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색정합 행렬을 이용한 투영 영상의 색 보정 기법

        김대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case of beam projectors may project an image on arbitrary surfaces, such as colored walls and papers, not only on a white screen as is mainly used in an office environment. Thus, a color correction method for the projected images proposed to achieve good image quality irrespective of the surface color. Initially, estimation of colored screen's input by projector characterization on colored screen. we obtain 3x3 color correction matrix by substituting estimated input on colored screen and input on white screen values in linear regression. Next, in case of camera based method, we estimate input on colored screen using captured image by camera. we obtain 3x3 color correction matrix by substituting estimated input on colored screen and input values on white screen in linear regression. we obtain color corrected image by applying this 3x3 color correction matrix to original image. By projecting the compensation image on a colored screen, the image quality of the projected image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the projected image on a white screen. 본 논문은 빔 프로젝터를 통해 영상을 흰색 스크린이 아니 유색의 스크린 또는 유색의 색벽에 투영하였을 때 원하는 색을 표현하지 못하는 특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 색 왜곡을 보정하여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특성화 기반의 방법은 프로젝터 특성화 과정을 통해 유색 스크린의 입력을 추정하고, 이를 1차 선형 다항 회귀 방정식에 대입하여 3x3의 색 보정 행렬을 얻는다. 카메라 기반의 방법은 백색과 유색 스크린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사용하여 유색 스크린에 대한 입력을 추정하고, 이를 1차 선형 다항 회귀 방정식에 대입하여 3x3의 색 보정 행렬을 얻는다. 얻어진 색 보정 행렬을 원 영상에 곱하여 줌으로써 유색 스크린에서 백색스크린에서와 유사한 색상이 보정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단편영화 <미명> 제작보고서 : 연출을 중심으로

        김대철 동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 논문은 년 월부터 년 월 2018년 8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제작된 단편극영화<미명(Before dawn)> 의 전반적인 제작 과정에 관한 연출보고서이다 상상과 회복에 초점을 맞춘 <미명> 은 여동생을 잃은 아픔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동시에 지닌 웹툰 작가 지은이 시각장애인 혜진을 만나게 되면서 회복되는 이야기를 다룬다. 필자가 생각하는 영화란 당시 현장에서의 시간과 장소 그리고 사건을 화면에 저장하여 정해진 시간의 결과물로 만들어 내며, 이야기 속 캐릭터의 감정에 관객이 공감하는 영상 언어이다 이. , 러한 공감은 상상을 불러일으키고상상은 곧 꿈과 현실 사이의 간격을 좁혀 준다. 삶의 고민이 쌓여 상상력이 고갈되었을 때, 이를 온전한 방향으로 돌이키게 하는 것 또한 상상에서 시작되는 것임을 영상 언어로 표현하였다. <미명> 속 극영화 제작 과정 가운데 단편이 지닌 특수성을 이번 보고서에 단계별로 기록하기 위해 아이디어와 기획 /시나리오에 관한 프리프로덕션(Pre-production) (Production) 과 실질적인 촬영 및 제작 단계를 거친 프로덕션 그리고 편집 음악 배급 , , 등 영화제작 매듭 단계에 속하는 포스트프로덕션(Post-production) 을 자료와 함께 구체적으로 기록하였다 끝으로 필자는 단편영화 <미명 >연출보고서를 영화제작의 필요에 맞게 도움되기를 바람과 동시에 시나리오 단계에서부터 결과물에 이르기까지 영화제작이 가능하도록 도움 주신 많은 분께 감사한 마음을 담아 작성하였다.

      • 용액공정이 가능한 게이트 유전체 기반 차세대 박막 트랜지스터 재료의 응용 연구

        김대철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박막 트랜지스터는 차세대 전자소자로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전자재료로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작방법에 있어 공정온도와 비용을 낮출 수 있다면 소자가 더 나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특징적인 성질을 혼합하여 한 단계의 공정 연구, 저온 용액 공정이 가능한 저렴한 고분자를 가교결합 시킨 유전체 박막을 연구하였다. 또한 제작에 있어 딥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스핀코팅 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대량생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박막 트랜지스터를 연구하기 위해 저온에서 용액공정이 가능한 유기물의 유연한 특성과 높은 유전율, 낮은 누설전류의 특성을 가진 무기물의 혼합 박막을 적용하여 고성능의 저전압 구동 트랜지스터를 연구하였다. 유연성을 가진 유기물인 1,10-decanediylbis(phosphonic acid) (DBPA)와 1,12-dodecanediylbis(phosphonic acid) (DDBPA)를 합성하였고 좋은 유전특성을 가진 high-k ZrOx와 혼합하여 저온에서 용액공정을 하여 박막을 제작하였다. 또한 원-스텝으로 소수성 표면처리를 위하여 trimethoxy (octadecyl)sliane (OTMS)와 triethoxy(octadecyl)sliane (OTES)를 ZrOx와 혼합하여 저온에서 용액공정 유전체 박막을 제작하였다. 이 박막들은 높은 capacitance와 낮은 누설전류밀도, 열적 안정성을 보였다. 응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기반도체(pentacene)기반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였고 이 소자들은 ~0.3 cm2V-1s-1의 전하이동도와 105이상의 Ion/Ioff를 가졌으며 2 V라는 저전압 구동의 장점을 보였다. 고분자를 가교결합 시켜 유전체로 이용하기 위하여 poly(4-vinylphenol) (PVP)와 poly(methyl metha crylate) (PMMA)를 사용하였다. PVP 박막은 용액 공정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200 ℃)에서 가열하면 탈수반응에 의해 유전체 박막을 형성하였다. PMMA 박막은 광 개시제에 의해 라디칼 반응이 일어나고 이를 통해 유전체 박막을 제작하였다. 이 두 박막은 무기물에 비해 저온에서 공정되었고 낮은 누설전류와 SiO2보다 높은 capacitance를 가졌으며 표면의 -OH기에 의해 친수성 특성을 보였다. 이에 self-assembled monolayers (SAMs)를 통해 표면의 특성을 소수성으로 개질시켜주었고 유기반도체(pentacene)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여 응용성을 확인하였다. 이 소자는 ~0.5 cm2V-1s-1의 전하이동도와 106의 Ion/Ioff를 가졌다. 딥코팅을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제작 연구를 위하여 유전체로는 ZrOx, HfOx를 사용하였고 반도체로는 무기반도체(In2O3, IGZO)를 휘발성이 좋은 용매에 용해시켜 소자를 제작하였다. 딥코팅으로 제작된 유전체 박막은 스핀코팅으로 제작된 유전체 박막과 비슷한 낮은 누설전류의 특성을 보였고 비교적 높은 capacitance를 가졌다. 또한 표면은 비교적 스무스한 특성(rms = ~0.3 nm)을 가졌다. 무기반도체(In2O3, IGZO)도 동일하게 딥코팅으로 제작하였고 이 소자들은 2 V이하에서 구동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2 cm2V-1s-1의 전하이동도와 105이상의 Ion/Ioff를 가졌다. 이는 유전체와 반도체의 큰 면적의 대량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재료로 다양한 물질을 적절하게 사용하였으며 딥코팅이라는 제작 방법으로 박막 트랜지스터 제작이 가능함을 보였다. 연구 결과가 여러 분야에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n film transistors (TFTs) are getting much interest because they can be applied to next generation electronic devices. Various materials can be used as electronic materials. If the fabrication method can lower the process temperature and cost, the device can have better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studied a process of one step by mixing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and a dielectric thin film which is cross-linked with an cheap polymer of low temperature solution process. In addition, we supplemented the limit of spin coating method by using dip coating method.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mass production of thin film transistor. Solution-processable organic materials have flexible characteristics and high permittivity at low temperature and inorganic materials have low leakage current characteristics. We have mixed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to manufacture the high performance low voltage driving transistor. Flexible organic materials were synthesized and it was mixed with high-k ZrOx with good dielectric properties and fabricated by low temperature solution process. In addition, organic materials including silane groups were mixed with ZrOx for one-step hydrophobic surface treatment to fabricate a solution process dielectric thin film at low temperature. These films showed high capacitance, low leakage current density, and thermal stability. Organic semiconductor (pentacene) thin film transistor was fabricate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and these devices have a charge mobility of ~ 0.3 cm2V-1s-1 and an Ion/Ioff of 105, demonstrating the advantage of low voltage operation of 2 V. Crosslinked polymer were formed by the dehydration reaction or radical reaction at a low temperature by solution process. These films were processed at low temperature compared to inorganic materials and had low leakage current and capacitance higher than SiO2 dielectric and showed hydrophilic property by -OH group on the surface. Self-assembled monolayers (SAMs) were used to modify the surface properties to hydrophobic. Organic (pentacene) thin film transistor had a charge mobility of ~0.5 cm2V-1s-1 and an Ion/Ioff of 106. ZrOx and HfOx were used as dielectrics to study thin film transistor fabrication using dip-coating and inorganic semiconductor (In2O3, IGZO) was dissolved in a solvent with volatility to manufacture a device. Dielectric films fabricated by dip-coating exhibited low leakage current characteristics similar to dielectric films fabricated by spin-coating. It had a relatively high capacitance. Also, the surface had a smooth characteristic (rms = ~0.3 nm). Inorganic semiconductors (In2O3, IGZO) were also prepared by dip-coating and these devices were driven at less than 2 V and had a charge mobility of ~ 2 cm2V-1s-1 and an Ion/Ioff of 105. This confirmed that mass production of large area of ​​dielectrics and semiconductors is possible.

      • 꿩의 育成前期 및 育成後期 日當增體量과 選拔體重에 對한 遺傳母數 推定에 關한 硏究

        김대철 濟州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heritability of the average daily gain, shank length and shank width measured at the end of each period, measured during various growing periods(hatching to 4-wk, 4 to 12 wk and 12 to 20-wk of age), and the body weight at 20 weeks of age, and to estimate genetic correlation between these measurements. A Total of 456 individuals(231 females and 225 male) produced by single pair matings in CNU(Cheju National University) line of pheasants(Phasianus colchicu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ffects of hatch on the average daily gains, the average daily increases of shank length and shank width during the 1-d to 4 wk, 5 to 12 wk and 13 to 20 wk of age and body weight, shank length and shank width at the age of 20 wk were significant(p < 0.05). But the effects of hatch on the average daily increases of shank width during the 1-d to 4 wk in female and the final body weight at the age of 20 wk in male were not significant(p > 0.05). 2. Least square means for the average daily gains during the 1-d to 4 wk, 5 to 12 wk and 13 to 20 wk, the body weight at 20 wks of age were 2.59-3.43, 7.97∼8.60 and 3.50∼4.32, 761.1∼800.3 g for female and were 2.77∼3.58, 10.16∼11.91 and 6.15∼7.94, 1108.3∼1138.0 g for male, respectively. Least square means for the average daily increases of shank length during the 1-d to 4 wk, 5 to 12 wk and 13 to 20 wk, the shank length at 20 wks of age were 0.69∼0.82, 0.50∼0.53 and 0.00∼0.20, 73.59∼75.41 mm for female and were 0.73∼0.83, 0.67∼0.72 and 0.01∼0.03, 85.71∼88.89 mm for male, respectively. Least square means for the average daily increases of shank width during the 1-d to 4 wk, 5 to 12 wk and 13 to 20 wk, the final shank width at 20 wks of age were 0.05∼0.05, 0.03∼0.04 and 0.00∼0.01, 5.78∼6.04 mm for female were 0.05∼0.05, 0.05-0.06 and 0.01∼0.02, 6.93∼7.16 mm for male, respectively. 3. The heritabilities for the average daily gains during the 1-d to 4 wk, 5 to 12 wk and 13 to 20 wk, the body weight at 20 wks of age were 0.34, 0.56 and 0.39, 0.66 for female and were 0.45, 0.32 and 0.32, 0.32 for male, respectively. The heritabilities for the average daily increases of shank length during the 1-d to 4 wk, 5 to 12 wk and 13 to 20 wk, the shank length at 20 wks of age were 0.27, 0.37 wk and 0.10, 0.69 for female and were 0.29, 0.55 wk and -0.01, 0.50 for male, respectively. The heritabilitles for the average daily increases of shank width during the 1-d to 4 wk, 5 to 12 wk and 13 to 20 wk, the final shank width at 20 wks of age were 0.27, 0.12 and 0.19, 0.42 for female and were 0.41, 0.05 and 0.23. 0.52 for male, respectively. 4. The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body weight at 20 wks of age and the average daily gains during the 5 to 12 wk and between the 20-wk body weight and the average daily gains during the 13 to 20 wk were estimated 0.80 and 0.56 for female and 0.66 and 0.39 for male, respectively. 5. The heritabilities for the average daily gains in pheasant were moderate to high for most traits and genetic correlations were highly estimated between the final body weight at 20 wks of age and the average daily gains in various growing periods. Results of any periods used indicate that individual selection for the average daily gains will be a selection marker for bo

      • 知的財産權의 技術評價를 통한 企業支援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김대철 延世大學校 法務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기반경제(knowledge based-economy)에서는 과거의 노동이나, 부존자원과 같은 전통적인 생산요소보다는 첨단기술, 영업비밀, 브랜드, 소프트웨어 등 인간의 지적창조물인 지적재산권이 국가경쟁력 제고와 기업이윤 창출의 주요한 원천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은 제3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리울 만큼 획기적이고 이로 인해 새롭게 등장한 용어가 바로 신지적재산권이다. 이에 우리 경제환경도 세계경제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지식․기술집약적 산업을 집중 육성하여 국가 부가가치 창출의 성장동력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력과 사업성이 우수한 지식․기술집약기업의 지적재산권을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술가치평가를 통한 다양한 기업지원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국내 기술가치평가는 아직 해외 선진 기술평가체계에 비해 일부 특정분야에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전반적인 평가제도는 미흡한 수준이다. 즉 양적 및 질적 성장이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주로 국내에서 활용되는 기술평가기법으로는 기관별 평가모델에 의한 정성적 평가방법과 수익접근법을 근간으로 한 계량적 평가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실물옵션 가치평가기법이 도입되어 기존의 평가기법과 접목한 새로운 평가모델이 개발되어 일부에서 사용되어 지고 있다. 국내 지적재산권에 대한 인식은 아직 주변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지적재산권의 창출이 대기업에 편중되는 등 그 저변이 다소 취약하고, 기술평가 인프라가 충분히 구축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전문화된 기술평가기관을 육성하여 기술평가 및 기술거래시장을 활성화하고 지적재산권의 창출 및 보호를 국가 중점사업으로 추진하여, 미래 국가 부가가치 창출의 성장동력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국내 실정에 적합하고 선진화된 기술평가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평가수요를 창출하여 우수기술기업이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법률적․제도적 정비를 통해 우수한 지적재산권이 사장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법률적 지원으로는 일본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업담보제도를 도입하되 국내실정에 맞게 개선하여 담보력이 미약하고 무형의 기술자산을 보유한 기술․지식집약기업의 자금지원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뒷받침이 요망된다. 우리나라의 기술무역수지는 ‘98년 이후 매년 20억불이상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고부가가치의 핵심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술선진국은 개도국을 견제하기 위해 지적재산권보호를 통상무기화 하는 한편 미래 선진기술의 확보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세계 지적재산권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국가 미래 부가가치 창출의 성장동력인 기술․지식집약산업의 육성을 위해 지적재산권 관리부처 신설 등 지적재산권정책의 집중적인 추진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것이다. In the era of so-called 'knowledge-based economy', intellectual properties created by intellectual activities of human being such as cutting-edge technology, business know-how, brand and software is replacing the role of traditional production factors such as labor and capital in generating corporate revenue and enhancing competitive edge of a national economy. Recent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so rapid and significant that the phenomenon was dubbed a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It also brought us a new term 'new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Korean economy needs to nurture high-tech and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utilize them as a new growth engine that helps generate high added-values throughout the nation.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ways to activate support to technology-intensive business enterprises through an objective and fair valuation of thei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technology valuation system in Korea is not full-fledged compared to that of advanced counties and it is utilized in some limited areas. At this juncture, it is needed to upgrade the valuation system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With respect to the valuation method, two methods are mainly adopted in Korea: qualitative valuation method based on valuation models and quantitative method based on income approach. Recently, a new method which combines the current ones with the newly-introduced real option valuation model has come into use in some areas. Meanwhile, public awareness about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Korea still remains low. There are some problems to be addressed to promote trade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s only a few big enterprises are actively developing intellectual properties and valuation system for the intellectual properties are not in place yet. Thus, an organization specializing in the valuation of technology, among other things,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promote the valuation of technology and vitalize the technology trade market. Meanwhile, the creation and protect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ould be given top priority in the government policy as a means to generate high added value and to lead the national economy in the future. At the same time, continuous efforts must be made to develop advanced models for technology valuation and to expand demand base for the technology valuation. Furthermore,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prepared in connection with commercialization of cutting-edge technologies in order to make sure prominent technologies do not perish unnoticed. In terms of the legislative tool, the corporate mortgage system of Japan could be a good alternative. If modified pursuant to the domestic situation, the corporate mortgage system could serve as a good means to help finance of high-tech enterprises whose access to financing is limited due to lack of collateral. Since 1998, technology trade deficit in Korea has been up to 2 billion USD each year. Advanced countries equipped with high-value original technologies are stepping up protective moves in order to check the developing nations. There are also cut-throat competition among the nations to secure advanced future-generation technologies. To keep abreast of the global situation surround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o nurture high-tech enterprises as a new growth engine, it is needed to implement intensive policy measures, including establishment of a government agency which will oversees and coordinates related activities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Key words: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echnology valuation, high-tech and knowledge-based industries, qualitative valuation method, quantitative valuation method, technology finance system

      • 美國 通商政策과 韓國의 對美 通商로비에 관한 硏究

        김대철 동아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나라는 국내총생산의 70%를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수출지향적 국가로 주요 10대 수출국가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로 이는 10대 수출국가 중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은 계속되는 무역수지 적자를 타개하고 동시에 자국의 수출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우리 나라에 대한 통상압력도 계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은 상대국에 대한 시장개방압력과 통상협정 이행여부에 대한 감시활동을 강화하는 등 공격적 통상정책기조를 지속하고 있으며 미국 통상정책의 변화에 대응하는 우리의 협상방법 역시 변화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단순히 제품이나 서비스의 경쟁력을 강화하던 차원을 넘어서, 상대국에 대한 정보축적과 주요 교역국에 대한 통상로비 강화를 통해 적극적이고 다양한 통상전략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미국의 통상정책결정과 관련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이익집단의 로비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로비는 미국의 헌법 수정안에 의한 청원권에 근거하여 로비가 합법적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미국의 국내정치, 경제, 외교 등 모든 분야가 이익집단의 로비 활동영역에 포함된다. 1997년 10월 한국에 가해졌던 미국의 슈퍼 301조 발동도 미국자동차공업협회(Americ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AAMA)가 미 행정부에 적극적으로 로비를 벌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미국과 경제적 이해관계가 높은 국가들은 對美 통상마찰 해소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對美 로비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1970년대부터 對美 로비활동을 시작하였고 1980년대 들어서는 對美 통상로비에 보다 심혈을 기울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효과적인 對美 통상로비활동이 전개되지 못한 채 오히려 외교·통상마찰을 심화시키는 악재로 작용하고 있으며 對美 로비에 있어 우리의 문제는 미국 사회구조에 대한 이해부족,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부족, 로비활동이 사전 예방보다는 사후로비에 치중, 로비에 필요한 정보부족,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로비전략의 부재, 현지교포나 親韓인사 등 우리와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미국내 이익단체 미활용, 거물급 로비스트 선호 경향 등 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아울러 합법적이며 효과적인 로비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첫째, 미국의 사회구조에 대한 정확한 연구, 둘째, 미국의 시민단체나 비정부조직(NGO), 언론기관 등과 연계해 문제해결, 셋째, 미국내 언론기관과의 관계 유지, 넷째, 미국의 정치활동위원회(PAC)를 이용, 다섯째, 미국내 민간단체 및 기업과의 연계 강화 등 對美 로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미국의 통상정책 결정과정과 그 속에서 이익집단의 로비의 역할을 고려해 볼 때, 우리 또한 정책 결정과정에 이익집단을 동원한 로비가 가능하다고 생각되며 미국의 계속되는 통상압력에 대해 우리 정부와 기업의 보다 공세적이고 적극적인 로비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Korea is an export-oriented nation, 70% of whose gross domestic product(GDP) depends on exports. 20% of the total exports of this nation is heading for the U.S. Currently, the U.S. is putting more and more trade pressure on Korea to reduce its continuous trade deficit and exploit its export market. We need to change our ways of trade negotiation as we cope with changes in U.S. trade policy. We should develop various, positive strategies of trade by way of accumulating a relevant information and strengthening te ability of trade-related lobbying, not just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goods and service. Thu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rade policy making in the U.S. and examined how interest groups are lobbying under the mechanism. Then the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Korea's U.S. lobbying related to trade between the two nations and proposed how to improve such problems. Our problems with lobbying the U.S. includes a poor understanding American social structure, lack in a special knowledge about policy-making in the U.S., concentration on ex post facto lobbies, non-existence of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lobbying strategies, non-use of interests such as Korean-Americans and pro-Korean Americans and too much preference of big lobbyist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then make lobbying activities legal and more effective requires precise researches of American social structure, affiliations with civic group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and the press in the U.S., utilization of Political Action Committee(PAC) and strengthened relationships with American private bodies and busin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