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갈수량 자료의 초과확률 추정방안 연구

        김돈수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천유지유량 설정에 기준이 되는 갈수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하천 유량 자료를 검토하고 자연상태의 하천유량을 대표할 수 있는 갈수량을 구축하였다. 확률갈수량은 매개변수적 방법과 비매개변수적 방법을 사용하여 산정하였으며, Monte Carlo 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한강 유역 13개 지점의 갈수량에 대한 빈도 해석을 실시한 결과, 유역 전체에 대한 확률분포형은 3가지 분포형, 즉 2변수 gamma, 2변수 lognormal, 그리고 2변수 Weibull 분포가 한강 전지점의 주요 분포형으로 나타났다. 모의실험 결과 모집단과 같은 확률분포형인 Weibull-2 분포형의 RBIAS와 RRMSE가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내삽범위에서 비매개 변수적 방법이 통계적 거동특성(RBIAS와 RRMSE)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RRMSE에 있어서 비매개변수적 방법 중에서 PM 기법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SJ 기법이 비매개변수적 방법 가운데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유역 전체에 대해 상하류가 균형을 이루는 갈수량을 비교하여 설정함으로써 수계가 일관된 하천유지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 기본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며, 확률갈수량을 산정하는데 있어 매개변수적 방법뿐 아니라 비매개변수적 방법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reamflow data were reviewed and lowflow data which represent streamflow characteristic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determin especific lowflow which can supply a certain standard of river maintenance flow. Lowflow quantiles were estimated based on parametric and nonparametic methods.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methodologies were performed based on Monte Carlo simulation. As the results of lowflow frequency analysis for 13 sites of Han River Basins, gamma-2, lognormal-2, and Weibull-2 distributions were selected as appropriate ones. By means of the results of simulation study, the RBIASs and RRMSEs of Weibull-2 model as sumed as a population model are smaller than any other models and the statistical properties (RBIASs an d RRMSEs) of nonparametric method produce good results within interpoloation range. Among bandwidth selectors the RRMSEs of PM are the smallest and those of SJ are the largest. Reliable lowflow data with physical meanings for water valance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will be able to give an important information for estimating rational river maintenance flow. And nonparametric method as well as parametric on e for estimating lowflow quantiles turn out to be aappropriate model.

      • A/B 성격유형 행동양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 분석

        김돈수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인성 특성에 따라 A성격유형 행동양식과 B성격유형 행동양식으로 구분하고, 이 두 유형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태도 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 및 생활지도를 위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A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과 B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의 학습태도 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시에 소재한 인문계 6개 고등학교 1학년 남 · 여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Jenkins 활동척도와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응답이 불확실하거나 신뢰롭지 못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성실하게 응답한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Jenkins 활동척도(Jenkins Activity Survey; Jenkins, Rosenmam & Zyzanski, 1974)와 권낙원(1985)이 개발하고 김인수(1999)가 수정한 학습태도 검사지 와 2005년 6월 9일 실시된 전국 모의 평가(경기도 교육청주관)결과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test, Two-way ANOVA(이원변량분석)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과 B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의 학습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Jenkins 활동척도의 총 점수를 근거로 하여 A/B성격유형 행동양식에 따른 학습태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A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과 B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A/B성격유형 행동양식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곧 A성격유형이냐 B성격유형이냐에 따라 전체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A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과 B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가 없었다. 넷째, 고등학교 학생의 A/B유형 행동양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등학교 학생의 행동유형을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A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과 B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의 학습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계속될 연구에서는 A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과 B성격유형 행동양식 고등학생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대한 종단적 및 횡단적 연구가 좀더 깊이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성격이란 환경적 요인을 간과할 수는 없으나, 기본적으로 유년기를 지나면서 쉽게 변경되기 힘든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정책당국이 학생들의 성격적 성향들을 잘 파악해서 각성격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보완 할 수 있도록 여건과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정책을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현장에서도 성격적 성향을 무시한 획일적 지도를 지향해서,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성향을 바탕으로 그들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부모와 교사들도 학업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상황과 개인적 성격특성에 따른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전략을 교수 한다면 학습태도 및 학업 성취에 많은 도움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with two different types of behavior patterns, type A and B, after their behavior pattern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personality traits. It's ultimately attemp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better academic education and guidance to high school students. After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a hypothesis was formulated: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gap i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ype A/B behavior patter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5 boy and girl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of six academic high schools in the city of Chuncheon, Gangweon province. The students were tested by using Jenkins Activity Survey, and their learning attitude and achievement were assessed. When their answer sheets were analyzed, incomplete or unreliable ones were ruled out.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Jenkins, Rosenmam & Zyzanski's Jenkins Activity Survey(1974) and Kim In-su(1999)'s Revised Version of Gweon Nak-weon(1985)'s Learning Attitude Inventory. In addition, the scores of the students in national mock evaluation conducted by the Gyeonggi Office of Education in June 9, 2005, were utilized. For data handling, t-test and two-way ANOVA were implemen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ee if type A/B behavior patterns mad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learning attitude, they were compared after being divided into type A and B behavior-pattern groups based on their total scores in Jenkins Activity Survey, and there appeared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learning attitude of the two groups. Second, whether or not type A/B behavior patterns mad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examined,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In other words, whether they were of type A or B behavior patterns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overall academic achievements. Third, whether or not type A/B behavior patterns and gender mad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investigated, and their behavior pattern and gender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ir achievements. Fourth, whether or not their behavior patterns varied significantly with their gender was examin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type A/B behavior pattern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ir learning attitude, but not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future, deeper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research should be made to determine the accurate relationship of type A/B behavior patterns to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Although character is inevitably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that isn't likely to change a lot after childhood is passed. The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put more efforts into grasping the personality traits and disposition of students and on helping them to improve their relative merits, and school should strive to come up with new programs that could inspire students to deploy their potentials in light of their disposition, instead of offering stereotyped education and disregarding their personality traits. Besides, parents and teachers also should try to let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under the most academic pressure, study in good learning environments suitable for their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and they should help them find the best learning strategy. All the efforts are expecte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enhancing the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 가시아메바의 마우스 감염시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의 동정

        김돈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토양이나 하천, 호수 등 주위 여러 환경에서 서식하는 자유생활 아메바 중 가시아메바(Acanthamoeba culbertsoni)는 Granulomatous amoebic encephalitis (GAE), 및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일으킨다. 이러한 가시아 메바는 오랜 기간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동안 병독성이 감소하며 마우스의 비강내 감염이나 마우스 뇌감염의 반복으로 병독성이 다시 회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재차 감염시 아메바의 peroxidase와 proteinase의 활성이 증가했다고 발표된 바 있다. 따라서 가시아메바를 마우스에 계대감염하면 병원성이 증가하고 이에 관련된 여러 인자들의 발현이 변화되어 병독성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본 연구에서는 오랜 기간 실험실에서 배양해온 병독성이 감소된 아메바를 비강내에 감염시키고 마우스가 죽으면 뇌에서 아메바를 적출해 단기간 배양하여 다시 같은 방법으로 재 감염시켜 총 3차 감염을 실시했다. 각 계대감염 단계의 아메바를 모아 total RNA를 분리해 cDNA를 합성하여 arbitrary primer와 함께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DD RT-PCR) 수행하였다. DDRT-PCR에서 마우스 감염시에 증가된 DNA조각을 선택하여 cloning하고 이를 Northern blot hybridization의 probe로 사용하여 전사단계에서도 이러한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하는지 재확인하였다. 또한 선택된 분획들은 DNA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유전자의 정보를 알아냈다. DDRT-PCR에서 마우스 감염시 증가된 15개의 분획을 선택하였으며 Northern blot hybridization에서 다시 확인한 결과 10개의 분획이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 10개의 분획을 DNA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유전자의 정보를 찾아본 결과 4개의 분획은 유사한 정보를 찾을 수가 없었으며 그 외에는 ING p33/p47 tumor suppressor protein, 진핵생물의 전사 조절 단백질의 일종인 fet5, 전자전달계에 관여하는 효소중의 하나인 NADH-dehydrogenase, proteasomal ATPase 그리고 GDP-mannose pyrophosphorylase와 유사한 염기서열을 나타내었다. 특히 본 실험에서는 병독성과 연관된 nuoG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NADH dehydrogenase와 세포내 단백질 분해 과정에 중요한 복합체인 proteasomal ATPase 그리고 병독성 유전자로 알려진 GDP mannose pyrophosphorylase를 분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랜기간 배양하여 병독성이 감소한 아메바를 마우스에 감염시켰을 때 여러 물질대사 또는 병독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변동함에 따라 아메바의 병독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관련 유전자를 찾아내고 그 기능을 밝힘으로써 병독성 인자를 밝히는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Free-living amoebae in the genus Acanthamoeba are ubiquitous in environment (fresh water, soil and air free-living amoebae) and some of the facultatively cause humans of granulomatous amoebic encephalitis and amoebic keratitis. In this study, based on the fact that the virulence of an amoeba (Acanthamoeba culbertsoni) which has been cultured in laboratory is restored via consecutive brain passages, identification of the genes responsible for restoring virulence in the brain passaged A. culbertsoni was attempted via differential display reverse-tran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DD RT-PCR) analysis. Restoring of the virulence of the long-term cultured A. culbertsoni in the laboratory was verified via 2 consecutive mouse brain passages. Mortality of the infected mice was raised from 5% in the first infection to 70% in the third infection (the second brain passage). By DD RT-PCR analysis, 15 brain passaged amoeba induced amplicons were observed and screened to identify the amplicons which more expression brain passaged amoeba than non-brain passaged amoeba mRNAs by all the primer combinations used in DD RT-PCR via Northern blot hybridization analysis. For RNA Northern blot hybridization, amplicon reamplified each DD RT-PCR reaction, which was pooled and used as probes after labeling with 32P. ten of the 15 brain passaged amoeba induced amplicons were turned out to be increased from the brain passaged amoeba mRNAs.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 10 brain passage induced amplicons by DNA seqeuncing and BLASTX search. five amplicons were not identified and each amplicon is matched by ING p33/47 tumor suppressor protein, NADH-dehydrogenase, Proteasomal ATPase, ATP/GTP-binding fet5 mRNA and GDP-mannose pyrophosphorylaseB. NADH-dehydrogenase, Proteasomal ATPase and GDP-mannose pyrophosphorylaseB are reported that they are related virulent elements. In conclusion, each gene may be played an role in resorting virulence of A. culbertsoni via the mouse brain passage.

      • GAX 암모니아 흡수식 열펌프의 발생기 일체형 정류기의 정류 특성에 관한 연구

        김돈수 한국해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kinds of packing material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get the optimum design data for the generator-GAX combined rectification system of an NH₃/H₂O absorption heat pump. The mass and heat transfer phenomena of the rectification system were theoretically studied and the optimum locations for the injection of feed solution from solution-cooled absorber and the GAX desorber in generator were predicted. The total number of rectifing stages, the temperature of each stages and liquid/vapor flow rates in auxiliary rectifier column were determined to design the experimental apparatus for packed rectifier. Experiments for several suitable packing materials in packed rectifier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bulk of steel wire was the most effective packing material. The optimum volumetric packed rate in rectifier space was 36% by steel wire to make ammonia concentration over 99.98%.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of ammonia vapor by packing material in rectifier was analysed and its effect was presented. These performance results can be adapted in rectifier design of NH₃/H₂O absorption heat pum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