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율적인 재난관리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김대홍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재난은 유형별로는 홍수, 태풍 등의 자연재난과 화재, 교통사고 등의 인적재난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기능별로 예방-준비-대응-복구의 단계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형별 또는 과정별로 재난관리의 통합․분산의 문제가 뒤따르게 된다. 또한 재난은 누적성, 상호작용성, 불확실성, 복잡성의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재난관리조직 구성은 일반조직 구성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문제점으로서 첫째, 재난관리조직 미분화 및 조직구조의 상이성과 재난관리조직 분산운영으로 상호연계성이 미흡하다. 둘째, 재난부서의 경우 근무 기피부서로 전락했을 뿐만 아니라 잦은 인사이동으로 인하여 재해방지의 핵심적이고 중추적인 역할의 기대가 어렵다. 그리고 일반관료중심의 조직으로 운영될 뿐만 아니라 학습조직으로서의 기반여건을 가지고 있지 못하여 재난관리조직의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다. 셋째, 현행 지방정부의 재난관리 조직체계에 있어서는 특히 소방과 재난관리 부서 간에 업무영역이 매우 모호하게 설정되어 있다. 재난관리 부서의 경우 현장활동 인력을 보유하지 못한 상황에서 인위재난이라는 원인 유형에 따라 구분된 형태의 업무를 부여받고 있다. 또한 지방정부의 재난업무 수행에서 재난 관련조직 부서별로 정보공유 및 교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재난관련 조직 사이의 역할과 책임이 기능별로 중첩되어 재난관리조직의 비효율성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지방재난관리 조직구조의 상이성으로 인해 원활한 행정소통이 곤란하고 지방정부의 재난관리 역할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넷째, 우리나라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과 지방자치단체 조례에 의한 민간조직의 구체적인 역할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재정적 지원과 민간조직에 대한 조정과 통제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공공․민간분야 재난교육 및 훈련기능 미흡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재난관련 조직은 모든 재난이 지방정부에서 발생하여 일차적 책임이 지방정부에 있으므로 지방정부의 재난관리 역할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향후 제주의 재난관리조직은 ‘소방방재청’과 같은 ‘지방소방방재청’의 신설과 더불어 ① 모형1 : 인적재난, 자연재해 및 민방위를 모두 포함하는 완전통합형(소방+재난+방재+민방위) ② 모형2 : 인적재난, 자연재해를 포함한 부분통합Ⅰ(소방+재난+방재) ③ 모형3 : 인적재난에 산불관리를 포함하는 부분통합형Ⅱ ④ 모형4 : 소방업무만을 담당하는 소방전담형 등 통합적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제시된 모델들은 위기관리 체제의 각 단계들이 위기 기능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고 다소 중첩적인 현재의 조직체계를 개선하여 상호연계성을 증진하고 재난관리 업무 추진에 효율화를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재난대응에 있어서 사회 환경이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이 증가하면서 어떤 단일조직의 독자적 대응의 경우 오히려 실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재난환경의 특성상 다양한 수준과 차원에서 지방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등과의 조직적 기관적 연계활동이 모색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현재 조직되어 있는 민방위 조직, 의용소방대, 자율방재단 및 민간 재난관련 NGO의 활성화를 위해서 주민 참여와 민간지원체계가 강화되어야 하는 Governance가 구축되어야 하며, 민간자원 봉사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일원화된 재해통제시스템으로 편입시켜 운영의 활성화를 기하여야 한다. 또한 각 소방서별로 조직되어 있는 의용소방대를 조직체계상 전문 의용소방대 제도로 운영되어야 하고 재난관련 시민단체들의 재난대응 역량 강화를 위하여 현장안전 교육 등을 내실화함으로써 재난대응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대처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re are two kinds of disasters;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 tsunami or typhoon, and man-made disasters, such as traffic accidents or fire. Moreover, there are four stages of disaster management, from prevention to preparation, countermeasure and restoration. Therefore, it accompanies the problem of separating or uniting disaster management plans upon its type or process. Moreover, disasters are accumulative, interactive, uncertain and complicated.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requires a different system from other organizations. The current problems of the existing system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various management organizations upon the types of disaster, and they are poorly interrelated as they lack uniform system structure. Second, many people try to avoid working in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s, and it leads to frequent personnel chang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xpect core and leading role of the prevention. Moreover, they lack expertise as the systems are being managed by general government officials and do not have ground conditions as a research institute. Third, the boundary of each department's works, especially between fire-fighting and general disaster, is very vague under current management system. The department of disaster management is short of workers at the spot, but they are still given the works upon the types of man-made disasters. There is inadequate information exchange among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under local governments, and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re redundant. It not only causes inefficiency of the system but also hampers communication between administrations, and it ultimately leads to poor disaster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Fourth, South Korean laws or local ordinances concerning disaster and security management do not clearly state the substantial roles of private organizations. Moreover, poor financial support for and control over private organizations is another problem, and so is the poor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local governments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disaster managements. Therefore, the suggestions to increase the role of Jeju are as follows. After establishing new local organization similar to NE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organization can manage Model 1(complete integration): all disasters including man-made and natural disaster, prevention and civil defense, Model 2(partial integration I): man-made and natural disasters, Model 3(partial integration II): man-made disasters and forest fire, and Model 4(fire-only): only fire. The suggested models will improve current system, which is quite intermingled and redundant regardless of the types of disaster, enhance connectivity and guarantee efficiency of the works.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cooperate with various local governments, provincial bodies or civil groups at various levels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considering that complicated society augmented unpredictability of recent disasters. Hence, it is required to establish governance which reinforces participation of citizens, supports civil groups and activates private groups including civil defense corps, volunteer firemen's associations or disaster-related NGOs. When the private volunteer workers are incorporated to the unified disaster control system, it will invigorate the management of the system. In addition, it is needed for volunteer firemen's associations, which are being controlled by each fire station, to be incorporated to the professional voluntary firemen system, and there should be more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disaster-related NGOs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All these steps will help the management team to cope with the disasters more efficiently.

      • 생태주의 사상의 초등교육적 의미와 실천적 시사점 탐구

        김대홍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갈수록 심화되는 개인주의적이고 경쟁적인 초등학교 현실에서 ‘자연과 생명을 통해 배우는 생태적 경험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면서, 이에 대한 근본적인 철학적 이해를 정립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최근 관심을 모으는 생태주의 사상이 특히 지각적 감수성이 풍부하게 발달하는 초등교육 단계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범위는 생태주의의 주요 흐름을 이루는 근본생태주의와 사회생태주의에 한정하고, 다음 두 가지 세부 연구문제를 초점을 두어 탐구한다. 첫째, 주요 생태주의 사상의 핵심적 견해는 무엇이고, 그것은 어떤 의미에서 교육적 가치를 지니는가? 둘째, 생태주의 사상에서 이끌어낼 수 있는 초등교육의 새로운 방향은 무엇이고, 그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실천적 방안을 통해 추구될 수 있는가? Ⅱ장에서는 생태주의 사상의 형성배경을 살펴보고 근본생태주의와 사회생태주의의 특징적 견해를 분석한 후에, 생태주의 사상에 공통된 주요 가치를 정리한다. 생태주의는 생물학과 인접한 자연과학적 탐구영역이었던 생태학에 기원을 두며 발전된 사상과 실천운동으로, 20세기 후반 심각한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 등 인류 문명의 위기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근본생태주의는 기존의 피상적인 환경 운동에 대한 비판에 근거하여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위기의 근본원인을 ‘인간의 자연 지배와 소외’에서 찾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보다 근본적인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무엇보다 인간중심적 사고의 틀을 벗어나 모든 존재를 상호 연결된 총체로 보는 전체론적 세계관을 지향한다. 실천적인 방법론으로 ‘생태적 지혜’를 강조하는데 이것은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되는 ‘큰 자아실현’을 목표로 한 것이다. 사회생태주의는 근본생태주의의 한계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는데, 생태 위기의 문제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라는 인식 속에서 위기의 원인은 ‘인간의 인간 지배와 소외’에 있다고 본다. 또한 위기극복의 방안으로 자연관, 인간관, 사회관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며, 구체적으로 ‘참여적 진화’로서의 자연과 ‘변증법적 이성’을 가진 인간, 그리고 ‘자유와 참여의 생태공동체’로서의 사회를 지향한다. 생태주의는 여러 사상적 유파를 형성하며 분화․발전해 왔는데, 공유하는 특성은 유기체적 전체론적 관점, 세계 내 모든 존재가 상의상존하는 상생의 정신, 보살핌․배려․공감의 윤리로 구현되는 생태공동체적 가치 등으로 정리된다. Ⅲ장에서는 생태주의 사상을 통해 본 초등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실천적 과제를 두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는 근본생태주의의 사상적 특성에 근거한 것으로, ‘교육과정을 통한 생태적 감수성 도야’이다. 이를 위해 ‘자아’에 대한 새로운 이해, 곧 ‘큰 자아’ 실현이라는 목표를 지향하면서 초등교육 시기 아이들에게는 특히 생태적 감수성 교육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실천적 과제로는 초등, 중등, 고등 교육 단계별 교육목표의 생태적 전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교과내용면에서의 대안적 접근, 생태적 소재를 통한 체험활동과 주제중심통합학습 방법의 활용, 교실과 학교 공간의 재구성 등을 제시한다. 둘째는 사회생태주의의 사상적 특성에 근거한 것으로 ‘학교문화를 통한 자유와 참여의 생태공동체 지향’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안에 두루 퍼져있는 지배와 위계구조 문제에 대한 반성적 성찰, 자연(교과), 아동, 교사를 이해하는 관점에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초등교실을 자유와 참여의 생태공동체로 만들기 위해 구체적으로 학급운영 방향, 교육과정 구성, 학급운영 실제, 교사들 간의 동료문화, 교실과 학교 공간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실천적 과제를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생태주의 사상에 근거할 때 초등학교에서 ‘자연과 생명을 통해 배우는 경험’은 단순히 자연친화적인 방법의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개인적 차원에서 초등학생들에게 생태적 감수성을 기르는 경험은 ‘이기적인 자아’를 넘어 전체 세계 안에서 진정한 자신의 의미를 발견하게 해주는 것이다. 사회적 차원에서 초등학교에서 지향해야 할 자유와 참여의 생태공동체란 보살핌과 배려, 공감을 통해 상생하는 ‘진정한 배움의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stablish fundamental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values of ecological experience that is to be learned from nature and life', reflecting critically ever more individualistic and competitive elementary school cul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ecological philosophies that draw recently increasing interest for the stage of elementary education where active development of perceptual sensitivity occurs.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deep ecology' and 'social ecology', as constituting the mainstream of ecological philosophies. As specific study questions, the following two issues are brought to a focus. First, what is the core perspective of ecological philosophies and in what sense do they have educational values? Second, what is a new direction for elementary education to be derived from ecological philosophies and through what practical and specific actions can it be pursued? Chapter Ⅱ examines the background of how ecological philosophies were formed, analyzes characteristic views of deep ecology and social ecology and summarizes principle values common to the ecological philosophies. Ecological philosophies originated from ecology, a branch of natural science bordering on biology, and developed into an ideology and practical movement starting with scepticism and critique over the crisis of human civilization causing the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system destruc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Deep ecology is based on criticism over existing superficial environmental movements, calling for more fundamental solutions. Deep ecology attributes such a crisis to' the domination of nature by human being and the consequent alienation', and considers a fundamental shift of awareness to be needed in order to get over the crisis. Above all, deep ecology pursues a holistic world view by breaking away from human-centered frame of thinking in favor of seeing every being as the interconnected whole. Concerning practical methodology, deep ecologism stresses ‘ecologcal wisdom’ that aims at ‘the actualization of a greater self' where nature and man become one. Social ecology starts with criticism over the limitation of deep ecology, and views ecological crisis from the perspective of a social issue, not individual one, attributing it to ‘the domination of human beings by other human beings and the consequent alienation.' Also, as a means to get over the crisis, social ecology calls for fundamental shift in views on nature, human and society, and specifically points to nature as ‘a participatory evolution’, human with ‘dialectical reason’ and society as ‘an ecological community of freedom and participation.’ Ecological philosophies have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forming a range of ideological sects, which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organic holistic view, the spirit of mutual life for every earthly being as inter-dependent and co-existent, and the value of ecological community implemented with caring, consideration and sympathy. Chapter Ⅲ deals with two points regarding a new direction and practical challenge for elementar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philosophies. First, based on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ep ecology, ‘cultivation of ecological sensitivity through curriculum’ is suggested. For this, elementary children need educating on ecological sensitivity primarily aiming at new understanding of ‘self’, or a goal of realizing 'a greater self'. Practical actions suggested here include ecological convers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stages,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content of subjects with analysis on curricula, hands-on activities through ecological materials, use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and reconfiguration of classroom and school environment. Second, based on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logy, ‘an ecological community of freedom and participation' should be pursued through reconstructing school culture. For this, changes are necessary in terms of reflective speculation about the issue of domination and hierarchical structure widespread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viewpoint to understand subject matters, children and teachers should be transformed.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challenges including a direction for classroom management, curriculum reconstruction, actual class operation, peer culture among teachers and classroom and school environment so as to make elementary classroom an ecological community of freedom and participation. In conclusion, based on ecological philosophies, the 'experience learned through nature and life' in elementary school is not simply a nature-friendly approach. The experience of growing ecological sensitivity of individual elementary students goes beyond ‘selfish ego’ and discovers the true meaning of self in a world as the whole. Regarding the social dimension, the ecological community of freedom and participation aimed at in elementary schools refers to building 'a true community of learning' enabling mutual life through caring, consideration and sympathy.

      • 친환경 건축기술 통합정보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김대홍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on development of integrated information platform for green building technology. The integrated information platform is a basic system to maintain comprehensively information of green building technology products.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was established and a method of environmental load reduction effect evaluation was proposed for platform development. In order to comprehensively maintain the information maintenance system is established on the requirement information of the current standard. The information collection boundary is divided general properties, unit price, environmental performance, performance, certific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 general, properties and performance information are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However,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is needed for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refore, an evaluation method that can evaluate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the green building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A database of green building technology and interface of integrated information platform is established based on the proposed inform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 원-형태소의 수리형태론적 특성연구

        김대홍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원, 별 모양 5 개의 도형에 원-형태소를 적용하여 원-형태소의 수리형태론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속이 찬 원형물체나 원은 원-형태소에 대해 열림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다른 도형들의 영상으로부터 원형물체를 검출해내기 위해 열림 연산을 사용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는 원형 물체의 열림 연산은 원-형태소의 크기에 따라 거의 동일한 영역을 유지하지만 반면에 다른 4 개의 도형은 그렇지 못했다. 이러한 원-형태소를 사용한 수리형태론적 접근방법은 산업용 영상에서 원이나 원형물체를 검출해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본다. In this thesis, the properties of mathematical morphology with use of a circle structuring element (CSE) are analyzed by applying the CSE to 5 template shapes of triangle, square, hexagon, star, and circle. Since the circular object or circle is inherently open with respect to the CSE, we have used the opening operation to discern circular objects from an image of different templates. The computer simulation shows that the opening of a circular shape holds a approximately constant area as to the size of CSE, while the other 4 templates are not. This morphological approach with the CSE may be used to detect circles or circular object in the industrial complex images.

      • 조생복숭아 미숙 배 배양에 미치는 배지 종류 및 생장조절제의 영향

        김대홍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실험은 조생계통의 교배모본에서 채취한 미숙 배의 기내 배양을 위한 배지 종류, 생장조절제의 농도 조합 및 수확 후 배양 한계 기간 설정과 배주 배양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본 배지 선발 실험에서 White배지의 발아율은 ‘창방조생’ 86%, ‘일천백봉’ 94%, ‘가납암백도’ 96%로 WP배지나 MS배지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신초의 발달에 있어서도 다른 배지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2. 생장조절제 농도 BA 0.5mg/l + IBA 1mg/l 처리구의 발아율은 94%였으며, 신초 및 뿌리 발달은 각각 4.1(IOD)과 4.4(IOD)로 다른 처리 조합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3. 수확 후 치상까지의 경과 일수 증가는 발아율 및 신초와 뿌리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종피를 제거하는 것이 배주 배양에 비해 발아율이 높았다.

      • 동해 울릉분지 남서연변부 퇴적층의 퇴적과정 복원 및 탄화수소의 열적성숙도 파악을 위한 SEDPAK 모델링

        김대홍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울릉분지는 동해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우 두꺼운 퇴적층을 포함하는 후배호 분지(back-arc basin)이다. 울릉분지의 열개는 초기 올리고세부터 시작되었으며 열개 이후 분지 남서연변부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퇴적층을 형성시켰다. 중기 마이오세(12 Ma 이후) 동안에는 판의 움직임과 섭입 방법의 변화로 후배호 분지가 닫히게 되고, 이로 인해 분지 전반부에 걸쳐 상대적으로 낮은 침강률 및 퇴적율을 유지하게 되었으며, 특히 분지의 남동쪽에서 많은 구조적 변형대를 형성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SEDPAK을 활용하여 동해 울릉분지 남서 연변부 퇴적층의 퇴적과정 복원 및 탄화수소의 열적 성숙도를 파악함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Gorae Ⅰ, Gorae Ⅴ, Dolgarae Ⅰ 및 Dolgorae Ⅱ 시추공을 가로지르는 탄성파 도면 Line Ⅰ과, 이를 가로지르는 Line Ⅱ, Ⅲ의 탄성파 도면을 선택하였다. 시추공 자료를 통해 퇴적물 유형(sediment type), 퇴적층의 깊이(depth), 지온상승률(geothermal gradient) 등 모델링에 필요한 입력값(input data)을 확보하였으며, 기존 논문자료를 통해 퇴적물의 공급량(sediment supply rate), 침강률(subsidence rate) 등을 입력하였다. 연구지역에 대한 모델링 수행 결과, 연구지역의 퇴적층은 초기 마이오세(20 Ma)부터 중기 마이오세(12.5 Ma)까지 약 0.345 m/ka의 빠른 침강률과 약 0.038 km2/ka의 높은 퇴적물 공급량으로 인해 전진퇴적작용(progradation) 및 누적퇴적작용(aggradation)이 우세하게 일어났다. 이후 중기 마이오세 후기(12.5 Ma)부터 후기 마이오세 후기(6.3 Ma)까지 분지에 작용한 압축력에 의해 연구지역 남동부 퇴적층을 융기(uplift)시켰으며, 약 0.036 m/ka의 느린 침강률과 약 0.006 km2/ka의 낮은 퇴적물 공급량을 나타낸다. 후기 마이오세 후기(6.3 Ma)부터는 약 0.039 m/ka의 느린 침강과 약 0.008 km2/ka의 낮은 퇴적물 공급량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연구지역에 대한 열적성숙도 모델링 결과에 의하면 연구지역 내의 퇴적층은 약 2500 ~ 5000 m 깊이에서 원유 및 가스 생성범위(oil or gas window)에 포함된다. 하지만 근원암의 TOC 함량이 낮고 주로 케로젠(kerogen) Type III에 해당하므로 생성 초기부터 적은 양의 원유 및 가스를 생성하였을 것으로 해석되며 일부 생성된 원유는 분지 심부에서 과성숙되어 가스로 변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Ulleung Basin is a back-arc basin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containing thick (over 5 km) late Tertiary to Quaternary sediments. The opening of the East Sea was initiated by crustal thinning in the Early Oligocene, resulted in relatively high sediment accumulation in the south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During the Late Miocene, changes of the plate motion and subduction mode along the subduction zone caused back-arc closure, resulted in relatively low sediment accumulation throughout the basin and severe structural deformation in the southeast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construction of burial diagenesis and analysis of petroleum potential using SEDPAK simulation program. A seismic section of the Line Ⅰ through the Gorae Ⅰ, Gorae Ⅴ, Dolgorae Ⅰ and Dolgorae Ⅱ well was chosen for this study. Also, two more seismic section were selected to study the Line Ⅱ across the Line Ⅰ at the Gorae Ⅴ well, and the Line Ⅲ across the Line Ⅰ at the Dolgorae Ⅰ well. The input data of sediment type, sequence depth and geothermal gradient were obtained through the prexisting well data, and the sediment supply rate and subsidence rate were estimated from the published paper. The simulation results for the study area show relatively high subsidence rate (0.345 m/ka) and high sediment supply rate (0.038 km2/ka) during late Early Miocene to late Middle Miocene (Stage 1). Also the sedimentary layers are aggradational and progradational in this stage. From late Middle Miocene to late Late Miocene (Stage 2), the basin began to uplift because of tectonic compression, and many structures were generated around the southeastern part of Ulleung Basin. At that time, subsidence rate (0.036 m/ka) and sediment supply rate (0.006 km2/ka) were relatively low than Stage 1. From late Late Miocene (6.3 Ma) to present (Stage 3), relatively low subsidence rate (0.039 m/ka) and sediment supply rate (0.008 km2/ka) were continued in the study area. The simulation result of thermal maturity indicates that the oil and gas window exists in between 2,500 m and 5,000 m depth in the present. However, the study area has only gas and condensate discovery. It is interpretated that oil has never been generated because the kerogen of source rock is Type III, or generated oil has already been converted into gas by late thermal overcooking.

      • Spectral Properties of Dirichlet Forms and Transformations of Symmetric Markov Processes

        김대홍 Osaka University 1998 해외박사

        RANK : 247631

        대칭 마르코프 과정의 고유치를 연구하는 경우 Donsker-Varadhan 형의 대편차 원리가 잘 알려져 있다. 1951년, M.Kac가 Schrodinger 작용소의 제1고유치와 Feynman-Kac 범함수 사이의 점근성 및 그 관계를 연구한 것을 출발점으로, 후에 Donsker-Varadhan 형의 대편차 이론의 생성 동기가 되었다. 한편으로는 측도 μ를 퍼텐셜로 가지는 일반화된 Schrodinger 작용소 -1/2△+μ와 상대적 Hamiltonian 작용소 (수식 생략) 가 최근 연구되어져 왔는데, 특히 상대적 Hamiltonian 작용소의 경우, 도약(jump)을 포함하는 Feynman-Kac 범함수 (수식 생략) 가 자연스럽게 생각되어진다. 이 논문에서는 위와같은 도약(jump)을 포함하는 Feynman-Kac 범함수의 점근성과 그 밖의 성질들을 Dirichlet 이론의 배경에서 연구했다. 가장 큰 문제는 가법적 범함수 A_t^μ,F가 체제분포의 함수가 아닌 이유로 Donsker-Varadhan 형의 대 편차 원리가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난점의 극복을 위해 승법적 범함수 exp(-A^μ,F)를 합성시킨 대칭 마르코프 과정에 대한 Donsker-Varadhan형 대편차 원리의 구성을 실행했다. 이를 위해 Kato class의 가법적 범함수에 대한 확장과 마르코프 과정에 대한 에르고딕 변환의 확장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하에서 얻어진 정리를 마르코프 연쇄에 응용해서 어떤 영역에서 마르코프 연쇄가 가질 수 있는 도약(jump)의 점근성 등을 살펴보았고 시간변환 기법이 마르코프 연쇄에 대한 대편차 원리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음을 증명하여 체제시간의 점근성도 구체적으로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독립적인 연구로서 어떤 에너지 형식에 대한 spectral gap의 점근성 및 성질들을 연구하였다. 어떤 영역을 빠져나가는 탈출시간은 그 영역의 경계조건에는 의존하지 않는다는 성질에 입각하여 일점 콤팩트화 시킨 영역위의 에너지 형식을 생각, 그것에 관한 spectral gap의 점근성은 영역의 경계가 비 원활일지라도 공식화 될 수 있음을 보였다.

      • 투영 영상화를 이용한 3차원 자기공명 혈관 영상법

        김대홍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Conventional 3D PR(projection reconstruction) method consist of 2D PR and 1D Fourier encoding. This method screen the advantage of PR. In this research, TOF MR Angiography method using 3D PR and 3D gridding algorithm is developed. This method does not use fourier encoding. Imaging time is saved about 40% as compared with 3D FFT. In the region of high velocity blood flow, 3D FFT method generate severe artifact. This kind of artifact i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gradient. As specific direction of gradient field isn't determined in PR, we can dramatically reduce the artifact related to direction of gradient. In the experiment of both phantom and volunteer, we confirm the reduction of distorted shape in blood vessel. 기존의 3차원 투영 영사법은 2차원 투영 영상법과 1차원 fourier 방법을 혼합한 것으로 투영 영상법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지 못했다. fourier 방법이 없는 3차원 투영 영상법과 영상 재구성을 위해서 gridding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기 공명 혈관 영상법을 개발 하였다. 기존의 방법과 비교해서 영상 획득 시간이 60%로 단축되었다. 그리고, 영상으로 재구성 할 수 있는 3차원 gridding 방법도 개발하였고, 재구성된 영상의 화질과 관련된 변수 은 2로도 훌륭한 영상을 얻었다. 3차원 투영 영상법을 이용하여, TOF 방식의 자기 공명 혈관 영상법에 적용하였다. 3차원 투영 영상법은 gradient 자기장에 특별한 방향이 없어서 gradient 자기장의 방향과 관련된 영상의 왜곡이 사라지는 것을 관찰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