currently developed system and space value. Finally, it classifies the types of current lifestyles and currently possible offer services. According to variety types of services for residence and resident; 1. Types of people who mainly concern about cyber apartment elders’ healthy lifestyle, it would present specific lifestyle only for the elders. 2. Types of people who live individual house, both husband and wife working, it would provide Home Office (offers multimedia system for office duty at home). 3. Types of people who live regular apartments and are concerned education, it would offer satellite communications so student can use that video communication system and remote education system. 4. Types of people who live rental apartment and are thrifty, it would give energy care- centered residence. 5. Types of people who are singles, grace life, it would apply Home Automation (life-info, auto-cook mania information, and etc.), health care and singles-centered entertainment. Looking into the special quality of the instances’ space, it will reconstruct the space; set up a multiple function carry out space scenario founded on future residential function users’ features. As residents’ characteristics and desires, it will offer right system on efficiency,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Furthermore, Digital homes would request residency with changeability and adaptability by lifestyle changes. This high level technical expertise introduction will give you not only the changes of your residence but also human nature emotion will be filled. Moreover, the harmony of human, nature and technology will provide you a new lifestyle with new communication method and culture.

      • 국어 교과연계 다문화 교육을 위한 내용 요소 구명과 교과연계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김란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교과연계에 적합한 다문화 교육 내용 요소를 구명(究明)하고, 국어 교과의 다양한 영역과 쉽게 연계・융합할 수 있는 교육 모형을 적용해 국어 교과와 연계한 다문화 교육 자료를 개발한 뒤 검증의 과정을 거쳐 타당성을 갖춘 국어 교과연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국어 교과연계에 적합한 다문화 교육의 내용 요소는 무엇인가? 2. 교과연계 모형을 적용한 국어 교과연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는 국어 교과연계 다문화 교육 내용 요소를 구명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다문화 교육 내용 요소를 1차 선정하고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다문화 교육 내용 요소를 확정하였다. 국어 교과와 다문화 교육을 연계하기 위한 교육 모형을 선택하기 위해 다양한 다문화 교육 모형에 대한 문헌을 연구하고, 현장 적용성 및 적합성을 토대로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국어 교과연계에 적합한 다문화 교육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후 다문화 교육 내용 요소와 국어 교과를 연계한 뒤 교과연계 다문화 교육 모형을 적용한 국어 교과연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든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완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교과연계에 적합한 다문화 교육 내용 요소는 ‘간문화적 역량, 다양성, 문화이해, 반편견, 세계시민성, 인권, 정체성, 평등성, 협력’으로 볼 수 있다. 기존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다양성, 문화이해, 정체성, 평등성, 협력, 반편견’ 요소 이외에 사회 변화에 맞추어 다양한 내용 요소가 추가되어야 한다. 둘째, 국어 교과연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다음의 과정과 절차에 따라 구안해야 한다. 먼저 학습자, 사회 학습 주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교사는 다문화 교육 내용 요소를 활용하여 다문화 교육에 대한 다양한 의사 결정을 진행한다. 의사결정 과정에서 교육목적을 명료화하고, 교육과정 전반을 계획하며, 국어 교과 분석을 통해 다문화 교육 목표와 국어 교과를 연계한다. 분석이 끝나면 구체적으로 교과연계 방법을 결정하게 되는데 연계의 과정에서는 국어 교과와 다문화 교육을 연결하기에 가장 적합한 교육 모형을 활용해야 한다. 모형을 적용해 국어 교과와 다문화 교육을 연계한 뒤 구체적인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고 학생 활동 자료를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 절차가 반드시 진행되어야 한다.

      • 고전소설 주요 학습 요소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 연구 :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김란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과서 수록 작품의 변화에 관계없이 고전 소설의 주요 학습 요소의 이해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작품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고전 소설에 흥미를 갖고 작품을 능동적으로 이해하며 적극적으로 재구성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7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고전 소설의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협동 학습 모형을 적용해 이를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교육 방법 구안였다. Ⅱ장에서 7차 교육과정과 7차 개정교육과정의 학년별 내용을 분석하여, 고전 소설을 학습하기 위한 필수 요소 ‘인물, 갈등, 배경’을 추출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추출한 요소들을 학습하기 위한 구체적인 모형을 구안한 뒤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지도안을 작성해 보았다. 먼저 ‘인물’ 요소를 학습하기 위해 협동학습의 ‘JigsawⅡ 모형’을 적용하였다. JigsawⅡ 모형을 통해 내용을 학습한 다음, 학습한 내용을 정착시키고 내면화하기 위해 ‘뇌 구조도’ 그리기 활동을 병행하였다. 다음으로 ‘갈등’ 요소를 학습하기 위해 ‘능력별 모둠 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능력별 모둠 속에서 협력 과정을 통해 교사가 발표한 내용을 숙지한 학생들은 쪽지 시험을 보게 되고 그 결과는 개인점수와 모둠 점수에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내용을 학습한 다음 ‘찬반 대립 토론’ 활동을 진행한다. 학습자들은 이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을 정리하는 활동으로 ‘판결문 쓰기’를 한다. ‘배경’ 요소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Co-op Co-op 모형’을 활용하였다. 학급에 주어진 전체 주제를 달성하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주제를 소주제로 나누고 소주제를 다시 미니주제로 나누어 학급의 전체 구성원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끼리, 모둠끼리 협동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작품의 ‘배경’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 학생들은 이를 바탕으로 하여 ‘역사 신문 만들기’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Ⅳ장에서는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교사에게서는 고전 소설 주요 학습 요소를 가르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제공하여 수업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으며, 기본 요소 습득 방법을 지도하는 것이므로 다른 소설 작품에도 충분히 일반화와 적용이 가능하여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는 세 가지 작품(홍길동전, 토끼전, 박씨전) 이외의 다른 작품을 가르칠 때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학생에게는 자기 주도적 작품 이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고, 자기 스스로 학습 내용을 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사고력이 향상되며, 다양한 활동을 통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적극적인 학습 태도가 형성되고 고전 소설의 재미를 느껴 고전 소설을 찾아 읽어 국어 문화를 향유하고 유지할 수 있는 독자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딜타이의 체험 개념에 근거한 ‘체험중심 학교 인성교육’사례 분석

        김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reality of ECCE at schools and go on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it, and finally gain important implications. I posit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of all, what is the reality of subject-related character education using experiences? Secondly, in view of Dilthey's lived experience,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related character education using experiences? Finally, what are the implications that Dilthey's lived experience give to subject-related character education using experiences?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is provided by the qualitative case studies where three middle school teachers were chosen and involved in their subjects-related character education. The choice was made according to several criteria: teachers' intent on implementing character education, relevance to subjects, utilization of experiences as a subject matter, and inclusion of expression activities. Data collection was made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participant observations in classes, analyses of some related document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which was derived from Dilthey's lived experience concept. The analysis framework is five-fold: (1) recalling lived experiences, (2) expressing lived experiences, (3) connecting lived experiences, (4) reliving lived experiences, and (5) sharing understanding. All those three cases in the research have the following aspect in common: actively explor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lass instruc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hereby making use of students’ daily experience as educational resources or contents. Besides,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recalling lived experiences, particularly through speech, writing, and pictures. That is, they employ the way of speeches about personal interests (case A), paintings of self-portraits (case B), and writings of autobiographies (case C) to encourage students in expressions. The case B exemplifies connecting lived experiences that are of special interest, but doesn't make a step toward students' trials. The case C offers students some opportunities to practice connecting lived experiences themselves. It provides for imagination and self-input of students and induces the student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from various lives of others and apply the results to their own lives. In case of sharing understanding, all those three cases are open to public experience, but it still remains doubtful whether it could be ultimately connected to the sharing of understanding process and results. As a result, the ECCE needs to be re-established in such a way as to expand the notion of experience. The expanded ECCE should not be delimited to the common experience from the outside of school wall. It incorporates the processes by which students come up with a large amount of daily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connection with the value or aim of their lives. All those processes could be made available through every possible class activity and should be shared among students. Based on our conversion of recognition on the notion of experience, we should let the ECCE introduce hermeneutical structure of circulation to school classes. Especially, it is required to encourage students to find out significance by connecting experiences instead of simply enumerating them.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necessary to practice reliving and to let them share the whole process leading to the results, not just the outcome of understanding. For our present purposes, it seems obligatory that we should make note of the value of expression and reinforce communication as well as re-experience through expression. And most of all, it should come before that to recognize experience as a text for character education and expand the notion of it. The possibility was confirmed through this research that Dilthey's lived experience concept can be adequately applied to both class instruction and the field of character education. Along with that, this research opens up a new perspective on the desirable direction of ECCE. The experienced-based character education at schools is expected to obtain maximum results when teachers are equipped with a keen interest on hermeneutical circulation and perspective when they are actively involved in its implementation. It therefore comes as no surprise that in ECCE,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not restrict themselves to any‘experience-shared community.’ Rather, they should try to build ‘a community sharing the meaning explorations of experience and understanding,’so that they grow together in there. Such a process is not restricted to any timeline or activity exclusively organized for character cultivation, but should be kept going on as long as class instruction and our routine of existence persist. 본 연구는 딜타이의 체험 개념을 바탕으로 체험중심 학교 인성교육의 실제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얻는 데에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체험중심 학교 인성교육의 실제는 어떠한가? 둘째, 딜타이의 체험 개념에 비추어 볼 때 체험중심 학교 인성교육의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딜타이의 체험 개념이 체험중심 학교 인성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세 명의 중등학교 교사를 사례로 선정하여 그들이 실천하는 체험중심 인성교육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의 선정 기준으로는 교사의 인성교육 의도, 교과 수업과의 관련성, 내용(소재)으로서의 체험 활용, 표현 활동의 포함 여부를 고려하였다. 자료 수집은 교사 및 학생과의 심층 면담, 수업의 참여 관찰, 그리고 관련 문서 및 활동 결과물 분석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에서는 딜타이의 체험 개념에 기반을 두고 개발된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분석틀에는 체험 불러오기, 체험 표현하기, 체험 연결하기, 추체험하기, 그리고 이해 공유하기의 다섯 가지 분석 개념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세 사례는 공통적으로 ‘체험 불러오기’를 통해 교과 수업과 인성교육의 밀접한 연계를 모색하며, 학생들의 일상 체험을 인성교육의 소재나 내용으로 활용하는 데 적극적이다. 또한 말, 글, 그림 등을 통해 ‘체험 표현하기’를 활발하게 시도하고 있다. ‘체험 연결하기’에서는 사례에 따라 학생들에게 체험 연결의 흥미로운 예시가 제공되거나 혹은 자신의 체험들을 연결해서 의미를 발견하는 연습 기회가 주어지기도 한다. ‘추체험하기’에서는 하나의 사례만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인물의 삶으로부터 가치를 찾아내고 그것을 자신의 삶에 적용하도록 상상력과 자기 투입을 유도한다. ‘이해 공유하기’의 경우 세 사례 모두 체험 공개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것이 이해 과정 및 결과의 공유로까지 연결되는지에 대해서는 확신하기 어렵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체험중심 학교 인성교육은 체험의 개념을 보다 확장하는 방향으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확장된 체험 개념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공동 체험에 국한되지 않는다. 학생들이 일상 체험을 풍성하게 떠올리고, 체험의 의미를 삶의 가치나 목적과 연관 지어 이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은 교실 내 모든 교과 수업을 통해 가능하며, 학생들 사이에 공유되어야 한다. 이러한 체험 개념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바탕으로 학교 인성교육은 수업을 계획할 때 딜타이의 체험-표현-이해(추체험)의 해석학적 순환 구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생들로 하여금 체험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해서 의미를 찾아내고, 추체험을 연습하며, 이해의 결과만이 아닌 이해에 도달하는 과정까지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 인성교육에서 표현의 가치에 주목하고, 표현을 통한 소통과 반복 체험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학생들의 일상 체험을 인성교육을 위한 텍스트로 인식하고 그 개념과 활용을 확장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체험중심 학교 인성교육은 교사가 해석학적 순환에 대한 관심과 안목을 갖추고 있을 때 제대로 실천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해석학적 안목을 지닌 교사에 의해 적극적으로 실행되는 학교 인성교육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단지 ‘체험을 공유하는 공동체’가 아닌 ‘체험의 의미 탐색 및 이해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구축하고, 그 안에서 함께 성장해나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단지 인성 함양을 위해 편성된 시간이나 활동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교과 수업과 일상생활 속에서 계속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딜타이의 체험 개념이 교과 수업에 적용되고 인성교육적으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과 함께, 앞으로 체험중심 인성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험중심 학교 인성교육이 딜타이의 체험과 해석학적 순환 개념을 고려하여 보다 확장되고 내실화된다면 이를 경험한 학생들이 자신의 생활 속에서, 그리고 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자신의 인성을 스스로 함양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지역사 자료를 활용한 현대사 수업 : 남양주시를 중심으로

        김란주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사를 활용한 역사 수업은 현장의 역사 교사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업과의 연계를 통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것은 많은 역사 교사들이 지역사 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고 그 효과가 학생들에게 유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로 수업의 소재가 지역을 대표하는 인물이나 유적 중심에 머무르고 있고 국사교과서의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않다. 지역사 교육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 단순히 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관심과 동기부여, 지식 전달에 그친다면 일회성에 그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수업의 소재가 학생의 의식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남양주시에 살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역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지역민으로서의 정체성과 지역문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르는데 현대사 자료를 이용한 수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진건고등학교 1학년 1,2반 학생 77명을 대상으로 ?남양주시의 노동자와 노동운동?을 주제로 ?원진레이온 사건?과 ?마석가구공단의 이주노동자 문제?를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들의 수업 결과물과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지역의 현대사 자료를 이용한 수업의 결과 학생들의 지역 문제에 대한 관심은 지역을 넘어서서 우리 사회 문제로 확대시키는 시각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지역의 역사가 우리나라의 역사와 별개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지역사에 대한 관심에서 더 나아가 우리 역사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셋째,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고 지역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지역에 대한 문제의식과 함께 지역에 대한 정체성, 지역 현안문제에 대한 참여의식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를 활용한 현대사 수업이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확대되기 위해서는 먼저 지역사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의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 본인의 노력도 물론 중요하지만 지역 교육청, 문화원, 지역청사, 역사학자와의 연계를 통해 공통의 지역사 자료집 개발과 교사 대상의 연수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Many researches on history class utilizing local history have been made by history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 schemes to utilize it in connection with class work in the educational field constitutes the main stream of these researches. This is because many history teachers feel strongly the need for local history education and its effects on the students are significant. However, study subjects are mainly limited to persons representing the regions or historical sites, so their contents are not ver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history textbooks. If what is to be obtained through local history education is merely to enhance students’interest in history and motivation and to convey knowledge to the students, it is just one-off thing. Accordingly, the subject matter of history class should be able to elicit the students’ change in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ocal history class using modern historical data in order to cultivate the students’interest in the local community, their identity as local residents, and the critical mind on the local problem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conducted on 77 students of Class1 and Class 2 in the 1st year class of Jingeon High School located in Namyangju-si, Gyeonggi-do, with themes of ‘Workers in Namyangju-si and Labor Movement’ focusing on ‘Wonjin Rayon Incident’ and ‘Migrant Workers’ Problems in Maseok Furniture Industrial Complex’,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conducting history class using modern historical data of the region caused the students to expand their interest in problems of local community to the problems of our society. Second, it could be seen that local history does not move separately from our country’s history but interacts with each other and that their interest in local history was expanded to the interest in our country’s history. Third, their interest in the region in which they live was heightened, and they showed considerably positive response to the need for local history education. Fourth, it was helpful for them to heighten their critical mind on the local community, the identity of the region, and the participatory consciousness in pending problems of the region. In order for modern history class utilizing local history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this research to be actually expanded to the educational field in school, time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local history education should be secured. Second, the schemes to enhance the students’voluntary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need to be developed. Third, teachers’ own efforts are important, of course, but the development of collections of common local history data through collaboration of local Office of Education, cultural institutes,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historians is needed, and education should also be provided for history teachers.

      •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검증

        김란주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tentions of nurses in public medical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6 nurses who worked at a specific public medical institution for more than 1 month,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and through paper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mployment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position, and average working hours of the subject. I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crafting,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ment intention of nurses, job craft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ployment intention, whereas work-oriented culture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crafting and employment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of nurses in public medical institutions,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among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job crafting is a direct factor influencing employment intention,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are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 it.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job crafting, relationship-oriented, and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s in public medical institutions, the higher the intention to work.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studies that strengthen relationship-oriented and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continue to be conducted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tion of employment of nurses and organizational effor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support job crafting. 본 연구는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이 재직의도간의 관계에서 간호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특정 공공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1개월 이상의 간호사 156명이며 자료 수집은 온라인 및 지면 설문지를 통해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의 정도 차이는 대상자의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직위, 평균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 간호조직문화 및 재직의도의 상관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은 재직의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반면에 업무지향적 문화는 잡 크래프팅과 재직의도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이 재직의도간의 관계에서 간호조직문화 중 관계지향 문화 및 혁신지향 문화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잡 크래프팅은 재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이면서, 관계지향 문화 및 혁신지향 문화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과 관계지향, 혁신지향적 조직문화가 높을수록 재직의도가 높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잡 크래프팅을 지원하는 조직 차원의 노력과 간호사의 재직기간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계지향적, 혁신지향적 조직문화를 강화하는 중재연구가 지속해서 이어질 것을 제언한다.

      • Development of cancer stem cell-targeted therapy against breast cancer and its underlying mechanisms

        김란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1. Ras activation contributes to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Sca-1pos cells in mouse model of breast cancer The cancer stem cell (CSC) hypothesis proposes that CSCs are the root of cancer and cause cancer metastasis and recurrenc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Ras signaling is associated with stemness of the CSCs population characterized by the stem cell antigen (Sca-1) phenotype in a 4T1 syngeneic mouse model of breast cancer. The Sca-1pos putative CSCs had high levels of activated Ras and phosphorylated MEK (p-MEK), compared with counterparts. The Ras farnesylation inhibitor (FTI-277) suppressed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CSCs. Therefore, selective inhibition of Ras activation may be useful for stem-specific cancer therapy. 2. High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enhances stem cell features in breast cancer cells by activating hypoxia-inducible factor-2α High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has been recognized as a marker of cancer stem cells (CSCs) in breast canc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hibition of ALDH activity suppresses stem-like cell properties in a 4T1 syngeneic mouse model of breast cancer. It was found that ALDH-positive 4T1 cells showed stem cell-like properties in vitro and in vivo. Blockade of ALDH activity reduced the growth of CSCs in breast cancer cell lines. Treatment of mice with the ALDH inhibitor diethylaminobenzaldehyde (DEAB) significantly suppressed 4T1 cell metastasis to the lung.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ALDH affects the response of stem cells to hypoxia;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lucidate a possible link between ALDH and hypoxia signaling in breast cancer. Hypoxia-inducible factor-2α(HIF-2α) was highly dysregulated in ALDH-positive 4T1 cells. It was found that ALDH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HIF-2α expression in breast cancer cell lines and tissues. DEAB treatment of breast cancer cells reduced the expression of HIF-2α in vitro. In addition, reduction of HIF-2α expression suppressed in vitro self-renewal ability and in vivo tumor initiation in ALDH-positive 4T1 cells. Therefore, these findings may provide the evidence necessary for exploring a new strategy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