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율적인 감상학습을 위한 ICT 활용방안 연구 : 중학교 1학년 ‘마왕’을 중심으로

        김도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효율적인 감상학습을 위해 ICT를 활용한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고 그것을 활용한 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음악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신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현 감상수업에서 부족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음악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학생 스스로 적극적인 자세로 감상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ICT를 활용한 음악 감상 수업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심미적 안목과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교육에서의 ICT 활용방안에 대한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 등의 자료를 살펴보았다. 둘째, 중학교 1학년 9종 교과서의 서양음악 감상곡을 분석하였다. 셋째, 교사 홈페이지 및 웹 사이트를 활용하여 감상학습에 필요한 음원 및 동영상 자료 등을 제작 · 수집하였다. 넷째, 제작 ·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수 · 학습 지도안을 구현하고 적용하였다. 다섯째, 앞서 설계한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실제 수업에서 적용해 보고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실제수업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남인천 여자 중학교 1학년 중 3개 학급이며, 수업은 2007년 5월에 실시하였다. 현재 학교 수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감상 수업은 수많은 ICT 학습자료가 방대하게 보급되어 교사가 단위 수업 시간에 어떠한 학습 자료를 취사선택 할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ICT 학습자료가 보급되어 있지만 단위 학습 실태와 정확한 교육과정의 분석에 기초한 양질의 학습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교사가 학습 실태에 맞게 재편집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음악적 발달단계와 교수전략을 고려하여 간단한 학습자료는 직접 제작하여 수업 현장에 투입하여 실질적이고 생동감 있는 감상 수업이 될 것이다. 둘째, ICT를 활용한 감상 수업은 학생들이 수동적인 자세에서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직접 참여할 기회를 주어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음악적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 ICT를 활용한 감상학습은 학생들이 진정한 음악의 예술적 가치를 알 수 있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로 활용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가 제시한 자료를 토대로 학교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인 감상학습을 위한 ICT 활용방안에 대하여 개발하고 검증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teaching-learning guide utilizing ICT for more efficient appreciation classes, to induce the motivation to learn and to increase mus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rough the students' activities centered classes. Additionally, it was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aesthetic insight and desirable sense of value by providing music appreciation class models utilizing ICT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the classes more actively by induc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music. Accordingly,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e reviewed the materials including domestic master and Ph.D degree theses regarding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and ICT utilization in music subject. Second, we analyzed western music note for appreciation in 9 kinds of Grade 1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Third, we produced and collected sound sources and animation materials needed for appreciation classes using teachers' homepage and web sites. Fourth, we implemented and applied effective teaching-learning guide utilizing the produced and collected materials. Fifth,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 survey after applying the pre-designed teaching-learning plan to the actual classes and verified the effects of the plan. Actual classes were performed in the three 1st grade classes in Namincheon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Incheon Metro City in May, 2007. We do not have clear perception on what kind of materials we should select for the appreciation classes because there are too many ICT learning materials Additionally, although various ICT learning materials are distributed to schools, teachers should edit them to use in the classes because there are not many good materials based on the unit class status and accurate curriculum analysis. The effects that we can expect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we make simple learning materials and apply them to actual classes considering the musical development of the student and the teaching strategy, the classes can be more practical and more active. Second, if we give th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appreciation classes using ICT, they can have opportunities to show their musical creativity. Appreciation classes using ICT should be used as the tool to make the students know the real value of music and to help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s freely and creatively. It is hoped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develop and verify ICT utilization methods for more efficient appreciation classes based on the proposed materials.

      • 헤어클리닉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김도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헤어클리닉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김도연 지도교수 : 한진섭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자기관리와 美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표현방법, 관리방법이 다양화 되면서 모발에 대한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손상 모발을 회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다양한 헤어클리닉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능이 전문화되고 세분화 되어 종류가 다양해진 헤어클리닉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만족도를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인 남, 여 207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두피·모발의 손상정도 및 헤어클리닉 제품의 사용에 대한 인식정도, 실제구매 시 헤어클리닉 제품의 고려도, 소비자만족도 등의 연구를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여,설문 조사를 하였다.자료 분석은 SPSS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모발의 현재 상태와 헤어클리닉 제품 선택 시 고려도 및 만족도를 위한 교차분석, 빈도분석, 순위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발의 굵기는 굵다가 근로/영업직에 종사하는 경우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늘다는 주부층에서 3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부층의 잦은 퍼머와 염색에 의한 모발 손상의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모발의 형태는 반곱슬 59.5%, 곱슬 13.0%, 직모 27.5%로 나타나 한국인의 모발 형태는 곱슬 또는 반곱슬인 것으로 나타나 한국인의 모발은 대부분 곱슬모 또는 반곱슬모 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모발손상의 원인 중 물리적 손상은 아이론 42.6%, 브로우 드라이 30.9%, 샴푸 11.1%, 타올 드라이 10.1%, 브러싱 5.3%으로 나타나 아이론에 의한 손상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학적 손상은 염·탈색 58.0%, 퍼머 22.2%, 매직스트레이트 15.0%, 기타 4.8%의 순으로 나타나 모발의 화학적 손상 원인은 염·탈색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모발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있다 83.1%, 없다 16.9%로 대부분 모발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나 트리트먼트 사용 유·무는 예 57.5%, 아니오 42.5%로 나타나 실제로 모발관리에 필요한 행동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관리에 관한 정보 습득은 미용실 38.6%, 언론매체 37.7%, 친구 12.1%, 자발적 11.6%의 순서로 나타나 대부분의 경우 미용실과 언론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헤어클리닉 제품 구입 장소는 마트에서 40.6%, 뷰티 전문매장 27.1%, 미용실 20.3%, 인터넷 12.0%로 나타났다. 트리트먼트 제재의 사용 유·무는 예 57.5%, 아니오 47.5%로 나타났으며, 모발의 타입에 따라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렇다 67.3%, 보통이다 27.7%, 그렇지 않다 5.0%로 대부분 모발 형태에 따라 트리트먼트 제재를 선택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발관리 및 헤어클리닉 제품에 대해서 가격, 브랜드, 모발의 타입, 현재 모발의 상태, 제품의 품질, 제품의 향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클리닉 제품 종류, 방법, 제품의 성분과 효과의 인식의 정도가 높고 사용경험이 풍부하고 나에게 맞는 헤어클리닉 제품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제품사용 후 효과에 대한 신뢰도, 효과 대비 가격 만족도가 높았으며, 꾸준한 제품 사용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모발관리 방법이 행동으로 이어지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알맞은 제품 구입 및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헤어클리닉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높이고 미용 전문 분야 전공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올바른 헤어클리닉 제품의 사용을 통해 높은 만족도 고취 및 건강한 두피와 모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항만물류산업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김도연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코로나19 및 화물연대의 총파업, 요소수 품귀 현상, 미국과 중국의 신무역전쟁 등 대내외 환경요인으로 인해 발생된 물류대란은, 항만물류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위험 노출과 안전사고 증가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회 전반적으로 안전을 중시하는 분위기와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각 산업별로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는 다양한 법안들이 제정 및 개정되고 있다. 대부분의 법안들은 사업주와 안전 담당자, 근로자 등이 숙지하여야 할 안전관리 사항을 정립하고 있으며 작업환경 개선 및 사고에 대한 사전 예방조치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항만물류산업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중대형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으로, 이것은 미래 발생 가능한 위험성에 대해서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중대한 사고원인에 대해서는 예방대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안전보건공단에서 최근 5년간(2016년~2020년) 집계된 재해자 일반현황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항만물류산업 중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3가지 업종(하역업, 보관업, 운수업)에 대해서 미래 발생 가능한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통계 일반현황 분석을 통해서는 단편적인 통계 현황을 알아보는데 용이하지만 업종별로 재해자와 사고원인의 연관성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어서, 사고 발생 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재해자 특성(연령, 근속기간, 고용형태)을 중심으로 재해자 구분과 발생형태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재해통계 분석만으로는 각 업종별로 위험도가 높게 나온 요인을 구분하고 원인과 대책을 수립하지 못하기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하는 「정성적 보우타이(Bow-Tie) 리스크 평가 기법에 관한 지침」에 따라 Bow-Tie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위험성을 계량적으로 수치화하고, 사고의 결과(사상)를 중심으로 주요 발생원인과 예방대책, 발생결과와 감소대책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하역업은 떨어짐/무너짐 사고가, 보관업은 폭발 사고, 운수업은 교통사고가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선정되었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예방대책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예방대책 중 최우선적으로 항만물류산업 현장에 적용해야 하는 개선방안을 선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IPA 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각 업종별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하역업은 ①장비의 주기적인 점검(TBM), ②의사소통체계 확립, ③항만하역 안전교육이 선정되었고, 보관업은 ①실시간 화재감시 시스템이, 운수업은 ①정기적인 차량 점검, ②졸음쉼터 확충이 최우선 순위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항만물류산업(하역·보관·운수)에 종사하는 안전·보건 관리자 및 위험성평가 담당자들은, Bow-Tie 분석기법에서 도출된 각종 예방대책과 감소대책 중 실시하고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먼저 구분한 뒤 최우선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안전보건 재해예방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 원불교 여성교무의 삶의 경험에 대한 연구

        김도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lives of Won-Buddhism's female ministers through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Eight subjects, who had lived as a female Kyomu for 10 to 20 years, were sampled. Data were analyzed, and 157 themes and 34 groups of theme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six big categories of themes were derived. Thu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Subjects were delighted, joyous, happy, thankful, and satisfied as they lived a Buddhist life. They grew through expanding practice and perception of the enlightened world and lived an ordained life. They as ordained persons wanted to become honorable ministers, warm-hearted ministers, ministers who deliver Buddhist laws in the amusing way, ministers who give and receive love, and ministers who by facial expression alone would make people comfortable. However, subjects, when asked about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their Buddhist life, vividly remembered conflicts with their seniors during years 1 through 4. Subjects had difficulty due to seniors who were jealous and hysteric, who criticized them due to unfounded reasons, who were rude and rough, who were irrational, who engrossed in mannerism, who did not communicate and discuss, and who shifted blame on juniors. Due to pressure from their seniors, subjects severely felt anger, irritation, despair, emptiness, self-criticism, boredom, suppression, frustration, and chagrin among other negative feelings, and this made them even think of returning to laity. Due to emotional pain, subjects had difficulty conducting edification and practice. Such negative emotions shifted to psychosomatic diseases such as obesity, shoulder pain, gastric disease, headache, alopecia areata and unbalanced hormones. Subjects strove to cope with their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their Buddhist life in their own way. They mostly resorted to surrounding resources. If they had not have a channel to appeal their pain, they would have become insane or returned to laity, they said. Although they strove to endure and overcome their difficulty through practice, they could not continue practice when extreme difficulty continu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became the country's first research to understand the lives of Won-Buddhist female ministers. As a result, it could reveal the difficulties female ministers experienced and how they coped with them. Female ministers, when they faced psychological difficulties, could not personally cope with them properly. Although they do not face such difficulties now, their past hurt might linger without being healed. Such psychological problems, if not sufficiently tackled, may distort their spiritual development. Therefore, instead of ascribing ministers' difficulty to the lack of individual's belief, public spirit, and practicing mind, a systematic support and counseling channel of counseling psychology experts, at the level of Buddhist order, should be constructed so that female ministers can heal their psychological hurt and relational conflicts, and can live a true ordained life as a mature minister. Also, safety counseling mechanism should be prepared, given that the order size is small which makes the protection of ministers' human rights vulnerable and the ministers sensitive to rumors. Thus, this study may be used to establish policy for Won-Buddhism order's spiritual growth, for educational policy for Won-Buddhism order's spiritual growth, for education of candidates of ministers, and for minister's welfare. In addition, the study findings can also be used for counsellors of Won-Buddhism ministers to understand the lives of female ministers.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 여성교무들이 경험하는 삶의 현상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참여자는 출가법랍이 10~20년 된 여성교무 8명이다. 자료 분석결과 155개의 주제와 33개의 주제묶음을 추출하였고, 이를 다시 큰 주제 6개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은 기쁘고 즐겁고 행복하며 감사하고 보람된 생활 속에서 만족을 느끼며 생활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수행과 인식의 확장을 통해 성장해 나가고 있었고, 출가의 의미를 되새기며 생활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출가자로서 부끄럽지 않은 교무, 따뜻한 교무, 교법을 재밌게 전달해 주는 교무, 스스로에게 사랑주고 사랑받는 교무, 얼굴표정만으로도 사람들을 편안하게 만드는 교무 등이 되고 싶다고 하였다. 하지만 참여자들은 출가생활 중 어려움을 느낀 적이 있었냐는 질문에 1년차에서 4년차까지 겪었던 선진과의 갈등을 생생하게 회상하였다. 참여자들은 선진의 질투, 선진의 히스테리와 이유 없는 질책, 함부로 대하고 무시하는 선진, 불합리한 선진, 타성에 젖은 선진, 소통과 협의를 하지 않는 선진, 후진에게 책임을 전가시키는 선진 등으로 인하여 힘들었다고 진술하였다. 참여자들은 선진이 주는 어려움으로 인해 분노, 짜증, 실망감, 허무함, 자책감, 권태로움, 무력감, 억눌림, 좌절감, 억울함 등의 부정적인 정서가 극대화되었고, 이는 환속까지 생각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정서적 고통으로 인해 교화에 어려움을 느꼈고, 수행에도 난관을 겪었다.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신체화로 이어져 비만, 어깨 통증, 위장병, 두통, 원형탈모, 호르몬 불균형 등에 걸리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출가생활 중 발생한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노력하였다. 참여자들이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것은 주변의 자원이었다. 만약 고통을 호소할 통로가 없었다면 미치거나 환송했을지도 모른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수행으로 인내하거나 극복해보려고도 했지만 오히려 극심한 어려움이 지속될 때는 수행을 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최초로 원불교 여성교무들이 경험하는 삶을 이해하는 데 있어 질적 연구라는 학문적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것이다. 그 결과 여성교무들이 겪는 어려움과 이 어려움을 이들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를 드러낼 수 있었다. 여성교무들은 심리적인 어려움에 당면했을 때 개인적으로 대처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현재는 그러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 않더라도 과거에 경험했던 상처가 치유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심리적 문제는 충분히 다루어 지지 않으면 영적 발달을 왜곡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교무들이 겪는 어려움을 각 개인의 신심·공심·공부심 부족으로 돌리는 것이 아리나 교단에서 체계적인 지원과 상담심리 전문가들에게 상담을 받을 수 있는 통로를 구축해야만 여성교무들이 받은 심리적 상처와 관계에서의 갈등을 해결하고 보다 성숙한 교부로서 참다운 출가자의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단의 규모가 작아서 인권보호나 소문에 민감한 만큼 상담을 받는 교무들에 대한 안전장치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원불교 교단의 영적 성장과 예비교무 교육 및 교무 복지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덧붙여 원불교 출가교역자를 상담하는 전문 상담자들에게 여성교무들의 삶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백생강과 흑생강 분말의 항산화 특성 및 생강분말 첨가 튀김제품의 저장 안정성

        김도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analyze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white ginger powder and black ginger powder and analyzed the storage stability when added to fry.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of white ginger pow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lack ginger powder. Total flavonoid content of black ginger pow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white ginger powder. The white and black ginger powder pH were 6.91±0.02, 6.86±0.01. White and black ginger powder total soluble solid were 8.37±0.34%, 3.13±0.08%. The color values of white ginger powder was were as L-value 72.70±0.23, a-value 2.61±0.03 and b-value 27.44±0.07. The color values of black ginger powder was were as L-value 45.69±0.14, a-value 8.28±0.04 and b-value 4.12±0.03. pH values of maejakgwa not-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pH value of cake donut without added ginger powd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H value of cake donut added with ginger powder. The values of l and b were higher in maejakgwa and cake donut without added ginger powder. a value of black ginger powder was higher than that of black ginger powder. The expansion rate of cake donuts and maejakgwa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value of a was higher in maejakgwa and cake donut with black ginger powder added. Hydration of maejakgwa not-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dehydration rate of cake donu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lack ginger powder. For sensory evaluation, white ginger powder added maejakgwa and cake donut were more preferred in terms of overall preference. The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were significantly lower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and hardness tended to be higher in all samples in the case of moisture content and lightness. Also,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tended to increase twice during storag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ginger powder will play a role of natural pigment when applied to foods. In the sensory evaluation, white ginger powder was generally evaluated as g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amount added of black ginger powder when it is added to deep frying. The addition of ginger powder to deep frying can effectively reduce the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during storage. Therefore, when the white ginger powder and the black ginger powder are applied to the food, the taste and shelf life can be improv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per addition ratios to improve the pala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백생강 분말과 흑생강 분말의 항산화성을 분석한 후 기름이 많아 산패되기 쉬운 튀김 식품에 적용하였을 때 품질특성 및 저장기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기호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백생강 및 흑생강 분말의 항산화능 측정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백생강이 높게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흑생강이 높게 나타났다. 분말의 pH 측정 결과 백생강 6.91±0.02, 흑생강 6.86±0.01로 나타났고 수분함량은 백생강 8.37±0.34%, 흑생강 3.13±0.08%로 나타났다. 백생강 분말의 색도는 L, a, b값이 각각 72.70±0.23, 2.61±0.03, 27.44±0.07로 나타났으며 흑생강 분말은 45.69±0.14, 8.28±0.04, 4.12±0.03로 나타났다. 반죽의 pH는 매작과의 경우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케이크 도넛은 무첨가구 > 백생강 분말 첨가구 > 흑생강 분말 첨가구 순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색도의 경우 L값과 b값의 경우 매작과와 케이크 도넛 모두 생강 분말 무첨가구 > 백생강 분말 첨가구 > 흑생강 분말 첨가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a값은 매작과와 케이크 도넛 모두 흑생강 분말 첨가구 > 백생강 분말 첨가구 > 무첨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팽화도는 매작과와 케이크 도넛 모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튀김은 탈수율을 측정한 결과 매작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케이크 도넛의 경우 무첨가구와 백생강 분말 첨가구에 비하여 흑생강 분말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매작과와 케이크 도넛 모두 백생강 분말을 첨가한 시료가 높은 값으로 평가되었다. 저장 중 품질특성의 변화는 수분함량과 명도의 경우 모든 시료군이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경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 중모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강 가루를 식품에 적용할 경우 천연 색소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관능적 특성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이 백생강 분말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흑생강 분말을 튀김에 적용할 경우 첨가되는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것을 생각되며 생강 분말 첨가 시 저장 중의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효과적으로 낮춰줘 저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로써 백생강 분말과 흑생강 분말을 식품에 적용하였을 경우 기호성과 저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더 나아가 기호성을 높이고 품질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적절한 첨가 비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대상관계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도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한부모가정 18살 여고생으로 부모의 부재로 인한 외로움과 고독감을 겪고 있으며 낮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연구기간은 2023년 3월 6일부터 5월 20일까지 주 2회, 60분씩 총 23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림검사는 동적 집-나무-사람(K-HTP), 동적가족화(KFD), 동적학교생활화(KSD) 그림검사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회기별 관찰을 통해 주제에 따른 회기 및 단계별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기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의 하위요인인 내용적 자기표현 요소, 음성적 자기표현 요소, 비언어적 자기표현 요소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KFD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공간을 분리하여 가족 간의 상호작용 없는 단절된 모습을 나타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대상자가 가족구성원과 상호작용하고 있는 모습을 통해 가족구성원 간의 정서적 교류와 친밀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HTP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보이며 스스로에 대한 불만족과 낮은 우울감을 표현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인물이 도화지 중앙에 나타나고 인물의 크기가 커진 것을 통해 대상자의 자아성장과 변화하고자 하는 의지가 나타났다. KSD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현재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신감 없는 모습을 표현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학교생활에 대한 자신감을 표현하였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수용하면서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서 인식하게 되는 변화를 보였다. 셋째, 회기 및 단계별 질적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회기 과정에서 대상자는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수용함으로써 내면에 억압되어있던 감정과 생각들을 표현하였으며, 자신의 어려움과 감정들을 공유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나누려는 의지와 노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후속 연구에서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a high school girl from a single-parent family.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an 18-year-old high school girl from a single-parent family who experienced loneliness and a sense of isolation due to the absence of a parent and also had low self-esteem and difficul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each from March 6, to May 20, 2023, for a total of 23 sessions.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scale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Dynamic House-Tree-Person(K-HTP), Dynamic Family Drawing(KFD), and Dynamic School Life Drawing(KSD) tests were used as drawing tests, which were also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themes, stages, and sessions through observations in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elf-expression in a high school girl from a single-parent family. The scores for the sub-factors of self-expression, verbal self-expression,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were improved. In the pre-test of the KFD drawing, the participant showed a disconnected image and no interaction between family members by separating spaces. However, in the post-test, it was observed that emotional exchanges and intimacy between family members had increased through the depiction of the participant interacting with family members. Secondly,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self-esteem of a high school girl from a single-parent family. In the pre-test of the K-HTP drawing, the participant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herself and low depression, difficulties in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However, in the post-test, it was evident that the participant's self-growth had occurred as the figure appeared in the center of the canvas and the size of the figure was increased. It also could be mean the participant's will to change. In the pre-test of the KSD drawing, the participant expressed an inability to adapt to current school life and a lack of confidence. However, in the post-test, she showed a change in perceiving herself as a valuable existence by expressing confidence in school life and accepting positive feedback about herself. Thirdly, as examining the qualitative changes by session and stage,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high school girl from a single-parent family. Throughout the sessions, the participant explored and accepted her emotions, expressing suppressed emotions and thoughts within herself. She also showed the will and effort to share her difficulties, emotions and to interact with oth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high school girls from single-parent familie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for utilizing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to enhanc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in subsequent research.

      • 어린이집 교사의 주도적 구강관리활동에 근거한 질적 연구

        김도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Early childhood is a period when the basic living habits, which is the foundation of lifetime health, becomes formed and it is difficult for young children to manage their personal oral health.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care from their rearer cause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lifetime oral health management habits.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ing pare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free child care, the roles of child c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have grown more significant. However, the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that is currently available in the child care facilities mainly tend to be short term education by specialists, so there is a demand for a transition into a medium-and-long-term and sustainable education method. In this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ducated by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specialists, and the teachers initiatively provided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and tooth brushing instruction to the children in hopes to assist the sustainable and long-range oral health management in the day care center. For the study targets of this study, Dong-Eui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ed (approval number: DIRB-20207-HR-R-14)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earch targeted on 4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4 toddlers in the day care center affiliated to D University in B City throughout August, 2020 to February, 2021. 4 sessions of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led by a specialist was provided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esigned the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autonomously and provided the education tools and the researcher reviewed and completed i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used the education data and implemented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on the toddlers once a week for 4 months, an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tooth brushing instruction after lunch meal on a daily bas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possibilities of preventing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deciduous teeth management,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and the necessity of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provided by a specialist, and by conducting a factual survey,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an improvement in the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s such as the tooth brushing time, knowledge about fluorine and the use of fluorine toothpaste, inter-dental cleaning, and tongue cleaning and there was also an enhancement in the interest about oral health and knowledge level. Before and after the initiative oral health education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oddlers in day care center showed improvements in their tooth brushing skill, the amount of snacks and beverages they consumed per day, and th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fluoride. In case of the changes in the Quigley-Hein Index of the toddlers before and after the initiative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a decrease in the upper jaw after the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compared to before, and in the lower jaw, there was a meaningful decrease on the right and left side so it was verified that the toddlers' oral management abilities improved based 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depth interview contents before and after the initiative oral health management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stated that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targeted on toddlers and tooth brushing management after lunch' are needed and also that ‘it can be sustained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by the teacher in charge or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by an outside instructor.' The biggest restrictions of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in day care center are ‘shortage in oral health management personnel, ‘a lack of time to conduct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or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t is anticipated for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to be implemented once the constraints are solved.' The people that cause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oral health management of the toddlers are the ‘parent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ll those who are concerned in bringing up the toddlers like the parent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to try and improve the tooth brushing habits of the toddlers. As a result, the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by specialists target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help the oral health management of the toddlers in day care center throug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ven more, it is considered as a way to induce behavioral changes. As a future plan,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 completion of education about the ‘oral health management of toddle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consider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for continuous oral care. 유아기는 평생 건강의 기초가 되는 기본적인 생활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며, 이 시기의 유아는 스스로 구강을 건강하게 관리하기 어려우므로 양육자로부터 어떠한 돌봄을 경험했느냐에 따라 평생의 구강관리습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받는다. 최근 맞벌이 부모의 증가와 영·유아 무상보육 시행 등으로 인해 보육기관과 보육시설의 역할이 교육 및 보육뿐만 아니라 유아의 건강관리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현재 보육시설에서 시행되고 있는 구강보건교육은 대부분 구강보건교육 전문가의 일회성 교육이므로 중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교육방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구강보건교육 전문가로부터 교육을 받고, 유아에게 주도적으로 구강보건교육과 칫솔질 지도를 시행하여 보육일상에서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구강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동의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IRB 승인 후(승인번호 :DIRB-20207-HR-R-14) 2020년 8월부터 2021년 2월까지 B시 D대학 부속 어린이집 소속 보육교사 4명과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전문가 구강보건교육을 4회 시행하였고, 보육교사는 자체적으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교육도구를 마련하였으며, 연구자가 검토하여 완성하였다. 보육교사는 해당 교육 자료를 사용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4개월간 주 1회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였으며, 매일 점심식사 후 칫솔질 지도를 사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가 구강보건교육 전·후 보육교사는 유치의 치아우식증 예방가능성, 유치관리, 구강건강의 중요성,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었으며, 칫솔질 시간, 불소지식 및 불소치약 사용, 치간세정 및 혀 세정에 대한 구강관리행동이 개선되었고, 구강건강 관심도와 구강건강 지식수준이 높아졌음을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보육교사의 주도적인 구강보건교육 전·후 어린이집 유아는 칫솔관리법, 1일 간식 섭취횟수 및 음료 섭취횟수, 불소지식의 지식 및 태도가 개선되었다. 보육교사의 주도적인 구강보건교육 전·후 유아의 Quigley-Hein Index 변화는 상악의 경우 교육 전보다 후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고, 하악의 경우 하악우측설면과 하악좌측설면에서 유의하여 구강환경관리 능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보육교사의 주도적인 구강보건교육 전·후 심층면접내용을 분석한 결과 ‘유아 대상 구강보건교육과 어린이집 점심식사 후 칫솔질 관리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담임교사의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이 가능하며, 외부 교육자에 의한 구강보건교육도 가능하다.’고 하였다. 어린이집에서 구강보건 교육에 가장 큰 제약점은 ‘구강관리 인력부족’, ‘구강보건교육 시간부족’, ‘보육교사의 인식’이라고 하였으며 ‘제약점이 해결된다면 구강관련 교육이 시행되길 원한다.’고 하였다. 유아가 구강관리를 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사람은 ‘부모님과 보육교사’라고 하였으며 유아의 칫솔질 습관의 개선은 ‘부모님과 보육교사 등 양육에 관련된 모든 사람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 대상 전문가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고 보육교사를 통해 원내 유아의 구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더불어 행동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향후 보육교사 대상 ‘유아의 구강 관리’에 대한 교육이수를 제도적으로 마련하여 지속적인 구강관리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 자궁 내 피임장치와 요로감염의 관련성

        김도연 가천의과학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 많은 연구들에 의하여 성인 여성에서 요로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 인자들이 밝혀져 왔고, 최근 자궁 내 피임장치(IUD)의 사용이 요로감염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요로감염으로 내원한 성인 여성과 건강한 여성의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하여 자궁 내 피임장치 사용이 요로감염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작용하는 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0년 1월부터 11월까지 요로감염으로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에 내원한 18-55세 사이 폐경 전 여성 61명을 환자군으로 선정하고,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건강한 18-55세 사이 폐경 전 여성 10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에서 결혼 유무, 성관계 횟수, 요로감염의 과거력, 재발성 요로감염의 병력, 기저질환, 비뇨기계 상태, 피임법의 사용유무와 종류, 자궁 내 피임장치의 착용 여부 및 기간을 면접식 설문조사로 기록하고 두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 환자군(평균 연령, 36.5±10.1세) 61명과 대조군(평균 연령, 39.0±7.5세) 100명에서 연령, 결혼 유무, 한 달 내 평균 성관계 횟수, 요로감염의 과거력, 재발성 요로감염의 병력, 기저질환에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군은 자연 피임법, 콘돔, 경구 피임제, 불임 시술 및 살정제의 개별 피임법에서도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자궁 내 피임장치(IUD)는 환자군에서 10명(16.4%), 대조군에서 11명(11.0%)으로 나타났으나(OR=1.45, P = 0.32)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값을 갖지 못했다. 결론 : 자궁 내 피임장치는 요로감염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확실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표본을 가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마음챙김 명상 및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도연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적응적인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수준에서의 감소를 위한 마음챙김 명상과 합리적 정서적 행동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전주 소재 C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이며 이 가운데 사전조사에서 실시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tional Perfectionism Scale)에서 상위 25%에 해당되는 24명이 선발되었다. 선발된 학생들은 마음챙김 명상이 포함된 합리적 정서적 행동 치료 집단에 8명, 합리적 정서적 행동 치료만으로 구성된 집단에 8명, 대기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정되었다. 각 집단의 참가자들에게는 스트레스 척도가 함께 사용되었으며 총 9회기가 실시되었다. 실험 종결후와 종결 8주후에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스트레스 척도를 각각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적응적인 완벽주의와 스트레스의 높은 수준과는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이는 스트레스의 하위유형인 자기자신 및 대인관계에서의 높은 수준과 관련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마음챙김 명상이 포함된 합리적 정서적 행동 치료 프로그램 집단은 단일하게 합리적 정서적 행동 치료 프로그램만을 실시한 집단 및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부적응적인 완벽주의와 높은 스트레스 수준에서의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8주후의 추적 검사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주요어 : 완벽주의, 마음챙김 명상,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