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허혈성 뇌졸중 아형에 따른 혈장 D-dimer와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

        김동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배경 및 목적 : D-dimer와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FDP)는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범발성 혈관내 응고 질환, 심근 경색, 종양성 질환, 패혈증 등 혈전-색전성 질환이 있는 경우 혈장 내에서 현저하게 상승하며, 이러한 질환의 진단과 예후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낮은 혈중 D-dimer 수치는 정맥 혈전-색전증의 가능성을 제외시킬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허혈성 뇌졸중의 아형 분류의 조기 진단과 이에 따른 조기 예후 예측에 있어 D-dimer와 FDP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2005년 6월부터 2006년 4월까지 급성 허혈성 뇌졸중으로 전남대학교병원 신경과에 입원한 18세 이상 544명 중 D-dimer와 FDP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을 가진 환자들을 제외한 32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D-dimer와 FDP는 입원 후 24시간 이내에 측정하였고 뇌경색에 따른 신경학적 장애는 입원 시와 퇴원 시의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NIHSS)에 따라 평가하였다. The Trial of ORG 10172 in Acute Stroke Treatment(TOAST)에 따라 허혈성 뇌졸중의 아형을 분류하였고 각 아형군별 뇌졸중의 일반적 위험인자 및 D-dimer와 FDP 수준을 비교하였다. 더불어 입원 시보다 퇴원 시에 NIHSS 4점 이상의 감소를 보이는 경우를 임상적 호전으로 판단하였으며 이에 따라 호전군과 비호전군으로 나누어서도 비교하였다. 결과 : 급성 허혈성 뇌경색을 보이는 환자에서 혈장 D-dimer와 FDP는 심색전성 뇌경색(Cardioembolism : CE)군에서 비심색전성 뇌경색(Noncardio- embolism : Non-CE)군보다 의의 있게 높았다(각 p=0.002). 326명 중 96명 (29.4%)의 환자들에서 입원 시보다 퇴원 시에 4점 이상의 NIHSS 감소를 보이는 임상적 호전을 보였으며, 이러한 호전군에서 비호전군보다 높은 혈장 D-dimer 수치를 보였다(p = 0.044). 결론 : 급성 허혈성 뇌경색에서 D-dimer와 FDP 측정은 뇌졸중 아형의 분류나 조기 호전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 나노 실리콘 도파로의 색분산 및 마이크로링 필터 특성에 관한 연구

        김동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 실리콘 광자결정 도파로 (photonic crystals waveguides; PhCWs)의 광 투과 특성과 색분산 특성을 측정하였다. 특히 넓은 파장 영역의 광신호를 가진 백색광 간섭계 방식을 이용하여 이 파장 영역에서 광자결정 도파로의 색분산 계수의 파장에 따른 변화 스펙트럼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전체 실리콘 광자결정 도파로 소자의 색분산 스펙트럼 뿐만 아니라 광자결정 도파로의 선형결함 (line-defect; LDt)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색분산 값도 알아 낼 수 있다. 220 μm 두께의 실리콘 층을 갖는 silicon-on-insulrator (SOI) wafer 위에 제작된 광자결정은 460 nm의 격자 주기와 165 nm의 홀 반경을 갖고 있으며 500 nm 폭의 단일 LDt을 갖고 있다. 이 샘플의 색분산은 1530~1570 nm 파장 영역에서 38~22 ns/(nm∙km)로 측정되었다. 이 방법은 나노 포토닉 도파로 소자의 색분산을 정확하게 정의하는데 아주 유용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다양한 링 직경의 단일 및 다중 링을 갖는 실리콘 마이크로 링 도파로 (SMRWs)의 광 필터링 특성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실리콘 마이크로 링 도파로를 지나는 광신호의 전송 시간이 링 직경의 크기에 따른 변화하는 현상을 측정하여 빠른 빛 (fast light) 효과가 측정이 됨을 확인해 보았다.

      • 다른 연결 시스템을 갖는 임플랜트 상부 구조물에서 조임술식에 따른 지대주 나사의 풀림 토크값에 대한 연구

        김동욱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임플랜트 치료가 보편화되고, 다양한 형태와 재료의 상부 구조물이 보급되었다. 그리고 실패에 대한 보고도 다양하며, 그 중 지대나사의 풀림현상이 가장 흔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 임플랜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구조물을 나사로 연결할 때, 세 가지 나사조임순서와 두 가지 나사조임방법에 따른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비교하여 나사조임순서와 나사조임방법이 서로 다른 연결구조에 따라 나사풀림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완전 무치악 하악모형을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으로 제작하고 이공간 부위에 중심간 거리가 약 15 ㎜ 되도록 네 개의 임플랜트 고정체 유사체를 고정한 후 바 타입으로 납형 형성하여 상부 구조물을 주조 제작하였다. 상부 구조물과 정확한 적합이 되는 주모형을 제작한 후 연결 인상법으로 외부연결구조, 내부연결구조를 가지는 연구모형을 각각 5개씩 제작하였다. 각 모형에서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가장 왼쪽에 조여지는 나사를 1번 나사로 하고 가장 오른쪽의 나사를 4번 나사로 명명하였다. 먼저, 나사조임순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2-3-4, 2-3-1-4, 2-4-3-1의 순서로 15 N㎝의 힘으로 조이고, 다시 같은 순서로 최종 조임토크값인 30 N㎝까지 조인 후 (2-step 방법)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나사조임방법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3-1-4의 순서로 한 번에 최종 조임토크값인 30 N㎝까지 조인 후 (1-step 방법)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여 같은 순서 (2-3-1-4)의 2-step 방법과 비교하였다. 세 가지 나사조임순서에 따른 나사의 풀림 토크값은 외부연결구조에서 2-3-1-4군이 2-4-3-1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그리고 내부연결구조에서도 2-3-1-4군이 2-4-3-1군과 1-2-3-4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또한 나사조임순서와 무관하게 몇 번째 조여진 나사인지에 따른 풀림 토크값을 비교해 본 결과, 외부연결구조에서는 처음에 조여진 나사가 두 번째 조여진 나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5), 내부연결구조에서는 처음에 조여진 나사에서부터 마지막에 조여진 나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두 가지 나사조임방법 간에는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결구조에 대한 비교에서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의 풀림 토크값은 각각 16.27 N㎝, 14.25 N㎝ 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5). 다수 임플랜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구조물을 나사로 연결할 때, 나사조임순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가운데부터 조인 경우에서 풀림 토크값이 낮았고, 연결구조 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풀림 토크값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좀 더 상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하중 조건에서의 부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tatement of problem As implant treatment has become popular, lots of different shapes and materials of the implant upper component have been supplied. And there are also diverse reports about failures including loosening of the abutment screw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reaso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different screw tightening orders and methods influence on screw loosening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nection systems. Materials and methods The upper component was fabricated by casting method. After fabricating master models that were precisely attached to the upper component, 5 experimental models each for the external connection system and internal connection system were fabricated using splinting impression technique. First,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screw tightening order, screws were tightened in 3 orders; 1-2-3-4, 2-3-1-4, 2-4-3-1. After tightening, removal torque values (RTV) of each group was measured. And also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crew tightening method, a model with 2-3-1-4 screw tightening order was tightened with 30 N㎝ at one time (1-step method) and the RTV was compared with the same order group (2-3-1-4) in the 2 step method. Results In the external connection system, RTV appeared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2-3-1-4 than group 2-4-3-1 (p<0.05). And also in the internal connection system, the RTV of group 2-3-1-4 appea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roup 2-4-3-1 and 1-2-3-4 (p<0.05). When comparing the tightening number of the screw without considering the screw tightening order, the first tightened screw appeared significantly higher RTV than the second one in the external connection system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first tightened screw to the last tightened screw in the internal connection system.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rew tightening methods in both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ion system. In the comparison of external and internal connection system, each RTV appeared 16.27 N㎝ and 14.25 N㎝ and appear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TV measured according to the screw tightening order. The lowest RTV appeared in the groups started tightening from the middl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TV between the two connection system groups. A further study is needed to find out the influence factors in RTV and also a study is required related to the load condition.

      • Protective effects of imatinib on a DSS-induced colitis model through regulation of apoptosis and inflammation : 세포 사멸 및 염증 조절을 통한 DSS 유발 대장염 모델에 대한 imatinib의 보호 효과 : 김동욱

        김동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Aim: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encompassing ulcerative colitis and Crohn's disease, is characterized by dysregulated immune responses and a multifactorial etiology. While imatinib has demonstrated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multiple sclerosis, autoimmune diabetes, and glomerulonephritis, its potential effects in IBD treatment remain underexplored. Metho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imatinib in colitis treatment. Western blot analysis, immunohistochemistry,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employed to assess inflammatory markers and tight-junction proteins. The Disease Activity Index score, which includes weight loss and colon length, serv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colitis severity. Histological staining using hematoxylin and eosin was performed to evaluate tissue morphology, and immunohistochemistry was used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tight-junction proteins. Results: In the murine model of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imatinib effectively mitigated inflammation and restored tight-junction integrity in the gut. Imatinib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NF-α, IL-6, and IL-1β. Moreover, in the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mouse model, high expression levels of apoptosis marker proteins, such as cleaved caspase-3, cleaved caspase-8, caspase-8, p53, and p-p53, were observed. Conclusions: Overall, imatinib treatment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apoptotic marker genes in mice with colitis. These findings highlight imatinib as a potential therapeutic candidate for IBD. 궤양성 대장염(UC)과 크론병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IBD)은 조절 장 애가 있는 면역 반응과 다인성 병인을 특징으로 한다. IBD는 위장관(GI관)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및 비특이적 염증성 질환이다. IBD의 두 가지 주요 유 형은 UC와 크론병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IBD 발병률이 꾸준 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IBD 발달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조합에 의 해 영향을 받아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을 초래한다. UC 환자에서 염증 반응 은 관찰되는 가장 일반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UC는 결장 및 직장, 특히 점 막 및 점막하층에서 발생하는 만성 및 비특이적 염증을 특징으로 한다. 염 증복합체의 신호전달은 선천성 면역 반응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등장했으며 위장관 건강과 질병을 조절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종양 괴사 인자 (TNF)는 대식세포, 림프구, 비만 세포, 내피 세포, 섬유아세포 및 지방세포 와 같은 면역 세포와 비면역 세포 모두에 의해 생성된다. 염증 복합체의 활 성화는 인터루킨(IL)-1β 및 IL-18을 포함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방출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일종의 염증성 세포 사멸을 유발한다. IBD 병인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는 아직 불분명하다. IBD의 분자 및 세포 메커니즘을 조사하 는 데 사용되는 동물 모델 중 하나는 급성 덱스트란 황산나트륨(DSS) 대장 염 모델이며, 이는 새로운 항염증 약물의 효능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자 주 사용된다. 현재 IBD에 이용 가능한 치료법은 주로 치료법을 제공하기보 다는 증상을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염증제는 IBD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설파살라진(Sulfasalazine)은 IBD 치료용 약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설파살라진의 장기간 사용은 피로, 메스꺼움, 복 통 및 설사를 포함한 여러 가지 부작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IBD 발병기전과 이용 가능한 치료 옵션에 대한 이해가 진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 작용이 적은 효과적인 치료법이 필요하다. 위장관 간질 종양 치료를 위해 처음 개발된 약물인 이마티닙(Imatinib)은 항증식 활성 및 면역조절 효과를 보여주었다. 자가면역질환의 발병에 관여 하는 다중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림프구, 대식세포, 비만세포, 수 지상 세포 등 다양한 면역 세포를 조절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마티닙은 IFN-γ, TNF-α, IL-1β 및 IL-17뿐만 아니라 MMP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결과적으로 류마티스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당뇨병, 사구체신염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장염과 관련하여 이마티닙의 효과는 생체 내 연 구에서 적절하게 입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UC에서 imatinib의 잠재적인 치료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SS)을 사용하여 UC의 생체 내 모델을 유도하여 이마티닙 치료의 효능을 확인했다. 염증 표지자, 조직학 적 변화, 사이토카인 수준을 포함한 다양한 매개변수를 평가하여 UC 개선 에 있어 이마티닙의 효능을 평가했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에 DSS를 처리하여 대장염을 유도하였으며, 대장염 의 지표로 사용되는 DAI score를 확인한 결과 이마티닙이 대장염에 효능이 있는것을 확인하였으며, 조직학적인 실험을 위해 H&E staining을 진행 한 결 과, 농도의존적으로 이마티닙을 처리하였을때 goblet cell을 비롯한 장조직이 보존된것을 확인했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TNF-α, IL-6 IL-1β 에서 이마티닙을 처리함에 의해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IHC를 진 행한 결과 장벽 및 증식과 관련된 마커인 ZO-1, Occudin, Ki-67이 효능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사멸과 관련된 마커들을 확인했을 때 이 마티닙은 세포사멸에서도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우리의 결과는 imatinib이 표현형 분석, IBD 상황에서 TJ 완전성 복원,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감소 및 결장 상피 세포의 세포사멸에 대 한 보호를 통해 물리적 보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imatinib은 장 상피의 장벽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약물 후보이다

      • 3차원 측정기의 측정환경오차 감소장치 개발에 대한 연구

        김동욱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 정밀한 요소를 가진 제품이 생산되어지고 있으며, 역설계, 제품의 품질관리, 제품의 신뢰도확보, 제품평가를 위해 3차원 측정기의 활용도가 더욱 중시되고 있다. 하지만 3차원 측정기의 활용에 경제적인 측면과 신뢰성미흡은 3차원 측정기의 활용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환경에서 오는 온습도를 최소화 하여 측정오차를 축소하는 방안으로서 측정환경 감소장치는 크게 Cover와 항온항습장치로 나뉘며, 항온항습장치의 작동면적을 3차원 측정기 면적으로 축소하여 설계함으로써 온습도의 정도를 높여 측정오차를 감소하는 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장치개발에 필요한 설계는 Solidwork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대상물의 재질별로 측정하여 오차 장치의 개발에 대한 오차감소여부를 확인하였다. 측정환경 오차감소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항온항습의 시설에 대한 고가에 투자가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실내 측정환경에서 비교하였을 경우 측정환경 오차감소장치를 설치한 후에 실내에서 측정한 측정값보다 오차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오차가 감소함은 신뢰도 향상에 기대하리라 본다.

      • 건물관리 수주영업 환경이 수주목표 달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동욱 극동대학교 글로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물관리 용역회사에 있어서 건물관리용역 수주영업목표달성은 지상과제 이다. 뿐만아니라 건물관리 수주영업 목표 달성은 건물관리 용역회사의 사활을 결정짓는 척도이다. 경영관리 활동이다. 그러므로 건물관리 용역 회사에서 수주영업을 주도하는 수주활동에 종사하는 수주영업팀을 최고 경영자를 포함하여 임원 및 전사원이 전력을 다하여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건물관리 용역회사에서는 보유한 직원 중 최고의 엘리트 사원을 선발하여 영업부에 배치해야 하고 경제적으로 불만이 없도록 배려하고 격려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매년 년도 말에 작성 발표하는 내년도 사업계획서 상의 수주영업 목표는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달성 실적이 저조하다. 그러므로 건물관리용역회사의 지상과제인 영업 수주목표 달성의 저조는 자연스럽게 기업의 정상적 발전을 저해하고 지속적 조직의 운영에 지장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건물관리 용역회사의 경우에는 수주 목표를 매년 상향 조정함에도 불구하고 초고달성 실적을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수주목표 달성에 대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주영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수주영업활동과 수주영업매출목표 달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에는 수주영업 환경이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수주영업 환경이 수주영업매출목표 달성에 어떻게 작용하고 영향을 미치는지를 과학적 방법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연구 모형을 구축 하여 설문조사를 설계하여 건물관리 용역회사의 수주영업 담당자에게 수주영업 환경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한 응답지 중 신뢰성이 확보된 부의 설문지 응답 결과를 표본으로추출하여 통계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 ' s ⍺를사용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수주영업 종사자의 수주영업 환경, 수주영업 매출 목표 달성 저해․우호요인에 대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셋째, 수주영업 종사자의 수주영업 환경과 수주영업 매출 목표 달성 유효요인간의 관계는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수주영업 종사자의 수주영업 환경이 수주영업 매출 목표 달성 유효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설정한 10개의 수주영업 내부 환경 요소에 대한 연구 가설 모두가 수주영업 목표 달성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이와 같은 검증 결과는 건물관리 용역회사는 수주 영업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건물관리 건축물의 규모와 분포와 시장거래 규모 및 경제사회 조건 그리고 발주처의 발주 방식과 절차조건 그리고 관계법령과 제도 등외부의 영업환경에도 적절하게 대응해야 하나 수주영업 매출목표 달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건물관리 내부 환경요소인 건물관리 용역회사 최고 경영자의 수주영업 정책 및 기반능력, 수주영업 종사자의 수주영업 전문적 지식과 실무 처리능력, 수주영업 종사자에 대한 정기적 교육 훈련, 수주영업 팀원 간의 협조 수주영업팀과 지원 부서간의 협조, 수주영업정 보의 체계적 관리, 발주처의 전문적 관리, 발주처별 입찰 자격의 확보및 사전 등록 그리고 최고 경영자 및 임원의 수주영업 적극적 지원 등의 내부 환경 요소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개선이 수주영업 매출 목표 달성에 유효함을 시사하고 있다.

      • 도시형생활주택 위험성 분석을 통한 화재영향평가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김동욱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seems to be difficult to secure fire safety by only fire preventing facilities because a cause of modern fire varies such as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use patterns. In order for fire safety to be guaranteed by enacting and revising FIRE CODE reflecting fire hazard characteristics and user’s characteristics, the introduction of fire impact assessments need to be timely considered to be adopted but these second trials have failed so far. On this study, the fire case of city-typed housing was surveyed to introduce fire impact assessments and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fire evacuation simulation of city-typed housing built in Su-young, Nam district were analysed. And necessity, procedures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fire impact assessments was questioned and tested by the fire expert and architecture. On the basis of these facts, introduction of fire impact assessments should be absolutely adopted and fire department and fire-code are firmly eligible to implement fire impact assessments therefore fire code need to be enacted or revised in accordance with new fire environment and fire safety system need to be built up. Consequently aggressive promotion through public hearing on necessity of fire impact assessments, consensus among departments and fostering expert to carry out fire impact assessments are the c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