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사의 장애아동에 대한 반편견 교육 인식과 실태

        김대웅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range basic data of integrated education to remove bias of non-handicapped children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execute an efficient integrated education by investigating cognition teachers about anti-bias education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its actual condition in elementary school.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ing; First, are there differences of cognition of teachers about anti-bias education for handicapped children, according to variables of teachers (educational careers, experience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Second, how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anti-bias education for handicapp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variables of teachers (educational careers, experience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First of all, 186 of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targets and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delivering questionnaires of anti-bias education cognition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its actual condition.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and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 program, x2(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o take average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joined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had higher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about anti-bias education for handicapped children than those that didn't experienced it. Second, some of them, who experienced integrated education, thought that anti-bias education is need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of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and recognized that executing anti-bias education in the first grade is proper for students. Third, teachers that joined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had more participation time in training for anti-bias education than those that didn't joined it. Also, they answered that they are carrying out parent education about anti-bias using home correspondence. Fourth, teachers, who experienced integrated education, carried out anti-bias education more than those that didn't experience it and they were implementing anti-bias education regardless of a certain group. Fifth,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al careers were implementing anti-bias education in more various group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experienced integrated education and had higher educational careers, have positive recognition of anti-bias education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practice anti-bias education more aggressively.

      • 12주간의 요부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청소년기 요통 환자의 신체조성, 요부형태, 체력 및 요통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

        김대웅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형외과 전문의의 영상진단 및 이학적 검사를 통해 요통 진단을 받은 남·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12주간 요부안정화 운동에 따른 신체조성(체중, 제지방량, BMI, 체지방률, 골격근량), 요부형태(골반 기울기각, 골반 비틀림각), 체력(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및 요통장애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만성요통 질환의 예방 및 완화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무작위 무선 배정을 통해 요부안정화 운동집단(N=7)과 걷기 운동집단(N=7)으로 구분하여 주 3회씩 12주간 진행되었다. 12주간 운동 참여에 따른 집단 간 상호작용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 변량에 의한 반복측정 분산분석(one-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 형태에 따른 집단 간 신체조성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LSE 집단에서 제지방량(p<.01), 체지방률(p<.01), 골격근량(p<.01)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WE 집단은 BMI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체중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운동 형태에 따른 집단 간 요부형태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골반의 경사각(pelvic tilt)에서는 두 집단 모두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LSE 집단에서 골반의 비틀림 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3. 운동 형태에 따른 집단 간 체력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두 집단에서 심폐지구력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1, p<.001), LSE 집단에서 신전근력, 근지구력, 유연성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p<.001, p<.001), 심폐지구력, 근지구력에서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효과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p<.001). 4. 운동 형태에 따른 집단 간 요통장애지수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LSE 집단과 WE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LSE 운동 집단이 WE 집단보다 신체조성, 요부형태, 체력의 신체 기능적 향상에 더 많은 효과를 보였으며, 요통장애지수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향후 요통 예방교육과 청소년기의 주기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및 다양한 변인을 적용시킨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아마추어골퍼의 경력에 따른 운동 상해 실태 분석

        김대웅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마추어 골프 동호인들의 운동 상해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성인 남성과 성인 여성 217명을 대상으로 상해 부위, 상해 종류, 상해 증상, 상해 원인, 상해 시기, 상해 상황, 상해 치료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김미진(1990), 최계형(1995), 박동희(1998)가 개발하고 채양석(2002), 조상혁(2005)이 사용한 타당도와 신뢰도가 인정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상해 발생 부위와 상해 증상에 대해서 최근 2년 간 자신이 경험한 상해를 기록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SPSS versio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상해 부위, 상해 종류, 종목별, 성별, 상해의 시기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Chi-square를 이용하여 빈도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라운딩횟수는 남자 1년 이하에서 1∼2회 24명(80.0%), 2∼5년에서 1∼2회 37명(52.1%), 6년 이상에서 3∼4회 21명(46.7%) 순으로 1∼2회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여자는 1년 이하에서 1∼2회 16명(94.1%), 2∼5년에서 1∼2회 20명(51.3%), 6년 이상에서 1∼2회 6명(40.0%)으로 1∼2회가 높게 나타났다(p<.01). 2. 평균타수는 남자 1년 이하에서 100타 이상 21명(70.0%), 2∼5년에서 90∼100타 31명(43.7%), 6년 이상에서 80∼90타 18명(40.0%)으로 경력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1). 여자 역시 1년 이하에서 100타 이상 14명(82.4%), 2∼5년에서 90∼100타 21명(53.8%), 6년 이상에서 80∼90타 7명(46.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1). 3. 연습횟수는 남자 1년 이하에서 3∼4회 11명(36.7%), 2∼5년에서 3∼4회 26명(36.6%), 6년 이상에서 1∼2회 22명(48.9%)으로 3∼4회가 높게 나타났다(p<.05). 4. 관절상해는 남자 1년 이하에서 인대신장이 12명(40.0%), 2∼5년에서는 인대신장과 디스크 20명(28.2%), 6년 이상에서는 디스크 14명(31.1%)으로 인대와 허리손상이 높게 나타났다(p<.05). 5. 상해 후 치료기간은 남자는 모든 경력에서 1∼10일이 각각 24명(80.0%), 54명(76.1%), 31명(68.9%)으로 높게 나타났다(p<.01). 6. 사전지식과 상해 예방은 남자는 모든 경력에서 ‘그렇다’가 각각 19명(63.3%), 61명(85.9%), 40명(88.9%)으로 높게 나타났다(p<.01). 이상의 결과를 보면 아마추어 골퍼들의 대부분이 연습 시에 상해 발생이 많아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며, 운동 상해 후 치료와 휴식, 재활 트레이닝을 이용하고 상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충분히 회복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많은 아마추어 골퍼들이 운동전 준비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골프 상해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운동전 준비운동을 철저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마추어 골퍼가 골프 상해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갖고 골프를 배우도록 하고, 지도자의 철저한 지도와 교육에 따른 체계적인 연습 이 아마추어 골퍼들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농구형 게임 수업에서 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모둠별 상호작용 특성

        김대웅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농구형 게임 수업의 지도 과정에서 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모둠별 상호작용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모둠을 구성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기준 중 하나인 학생들의 성격유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의 학생 중 조건을 충족하는 12명을 대상으로 총 10차시의 농구형 게임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참여 관찰, 수업 소감문, 심층 면담의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했으며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 삼각검증법을 통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중심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향형 성격유형의 동질 모둠에서는 ‘열정이 과도한 독불장군들’, ‘적극적인 갈등 해결자들’, ‘승부욕이 넘치는 활동가들’과 같은 상호작용 특성이 나타났다. 외향형 모둠의 학생들은 활동 초반부터 적극적인 태도로 수업에 참여했지만, 일부 학생들이 상대방의 이야기를 무시하거나 자신의 의견만을 고집하는 모습을 보이며 모둠 내 크고 작은 다툼 상황이 발생했다. 그러나 외향형 학생들은 이러한 갈등에 적극적으로 대면하여 이를 성공적으로 극복했고, 자신들의 승부욕을 모둠원과의 협력 및 성취동기 향상 등의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어갔다. 이는 교사가 외향형 학생들이 포함된 모둠을 구성할 경우, 학생들에게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존중 등의 정의적 가치를 강조해야 하고, 외향형 학생들이 모둠 내에서 효과적인 ‘갈등 해결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 외향형 학생들의 승부욕이 경쟁 활동의 부정적 측면보다는 긍정적 측면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해 보아야 한다. 둘째, 내향형 성격유형의 동질 모둠에서는 ‘예열이 필요한 슬로스타터들’, ‘조용한 비언어적 소통의 달인들’, ‘다툼을 회피하는 예스맨들’과 같은 상호작용 특성이 나타났다. 내향형 학생들은 활동 초반 소극적인 형태의 의사소통 모습을 보였지만, 차시가 진행됨에 따라 모둠원 간 친밀감이 형성되며 점차 다양한 비언어적 표현을 활용하는 등 활발한 상호작용 모습이 나타났다. 또 외향형 학생들과는 반대로 모둠 간 경기의 승패보다는 타인과의 관계를 중요시하며 갈등 상황을 최대한 회피하거나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교사가 내향형 학생들이 포함된 모둠을 구성하거나 지도할 경우, 내향형 학생들이 모둠 활동에 적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 및 도움을 제공해야 하며 내향형 학생들만의 의사소통 방식을 존중해주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 내향형 학생들은 타인과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 문제 상황이 정리된 이후 해당 상황에 대한 목소리를 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내향형 학생들의 생각과 의견을 무심코 지나치지 않도록 특별히 유의해야 한다. 셋째, 외향형과 내향형 성격유형이 혼합된 외・내향형 이질 모둠에서는 ‘손발이 잘 맞는 명콤비들’, ‘화목한 분위기 메이커들’, ‘아쉬운 투구를 보인 마무리 투수들’과 같은 상호작용 특성이 나타났다. 외・내향형 모둠에서는 기존의 외향형, 내향형 모둠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상호작용 특성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외향형 학생들의 성향과 내향형 학생들의 성향이 모둠 활동 과정에서 서로 상호보완적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활동 후반 다른 모둠과의 경쟁이 과열되기 시작하며 외·내향형 모둠에서는 갑작스러운 갈등 상황이 발생했고, 이는 지금껏 긍정적이고 협력적인 모둠 활동을 이어왔던 외・내향형 모둠의 학생들에게 아쉬운 결과 및 마무리로 돌아왔다. 이는 교사가 외향형 학생과 내향형 학생이 혼합된 이질 모둠 구성을 통해 서로 다른 성격유형을 가진 학생들에게 모둠 활동에 대한 새롭고 긍정적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으나, 이 과정에서 지나친 경쟁 상황에 유의하여 학생들이 과도한 승부욕을 가지지 않도록 늘 경계하며 지도해야 함을 의미한다.

      • CFRP-Al 6061 stack의 홀가공 특성 향상을 위한 실험적 연구

        김대웅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탄소섬유강화수지(CFRP) 소재는 탄소섬유가 여러 적층(Multi layer)로 구성되어 있어 강한 인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단일 소재를 가공할 때, 일반적인 가공 방법으로는 층간분리나 버 같은 결함 발생을 억제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실정이다. 그 뿐만이 아니라 단일 소재가 아닌 현재 트렌드인 금속소재와의 이종소재 가공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종소재 홀 가공을 위한 기초시험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홀 가공, 워터젯을 이용한 홀 가공, 드릴을 이용한 홀 가공 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가공시험을 수행하였다. 가공 방법에 따른 샘플의 형상 및 잔류응력을 측정하고 비교분석하여 3가지 가공 방법 중 드릴을 이용한 방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드릴을 이용한 가공공정에 대하여 이종재료의 가공성 향상을 위한 2가지 형상의 드릴 형상을 선정하고 추력 분석을 통한 최적의 코팅을 선정한 후, 그 코팅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코팅 접착성이 뛰어난 소재를 선정하였다. 형상, 코팅, 소재 등의 조건을 선정한 드릴을 CVD를 공구 선단부에 부착하여 새로운 방식의 드릴을 제작한 후, CFRP와 알루미늄 접합체인 시편에 600홀 가공 테스트를 실시한 후, 그에 따른 결과물을 토대로 현미경 분석, 열분포 분석, 마모 분석 등의 분석을 실시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Since CFRP is composed of multiple layers of carbon fibers and has strong toughness, when processing a single material, general processing methods cannot suppress the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delamination or burrs, and consequently the quality of the product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current situation. Not only that, but the current trend of processing different materials with metal materials rather than a single material is a more serious situat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as a basic test for hole processing in different materials, hole processing using laser, hole processing using waterjet, and hole processing method using a drill were applied respectively to perform processing tests. By measuring and comparing the shape and residual stress of the sample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od using a drill among the three processing methods was effective. For the machining process using a drill, two types of drill shapes were selected to improve the machinability of dissimilar materials, and the optimal coating was selected through thrust analysis. In order to make the most of the coating, a material with excellent coating adhesion was selected. A new type of drill is manufactured by attaching a drill with selected conditions such as shape, coating, and material to the tip of the tool, and then performing a 600-hole machining test on a specimen that is a CFRP and aluminum joint, microscopic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 thermal distribution analysis, wear analysis, etc.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e shown.

      • 대형영상에서 효율적인 관심영역 검출을 위한 계층적 스네이크 알고리즘

        김대웅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contour detection method for a large image using the hierarchical snake algorithm. Due to the focus or resolution problem it is difficult to extract certain contour from a large image. Therefore, we made a large image which is consisted by partial images. The proposed method adopts 3-layers structure. They are called low/middle/high layer images. In the low layer image, it is extracting initial snake control points using general snake algorithm. In the middle layer image, it is able to get more accurate snake control points using seed points from the low layer image. Finally, in the high layer image, it is also using snake control points as seed from the middle image layer. In this time, this method can extract accurate boundary points in short time, because it uses points that is nearest to the boundary. This hierarchical snake algorithm is able to extract certain interesting area without reference to image scale. 본 논문은 대형 영상에 적합한 계층적 스네이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경계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대형 영상을 한 번에 획득하는 경우, 초점이나 해상도 문제 때문에 정확한 경계선을 추출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부분 영상들을 조합하여 대형 영상을 구성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3개의 영상 계층군으로 구성된다. 하위 영상 계층에서는 기본 스네이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기 스네이크 제어점들을 추출한다. 중간 영상 계층에서는 하위 영상 계층에서 얻어진 스네이크 제어점들을 시드점으로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의 스네이크 제어점들을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상위 영상 계층에서는 중간 영상 계층에서 획득된 스네이크 제어점들을 시드점으로 사용한다. 이 때 대형 영상의 경계에 근접한 점들을 기반으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은 반복 수행 회수만으로 정확한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제안된 계층적 스네이크 알고리즘은 영상의 크기에 관계없이 관심영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 복식호흡을 통한 발성훈련과 멜로디 억양 치료법의 혼합적 중재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단일대상연구

        김대웅 성신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브로카 실어증(Broca's Aphasia) 환자의 언어 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멜로디 억양 치료법(Melodic Intonation Therapy)과 복식호흡을 통한 발성훈련을 혼합적으로 중재하였을 때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중간대뇌동맥 경색으로 인해 오른쪽 편마비와 함께 브로카 실어증 진단을 받은 71세 남성 환자로, 인지와 언어표현 향상을 위해 주치의로부터 음악치료에 의뢰되었다. 음악치료에서는 환자의 언어개선을 위해 멜로디 억양 치료법과 복식호흡을 통한 발성훈련을 2011년 7월부터 8월까지 주 4회로, 17회기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매 회기에는 프라트(Praat)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호흡, 발성의 지속시간, 최대음절수, 목소리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계는 반전설계 ABAB의 변형인 A-B-BC-B-BC 설계를 사용하였다. A는 기초선, B는 멜로디 억양치료, C는 호흡을 통한 발성훈련으로 설정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식호흡을 통한 발성훈련은 호흡의 지속시간, 발성의 지속시간, 최대음절수, 그리고 목소리의 크기를 향상시켰다. 둘째, 멜로디 억양 치료법을 독립적으로 중재했을 때보다 복식호흡을 통한 발성훈련을 함께 중재했을 때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언어 표현력이 더 크게 향상시켰다. 이는 복식호흡을 통한 발성훈련이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언어 표현력에 가장 기본적인 힘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bined effects of Melodic Intonation Therapy with vocal training based on abdominal breathing on Broca's aphasia, specifically regarding the component of lingual expression. The patient is a 71-year-old male, diagnosed with Rt. hemiplegia secondary to Lt. MCA infarction, resulting in Broca‘s aphasia. His medical attendant referred him to receive music therapy with the aim of improving cognition, expressive language production. From July to August 2011 the patient attended a total of 17 sessions, occuring 4 times per week. In each session, respiration, the length of vocalization, maximum syllables, and voice volume were measured via Praat program. A modified form (A-B-BC-B-BC) of a reversal design ABAB has been used : A for baseline, B for the Melodic Intonation Therapy and C for vocal train with abdominal breat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wo things. Firstly, vocal training based on abdominal breathing has improved the duration of both respiration and vocalization, the maximum syllables and the volume of the voice. Secondly, is that the lingual expression of Broca's aphasia has been more improved by combining vocal training based on abdominal breathing and Melodic Intonation Therapy than by using the Melodic Intonation Therapy itself. This concludes that Melodic Intonation Therapy is beneficial to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 현장 기술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경력관리 행동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대웅 세명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field technicians'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ur in regards to their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using structural relationships. Research on this has been somewhat restricted. For this, this study implemented the structural equation of the PLS method. With participation of 339 survey respondent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Hypothesis 1],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success in personal relationships, success in life, and job success. Regarding [Hypothesis 2], the factors of career management behaviour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career planning and career map. In [Hypothesis 3] for verification of the ultimat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customer orientation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variables. In [Hypothesis 4] for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customer orientation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that between career map and customer orientation. Finally, [Hypothesis 5] for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nagement behaviour and customer orientation revealed that job satisfaction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in life and customer orientation, that between success in personal relationships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uccess and customer orientation. This study has theoretical significance in expanding the base of the research area by exploring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career success, career management behaviour,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f field technician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sugges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verified in this study can suggest useful implications in managing field technicians, it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그동안 다소 제한적으로 연구되어왔던 현장기술자들을 대상으 로 현장기술자의 주관적 경력성공 및 경력관리행동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 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관계로 실증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PLS방식의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모두 N = 339의 설문응답자 가 참여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가설1]의 결과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경력성공 요인은 대인관계성공, 삶의성공, 직무 성공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가설2]에 해당되는 경력관리행동이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경력계획, 경력지도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 다. [연구가설3]에서는 직무만족이 궁극적으로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의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 변인의 매개효과 검증을 살펴보고자 하 였다. [연구가설4]에서는 주관적 경력성공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 있어 직 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경력계획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 경력지도와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 가운데 직무만족은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가설5]에서는 경력관리행동과 고객지향성 간 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삶의성공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 대인관계성공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 직무성공과 고 객지향성 간의 관계에 있어 직무만족은 매개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현장기술자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경력성공, 경력관리행동, 직무 만족 및 고객지향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는데 있어 연구분야의 저변을 확대하였다는 이론적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또 한 본 연구에서 검증된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제시가 실제 현장기술자들을 관 리하는데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실무적 시사 점 또한 지닌다고 볼 수 있다.

      • 사적 언어 논증 : 예측과 원인

        김대웅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ivate language problem appeared in L.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s discussed at this thesis. And ‘the private language argument’ invented by S. Kripke is mainly criticized here. The argument consists of ‘skeptical’ paradox and solution. On this new interpretation, it is paradoxical that an private individual has no criteria for meaning something by a word. Thus, Kripke argued that a linguistic community is suggested by Wittgenstein as the skeptical solution of the paradox. That is, the individual’s rule following can only be normatively justified by the community. However, I demonstrate that ‘the private language argument’ is contrary to what Wittgenstein investigated on the paradox and the contradiction. Wittgenstein said that the problem of consistency in mathematics is based on a philosophical confusion. When mathematicians try to prove the consistency of their own system, they are only concerned about a ‘symbolic’ contradiction. Because, we will not be aware of the real contradiction until we find it. Therefore, no matter what the consistency is, it is impossible to prevent the real contradiction before its occurrence. So Wittgenstein suggested that we can only solve this problem of the symbolic contradiction by eliminating the philosophical misunderstanding. He did not have interest in any skeptical solution. And the private language problem is caused by another philosophical and linguistic misunderstanding. In ordinary language, no one can refer to one’s private sensation by any noun. The inner experience of sensation is not meant by the language game. There is nothing private which should be justified in our language. We can express our feeling without justification because our sense language is already part of the community’s form of life. This is what Wittgenstein discussed about the private language problem in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deed. Moreover,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is view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 mental causation concerned with the understanding of action. As we cannot give a name to our inner sensation, the expressions of mental state like ‘desire’, ‘belief’, ‘intention’, ‘decision’ have nothing to do with the private sensation. Thus, the reason why the description of mental state can explain the action is not because the mental causation justifies that explanation but because the linguistic connection between mind and action is belong to our language game. For example, we can predict someone’s future ac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one’s mental state. We do not need the existence of mental cause for this linguistic process. These philosophical misunderstandings are based on the superstitious belief of the ultimate cause beyond language. However, Wittgenstein said that it shows us an ethical tendency in the human mind. 본 논문은 비트겐슈타인(L. Wittgenstein)의 『철학적 탐구 (Philosophical Investigations)』에서 등장하는 사적 언어에 관한 논의들을 다룬다. 또한 본 논문은 크립키(S. Kripke)의 ‘사적 언어 논증(Private Language Argument)’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크립키는 러셀(B. Russell)의 ‘논리적 원자론(logical atomism)’에 대한 비판으로 알려진 『철학적 탐구』의 사적 언어에 관한 논의가 ‘회의적 역설’과 ‘회의적 해결책’으로 구성된 ‘사적 언어 논증’의 사례임을 주장한다. 크립키에 따르면, 한 개인에게서 스스로의 규칙 따르기를 판정할 내적인 기준의 존재가 회의될 수 있다는 것은 역설적이다. 크립키는 이러한 ‘회의적 역설’을 해결하기 위해서 비트겐슈타인이 언어 공동체에 의한 외적인 기준의 합의를 통하여 개인의 내적인 규칙 따르기를 규범적으로 정당화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크립키의 주장은 ‘공동체주의적 견해(community-view)’로 자리매김 하였다. 그러나 나는 크립키의 ‘사적 언어 논증’이 비트겐슈타인의 모순에 대한 견해에 위배된다고 주장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수학에서의 모순의 문제를 다루며 ‘무모순성 증명’이 언어적이고 철학적인 오해와 혼동에 근거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무모순성 증명이 문제 삼고 있는 것은 단지 모순의 발견이 예측될 수 있다는 사실로서의 ‘상징적 모순’이다. 따라서 무모순성 증명은 그것이 성공하거나 성공하지 않더라도 애초에 ‘실제 모순’의 해결과는 상관이 없다. 수학자들의 이와 같은 모순에 대한 오해는 ‘예측’과 ‘원인’에 대한 오해와 혼동으로부터 생겨났다. 따라서 그러한 오해와 혼동을 바로잡는 것이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하는 ‘상징적 모순의 해결’이다. 역설에 대한 ‘회의적 해결책’을 주장하는 크립키의 ‘사적 언어 논증’은 비트겐슈타인의 모순에 대한 탐구와는 전혀 상관이 없다. 더욱이 크립키의 ‘사적 언어 논증’은 비트겐슈타인이 사적 언어에 관한 논의에서 비판했던 철학적 오해를 반복하고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사적 언어에 관한 논의에서 우리의 감각에 관한 일상적인 표현들은 개인이 경험하는 ‘느낌’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며 다만 그것들은 언어 게임 속에서만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이때 우리의 경험적인 ‘느낌’은 지시되어야 할 언어의 내부가 아니라 다만 언어의 ‘밖’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언어 공동체의 ‘삶의 형식’에 근거하는 우리의 언어에는 정당화되어야 할 어떠한 내적인 것도 없으며 그러한 정당화를 가능하게 할 외적인 기준도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비트겐슈타인의 견해는 행위의 이해와 관련하는 심성 인과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우리는 ‘욕망’, ‘욕구’, ‘믿음’, ‘의도’, ‘결심’ 등과 같은 심적 상태를 표현하는 단어들로 경험적이고 사적인 느낌에 이름을 줄 수 없다. 심적 상태를 기술하는 것은, 그리하여 그것과 행위에 대한 기술을 연결하는 것이 우리에게 이해되는 것은, 내적인 느낌이나 심성 인과의 존재와는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언어 게임의 일부일 뿐이다. 이로써 ‘사적 언어의 문제’는 ‘행위 설명의 문제’로 이어진다. 실제로 비트겐슈타인이 『철학적 탐구』의 후반부에서 했던 작업은 마음과 행위를 연결 짓는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내부’와 ‘외부’, ‘예측’과 ‘원인’을 둘러싼 오해에 이해를 제공하는 것으로 마음과 행위에 관한 철학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비트겐슈타인의 탐구는 우리에게 인간 정신 속의 한 경향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