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Activator 유형에 따른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김덕상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Activator는 성장기 아동에서 치성 및 악골 부조화를 개선하기 위해 성장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악기능 장치중 대표적인 것으로 1930년대부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그 사용여부, 작용방법, 효과에 대해 논란이 많아 단지 치아 치조골의 골개조 과정에만 영향을 준다는 의견도 있고 상, 하악골의 성장 양태에도 영향을 주어 골격적 관계를 변화시킨다는 의견도 있다. 현재에는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기능성 장치가 성장중이고 협조적인 환자에서 2급 관계를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부분 의견을 공유하고있다. 본 연구는 하악골의 후방 변위를 보이는 Angle씨 2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ctivator를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하악골의 수평적 성장을 유도하기 위한 horizontal type와 수평적 성장과 함께 수직적 성장도 유도하기 위한 vertical type으로 분류하여 사용한 결과 나타나는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연구하고, 각 군내의 남여군간에 치료 효과나 성장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orizont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치료 전후 비교시 하악의 전방위치와 LAFH, AFH등 안면 전방부의 수직적 증가가 관찰되었다. 2. Horizont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남자군에서는 두개저에 대한 하악의 길이 증가를 동반한 상악의 후방위치가 관찰되었으며, 여자군에서는 하악의 길이 증가뿐만 아니라 하악전치의 순측 경사와 하안면 고경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3. 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치료 전후 비교시 전안면 고경, 전하안면고경, 후안면고경, 후하안면 고경의 증가와 함께 두개저에 대한 하악의 길이 증가가 두드러졌다. 4. 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남자군에서는 하악의 길이 증가뿐만 아니라 전안면 고경과 후안면고경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여자군에서는 전안면 고경의 증가만 주로 관찰되었다. 5. Horizontal type activator와 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들의 치료 전후 비교시 치료전에는 골격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치료후에는 치성관계에서만 차이를 나타내어 서로 다른 activator의 사용이 주로 치성 성분에 대한 효과에만 차이를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6. 치료전에는 차이가 없던 남,여군 사이에 치료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 은 치료 효과에 관계없이 남여에 따른 성장양상의 차이가 그대로 표현 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treatment effects of Horizontal and Vertical type activators in Angle's Class II div. 1 maloccusion patients with mandibular retrusion and to find out whether different treatment effect or growth pattern was observed between sexes in each study groups.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 1. In Horizontal activator group, forward positioning of mandible and vertical increase in anteror face as examplified by increase of LAFH and AFH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 data was evaluated. 2. Male samples in Horizontal activator group showed increase in mandiular length accmpanied by posterior positioning of maxilla, whereas famale samples in Horizontal activator group showed increase in mandibular body length, labial inclination of mandibular incisors and increase in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3. In vertical activator group, increase in AFH, LAFH, PFH and LPFH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data was evaluated. 4. Male samples in Vertical activator group showed increase in mandibular body length and anterior and posterior facial heights, whereas female samples of Vertical activator group showed increase in anterior facial height mainly. 5. When pre and post treatment datas of Horizontal and Vertical activator groups were compared, skeletal difference were mainly observed in pretreatmnt date but dent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post treatment data, indicating that two activators differ only in their effects to dental variables. 6. Difference between sexes were noted after treatment although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sexes in each groups before treatment. This indicates that inherent growth effects in each sex exert more influence than appliances used for treatment.

      •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덕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서 기업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핵심적인 이슈는 변화와 혁신 그리고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경쟁적 우위의 확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기업이 살아 남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변화와 혁신의 성공적 달성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리더가 기업의 변화와 혁신의 주역이 되어,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발적인 동기를 가지고 동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내외의 많은 연구들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리더십 효과성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왔으며, 변혁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변혁적 리더십이 진정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리더가 부하들로부터 신뢰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 효과성 변인 중 기업의 성공적인 변화와 혁신에 요구되는 변인인 조직시민행동을 통해, 리더가 부하들로부터 신뢰를 받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리더에 대한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부하들의 리더에 대한 신뢰에 의해서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 9개사 사무직 종사자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에 대한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거래적 리더십은 부하들의 리더에 대한 신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변혁적 리더십 행동은 리더에 대한 부하들의 신뢰를 증진시키지만, 거래적 리더십 행동은 오히려 리더에 대한 부하들의 신뢰를 저하시킨다. 둘째, 변혁적 리더들이 거래적 리더들에 비해 부하들로부터 더 많은 신뢰를 얻는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리더에 대한 신뢰를 통해 매개된다.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조직시민행동을 이끌기 위해서는 리더가 부하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상대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에 비해 부하들로부터 더 많은 신뢰를 받는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바람직한 행동(특히, 조직시민행동)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부하들로부터 리더가 신뢰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변혁적 리더십과 달리, 거래적 리더십에 대해서는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지 못함으로써,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며, 또한 리더에 대한 신뢰의 중요성을 보다 명백히 밝히기 위해서는 앞으로 조직시민행동 뿐 아니라 다른 리더십 효과성 변인들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ne of the essential issue, firms are facing in modern society, is the change, renovation and taking a dominant position which enables them to secure competitive position in business environment. In order to survive in this society the firms must gain th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successful achievement of constant adjustment and renovation, and for this leaders should take a major role in changing and reforming the firms and foster their members to have voluntary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With this trend, numerous international and local studies have shown the great interests on the influences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owever, in order to produce truly maximum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leader to be trusted by subordinate workers. Therefore, among the factors of effectiveness of 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e of the necessary factors in successful change and reformation, was chosen to verify the importance of subordinates trust in their leaders. Specifically, the study has focused on examining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subordinates' trust in the leaders and influence of the effects of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ubordinates on the trust in their leaders. In order to develop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ree hundreds and five office workers, employed in nine Korean corporations and the results concluded from the collected data was shown as below. First, whil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ave appropriate effects on the trust,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gave inappropriate effects on the subordinates' trust in the leaders. That was the condu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 increase subordinates' trust in them, but the transactional leader rather decrease the trust. Seco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 won more trust from the subordinates than the transactional leaders. Third,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developed by the trust in leaders. I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to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ubordinates the leader have to be trusted by them. In conclusion, comparing to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quired more trust by the subordinates through this study. Also, if the transformational leader was to raise desirable behavior (especially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ubordinates the leaders have to won the trust from the subordinates. However, unlik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sults inconsistent with hypothesis was drown, thus the additional study was needed. In addition, for the further verification on the importance of trust in the leaders not only the stud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also other factors of effectiveness of leadership should be conducted.

      • 유전탄성체를 이용한 로봇용 촉각센서의 개발

        김덕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촉각센서에 대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많은 기술적 한계가 극복 되어야 하고 대부분의 현존하는 촉각센서 기술들이 미세공정기술 혹은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에 기반을 둔 것들이 대부분이며 이들은 실용화에는 아직까지 먼 기술들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자체 개발된 새로운 합성 유전 탄성체(synthetic elastomer)와 전도성 실리콘(conductive silicone)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기존 촉각센서들이 갖고 있는 한계점들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신개념의 로봇용 촉각센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먼저 평면 형태의 여러 검출 요소를 갖춘 촉각센서를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로봇 손끝에 적용하여 다양한 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촉각센서를 개발하는데 있다. 개발된 촉각센서는 기본적으로 센서 표면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두께, 면적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capacitance) 변화를 이용해 접촉력을 센싱(sensing)할 수 있다. 정전용량 변화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CDC(capacitance to digital converter integrated circuits)를 이용해 측정 가능하였다. 제작된 센서는 크게 평면 형태로 제작된 로봇 피부용 촉각센서의 로봇 손끝에 장착 가능하도록 제작된 로봇 손끝용 촉각센서로 나눌 수 있다. 센서들은 모두 가운데 합성유전탄성체와 그 상, 하면에 전도성 실리콘, 가장 바깥 면의 보호층들까지 총 5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전극으로 사용된 전도성 실리콘의 경우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전기적인 노이즈를 줄이고 전도성 유무에 상관없이 어떤 물체가 접촉하더라도 동일한 출력 응답을 갖기 위해 접지(ground)를 윗면에 위치시켰다. 전체적인 신호처리시스템(signal processing system)은 촉각센서에 외력이 작용하면 CDC에서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통신에 의해 마이크로컨트롤러(mirocontroller)로 전달되고 수집된 데이터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에 의해 Host PC상의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전송된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 명시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촉각센서의 재료가공 기술, 제작된 촉각센서의 구조 및 디자인, 신호처리시스템, 센서의 성능 및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 결과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Tactile sensing is necessary for safe interaction of robots with humans, objects, and possibly in an unstructed environment. Currently, there are many kinds of tactile sensors which are developed with flexible structure such as PCB, PDMS, Silicone etc. However, because of low flexibility, it is not easy to apply them to 3D arbitrary shaped surfaces. In the study a novel tactile sensor using dielectric elastomer is proposed, which has high flexibility and stretchability as a base material. Since the dielectric elastomer is conformable, it can be easily covered onto the curved surface.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nsor, the dielectric elastomer gets compressed, and the capacita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electrodes changes. In this work, two kinds of tactile sensors are developed, a tactile sensor for the body of the robot and that for the fingertip. The tactile sensor for the body of the robot consists of two conductive layers separated by a soft dielectric elastomer. Flexible conductive silicone is utilized for each conductive layer. The inner conductive layer configured with multi-cells in order to detect both contact force and position and the outer conductive layer is regarded as a common ground to reduce the electrical noise coming from the environment. The structure of the fingertip shaped tactile sensor is similar to the previous one, but it is embedded on the PCB which includes Capacitance-to-Digital-Converter integrated circuits(CDC) to decrease the number of wires and stray capacitances. In the proposed design, capacitive tactile sensors have been implemented by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CDC, commonly used in cellular phones. The CDC detects the variation of a capacitance and the data are sent to the microcontroller via inter integrated circuits(I2C) buses. The microcontroller sends the sensor data to the host computer using a CAN bus. In addition, an experimental apparatus is developed to test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s. The results of tests show that the sensors have very linear relations between capacitance and normal contact force, sensitive responses, and good repeatability, etc.

      • 서버 플래시 캐시를 이용한 확장성있는 가상머신 프로비저닝

        김덕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aaS 클라우드에서 가상머신 프로비저닝 시간은 사용자의 QoS 측면 에서 중요하다.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등을 위해 가상머신 디스크를 원격 에 위치시키면 가상머신의 I/O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되어야 한다. 이러 한 환경에서 서버 플래시 캐시가 원격 I/O를 줄이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많은 수의 가상머신이 동시에 프로비저닝 될 때 네트워 크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고 클라우드 시스템의 전체 가상머신 프로비저닝 시간이 느려지게 된다. 서버 플래시 캐시에 부팅 시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으면, 추후 가상머신 프로비저닝 시 로컬에 있는 서버 플래시 캐 시에서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기 때문에 원격 I/O를 줄임으로써 빠르게 프 로비저닝 할 수 있다. KVM/QEMU를 수정해서 가상머신 부팅 때 필요한 데이터를 Compute node의 서버 플래시 캐시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였다. 해당 방법을 이용해 가상머신 프로비저닝 시 필요한 데이터들을 Compute node 로컬에 있는 서버 플래시 캐시에서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게 함으로 써 원격 I/O를 줄일 수 있었다. 실험 결과, 가상머신의 프로비저닝 시간을 최대 64.26% 단축시킬 수 있었다.

      • Folding-like refolding of protein aggregates and inclusion body proteins

        김덕상 School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 2011 국내박사

        RANK : 247615

        Gloshedobin, a kind of thrombin-like enzyme (TLE), is recently isolated from the snake venom of Gloydius shedaoensis. The formation of inclusion body (IB) and truncated expression product however significantly complicated its production in Escherichia coli.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 efficient method to recover intact gloshedobin with biological activity via chemical extraction and molecular chaperone-mediated column refolding. A novel folding-like-refolding strategy harnessing a bichaperone-based refolding cocktail comprising unpurified E. coli heat-shock proteins ClpB and DnaK/DnaJ/GrpE (DnaKJE) was first developed. Its efficacy was clearly demonstrated with efficient renaturation of a model protein, heat-denatured malate dehydrogenase (MDH), and further enhanced in the presence of polyethylene glycol (PEG). Prior to confirming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olding-like-refolding strategy to gloshedobin IBs, it was first shown that co-expression of ClpB rendered almost complete elimination of gloshedobin truncation products, allowing for the expression of intact gloshedobin (mostly in IB form though) without compromising the expression level. The following purification and refolding of gloshedobin IBs from the cell disruptates was performed based on bichaperone-mediated column refolding scheme using immobilized metal affinity chromatography (IMAC). The new refolding strategy taking advantage of ClpB/DnaKJE was shown to b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refolding methods in either batch dilution or column refolding mode especially when refolding reaction was attempted at a higher protein concentration (i.e. approximately at 20-fold increased concentration). The recovery process for gloshedobin IBs was further integrated through coupling of IMAC protein purification with chemical extraction to overcome the inefficiencie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IB recovery method (e.g. requirement of additional unit operations such as mechanical cell disruptions and repeated centrifugations). This offers the potential for further process intensification. This study establishes new concepts for IB processing which include 1) a folding-like-refolding strategy employing unpurified molecular chaperones to allow direct application of ClpB/DnaKJE bichaperone system, 2) synergistic coordination and the underpinning mechanism of polyethylene glycol as a refolding additive with ClpB/DnaKJE bichaperone system to further enhance refolding efficiency, 3) reduction of truncation product through co-expression of molecular chaperone to provide a simple strategy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quality of protein expression, and 4) bichaperone-mediated column refolding as an effective tool for refolding-recalcitrant proteins. Taken together, this study provides a more economically viable processing route for the pro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s whose expression is hampered by IB formation. 글로쉐도빈(gloshedobin)은 글로이디우스 쉐돈시스(Gloydius shedaoensis)라는 뱀 독에서 최근 동정된 신규 트롬빈 유사 효소로서, 재조합단백질의 형태로 대장균에서 발현될 때, 완전한 단백질인 아닌 절단형 단백질의 형태로 불용성 단백질 응집체인 Inclusion Body로 발현되어 활성화된 형태의 글로쉐도빈 생산 공정 수립에 어려움을 겪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화학추출법과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두고 개발한 분자 샤페론 기반 컬럼 리폴딩 방법의 결합을 통해 생물학적 활성을 지니는 완전한 형태의 글로쉐도빈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대장균 유래 재조합단백질 생산 공정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제되지 않은 대장균 열-쇼크(heat shock) 단백질인 ClpB와 DnaKJE로 구성된 바이샤페론(bichaperone) 시스템을 활용하여 리폴딩 칵테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새로운 폴딩-모방-리폴딩 전략을 개발하였다. 먼저 리폴딩 칵테일을 이용하여 열 변성된 말레이트 가수분해효소를 기존 희석식 리폴딩 방법 대비 훨씬 높은 효율로 재활성화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미정제된 ClpB와 DnaKJE로 구성된 바이샤페론 시스템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리폴딩 첨가제로 추가 공급하여 제조한 리폴딩 칵테일이 기존 바이샤페론 시스템과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기존 리폴딩 칵테일 대비 2배 가까이 높은 리폴딩 수율을 나타냄을 입증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첨가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역할도 제시하였다. 또한 ClpB를 재조합 글로쉐도빈과 대장균에서 동시 발현하면 완전한 형태의 글로쉐도빈을 IB형태로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미정제 바이샤페론 칵테일을 이용한 희석식 및 금속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리폴딩 공정과 연결하여, 기존 리폴딩 방법 대비 20배 가량 높은 농도에서도 높은 리폴딩 수율로 활성화된 글로쉐도빈을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IB로 발현되는 재조합단백질 분리-정제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새로운 효율적인 공정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1) 미정제된 ClpB와 DnaKJE 바이샤페론으로 구성된 리폴딩 칵테일을 이용하여 생체 내에서 단백질을 폴딩하는 방식으로 리폴딩 반응을 진행하는 폴딩-모방-리폴딩 전략, 2) 리폴딩 첨가제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ClpB와 DnaKJE 바이샤페론으로 구성된 리폴딩 칵테일에 추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불활성 단백질 응집체를 리폴딩할 수 있는 전략 및 그 메커니즘 제시, 3) ClpB의 동시 발현을 이용하여 절단형 단백질을 완전한 형태의 단백질로 발현 시킬 수 있는 전략, 4) 바이샤페론 리폴딩 칵테일을 희석식 혹은 금속이온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리폴딩 공정에 적용하여 IB 형태로 발현된 글로쉐도빈을 기존 희석식 혹은 컬럼 리폴딩 방법 대비 약 20배 가량 높은 농도에서도 고효율로 리폴딩할 수 있는 공정 전략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IB 형성으로 인해 다운스트림 공정 상의 여러 가지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기존 대장균 기반 재조합단백질 생산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성 있는 공정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