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의 태도와 행동의도를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도영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논문개요>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의 태도와 행동의도를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도영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방송전공) 뉴스 미디어가 대중들의 정치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밝히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역사적 사실을 재구성한 영화 역시 해당 사건에 대한 태도, 정치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택시운전사>, <변호인>, <1987>, <남영동 1985>와 같은 영화는 민주화항쟁의 역사를 비교적 생생하게 담아내 대중들의 큰 인기를 끌었다. 이는 영화 <택시운전사>와 <변호인>이 흥행의 바로미터라 할 수 있는 천만관객을 돌파했다는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영화의 인기는 이미 역사 속에 머무르고 있는 민주화운동 사건을 재조명하는 움직임으로 연결되고, 정치권에서는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런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의 태도와 영화내용 구전의도, 영화 추천의도를 결정짓는 다양한 요인을 규명했다. 구체적으로 본인의 거주지역에 따른 효과(호남/비호남), 개인의 심리적 차원인 본인의 정치 이데올로기 성향, 자신의 주위 환경에 대한 인식 차원인 본인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에 대한 인식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했다. 이런 다양한 독립변인의 주효과,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는 이유는 민주화운동이란 역사적 사건의 특성에서 기인한다. 민주화운동은 광주와 호남지역 사람들에게는 하나의 상징체계임과 동시에 지역 정체성을 대변하는 아이콘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런 지역 정체성과 집단 기억이 민주화운동을 그린 영화의 태도, 행동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이 연구의 첫 번째 목표이다. 그리고 이는 당시의 반공세력과 민주화세력이 끊임없이 투쟁하는 각축 상황에서 벌어진 사건이라는 특성을 가져, 개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영화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또한 본인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 인식은 오늘날 정치적 양극화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정치적 동질성 인식에 따른 정치적 확증편향 현상이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의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상기의 변인들은 개별 변인의 주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도 의미가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복합적인 효과를 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변인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거주지역, 본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본인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 인식이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 영화 내용 구전의도, 영화 추천의도에 미치는 주효과를 검증하였고, 영화 태도에 미치는 흥미로운 상호작용효과도 검증하였다. 첫 번째로 호남 사람들이 비호남 사람들에 비해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추천을 하려는 의도가 높았다. 또한 정치적 이데올로기 성향이 진보 성향의 사람들이 보수 성향의 사람들에 비해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영화내용을 구전하려는 의도, 추천을 하려는 의도가 모두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인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성향이 본인과 동질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이 이질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에 비해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영화내용 구전의도, 추천의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거주지에 따른 집단기억과 상징체계, 본인의 정치적 성향, 주변 사람들의 정치적 성향에 대한 인식이 모두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를 결정하는 데 유의미한 변인임을 의미한다. 상기 독립변인이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 영화내용 구전의도, 영화 추천의도에 미치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상호작용 효과도 검증되었다. 특히 독립변인들의 상호작용효과는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를 형성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과 본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성향이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진보성향을 가지는 사람들은 호남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호남에 거주하지 않는 사람들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본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보수 성향을 띄는 사람들은 호남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호남에 거주하지 않는 사람들의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에 태도가 차이가 발생했다. 구체적으로 보수 성향의 사람들은 호남 거주자에 비해 호남 비거주자가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가 훨씬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리하자면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진보적인 사람들은 거주지역에 관계없이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가 높지만, 보수적인 사람들은 거주지역에 따라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가 변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거주지역과 본인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 인식이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에 미치는 흥미로운 상호작용 효과도 발견되었다. 본인의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성향이 이질적이라 인식하는 사람들은 호남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호남에 거주하지 않는 사람들이 비교적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인의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이 동질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호남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호남에 거주하지 않는 사람들의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에 태도가 차이가 발생했다. 호남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에 따라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호남 지역에 거주하지 않는 사람들은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에 따른 차이가 호남 거주자들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화운동을 직접 겪은 곳인 호남 사람들은 본인과 관계를 맺고 있는 타인들의 정치적 동질성 인식이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데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호남 사람들은 집단 정체성과 집단 기억 형성이란 측면에서 비호남 사람들보다 주변 사람들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성향에 보다 민감할 수 있다. 이는 호남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본인과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의 정치적 동질성 인식에 따라 영화 내용 구전의도에 큰 차이를 보이는 연구결과를 통해 보다 확실히 알 수 있다. 또한 거주지역과 본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성향, 본인의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은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에 유의미한 3원 상호작용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거주지역에 따른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가 본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성향과 본인의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 인식에 따라 달라지는 패턴을 보였다. 우선 호남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흥미로운 상호작용 패턴이 나타났다. 본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진보적이라 응답한 응답자들은 본인의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이 이질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과 동질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진보성향의 사람들은 본인의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 인식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본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보수적이라고 응답하는 사람들은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성향 인식이 동질적일 때와 이질적일 때의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에 태도가 차이가 발생했다. 이는 호남 거주자들이면서 본인의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이라 생각할 때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밝힌 본인의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 인식에 영향을 받는 호남 사람들은 정치 성향이 진보적인 사람들보다 보수적인 사람들에 해당함을 이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반면, 비호남 거주자들은 본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보수적이라 응답한 응답자들은 본인의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이 이질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과 동질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의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가 비슷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진보적이라고 응답하는 사람들은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성향 인식이 동질적일 때와 이질적일 때의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에 태도가 차이가 발생했다. 호남 지역에 거주하지 않으면서 본인의 정치적 성향이 진보적이라 생각할 때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남지역의 사람들과 반대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비호남 사람들은 본인의 정치적 성향이 진보적이고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이 동질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의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본인이 진보적이고, 주위 친구들도 진보적이라고 인식하는 두 요인간의 시너지 효과가 일어나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가 가장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경험적 수준에 머물렀던 거주지역에 따른 집단 정체성과 집단 기억, 정치적 이데올로기 성향, 본인 인적 네트워크의 정치적 동질성 인식이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는 앞으로 민주화운동을 비롯한 역사적 사실을 재현한 영화의 매체 효과를 연구하는 후속연구의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Study on the Various Factors that Determine the Attitude towards the Films related to the Democratic Uprising Kim Do-young <Graduate School of Mass Communication, Sogang University Major in Broadcasting> There are many prior studies revealing the influence of the news media shaping the public's political attitudes. Recently, however, there has been a growing number of arguments indicating that the revision of historical facts in mov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attitudes towards the incidents and the general public's political standpoints. Films such as <Taxi Driver>, <The Attorney>, <1987> and <Namyoung dong 1985> are realistically portrayed the Democratic Uprising and became popular among the public. This is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films such as <Taxi Driver> and <The Attorney> have surpassed 10 million viewers domestically which is a good indicator of the popularity of the films. The popularity of such films has led to a movement to shed light on the Democratic Uprising, and politicians have used them as a means to strengthen their identity. In order to determine various factors regarding films related to the Democratic Uprising, this study identified the general attitude towards the films, what the plot intended to portray, and the motivations for recommending the films. In specific, one's political ideology which exists in a psychological dimension, effects from the area they are from (Honam region or not), and one's human network which exists in the perception of one's surroundings, were establish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main effects of these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interaction effects are attributed to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Democratic Uprising.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is a symbolic system and iconic representation of local identity for people from the Honam region. The initial goal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such local identity and collective memories affect the attitudes towards the films depicting the Democratic Uprising. The Uprising was an ongoing struggle between anti-communist forces and democratic forces. This point impacts individuals' political ideology in shaping the attitude towards the films. The perception of political homogeneity in the human network causes political polarization. This study determines how political homogeneity affects the attitude towards the films related to the Uprising. Although the above variables are significant in verifying the main effects of individual variables, the interaction effects among variables were set as the thesis of the research. An analysis was performed since they may have a complex effect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s a result, this study verified how one's place of origin and political homogeneity in the human network affects the attitude, what the plot intends to portray, and the motivations for recommending the films. Also, this study recognized the interaction on the attitude towards the films which was interesting. Firstly, people from the Honam region tend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and tend to recommend the films to others while the people that were not from the Honam region were less likely to. In addition, liberals were more positive towards the films than conservatives. Liberals tend to recommend and talk about the films more than conservatives. Lastly, people whose political orientation is homogenous to their own ha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films as well as a higher tendency to recommend and discuss the films. The region they are from, the collective memory, systematical symbolism, and one's own political orientation, as well as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people around them, wer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attitude towards the films. The various interaction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towards the attitudes, tendency to discuss the films, and recommending films have been verified through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influences of interactions of independent variables forming the attitude towards the films were significant. The effects of region of origin and political ideology towards the films related to the Democratic Uprising are as follows. There were fewer differences in attitudes among the liberals regardless of the region they were from. Conversely, the conservatives from the Honam region and the rest of the countr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In specific, conservatives from the Honam region had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films compared to conservatives from places outside of the Honam region. The liberal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films regardless of which region they were from, while the conservatives had different attitudes depending on which region they were from. An interesting interaction effect has also been found withi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homogeneity between the region of origin and the human network that influences the attitudes towards the films.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less of the region when the respondents believe themselves to have different political standpoint from their human network. However, depending on the person's region of origin, those who perceived their political standpoint to be similar to their surrounding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s the films. People from the Honam region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 films due to the political homogeneity of their human network; it has been revealed that those who do not live in the Honam region do not show a large difference in attitudes due to political homogeneity compared to people from the Honam region. People from the Honam region experienced the Democratic Uprising first-hand, thus creating their political homogeneity. This, in turn, had a major effect on the attitudes towards the films related to the Uprising. People from the Honam region had a tendency to be more sensitive about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people around them. Based o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homogeneity, the people from the Honam region had the tendency to discuss the films related to the Uprising. There had been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n the attitudes towards the films regarding the region of origin, political ideology and the political homogeneity in their human network. There was a pattern where the attitudes towards the films regarding the region of origin changes due to the political ideology and the political homogeneity in their human network. Among liberal respondents from the Honam region, there has not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nes with political homogeneity in their human network compared to those who were different from the norm. Liberals tends to be less affected when it comes to the political homogeneity in their human network. However, conservative responden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s the film depending on their perception of political homogeneity in their human network. The conservative respondents from the Honam region were influenced by the political homogeneity in their human network. The political homogeneity in the human network tends to influence conservatives more than liberals. On the other hand, conservative respondents from regions other than Honam had similar attitudes towards the films regardless of the political homogeneity in their human network.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towards the films among liberal respondents from regions other than Honam between the ones with political homogeneity in their human network compared to those who were different from the norm. Liberal respondents who were from regions other than Homan had a tendency to be influenced by the political homogeneity in their human network. This phenomenon contrasts to the respondents from the Honam region. Liberals from the regions other than Honam with political homogeneity tended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films related to the Uprising. The synergy effect between the two factors, in which one considers him/herself to be a liberal as well as their surroundings to also be liberal resulted in having the most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films.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has verified the key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due to the collective identity, collective memory, political ideology, and political homogeneity of their human network that affects the attitude towards the films related to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into the effectiveness of films that reproduce historical events including the Democratic Uprising.

      • 경기도 낙후도시 특성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김도영 협성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기도내에서 인구?사회, 산업?경제, 정주환경 특성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낙후한 도시의 특성을 분석하여, 경기도 낙후도시에 대한 도시재생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기도 낙후도시 도시재생전략은 현재 경기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진행중인 도시?주거환경정비계획과 같이 물리적 환경개선을 중심으로한 도시재생전략과 차별화된, 산업?경제, 문화, 복지, 교육, 행정 등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도시재생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정책제안 및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낙후도시의 특성분석 결과 경기도 낙후도시는 크게 ① 규제로 인한 낙후, ② 도시화?산업화 과정에서 쇠퇴한 도시, ③ 열악한 물리적 환경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낙후특성에 부합되는 낙후도시 도시재생전략을 수립함으로써, 규제지역의 활성화, 쇠퇴지역의 재활성화, 물리적 환경개선 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성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기도 낙후도시 도시재생전략 필요성을 파악하여, 경기도 낙후도시 도시재생전략 수립의 당위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낙후도시와 도시재생, 낙후도시 도시재생에 대한 기존문헌을 통하여 낙후도시 도시재생에 대한 개념과 이론동향, 정책동향을 파악하여, 현재 낙후도시 도시재생의 흐름을 파악하였다. 셋째, 경기도 낙후도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크게 3단계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경기도 낙후도시 선정으로 경기도 31개 시?군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경기도 낙후도시 8개 시?군을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낙후도시 선정을 위한 지표는 기존연구에 대한 검토와 FGI(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통해 낙후도시 선정지표를 도출하고, 도출된 낙후도시 선정지표를 통해 경기도 31개 시?군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경기도 낙후도시 낙후특성 조사로서 경기도 낙후도시로 선정된 8개 시?군에 대한 시계열조사, 규제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경기도 낙후도시 낙후특성 분석으로 경기도 낙후도시와 비낙후도시, 경기도 낙후도시와 전국 낙후도시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경기도 낙후도시의 낙후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경기도 낙후도시 도시재생전략 수립을 위하여 경기도 낙후도시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경기도 낙후도시를 ① 낙후지역, ② 쇠퇴지역, ③ 열악한 물리환경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각 유형별 도시재생전략을 단기, 중?장기적 도시재생전략을 수립하였다. 그 결과 낙후지역의 도시재생전략으로는 단기적 방안으로 신성장동력 발굴, 산?학?연 클러스터, 행?재정적 지원, 중?장기적 방안으로 각종 관련규제 정비 및 완화, 재정지원에 따른 사업시행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쇠퇴지역의 도시재생전략으로는 단기적 방안으로 쇠퇴산업 재활성화 전략, 산?학?연 클러스터, 행?재정적 지원, 중?장기적 방안으로 쇠퇴산업의 정보화와 세계화 실현, 재정지원에 따른 사업시행 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열악한 물리환경지역 도시재생전략으로는 단기적 방안으로 도시기반시설 확충, 생태마을 계획, 도시재생기본계획 수립, 중?장기적 방안으로 생태마을 조성, 도시재생기본계획 실행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도시재생전략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정책제안 및 제도 개선방안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정책제안은 중앙정부의 역할로 국가차원의 종합적인 도시재생 방향 및 전략 수립, 경기도 낙후도시 지원 강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로 도시재생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 운영, 지자체 도시재생 정보 인프라 구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도 개선방안은 중앙정부의 역할로 수도권정비계획법 개정, 군사시설보호법 개정, 도시재생법(가칭) 제정,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로서 도시재생조례(가칭) 제정, 도시재생기본계획 수립 등을 제시하였다. 최근 행정자치부 2기 신활력지역으로 경기도 연천군을 선정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경기도 낙후도시에 대한 관심 증대를 반영하여 경기도 낙후도시에 대한 현황조사 및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전략을 수립하고, 이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정책제안 및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서, 향후 경기도 낙후도시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를 지니고 있어,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첫째, 도시내 공간별 중점조사를 통해 우선 사업지역 선정 둘째, 도시재생전략의 구체적인 추진계획 셋째, 국가균형발전 등에 부합되는 경기도 낙후도시 정책 및 제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generation strategies for the underdeveloped cities in Geonggido by comparing their urban characteristics in demographic and social, industrial and economic and residential aspect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vely underdeveloped cities. To achieve this,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as well as comprehensive differentiated metropolitan regeneration strategies encompassing industry and economy, culture and welfare,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aspects were established somewhat similar to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form plan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do. Also this study attempts to make suggestions on policies an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underdeveloped cities in Gyeonggido revealed inferiority resulting from ①institutional regulations, ②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cesses and ③ poor physical environment.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were established for these underdeveloped cities with inferiority characteristics that may be used for active use of regulated areas, revitalization of deteriorated areas 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for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for underdeveloped cities in Gyeongido was identified leading to the justific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trategies. Second, the trends of urban regeneration in currently underdeveloped cities were studied based on the trends of concepts and theories as well as policies about urban regeneration reported in the available literature on underdeveloped cities and their urban regeneration. Third, study was performed in three largely divided step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developed cities in Gyeonggido. In the first stage, 8 cities and Guns were selected as being underdeveloped from the survey and analysis on 31 cities and Guns within Gyeonggido.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underdeveloped cities had been set from the review of existing study reports and the use of FGI (Focus Group Interview) before applying these criteria to 31 cities and Guns for survey of current status. The second stage consisted of identification of inferiority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underdeveloped cities by time series study and investigation on regulations. The third stage was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se inferiority characteristics using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underdeveloped cities vs developed cities in Gyeongiddo and between underdeveloped cities in Gyeonggido and those in the nation. Fourth, in order to establish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the underdeveloped cities were divided into underdeveloped areas, deteriorated areas and poor physical environment area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developed cities in Gyeonggido. The resulting strategies which are suggested in this study for urban regeneration of underdeveloped areas include identification of new potential areas of growth, clustering of industry, academy and research institutes and political and financial support as short term strategies and reform and relief of various related regulations and implementation of projects for improvement using financial support as medium & long-term solutions. For urban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areas, suggested strategies include revitalization of deteriorated industries, clustering of industry, academy and research institutes and political and financial support as short term strategies and realization of information facilitation and globalization for deteriorated industries and implementation of projects for improvement using financial support as medium & long-term solutions. For urban regeneration of poor physical environment, suggested strategies include construction of urban infrastructure, planning for eco-villages and basic planning for urban regeneration as short term strategies and building of eco-villages, implementation of basic urban regeneration plan as medium & long-term solutions. In order to facilitate these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efficiently, separate suggestions on policies an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were made for implementation respectively at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level. The suggested policies for central government includ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national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and reinforcement of supports for underdeveloped cities. For local governments,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ducation and research programs for urban regeneration and construction of loc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urban regeneration. The suggested method for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central government include amendment of the Capital Areas Reform Planning Law and Military Facilities Protection Law and new legisl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Law (tentative name) whereas, for local government, new legislation of the Ordinance of Urban Regeneration (tentative name) and establishment of basic planning for urban regeneration. Yeoncheongun in Gyeonggido was recently announced as the 2nd Term New Revitalization Area by the Ministry of Gevernment Affairs and Home Affairs. This study, reflecting such increased concern on underdeveloped cities in Gyeonggido, developed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based on survey and analysis on underdeveloped cities and suggested policies and ways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es. Therefore, this study has a meaning as a precedent study on underdeveloped cities in Gyeonggido.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f this study, which necessitate further studies, as follows: First, selection of priority areas for project implementation is necessary based on in-depth investigation of each type of space whithin the city. Second, detail plan

      • 국제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중국지도부의 인식변화 : 제 10차·1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01년-2010년)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도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국내환경정책과 국제적 규범의 이행 사이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이다. 그동안 국제사회에서 중국은 인권, 반핵과 같은 선진 국가들이 참여하고 있는 국제적 이슈에서 미국과 유럽을 포함한 국가들과는 다른 행동을 취해왔다. 그렇지만 유독 환경과 관련된 이슈만큼은 다른 이슈들과는 다른 새로운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중국이 다른 문제들과는 달리 환경문제에 있어 국제협약에 비준을 하고 국내적 정책에 환경문제를 적극 반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 첫째, 교토의정서라는 국제규범이 중국의 국내적 요인, 그리고 국내규범과 일치한다는 것을 분석하고, 환경이슈에서 교토의정서가 중국의 국내환경정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알아본다. 둘째, 최근 중국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정책이 중국지도부의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토대로 변화해 왔다는 것을 가정하고, 중국지도부의 인식 변화를 10차 및 1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중국은 지속가능한 경제발전과 산업구조 변화의 필요라는 절대적인 해결과제를 위해 국제기후변화협약에서 제시하고 있는 많은 국제규범을 이해하고 국내의 많은 정책을 변화시켰다. 특히 교토의정서에서의 핵심적인 사항인 청정에너지 기술개발을 위한 노력과 배출권 거래제도와 공동 이행을 위한 노력은 중국의 1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중국의 당-국가체제라는 정치제도와 중국지도부의 막강한 권력구조, 지금까지 인권을 포함한 다른 이슈에 대한 중국의 국제적 태도 등을 미루어 보았을 때 환경에 대한 중국의 움직임은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구성주의적 시각으로 보았을 때 중국 지도부의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변화가 선행되었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Abstract Change in Chinese Political Leadership's Perception on UNFCCC - With focu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10th and the 11th Five-Year Plan of China - Kim , do young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study on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s domestic environmental policy and China's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norms concerning environment. So far, China has taken different position from the U.S. and most of the European countries regarding such international issues as human rights and nuclear weapons, those issues in which many of the major global powers are deeply involved. However, China has taken different stance regarding environmental issues from other sorts of issues. Then, why is China taking different position concerning environmental issues, taking part in ratification of international protocols and considering environmental issues seriously in domestic policy-formation?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nclude; firstly, to prove that Chinese domestic environmental policies are in accordance with Kyoto Protocol, a type of international norms and also to analyze the influence of Kyoto Protocol on Chinese domestic policy-formation process in the field of environment. secondly,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ivist hypothesis that China's recent policies regarding environment reflects change of perception of Chinese leadership regarding environment, to conduct research on the change of Chinese leadership's perception on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10th and the 11th Five-Year Plan of China, designed to develop her economy. With the aim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structuring of domestic economy, China has made many change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concerning environment by internalizing many of the international norms based on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Chinese efforts for the fulfillment of two essential parts of Kyoto Protocol, which are, development of clean-energy technologies and establishment of carbon-trading system, are noticeable in the 11th Five-Year Plan, which is being implemented for the period between the year 2006 and 2010. These changes in Chinese policies regarding environmental issues could be seen as exceptional, especially considering those factors as peculiar Chinese political system dominated by Chinese Communist Party, strong power of Chinese political leadership, and Chinese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arena toward other issues including human rights. When seen from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the conclusion drawn from analysis above would be that there has been positiv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hinese leadership regarding environmental issues. Key words: China's domestic environmental policy, Sustainable development, UNFCCC

      • 유산균 발효 레드향 추출물의 특성 평가 및 프로바이오틱스 음료 개발

        김도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Subtropical crops have become possible to be cultivated in South Korea due to continuous climate change, and their production is also increasing. But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roduction method of subtropical crops, and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crease their food appli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ty of domestic subtropical crops and the income of subtropical crop producers, food processing technology should be applied to domestic subtropical crops.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is one of the food processing technology that can increase the efficacy of various foods and beverages by producing functional ingredients. Therefore, Citrus hybrid Kanpei (CHK) known as one of the subtropical crops was fermented by 4 types of lactic acid starter (YFH, ABY, YCX, YC), and their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developing the probiotics CHK beverage. As a result, the pH decreased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time and the titratable acidity was shown opposite trend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all samples after fermentation was observed above 7.60 log CFU/mL. Antioxidant activities (DPPH, ABT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and the highest values were shown in the YXC sample. The organic acid contents of all samp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fermentation and to 1.77-3.92 mg/mL and 2.67-5.83 mg/mL for acetic acid and lactic acid, which were not detected before fermentation. A probiotics beverage was prepared using CHK extracts fere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preference for sensory properties was highest in YXC and YC. All sample groups in the in vitro gastric transit phase were shown to have a count of 3.99-5.88 log CFU/mL at 60 min. 3 ratios of probiotics CHK juice were prepared using YXC extract (50%, 75%, and 90%). As a result, the pH was decreased, the activities were increased as the fermented extracts ratio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ies (DPPH, ABTS) and the total content of polyphenol and flavonoid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 fermented CHK extrac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quality during storage of the sterilized probiotics CHK juice,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maintained at 7.10 log CFU/mL for 60 days in the non-sterilized sample. In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CHK extracts through lactic acid fermentation positively affect on the production of the probiotics beverage.

      • 동남아시아 계통연계형 PV-ESS 마이크로그리드 설계 및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김도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지역적 특성상 전력계통 증축에 상대적으로 큰 비용이 발생하며 전력수급 안정성 향상이 요구되는 동남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계통연계형 Photovoltaic (PV) - Energy Storage System (ESS)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설계를 제안한다. 실 측정된 커뮤니티 일간 부하패턴과 각 국가 타겟 지역의 전력 거래시장 및 요금제를 분석하고 해당 계통환경에서 수용가에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계통으로의 전력공급이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안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고 주요 경제 지표들의 변동에 따른 경제성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을 수행한다. 경제성 분석은 독립발전사업자 및 송전망운영자 측면으로 나누어 경제성 파라미터들의 변동 민감도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연구는 송전망 운영자 측면 경제성 분석 시 제안된 동남아시아 국가별 신재생 발전차액지원제도(Feed-in Tariff, FiT) 요금 가중치에 따른 경제성 민감도를 추가 분석한다. FiT 요금 증가로 인해 독립발전사업자의 편익 증대와 신재생에너지 및 마이크로그리드 보급 확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각 독립발전사업자 및 송전망운영자 주체 측면과 시스템 구성 용량에 따라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시나리오별 경제성 파라미터들의 변동 민감도를 바탕으로 각 타겟 지역에 대한 시스템 경제성 평가를 실시한다.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및 인도네시아의 4개국을 대상으로 경제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독립발전사업자 측면 경제성 평가 결과, 4개국 모두 PV 설치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NVP)가 증가하였다. 할인회수기간(Discounted Payback Period, PP)의 경우, PV 설치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말레이시아 및 태국은 PP가 감소하였으나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는 PP가 증가하는 결과를 갖는다. 송전망운영자 측면 경제성 평가 결과, 말레이시아,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는 연간 총 비용 대비 연간 총 편익이 더 높게 산정되어 송전망운영자 측면에서 긍정적인 경제성 결과를 갖는다. 하지만 태국의 경우 연간 총 비용 대비 연간 총 편익이 더 낮게 산정되어 송전망 운영자 측면에서 부정적인 경제성 결과를 갖는다. This paper proposes a grid-connected Photovoltaic (PV)-Energy Storage System (ESS) microgrid system design for Southeast Asia. These areas show relatively expensive power system extensions due to their geographical, economical, social, and other circumstance, and thus they usually need to solve the stability issue between power supply and demand. First of all, this paper analyzes the measured daily load pattern of a selected community and the electricity tariffs of the selected target regions. This paper also proposes to design a microgrid system that can supply electrical energy to customers and sell surplus generated energy to the grid. This study observe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icrogrid system of each target region based on the sensitivity analysis according to changes of major economic parameters. This feasibility analysis is separately conducted for the independent power producer and transmission system operator. In addition, this study additionally observes the economical sensitivities according to the rate weight of the corresponding feed-in tariff (FiT) of each target region for analyzing the economic feasibilities of the transmission system operators. The increase of the FiT rate improves the benefits of independent power producer, and this can be expected to spread the supply of the proposed microgrid systems.

      • 아파트 개발사업의 수익 리스크 관리 모델

        김도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아파트 개발사업은 사업 실패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특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프로젝트별 현장여건 및 주변 상황 등으로 인해 사업에서의 리스크(risk)는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사업의 성패가 결정된다. 아파트 개발사업은 일반 사업에 비해 투자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 다양한 협력업체 및 이해관계자가 참여하고 있어 사업실패에 따른 경제적인 피해가 매우 크며, 주택시장의 침체가 담보가치 하락 등으로 이어져 건설업계 전반 및 금융권의 동반 부실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08년 말 미국 발(發) 금융위기 이후 경기침체와 더불어 주택시장이 급속히 쇠퇴하였고 미분양 등으로 인하여 많은 사업이 중단되거나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사업에 참여한 시행사, 건설회사, 협력업체 뿐 아니라 주택을 분양받은 민간인들까지 막대한 경제적 타격을 받아 국가경제 전반에 어려움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사업 실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파트 개발사업의 사업성과인 수익성과 분양성에 대한 현실적인 평가와 분석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아파트 개발사업 리스크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예를 들면, 사업성 분석에 관한 연구, 리스크 인자분석 및 중요도 산정에 관한 연구, 리스크 대응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파트 개발사업의 복합적인 특성을 갖는 다수의 리스크 요인(risk factors)들과 사업성과인 수익과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리스크 인자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수준만을 나열하였을 뿐, 그 활용 및 리스크 상호 간의 연관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연구들은 사업초기부터 종료시점까지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특정시점에서의 리스크 및 관리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집중하였다. 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업전체를 포괄하는 수익 리스크 관리 모델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결과 아직도 정량적이고 명확한 수익에 대한 리스크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량적으로 아파트 개발사업의 수익을 충분히 분석할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 낸 후 이들 간의 동적 관계를 반영한 리스크 관리 모델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파트 개발사업의 사업성과인 수익은 직접적으로 분양률(sales ratio), 분양단가(unit sale price), 금융비용(financial cost), 토지비용 (land cost), 공사비(construction cost) 등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은 사업기획, 토지구입, 설계, 분양, 시공 등의 사업추진 과정에서 다 양한 프로젝트 참여자(stake holders)를 포함한 환경변화에 따라 변동되며, 그 결과에 따라 사업성과인 수익이 등락한다. 사업 수익이 목표 수준 내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이 요인들을 사업 착수 전, 분양 및 종료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전(全) 과정을 예측(forecast), 통제 (control and monitor), 관리(manage)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개발사업의 수익 리스크 관리 모델(PRI MA)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첫째, 아파트 개발사업의 리스크 관리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본 연구의 모델에 적용할 항목과 평가 기준을 설정한다. 둘째, 아파트 개발사업의 수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5가지 경제적 리스크 요인(분양률, 분양단가, 토지비, 공사비, 금융비용) 간의 상호 영향 관계를 고려하여 인과지도(causal loop diagram)를 작성한다. 셋째, 앞서 작성된 인과지도를 기반으로 수익 리스크 관리모델(PRIMA)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경제적 리스크 요인들의 mathematical generation, simulation and optimization model을 순차적으로 정의하며, 최종적으로 아파트 개발사업 수익 리스크 관리 모델을 구축한다. 넷째, 구축된 리스크 관리 모델(PRIMA)을 사례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효용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간과 환경 변화에 따라 등락하는 project profit을 동적(dynamic)으로 관리하는 학문적 근거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실무적으로는 project developer가 사업 수익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도록 지원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사업진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수익에 대한 리스크를 실시간으로 예측, 통제, 관리할 수 있으며, 아파트 개발사업 추진 시 실무 및 의사결정 단계에서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수시로 발생하는 리스크를 정량적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해관계자 간의 의견 충돌을 줄여 원만한 사업진행을 위한 합의점 도출이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s cause serious economic damage from business failures. In particular, the risks in the project are steadily increasing due to the project conditions and surrounding conditions that continuously change over time,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ject is determined by how to manage these risks. The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 has a relatively large investment compared to the general project, and the economic damages caused by the business failure are very large because various partners and stakeholders are involved. In addition, the housing market's stagnation can lead to a decline in collateral value, which can lead to housing construction and financial insolvency. For example, after the US financial crisis in late 2008, with the recession, the housing market fell sharply. This caused significant economic damage not only to the developers, construction companies and subcontractors involved in the project, but also to the civilians who purchased the homes, causing difficulties for the entire economy. In order to prevent such a business failure, a realistic evaluation and analysis of profitability and presales, which are business results of apartment development, are needed. Until now, research on the risk of apartment development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For example, various studies were conducted on feasibility analysis, risk factor analysis and importance calculation, and risk response research.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 number of risk factors having complex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profitability of business performance. For this reason, most studies only list the level of impact of risk factors on business performance, but do not quantitative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use and risk. In particular, most of the research did not cover the project from start to finish, focusing on risk and management at a specific point in time. In other words, no profit risk management model has been developed that analyzes the entire business over time. As a result, there is still no risk analysis for quantitative and clear retur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find factors that can quantitatively analyze the profits of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s and to establish a risk management model that reflects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them. Profit, the performance of an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 is directly affected by the sales ratio, unit sale price, financial costs, land costs and construction costs. However, these factors fluctuat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including various stake holders, and the profits fluctuate as a result. In order to ensure that profits are managed within target levels, these factors must be able to be predicted, controlled and monitored and managed up to the start, sale, and end stages of the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fit risk management model (PRIMA) for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research on risk management of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s,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profits, and sets items and evaluation criteria to be applied to the model of this study. Second, a causal loop diagram is prepared by consider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five economic risk factors (sales ratio, unit sale price, land cost, construction cost, and financial cost) that directly affect the profits of apartment development. Third, the profit risk management model (PRIMA) is developed based on the causal loop diagram. The mathematical generation, simulation and optimization model of economic risk factors is sequentially defined, and finally, the profit risk management model of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 is established. Fourth, the risk management model (PRIMA) is applied to case projects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basis for the dynamic management of project profits that fluctuate with time and environment. And in practice, it will help project developers manage their business revenue to the proper level. In particular,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edict, control, and manage the risks of profits that can occur during the project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risks that occur from time to time can be identified quantitatively and visually,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easier to derive consensus points for smooth business progress by reducing conflicts of interest among stakehol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