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만물류산업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김도연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코로나19 및 화물연대의 총파업, 요소수 품귀 현상, 미국과 중국의 신무역전쟁 등 대내외 환경요인으로 인해 발생된 물류대란은, 항만물류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위험 노출과 안전사고 증가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회 전반적으로 안전을 중시하는 분위기와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각 산업별로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는 다양한 법안들이 제정 및 개정되고 있다. 대부분의 법안들은 사업주와 안전 담당자, 근로자 등이 숙지하여야 할 안전관리 사항을 정립하고 있으며 작업환경 개선 및 사고에 대한 사전 예방조치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항만물류산업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중대형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으로, 이것은 미래 발생 가능한 위험성에 대해서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중대한 사고원인에 대해서는 예방대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안전보건공단에서 최근 5년간(2016년~2020년) 집계된 재해자 일반현황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항만물류산업 중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3가지 업종(하역업, 보관업, 운수업)에 대해서 미래 발생 가능한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통계 일반현황 분석을 통해서는 단편적인 통계 현황을 알아보는데 용이하지만 업종별로 재해자와 사고원인의 연관성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어서, 사고 발생 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재해자 특성(연령, 근속기간, 고용형태)을 중심으로 재해자 구분과 발생형태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재해통계 분석만으로는 각 업종별로 위험도가 높게 나온 요인을 구분하고 원인과 대책을 수립하지 못하기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하는 「정성적 보우타이(Bow-Tie) 리스크 평가 기법에 관한 지침」에 따라 Bow-Tie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위험성을 계량적으로 수치화하고, 사고의 결과(사상)를 중심으로 주요 발생원인과 예방대책, 발생결과와 감소대책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하역업은 떨어짐/무너짐 사고가, 보관업은 폭발 사고, 운수업은 교통사고가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선정되었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예방대책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예방대책 중 최우선적으로 항만물류산업 현장에 적용해야 하는 개선방안을 선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IPA 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각 업종별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하역업은 ①장비의 주기적인 점검(TBM), ②의사소통체계 확립, ③항만하역 안전교육이 선정되었고, 보관업은 ①실시간 화재감시 시스템이, 운수업은 ①정기적인 차량 점검, ②졸음쉼터 확충이 최우선 순위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항만물류산업(하역·보관·운수)에 종사하는 안전·보건 관리자 및 위험성평가 담당자들은, Bow-Tie 분석기법에서 도출된 각종 예방대책과 감소대책 중 실시하고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먼저 구분한 뒤 최우선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안전보건 재해예방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 효율적인 감상학습을 위한 ICT 활용방안 연구 : 중학교 1학년 ‘마왕’을 중심으로

        김도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효율적인 감상학습을 위해 ICT를 활용한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고 그것을 활용한 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음악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신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현 감상수업에서 부족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음악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학생 스스로 적극적인 자세로 감상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ICT를 활용한 음악 감상 수업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심미적 안목과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교육에서의 ICT 활용방안에 대한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 등의 자료를 살펴보았다. 둘째, 중학교 1학년 9종 교과서의 서양음악 감상곡을 분석하였다. 셋째, 교사 홈페이지 및 웹 사이트를 활용하여 감상학습에 필요한 음원 및 동영상 자료 등을 제작 · 수집하였다. 넷째, 제작 ·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수 · 학습 지도안을 구현하고 적용하였다. 다섯째, 앞서 설계한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실제 수업에서 적용해 보고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실제수업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남인천 여자 중학교 1학년 중 3개 학급이며, 수업은 2007년 5월에 실시하였다. 현재 학교 수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감상 수업은 수많은 ICT 학습자료가 방대하게 보급되어 교사가 단위 수업 시간에 어떠한 학습 자료를 취사선택 할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ICT 학습자료가 보급되어 있지만 단위 학습 실태와 정확한 교육과정의 분석에 기초한 양질의 학습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교사가 학습 실태에 맞게 재편집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음악적 발달단계와 교수전략을 고려하여 간단한 학습자료는 직접 제작하여 수업 현장에 투입하여 실질적이고 생동감 있는 감상 수업이 될 것이다. 둘째, ICT를 활용한 감상 수업은 학생들이 수동적인 자세에서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직접 참여할 기회를 주어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음악적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 ICT를 활용한 감상학습은 학생들이 진정한 음악의 예술적 가치를 알 수 있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로 활용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가 제시한 자료를 토대로 학교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인 감상학습을 위한 ICT 활용방안에 대하여 개발하고 검증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teaching-learning guide utilizing ICT for more efficient appreciation classes, to induce the motivation to learn and to increase mus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rough the students' activities centered classes. Additionally, it was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aesthetic insight and desirable sense of value by providing music appreciation class models utilizing ICT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the classes more actively by induc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music. Accordingly,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e reviewed the materials including domestic master and Ph.D degree theses regarding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and ICT utilization in music subject. Second, we analyzed western music note for appreciation in 9 kinds of Grade 1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Third, we produced and collected sound sources and animation materials needed for appreciation classes using teachers' homepage and web sites. Fourth, we implemented and applied effective teaching-learning guide utilizing the produced and collected materials. Fifth,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 survey after applying the pre-designed teaching-learning plan to the actual classes and verified the effects of the plan. Actual classes were performed in the three 1st grade classes in Namincheon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Incheon Metro City in May, 2007. We do not have clear perception on what kind of materials we should select for the appreciation classes because there are too many ICT learning materials Additionally, although various ICT learning materials are distributed to schools, teachers should edit them to use in the classes because there are not many good materials based on the unit class status and accurate curriculum analysis. The effects that we can expect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we make simple learning materials and apply them to actual classes considering the musical development of the student and the teaching strategy, the classes can be more practical and more active. Second, if we give th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appreciation classes using ICT, they can have opportunities to show their musical creativity. Appreciation classes using ICT should be used as the tool to make the students know the real value of music and to help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s freely and creatively. It is hoped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develop and verify ICT utilization methods for more efficient appreciation classes based on the proposed materials.

      •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대상관계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도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한부모가정 18살 여고생으로 부모의 부재로 인한 외로움과 고독감을 겪고 있으며 낮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연구기간은 2023년 3월 6일부터 5월 20일까지 주 2회, 60분씩 총 23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림검사는 동적 집-나무-사람(K-HTP), 동적가족화(KFD), 동적학교생활화(KSD) 그림검사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회기별 관찰을 통해 주제에 따른 회기 및 단계별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기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의 하위요인인 내용적 자기표현 요소, 음성적 자기표현 요소, 비언어적 자기표현 요소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KFD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공간을 분리하여 가족 간의 상호작용 없는 단절된 모습을 나타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대상자가 가족구성원과 상호작용하고 있는 모습을 통해 가족구성원 간의 정서적 교류와 친밀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HTP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보이며 스스로에 대한 불만족과 낮은 우울감을 표현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인물이 도화지 중앙에 나타나고 인물의 크기가 커진 것을 통해 대상자의 자아성장과 변화하고자 하는 의지가 나타났다. KSD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현재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신감 없는 모습을 표현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학교생활에 대한 자신감을 표현하였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수용하면서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서 인식하게 되는 변화를 보였다. 셋째, 회기 및 단계별 질적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회기 과정에서 대상자는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수용함으로써 내면에 억압되어있던 감정과 생각들을 표현하였으며, 자신의 어려움과 감정들을 공유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나누려는 의지와 노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여고생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후속 연구에서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a high school girl from a single-parent family.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an 18-year-old high school girl from a single-parent family who experienced loneliness and a sense of isolation due to the absence of a parent and also had low self-esteem and difficul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each from March 6, to May 20, 2023, for a total of 23 sessions.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scale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Dynamic House-Tree-Person(K-HTP), Dynamic Family Drawing(KFD), and Dynamic School Life Drawing(KSD) tests were used as drawing tests, which were also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themes, stages, and sessions through observations in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elf-expression in a high school girl from a single-parent family. The scores for the sub-factors of self-expression, verbal self-expression,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were improved. In the pre-test of the KFD drawing, the participant showed a disconnected image and no interaction between family members by separating spaces. However, in the post-test, it was observed that emotional exchanges and intimacy between family members had increased through the depiction of the participant interacting with family members. Secondly,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self-esteem of a high school girl from a single-parent family. In the pre-test of the K-HTP drawing, the participant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herself and low depression, difficulties in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However, in the post-test, it was evident that the participant's self-growth had occurred as the figure appeared in the center of the canvas and the size of the figure was increased. It also could be mean the participant's will to change. In the pre-test of the KSD drawing, the participant expressed an inability to adapt to current school life and a lack of confidence. However, in the post-test, she showed a change in perceiving herself as a valuable existence by expressing confidence in school life and accepting positive feedback about herself. Thirdly, as examining the qualitative changes by session and stage,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high school girl from a single-parent family. Throughout the sessions, the participant explored and accepted her emotions, expressing suppressed emotions and thoughts within herself. She also showed the will and effort to share her difficulties, emotions and to interact with oth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high school girls from single-parent familie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for utilizing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to enhanc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in subsequent research.

      • 헤어클리닉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김도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헤어클리닉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김도연 지도교수 : 한진섭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자기관리와 美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표현방법, 관리방법이 다양화 되면서 모발에 대한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손상 모발을 회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다양한 헤어클리닉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능이 전문화되고 세분화 되어 종류가 다양해진 헤어클리닉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만족도를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인 남, 여 207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두피·모발의 손상정도 및 헤어클리닉 제품의 사용에 대한 인식정도, 실제구매 시 헤어클리닉 제품의 고려도, 소비자만족도 등의 연구를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여,설문 조사를 하였다.자료 분석은 SPSS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모발의 현재 상태와 헤어클리닉 제품 선택 시 고려도 및 만족도를 위한 교차분석, 빈도분석, 순위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발의 굵기는 굵다가 근로/영업직에 종사하는 경우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늘다는 주부층에서 3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부층의 잦은 퍼머와 염색에 의한 모발 손상의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모발의 형태는 반곱슬 59.5%, 곱슬 13.0%, 직모 27.5%로 나타나 한국인의 모발 형태는 곱슬 또는 반곱슬인 것으로 나타나 한국인의 모발은 대부분 곱슬모 또는 반곱슬모 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모발손상의 원인 중 물리적 손상은 아이론 42.6%, 브로우 드라이 30.9%, 샴푸 11.1%, 타올 드라이 10.1%, 브러싱 5.3%으로 나타나 아이론에 의한 손상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학적 손상은 염·탈색 58.0%, 퍼머 22.2%, 매직스트레이트 15.0%, 기타 4.8%의 순으로 나타나 모발의 화학적 손상 원인은 염·탈색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모발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있다 83.1%, 없다 16.9%로 대부분 모발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나 트리트먼트 사용 유·무는 예 57.5%, 아니오 42.5%로 나타나 실제로 모발관리에 필요한 행동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관리에 관한 정보 습득은 미용실 38.6%, 언론매체 37.7%, 친구 12.1%, 자발적 11.6%의 순서로 나타나 대부분의 경우 미용실과 언론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헤어클리닉 제품 구입 장소는 마트에서 40.6%, 뷰티 전문매장 27.1%, 미용실 20.3%, 인터넷 12.0%로 나타났다. 트리트먼트 제재의 사용 유·무는 예 57.5%, 아니오 47.5%로 나타났으며, 모발의 타입에 따라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렇다 67.3%, 보통이다 27.7%, 그렇지 않다 5.0%로 대부분 모발 형태에 따라 트리트먼트 제재를 선택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발관리 및 헤어클리닉 제품에 대해서 가격, 브랜드, 모발의 타입, 현재 모발의 상태, 제품의 품질, 제품의 향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클리닉 제품 종류, 방법, 제품의 성분과 효과의 인식의 정도가 높고 사용경험이 풍부하고 나에게 맞는 헤어클리닉 제품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제품사용 후 효과에 대한 신뢰도, 효과 대비 가격 만족도가 높았으며, 꾸준한 제품 사용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모발관리 방법이 행동으로 이어지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알맞은 제품 구입 및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헤어클리닉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높이고 미용 전문 분야 전공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올바른 헤어클리닉 제품의 사용을 통해 높은 만족도 고취 및 건강한 두피와 모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백생강과 흑생강 분말의 항산화 특성 및 생강분말 첨가 튀김제품의 저장 안정성

        김도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analyze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white ginger powder and black ginger powder and analyzed the storage stability when added to fry.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of white ginger pow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lack ginger powder. Total flavonoid content of black ginger pow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white ginger powder. The white and black ginger powder pH were 6.91±0.02, 6.86±0.01. White and black ginger powder total soluble solid were 8.37±0.34%, 3.13±0.08%. The color values of white ginger powder was were as L-value 72.70±0.23, a-value 2.61±0.03 and b-value 27.44±0.07. The color values of black ginger powder was were as L-value 45.69±0.14, a-value 8.28±0.04 and b-value 4.12±0.03. pH values of maejakgwa not-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pH value of cake donut without added ginger powd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H value of cake donut added with ginger powder. The values of l and b were higher in maejakgwa and cake donut without added ginger powder. a value of black ginger powder was higher than that of black ginger powder. The expansion rate of cake donuts and maejakgwa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value of a was higher in maejakgwa and cake donut with black ginger powder added. Hydration of maejakgwa not-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dehydration rate of cake donu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lack ginger powder. For sensory evaluation, white ginger powder added maejakgwa and cake donut were more preferred in terms of overall preference. The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were significantly lower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and hardness tended to be higher in all samples in the case of moisture content and lightness. Also,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tended to increase twice during storag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ginger powder will play a role of natural pigment when applied to foods. In the sensory evaluation, white ginger powder was generally evaluated as g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amount added of black ginger powder when it is added to deep frying. The addition of ginger powder to deep frying can effectively reduce the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during storage. Therefore, when the white ginger powder and the black ginger powder are applied to the food, the taste and shelf life can be improv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per addition ratios to improve the pala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백생강 분말과 흑생강 분말의 항산화성을 분석한 후 기름이 많아 산패되기 쉬운 튀김 식품에 적용하였을 때 품질특성 및 저장기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기호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백생강 및 흑생강 분말의 항산화능 측정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백생강이 높게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흑생강이 높게 나타났다. 분말의 pH 측정 결과 백생강 6.91±0.02, 흑생강 6.86±0.01로 나타났고 수분함량은 백생강 8.37±0.34%, 흑생강 3.13±0.08%로 나타났다. 백생강 분말의 색도는 L, a, b값이 각각 72.70±0.23, 2.61±0.03, 27.44±0.07로 나타났으며 흑생강 분말은 45.69±0.14, 8.28±0.04, 4.12±0.03로 나타났다. 반죽의 pH는 매작과의 경우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케이크 도넛은 무첨가구 > 백생강 분말 첨가구 > 흑생강 분말 첨가구 순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색도의 경우 L값과 b값의 경우 매작과와 케이크 도넛 모두 생강 분말 무첨가구 > 백생강 분말 첨가구 > 흑생강 분말 첨가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a값은 매작과와 케이크 도넛 모두 흑생강 분말 첨가구 > 백생강 분말 첨가구 > 무첨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팽화도는 매작과와 케이크 도넛 모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튀김은 탈수율을 측정한 결과 매작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케이크 도넛의 경우 무첨가구와 백생강 분말 첨가구에 비하여 흑생강 분말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매작과와 케이크 도넛 모두 백생강 분말을 첨가한 시료가 높은 값으로 평가되었다. 저장 중 품질특성의 변화는 수분함량과 명도의 경우 모든 시료군이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경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 중모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강 가루를 식품에 적용할 경우 천연 색소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관능적 특성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이 백생강 분말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흑생강 분말을 튀김에 적용할 경우 첨가되는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것을 생각되며 생강 분말 첨가 시 저장 중의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효과적으로 낮춰줘 저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로써 백생강 분말과 흑생강 분말을 식품에 적용하였을 경우 기호성과 저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더 나아가 기호성을 높이고 품질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적절한 첨가 비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원불교 여성교무의 삶의 경험에 대한 연구

        김도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lives of Won-Buddhism's female ministers through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Eight subjects, who had lived as a female Kyomu for 10 to 20 years, were sampled. Data were analyzed, and 157 themes and 34 groups of theme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six big categories of themes were derived. Thu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Subjects were delighted, joyous, happy, thankful, and satisfied as they lived a Buddhist life. They grew through expanding practice and perception of the enlightened world and lived an ordained life. They as ordained persons wanted to become honorable ministers, warm-hearted ministers, ministers who deliver Buddhist laws in the amusing way, ministers who give and receive love, and ministers who by facial expression alone would make people comfortable. However, subjects, when asked about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their Buddhist life, vividly remembered conflicts with their seniors during years 1 through 4. Subjects had difficulty due to seniors who were jealous and hysteric, who criticized them due to unfounded reasons, who were rude and rough, who were irrational, who engrossed in mannerism, who did not communicate and discuss, and who shifted blame on juniors. Due to pressure from their seniors, subjects severely felt anger, irritation, despair, emptiness, self-criticism, boredom, suppression, frustration, and chagrin among other negative feelings, and this made them even think of returning to laity. Due to emotional pain, subjects had difficulty conducting edification and practice. Such negative emotions shifted to psychosomatic diseases such as obesity, shoulder pain, gastric disease, headache, alopecia areata and unbalanced hormones. Subjects strove to cope with their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their Buddhist life in their own way. They mostly resorted to surrounding resources. If they had not have a channel to appeal their pain, they would have become insane or returned to laity, they said. Although they strove to endure and overcome their difficulty through practice, they could not continue practice when extreme difficulty continu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became the country's first research to understand the lives of Won-Buddhist female ministers. As a result, it could reveal the difficulties female ministers experienced and how they coped with them. Female ministers, when they faced psychological difficulties, could not personally cope with them properly. Although they do not face such difficulties now, their past hurt might linger without being healed. Such psychological problems, if not sufficiently tackled, may distort their spiritual development. Therefore, instead of ascribing ministers' difficulty to the lack of individual's belief, public spirit, and practicing mind, a systematic support and counseling channel of counseling psychology experts, at the level of Buddhist order, should be constructed so that female ministers can heal their psychological hurt and relational conflicts, and can live a true ordained life as a mature minister. Also, safety counseling mechanism should be prepared, given that the order size is small which makes the protection of ministers' human rights vulnerable and the ministers sensitive to rumors. Thus, this study may be used to establish policy for Won-Buddhism order's spiritual growth, for educational policy for Won-Buddhism order's spiritual growth, for education of candidates of ministers, and for minister's welfare. In addition, the study findings can also be used for counsellors of Won-Buddhism ministers to understand the lives of female ministers.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 여성교무들이 경험하는 삶의 현상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참여자는 출가법랍이 10~20년 된 여성교무 8명이다. 자료 분석결과 155개의 주제와 33개의 주제묶음을 추출하였고, 이를 다시 큰 주제 6개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은 기쁘고 즐겁고 행복하며 감사하고 보람된 생활 속에서 만족을 느끼며 생활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수행과 인식의 확장을 통해 성장해 나가고 있었고, 출가의 의미를 되새기며 생활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출가자로서 부끄럽지 않은 교무, 따뜻한 교무, 교법을 재밌게 전달해 주는 교무, 스스로에게 사랑주고 사랑받는 교무, 얼굴표정만으로도 사람들을 편안하게 만드는 교무 등이 되고 싶다고 하였다. 하지만 참여자들은 출가생활 중 어려움을 느낀 적이 있었냐는 질문에 1년차에서 4년차까지 겪었던 선진과의 갈등을 생생하게 회상하였다. 참여자들은 선진의 질투, 선진의 히스테리와 이유 없는 질책, 함부로 대하고 무시하는 선진, 불합리한 선진, 타성에 젖은 선진, 소통과 협의를 하지 않는 선진, 후진에게 책임을 전가시키는 선진 등으로 인하여 힘들었다고 진술하였다. 참여자들은 선진이 주는 어려움으로 인해 분노, 짜증, 실망감, 허무함, 자책감, 권태로움, 무력감, 억눌림, 좌절감, 억울함 등의 부정적인 정서가 극대화되었고, 이는 환속까지 생각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정서적 고통으로 인해 교화에 어려움을 느꼈고, 수행에도 난관을 겪었다.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신체화로 이어져 비만, 어깨 통증, 위장병, 두통, 원형탈모, 호르몬 불균형 등에 걸리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출가생활 중 발생한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노력하였다. 참여자들이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것은 주변의 자원이었다. 만약 고통을 호소할 통로가 없었다면 미치거나 환송했을지도 모른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수행으로 인내하거나 극복해보려고도 했지만 오히려 극심한 어려움이 지속될 때는 수행을 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최초로 원불교 여성교무들이 경험하는 삶을 이해하는 데 있어 질적 연구라는 학문적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것이다. 그 결과 여성교무들이 겪는 어려움과 이 어려움을 이들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를 드러낼 수 있었다. 여성교무들은 심리적인 어려움에 당면했을 때 개인적으로 대처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현재는 그러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 않더라도 과거에 경험했던 상처가 치유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심리적 문제는 충분히 다루어 지지 않으면 영적 발달을 왜곡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교무들이 겪는 어려움을 각 개인의 신심·공심·공부심 부족으로 돌리는 것이 아리나 교단에서 체계적인 지원과 상담심리 전문가들에게 상담을 받을 수 있는 통로를 구축해야만 여성교무들이 받은 심리적 상처와 관계에서의 갈등을 해결하고 보다 성숙한 교부로서 참다운 출가자의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단의 규모가 작아서 인권보호나 소문에 민감한 만큼 상담을 받는 교무들에 대한 안전장치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원불교 교단의 영적 성장과 예비교무 교육 및 교무 복지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덧붙여 원불교 출가교역자를 상담하는 전문 상담자들에게 여성교무들의 삶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알고리즘 표현과 순서도 생성 학습도구 설계 및 구현

        김도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r programming education, designs and implements a learning tool which expresses algorithms and generates flowcharts by linking natural language with flowcharts so that learners can easily access algorithms. The composition of the learning tool consists of problem management, my learning, learning status, presentation inquiry, and use of examples based on the educational system design model for efficient algorithm training. The detailed areas of my learning consist of learning list, problem recognition and learning start, algorithm representation and flowchart, learning check and submission, and learning questions and answers. The way of drawing a flowchart is that after expressing the algorithm in natural language, the learner inputs flowchart symbols and connection lines and presses the Create Flowchart button, then the tool creates and analyzes the syntax of the input flowchart data and visualize it automaticall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representation and flowchart generation learning tool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programming education, a total of 30 middle school students with programming (coding) experience in Seoul S area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lgorithm representation and flowchart generation learning tool is effective in algorithm representation, expectations for generating various flowcharts, and understanding of programming sequence.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하여 학습자가 알고리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일상 언어와 순서도를 연계하여 알고리즘을 표현하고 순서도를 생성하는 학습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학습도구의 구성은 효율적인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교육시스템 설계 모형을 기준으로 하여 문제 관리, 나의 학습, 학습 현황, 발표 조회, 예제 활용으로 구성하였다. 나의 학습의 세부 영역은 학습 목록, 문제 인식 및 학습 시작, 알고리즘 표현 및 순서도, 학습 점검 및 제출, 학습 질문 및 답변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순서도를 그리는 방식은 학습자가 일상 언어로 알고리즘을 표현하고 순서도 기호와 연결선을 입력한 후 ‘순서도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시스템이 입력된 순서도 자료에 대한 구문을 생성하고 분석하여 자동으로 시각화 해준다. 구현한 알고리즘 표현과 순서도 생성 학습도구가 프로그래밍 교육에 어느 정도의 만족을 주는지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S지역의 프로그래밍(코딩) 경험이 있는 중학생 총 3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알고리즘 표현과 순서도 생성 학습도구는 알고리즘 표현, 다양한 순서도 생성의 기대감, 프로그래밍 순서의 이해에 모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계 및 구현한 알고리즘 표현과 순서도 생성 학습도구가 프로그래밍 교육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푸치니의 opera 라보엠의 작품분석 : 아리아를 중심으로

        김도연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까지 이태리 오페라를 계승 발전시킨 대표적인 작곡가 푸치니는 1858년 12월22일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 문화 중심지인 루카에서 음악가 가계(家系)의 5대 손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성당의 악장이었고 도니체티에게 오페라 작곡을 사사 받았으며 청년 시절에는 오르간 주자로 활약했고 19C말부터 20C초까지 활동 했다. 베르디가 19C중반부터 19C말까지 이태리 오페라의 전성기를 구축했다면, 푸치니는 그 뒤를 이어 이탈리아 정통 오페라를 계승 발전 시켰다고 볼 수 있다. 자코모 푸치니(Giacomo Puccini)는 베르디의 아이다를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아 바그너의 Leitmotif기법을 도입한 베르디 이후 이탈리아의 대표적 오페라 작곡가 이다. Puccini의 생애와 그의 음악세계 그리고 대표적 작품인 <토스카>, <나비부인>, <라보엠>, <투란도트>들과 오늘날까지도 많은 대중으로부터 극찬 받고 인정하는 뛰어난 작품들이 있다. Puccini의 작품 중 사실적이고 일상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근거로 하여 등장인물의 성격과 사회상을 생생하게 묘사함으로써 극의 사실감을 관객에게 주고자했던 오페라 <라보엠>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고 성악적 표현에 의한 작품 분석을 했다. <라보엠>은 Puccini자신의 보헤미안적 생활을 했던 젊은 시절의 체험과 경험을 바탕으로 Story 자체가 탄탄하고 주인공들의 내면세계를 사실적으로 공감할 수 있도록 표현해 냈으며 그의 타고난 음악적 감각으로 절묘하게 극의 흐름을 이끌어 냈고 근대적 화성의 사용과 파격적인 오케스트라의 사용, 가사의 사실적 감정처리를 위하여 음악적 클라이막스를 절묘하게 조화시켜 나가고 다양한 다이나믹의 표현과 리듬, 템포의 변화를 색다르게 묘사해 내고 있다. 실제 공연 때마다 관객과 연주자가 하나 되고 호흡하는 <라보엠>은 Puccini의 최고의 걸작이자 진정한 예술적 가치를 지닌 오페라라 할 수 있다. Puccini의 오페라는 명쾌하고 논리적인 줄거리 방법과 그 작품에 걸맞는 정렬적인 선율은 타고난 그의 음악적 감각과 함께 현세에서도 격찬하고 존경할 수밖에 없는 위대한 오페라 작곡가임이 틀림없을 것이다. Puccini,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Italian operas and succeeded to them and made them developed until now, was born in Lucca, the center of culture in Tuscany,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Italy, into a family of five generations having musical history behind them. His father was a band master in a Catholic church. He was taught by Donizetti on opera composition. He spent his youth as an organist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s Verdi established the highlights of Italian operas from the mid to the late 19th century, so did Puccini succeed to him and develop orthodox Italian operas. Giacomo Puccini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Italian operas after Verdi, who was inspired after seeing Verdi's Aida and introduced Wagner's Leitmotifs. Puccini's life and his musical world, and his representative works including La Tosca, Madama Butterfly, La Bohe^me, and Turandot get much admiration and approvals from the public even today. The present study has investigated La Bohe^me in details, which among Puccini's works, tried to give the audience the sense of reality of the opera by depi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nd society in details, based on the real situations of daily life, and have analyzed the vocal expressions of his work La Bohe^me. La Bohe^me composed on the basis of his own Bohemian experiences when he was young, has a strong storyline and expresses the inner worlds of the characters so that it could be sympathized. He presented the flow of the opera skillfully with his born sense of music. He used modern harmonics and exceptional use of the orchestration, got musical climax skillfully harmonized for the realistic handling of emotions, and depicted colorfully various expressions of dynamics, rhythms, and tempo changes. The audience and the players become as one and get sympathized whenever La Bohe^me is actually performed. It shows that it is indeed Puccini's masterpiece and an opera with true artistic value. Puccini's operas are distinct. Its logical story plots and its corresponding passionate melodies along with his musical sense are highly admired and respected even in the present times. Therefore he must be a great opera composer.

      •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단절 및 거절도식과 심리적 유연성 부족의 순차적 매개역할

        김도연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와 그 기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과 문헌 리뷰에 기초하여, 이러한 관계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기제로서 단절 및 거절도식과 심리적 유연성 부족의 순차적 매개역할을 상정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과 심리적 유연성 부족의 완전 순차적인 매개와 부분 순차적 매개를 가정하는 연구모형과,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과 심리적 유연성 부족의 병렬적인 매개 역할을 가정하는 병렬매개모형, 세 가지 예측변인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비자살적 자해에 기여한다고 가정하는 단순효과모형을 대안모형으로 상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전국 성인 1240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학대, 비자살적 자해, 단절 및 거절도식, 심리적 유연성 부족에 관한 척도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측정한 모든 변인들은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위한 정규성 조건을 충족하였다. 더불어, 정서적 학대 척도에서 한 문항 이상에 ‘드물게 있음’ 또는 그 이상이라고 평정한 응답자, 즉 14점을 최소기준으로 설정하여 정서적 학대 척도 점수가 14점 이상인 사람만을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자로 간주하였으며, 동시에 1년 이내에 비자살적 자해를 보고한 성인 총 202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과 심리적 유연성 부족을 순차적인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였을 때, 변인 간의 경로들은 대부분 유의하였으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단절 및 거절도식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연구모형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으로부터 비자살적 자해로 가는 경로가 제거된 수정모형과 대안모형들인 병렬매개모형, 단순효과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한 결과, 수정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를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최종모형의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였으며, 단절 및 거절도식과 심리적 유연성 부족을 통한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즉,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과 심리적 유연성 부족이 순차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비자살적 자해에 대해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단절 및 거절도식과 심리적 유연성 부족의 순차적인 매개를 거쳐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나아가, 비자살적 자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서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의 부정적 영향을 직접 완화하는 방안뿐만 아니라 그들의 단절 및 거절도식 등 초기부적응도식을 개선하고, 심리적 유연성 수준을 증진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on-suicidal self-injury and shed light on its mechanism of ac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we proposed full and partial sequential mediation models in whic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then psychological inflexibility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on-suicidal self-injury. Furthermore, as an alternative model, we proposed a parallel mediation model that supposes parallel mediating role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psychological in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on-suicidal self-injury, and a simple effect model supposing that the three predictors independently contributes to non-suicidal self-injury. A total of 1,240 adults across the country completed self-report inventories to measure the levels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non-suicidal self-injur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ll variables that were measured in this study met the requirements of normality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roach. And also, only respondents who answered ‘rarely’ or higher in one or more questions in an emotional abuse measure, or in other words, people who scored 14 or higher on the emotional abuse measure were regarded as those who experienced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Concurrently, 202 adults in total who reported non-suicidal self-injury within one year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order to compare and evaluate the two sequential mediation models and two alternative model, SEM performed. SEM revealed that full and partial sequential mediation models fit the data well, but two alternative models did not fit the data. Also, the path from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to non-suicidal self-injury was not significant in the full and partial sequential mediation models. Then, as the best-fitting model, we suggested a modified partial sequen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the path from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to non-suicidal self-injury was exclud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childhood emotional abuse contribute to non-suicidal self-injury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psychological inflexibility. In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or treat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adults with childhood emotional abuse, it is important to focus on mitigating the negative impact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improving their early maladaptive schema including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enhancing the level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Last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its limit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