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도희 졸업공연 "My Favorite Things" : 김도희 졸업공연 "My Favorite Things"

        김도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711

        This thesis presents the exploration and analysis of various musical genres performed at the graduation concert for the master's degree themed "My Favorite Things." It covers compositions across genres such as Blues Funk, Fusion Jazz, Ballad, Bounce Funk, and Progressive Rock, focusing on the diverse harmonies, rhythm patterns and tempo changes in the original compositions. In particular, the paper discusses pieces that incorporate polyrhythm, polymeter, and Metric Modulation, highlighting cases where multiple tempos and timings can be felt within the same phrase. It also examines the richness of musical expression afforded by the use of varied rhythm patterns. This analysis aids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and illuminates the impact of complex rhythmic structures on music. Furthermore, the thesis investigates methods to enrich harmonic diversity and depth through techniques such as melody development, where similar melodies are repeated and developed, and various harmonic progressions, including modal interchange. In conclusion, it demonstrates that the fusion of various genres, rhythm patterns and harmonic elements can promote musical creativity and provide a rich and diverse musical experience. These findings will serve as valuable resources for mus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hey are expected to be significant reference materials for future musical exploration and creation.

      • 포항공단 근로자의 산업안전교육 실태분석

        김도희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63

        포항공단 근로자의 산업안전 교육실태분석 金 度 希 嶺南大學校 工學大學院 産業安全學科 産業安全 專攻 要 約 본 논문은 포항지역 공단 근로자 1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안전의식 수준과 실태를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산업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에 관한 의식 수준, 안전교육의 실태 및 필요성, 안전교육의 법적, 제도적 문제점 등 다양한 각도에서 산업안전보건 교육에 대한 현 실태와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안전교육이 안전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실효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교육방법을 강의식 보다는 시청각교육과 경험담 위주의 교육으로 변화를 주어 더욱 실효성 있는 교육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리고 안전의식 강화를 위한 사업주의 마인드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같은 개선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산업안전 보건교육관련 법적 제도적 정비를 통해 근로자 모두가 교육을 이수하여 산업재해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둘째, 산업안전 보건교육 및 작업환경 개선을 통해 효과적인 시청각교육과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셋째, 산업안전 보건교육 방법론의 변화이다. 피교육자가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령, 학력, 근무연수등을 고려한 경험과 사례발표 위주의 교육과 시청각을 활용한 교육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관계부처, 전문가, 사업주, 근로자들의 공동의 노력과 효과적인 교육시스템 개발을 통해 현재 산업안전교육의 이론교육과 현장실무의 차이를 줄여나간다면 형식적인 업무상 절차가 아닌 안전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 전국체전 개최에 따른 경기장시설의 적정수요에 대한 연구

        김도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전국체육대회 개최에 따른 경기장시설의 적정수요에 대한 연구 김도희 동신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지도교수 : 정성필) 이 연구는 전국체육대회의 개최에 따른 대회시설의 종목별 규모에 대해 살펴보고, 전국체전을 준비하는데 필요시설의 규모를 분석하며, 적정한 추가 시설의 수요를 검토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국체전을 준비하고 있는 목포시의 지역 내 생활체육시설, 전문체육시설, 학교체육시설 등을 단위 공간으로 변수화하고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하기 위한 각 종목별 경기장의 규모와 이용수요에 대한 실증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전국체전 종목의 경기장 규격을 기준으로 전국체육대회가 열리는 지역의 실태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위하여 활용이 가능하거나 신축(증설)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한 시설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그 결과 리모델링 또는 신축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된 시설의 필요 면적 합계는 약 521,925㎡으로 조사되었으며, 신축되어야 할 종목에 대한 필요면적은 약 6,167㎡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체육시설의 안정성, 노후도, 생활체육시설의 미래상 등을 고려하면 노후도가 심한 경기장의 이전 신축(증설)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트랙 종합경기장 1개소, 실내 종합경기장 1∼2개소가 신설될 경우 대회 개최가 안정적일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체육시설의 규모 선정과 효율적 체육시설의 설치에 대한 결과 값 비교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단순한 지역 논리에 의해 체육시설을 신설 또는 개보수 하기 보다는 다양한 지역 여건을 고려하여 지역에 맞는 맞춤형 정책으로 변화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전국체육대회가 개최되는 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선정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수요정책을 시행함으로써 각 실제 지역의 시설물의 활용 가능성과 효율적 관리의 방안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의 순기능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하며 정책 신뢰도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클릭 반응을 통한 64Cu 표지 엑소좀의 림프절 이미징 연구

        김도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Exosomes are double-layered lipid vesicles which are generated from endosomes and released outside cells. Recently, drug delivery and development of biomarker using exosomes are actively studied by many researchers. Although establishment of biodistribution of exosomes is required for clinical use of exosomes, difficulty in bioimaging of exosomes and damage to exosome viability remain challenges in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exosomes. For biomedical application of exosomes, we need safer and more accurate method monitoring biodistribution of exosomes. Meanwhile, tumor-derived exosomes can present antigen to immune cells, which are localized to lymph node. Dendritic cells are activated to antigen-presenting cells, when they meet tumor-associated antigens. Antigen-presenting cells induce formation of cytotoxic CD8+ T cells. Thus, visualizing distribution of exosomes to lymphatic system is important to research on immunotherapy. In this study, we performed lymph node imaging using exosomes labeled with radioisotope via click reaction in mouse. 엑소좀은 세포의 엔도좀에서 기원하여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지질 이중층 막 소포체이다. 최근 나노 수송체로서의 엑소좀을 활용한 약물 전달 연구와 엑소좀의 특정 단백질 또는 유전자를 질병 진단을 위한 생체지표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엑소좀이 임상에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엑소좀의 생체 내 거동 평가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영상화의 어려움과 시각화를 위한 표지 과정에서의 엑소좀 활성 손상 등 엑소좀의 체내 동태 파악에 있어 아직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남아 있다. 엑소좀의 생의학적 응용을 위해서는 엑소좀의 효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엑소좀의 체내 분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비침습적이고 정확한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종양 세포 유래 엑소좀은 항원 제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다수의 면역세포들이 폐색되어 있는 림프로 이행 가능하다. 수지상세포는 종양 관련 항원을 만나면 항원을 T세포에 교차 제시할 수 있는 항원제공세포로 활성화되며, 항원제공세포는 종양 세포를 죽일 수 있는 종양 항원 특이성 CD8+ T세포의 생성을 유도한다. 따라서 종양 세포 유래 엑소좀의 림프 이행을 시각화하는 일은 면역 요법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클릭 화학을 통하여 엑소좀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한 후 마우스 체내에 주입하였을 때 림프 이행 여부를 PET/CT로 모니터링하였다.

      • 빛과 공간의 표현 특성을 활용한 미디어 퍼포먼스 공간연출 효과

        김도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빛을 활용한 공간 연출은 극적으로 공간에 생명력과 역동성을 불어 넣는다. 공간에서 빛의 중요성은 "공간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빛을 디자인하는 것이다."라는 칸의 말을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다. 빛과 공간예술(Light and Space Art)은 빛 자체에 집중하여 빛을 독립적 매체로 인식하였고, 빛의 특성을 살려 시각적 이미지와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였다. 빛과 공간예술과 미디어 퍼포먼스는 다른 예술장르이지만 관람자에게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고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는 점에서 빛과 공간의 본질적인 역할이 서로 통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빛 자체가 독립 매체로서 작품의 재료로 사용되기 시작한 배경을 라이트아트(Light Art)와 빛과 공간예술(Light and Space Art)을 통해 기술하고, 아돌프 아피아(Adolphe Appia)와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의 조명 미학을 통하여 미디어 퍼포먼스에서 독립된 매체로서의 빛(조명)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빛과 공간의 표현 특성 연구를 바탕으로 빛과 공간을 표현 수단으로 하는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과 올라퍼 앨리아슨(Olafur Eliasson), 앤소니 맥콜(Antony McCall)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빛이 작품과 관객의 소통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빛이 독립된 표현 매체로서 활용 되었을 때 미디어 퍼포먼스 공간 연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빛을 무대를 비추는 보조수단이 아닌 독립된 매체로 활용하고 있는 미디어 퍼포먼스, 제니퍼 로페즈(Jennifer Lopez)의 'Feel the Light'과 비의 '최고의 선물' 그리고 본 연구자가 참여한 작품 '겨울의 사랑'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빛과 공간의 표현적 특성을 활용한 미디어 퍼포먼스의 공간연출 효과를 현장감, 관객과의 소통 그리고 몰입, 세 가지 요소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퍼포먼스를 연출함에 있어 조명 즉, 빛을 다른 대상을 비추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수단이 아닌 독립된 매체로서 활용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함이며, 빛을 통한 무대공간의 확장이 공간의 변화, 창조 가능성을 풍부하게 하여 퍼포먼스의 발전에 많은 영향 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Creation of space using light gives life and dynamics to space dramatically. As Louis Kahn said ""Designing a space is designing a light." , light accounts for a great part of space. Light and Space Art recognized a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focusing on the light itself and created visual images and new spaces, making the best use of its characteristics. Light and Space Art and media performance are different genres but they have in common in that they provide viewers with visual experience and induce them to be immers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described the background in which the light itself began to be used as an independent medium and a material for a work through Light Art and Light and Space Art and proposed a direction of the utilization of lighting as an independent medium through the lighting aesthetics of Adolphe Appia and Robert Wilson.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i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expressions of light and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works produced by James Turrell, Olafur Eliasson and Antony McCall, which use the light and space as a means of expression.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light could be utilized as a means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work and the audience, and it was interprete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of expression could bring about a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a media performance space. In order to ascertain the aforementioned argument, a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edia performances that utilize the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instead of an aid that shines the stage, Jennifer Lopez’s Feel the Light, Pop Singer Rain's The Best Present and the work in which this researcher participated, Winter Love. Based on this, the effect of media performances utilizi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light and space on the space produc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elements, including the sense of realism,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immers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lighting, that is, the light can be utilized as an independent medium, instead of an aid used to shine other objects in directing a performanc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xpansion of the stage space through the light will enrich the possibility of creation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 ESG 경영이 새벽배송 서비스 이용자의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통산업은 최근 몇 년간 인구구조 변화와 기술 발전에 의해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고령화와 MZ세대 소비행태 변화, 1인 가구 증가 등은 소비 패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을 수정해왔다. 특히 기술 발전과 모바일 기기의 보급은 이커머스 시장의 활성화를 이끌며, 소비자들에게 높은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시장이 급성장하였다. 이러한 유통산업의 변화는 단순히 기술적인 발전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 편의를 극대화하기 위한 서비스 혁신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커머스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기존 고객을 충성 고객으로 전환하기 위해 새벽배송 같은 소비자 편의 서비스를 도입하였으며 새벽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이커머스는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새벽배송으로 대두되는 빠른배송 서비스는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본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이제 단순히 빠른 배송과 편리함을 넘어,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지속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소비자들은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뿐만 아니라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활동 여부를 소비자 행동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다. 그러나 정부의 규제와 선도 기업의 모방, 전문가 그룹으로부터의 정형화된 교육 등으로 인해 동일한 산업 내에서 많은 기업들이 유사한 지속가능 경영활동을 채택하고 있다. 실제로 선도 기업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해당 기업들은 과도한 포장 감소와 탄소 배출 저감 등 유사한 지속가능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나, 환경오염과 열악한 노동 조건 같은 한계를 공통적으로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유사한 지속가능 경영활동은 소비자들이 기업별 차별성을 느끼지 못하고 지속가능 경영활동 자체를 형식적으로 인식하게 할 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기업은 활동의 진정성을 소비자에게 일관되게 전달함으로써 타 기업과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단순히 지속가능 경영활동을 수행하는 것보다 소비자가 이를 인지하고 진정성을 느끼는지가 지속가능 경영의 성공 핵심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직접적으로 제품 및 서비스를 확인할 수 없는 이커머스 환경에서 소비자가 행동을 결정함에 있어 주변 사람들의 의견 등을 더욱 참고하게 되면서 주관적 규범이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새벽배송 이커머스 기업들의 제도적 동형화된 ESG 경영이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작용하는 진정성의 매개효과와 주관적 규범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236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인 SPSS 27.0과 PROCESS MACRO 4.2의 MODEL 14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ESG 경영은 소비자의 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진정성이 매개 역할을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소비자가 ESG 경영의 진정성을 인식할 때 긍정적 태도가 형성되어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주관적 규범이 소비자의 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진정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주관적 규범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진정성이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약화되었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주관적 규범이 항상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본 관점과 달리, 강한 주관적 규범이 소비자에게 심리적 반발을 유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ESG 경영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진정성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단순한 ESG 활동의 노출이 아니라, 소비자가 진정성을 느낄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빠른 배송 서비스와 같은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 기업들이 ESG 경영을 체계적이고 진정성 있게 수행한다면 차별화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ESG 경영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실무적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주관적 규범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조절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주관적 규범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진정성이 구매 및 추천 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약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주관적 규범이 소비자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본 관점과 달리, 강한 주관적 규범이 소비자에게 심리적 반발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관적 규범의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요소인 심리적 반발을 통합적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 주제를 더욱 심층적으로 탐구해야 할 학술적 가치를 강조하였다.

      • 엘리엇의 음악하기(Musicing)를 적용한 방과후 학교 클라리넷 앙상블 수업지도안 연구

        김도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5 개정 음악 교육과정은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해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며,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소통 능력과 함께 음악을 삶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학교 방과 후의 기악 교육은 학생의 흥미, 발달 특성 등을 고려하며, 악기 연주를 통해 음악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육 정책과는 반대로, 현재 방과 후 학교 기악 수업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연주기법에 대한 구체적인 연습방안을 제시 하지 않은 채 학생들의 악기 연주 기술과 실력의 향상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학습하며 앙상블 합주를 하게 되는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으로 치우쳐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엘리엇의 음악하기(Musicing)를 적용한 클라리넷 앙상블 수업 개발을 통하여 학생들이 클라리넷의 연주기법을 능동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스스로 연주 능력을 키울 수 있고, 다양한 음악활동 속에서 음악을 주체적으로 실행하고 음악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수업지도방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통한 음악적 행위의 과정은 학생들의 다양한 음악성을 길러주며 음악의 아름다움을 깊이 있게 느낄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지도안은 총 8차시로 구성했으며 엘리엇의 실천적 교육철학과 음악하기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음악하기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들의 구체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수업지도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클라리넷에서 가장 중요한 연주기법인 텅잉과 정확한 호흡법을 구체적인 연습방안을 통하여 익히고 합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클라리넷 연주기법에 관한 지식들을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연습방안을 구상하였다. 셋째, 클라리넷 연주 실력 향상의 중점이 아닌, 서로 협력하며 연습하고 음악을 연주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이 서로의 음악적 표현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음악적 소통 능력의 증진을 중점으로 설계하였다. 넷째, 연주기법을 습득함으로부터 더 나아가 음악을 학생 주도적으로 만들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음악하기 활동들을 고안하였다. 다섯째, 제재곡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탐색하게 함으로써 음악의 맥락을 올바르게 이해하며 연주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여섯째, 엘리엇이 추구한 음악하기의 다양한 음악적 과정 속에서 형성되는 음악적 지식의 발달로 학생들의 음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일곱째, 자기평가, 동료평가, 그리고 모둠별 평가로 구성된 평가지를 통하여 스스로 자신의 연주를 감독하고 책임감을 느끼며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로 인해 엘리엇이 추구하는 다양한 음악활동을 경험함으로써 음악성이 발달되고, 학생들이 음악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그리고 배려와 협동심을 배우며 함께 음악적으로 소통하며 즐겁게 연주할 수 있는 자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그리고 일상 속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음악의 아름다움을 실제 삶 속에 적용시켜 음악을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 그리고 바른 인성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Regarding the music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the year 2015, through the diverse music activities, the beauty of music is experienced. The musicality and the creativity are developed. And it had the goal of enabling the enjoyment of music within life together with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for respecting, and being thoughtful to the others. By reflecting this, th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fter school considers the interest of the studen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etc. And it has been educated so that the music can be expressed creatively by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s. However, in the opposite way from such an educational policy, regarding the instrumental music class after school at the present, without presenting a specific practice plan regarding the techniques of playing regarding which the students feel the difficulties, by having the techniques of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s and the improvements of the abilities of the students as the main purpose, the actual circumstance is that it has been leaning toward the teaching and the learning that are centered on the teacher through which the students learn passively and through which the students get around to doing the ensemble. As such,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clarinet ensemble class by applying Elliott's musicing, I, the researcher, intend to develop a plan for the guidance in the class through which the students can raise their capabilities to play by themselves by proactively learning the technique of playing the clarinet and through which, within the diverse musical activities, the music can be independently carried out and through which the joy of music can be experienced. The process of the musical act through this thesis will raise the diverse musicalities of the students. And it will became a yardstick with which the beauty of music can be felt deeply. The guidance proposal in this research had been organized with a total of 8 times. And,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regarding Elliott's practical education philosophy and musicing, the specific plan for the class with the diverse activities that take place within the process of musicing had been presented. The special features of this proposal on the class guidance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it had been enabled to learn and play together the tonguing and the accurate breathing method,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techniques of playing the clarinet, through a specific practice plan. Secondly, a specific and actual practice plan had been conceived so that the students can proactively learn the knowledges regarding the technique of playing the clarinet. Thirdly, the promotion of the musical communication capability with which the students can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the musical expressions of each other within the process of practicing and playing the music while cooperating with each other, which is not an emphasis of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play the clarinet, had been designed emphatically. Fourthly, by going further from learning the technique of the playing, the musicing activities that can make the music student-led and that can express creatively had been conceived. Fifthly, by making them explore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topic songs, it had been conceived so that the context of the music can be understood and played properly. Sixthly, it had been enabled to improve the musicality of the stud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musical knowledge that is formed within the diverse, musical process of the musicing that had been pursued by Elliott. Seventhly, through an introspection paper that were organized with the self-evaluation, the colleagues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s by the group, it had been enabled to make one supervise one's own playing by oneself, feel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engage in the class. Due to this research, by experiencing the diverse musical activities that are pursued by Elliott, the musicality will be developed. And I have the high expectation that, while being interested in music, while enjoying music, and while learning about the thoughtfulness regarding the others and the spirit of cooperation and while communicating musically together,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have the attitude for being able to play happily. And I have the high expectation that, by applying the beauty of music that could not be experienced within the everyday life to the actual life, it will be able to have the creativity for utilizing music within the life, and it will be able to have the proper personality.

      • 결혼이주여성의 노후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도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사회는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어가고 있다. 1997년 고령화사회에서 2018년 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였으며, 2025년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다(통계청, 2020). 이와 함께 OECD 가입국 중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2018년 기준 43.4%로 OECD 평균(14.8%)의 3배에 달한다(통계청, 2020). 특히 여성노인은 남성노인의 빈곤보다 더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여성 노인 중에서도 더 취약한 집단인 결혼이주 여성의 빈곤은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다(성지혜, 2015). 빈곤으로 인한 한국에서의 삶의 질과 노후준비는 더욱 취약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살펴보고 삶의 질에 노후준비, 자아효능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후 노후준비와 삶의 질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준비, 자기효능감,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노후에 필요한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으로 필요한 자원을 준비하고 계획이 잘 되어 있을수록 삶에 대한 주관적인 질적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확신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후준비,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노후준비의 하위영역 중 심리적 준비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와 삶의 질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후준비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대학교 조직변화에 대한 제도주의적 연구 : 전문, 특수 대학원 설립에 대한 사건사 분석, 1981~2004

        김도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교 조직이 환경의 영향을 받아 전문, 특수 대학원을 설립하고, 또 그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제도주의 입장에서 조직은 제도 환경을 반영하고 정당성을 얻기 위해 제도 환경 속의 다른 조직과 경쟁하고 동형화 되어 간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81-2004년 사이의 161개 대학을 대상으로 이들이 국제, 정보, 사회 복지 대학원을 도입하는 양상을 통해 제도 환경의 규범적 영향력과 이를 통한 모방적 동형화 현상을 분석하였다. 제도적 환경의 영향력은 국제, 정보 대학원은 담론이나 정책이 도입률을 높였고, 경쟁이 보다 치열한 사립 대학교일수록 이들 대학원의 도입률이 높았다. 그러나 사회 복지 대학원의 경우는 담론, 정책, 국사립의 여부보다는 다른 요인이 도입률의 증가를 가져왔다. 대학원의 특징과 관련 있는 대학들의 종교재단 관련성이 사회 복지 대학원을 도입하는 규범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방의 측면에서 각 대학원들은 모두 타조직을 모방하여 대학원을 설립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제, 정보 대학원의 경우 상위집단 보다는 동위집단을 모방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대체로 상위권 대학에서 도입률이 높았다. 그러나 사회 복지 대학원의 경우 동위, 상위 집단의 모방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지위에 따른 도입률의 변화는 알 수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